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574A - 다공체를 갖는 버너 장치 - Google Patents

다공체를 갖는 버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574A
KR20070061574A KR1020077010039A KR20077010039A KR20070061574A KR 20070061574 A KR20070061574 A KR 20070061574A KR 1020077010039 A KR1020077010039 A KR 1020077010039A KR 20077010039 A KR20077010039 A KR 20077010039A KR 20070061574 A KR20070061574 A KR 20070061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burner device
fuel
burner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697B1 (ko
Inventor
스테판 캐딩
제레미 라우렌스
Original Assignee
베바스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8526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6157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베바스토 아게 filed Critical 베바스토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6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9/00Subject-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01M8/04022Heating by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9/00Subject-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3C99/006Flameless combustion stabilised within a bed of porous heat-resista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23G7/06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23G7/06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4/00Burners adapted for simultaneous or alternative combustion having more than one fuel supply
    • F23D2204/10Burners adapted for simultaneous or alternative combustion having more than one fuel supply gaseous and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50Combustion in a matrix bed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7/00Controlling
    • F23N2237/24Controlling height of burner
    • F23N2237/30Controlling height of burner matrix bur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 Fuel Cell (AREA)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Gas Burners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공체(28)로 채워진 연소 챔버(26); 연료 라인(16)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 연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연소 챔버(26) 이전에 배치된 증발 구역(12); 연소 공기 라인(18)을 통해 증발 구역(12)으로 공급되는, 증발된 액체 연료와 연소 공기의 연소 혼합물을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장치(30); 및 연소 챔버(26) 이후에 배열된 배출 가스 유출부(38)을 포함하는 버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혼합 구역(20)이 증발 구역(14)과 연소 챔버(26) 사이에 배열되고, 연료 가스 라인(22, 24)을 통해 혼합 구역(20)에 공급된 연료 가스가 연소 공기 및/또는 연소 혼합물과 혼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연료 전지 배열 내에서 애프터버너로서 버너 장치의 용도 및 상응하는 연료 전지 배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공체를 갖는 버너 장치{BURNER DEVICE WITH A POROUS BODY}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공체로 채워진 버너 챔버; 연료 주입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 연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버너 챔버의 상류에 위치하는 증발 구역; 연소 공기 주입 라인을 통해 증발 구역으로 공급되는, 증발된 액체 연료와 연소 공기의 연소 혼합물을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 및 연소 챔버의 하류에 위치하는 배출 유출부를 포함하는 버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공성 버너로도 불리는 이러한 버너 장치들 중 하나는 독일특허 DE 101 60 837 A1에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인 다공성 버너는 이의 다공체, 즉, 적어도 부분적으로 버너 챔버를 채우고 있는 다공성 물체이다. 이러한 다공체에 포함된 다공성 물질에는, 특히 비산화 물질, 예를 들어, SiC, SiN 또는 고온 산화물, 예를 들어, Al2O3 또는 ZrO2가 있다. 다공체는 종종 버너 장치의 발산 품질을 개선시키는데 사용된다. 다공체 내에서 넓은 표면적에 걸쳐 연소가 일어나긴 때문에, 다공체의 사용은 버너가 저온에서도 작동하여 배출 가스 중 Nox 농도를 감소시키도록 안정한 전체적인 연소를 달성시켜준다. 또한,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에서 공개된 다공체의 일부는 주입 라인 또는 증발 구역으로의 플래쉬백을 방지하기 위한 화염 트랩으로 사용된다. 이는 주입 라인이나 증발 구역과 인접하는 다공체의 일부분에서 매우 작은 공극 크기가 제공되므로 화염이 형성될 수 없게 되어 달성된다. 이렇게 작은 공극 구역을 연결시킴으로써, 안정한 화염 형성을 위해 더 큰 공극을 다공체 내에 제공하며, 전술한 안정화된 화염 형성의 결과 화염 트랩이 달성된다. 그러나, 다공체의 작은 공극 구역은 상당한 압력 손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화염 트랩에도 불구하고, 높은 배출 발산을 초래하는 특히 버너의 비고정적인 작동 지점에서는 물론 버너나 버너의 일부분에서도 플래쉬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파괴될 수 있다.
