KR20070063556A - 가변 부대역 처리에 따른 압축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부대역 처리에 따른 압축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556A
KR20070063556A KR1020077009041A KR20077009041A KR20070063556A KR 20070063556 A KR20070063556 A KR 20070063556A KR 1020077009041 A KR1020077009041 A KR 1020077009041A KR 20077009041 A KR20077009041 A KR 20077009041A KR 20070063556 A KR20070063556 A KR 20070063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band
subbands
data
compression
quant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이 선더스
윌리엄 씨 린치
크라시미르 디 콜라로프
Original Assignee
드로플렛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955,240 external-priority patent/US20050105609A1/en
Application filed by 드로플렛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드로플렛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6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reducing bandwidth of signals; for improving efficiency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6Conversion to or from run-length codes, i.e. by representing the number of consecutive digits, or groups of digits, of the same kind by a code word and a digit indicative of that ki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8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relating to sub-band structure, e.g. hierarchical level, directional tree, e.g. low-high [LH], high-low [HL], high-high [H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using parallelised computatio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5Selection of the code volume for a coding unit prior to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 1 부대역이 제 2 부대역과는 다른 복수의 병행 부대역들을 통해 데이터스트림을 처리하는 단계에 의해 데이터 압축에서의 더 미세한 레이트 제어(finer rate control)를 제공한다. 각각의 별도의 0 진행 압축 저장영역 또는 파일에 대한 별도의 쉬프트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모든 계수들에 대해 단일의 공통 쉬프트 파라미터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이러한 영역 또는 파일의 파라미터 값이 압축 출력파일에 기록될 수 있다. 별도의 쉬프트 양자화 파라미터들은 데이터가 압축될 때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압축비 제어 시스템, 부대역, 쉬프트 양자화 파라미터

Description

가변 부대역 처리에 따른 압축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Compression R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Variable Subband Processing}
본 발명은 발명의 명칭이 RATE CONTROL WITH VARIABLE SUBBAND QUANTIZATION인 2004년 9월21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0/612,311호와, 발명의 명칭이 SPLIT TABLE ENTROPY CODING인 2004년 9월22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0/612,652호와, 발명의 명칭이 PERMUTATION PROCRASTINATION인 2004년 9월22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0/612,651호와, 발명의 명칭이 MOBILE IMAGING APPLICATION, DEVICE ARCHITECTURE, AND SERVICE PLATFORM ARCHITECTURE인 2004년 10월12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0/618,558호와, 발명의 명칭이 VIDEO MONITORING APPLICATION, DEVICE ARCHITECTURES,AND SYSTEM ARCHITECTURE인 2004년 10월13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0/618,938호와, 발명의 명칭이 MOBILE IMAGING APPLICATION, DEVICE ARCHITECTURES,AND SERVICE PLATFORM ARCHITECTURE AND SERVICES인 2005년 2월16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60/654,05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참조문헌 각각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어 있다.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MULTIPLE CODEC-IMAGER SYSTEM AND METHOD인 2004년 9월16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0/944,437호의 일부계속출원으로서 2005년 3월 19일자로 공개된 미국공개번호 제US2005/014752호와, 발명의 명칭이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AGE AND VIDEO TRANSCODlNG인 2003년 4월17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0/418,649호의 일부계속출원으로서 2003년 11월 6일자로 공개된 미국공개번호 제US2003/0206597호와, 발명의 명칭이 WAVELET TRANSFORM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0DUCT인 2003년 4월17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0/418,363호의 일부계속출원으로서 2003년 10월 23일자로 공개된 미국공개번호 제US2003/0198395호와, 발명의 명칭이 PILE-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ARALLEL PROCESSORS인 2003년 5월28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0/447,455호의 일부계속출원으로서 2003년 12월 11일자로 공개된 미국공개번호 제US2003/0229773호와, 발명의 명칭이 CHROMA TEMPORAL RATE REDUCTION AND HIGH-QUALITY PAUSE SYSTEM AND METHOD인 2003년 5월28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0/447,514호의 일부계속출원으로서 2003년 12월 25일자로 공개된 미국공개번호 제US2003/0235340호와, 발명의 명칭이 SYSTEM AND METHOD FOR TEMPORAL OUT-OF-ORDER COMPRESSION AND MULTISOURCE COMPRESSION RATE CONTROL인 2004년 9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0/955,240의 일부계속출원인 2005년 5월 19일자로 공개된 미국공개번호 제US2005/105609호로서, 상기 참조문헌 각각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어 있다. 본 출원은 또한 발명의 명칭이 MULTIPLE CODEC-IMAGER SYSTEM AND METHOD인 2004년 11월30일자로 발행된 미국특허 제6,825,780호 및 발명의 명칭이 SYSTEM AND METHOD FOR A DYADIC-MONOTONIC(DM) CODEC인 2005년 1월25일자로 발행된 미국특허 제6,847,317호를 그 전체로서 참조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압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 출력 비트율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직접적으로 디지털화된 스틸 이미지(still images)와 비디오는 많은 "비트들"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저장, 전송 및 기타 사용을 위해 이미지 및 비디오를 압축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대부분의 이미지 및 비디오 압축은 기본 구조를 공유하며 변형이 따른다. 기본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단계, 양자화(quantization)단계 및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단계의 3단계를 갖는다.
