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404A -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장치 - Google Patents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404A
KR20070059404A KR1020050118229A KR20050118229A KR20070059404A KR 20070059404 A KR20070059404 A KR 20070059404A KR 1020050118229 A KR1020050118229 A KR 1020050118229A KR 20050118229 A KR20050118229 A KR 20050118229A KR 20070059404 A KR20070059404 A KR 20070059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device
passing
sample
sto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4901B1 (ko
Inventor
유용심
이재용
이은성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8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90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6Means for illuminating specimens
    • G02B21/08Condensers
    • G02B21/088Condensers for both incident illumination and transillu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4Raman spectrometry; Scattering spectrometry ; Fluorescence spectrometry
    • G01J3/4406Fluorescence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47Polarisa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DCARS; Depletion Coherent Anti-Stokes Raman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회절한계를 극복하고 공간 분해능을 높인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 장치는 제거형(depletion)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광학장치와, 반스토크스 광을 발생하기 위한 제 2 광학장치와, 반스토크스 광과 제거형 광을 혼합하여 상기 시료에 조사하기 위한 광학계 및 시료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포함한다.
라만 분광법, 필터, 선형 편광자, 스토크스 광원, 검출기

Description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OPTICAL DEVICE USING DEPLETION COHERENT ANTI-STOKES RAMAN SPECTROSCOPY}
도 1은 일반적인 CARS 신호의 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depletion CARS)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가우시안 모드(TEM 00 )와 도우넛 모드(TEM * 01, TEM 01 ) 의 세기가 공간에 분포하는 형상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거형 CARS를 이용한 광학장치에 적용되는 제거형 CARS 신호의 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광학장치 110: 제거형 광원
120: 스토크스 광원 130: 펌핑 광원
104, 105, 106: 제 1 내지 제 3 공간 필터
107, 108, 109: 제 1 내지 제 3 선형 편광자
140, 141, 144: 제 1 내지 제 3 거울
142, 143: 제 1 및 제 2 이색성 거울
150: 모드 발생기
160, 162: 제 1 및 제 2 대물렌즈
180: 간섭필터 190: 검출기
본 발명은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을 이용한 광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DCARS; Depletion Coherent Anti-Stokes Raman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회절한계를 극복하고 공간 분해능을 높인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라만 분광학은 단색광의 빛을 조사한 시료로부터 입사된 단색광과 상이한 파장의 빛이 산란되는 현상으로서, 현재는 적외선 분광법(Infrared Spectroscopy)과 함께 진동 모드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분자의 구조와 특성을 밝히는 학문의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라만 분광법은 약한 세기의 라만 산란광을 이용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적외선 분광법보다 먼저 연구가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전 속도가 느려서 그 동안 많이 활용되지 못하였으나, 출력의 세기가 향상된 레이저의 출현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하여 현재는 여러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중이다.
특히, 라만 분광학의 다양한 응용 분야 중 가장 일반적인 예로서 광학 현미 경이 있다. 일반적으로, 광학 현미경은 사용된 빛 파장의 1/3보다 가까운 물질은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이 아베(Abbe)에 의해 알려져 있으며, 이는 높은 개구수(N/A; Numerical Aperture)를 가지는 대물렌즈로 빛을 모을 때 회절 현상에 의해 파장의 1/3보다 더 작은 크기의 초점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토랄도 디 프란시아(Toraldo di Francia)는 원리상 회절한계이하의 분해능을 가질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내용을 Nuovo Cimento, Suppl. 9, 426(1952)에 1952년에 발표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분해능을 높이기가 어려웠으며 회절한계를 극복할 수는 없었다.