가스 연료나 연료 가스의 연소를 위한 다공성 버너 또한 공지되어 있다. 실제, 대부분의 다공성 버너는 가스 버너로 고안된다. 이러한 가스 다공성 버너의 예는 독일특허 DE 199 60 093 A1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가스 다공성 버너는 포트형(pot-type) 다공체를 포함하며, 포트의 내부는 혼합 구역으로 제공되고, 혼합 구역에서는 가연성 가스가 연료 가스 주입 라인을 통해 도입되어 연소 공기와 혼합되며, 마찬가지로 포트의 내부로도 도입된다. 포트 내부의 바깥 부분도 반응 구역, 즉 연소 구역으로 제공되며, 이의 두께는 주입 가스의 유량 및 압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반응 구역 내에서의 화염의 안정화는 다공체 내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장치는 플래쉬백에 매우 민감하므로, 버너의 연료 가스 주입 라인은 상응하는 보호 장치를 포함할 것이 요구된다.
한편, 액체 연료용 다공성 버너와 연료 가스용 다공성 버너는 상기 언급한 특허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완전히 상이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연료와 연료 가스가 선택의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연소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다공체를 정교하게 조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이하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양태 및 추가적인 구체예는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장치는 증발 구역과 연소 챔버 사이에, 연료 가스 주입 라인을 통해 주입된 연료 가스가 연소 공기 및/또는 연소 혼합물과 혼합되는 혼합 구역이 배치되어 있는 일반적인 선행기술에 기초한 것이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 중요한 것은 제1 구역, 즉, 증발 구역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액체 연료와 연소 공기의 점화성 연소 혼합물이 생성된다는 것이며, 이는 필요에 따라 연료 가스를 갖는 연결된 혼합 구역 내에도 풍부하게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풍부한 연소 혼합물은 점화되어 다공체 내에 기정되고 안정화된 화염을 형성시킨다. 본 명세서의 범위 이내에서 사용된 용어 "연소 공기"는 광범위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대기중의 공기 혼합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증발된 액체 연료나 연료 가스를 갖는 혼합물, 즉, 점화성 혼합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산소를 함유하는 임의의 종류의 가스를 의미하는 것이다.
증발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공성 증발재 요소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다공성 증발재 요소로 금속 폼을 사용하는 것이나, 세라믹 폼이나 다공성 고체도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증발재 요소의 넓은 표면적은 액체 연료의 증발을 강화시킨다. 또한, 증발재 요소를 예비가열시키거나 이의 촉매적 코팅을 통해 증발은 더 강화될 수 있다. 분무기 챔버로 증발 구역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더 간단하여 기술적으로 용이한 증발재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액체 연료를 노즐을 통해, 즉, 폼을 채우지 않고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연료 가스 주입 라인은 혼합 구역 내에 튜브 벽 내에 방사 천공을 갖으며 바람직하게 끝이 막힌 튜브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튜브는 증발 구역으로부터 혼합 구역으로 흐르는 연소 혼합물의 유량으로 덮이며, 농축을 위한 연료 가스와 연소 혼합물의 특히 충분한 혼합이 달성되게 된다.
대안적으로, 연료 가스 주입 라인을 혼합 구역 내에 다공성 세라믹체로 형성하면, 연료 가스와 연소 혼합물을 더 잘 혼합시킬 수 있는데, 이는 천공된 튜브 벽을 갖는 튜브에 비해 이러한 세라믹체가 더 넒은 표면적을 갖기 때문이다.
연소 혼합물(농축될 수 있음)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기가 연소 챔버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점화기가 다공체로 돌출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염이 먼저 다공체 내에서 형성되어 특별한 화염 트랩없이도 플래쉬백이 방지되도록, 다공체로 들어간 (농축) 연소 혼합물 내에서 점화가 먼저 발생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버너를 조합 작동에 사용하는 경우, 화염이 연료 가스 연소를 위한 파일럿 화염으로 액체 연료 연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직쇄형 가스 버너에서 비가연성인 연료 가스의 연소도 가능케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나 액체 연료 버너로, 직쇄형 방식인 고품질 연료 가스 또는 액체 연료를 갖는 본 발명의 따른 버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료 가스, 액체 연료 및 연소 공기의 주입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 트위킹(tweaking)되어 서로 배합된다. 이러한 조절기는 공급 및 품질 조건이 상이하더라도 변함없는 최적 연소를 달성시켜준다.