비디오 "코덱(codecs)"(압축기/압축해제기)은 이미지 품질, 프로세서 요건(즉, 비용/전력 소비), 및 압축비(즉,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간에 평형을 이룸으로써 데이터 통신스트림에 필요한 데이터 레이트를 줄이는데 사용된다. 현재 이용가능한 압축 접근법은 트레이드-오프(trade-offs)의 다른 범위를 제공하고 복수의 코덱 프로파일들을 산출하며, 상기 각각의 프로파일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요건을 충족하도록 최적화된다.
비디오 압축기(video compressor)에서 변환단계의 의미는 사진 또는 시퀀스에서 국소적 유사성 및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한 한 압축형태로 소스 사진의 에너지 또는 정보를 모으는 것이다. 압축은 "일반적" 입력부에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랜덤(random)" 또는 "병적(pathological)" 입력을 압축하기 위한 장애를 무시한다.
MPEG-2와 같은 많은 이미지 압축과 비디오 압축방법은 변환단계로서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을 사용한다.
MPEG-4 구조와 같이 일부 몇몇 새로운 이미지 압축 및 비디오 압축방법들은 변환단계로서 다양한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을 사용한다.
웨이블릿 변환은 데이터 세트에 대한 웨이블릿 필터 쌍들의 일차원으로 또는 그 이상으로 반복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 이미지 압축을 위해, 2D 웨이블릿 변환(수평 및 수직)이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3D 웨이블릿 변환(수평, 수직 및 시간)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도 2는 현재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압축 알고리즘들 중에 트레이드-오프의 예(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압축 알고리즘은 웨이블릿 기반의 코덱(102)과 다양한 MPEG 비디오 분포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는 DCT 기반의 코덱(104)을 포함한다.
DCT 기반의 코덱 알고리즘에 반대되는 2D 및 3D 웨이블릿은 JPEG 위원회가 JPEG2000 스틸 이미지 표준용 웨이블릿 알고리즘을 채택하도록 촉구하는 플리징 이미지 품질(pleasing image quality)과 유연한 압축비(flexible compression ratio)로 인해 매우 주목되었다. 불행히도, 대부분의 웨이블릿 수단들은 DCT 대체물에 대해 많은 처리 능력(processing power)을 필요로 하는 매우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웨이블릿은 3D 웨이블릿을 특히 어렵게 하는 시간 압축(temporal compression)에 대한 특유한 과제를 제시한다.
이러한 이유로, 웨이블릿은 MPEG과 같은 대용량 산업표준 코덱보다 비용경쟁력 있는 이점을 결코 제공하지 못하고 따라서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서만 채택되었다. 따라서, 3대 주요시장 부분에 집중한 저전력 및 저비용으로 최적화된 3D 웨이블릿들의 사용으로 실행가능한 수단을 필요로 한다.
예컨대, 소형 비디오 카메라가 더 확산되고, 신호들을 디지털적으로 처리하는 이점이 명백해진다. 예컨대, 몇몇 국가에서 이동전화시장의 가장 빠른 성장 부분은 이미지와 비디오클립 능력을 갖는 전화기이다. 대부부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들은 비디오클립 특징을 갖는다. 이동무선 핸드셋 시장에서, 이들 스틸 사진들과 짧은 비디오 클립들의 전송은 장치 배터리로부터 심지어 더 큰 최대출력을 요구한다. 기존의 비디오 코딩표준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은 배터리에 심지어 더 많은 부담을 가한다.
또 다른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은 시청자가 생방송 TV와 타임쉬프트(time-shift) 프로그래밍을 중단시키게 하는 개인영상 저장장치(personal video recorders, PVR)이다. 이들 장치는 디지털 하드디스크 저장장치를 사용하여 비디오를 기록하고, 케이블로부터 아날로그 비디오의 비디오 압축을 필요로 한다. 사진 속 사진(picture-in-picture) 및 기록 중 보기(watch-while-record)와 같은 특징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들 유닛들은 다중 비디오 압축 인코더를 필요로 한다.
또 다른 성장하는 애플리케이션 영역은 감시(surveillance) 및 보안 비디오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Digital Video Recorders)이다. 다시, 압축 인코딩은 입력 비디오의 각 채널이 저장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편리하고, 융통성있는 디지털 네트워크 전송구조를 이용하기 위해, 비디오는 종종 카메라에서 디지털화된다. 더 오래된 멀티플렉싱 리코더 구조에도, 다중채널압축 인코더가 사용된다.
물론, 저전력 및 저비용을 위해 최적화된 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압축구성 에 의해 득을 보는 다른 무수한 시장들이 있다.
시간 압축(Temporal Compression)
비디오 압축방법은 통상적으로 비디오 시퀀스의 각 이미지를 별개로 더 많이 압축한다. 비디오 시퀀스에 있는 이미지들은 종종 시간적으로 연이은 시퀀스에 있는 다른 이미지들과 유사하다. 압축은 이러한 유사성을 고려하여 향상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것을 "시간 압축(temporal compression)"이라 한다. MPEG에 사용된 시간 압축의 한가지 종래 방법은 이동 탐색(motion search)이다. 이 방법으로, 압축되는 이미지의 각 영역이 패턴으로서 이전 이미지에 있는 범위를 탐색하는데 사용된다. 가장 가까운 일치가 선택되고 그 영역은 상기 일치와의 차이 만큼 압축으로 표현된다.
