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497A -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497A
KR20070060497A KR1020050119997A KR20050119997A KR20070060497A KR 20070060497 A KR20070060497 A KR 20070060497A KR 1020050119997 A KR1020050119997 A KR 1020050119997A KR 20050119997 A KR20050119997 A KR 20050119997A KR 20070060497 A KR20070060497 A KR 20070060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acme
housing
nu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966B1 (ko
Inventor
권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119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96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including control of parking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0Automatic or semi-automatic parking a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센서를 구비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을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를 안정적이며 신뢰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고장시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 차량용 전기식 주차브레이크는 2개의 관통공과 삽입공이 천공되며 하우징 캡에 의해 측방이 폐쇄되는 하우징; 그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고 하우징 캡상으로 연장되는 구동로드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액튜에이터; 액튜에이터에 워엄기어방식으로 연동되는 종동장치; 종동장치에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애크미 볼트와, 그 애크미 볼트의 양측에서 왕복가능하게 치합되는 애크미 너트를 구비하는 애크미 장치; 일단이 애크미 장치의 각각의 애크미 너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차량의 휠의 브레이크 장치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케이블; 및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Electric parking brake}
도 1은 일반적인 주차브레이크를 보여주는 개략도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주차브레이크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비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주차브레이크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의 전기식 주차브레이크에 적용되는 홀센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5는 도 2의 선Ⅴ-Ⅴ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액튜에이터
30: 종동장치 40: 홀센서
50: 애크미 장치 60: 브레이크 케이블
70: 컨트롤러 82: 베어링
본 발명은 전기식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튜에이터의 고장 또는 비상시 주차브레이크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크의 작동을 신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작동시스템 또는 제어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 차량을 효과적으로 구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들 중 하나로서, 차량을 주차상태 또는 정지상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주차브레이크 장치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주차브레이크 장치로서 케이블식 주차브레이크 장치가 있다. 이러한 주차브레이크는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그립(1)과, 그 그립(1)내에 설치되며 버튼(2)에 의해 연결되는 이동로드(3)와, 이동로드(3)의 종단에 연결되며 힌지고정되는 포올(4)과, 그 포올(4)에 의해 고정되며 차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쪽에 연결된 케이블(5)과, 그 케이블을 감아 그립(1)의 상방향 조작시 당겨진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래치어셈블리(6)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운전자가 그립(1)을 잡아 상방으로 올리면 래치어셈블리(6)가 케이블(5)을 당겨 차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게 되며, 그립(1)의 이동을 멈추게 되면 포올(4)의 일단이 래치어셈블리에 치합되어 케이블(5)을 당겨진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차량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역으로,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그립(1)을 잡고 버튼(2)을 누르고 그립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버튼(2)의 이동에 따라 이동로드(3)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끝단에 결합 고정된 포올(4)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케이블(5)이 이완되어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브레이크 케이블(5)의 선단은 이퀄라이저(7)에 연결되어 양측 후륜에 동일한 제동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안정적인 제동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한편, 최근에는 위와 같은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작동시켜야하는 불편함을 극복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모터를 채용하는 전기식 브레이크가 제공되어 있다. 이 같은 전기식 브레이크로는 예컨대, 특허출원 제10-1995-39669호, 특허출원 제10-2002-70530호, 실용출원 제20-2002-3335호, 실용출원 제20-2002-15389호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식 주차브레이크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효과를 제공하는 반면, 작동에 있어 신뢰성을 제공하지 못하며, 특히 액튜에이터의 고장시 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브레이크를 안정적이며 신뢰적으로 작동시킬 있는 차량용 전기식 주차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튜에이터의 고장 또는 비작동시 주차브레이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기식 주차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은 전기식 주차브레이크에 있어서, 차체 또는 차량의 프레임 에 장착되며 2개의 관통공과 삽입공이 천공되며, 하우징 캡에 의해 측방이 폐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캡 상으로 연장되는 구동로드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액튜에이터; 상기 액튜에이터에 워엄기어 방식으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동장치; 상기 종동장치에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종동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애크미 볼트와, 상기 애크미 볼트의 양측에서 왕복가능하게 치합되는 애크미 너트를 구비하는 애크미 장치; 상기 일단이 애크미 장치의 각각의 애크미 너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차량의 휠의 브레이크 장치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케이블; 및 상기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브레이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3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주차브레이크는 차체 또는 차량의 프레임에 장착되거나 설치되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볼 때 하우징(10)의 전방벽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케이블이 관통되는 2개의 관통공(12)과 해제용 공구가 삽입되는 삽입공(14)이 천공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일측에는 그 측방을 폐쇄하기 위한 하우징 캡(16)이 구비된다.