전술한 개별적인 연소 성분들은 이들의 화학적 성질로 인해 스니프 테스트(sniff test)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변수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트위킹은 폐쇄-루프형으로(closed-loop) 조절된다. 즉, 배출 유출부 영역 및/또는 연소 챔버 내에서 센서의 의해 인지되는 변수의 함수로 트위킹을 조절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소위 람다 센서가 배출 유출부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있거나, 배출 유출부 영역 또는 연소 챔버 영역 내에 온도 센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연소 자체의 모니터링을 가능케 하며, 감지된 변수가 미리 설정된 셋포인트 값에서 벗어나는 경우, 개별적인 연소 성분의 배합이 트위킹되어 최적의 연소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배향된 폐쇄 루프형으로 조절된 시스템은 이용가능한 유량 및/또는 개별적인 연소 성분의 품질에 심한 변동이 예상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너가 연료 전지 스택(fuel cell stack)에서 애프터버너로 사용되는 경우(애노드 배출 흐름이 연료 가스로 버너 장치의 연료 전지 스택으로 공급됨) 유리하다.
연료 전지는 실질적으로 수소화된 애노드 가스와 산화된 캐소드 가스가 연료 전지 모듈 내에서 전기 에너지의 촉매적 생산으로 인해 물로 전환되는, 전기 에너지를 수득하는 공지된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 전지 배열은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상호연결된 연료 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을 연료 전지 스택이란 용어로 칭한다. 이러한 연료 전지 스택의 문제점 중 하나는 수소화된 애노드 가스가 불완전하게 전환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불완전한) 애노드 배출 흐름이 종종 애프터버너 내에서 연소되는 이유이며, 이 결과 생성된 열이 열 교환기에 의해 배출되어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연료 전지 내 촉매적 전환 정도는 실제 작동 지점에 의존하기 때문에, 애프터버너에 공급되는 연료 가스의 "품질"은 상당히 변동적이므로 버너에 장애를 초래하거나 적어도 최적 연소 품질보다는 낮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장치를 연료 전지 스택용 애프터버너로 이용함으로써 제거된다.
연소에서 초래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연소 챔버를 열 교환기 요소와 열 접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한가지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스 택의 한 구체예에 대한 도식적인 단면도이다.
도면부호 목록
10 버너 장치
12 증발 구역
14 증발재 요소
16 연료 주입 라인
18 연소 공기 주입 라인
20 혼합 구역
22 연료 가스 주입 라인
24 연료 가스 분배기
26 연소 챔버
28 다공체
30 점화기
32 열 교환기
34 열 유체 주입 라인
36 열 유체 방출 라인
38 배출 유출부
40 람다 센서
42 연료 전지 모듈
44 조절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장치(10)가 애프터버너로 할당된, 연료 전지 모듈(42)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의 도식적인 단면도이다. 액체 연료와 연소 공기는 각각 연료 주입 라인(16)과 연소 공기 주입 라인(18)을 통해 버너 장치(10)로 공급되며, 금속 증발재 요소(14), 특히 금속 폼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적으로 코팅될 수 있는 증발재 요소(14)의 표면적에 걸쳐, 공급된 액체 연료는 증발되어 연소 공기와 혼합된다.
