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232A -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232A
KR20070063232A KR1020050123250A KR20050123250A KR20070063232A KR 20070063232 A KR20070063232 A KR 20070063232A KR 1020050123250 A KR1020050123250 A KR 1020050123250A KR 20050123250 A KR20050123250 A KR 20050123250A KR 20070063232 A KR20070063232 A KR 20070063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steering wheel
control switch
switch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3232A/ko
Publication of KR20070063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편의 기구의 조작 스위치를 설치함에 있어 선택 스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선택 스위치에 의해 접점이 이동된 접점이 리모콘 스위치의 접점에 선별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스위치의 설치 갯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여러 기능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접점(20),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선택 스위치(30), 상기 선택 스위치(30)와 연결되어 선택 스위치(30)의 이동과 연동하는 제 2 접점(40), 상기 선택 스위치(30)와 제 2 접점(40)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50)로 구성되다.
스티어링 휠, 리모콘 스위치

Description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A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switch}
도 1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오너먼트의 일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위치의 일실시예의 평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오너먼트와 스위치의 결합 상태의 일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오너먼트와 스위치의 결합 상태의 다른 일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오너먼트의 고정대 단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의한 스티어링 휠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티어링 휠 2 : 오너먼트
3 : 편의 기구 조절 스위치 4 : 홀
5 : 고정대 6 : 걸림구조
7 : 고정 스크류 8 : 오너먼트 고정홀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어링 휠에 편의 기구의 조작 스위치를 설치함에 있어 스위치가 이동하면서 스위치가 다른 접점에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스위치의 설치 갯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여러 기능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장치로서, 운전자의 조작성과 외관에 민감하며 조작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구성요소이다.
최근 차량 운전시의 편의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특히 고급사양의 차량에는 각종 편의장치들이 많이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스티어링휠상에 오디오 버튼, 내외기 모드 버튼 등을 장착하여 오디오 등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제공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휠 리모콘 스위치 버튼의 장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의 스포크로 인해 조성되는 3곳의 공간 중 아래쪽 1곳의 공간 가장자리에는 3개 정도의 프론트 버튼(2)이 일렬로 나란한 배열상태로 장착되고, 이렇게 장착되는 프론트 버튼(2)의 바로 옆쪽에는 버튼 두께만큼의 아래쪽으로 1개 정도의 사이드 버튼(3)이 일체 조합형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때의 사이드 버튼(3)은 그 누름부위의 면적 폭이 1개의 프론트 버튼(2)이 갖는 누름부위의 면적 폭과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어서 프론트 버튼이나 사이드 버튼의 누름조작시의 동일한 감각을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이드 버튼(3)은 프론트 버튼(2)의 수에 맞게 동일한 수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의장치들은 장착위치나 장착되는 부위의 면적상 제약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의 편의장치들을 충분히 구비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스티어링휠상에 장착되는 리모콘 스위치 버튼의 경우를 예로 들면, 여러 가지 기능들이 첨가됨에 따라 스티어링휠에 장착되는 리모콘 스위치 버튼의 수도 증가하고 있는데, 하지만 기본적인 장착영역은 정해져 있고 버튼의 배열을 모두 스티어링 휠의 전면에 배치하다보니 버튼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조작이 불편하고 오조작에 따른 작동불량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스티어링 휠에 편의 기구의 조작 스위치를 설치함에 있어 스위치가 이동하면서 스위치가 다른 접점에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스위치의 설치 갯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여러 기능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접점(20),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선택 스위치(30), 상기 선택 스위치(30)와 연결되어 선택 스위치(30)의 이동과 연동하는 제 2 접점(40), 상기 선택 스위치(30)와 제 2 접점(40)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5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접점(20)은 다수개의 도전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확인홀(60), 상기 선택 스위치(30)의 동작시 회전 동작하고 상기 확인홀(60)을 통해 나타나는 네이밍 필름(70)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일측에는 차량의 운전을 위한 편의 기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량의 스티어링 휠은 차량의 운전을 위해 운전자가 항상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가 설치된다.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의 설치 갯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여러 편의 기구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을 사용하도록 한다.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하부에 제 1 접점(20)을 설치하도록 한 다. 제 1 접저()은 도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도전판이 일정간 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고,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를 구성하는 여러 기능 스위치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접점(20) 하부로는 제 2 접점(40)이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 2 접점(40)을 구성하는 도전판의 갯수는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를 구성하는 기능 스위치의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측면으로는 선택 스위치(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택 스위치(30)의 조작에 의해 제 1 접점(20)과 제 2 접점(40)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 로드(50)가 선택 스위치(30)와 제 2 접점(4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게 된다.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편의 기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선택 스위치(30)를 조작하도록 한다.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측면으로 설치되어 있는 선택 스위치(30)는 차량의 여러 기능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오디오 관련 기능 선택, 비디오 관련 기능과 같은 항목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선택 스위치(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위치에 선택 스위치(30)가 고정되도록 한다.
선택 스위치(30)에는 연결 로드(5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연결 로드(50)의 타단에는 제 2 접점(40)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선택 스위치(30)의 이동에 의해 제 2 접점(40)도 이동하게 된다. 선택 스위치(30)의 초기 상태에서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제 2 접점(40)은 제 1 접점(20)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는 도전판()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리모콘 스위치(10)를 누르면 제 1 접점(20)과 제 2 접점(40)은 서로 접촉하게 되어, 운전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선택 스위치(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연결 로드(50)에 의해 선택 스위치(30)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접점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제 1 접점(20)의 제 1 접점(20)의 좌측에 위치되어 있는 도전판()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리모콘 스위치(10)를 누르면 제 1 접점(20)과 제 2 접점(40)은 서로 접촉하게 되어, 운전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선택 스위치(3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연결 로드(50)에 의해 선택 스위치(30)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접점은 도 4a와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제 1 접점(20)의 제 1 접점(20)의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도전판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리모콘 스위치(10)를 누르면 제 1 접점(20)과 제 2 접점(40)은 서로 접촉하게 되어, 운전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함에 있어, 선택 스위치(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때 선택 스위치(30)의 선택 항목을 알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10)를 구성하는 기능 스위치()의 상부에는 확인홀(60)을 통해 선택 스위치(30)의 선택 항목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모콘 스위치(10)의 내부에는 각각의 동작 항목에 따른 네이밍 필름(70)이 내장되어 있어 도 2c, 도 3c 및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택 스위치(30)를 이동시키면 선택 스위치(30)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되고, 확인홀(60)을 통해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2c, 도 3c 및 도 4c에는 확인홀(60)을 통해 tune, mute, A/C 와 같은 문자가 나타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차량의 편의 기구 설치는 여러 종류로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에 편의 기구의 조작 스위치를 설치함에 있어 선택 스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선택 스위치에 의해 접점이 이동된 접점이 리모콘 스위치의 접점에 선별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스위치의 설치 갯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여러 기능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접점(20),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선택 스위치(30), 상기 선택 스위치(30)와 연결되어 선택 스위치(30)의 이동과 연동하는 제 2 접점(40), 상기 선택 스위치(30)와 제 2 접점(40)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점(20)은 다수개의 도전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확인홀(60), 상기 선택 스위치(30)의 동작시 회전 동작하고 상기 확인홀(60)을 통해 나타나는 네이밍 필름(70)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KR1020050123250A 2005-12-14 2005-12-14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KR20070063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250A KR20070063232A (ko) 2005-12-14 2005-12-14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250A KR20070063232A (ko) 2005-12-14 2005-12-14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232A true KR20070063232A (ko) 2007-06-19

