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384A -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384A
KR20070057384A KR1020050116785A KR20050116785A KR20070057384A KR 20070057384 A KR20070057384 A KR 20070057384A KR 1020050116785 A KR1020050116785 A KR 1020050116785A KR 20050116785 A KR20050116785 A KR 20050116785A KR 20070057384 A KR20070057384 A KR 20070057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iston
cylinder
driv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7384A/ko
Publication of KR2007005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07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using gas or liquid as energy 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브라켓에 댐퍼를 부설한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충돌 초기에서 후기에 이르도록 무릎의 밀림량을 적정하게 유지하여 무릎 및 상체의 상해치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1은 카울 크로스 바이고, 2는 스티어링 컬럼 고정 브라켓이며, 20은 u형 판상 브라켓으로서, 상기 u형 판상 브라켓(20)은 적어도 1개를 그 일단을 상기 카울 크로스 바(1)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 브라켓(2)의 외측에 고정하고, 상기 u형 판상 브라켓(20)의 일단 상면에는 폐단면(C)의 제 2 브라켓(21)을 고정하여 그 타단을 수평으로 형성한 것이다.
30은 댐퍼로서, 상기 댐퍼(30)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에 삽입되는 피스톤(32)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피스톤(32)에 피스톤 로드(33)를 설치하여 실린더(31)의 일측은 상기 제 2 브라켓(21)의 타단의 저면에 설치한 지지편(34)에 설치하고, 피스톤 로드(33)는 상기 u형 판상 브라켓(20)의 타단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u형 판상 브라켓, 제 2 브라켓, 댐퍼, 실린더, 피스톤

Description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DRIVER KNEE BOLSTER MEANS OF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 상태도
도 4는 종래의 것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u형 판상 브라켓 21 : 제 2 브라켓 30 : 댐퍼
31 : 실린더 32 : 피스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브라켓에 댐퍼를 부설한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충돌시 보디 및 탑승자의 거동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전방 또는 좌측(좌측 핸들 자동차의 경우)으로 쏠리는 양이 심하게 될 경우 무릎이 전방 또는 좌측으로 밀려나감으로써 상해치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운전자의 무릎이 전방 또는 좌측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운전자의 무릎 보호구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울 크로스 바(1)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 브라켓(2)의 외측에 어퍼 브라켓(4)과 로워 브라켓(4')을 결합한 브라켓(3)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3)의 자유단에 지지편(5)을 설치하여 메인 크래쉬 패드(미도시)에 그 양측이 고정되고 내면에 크래쉬 패드 폼(form)(6)을 고정한 로워 크래쉬 패드(7)를 지지하여서, 전방 또는 오프셋 충돌시 운전자의 무릎이 상기 브라켓(3) 및 크래쉬 패드 폼(6) 등에 지지됨으로써 운전자의 거동을 제어토록 한 것이다.
상기한 것 즉 브라켓(3)을 스티어링 컬럼 고정 브라켓(2)의 외측에 설치한 것은 유럽 안전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고, 이는 오프셋 충돌시 운전자의 좌측 무릎이 좌측으로 밀려나가는 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며, 미국 안전기준은 상기한 브라켓(3)을 스티어링 컬럼 고정 브라켓(2)의 양측에 즉 스티어링 컬럼 고정 브라켓(2)의 양측에 2개의 브라켓을 설치하여 정면 및 오프셋 충돌시에 운전자의 전체 무릎이 전방 또는 좌측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브라켓(3) 즉 어퍼 브라켓(4)과 로워 브라켓(4')을 결합한 것은 충돌시 충돌 초기의 강성은 큰 반면에 충돌 후기에는 충돌에너지 흡수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강성이 취약하여 짐으로써 충돌에너지 흡수가 저조하게 되는바, 상기와 같이 충돌 초기의 강성이 크면 무릎의 밀림량은 작은 반면에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충돌에너지)이 커짐으로써 무릎의 상해치가 커지게 됨과 동시에 상체의 거동 이 심하여 흉부 상해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충돌 초기에서 후기에 이르도록 무릎의 밀림량을 적정하게 유지하여 무릎 및 상체의 상해치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울 크로스 바에 u형 판상 브라켓의 일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u형 판상 브라켓의 일단 상면에 고정하고 타단을 수평으로 형성한 폐단면의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의 타단 저면에 지지편을 설치하여 실린더의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실린더에 피스톤을 삽입하여 피스톤 로드를 상기 u형 판상 브라켓의 타단에 연결한 댐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로서, 1은 카울 크로스 바이고, 2는 스티어링 컬럼 고정 브라켓이며, 20은 u형 판상 브라켓으로서, 상기 u형 판상 브라켓(20)은 그 일단을 상기 카울 크로스 바(1)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 브라켓(2)의 외측에 고정하고 상기 u형 판상 브라켓(20)의 일단 상면에는 폐단면(C)의 제 2 브라켓(21)을 고정하여 그 타단을 수평으로 형성한 것이다.
30은 댐퍼로서, 상기 댐퍼(30)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에 삽입되는 피스톤(32)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피스톤(32)에 피스톤 로드(33)를 설치하여 실린더(31)의 일측은 상기 제 2 브라켓(21)의 타단의 저면에 설치한 지지편(34)에 설치하고, 피스톤 로드(33)는 상기 u형 판상 브라켓(20)의 타단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32)은 금속제 피스톤본체(132a)(132b) 사이에 고무 또는 스티로폼 등과 같은 탄성부재(133)를 삽입 설치하여서 충돌 초기의 실린더(31) 내에 공기가 압축되기 전에 충돌에너지를 흡수토록 함으로써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감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31)의 일측에 압력 조절수단(231)을 설치하여 피스톤(32)이 전진할 때 그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충돌에너지를 더욱더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압력 조절수단(231)은 하우징(232)의 상부에 압력 배출공(233)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에 코일 스프링(235)으로 지지된 밸브(234)를 내장하여 실린더(31) 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일 때 밸브(234)가 코일 스프링(235)을 압축하면서 상승하여 압력 배출공(233)을 개방시켜 실린더 내의 압력을 배출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6은 크래쉬 패드 폼이고, 7은 로워 크래쉬 패드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충돌 초기에 무릎이 로워 크래쉬 패드(7)와 크래쉬 패드 폼(6)에 접촉되면 u형 판상 브라켓(20)의 일단에 작용하면서 변형함과 동시에 피스톤(32)이 전진하면서 실린더(31) 내의 공기가 압축됨으로 초기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은 작음과 동시에 그 밀림량도 작고, 상체의 거동도 심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충돌 후기에는 강성이 양호한 폐단면(C)으로 된 제 2 브라켓(21)에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제 2 브라켓(21)이 변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충돌 후기에도 충돌에너지 흡수가 저조하지 않게 되어서 무릎 보호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충돌 초기에는 실린더(31)와 피스톤(32)으로 구성한 댐퍼(30)에 의하여, 충돌 후기에는 폐단면(C)의 제 2 브라켓(21)에 의하여 충돌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충돌 초기에서 충돌 후기에 이르기까지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음과 동시에 그 밀림량도 작고, 상체의 거동도 심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카울 크로스 바(1)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 브라켓(2)의 외측에 설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스티어링 컬럼 고정 브라켓(2)의 내측에도 함께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댐퍼와 제 2 브라켓에 의하여 충돌 초기에서 후기에 이르도록 그 강성을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충돌에너지를 양호하게 흡수함으로써 무릎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음과 동시에 그 밀림량도 작고, 또한 상체의 거동도 심하지 않게 되어 운전자의 무릎 및 상체의 상해치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카울 크로스 바에 u형 판상 브라켓의 일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u형 판상 브라켓의 일단 상면에 고정하고 타단을 수평으로 형성한 폐단면의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의 타단 저면에 지지편을 설치하여 실린더의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실린더에 피스톤을 삽입하여 피스톤 로드를 상기 u형 판상 브라켓의 타단에 연결한 댐퍼로 구성한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피스톤은 금속제 피스톤본체 사이에 탄성부재를 삽입 설치한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의 일측에 압력 조절수단을 설치하여 피스톤이 전진할 때 그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압력 조절수단은 하우징의 상부에 압력 배출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에 코일 스프링으로 지지된 밸브를 내장하여 실린더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일 때 밸브가 코일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승하여 압력 배출공을 개방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KR1020050116785A 2005-12-02 2005-12-02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KR20070057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785A KR20070057384A (ko) 2005-12-02 2005-12-02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785A KR20070057384A (ko) 2005-12-02 2005-12-02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84A true KR20070057384A (ko) 2007-06-07