증발 구역으로부터, 결과 연소 혼합물은 혼합물 구역(20)으로 흘러가며, 여기서 연료 가스가 연료 가스 주입 라인(22)을 통해 주입되합물 구역(20)으로 흘러가며, 이 경우 연료 전지 모듈(42)의 애노드 배출에 해당한다. 혼합물 구역(20) 내에서, 연료 가스 주입 라인(22)은 천공된 튜브 또는 다공체 형태, 특히 다공성 세라믹체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가스 주입 라인(22)의 끝 부분은 다음에 오는 연료 가스 분배기(24)에 연결된다. 연료 가스 분배기(24)는 증발 구역 유래의 연소 혼합물의 흐름 내에 둘러싸여, 연료 가스와 연소 혼합물의 균질한 배합물, 즉, 연소 혼합물의 농축화를 초래한다. (농축된) 연소 혼합물은 이후 연소 챔버(26)로 흘러가며, 보여준 구체예의 경우 연소 챔버(26)는 다공체(28)로 완전히 채워져 있다. 점화기(30)는 다공체(28)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 글로 핀(glow pi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점화기(30)는 다공체(28)로 도입된 (농축된) 연소 혼합물을 점화시켜, 안정화된 화염의 형성 및 연소 혼합물의 거의 총 연소를 초래한다. 연소 챔버의 후방부에는 예를 들어, 열 유체 주입 라 인(34)과 열 유체 방출 라인(36)에 연결되는 나선형 튜브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32)가 배열된다. 이 경우 사용되는 열 유체는 물, 글리세롤, 열 오일 등과 같은 공지된 임의의 유체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공기와 같은 가스 성분은 열 전달 매질로 제공될 수 있다.
연소 챔버(26)의 후방부에는 배출 유출부(38)가 연결되며, 연소시 배출 가스가 외부로 유출된다.
나타낸 구체예에서, 배출 유출부 영역 내에, 특정 배출 변수를 감지하여 연소 품질을 측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람다 센서(40)가 제공된다. 람다 센서(40)에 의해 인지된 변수는, 연소 성분들인 액체 연료, 연소 공기 및 연료 가스의 트위킹된 배합이 연소 챔버(26) 내에서 연소를 최적화시키도록 조절기(44)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나타낸 특정 설명과 예시적인 구체예는 본 발명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변화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나타낸 람다 센서(40)가 아닌 센서나 부가적인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센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버너의 개별적인 부분의 특정 형태학적 배열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배출 가스의 냉각 또는 연료 가스, 액체 연료 및/또는 연소 공기의 예비가열을 위해, 배출 가스 또는 이의 성분을 되돌려보내, 대응되는 주입 라인(16, 18, 22)을 둘러싸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열 교환기로 되돌려보내 이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본원 명세서와 도면 및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들은 단독으로 그리고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1)

  1.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공체(28)로 채워진 버너 챔버(26); 연료 주입 라인(16)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 연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버너 챔버(26)의 상류에 위치하는 증발 구역(12); 연소 공기 주입 라인(18)을 통해 증발 구역(12)으로 공급되는, 증발된 액체 연료와 연소 공기의 연소 혼합물을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30); 및 연소 챔버(26)의 하류에 위치하는 배출 유출부를 포함하는 버너 장치(10)로서, 증발 구역(12)과 연소 챔버(26) 사이에, 연료 가스 주입 라인(22, 24)을 통해 도입된 연료 가스가 연소 공기 및/또는 연소 혼합물과 혼합되는 혼합 구역(20)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증발 구역(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공성 증발재 요소(14)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장치(10).
  3. 제2항에 있어서, 다공성 증발재 요소(14)가 금속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장치(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료 가스 주입 라인(22, 24)이 튜브 벽 내에 방사 천공을 갖는 튜브로 혼합 구역(20)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장치(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료 가스 주입 라인(22, 24)이 다공성 세라믹체(24)로 혼합 구역(20)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장치(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소 혼합물을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30)가 바람직하게는 연소 챔버(26) 내에 위치하며, 다공체(28)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장치(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료 가스, 액체 연료 및 연소 공기 주입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기(44)가 제공되며, 각각 트위킹(tweaking)되어 서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장치(10).
  8. 제7항에 있어서, 조절기(44)가 배출 유출부(38) 영역 내에서 및/또는 연소 챔버(26) 내에서 센서에 의해 인지되는 변수의 함수로, 트위킹된 배합을 조절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장치(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소 챔버(26)가 열 교환기 요소(32)와 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장치(10).
