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916A -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916A
KR20070060916A KR1020050121103A KR20050121103A KR20070060916A KR 20070060916 A KR20070060916 A KR 20070060916A KR 1020050121103 A KR1020050121103 A KR 1020050121103A KR 20050121103 A KR20050121103 A KR 20050121103A KR 20070060916 A KR20070060916 A KR 2007006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ink member
swivel
housing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0916A/ko
Publication of KR2007006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4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the rods being link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1)를 닫을 경우 록킹레버부재(50)를 록킹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다 수의 록킹롤러부재(30)가 록킹프레임(60)의 걸림홈(62)에 삽입되면서 스위블 글라스(1)가 다 수 곳에서 록킹되므로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스위블 글라스(1)가 닫힌 상태를 다 수 곳에서 록킹시켜 록킹된 각각의 지점에서 밀폐력이 증대되어, 스위블 글라스(1)와 스위블 글라스 프레임 사이를 틈새 없이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 곳의 록킹을 도구를 써서 파손시킨다고 해도 다른 곳의 록킹지점에서 록킹상태가 유지되어 도난범이 이 록킹지점을 다 파손시키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도난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위블 글라스(1)와 스위블 글라스 프레임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켜 수밀문제를 해결하고 주행 풍에 의한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난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A Quarter Swivel Window Locking Apparatus in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인 록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스위블 그라스 2 : 록킹장치
10 : 록킹하우징 11 : 록킹연결부
12 : 록킹레버가이드구멍 20 : 작동링크부재
21 : 롤러장착부 30 : 록킹롤러부재
40 : 가이드링크부재 41 : 제 1 가이드링크
42 : 제 2 가이드링크 50 : 록킹레버부재
51 : 힌지핀 60 : 록킹프레임
61 : 걸림돌기 62 : 걸림홈
70 : 탄성지지수단 71 : 제 1 스프링지지바
72 : 제 2 스프링지지바 73 : 스프링부재
본 발명은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위블 글라스가 닫힐 경우 그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는 주로 9인승 또는 10인승으로 제조되며, 차량의 측면 윈도우 글라스를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안에서만 개폐되도록 하는 스위블 글라스로 구성하고 있다.
이는 승합차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윈도우 글라스 전체를 다 열 경우 그 공기 저항에 의해 연비와 엔진의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과 그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로 인한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스위블 글라스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스위블 글라스는 전단부가 차체에 힌지고정되어 차량의 바깥쪽으로회전가능하도록 장착이 되며, 이렇게 장착된 스위블 글라스는 글라스 개폐 구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된다.
상기 글라스 개폐 구조는 일단이 상기 스위블 글라스에 힌지고정된 캠부와, 이 캠부에 일단이 힌지고정된 손잡이부와, 일단이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타측이 이 손잡이부에 형성된 장공에 장착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지지부재가 장공을 따라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상기 캠부가 회전을 하면서 스위블 글라스를 바깥쪽으로 밀어 스위블 글라스를 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위블 글라스는 그 록킹이 손잡이부와 록킹 축의 1점 체력방식으로 구성되어 스위블 글라스가 닫혔을 경우 상, 하단 코너부에 밀착력이 부족하여 각 코너부에서 수밀문제와 주행 풍으로 인한 바람소리가 실내에 전달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스위블 글라스에 장착되어 있는 크램프를 특정도구를 사용하여 절단 후 스위블 글라스 핸들을 파손시킴으로써 도난 사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블 글라스를 다수의 록킹롤로 걸려 록킹시킴으로써 스위블 글라스의 코너부를 완전히 밀착시켜 밀폐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서 록킹된 상태를 해제하기 용이하지 못해 도난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를 닫을 경우 그 닫힌 상태를 록킹, 해제하는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차체의 스위블 글라스 프레임 일 측에 세로로 장착되는 록킹하우징과, 상기 록킹하우징의 내부에 승, 하강 직선운동하도록 장착되는 작동링크부재와, 상기 작동링크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 수개 장착 고정되는 록킹롤러부재와, 일단은 상기 작동링크부재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하우징의 일 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링크부재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되어 이 작동링크부재의 승, 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링크부재와, 상기 일단은 작동링크부재에 힌지결합하고, 몸체 중앙부가 상기 록 킹하우징에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록킹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록킹레버부재와, 상기 스위블글라스에 장착되며, 상기 록킹롤러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돌기가 록킹롤러부재의 수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록킹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스위블 글라스가 닫힌 상태에서 록킹레버부재를 록킹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다 수의 록킹롤러부재가 록킹프레임의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스위블 글라스가 다 수 곳에서 록킹되므로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록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록킹하우징 내에 작동링크부재, 가이드링크부재, 록킹레버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록킹레버부재로 작동링크부재를 승, 하강시켜 록킹롤러부재를 록킹프레임의 걸림돌기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결합시켜 록킹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록킹하우징(10)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일면이 개방된 사각함체로 형성되며, 이 록킹하우징(10)은 스위블 글라스(1)가 장착되는 차체의 스위블 글라스 프레임 일 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하우징(10)의 상, 하부에는 링크연결부(11)가 각각 형성되며, 이 링크연결부(11)에 각각 후술될 가이드링크부재(4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록킹하우징(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록킹롤러부재(30)를 장착할 수 있는 롤러장착부(21)가 일정간격으로 다 수개 형성된 작동링크부재(20)가 승, 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 작동링크부재(20)는 스위블 글라스(1)의 세로 길이에 비해 약간 작은 길이로 형성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롤러장착부(21)가 3개 형성된다.