시간 압축의 또 다른 방법은 공간(수평 및 수직)방향에서와 같이 웨이블릿을 사용하는 것이나, 지금은 2이상의 이미지들의 대응하는 픽셀 또는 계수에 대해 작용한다. 이를 3개 "방향", 즉, 수평, 수직 및 시간에 대한 3D 웨이블릿이라 한다.
상기 방법 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한 시간 압축은 이미지와 이전 이미지를 함께 압축한다. 일반적으로, 많은 이미지들이 순식간에 함께 압축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바와 같이, 이들 이미지 세트들을 화상집합(GOP, Group Of Picture)이라 한다.
부대역(Subband)
웨이블릿 변환의 출력은 "저역" 또는 "스케일" 또는 "합" 정보를 나타내는 계수들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픽셀들에 걸친 공통 정보를 나 타낸다. 상기 출력은 또한 일반적으로 픽셀들이 공통 정보와 얼마나 다른지를 나타내는 "고역" 또는 "웨이블릿" 또는 "차이" 정보를 나타내는 계수들을 포함한다. 웨이블릿 필터들의 반복된 애플리케이션은 출력에서 이러한 타입의 정보의 다른 많은 조합들로 발생된다. 각각의 구별되는 조합을 "부대역(subband)"이라 한다. 용어는 주파수영역 관점에서 발생한 것이나, 일반적으로 주파수 대역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웨이블릿 변환은 출력의 다른 부대역내에 있는 매우 다른 값 분포를 발생시킨다. 본래의 픽셀을 가로질러 확산되었던 정보가 다른 것들을 거의 0으로 남겨둔 부대역들 중 일부에 집중된다. 이는 압축에 바람직하다.
0 진행 압축(Run-of-Zeros Compression)
몇몇 이미지와 비디오 압축 알고리즘에 있어 중간 단계는 "파일링(piling)"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0 진행 제거이다(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2003/0229773 참조). 0 진행 단계에서, 부대역(또는 부대역들의 그룹) 계수가 그대로 하지만 매우 효율적으로 압축된다. 0 진행 단계는 데이터로부터 0 값들의 진행을 제거하는 한편, 이들 0 값들이 발생된 곳의 기록을 보존한다. 0 진행 제거는 알고리즘내 어느 한 지점에 적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엔트로피 코딩전에 양자화단계에 바로 잇따라 적용된다. 0 진행 후, 연속한 단계들은 중요 정보(0이 아닌 정보)에 대해 동작도록만 요구되기 때문에 훨씬 빨리 계산될 수 있다.
파일링(piling)은 이용될 수 있는 병렬계산을 이용한 0 제거를 하도록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수의 값들을 병행하여 처리하는 계산 엔진들에 대해 매우 중요 하다. 대조적으로, 0 진행 제거의 다른 방법들(진행길이 코딩)은 일반적으로 엔트로피 코딩동안 0들을 제거하도록 취해지기 때문에 훨씬 많은 시간이 걸린다.
부대역당 저장영역
본 발명에 따른 몇가지 압축수단에서, 각각의 부대역 또는 유사한 부대역들의 그룹에 대한 별도의 파일(pile) 또는 0 진행 압축 저장영역, 또는 몇몇 경우 단일 부대여에 대한 다중영역들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점은 부대역 결과들이 이용될 수 있게 되고 다른 알고리즘의 내용들이 되는 시퀀스들 중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픽쳐 또는 GOP에 대한 중간 표현으로서 단일 저장영역 대신에, 저장영역 또는 파일들의 세트가 있다.
레이트 제어(Rate Control)
압축량, 즉, 생성된 출력 비트의 레이트를 조절하는 한가지 방법은 계산의 양자화 단계에서 폐기된 정보량을 변경하는 것이다. 양자화는 통상적으로 각 계수를 기선택된 수, 즉, "양자화 파라미터"로 나누고, 나눗셈의 나머지를 버림으로써 행해진다. 따라서, 계수 값들의 범위는 나눗셈의 몫인 동일한 단일 값으로 표현되어진다.
압축된 이미지 또는 GOP가 압축해제되는 경우, 역 양자화 단계가 몫을 (기지의) 양자화 파라미터 만큼 곱한다. 이는 계수를 장래 계산을 위해 본래의 크기 범위로 복원시킨다
그러나, 나눗셈(또는 동일하게 곱셈)은 전력 및 시간 소모적인 면에서 많은 수단들 및 하드웨어 비용에 있어 고비용 연산이다, 양자화 단계는 모든 계수에 적 용되며, 대개 입력 픽셀만큼 많은 계수들이 있음에 유의하라.
또 다른 방법으로, 나눗셈(또는 곱셈) 대신에, 양자화는 2의 제곱인 제수(divisors)로 제한된다. 이는 이진수에 대한 비트-쉬프트(bit-shift) 연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쉬프팅은 많은 수단들에서 훨씬 저렴한 연산이다. 일예로는 집적회로(FPGA 또는 ASIC) 수단이다; 곱셈회로는 매우 크나 쉬프터 회로는 매우 작다. 또한, 많은 컴퓨터상에, 곱셈은 완료하는데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하거나 쉬프팅에 비해 실행시 더 적은 병렬계산을 제공한다.