또한, 빛의 파동적인 성질 때문에 조사된 빛은 회절을 하게 되어 광학 현미경의 분해능에 한계가 있다는 아베(Abbe)의 법칙을 극복할 수 있는 여기발광 제거 (STED; Stimulated Emission Deletion) 현미경이 스테판 헬(Stefan Hell)에 의하여 "Breaking Abbe's diffraction resolution limit in fluorescence microscopy with stimulated emission depletion beams of various shapes"의 명칭으로 Physical review. E Volume 64, 066613에 2001년 11월에 발표되었다. SETD 현미경은 자연적으로 시료에 존재하거나 인공적으로 주입된 형광색소라고 알려진 형광 분자들을 여기할 수 있는 파장의 광원을 시료에 조사하게 된다. 이때, 시료는 여기 광원을 흡수하여 형광을 내게 되며, 형광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필터를 사용하여 시료를 관찰한다. 즉, 초록색의 레이저를 사용하여 형광을 만들고, 근적외선 영역의 레이저를 사용하여 형광지점의 가장자리에서 방출되는 형광을 제거한다. 두 번째 레이저는 여기된 형광 색소를 형광 없이 바로 기저 준위로 내려올 수 있는 더 높은 에너지 준위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SETD 현미경은 형광점의 크기를 육분의 일로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여 회절한계를 넘어서는 분해능을 가지게 하며, 형광점이 종래의 광학 현미경에서 보여주는 이미지의 회절패턴에 비해서 더욱 구형에 가깝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형광색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에 변화를 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라만 활성 매질에 고정/가변의 두 레이저 광을 입사시키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얻어지는 반스토크스 방사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CARS; Coherent Anti-Stokes Raman Spectroscopy)을 이용한 현미경이 고감도이면서도 형광을 발생하는 매질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CARS 신호의 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CARS는 펌핑 광, 스토크스 광 그리고 탐침 광이 시료와 상호작용하여 반스토크스 광을 발생시키는 사파혼합(four wave mixing)과정으로 주파수가 상이한 2개의 레이저빔을 이용한다. 제 1 레이저빔은 스토크스 광(ωs)으로 사용되며 제 2 레이저빔은 펌프 광(ωp)과 탐침 광(ωpro)의 역할을 한다. 즉ωpro의 주파수가 ωp와 동일하다. 그리고 광들의 전기장은 E Pp), E Ss), E propro)(= E Pp))이다. 레이저빔이 조사되면 우선 기저상태 υ0=0에 있던 전자들은 펌프 광(ωp)에 의해 가상 의 상태(virtual state)로 여기 되었다가, 스토크스 광(ωs)에 의해 공명 라만산란으로 고유진동주파수가 Ω인 υ1=1 준위로 대부분 천이한다. 이렇게 υ0=0 준위에서 υ1=1 준위로 전이한 전자들은 다시 탐침 광(ωpro)에 의해 ωp+Ω과 같은 가상 상태로 여기된 후 에너지 보존을 만족시키는 주파수 ωas=2ωps를 가지는 반스토크스 광, 즉 CARS 신호를 방출하며 υ0=0 준위로 천이한다. CARS 신호의 세기는 수학식 1과 같은 비선형 유도분극(induced polarization)의 제곱이다.
Figure 112005071228289-PAT00001
여기서 χ(3)는 3차 비선형 감수율이며, 공명 라만에 의한 일반적인 표현은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5071228289-PAT00002
여기서 Γ R 는 라만분광선의 반치폭(HWHM; half-width at half-maximum)
이며, A R 는 라만산란상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CARS 현미경은 공초점 현미경과 같은 분해능을 가지면서도 색소의 발광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료 자체에 변화를 주지 않으며, 화학종의 진동준위의 라만을 사용하므로 화학종의 선택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발방출 라만신호에 비해 105배 큰 신호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한 두 레이저광의 주파수와는 다른 반스토크스 주파수를 가지기 때문에 필터등을 사용하여 신호를 분리하기가 용이하지만, 일반적인 다른 광학 현미경과 마찬가지로 회절한계 이상의 분해능을 가질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DCARS; Depletion Coherent Anti-Stokes Raman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회절한계를 극복하고 공간 분해능을 높일 수 있는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료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시료의 미세한 부분을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제거형(depletion)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광학장치와, 반스토크스 광을 발생하기 위한 제 2 광학장치와, 반스토크스 광과 제거형 광을 혼합하여 상기 시료에 조사하기 위한 광학계 및 시료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포함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 1 광학 장치는 제거형 광을 발생하기 