하우징(1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캡(14)의 상부에는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액튜에이터(20)가 설치된다. 액튜에이터(20)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스텝 모터 또는 직류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액튜에이터(20)는 그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외부로 공급 하거나 제공하기 위한 구동로드(22)를 구비한다. 특히, 구동로드(22)는 웜기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액튜에이터(20)에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원활하고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도록, 운전석 주변에 배치되는 컨트롤러(C)에 연결된다.
액튜에이터(20)에는 그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이 전달하기 위해 그 액튜에이터(20)의 구동로드(22)에 치결합되는 종동장치(30)가 연결된다. 종동장치(30)는 구동로드(22)에 웜과 웜기어 형태로 치합되는 제1스퍼어기어(32)와, 그 제1스퍼어기어(32)와 치결합되는 제2스퍼어기어(3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스퍼어기어(32)의 단부에는 예컨대 액튜에이터의 고장과 같이 주차브레이크를 정상적으로 해제하지 못하는 비상시에 스퍼어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삽입공(14)을 통해 삽입되는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6각형의 삽입홈(3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스퍼어기어(34)는 원활한 작동, 즉 원활한 회전 구동을 위해 C형 링 과 오일리스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지지조립체(36)에 의해 하우징(10)에 지지된다. 또한, 제2스퍼어기어(34)의 적정위치의 둘레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38)가 설치된다. 그 마그네트(38)는 음극과 양극이 연속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0)의 적정위치에는 종동장치(30)의 작동상태 또는 회전된 상 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센서(40)가 설치된다. 홀센서(40)는 종동장치(30)의 제2스퍼어기어(34)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그 제2스퍼어기어(34)에 구비된 마그네트(38)의 해당 부위를 감지하여 제2스퍼어기어(34)의 위치, 궁극적으로 종동장치(30)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 홀센서(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적정위치에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42)과 그 인쇄회로기판에 일체로 구비되는 홀IC(4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홀센서(40)는 액튜에이터(20)에 연결되는 컨트롤러(C)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검출되는 종동장치(30)의 제2스퍼어기어(34)의 다양한 작동을 수신하여 분석한다.
종동장치(30)에는 그 종동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애크미 장치(50)(acme device)가 연동적으로 고정된다. 그 애크미 장치(50)는 양측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사, 즉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로 형성될 수 있는 제1나선부(52a)와 그 제1나선부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나선부(52b)가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는 애크미 볼트(52)를 구비한다. 이에 상응하게 애크미볼트(52)의 각각의 나선부에는 애크미너트(54)가 치합되는 바, 그 애크미너트(54)는 애크미볼트(52)의 제1나선부(52a)에 치합되는 제1너트(54a)와, 그 제1너트(54a)와 반대방향으로 왕복동하도록 제2나선부(52b)에 치합되는 제2너트(54b)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크미너트(54)의 제1너트(54a) 및 제2너트(54b)에는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가이드편(55)이 돌출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게 하우징(10)의 적정위치에는 그 가이드편(55)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슬릿(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애크미 볼트(52)의 선단에는 그 애크미 볼트(52)가 하우징(10)의 일측벽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56)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베어링(56)은 오일리스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크미 장치(50)에는 브레이크 케이블(60)이 연결된다. 이 브레이크 케이블(60)은 물론, 애크미 장치(50)의 애크미볼트(52)의 제1나선부(52a)에 치합되는 제1너트(54a)에 고정되는 제1케이블(62)과, 그 제1너트(54a)와 반대방향으로 왕복동하도록 제2나선부(52b)에 치합되는 제2너트(54b)에 고정되는 제2케이블(64)을 구비한다. 