쉬프팅에 의한 양자화는 계산에 매우 효율적인 한편, 몇가지 목적들에 대해 불리하다: 압축 레이트(출력 비트 레이트)의 성긴 조절만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가장 작은 가능한 양, 즉, +1 또는 -1 만큼 양자화 쉬프트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생한 비트 레이트에서 거의 2배 변화가 발생되는 것이 실제로 관찰된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더 미세한 레이트 제어가 요구된다.
따라서, 쉬프팅에 의해 양자화를 포기하지 않고 더 미세한 레이트 제어의 요건과 관련되 효율을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데이터 압축 시스템내 더 미세한 레이트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개시되어 있다. 데이터스트림은 복수의 병행 부대역들을 통해 양자화되며, 제 1 부대역의 데이터는 제 2 부대역의 데이터와는 다르게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이미지의 각 별도의 부대역은 양자화 단계에서 식별되는 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추가로, 개개의 부대역 그룹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처리될 수 있는 한편, 동일한 이미지와 관련된 부대역의 제 2 그룹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2차로 처리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각 별도의 부대역이 양자화 단계동안 고유하게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부대역 데이터의 식별되거나 동일하거나 유사한 처리는 변환, 양자화 또는 엔트로피 코딩 단계 중 어느 하나에서 실행될 수 있거나 각각의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코딩 단계에서 실행될 수 있다. 추가로, 모든 부대역 데이터의 고유 처리는 각각의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코딩단계에서 실행될 수 있어, 그 결과 제 1 부대역의 데이터는 양자화 단계동안 제 1 방식으로 처리되고 제 2 부대역의 데이터는 양자화 단계동안 제 2 방식으로 처리되는 한편, 또한 상기 제 1 부대역의 최종 발생한 데이터는 엔트로피 코딩 단계동안 제 3 방식으로 처리되고 상기 제 2 부대역의 최종 발생한 데이터는 상기 엔트로피 코딩 단계동안 제 4 방식으로 처리된다. 개개의 부대역들은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코딩 단계에서 다양한 방식들로 처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대역의 추가 그룹들은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는 한편, 부대역의 다른 그룹들은 제 2 동일하거나 제 2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모든 계수에 대한 단일 공통 쉬프트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대신에 각각의 0 진행 압축 저장영역 또는 파일(pile)에 대한 별도의 쉬프트 양자화 파라미터가 제공된다. 각각의 이러한 영역 또는 파일(pile)에 대한 파라미터 값은 압축 출력화일(output file)에 기록될 수 있다. 이는 쉬프트 양자화의 효율을 포기하지 않고도 종래 기술에서 발견된 조악성(coarseness) 문제를 극복한다.
본 발명은 모든 계수들에 균일하게 적용되는 양자화 파라미터들로 인해 발생된 가장 가까운 2개의 레이트들 사이에 유효 비트 레이트의 범위를 허용한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각 계수에 적용된 연산은 여전히 쉬프트이므로, 제공된 계산효율은 순수한 쉬프트 양자화의 효율과 거의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별도의 쉬프트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데이터가 압축될 때 동적으로 조절된다. 이러한 조절은 압축과정을 따라 임의의 곳에 있는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취해진 피드백 또는 피드포워드(feedforward) 측정으로 인해 발생한다. 대안으로, 조절은 입력 또는 출력 데이터의 파라미터들의 변화로 인해 발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전화 신호강도를 변환시키는 것과 같이) 소스 이미지 품질 또는 출력 대역폭 이용가능성은 "온 더 플라이(on the fly)"로 별도의 쉬프트 양자화 파라미터들을 각각 변경함으로써 압축과정에 대한 미세 조절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압축해제 데이터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현재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압축 알고리즘들 중에서 트레이드 오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압축해제 데이터에 대한 프레임워크(200)를 도시한 것이다. 함께 "코덱"을 형성하는 코더부(201)와 디코더부(203)가 프레임워크(200)에 포함되어 있다. 코더부(201)는 파일(208)에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변환모듈(202), 퀀타이저(quantizer)(204) 및 엔트로피 인코더(206)를 포함한다. 이러한 파일(208)의 압축해제를 실행하기 위해, 디코더부(203)는 사용(즉,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에서 보기 등)을 위해 데이터를 압축해제하기 위한 엔트로피 디코더(210), 디퀀타이저(dequantizer)(212) 및 역변환모듈(214)을 포함한다.
사용시, 변환모듈(202)은 비상관화 처리(de-correlation)를 위해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 복수의 픽셀의 가역변환, 종종, 선형변환을 수행한다. 다음, 퀀타이저(204)는 변환값들의 양자화에 영향을 끼치고 그런 후 엔트로피 인코더(206)가 양자화 변환계수의 엔트로피 코딩을 담당한다.