이 작동링크부재(20)의 롤러장착부(21)에는 각각 록킹롤러부재(30)가 장착 고정된다.
이 록킹롤러부재(30)는 원통형 롤러 형상으로 후술될 록킹프레임(60)에 돌출되는 걸림돌기(61)의 걸림홈(62)에 완전히 밀착되어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결합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 작동링크부재(20)의 상, 하부에는 이 작동링크부재(20)의 양 단을 각각 상기 록킹하우징(10)의 링크연결부(11)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작동링크부재(20)를 록킹하우징(10)에 장착하여 지지함은 물론 작동링크부재(20)가 록킹레버부재(50)에 의해 직선으로 승,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링크부재(4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링크부재(40)는 일단이 상기 작동링크부재(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이드링크(41)와, 일단은 이 제 1 가이드링크(4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가이드링크(42)로 구성된다.
이 제 1, 2 가이드링크(41, 42)는 각 힌지 결합부에서 회동됨으로써 상기 작동링크를 직선 방향으로 승,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링크부재(20)는 중앙부에 이 작동링크부재(20)를 승하강시키는 록킹레버부재(5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록킹레버부재(50)는 몸체 중앙부가 록킹하우징(10)에 힌지핀(51)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단은 록킹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록킹레버부재(50)가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록킹하우징(10)에는 록킹레버가이드구멍(12)이 뚫려지며 이 록킹레버가이드구멍(12)은 록킹레버부재(50)가 작동되는 회전 범위보다 약간 긴 장홀로 형성하여 록킹레버부재(50)가 작동 중 록킹레버가이드구멍(12)에 걸려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노출된 록킹레버부재(50)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작동시키기 용이한 레버몸체(52)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블 글라스(1)에는 상기 록킹롤러부재(30)가 결합되는 걸림돌기(61)가 돌출된 록킹프레임(60)이 장착된다.
이 록킹프레임(60)에 돌출되는 걸림돌기(61)에는 상기 록킹롤러부재(30)가 결합되는 걸림홈(62)이 파여지며, 이 걸림홈(62)에 록킹롤러부재(30)가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게 된다.
또 이 걸림돌기(61)는 상기 록킹롤러부재(30)의 갯 수와 같은 갯수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록킹롤러부재(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되어 스위블 글라스(1)가 닫힐 경우 상기 록킹롤러부재(30)가 걸림돌기(61)의 걸림홈(62) 하부에 일직선 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즉, 스위블 글라스(1)를 닫고 록킹롤러부재(30)가 걸림돌기(61)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록킹레버부재(50)를 아래로 내리면 이 록킹레버부재(50)가 힌지핀(5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작동링크부재(20)를 승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작동링크부재(20)는 각 가이드링크부재(40)에 의해 직선으로 승강되면서 록킹롤러부재(30)를 걸림돌기(61)의 걸림홈(62) 내로 삽입시켜 끼워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 록킹롤러부재(30)는 일정간격으로 다 수개 구비되어 각 걸림돌기(61)의 걸림홈(62) 내부로 삽입되어 스위블 글라스(1)를 각 지점에서 록킹시킴으로 스위블 글라스(1)가 록킹되면 록킹된 각각의 지점에서 밀폐력이 증대되고, 스위블 글라스(1)와 스위블 글라스 프레임 사이를 틈새 없이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링크부재(20)는 탄성지지수단(7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이 탄성지지수단(70)은 작동링크부재(20)의 일 측으로 돌출되는 제 1 스프링지지바(71)와;
상기 제 1 스프링지지바(71)와 간격을 두고 록킹하우징(10)에서 돌출되는 제 2 스프링지지바(72)와;
상기 제 1 스프링지지바(71)와 제 2 스프링지지바(72)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링크부재(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7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부재(73)는 일단이 제 1 스프링지지바(71)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제 2 스프링지지바(72)에 의해 지지되어 이 제 1, 2 스프링지지바(71, 72) 사이에서 압축, 복원되면서 상기 작동링크부재(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탄성지지수단(70)은 록킹레버부재(50)의 힌지핀(51)에 리턴코일스프링(미도시)을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리턴코일스프링의 일단은 록킹하우징(10)에 지지시키고, 타단은 상기 록킹레버부재(50)에 지지시켜 이 록킹레버부재(50)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것이다.