위한 제거형 광원과, 제거형 광의 가우시안 모드를 통과시키는 제 1 공간 필터과, 제 1 공간 필터를 통과한 가우시안 모드의 제거형 광의 선형 편광만을 통과시키는 제 1 선형 편광기 및 제 1 선형 편광기를 통과한 선형 편광된 제거형 광을 도우넛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모드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 1 광학 장치는 선형 편광된 제거형 광을 상기 모드 발생장치로 반사하기 위한 제 1 거울을 더 포함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도우넛 모드는 TEM * 01 또는 TEM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 2 광학 장치는 펌핑 광을 발생하기 위한 펌핑 광원과, 스토크스 광을 발생하기 위한 스토크스 광원과, 펌핑 광의 가우시안 모드를 통과시키는 제 2 공간 필터와, 펌핑 광의 가우시안 모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 3 공간 필터와, 제 2 공간 필터를 통과한 가우시안 모드의 스토크스 광의 선형 편광만을 통과시키는 제 2 선형 편광기와, 제 3 공간 필터를 통과한 가우시안 모드의 펌핑 광의 선형 편광만을 통과시키는 제 3 선형 편광기와, 제 2 선형 편광기를 통과한 선형 편광된 스토크스 광과 상기 제 3 선형 편광기를 통과한 선형 편광된 펌핑 광을 혼합하기 위한 광학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광학 디바이스가 제 2 선형 편광기를 통과한 선형 편광된 스토크스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거울 및 제 3 선형 편광기를 통과한 선형 편광된 펌핑 광의 제 1 소정 파장을 통과시키고 상기 선형 편광된 스토크스 광의 제 1 소정 파장을 반사시키기 위한 제 1 이색성 필터를 포함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광학계는 모드 발생장치로부터 변조된 도우넛 모드의 제거형 광의 제 2 소정 파장을 반사시키고 상기 제 1 이색성 필터로부터 반사된 광의 제 2 소정 파장을 통과시키는 제 2 이색성 필터 및 제 2 이색성 필터를 통과한 광을 상기 시료로 반사하기 위한 제 3 거울을 포함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 3 거울과 상기 시료 사이에 제 3 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속시키기 위한 제 1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시료와 상기 검출기 사이에 상기 검출기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속시키기 위한 제 2 대물렌즈 및 제 2 대물렌즈로부터 집속된 광에서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간섭 필터를 포함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DCARS; Depletion Coherent Anti-Stokes Raman Spectroscopy)을 이용한 광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거형 CARS를 이용한 광학 장치(100)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거형 광원(110), 스톡크스 광원(120) 및 펌핑 광원(130), 제 1 내지 제 3 공간 필터(spatial filters)(104, 105, 106), 제 1 내지 제 3 선형 편광기(linear polarizers)(107, 108, 109), 광의 진행경로를 바꾸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거울(140, 141, 144), 소정 파장을 가지는 광은 통과시키고 나머지 파장에 대한 광은 반사시키는 제 1 및 제 2 이색성 거울(dichroic mirrors)(142, 143), 가우시안 레이저빔을 도우넛 모드(TEM *01 , TEM 01)로 만드는 모드 발생장치(150), 입사광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160), 시료에서 발생한 DCARS 신호가 제거된 CARS 신호를 집속하는 대물렌즈(170), CARS 광만을 통과시키는 간섭필터(180) 및 CARS 광을 수광하는 검출기(1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거형 광원(110), 스톡크스 광원(120) 및 펌핑 광원(130)은 예를 들어 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제 1 내지 제 3 공간 필터(104, 105, 106)는 각각의 광원에서 발생된 광의 모드 중 가우시안 모드(TEM 00)만을 통과시키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선형 편광기(107, 108, 109)는 선형 편광만을 통과시키며, 제 1 내지 제 3 공간 필터(104, 105, 106)는 각각의 광원과 제 1 내지 제 3 선형 편광기들(107, 108, 109)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 1 공간 필터(104)는 제거형 광원(110)과 제 1 선형 편광기(107)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공간 필터(105)는 스토크스 광원(120)과 제 2 선형 편광기(108) 사이에 배치되며, 제 3 공간 필터(106)는 펌핑 광원(130)과 제 3 선형 편광기(109)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거울(140)은 제 1 선형 편광기(107)와 모드 발생장치(150) 사이에 배치되어서 제거형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되어 공간 필터(104)와 선형 편광기(107)를 순차적으로 거친 레이저빔을 모드 발생장치(140)로 반사시키게 된다.