쉬프트 양자화의 효율을 포기하지 않고도 상술한 종래 기술의 조악성(coarseness)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화가 일반화된다. 상기와 같이 모든 계수에 대한 단일 공통 쉬프트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대신에, 식별 쉬프트 파라미터들이 0 진행 압축된 저장영역 또는 파일을 각각 분리하도록 적용되게 하였다. 각각의 이러한 영역 또는 파일에 대한 파리미터값이 압축된 출력파일에 기록된다. 파일(pile)은 데이터가 압축된 연속한 0들(또는 다른 공통 값들)로 표현되는 데이터 저장구조이다. 부대역은 다수의 각각의 파일들 또는 저장영역들을 구비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대안으로, 파일 또는 저장영역은 다수의 별개의 부대역들을 구 비할 수 있다.
이 방안은 모든 계수들에 대해 균일하게 적용되는 양자화 파라미터들로 인해 발생한 가장 가까운 2개의 레이트들 사이에서 유효한 비트 레이트의 범위를 허용한다. 예컨대, 하나(부대역 x)가 아니라 모든 부대역들이 동일한 양자화 파라미터(Q)를 사용하고 상기 하나(부대역 x)는 Q+1을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하자. 상기 양자화 단계로부터 결과적으로 발생한 전체 비트 레이트는 양자화에 있서 모든 부대역들에 대해 Q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면 감소되나, Q+1이 모든 부대역들에 사용된 경우에서 처럼 그정도는 아니다. 이는 압축의 더 양호하고 더 미세한 조절을 제공하며 Q 또는 Q+1의 균일한 적용에 의해 달성된 비트 레이트 사이의 중간 비트 레이트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각 계수에 적용된 연산이 여전히 쉬프트이므로 계산효율은 순수한 쉬프트 양자화의 효율과 거의 정확히 같음에 유의하라. 부대역들의 임의의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4에서 100개 부대역들이 일반적이다. 32개가 가장 일반적이다.
파라미터의 선택
상기 방법에서, P 부대역 영역과 함께, 한 영역의 부대역내 양자화 파라미터 증가가 모든 부대역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는 것에 비하면 1/P 계수만큼 출력 레이트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가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각각의 부대역 영역들이 대개 중요 정보의 매우 다른 양을 포함하기 때문에 주로 그렇지 않다. 따라서, 비교적 많은 양의 (다른 부대역에 비해) 중요 계수들을 갖는 부대역에 특정 양자화 파라미터를 적용함으로써 다른 부대역에 비해 비교적 적은 양의 중요 계수들을 갖는 별개의 부대역에 동일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것보다 양자화의 순 유효 비트 레이트에 더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변경될 수 있는 엔트로피 코딩 단계에 적용되는 파라미터들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저장영역에 적용되는 엔트로피 코팅 기술의 실제 선택이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허프만(Huffman) 테이블 기술이 한 저장영역의 엔트로피 코딩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한편, 별도의 호프만 테이블이 제 2 저장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지수함수적 골롬브 코딩(Golomb coding)과 같은 별도의 기술이 제 2 또는 제 3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추가 기술들 또는 기술들의 파라미터들이 별개의 저장영역들에 별도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변경들은 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특정 저장영역을 처리하는데 적용된 기술들 또는 파라미터들의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들이 압축신호의 디코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디코더에 기록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송되는 것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축에 사용된 기술들 또는 파라미터들의 상태는 디코드되는 압축 데이터의 구조로부터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인코더의 로직에 해당하는 동일한 로직으로 프로그램될 수 있어 디코더가 인코더의 상태를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압축비에 가장 근사한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양자화가 조절되는 영역들의 예상 크기 및 부대역 영역상에 조절의 예상 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 이는 하기에 요약된 예제 처리과 같이 간단한 반복처리로 행해질 수 있다.
양자화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실시예 1
예시적인 알고리즘은 초기화에 의해 주어지거나 이전 이미지 또는 GOP로부터의 넘겨진 양자화 파라미터 세트로 시작한다. 이를 각각의 0 진행 압축영역 P에 대한 Q[P]라 한다. 계수 C로 표현된 압축 출력 레이트에 소정의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이 설명은 1씩 Q 값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Q값을 사용하여 압축부로부터 출력 레이트에서의 F변화의 계수가 발생된다고 가정한다. C<F 이고 1/F<1/C라고 가정한다. 영역은 크기가 S[P]이다. 이 알고리즘을 위해, 크기들은 측정된 크기들이라기 보다는 추정들일 수 있다.
단계 1.
C=1인 경우, 어떠한 것도 하지 않고 조절 처리를 떠난다.
C>1인 경우, D = F-1로 설정한다.
C<1인 경우, D = (1/F)-1로 설정한다.
S를 모든 부대역 영역 크기의 합으로 계산한다.
T = S로 설정한다.
단계 2.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아직 변경되지 않은 부대역 영역 P를 선택한다.
T = T + D*S[P]를 계산한다.
C>1인 경우, Q[P] = Q[P]-1로 설정한다.
C<1인 경우, Q[P] = Q[P]+1로 설정한다.
단계 3.
T가 C*S에 충분히 가까운 경우, 조절 처리를 떠난다.
단계 2로 진행.
상기 예의 다양한 미세한 구별들은 예컨대 하기 예에서와 같이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알고리즘의 단계 3에서, "충분히 가까운" 테스트는 여러가지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될 수 있다. 이 테스트의 한가지 간단한 형태는 다음과 같다:
테스트 3.