Family

ID=3835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785A KR20070057384A (ko) 2005-12-02 2005-12-02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73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7988A (zh) * 2016-07-19 2018-01-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整体式垫式膝部防护装置
CN111152745A (zh) * 2019-11-29 2020-05-15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汽车驾驶员侧仪表板腿部保护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7988A (zh) * 2016-07-19 2018-01-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整体式垫式膝部防护装置
CN111152745A (zh) * 2019-11-29 2020-05-15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汽车驾驶员侧仪表板腿部保护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74174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100787673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용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브라켓 구조
JP2005138838A (ja) 自動車の衝撃吸収パッド取付構造
KR20070057384A (ko)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보호구조
US6585318B1 (en) Safety seat
KR102522281B1 (ko) 차량용 충격 완화장치
KR102271623B1 (ko) 차량 범퍼 보강용 사이드 익스텐션
US20050093310A1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KR200158287Y1 (ko) 자동차의 후방측면 충격 흡수장치
KR20080101480A (ko) 범프 스토퍼
KR100394795B1 (ko) 차량의 측면 충격 흡수용 완충 장치
KR100470357B1 (ko)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KR19990024566U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JP4411169B2 (ja) ニーガード構造
KR20110024541A (ko) 충격 흡수 가변형 범퍼장치
KR19990038078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CN111806561B (zh) 车辆的前支撑
JP4487897B2 (ja) 車体構造
KR200176262Y1 (ko) 자동차의 어퍼멤버
JP4300627B2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衝突安全装置
KR100489254B1 (ko) 운전자의 무릎 보호를 위한 다단 충격흡수 구조
KR200145817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JP4411170B2 (ja) ニーガード構造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100405467B1 (ko) 보행자 보호용 보조 범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