한편, 제 2 거울(141)은 제 2 선형 편광기(108)와 제 1 이색성 거울(142) 사이에 배치되어 제 2 공간 필터(105)와 제 2 선형 편광기(108)를 통과한 스토크스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빔이 제 1 이색성 거울(142)로 반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이색성 거울(142)은 제 3 선형 편광기(109)와 제 2 이색성 거울(143)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거울(141)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빔의 제 1 소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제 2 이색성 거울(143)로 반사함과 동시에 제 3 공간 필터(106)와 제 3 선형 편광기(109)를 통과한 펌핑 광원(13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빔의 제 1 소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제 2 거울(142)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빔과 제 1 이색성 거울(142)를 통과한 레이저빔이 혼합된 후, 혼합된 레이저빔의 제 2 소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은 제 2 이색성 거울(143)을 통과하게 된다.
반면, 제 1 공간 필터(104)와 제 1 선형 편광기(107)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제거형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빔은 제 1 거울(140)에 의하여 반사되어 모드 발생장치(150)로 입사된다. 이때, 모드 발생장치(150)는 TEM 00의 가우시안 모드를 가지는 레이저빔을 TEM * 01 또는 TEM 01의 도우넛 모드를 가지는 레이저빔으로 변조하는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가우시안 모드(TEM 00)와 도우넛 모드(TEM * 01 , TEM 01)의 세기가 공간에 분포하는 형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가우시안 모드를 가지는 레이저빔을 도우넛 모드를 가지는 레이저빔으로 변조하는 방법으로는: 1) 레이저의 공동(cavity)내에 가는 선과 핀홀을 넣어 선형 편광된 TEM 01 모드로 발진시킨 후 마하젠더 간섭계를 사용하여 TEM * 01 의 도우넛 모드를 만들 수 있으며; 2) 유리 판(glass plate)에 MgF2를 1㎛두께로 코팅하여 제작된 이진 위상판(binary phase plate)과 마하젠더 간섭계에 사용하여 도우넛 모드를 만들 수 있으며; 그리고 3) 컴퓨터 제어 홀로그램을 사용하거나, 회절광학소자(DO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등등을 사용하여 도우넛 모드를 만들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모드 발생장치(150)로부터 변조된 TEM * 01 또는 TEM 01의 도우넛 모드를 가지는 레이저빔은 제 2 이색성 거울(143)에 입사하게 되며, 한편 제 1 이색성 거울(142)을 통과한 레이저빔은 제 2 이색성 거울(143)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이들 레이저빔들은 혼합되어 제 3 거울(144)로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CARS 신호를 이용한 광학장치에 적용되는 DCARS 신호가 제거된 CARS 신호의 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참조부호는 도 1에서 도시한 종래의 일반적인 CARS 에서 사용되는 참조부호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즉, υ0=0에 있던 전자들은 펌프광(ωp)에 의해 가상 상태로 여기 되었다가, 스토크스 광(ωs)에 의해 공명 라만산란으로 고유진동 주파수가 Ω인 υ1=1 준위로 대부분 천이하게 된다. 이렇게 천이된 υ1=1의 전자들은 일반적인 CARS와 같이 탐침 광(ωp)에 의해 여기된 후 CARS 신호(ωas)를 만들거나 제거형 탐침 광(ωdp)에 의해 여기된 후 DCARS 신호(ωdas)를 만들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υ1=1 준위의 전자들은 두개의 다른 준위로 여기되기 때문에 제거형 탐침 광(ωdp)이 가상 상태의 주파수를 가지면 전기장의 세기에 비례하여 나뉘게 된다. 즉, 첫 번째 여기 상태의 주파수와 같거나 근처에 있으면 공명흡수가 일어나게 되므로 대부분의 전자들은 제거형 탐침 광(ωdp)에 의해 여기된다. 그러므로 CARS(ωas) 신호에는 제거형 탐침 광(ωdp)에 의해 여기된 부분의 신호인 DCARS 신호가 제거된 CARS 신호만이 측정될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거형 탐침 광(ωdp)에 의해 여기되어 발생되는 DCARS 신호가 제거된 CARS(ωas) 신호는 제 3 거울(144)에 반사되어 제 1 대물렌즈(160)로 입사하게 된다. 제 1 대물렌즈(160)는 입사된 CARS(ωas) 신호를 집속하여 시료의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을 조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우시안 형태의 CARS 신호에서 도우넛 형태의 DCARS 신호가 제거됨으로써 시료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은 가우시안 형태에서 가장자리가 제거된 보다 깨끗하며 반경이 적은 가우시안 모양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시료를 보다 향상된 분해능을 가지고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 2 대물렌즈(162)는 시료로부터 반사된 CARS(ωas) 신호를 집속하여 검출기(190)로 전달한다. 