(C>1이고 T>C*S) 또는 (C<1이고 T<C*S)인 경우...
이 테스트는 추정 레이트 조절이 특정된 조절을 초과하자 마자 반복을 중단한다.
추가적인 다른 실시예는 측정 레이트가 특정 조절을 초과하게 하는 단계 바로 전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은, 예컨대, 특정 레이트에 더 가까운 추정에서 발생되는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특정한 조절 C를 포함하는 두 단계들 사이에 선택하는 것이다.
이점
상기 주어진 예제 1 알고리즘의 처리는 양자화 변형들이 서로 한 단계내에 유지되는 특성을 갖는다. Q 값은 1씩 변하거나 전혀 변하지 않고, 변경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에 있다. 처리는 단계 2에서 P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유지함으로써 알고리즘의 많은 실행들을 통해 (즉, 많은 연속한 이미지 또는 GOP 압축과정을 통해) 상기 특성들을 유지하도록 쉽게 확장될 수 있다. 이는 양자화의 조절이 압축 출력 레이트 뿐만 아니라 또한 픽쳐 품질에 (즉, 압축과정동안 비압축 이미지 또는 비디오에서 잡음 또는 인위물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종종 바람직하다.
그러나, Q 값을 등식의 일단계내에 유지하는 이 특성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다른 고려사항들에 유리하게 때때로 이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부대역에 의한 처리 파리미터들의 변경은 상술한 쉬프트 파라미터들을 적용하는 대신에 곱셈 또는 나눗셈 또는 다른 양자화 기술들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부대역은 먼저 "저역"과 연이어 "고역"과 같이 중요도 순서로 놓여질 수 있어 Q 값이 선택되는 경우 덜 중요한 부대역들이 먼저 하향된다. 이런 식으로, 더 큰 전체 압축 레이트가 이미지 품질의 희생으로 선택되는 경우, 이미지의 기본 특성을 나타내는 부대역들이 이미지의 매우 미세한 내용만을 나타내는 부대역 전에 하향되지 않게 된다. 룩업 테이블도 또한 이미지의 특성을 기초로 한 하향을 위해 다양한 부대역들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이미지의 전체 압축레이트를 높이기 위해, 부대역들은 이미지가 "옥외 실사(outdoor live action)"와 같은 특정한 타입인 경우 특정 순서대로 하향될 수 있다. 이미지가 "저수준 조명", "인물 비디오", "스틸 이미지", "풍경" 등과 같은 다른 타입들인 경우, 룩업 테이블은 각 부대역의 Q값을 변경하기 위해 다른 순서 및/또는 크기를 제공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들
상술한 바와 같은 부대역 양자화 파라미터들에 대한 변경은 특정한 데이터스 트림에 대해 고정되고 기설정되거나, 데이터가 압축될 때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동적 조절의 예를 위해, 출력 데이터가 도 1에 도시된 압축과정(201)의 마지막에 (즉, 엔트로피 코더(208) 다음에) 샘플화될 수 있다. 측정된 비트 레이트가 너무 높은 경우, 이 정보는 하나 이상의 부대역들의 쉬프트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상기 비트 레이트를 소정 수준 또는 범위로 내리게 하는 알고리즘으로 다시 제공될 수 있다. 측정된 비트 레이트가 소정 수준 또는 범위 보다 낮은 경우, 하나 이상의 부대역들의 쉬프트 파라미터가 비트 레이트를 높이는 반대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더 낮은 압축비를 만들어 이미지 품질을 높이게 한다. 이 구성에 대한 한가지 이점은 이미지들이 이동전화선과 같은 고정된 대역폭 시스템을 가로질러 전송되기에 충분히 압축되나 가능한 한 높은 이미지 품질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데이터는 압축과정(201)의 출력에서만 측정되거나 샘플화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과정(201)의 입력에서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이미지들 또는 이미지들의 부분들이 압축과정(201)으로 공급될 때 더 큰 비트 레이트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는 소스 이미지 품질 또는 크기가 증가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다수의 카메라들의 출력들이 압축을 위해 단일 데이터스트림에 다중화되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에서 발생될 수 있다. 사용되는 카메라들이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소스 데이터 레이트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피드포워드(feedforward) 구성에서, 소스에서 측정된 변화들에 응답하여 퀀타이저(204)에 하나 이상의 부대역 다운스트림의 쉬프트 파라미터를 바꾸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포워드 구성을 사용한 한가지 이점은 측정된 소스 데이터가 퀀타이저(204)에 도달하기 전에 또는 적어도 파라미터들이 앞서 설명한 피드백 구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보다 빨리 쉬프트 파라미터들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실제 처리단계가 피드포워드 측정을 기초로 다운스트림이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전체 처리시간을 높이고/높이거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적 시스템은 데이터가 압축과정(201) 전후에 측정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가 압축과정(201)내에 하나 이상의 점들에서 측정되는 경우 유사한 동적 시스템들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쉬프트 파라미터들에 영향을 끼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는 변환단계(202)와 양자화 단계(204) 사이의 변환단계(202)내, 양자화단계(204)와 엔트로피 코더(206) 사이의 양자화 단계(204) 및/또는 엔트로피 코더 단계(206)내에 측정되고 샘플화될 수 있다. 데이터가 측정되는 과정이 더 빠를수록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변경들이 이루어지는 것이 더 빨라 진다. 데이터가 측정되는 과정이 더 늦을수록 소정의 출력 레이트도 더 늦어져 더 정확해지게 된다. 유사하게, 데이터가 일반적인 변환(202), 퀀타이저(204) 및 엔트로피 코더(206) 구조를 갖지 않는 압축과정 내내 다양한 지점들에서 측정되거나 샘플화될 수 있다.
