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178A -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178A
KR20070055178A KR20050113595A KR20050113595A KR20070055178A KR 20070055178 A KR20070055178 A KR 20070055178A KR 20050113595 A KR20050113595 A KR 20050113595A KR 20050113595 A KR20050113595 A KR 20050113595A KR 20070055178 A KR20070055178 A KR 20070055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floo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1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모
서정애
Original Assignee
김경모
서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모, 서정애 filed Critical 김경모
Priority to KR2005011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5178A/ko
Priority to PCT/KR2006/004994 priority patent/WO2007061259A1/en
Publication of KR20070055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17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1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5Gyps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8/22Rubber, e.g. ground waste t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20/002Hollow or porous granula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2Segregation-preventing agents; Sedimentation-preven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1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one or more layers of a layer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38Resistance against physical degradation
    • C04B2111/2046Shock-absorb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0Flexible or elastic materials
    • C04B2111/503Elast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2Sound-insul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 콜크, 폐스티로폼, 시멘트 및 석고, 기포제 등을 혼합하여 조성되어 아파트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바닥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입경이 0.1mm 내지 30mm인 탄성을 갖는 완충재 분쇄물을 혼합하여 조성되데,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혼합물 10 내지 7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바닥 시공 방법은 물 100내지 400중량부에 기포제 0.1내지 2.5중량부를 희석시켜 조성된 기포액에 300중량부에 대하여 입경이 0.1mm 내지 30mm인 탄성을 갖는 완충재 분쇄물 10 내지 70중량부를 혼합하는 조성물 혼합 단계와 ; 상기 조성물 혼합 단계에서 수득되는 혼합액에 200중량부에 대하여 25내지 300중량부의 시멘트를 혼합, 교반하는 모르타르 조성 단계와 ; 상기 모르타르 조성 단계에서 수득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 모르타르를 건물의 바닥에 타설하는 타설 단계로 이루어진다.
시멘트, 석고, 다공성 광물질, 기포, 공극, 층간소음방지, 콜크, 침강방지제

Description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A shock absorbing composition for inter layer noise proofing of a construction and floor forming method for inter layer noise proofing of a construction using the shock absorb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타이어, 콜크, 폐스티로폼, 시멘트 및 기포제 등을 혼합하여 조성되어 아파트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바닥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석고를 선택적으로 혼합함으로서 시멘트의 양생 시간을 줄여 초기 강도를 높여 24시간 후 작업한 표면 위에서 난방 코일의 배선 작업을 할 때 작업성을 좋게 한 건물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바닥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좁은 대지에 많은 사람이 거주하거나 많은 시설을 구비하기 위해 고층의 아파트나 상가 건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층 건물은 상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하층으로 전달되어 하층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많은 불편을 느끼고 있으며, 심하게는 소송에 이르는 문제까지 있었다.
이러한 다층 건물에 있어서의 바닥 충격음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상층바닥에서 사람의 보행,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질 때, 바닥 슬래브, 천장 또는 벽체를 통하여 하층 세대 내로 방사되는 음으로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는 공기 전파음을 잘 차단하기 때문에 좋은 차음재라 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구조에 충격이나 진동을 직접 가하게 되면 고체 전파음으로 변하여 거의 감쇠되지 않고 인접한 다른 세대로 전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바닥 충격음은 크게 그릇이나 골프공 등의 낙하음, 의자 이동음 등과 같이 고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경량 충격음과, 성인보행, 어린이들의 뜀뛰기 등과 같이 저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되고 있다.