물론, 각각의 브레이크케이블(62;64)은 하우징(10)의 각각의 관통공(12)을 통해 각각의 휠에 장착된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연결된다.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은 각각의 휠에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에 동일한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70)에 의해 지지된다. 컨트롤러(70)는 하우징(10)에 형성되거나 구비되는 가이드슬롯(72)을 포함한다. 가이드슬롯(72)은 애크미 장치(50)의 볼트와 동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슬롯(72)에는 베어링(74)에 의해 좌우로 왕복가능하게 고정축(76)이 설치된다. 또한, 그 고정축(76)에는 각각의 베어링(74)을 회전축으로 하여 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실제로 각각의 케이블(62;64)이 그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풀리(78;80)가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하우징(10),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구(12)와 컨트롤러(70) 사이의 브레이크 케이블의 연장통로선상에는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을 안정적으로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8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기식 주차브레이크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주차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은 정상상태, 즉 차량이 주행하거나 구동 중에는 애크미 장치(50)(acme device)의 제1너트(54a) 및 제2너트(54b)가 애크미 볼트(52)의 양측에 형성된 제1나선부(52a)의 외측 또는 최외측 및 제2나선부(52b)의 외측 또는 최외측에 배치되어 브레이크 케이블(62;64)이 모두 완전하게 이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주차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구동을 마친 후 주차하거나 장기간 안정적인 상태로 정차하기 위해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컨트롤러(C)는 액튜에이터(20)를 작동시킨다. 이때, 액튜에이터(20)의 웜기어와 휠 형태로 구성된 구동로드(20)는 정방향으로 작동된다.
액튜에이터(20)의 구동로드(22)가 정방향으로 작동되면 그것에 연동적으로 치합되는 종동장치(30)가 작동된다. 즉, 종동장치(30)는 구동로드(22)에 웜과 웜기어 형태로 치합되는 제1스퍼어기어(32)가 회전되면, 그 제1스퍼어기어(32)와 치결합되는 제2스퍼어기어(34)가 화살표(A1: 도 3)방향으로 회전된다.
종동장치(30)의 제2스퍼어기어(32)가 회전됨과 동시에 애크미 장치(50)의 애크미 볼트(52)가 동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애크미볼트(52)는 그 선단에 구비된 오일리스 베어링(56)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된다. 이와 같이 애크미볼트(52)가 회전되면 그 애크미볼트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나선부(52b;52b)에 치합된 각각의 애크미너트(54a;54b)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애크미 너트 (54a;54b)는 그것에 각각 돌출 형성된 가이드편(55)이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15)에 삽입되어 이동되므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애크미너트(54a;54b)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면 그 각각의 애크미너트(54a;54b)에 고정된 각각의 브레이크케이블(62;64)이 당겨져 제동이 시작된다.
이때,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은 컨트롤러(70)에 의해 안내 및 지지되어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의 장력이 조절된다. 즉,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은 각각의 풀리(78;80)에 의해 지지되며, 그 각각의 풀리(78;80)는 고정축(76)에 의해 가이드슬롯(72)을 따라 좌우로 왕복하면서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의 장력이 동일하게 조절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에 연결되는 휠의 브레이크 장치에는 동일 장력이 인가되어 양측의 휠이 동일한 제동력으로 제동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은 베어링(82)에 의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안내 및 인장되어 정확한 제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동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제2스퍼어기어(34)가 충분하거나 설정된 범위까지 회전되면, 그 위치에서 제2스퍼어기어(34)에 구비된 마그네트(38)의 위치를 홀센서(40)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C)에 송신하면, 이 같은 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C)는 액튜에이터(20)의 작동을 중지시켜 제동을 완료한다.