  10. 연료 전지 스택 내에서 애프터버너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버너 장치(10)의 용도로서, 애노드 배출 흐름이 연료 가스로 버너 장치(10)의 연료 전지 스택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적어도 1종의 연료 전지 모듈(42)에 의한, 수소화된 애노드 가스와 산화된 캐소드 가스의 촉매적 전환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제조하기 위한 연료 전지 스택으로서, 애노드 배출 흐름을 추가적인 연소를 위해 애프터버너에 공급가능하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버너 장치(10)가 애프터버너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
KR1020077010039A 2004-10-13 2005-10-11 다공체를 갖는 버너 장치 KR100850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9903A DE102004049903B4 (de) 2004-10-13 2004-10-13 Brennervorrichtung mit einem Porenkörper
DE102004049903.9 2004-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574A true KR20070061574A (ko) 2007-06-13
KR100850697B1 KR100850697B1 (ko) 2008-08-06

Family

ID=3585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039A KR100850697B1 (ko) 2004-10-13 2005-10-11 다공체를 갖는 버너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58337B2 (ko)
EP (1) EP1800055A1 (ko)
JP (1) JP4552092B2 (ko)
KR (1) KR100850697B1 (ko)
CN (1) CN101040147B (ko)
AU (1) AU2005293958B2 (ko)
CA (1) CA2584193C (ko)
DE (1) DE102004049903B4 (ko)
WO (1) WO20060399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5905B2 (en) 2015-03-26 2019-11-05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Energy saving combustion device for burning refractory hazardous ga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2470B4 (de) * 2006-07-13 2008-07-10 Enerday Gmbh Brennstoffzellensystem mit Reformer und Nachbrenner sowie dessen Verwend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6032471A1 (de) * 2006-07-13 2008-01-17 Webasto Ag Brennstoffzellensystem mit Reformer und Nachbrenner
DE102006032469B4 (de) * 2006-07-13 2008-06-19 Enerday Gmbh Reformer für ein Brennstoffzellen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formers sowie deren Verwendung
KR100805582B1 (ko) * 2006-08-16 2008-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용 가열기
DE102006046255A1 (de) 2006-09-28 2008-04-03 J. Eberspächer GmbH & Co. KG Brenneranordnung
DE102006048984A1 (de) * 2006-10-17 2008-04-24 Enerday Gmbh Verwendung einer Brennervorrichtung in einem Brennstoffzellensystem
DE102007015753B4 (de) 2007-03-30 2018-08-09 Khs Gmbh Schrumpftunnel, Schrumpfgaserhitzer und Verfahren zum Aufschrumpfen von Schrumpffolien auf Verpackungen oder Verpackungseinheiten
US8337757B2 (en) 2008-02-07 2012-12-25 Precision Combustion, Inc. Reactor control method
US20090252661A1 (en) * 2008-04-07 2009-10-08 Subir Roychoudhury Fuel reformer
DE102008055853B4 (de) * 2008-11-04 2010-12-30 Kba-Metalprint Gmbh Verfahren zum Erwärmen und Reinigen eines Fluids und entsprechende Vorrichtung
US8439990B2 (en) 2009-07-21 2013-05-14 Precision Combustion, Inc. Reactor flow control apparatus
US8684276B2 (en) * 2009-08-20 2014-04-01 Enerco Group, Inc. Portable catalytic heater
CN101832554B (zh) * 2010-05-18 2011-10-05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液体燃料多孔介质燃烧装置及其燃烧方法
US20120028201A1 (en) * 2010-07-30 2012-02-02 General Electric Company Subsurface heater
DE102011119162A1 (de) 2011-11-23 2013-05-23 Man Truck & Bus Ag Wärmetauscher sowie Anordnung eines Wärmetauschersin einem Abgaskanal eine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Fahrzeuges
DE102011119163A1 (de) 2011-11-23 2013-05-23 Man Truck & Bus Ag Brennervorrichtung für den Brennraum eines Brenners insbesondere zur Anhebung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US9423124B2 (en) * 2013-03-07 2016-08-23 Duraflame, Inc. Feed and burner control system
