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648A -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648A
KR20070059648A KR1020050118714A KR20050118714A KR20070059648A KR 20070059648 A KR20070059648 A KR 20070059648A KR 1020050118714 A KR1020050118714 A KR 1020050118714A KR 20050118714 A KR20050118714 A KR 20050118714A KR 20070059648 A KR20070059648 A KR 2007005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ell stack
base plate
enclos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951B1 (ko
Inventor
금영범
김세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8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95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01M8/04731Temperature of other components of a fuel cell or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91Concentration; Density
    • H01M8/04798Concentration; Density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연료전지스택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누출 가능성이 있는 수소를 감지하여 강제로 배기할 수 있고, 연료전지스택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발생된 전력을 안전하고 안정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뜻하지 않은 잘못된 경로를 통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전지스택의 안정성을 극대화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ENCLOSER OF FUEL CELL STAC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를 전방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후방측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인클로우져의 내부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도 3의 구조에 연료전지스택이 안착되고 상부프레임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연료전지스택의 구조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연료전지스택 3; 베이스플레이트
5; 하부프레임 7; 기둥프레임
9; 상부프레임 11; 유체들의 통로
13; 환기구 15; 메인커버
17; 측방커버 19; 단위모듈
21; 공용분배기 23; 엔드플레이트
25; 절연판 27; 볼트
29; 전면커버 31; 후면커버
33; 배출팬 35; 수소센서
37; 스택제어기 39; 전기단자
41; 단자박스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연료전지스택의 외부를 감싸서 구조적 안정성 및 전기적 안정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스택은 하이브리드 차량 등에 탑재되어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가 계속적으로 순환되어야 하고, 발생되는 전력을 안전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상기 연료전지스택은 차량에 탑재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견고한 상태를 확보하여 차량의 탑재성이 좋도록 해야 하며, 발생된 전력이 원하지 않는 상태로 누출되어 차량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상기와 같이 수소가 순환되므로 수소의 누출로 폭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누출 가능성이 있는 수소를 감지하여 강제로 배기할 수 있고, 발생된 전력을 안전하고 안정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뜻하지 않은 잘못된 경로를 통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극대화한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는
연료전지스택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모서리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전지스택의 길이방향 면인 중앙면들을 가리고 연료전지스택으로 공급되는 유체들의 통로 및 환기구가 형성된 메인커버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측방면들을 각각 가리도록 설치되는 측방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연료전지스택(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3)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하부프레임(5)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각 모서리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기둥프레임(7)과; 상기 기둥프레임(7)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9)과; 상기 기둥프레임(7) 및 상부프레임(9)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전지스택(1)의 길이방향 면인 중앙면들을 가리고 연료전지스택(1)으로 공급되는 유체들의 통로(11) 및 환기구(13)가 형성된 메인커버(15)와; 상기 연료전지스택(1)의 측방면들을 각각 가리도록 설치되는 측방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체들의 통로(11)란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의 통로를 통칭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료전지스택(1)은 다수의 연료전지셀이 단위모듈(19)을 이루고, 상기 단위모듈(19)들이 중앙에 위치한 공용분배기(21)에 연결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도 4, 7참조).
따라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는 4각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상기 하부프레임(5)은 연료전지스택(1)의 측방면쪽에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하측에 설치되고, 연료전지스택(1)의 중앙면들 쪽에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를 사이에 두고 하부프레임(5)을 이루는 마주하는 두 개의 로드는 상측에 두 개의 로드는 하측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료전지스택(1)의 중앙면들은 도 1의 가운데 부분의 면들을 말하고, 측방면은 그 양쪽의 면들을 말하며, 상기 중앙면들 중 도 1의 전면에 보이는 면을 전면, 그 반대편을 후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기둥프레임(7)은 단면형상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두선이 직교하는 형상을 따라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5)의 외측을 감싸는 상태로 겹쳐지는 구조를 취하여 인클로우져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안정되게 확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기둥프레임(7)은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전지스택(1)의 측면인 엔드플레이트(23)와의 사이에 절연판(25)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엔드플레이트(23)에는 자체적으로 절연 처리가 되어 있으나, 전기적 절연상태를 더욱 완벽하게 확보하기 위해 엔드플레이트(23)와 기둥프레임(7) 사이에 절연판(25)을 개재한 상태에서 볼트(27)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실히 하면서 연료전지스택(1)과 인클로우져가 일체화되어 구조적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프레임(9)은 상기 연료전지스택(1)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기둥프레임(7)에 연결 고정되어 인클로우져의 골격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메인커버(15)는 상기 연료전지스택(1)의 전면과 상측면을 감싸는 전면커버(29)와, 상기 연료전지스택(1)의 후면을 감싸는 후면커버(31)로 분리되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인크로우져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 다.
상기 후면커버(31)에는 연료전지스택(1)의 온도를 조절하고 누출된 수소의 강제 배출을 위한 배출팬(33)이 구비되고, 수소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수소센서(35)가 설치되며, 연료전지스택(1)을 제어하는 스택제어기(37)가 설치되어, 상기 배출팬(33)을 통하여 연료전지스택(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수소의 누출시에 이를 감지하여 누출을 경고하고 자동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측방커버(17)에는 발생된 전기를 외부로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전기단자(39)가 구비된 단자박스(41)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단자박스(41)에 전선을 연결하여 구동모터 등의 전력 수요처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료전지스택(1)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중앙의 공용분배기(21)와 양쪽의 단위모듈(19)들 사이를 서로 대응하는 요철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위모듈(19)들과 공용분배기(21)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함은 물론, 연료전지스택(1) 자체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전지스택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연료전지스택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누출 가능성이 있는 수소를 감지하여 강제로 배기할 수 있고, 연료전지스택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발생된 전력을 안전하고 안정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뜻하지 않은 잘못된 경로를 통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전지스택의 안정성을 극대화한다.