물론, 홀센서(40)는 위와 같이 제2스퍼어기어(34)를 임계범위 또는 한계범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C)에 송신하고, 컨트롤러(C)는 이 같은 신호를 수신하여 액튜에이터(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애크미볼트(52)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 한 애크미너트(54)의 충돌 및 해제 불가능한 록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액튜에이터의 과도한 작동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역으로, 주차 후 다시 주행을 위해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운전자는 시동을 건 후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컨트롤러(C)에 연결된 스위치를 조작하면, 액튜에이터(20)의 웜기어형 구동로드(2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브레이크의 해제가 시작된다.
액튜에이터(20)의 구동로드(22)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면 그것에 연동적으로 치합되는 종동장치(30)가 역으로 작동된다. 즉, 종동장치(30)는 구동로드(22)에 웜과 웜기어 형태로 치합되는 제1스퍼어기어(32)가 회전되면, 그 제1스퍼어기어(32)와 치결합되는 제2스퍼어기어(34)가 화살표(A2: 도 2)방향으로 회전된다.
종동장치(30)의 제2스퍼어기어(32)가 회전됨과 동시에 애크미 장치(50)의 애크미 볼트(5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애크미 볼트(52)는 그 선단에 구비된 오일리스 베어링(56)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된다. 이와 같이 애크미 볼트(52)가 회전되면 그 애크미볼트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나선부(52b;52b)에 치합된 각각의 애크미 너트(54a;54b)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도 물론, 애크미 너트(54a;54b)는 그것에 각각 돌출 형성된 가이드편(55)이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15)에 삽입되어 이동되므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애크미 너트(54a;54b)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각각의 애크미너트(54a;54b)에 고정된 각각의 브레이크케이블(62;64)이 이완되기 시작된다.
이때,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이 이완되면 컨트롤러(70)에 의해 안내 및 지지되어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로부터 장력이 해제된다. 즉,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은 각각의 풀리(78;80)로부터 이완되며, 그 각각의 풀리(78;80)는 고정축(76)에 의해 가이드슬롯(72)을 따라 좌우로 왕복하면서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로부터 장력이 해제되어 다시 준비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에 연결되는 휠의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장력이 해제되어 제동력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물론,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62;64)은 베어링(82)에 의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장력이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브레이크의 해제가 완전히 이루어져 제2스퍼어기어(34)가 충분하거나 설정된 범위까지 반대로 회전되면, 그 위치에서 제2스퍼어기어(34)에 구비된 마그네트(38)의 위치를 홀센서(40)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C)에 송신함으로써, 이 같은 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C)는 액튜에이터(20)의 작동을 중지시켜 브레이크의 해제를 완료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홀센서(40)는 위와 같이 제2스퍼어기어(34)를 임계범위 또는 한계범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C)에 송신하고, 컨트롤러(C)는 이 같은 신호를 수신하여 액튜에이터(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애크미볼트(52)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한 애크미너트(54)의 충돌 및 해제 불가능한 록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액튜에이터의 과도한 작동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브레이크가 제동된 상태에서 액튜에이터(20)가 고장 나거나 또는 다른 이융에 의해 종동장치(30)가 구동되지 않아 주차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는 렌치 등과 같은 해제공구를 하우징(10)의 관통구(14)를 통해 삽입하여 종동장치(30)의 제1스퍼어기어(32)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32a)에 삽입하여 수동으로 회전시켜 종동장치(30)를 작동시킴으로써 애크미볼트(52)를 회전시켜 전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브레이크 케이블(62;64)을 이완시켜 주차브레이크를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간단하고 용이하게 주차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으며, 또한 브레이크의 고장시에는 수동으로 안전하고 간단하게 브레이크를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주차브레이크에 의하면, 홀센서를 구비하여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을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어 주차브레이크를 안정적이며 신뢰적으로 작동시킬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튜에이터의 고장 또는 비작동으로 인한 고장시 주차브레이크를 수동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해제시킬 수 있어 편의서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전기식 주차브레이크에 있어서,
    차체 또는 차량의 프레임에 장착되며 2개의 관통공과 삽입공이 천공되며, 하우징 캡에 의해 측방이 폐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캡상으로 연장되는 구동로드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액튜에이터;
    상기 액튜에이터에 워엄 기어방식으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종동장치;
    상기 종동장치에 연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종동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애크미 볼트와, 상기 애크미볼트의 양측에서 왕복가능하게 치합되는 애크미 너트를 구비하는 애크미 장치;
    상기 일단이 애크미장치의 각각의 애크미 너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차량의 휠의 브레이크 장치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케이블; 및