구미의 주택의 경우, 바닥충격음은 주로 사람이 구두를 신고 보행하는 소리, 즉 여성의 하이힐에 의한 충격음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로 중량충격음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야 하고, 한국이나 일본 주택의 경우, 생활습관이 좌식 생활을 하기 때문에 상기 중량충격음 외에 경량충격음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공동 주택 즉, 아파트나 연립 주택 등에서 아래, 위층간의 진동, 소음 등으로 분쟁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웃 간의 법정 싸움으로까지 번지는 일이 비일비재한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이의 해결방안으로, 각 건설회사에서는 슬래브 위에 충격흡수용 패드를 깔고 그 위에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위에 다시 몰탈을 시공하여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소음 차단을 위한 시공 구조 및 방법은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인건비 상승의 요인이 되어 분양가 상승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시공 방법은 바닥만 충격 흡수재 등으로 시공하여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 모두를 흡수하지 못하고 벽을 타고 아래층으로 바로 전달되어 아래층은 물론 그 아래층까지도 소음과 진동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벽이 하고 있으므로 실제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KS F 2810 1,2의 방법으로 시료를 만들어 시험하여 1급의 성능을 받았더라도 실제의 공동 주택에서는 1급이 나오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고, 이 시험은 바닥만 시험받게 되어 있어 벽이 미치는 영향은 고려하지 않은 시험이기 때문에 시험과 실제의 경우가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입주자의 요청 등으로 인하여 공동주택의 바닥, 특히 거실의 바닥의 표면마감재로서 원목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바닥표면마감재로서 원목을 사용하는 종래의 바닥구조는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단열을 위한 경량기포콘크리트,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위에 도포되며 난방배관이 설치되는 마감 모르타르, 그리고 상기 마감 모르타르 위에 접착제에 의하여 표면마감재로서 부착되는 원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표면마감재로서 원목을 사용하는 바닥구조는 원목자체가 어느 정도 차음기능을 수행하여 별도로 완충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표면마감재로서 원목을 사용하지 않고 모노륨을 사용하는 경우의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기포콘크리트사이에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완충재를 구성하여 바닥충격음을 차단하고 있으나 완충재가 바닥표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바닥충격음을 일차적으로 직접 차단하기 못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까지 전달된 후에 차음하기 때문에 차음효율은 물론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공법들은 슬라브 위에 자갈 등을 깔고 그 위에 시멘트를 타설하는 등 4 내지 5단계의 공정을 거쳐 시멘트를 경화시키고, 그 위에 완충재 등 층간 소음을 줄이기 위해 별도의 탄성매트 등을 시공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역시 많은 공정 등을 거치는 관계로 시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그에 따라 인건비 등이 추가되어 시공비가 많이 들어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간단하면서 시공도 편리하고 단열성 및 방음성이 우수한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입경이 0.1mm 내지 30mm인 탄성을 갖는 완충재 분쇄물을 혼합하여 조성되데,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혼합물 10 내지 7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바닥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 100내지 400중량부에 기포제 0.1내지 2.5중량부를 희석시켜 조성된 기포액에 300중량부에 대하여 입경이 0.1mm 내지 30mm인 탄성을 갖는 완충재 분쇄물 10 내지 70중량부를 혼합하는 조성물 혼합 단계와 ; 상기 조성물 혼합 단계에서 수득되는 혼합액에 200중량부에 대하여 25내지 300중량부의 시멘트를 혼합, 교반하는 모르타르 조성 단계와 ; 상기 모르타르 조성 단계에서 수득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 모르타르를 건물의 바닥에 타설하는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바닥 시공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조성물에는 단열재 분쇄물이 더 혼합될 수 있고, 상기 완충재 분쇄물로 폐타이어, EPDM 등의 고무류 분쇄물과 콜크 분쇄물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상기 단열재 분쇄물은 폐스치로폴, 우레탄,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팽창성 단열재 분쇄물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또한, 상기 완충조성물에 석고 분말을 혼합하되 상기 완충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75중량부 더 혼합하고, 침강 방지제를 완충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 더 혼합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은 타이어 분쇄물, 콜크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재 분쇄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완충재 분쇄물이 바닥의 충격흡수에 의한 내충격성의 부여 및 충격흡수에 의한 진동의 감쇄 및 이차 소음의 발생의 억제를 통한 소음억제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완충재 분쇄물은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의 평균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폐타이어의 재활용은 대량으로 발생하는 폐타이어를 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폐자원을 재활용하므로 경제적이며, 완충재로서도 우수한 물성을 갖으며, 콜크 분쇄물 역시 경량이면서도 단열성 및 충격흡수능이 우수하여 완충재로서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
상기한 바의 완충재 분쇄물은 상기한 콜크나 폐타이어는 물론 신발제조공장에서 스크랩으로 나오는 발포된 EVA 스크랩이나 완충효과를 나타내는 모든 종류의 발포체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시멘트는 실질적으로 바닥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서 물과의 혼합에 의해 수경되어 기계적으로 단단한 바닥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통상적으로 바 닥에 사용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모든 시멘트 중 하나이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고, 물 및 기타 부재료들과의 혼합에 의해 슬러리로 형성되어 원하는 형상대로 성형될 수 있으며, 성형된 대로 경화하여 단단한 구조체를 형성하며, 건물의 건축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며, 통상 상용되는 포틀랜드 시멘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 등과 혼합되어 통상의 시멘트 슬러리 처럼 타설이 가능한 정도의 점성을 갖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이론적으로 또는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또는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완충재 조성물에는 혼합되는 석고는 건축용 소성 석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고는 차음의 효과가 높으며, 시멘트를 대신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완충재 조성물에는 침강 방지제를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더 혼합할 수 있으며, 상기 침강 방지제는 타이어 및 콜크 분쇄물 이나 스티로폴 분쇄물의 고른 분산을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전체 물의 양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하를 투입하면 효과가 없으며, 10중량부 이상 투입을 하면 경제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침강 방지제는 벤톤, 아타겔 등의 무기질이나 HEC(Hydrocell Ethyl Cellulose), 나트라졸(Natrasol)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 직하게는 액상 침강방지제를 사용함으로서 혼합을 dd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침강 방지제들은 특정 회사의 제품으로 이미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완충조성물에는 단열재 분쇄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단열 효과가 있다.