DE102014103812A1 (de) * 2014-03-20 2015-09-24 Webasto SE Verdampferbrenner für ein mobiles, mit flüssigem Brennstoff betriebenes Heizgerät
CN104617321B (zh) * 2015-01-09 2017-01-11 清华大学 直接火焰固体氧化物燃料电池装置
CN105135428A (zh) * 2015-07-20 2015-12-09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无喷嘴式多孔介质燃烧装置及燃油燃烧方法
CN105674259B (zh) * 2016-02-01 2017-11-07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燃烧地沟油的泡沫陶瓷燃烧器
CN106524143B (zh) * 2016-11-10 2018-11-09 江苏大学 一种应用于微热光电系统的燃烧器
CN108800128B (zh) * 2017-05-02 2024-04-09 四川天法科技有限公司 有燃烧旋钮的燃烧器及基于燃烧旋钮的火焰连续控制方式
CN108443884B (zh) * 2018-05-15 2023-11-03 武汉科技大学 一种扩散式多孔介质燃烧器
AT522939B1 (de) * 2019-09-09 2021-09-15 Avl List Gmbh Brenner für ein Brennstoffzellensystem
CN110594729B (zh) * 2019-09-30 2020-09-29 西安科技大学 一种液体燃料多孔介质燃烧器及使用方法
CN112555818A (zh) * 2020-11-25 2021-03-26 江苏大学 一种应用于微热光电系统的燃用液态燃料的微燃烧器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675A (en) * 1966-12-14 1969-02-04 Alco Standard Corp Burner tube assembly for heat treating furnace
DE2811273C2 (de) * 1978-03-15 1980-01-0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ergasungsbrenner
DE2841105C2 (de) * 1978-09-21 1986-10-1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gasungsbrenner
US4388063A (en) * 1980-10-16 1983-06-14 Craig Laurence B Combustion heating system
US4784599A (en) * 1982-05-14 1988-11-15 Garbo Paul W Liquid fuel combustion with porous fiber burner
JPS6280418A (ja) * 1985-10-04 1987-04-13 Ngk Insulators Ltd 立体型表面燃焼バ−ナ
MX161732A (es) * 1985-10-07 1990-12-20 Orbital Eng Pty Metodo mejorado para el suministro de combustible en motores de combustion interna
US4900245A (en) * 1988-10-25 1990-02-13 Solaronics Infrared heater for fluid immersion apparatus
US4943493A (en) * 1989-04-21 1990-07-24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Fuel cell power plant
US5165884A (en) * 1991-07-05 1992-11-24 Thermatr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reaction in a reaction matrix
JP3065763B2 (ja) * 1992-01-30 2000-07-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液体燃料の燃焼装置
JP2632635B2 (ja) * 1993-02-25 1997-07-23 株式会社ヒラカワガイダム 水管群を有するボイラの燃焼装置と該燃焼装置を使用するボイラの燃焼方法
DE4322109C2 (de) * 1993-07-02 2001-02-22 Franz Durst Brenner für ein Gas/Luft-Gemisch
EP0716263B1 (en) * 1994-12-06 2002-10-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bustion apparatus
US6162046A (en) * 1995-05-10 2000-12-19 Allports Llc International Liquid vaporization and pressurization apparatus and methods
DE19523418C2 (de) 1995-06-28 2003-07-10 Eberspaecher J Gmbh & Co Vorrichtung zur Zufuhr und Zündung von Benzin
US5624252A (en) * 1995-12-26 1997-04-29 Carrier Corporation Low no burner
US5932293A (en) * 1996-03-29 1999-08-03 Metalspray U.S.A., Inc. Thermal spray systems
CN1206465A (zh) * 1996-10-18 1999-01-27 巴杰米特公司 利用预定量无催化燃烧测量发热量
DE19646957B4 (de) * 1996-11-13 2005-03-17 Gvp Gesellschaft Zur Vermarktung Der Porenbrennertechnik 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rennung von Flüssigbrennstoff
US6336598B1 (en) * 1998-09-16 2002-01-08 Westport Research Inc. Gaseous and liquid fuel injector with a two way hydraulic fluid control valve
GB9903718D0 (en) * 1999-02-19 1999-04-14 British Gas Plc Radiant burner
US6528191B1 (en) * 1999-10-12 2003-03-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pparatus for monitoring a hydrogen containing gas stream