쉬프트 파라미터들은 심지어 압축과정(201)내 어딘가에서 데이터의 측정 또는 샘플을 취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파라미터들내 변경들도 압축과정(21)에 대한 동적 변경을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로써, 압축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화일(file)(208)에 저장될 수 있다. 현재 화일의 크기가 변하거나 화일내 데이터가 용량에 다다른 표시가 있는 경우, 압축 레이트를 높여 화일 공간을 보존하기 위해 출력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써, 압축 데이터가 이동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신호강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응답시 압축과정의 특성들을 동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 조절이 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미지 그룹내 소정의 이미지들 또는 한 이미지의 소정 부분들이 다른 이미지 또는 부분들과는 다르게 압축될 수 있다. 이는 자원의 사용을 매우 효율적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르게 압축되는 부분들로 인해 이미지의 동일 및/또는 인접한 부분들에서 주목할만한 차이와 같이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들을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효과들은 모든 쉬프트 파라미터들에 걸쳐 그 차이를 1로 유지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결부하여, 래스터 스캔(raster scan)보다는 나선형 스캔(spiral scan)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이미지들내에 있는 대부분의 중요 데이터가 중심 쪽으로 놓여있기 때문에, 중심부의 세부내용들은 이 부분들에 있는 낮은 압축 레이트를 사용하여 미세한 세부내용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샘플링이 이미지의 중심, 수평, 코너 등에서 행해질 수 있다.
변환단계(202)와 엔트로피 코더단계(206)가 또한 퀀타이저 단계(204)에 대해 상기 예에서 기술된 상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평행한 부대역들과 함께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이 단계내에 있는 각각의 부대역들은 다른 코딩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각 부대역의 처리에 영향을 끼치는 파라미터들은 각각의 별도의 부대역 및 각각의 별도의 단계(202,204,206)에서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완전한 설명인 한편, 다양한 대안, 변형 및 균등물들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됨.

Claims (13)

  1. 복수의 병행 부대역(subband)들을 통해 데이터스트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부대역이 제 2 부대역과는 다르게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양자화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대역은 각각 쉬프트 파라미터(shift parameter)를 적용함으로써 데이터를 양자화하고, 상기 제 1 부대역의 쉬프트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대역의 쉬프트 파라미터와는 다른 데이터 압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대역은 저역(low-pass) 부대역이고 상기 제 2 부대역은 고역(high-pass) 부대역인 데이터 압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부대역 중 하나와는 다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 3 부대 역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부대역은 각각 쉬프트 파라미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양자화하고, 상기 각각의 제 1, 제 2 및 제 3 부대역의 쉬프트 파라미터는 식별되는 데이터 압축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대역들 각각은 제 1 쉬프트 파라미터나 제 2 쉬프트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양자화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쉬프트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쉬프트 파라미터와 1씩 다른 데이터 압축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가 동적으로 변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는 압축 레이트(compression rate) 요 건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는 다운스트림 측정으로부터 피드백에 응답하여 변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는 입력 파라미터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는 업스트림 측정으로부터 피드포워드(feedforwad) 신호에 응답하여 변하는 데이터 압축방법.
KR1020077009041A 2004-09-21 2005-09-21 가변 부대역 처리에 따른 압축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635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231104P 2004-09-21 2004-09-21
US60/612,311 2004-09-21
US61265104P 2004-09-22 2004-09-22
US61265204P 2004-09-22 2004-09-22
US60/612,651 2004-09-22
US60/612,652 2004-09-22
US10/955,240 US20050105609A1 (en) 2003-09-30 2004-09-29 System and method for temporal out-of-order compression and multi-source compression rate control
US10/955,240 2004-09-29
US61855804P 2004-10-12 2004-10-12
US60/618,558 2004-10-12
US61893804P 2004-10-13 2004-10-13
US60/618,938 2004-10-13
US65405805P 2005-02-16 2005-02-16
US60/654,058 2005-02-16
US11/232,165 2005-09-20
US11/232,165 US7525463B2 (en) 2003-04-17 2005-09-20 Compression r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variable subband proces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556A true KR20070063556A (ko) 2007-06-19

Family

ID=3609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041A KR20070063556A (ko) 2004-09-21 2005-09-21 가변 부대역 처리에 따른 압축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25463B2 (ko)
EP (1) EP1797642A4 (ko)
JP (1) JP2008514139A (ko)
KR (1) KR20070063556A (ko)
AU (1) AU2005286715A1 (ko)
CA (1) CA2580987A1 (ko)
WO (1) WO20060344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1007B2 (en) * 2003-12-05 2010-12-28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display in a mobile device
TW200833115A (en) * 2007-01-30 2008-08-01 Beyond Innovation 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data
US8282754B2 (en) 2007-04-05 2012-10-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shrink label
CN101679818A (zh) 2007-04-05 2010-03-24 艾利丹尼森公司 压敏收缩标签
WO2010134553A1 (ja) 2009-05-20 2010-11-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復号方法、復号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MX2012008762A (es) 2010-01-28 2012-08-31 Avery Dennison Corp Sistema de cinta de aplicador de etiqueta.