    상기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브레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액튜에이터의 구동로드는 웜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브레이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장치는 상기 액튜에이터의 구동로드에 웜과 기어 형태로 치합되는 제1스퍼어기어와, 상기 제1스퍼어기어와 치결합되는 제2스퍼어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브레이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장치의 제1스퍼어기어의 단부에는 액튜에이터의 고장과 같이 주차브레이크를 정상적으로 해제하지 못하는 비상시에 스퍼어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브레이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장치의 제2스퍼어기어의 둘레에는 마그네트가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트는 음극과 양극이 연속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브레이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종동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회전된 상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크미 장치는 양측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선이 형성되는 제1나선부와 상기 제1나선부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나선부가 상호 대향하게 형성되는 애크미 볼트와, 이에 대응하게 상기 애크미볼트의 제1나선 부에 치합되는 제1너트와 상기 제1너트와 반대방향으로 왕복동하도록 제2나선부에 치합되는 제2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애크미너트의 제1너트 및 제2너트에는 가이드편이 돌출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게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및 제2너트의 가이드편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거나 구비되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가이드 슬롯에 베어링에 의해 좌우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각각의 베어링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풀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구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의 브레이크 케이블의 연장통로 선상의 하우징에는 상기 각각의 브레이크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애크미너트의 각각의 너트에는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슬릿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편 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주치브레이크.
KR1020050119997A 2005-12-08 2005-12-08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KR10105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997A KR101055966B1 (ko) 2005-12-08 2005-12-08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997A KR101055966B1 (ko) 2005-12-08 2005-12-08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497A true KR20070060497A (ko) 2007-06-13
KR101055966B1 KR101055966B1 (ko) 2011-08-11

Family

ID=3835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997A KR101055966B1 (ko) 2005-12-08 2005-12-08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072A (ko) * 2012-06-15 2013-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레이크 장치
KR101391103B1 (ko) * 2007-10-17 2014-04-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 직결 타입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0049B4 (de) * 2000-12-30 2006-04-27 Robert Bosch Gmbh System und Vefahren zur Überwachung des Fahrverhaltens eines Kraftfahrzeug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103B1 (ko) * 2007-10-17 2014-04-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 직결 타입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KR20130141072A (ko) * 2012-06-15 2013-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966B1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0074B2 (ja) 自動開閉体の挟み込み防止装置
JP3675202B2 (ja) 開閉体制御装置
US7288907B2 (en) Half-open position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opening and closing member
KR20070059523A (ko) 전기 주차브레이크
EP1808956A3 (en) 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system for electric motor
US20150166032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74077A (ja) 開閉体制御装置
US7509772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NO20041638L (no) Anordning for elektrisk styring av et maskinvapen
KR20110062633A (ko) 차량용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KR101055966B1 (ko)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JP2006264529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CA2238223C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losing motion of vehicular sliding door
CN110206440B (zh) 一种汽车电动尾门的撑杆跌落保护系统
JP2006044300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5139899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CN111319591A (zh) 一种用于无人驾驶车辆的驻车制动装置、控制方法和车辆
JP3734611B2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CN113581124B (zh) 安全带高度调节装置、安全带高度调节方法、座椅及车辆
JP2012020640A (ja) シートベルト装着補助装置の制御装置、シートベルト装着補助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着補助装置の制御方法
JPH1086707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110139621A (ko) 슬라이딩 도어 개폐력 조절장치
KR20070119860A (ko) 전자석 타입 수동해제장치를 갖춘 차량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JPH11166356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CN217206002U (zh) 车窗升降装置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