Family

ID=3836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250A KR20070063232A (ko) 2005-12-14 2005-12-14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32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951B1 (ko)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스위치 버튼
KR100392822B1 (ko) 복합 조작스위치
JP2014116084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15082375A (ja) スイッチ装置
EP1693278A2 (en) Switch on steering wheel
JP4046107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20070063232A (ko) 차량 스티어링 휠의 리모콘 스위치
US5516991A (en) Multiple position manual switch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JP3144940B2 (ja)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装置
JP200622862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US7557315B2 (en) Limit switch with two operation units controlled by a single control member
US20070051607A1 (en) Push-button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JP2003040049A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KR200492832Y1 (ko) 중장비 조작 레버용 스위치
KR20100115634A (ko) 차량의 통합형 리모콘 스위치 유닛
JP2604409Y2 (ja) スイッチ装置
EP1457404B1 (en) Steering wheel switch
KR200314096Y1 (ko)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JPH11213795A (ja) ホールド機能付き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KR0180487B1 (ko) 스테이션 스위치 장치
KR0119412Y1 (ko) 카스테레오의 텍트스위치 작동구조
JP4717787B2 (ja) 押釦スイッチの構造
JPS597704Y2 (ja) スライドスイツチ
KR20050119297A (ko) 전자제품의 슬라이드 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