이때, 제 2 대물렌즈(162)와 검출기(190) 사이에는 CARS(ωas)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간섭필터(180)를 설치하여 검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TEM * 01 또는 TEM 01 의 도우넛 모드를 가지는 레이저 빔을 도입한 DCARS를 이용함으로써 회절한계이하의 공간 분해능을 가지면서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에 영향을 주지 않고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시료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시료의 미세한 부분을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한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거형(depletion)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광학장치;
    반스토크스 광을 발생하기 위한 제 2 광학장치;
    상기 반스토크스 광과 상기 제거형 광을 혼합하여 상기 시료에 조사하기 위한 광학계; 및
    상기 시료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장치는:
    제거형 광을 발생하기 위한 제거형 광원;
    상기 제거형 광의 가우시안 모드를 통과시키는 제 1 공간 필터;
    상기 제 1 공간 필터를 통과한 가우시안 모드의 제거형 광의 선형 편광만을 통과시키는 제 1 선형 편광기; 및
    상기 제 1 선형 편광기를 통과한 선형 편광된 제거형 광을 도우넛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모드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 장치는 상기 선형 편광된 제거형 광을 상기 모드 발생장치로 반사하기 위한 제 1 거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넛 모드는 TEM * 01또는 TEM 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학 장치는:
    펌핑 광을 발생하기 위한 펌핑 광원;
    스토크스 광을 발생하기 위한 스토크스 광원;
    상기 펌핑 광의 가우시안 모드를 통과시키는 제 2 공간 필터;
    상기 펌핑 광의 가우시안 모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 3 공간 필터;
    상기 제 2 공간 필터를 통과한 가우시안 모드의 스토크스 광의 선형 편광만을 통과시키는 제 2 선형 편광기;
    상기 제 3 공간 필터를 통과한 가우시안 모드의 펌핑 광의 선형 편광만을 통 과시키는 제 3 선형 편광기;
    상기 제 2 선형 편광기를 통과한 선형 편광된 스토크스 광과 상기 제 3 선형 편광기를 통과한 선형 편광된 펌핑 광을 혼합하기 위한 광학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선형 편광기를 통과한 선형 편광된 스토크스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거울; 및
    상기 제 3 선형 편광기를 통과한 선형 편광된 펌핑 광의 제 1 소정 파장을 통과시키고 상기 선형 편광된 스토크스 광의 제 1 소정 파장을 반사시키기 위한 제 1 이색성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상기 모드 발생장치로부터 변조된 도우넛 모드의 제거형 광의 제 2 소정 파장을 반사시키고 상기 제 1 이색성 필터로부터 반사된 광의 제 2 소정 파장을 통과시키는 제 2 이색성 필터; 및
    상기 제 2 이색성 필터를 통과한 광을 상기 시료로 반사하기 위한 제 3 거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거울과 상기 시료 사이에 상기 제 3 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속시키기 위한 제 1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와 상기 검출기 사이에 상기 검출기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속시키기 위한 제 2 대물렌즈; 및
    상기 제 2 대물렌즈로부터 집속된 광에서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간섭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10. 제 1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광디바이스;
    제 2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광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레이저 빔에서 상기 제 1 빔이 공간적으로 제거되도록 혼합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저 빔은 가우시안 모드이며 상기 제 2 레이저 빔이 도우넛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저 빔과 상기 제 2 레이저 빔이 혼합됨으로써 상기 제 1 레이저 빔의 가우시안 모드의 가장 자리가 제거되는 형태의 레이저 빔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 장치.