이 록킹레버부재(50)는 작동링크부재(20)에 연결되어 이 작동링크부재(20)의 승, 하강을 작동시킴으로 록킹레버부재(50)가 탄성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작동링크부재(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스위블 글라스가 닫힌 상태를 다 수 곳에서 록킹시켜 록킹된 각각의 지점에서 밀폐력이 증대되어, 스위블 글라스와 스위블 글라스 프레임 사이를 틈새 없이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 곳의 록킹을 도구를 써서 파손시킨다고 해도 다른 곳의 록킹지점에서 록킹상태가 유지되어 도난범이 이 록킹지점을 다 파손시키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도난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위블 글라스와 스위블 글라스 프레임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켜 수밀문제를 해결하고 주행 풍에 의한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난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1)를 닫을 경우 그 닫힌 상태를 록킹, 해제하는 록킹장치(2)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2)는 차체의 스위블 글라스 프레임 일 측에 세로로 장착되는 록킹하우징(10)과;
    상기 록킹하우징(10)의 내부에 승, 하강 직선운동하도록 장착되는 작동링크부재(20)와;
    상기 작동링크부재(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 수개 장착 고정되는 록킹롤러부재(30)와;
    일단은 상기 작동링크부재(2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하우징(10)의 일 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링크부재(20)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되어 이 작동링크부재(20)의 승, 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링크부재(40)와;
    상기 일단은 작동링크부재(20)에 힌지결합하고, 몸체 중앙부가 상기 록킹하우징(10)에 힌지핀(51)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록킹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록킹레버부재(50)와;
    상기 스위블글라스에 장착되며, 상기 록킹롤러부재(30)가 삽입되는 걸림홈(62)이 형성된 걸림돌기(61)가 록킹롤러부재(30)의 수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록킹프레임(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 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크부재(40)는 일단이 상기 작동링크부재(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가이드링크(41)와, 일단은 이 제 1 가이드링크(4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가이드링크(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링크부재(20)는 탄성지지수단(7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70)은 작동링크부재(20)의 일 측으로 돌출되는 제 1 스프링지지바(71)와;
    상기 제 1 스프링지지바(71)와 간격을 두고 록킹하우징(10)에서 돌출되는 제 2 스프링지지바(72)와;
    상기 제 1 스프링지지바(71)와 제 2 스프링지지바(72)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링크부재(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
KR1020050121103A 2005-12-09 2005-12-09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 KR20070060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103A KR20070060916A (ko) 2005-12-09 2005-12-09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103A KR20070060916A (ko) 2005-12-09 2005-12-09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916A true KR20070060916A (ko) 2007-06-13

Family

ID=3835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103A KR20070060916A (ko) 2005-12-09 2005-12-09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09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9875C2 (ru) Узел откидной крышки резервуара
US5058258A (en) Retrofit electric truck door lock
KR20170081886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KR100808885B1 (ko) 열림 각도가 고정되는 회동식 창호 시스템
KR20200085583A (ko) 차량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래치 구조
KR101327034B1 (ko)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KR20070060916A (ko) 차량의 스위블 글라스 록킹 장치
EP2547846A1 (en) 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EA004355B1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с крюкообразной задвижкой
JP4672547B2 (ja) 中間ストッパ機構を有するスライドドア
CN107165509B (zh) 一种挂锁
KR100530698B1 (ko)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KR100539421B1 (ko)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안전 장치
JP2004036381A (ja) ドア又は窓の障子装置
JPH09189164A (ja) 錠止機構の保持装置
KR200398468Y1 (ko) 주유구 리드 안전장치
KR200277656Y1 (ko) 창문 손잡이 시건장치
JP2003214016A (ja) 車両用スライド扉装置
KR100539420B1 (ko)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안전 장치
RU105931U1 (ru) Замок для ок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0636941U (zh) 一种推拉窗锁
KR200267794Y1 (ko) 금고용 잠금장치
KR200415837Y1 (ko) 창문용 크리센트
KR100793865B1 (ko) 차량의 슬라이드 도어 안전장치
JPH0473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