Claims (7)

  1. 연료전지스택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모서리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전지스택의 길이방향 면인 중앙면들을 가리고 연료전지스택으로 공급되는 유체들의 통로 및 환기구가 형성된 메인커버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측방면들을 각각 가리도록 설치되는 측방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4각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연료전지스택의 측방면쪽에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고, 연료전지스택의 중앙면들 쪽에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프레임은
    단면형상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두선이 직교하는 형상을 따라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상태로 겹쳐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프레임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측면인 엔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절연판을 개재한 상태로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버는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전면과 상측면을 감싸는 전면커버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후면을 감싸는 후면커버;
    로 분리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에는
    연료전지스택의 온도를 조절하고 누출된 수소의 강제 배출을 위한 배출팬이 구비되고;
    수소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수소센서가 설치되며;
    연료전지스택을 제어하는 스택제어기가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KR1020050118714A 2005-12-07 2005-12-07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KR100736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714A KR100736951B1 (ko) 2005-12-07 2005-12-07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714A KR100736951B1 (ko) 2005-12-07 2005-12-07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648A true KR20070059648A (ko) 2007-06-12
KR100736951B1 KR100736951B1 (ko) 2007-07-09

Family

ID=3835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714A KR100736951B1 (ko) 2005-12-07 2005-12-07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9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238B1 (ko) * 2006-10-27 2008-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장치
KR101534922B1 (ko) * 2013-09-13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KR101534990B1 (ko) * 2013-12-30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스택
CN105322208A (zh) * 2014-08-01 2016-02-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6912B2 (ja) 2001-10-05 2007-05-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3297377A (ja) 2002-04-05 2003-10-17 Nissan Motor Co Ltd 車両搭載型燃料電池
JP4135455B2 (ja) * 2002-10-04 2008-08-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用燃料電池システム
JP4165875B2 (ja) * 2003-08-26 2008-10-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0569133B1 (ko) * 2003-11-19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연료 전지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238B1 (ko) * 2006-10-27 2008-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장치
KR101534922B1 (ko) * 2013-09-13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KR101534990B1 (ko) * 2013-12-30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스택
US9425477B2 (en) 2013-12-30 2016-08-23 Hyundai Motor Company Fuel cell stack
CN105322208A (zh) * 2014-08-01 2016-02-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951B1 (ko) 200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1360B2 (ja) 電池ユニット
US9526194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with flow conduits for coolant
JP5942645B2 (ja) 電池ユニット
KR101755824B1 (ko) 배터리
KR102490605B1 (ko) 고전압 배터리 서브모듈
JP2009146797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RU2573113C1 (ru) Объединенный силово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блок, установленный на электрическ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JP2009087583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JP6085784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562712B1 (ko)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 장치
JP2014013724A (ja) 電池ユニット
JP6720847B2 (ja) 電池パック
JP5213426B2 (ja) 電池パック
JP2014013722A (ja) 電池ユニット
JP2016225181A (ja) 電源装置
KR100736951B1 (ko) 연료전지스택의 인클로우져
JP2003045384A (ja) 電池モジュール
JP4163097B2 (ja) 車両用蓄電装置及び車両モータ用高圧電装の冷却装置
JP2012120381A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気駆動車両
KR20130097677A (ko) 배터리 모듈
JP2010238551A (ja) 組電池装置
JP5853195B2 (ja) 蓄電装置
JP2009146796A (ja) 電池モジュールのキャリーケース
JPH10255735A (ja) 電池保持装置
US10014508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