KR1020050118229A 2005-12-06 2005-12-06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장치 KR10078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229A KR100784901B1 (ko) 2005-12-06 2005-12-06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229A KR100784901B1 (ko) 2005-12-06 2005-12-06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404A true KR20070059404A (ko) 2007-06-12
KR100784901B1 KR100784901B1 (ko) 2007-12-11

Family

ID=3835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229A KR100784901B1 (ko) 2005-12-06 2005-12-06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1923B2 (en) 2009-04-07 2015-05-26 Rare Light, Inc. Peri-critical reflection spectroscop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200131923A (ko) * 2019-05-14 2020-1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가간섭성 반스톡스 라만산란 신호 억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052A (ko) * 2000-05-20 2001-11-29 황규환 검색엔진을 이용한 이메일 데이터베이스 검색방법 및 장치
SG115621A1 (en) * 2003-02-24 2005-10-28 Asml Netherlands Bv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ontamination of a surface of a component of a lithographic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1923B2 (en) 2009-04-07 2015-05-26 Rare Light, Inc. Peri-critical reflection spectroscop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200131923A (ko) * 2019-05-14 2020-1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가간섭성 반스톡스 라만산란 신호 억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901B1 (ko) 200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294B2 (en) OAM microscope for edge enhancement of biomedical and condensed matter samples and objects
US8027032B2 (en) Microscopy imag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stimulated raman spectroscopy as a contrast mechanism
JP5697584B2 (ja) 誘導ラマン散乱計測装置および誘導ラマン散乱計測方法
WO2014125729A1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US8804117B2 (en) Method for detecting a resonant nonlinear optical signal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US9625389B2 (en) Light measuring device and light measuring method
US11079656B2 (en) Supercontinuum source, method for generating and emitting a supercontinuum, multiphoton excitation fluorescence microscope, and multiphoton excitation method
JP5463913B2 (ja) 広帯域光増幅器、光パルス発生装置及び光学機器
KR100929202B1 (ko)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산란을 이용한 영상 획득 장치및 방법
US20180209905A1 (en) Super-resolution microscope
KR100784901B1 (ko) 제거형 가간섭성 반스토크스 라만 분광법을 이용한 광학장치
JP2006313273A (ja) 顕微鏡
US9897536B2 (en) Differential infra red nanoscopy system and method
Shandarov et al. A Fluorimeter on the Basis of a Femtosecond Cr+ 4: Forsterite Laser
JP3816306B2 (ja) 超高速時間分解蛍光分光方法
US9097674B2 (en) Method for detecting a resonant nonlinear optical signal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N110567927B (zh) 双光子显微成像系统
JP2008058918A (ja) テラヘルツ電磁波発生方法及び分光・イメージング測定装置
JP5917664B2 (ja) 誘導ラマン散乱計測装置および誘導ラマン散乱計測方法
Schlachter et al. Spectrally resolved confocal fluorescence microscopy with supercontinuum laser
JP6923161B2 (ja) 試料分析装置
Toytman et al. Non-scanning CARS microscopy using wide-field geometry
Müller et al. Nonlinear microscopy with ultrashort pulse lasers
Graefe Developing Stimulated Raman Spectroscopic Techniques for Imaging Below the Optical Diffraction Limit
Simanovskii et al. Solid state lasers for wide-field CARS microsc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