US8976857B2 (en) * 2011-09-23 2015-03-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Quality-based video compression
US9253508B2 (en) 2011-11-04 2016-02-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intra prediction for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JP6564314B2 (ja) * 2015-11-27 2019-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680A (en) * 1984-10-17 1986-11-11 General Electric Company Hybrid subband coder/decoder method and apparatus
US4817146A (en) * 1984-10-17 1989-03-28 General Electric Company Cryptographic digital signal transceiver method and apparatus
US5276525A (en) * 1991-03-22 1994-01-0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Two-dimensional block scanning for subband image and video coding
JP2938653B2 (ja) * 1992-01-21 1999-08-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符号化装置における量子化器
JP2503915B2 (ja) * 1993-09-29 1996-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ブバンド符号化方式
JP3283413B2 (ja) * 1995-11-30 2002-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符号化復号方法、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装置
EP0911677B1 (en) * 1997-04-18 2007-08-22 Seiko Epson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optic device,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made by using the same
US6359928B1 (en) * 1997-09-29 2002-03-19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compressing images using multi-threshold wavelet coding
JP4054430B2 (ja) * 1998-03-06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記憶媒体
EP0940994B1 (en) 1998-03-06 2014-04-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steps realizing such method
CN100481946C (zh) * 1998-03-20 2009-04-22 三菱电机株式会社 编码和解码及压缩图像的方法和装置
JP2000115770A (ja) * 1998-10-06 2000-04-21 Canon Inc 符号化装置及び方法
JP2000115782A (ja) 1998-10-06 2000-04-21 Canon Inc 符号化装置及び方法及び記憶媒体
US6215908B1 (en) * 1999-02-24 2001-04-10 Intel Corporation Symmetric filtering based VLSI architecture for image compression
US6691082B1 (en) * 1999-08-03 2004-02-1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ub-band hybrid coding
US6961472B1 (en) * 2000-02-18 2005-11-01 Intel Corporation Method of inverse quantized signal samples of an image during image decompression
JP4254017B2 (ja) * 2000-03-10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
JP2001313943A (ja) * 2000-04-28 2001-11-09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4670178B2 (ja) * 2001-05-17 2011-04-13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圧縮装置、画像圧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カメラ
US7483581B2 (en) 2001-07-02 2009-01-2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digital image data in a lossless manner
US6650784B2 (en) 2001-07-02 2003-11-18 Qualcomm, Incorporated Lossless intraframe encoding using Golomb-Rice
US7630563B2 (en) 2001-07-19 2009-12-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digital image and audio data in a lossless manner
EP1333679B1 (en) 2002-02-05 2004-04-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ta compression
GB2387059A (en) 2002-03-28 2003-10-01 Sony Uk Ltd Data compression using trial quantisations to determine final quantiser
US7653255B2 (en) * 2004-06-02 2010-01-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Image region of interest encoding
JP2006081152A (ja) * 2004-08-12 2006-03-23 Seiko Epson Corp デジタル画像符号化装置、デジタル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デジタル画像符号化方法、及びデジタル画像復号化装置、デジタル画像復号化プログラム、並びにデジタル画像復号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4416A3 (en) 2006-11-30
EP1797642A2 (en) 2007-06-20
EP1797642A4 (en) 2008-11-19
CA2580987A1 (en) 2006-03-30
AU2005286715A1 (en) 2006-03-30
JP2008514139A (ja) 2008-05-01
WO2006034416A2 (en) 2006-03-30
US7525463B2 (en) 2009-04-28
US20060071826A1 (en)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619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7525463B2 (en) Compression r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variable subband processing
US8588536B2 (en) Guaranteed-rate tiled image data compression
US8947271B2 (en) Multiple technique entropy coding system and method
US818993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50259880A1 (en) Block area wavelet transform picture encoding apparatus
US7436329B2 (en) Multiple technique entropy coding system and method
JP2008507161A (ja) ビデオ処理用雑音フィルタ
Richter et al. Entropy coding and entropy coding improvements of jpeg xs
US8279098B2 (en) Compression r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variable subband processing
JP3948025B2 (ja) 画像符号のトランスコーダ及び画像符号の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方法
KR20070058637A (ko) 순열 지연
JP2007519301A (ja) 時間型順序外圧縮及びマルチソース圧縮率制御のシステム及び方法
Li et al. Adaptive rate control for motion JPEG2000
JP2019068385A (ja) 符号化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CN101061637A (zh) 具有可变子频带处理的压缩比控制系统和方法
Chan et al. ρ-domain rate control for JPEG XR
JP3948024B2 (ja) 画像符号のトランスコーダ及び画像符号の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方法
Wang et al. CSI with Quantizer Selection for Video Coding
JP2010183595A (ja) 多重技術エントロピー符号化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4080166A (ja) 情報圧縮方法、静止画像圧縮方法および動画像圧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