DE19960093A1 (de) * 1999-12-14 2001-07-05 Bosch Gmbh Robert Gasbrenner und Verfahren zum flammenlosen Verbrennen eines Gas-Luft-Gemisches
US20030157002A1 (en) * 2000-02-17 2003-08-21 Andel Eleonoor Van Apparatus for the conversion of hydrocarbons
JP4310881B2 (ja) * 2000-04-12 2009-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焼加熱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燃料改質装置並びに燃料電池システム
US6446426B1 (en) * 2000-05-03 2002-09-10 Philip Morris Incorporated Miniature pulsed heat source
JP3765989B2 (ja) * 2001-03-14 2006-04-12 リンナイ株式会社 改質器の加熱方法と加熱装置
CN100476294C (zh) * 2001-06-02 2009-04-08 多孔燃烧器技术销售有限责任公司 液体燃料低排放、非催化燃烧的方法和装置
CN2484481Y (zh) * 2001-06-06 2002-04-03 浙江大学 渐变型多孔介质燃烧器
DE10149014A1 (de) * 2001-09-28 2003-04-17 Iav Gmbh Hochtemperatur-Brennstoffzellen-System und Verfahren zu seinem Betreiben
US7157066B2 (en) * 2001-12-05 2007-01-02 Tda Research, Inc. Combustion process for synthesis of carbon nanomaterials from liquid hydrocarbon
DE10160837B4 (de) * 2001-12-12 2006-03-02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der Mischung von heißen Brennergasen mit Sekundärluft zur Temperaturbegrenzung
US7122269B1 (en) * 2002-05-30 2006-10-17 Wurzburger Stephen R Hydronium-oxyanion energy cell
JP2004011933A (ja) * 2002-06-03 2004-01-15 Nissan Motor Co Ltd 燃焼器及び燃料改質装置並びに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060910A (ja) * 2002-07-25 2004-02-26 Nippon Soken Inc 火炎燃焼状態の制御
US20050053816A1 (en) * 2002-11-15 2005-03-10 Anuj Bhargava Burner for combusting the anode exhaust gas stream in a PEM fuel cell power plant
JP3920766B2 (ja) * 2002-12-25 2007-05-3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水素燃焼器の水素供給パイプ
JP4045196B2 (ja) * 2003-03-20 2008-02-13 新日本石油株式会社 触媒燃焼式バーナ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DE10350039B4 (de) 2003-10-27 2013-05-29 Robert Bosch Gmbh Brenner für einen Reformer in einem Brennstoffzellen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5905B2 (en) 2015-03-26 2019-11-05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Energy saving combustion device for burning refractory hazardous ga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9909A1 (de) 2006-04-20
DE102004049903A1 (de) 2006-04-20
CA2584193A1 (en) 2006-04-20
AU2005293958A1 (en) 2006-04-20
JP4552092B2 (ja) 2010-09-29
KR100850697B1 (ko) 2008-08-06
CN101040147B (zh) 2010-05-26
JP2008516185A (ja) 2008-05-15
CA2584193C (en) 2011-02-08
AU2005293958B2 (en) 2009-07-09
US20080020336A1 (en) 2008-01-24
CN101040147A (zh) 2007-09-19
DE102004049903B4 (de) 2008-04-17
US7758337B2 (en) 2010-07-20
EP1800055A1 (de)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697B1 (ko) 다공체를 갖는 버너 장치
US625786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mbustion of liquid fuel
US4365952A (en) Liquid gas burner
US8221115B2 (en) Fuel combustion
CA2306994C (en) Catalytic combustion heater
US7537646B2 (en) Fuel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emission
US20080124666A1 (en) Porous burner as well as a method for operating a porous burner
JPH0459241B2 (ko)
US6718773B2 (en) Method for igniting a thermal turbomachine
JPH11281018A (ja) 管状火炎バーナ
US20050079458A1 (en) Heater with an atomizer nozzle
JP4546831B2 (ja) 後燃焼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後燃焼装置
JP7307441B2 (ja) 燃焼器
JPH01306709A (ja) 触媒燃焼装置
JPS6049805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9242132A (ja) 改質装置の燃焼装置およびその改質装置
JPH08128607A (ja) 触媒を用いた予混合式ガスバーナ
JPH08226611A (ja) 燃料の燃焼方法
JP2000065318A (ja) ポット式液体燃料燃焼装置
JPH04297707A (ja) 燃焼装置
JPH02169906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