상기 단열재 분쇄물로는 폐스치로폴, 우레탄,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팽창성 단열재 분쇄물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층간 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시공 방법은 폐타이어 분쇄물, 콜크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재 분쇄물과 스티로폼 등과 같은 단열재 분쇄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물의 양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로 혼합하되,
(1) 먼저, 상기 완충재와 단열재 분쇄물의 혼합물에 침강 방지제와 기포제를 혼합, 교반하고 여기에 물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혼합한다.
(2) 상기 조성물 혼합 단계에서 수득되는 혼합물에 시멘트를 혼합, 교반하고, 이 혼합물을 (3)원하는 장소의 바닥에 타설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조성물 및 바닥시공 방법에 의해 차음 성능, 단열 성능, 구조적 안정성, 경제성 및 시공성 등을 모두 만족하는 우수한 공 동 주택을 지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반 건축물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 예 1
물 300g, 기포제 1.3g, 벤톤 4g, 유동 강화제 8g 투입하고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완충재 분쇄물로서 입경이 약 20mm인 폐타이어 칩 50g과 스티로폼 분쇄물 8g과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400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물 300g, 기포제 1.3g, 유동화제 8g, 벤톤 4g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입경이 20mm인 스티로폼 분쇄물 8g과 콜크 분쇄물 30g과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400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3
물 400g, 벤톤 8g, 유동화제 8g, 기포제 1.5g 투입하고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입경이 18mm인 타이어 분 쇄물 50g, 콜크 분쇄물 30g, 스티로폼 분쇄물 8g과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150g과 석고 150g을 첨가한 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4
물 400g, 벤톤 8g, 유동화제 8g, 기포제 1.5g 투입하고 교반하여 기포를 포함하여 전체 부피가 약 600㎖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입경이 18mm인 타이어 분쇄물 50g, 콜크 분쇄물 80g과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150g과 석고 150g을 첨가한 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전체 부피가 약 1,000㎖가 되도록 하여 완충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험 예 1
1.3루베 용량의 교반기에 물300kg과 벤톤 8kg, 유동화제 8kg을 투입하고 교반을 실시하고, 기포 발생기를 이용하여 기포를 발생시켜 일정량의 기포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입경이 약 20mm인 스티로폴 분쇄물 8kg과 폐타이어칩 50kg, 콜크 분쇄물 30kg, 시멘트 360kg을 투입하여 1루베가 되도록 교반하여 타설기를 이용하여 15층의 150m/m 두께의 슬라브 위에 70m/m두께로 타설하였다.
완충 조성물이 양생된 후 난방 코일을 깔고 몰탈을 45m/m두께로 시공하여 양생시켰으며, 몰탈층이 양생된 후 그 위에 마루 바닥을 시공 한 후 충격음 측정하였다.
그리고 가로 30㎝, 세로 30㎝ 및 높이 5㎝의 몰드에 시편을 받아 열전도율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열전도율을 측정하여 0.063W/m.K의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열관류율로 환산하면 0.64의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며, 소음 측정의 결과는 중량음 45dB과 경량음 47dB의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고층에서의 현장 타설도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험 예 2
1.3루베 용량의 교반기에 물340kg과 벤톤 8kg, 유동화제 8kg을 투입하고 교반을 실시하고, 기포 발생기를 이용하여 기포를 발생시켜 일정량의 기포를 투입하였으며, 입경이 약 25mm인 스티로폴 분쇄물 6kg과 폐타이어 chip 100kg, 콜크 분쇄물 10kg, 시멘트 300kg, 석고 60kg을 투입하여 1루베가 되도록 교반 하여 고층용 타설기를 이용하여 15층의 150m/m 두께의 슬라브 위에 20m/m 두께의 KS 2호 스티로폴 보드가 깔려있는 슬라브 위에 타설하였다.
완충조성물이 양생된 후 난방 코일을 깔고 몰탈을 45m/m두께로 시공하여 양생된 후 그 위에 마루 바닥을 시공 한 후 충격음 측정을 실시하였다.
가로 30㎝, 세로 30㎝ 및 높이 5㎝의 몰드에 시편을 받아 열전도율 측정용 시편을 만들어 열전도율을 측정하여 0.063W/m.K의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열관류율로 환산하면 0.14의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며, 소음 측정의 결과는 중량음 45dB과 경량음 41dB의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실험 예 3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장비를 이용하여 연속 타설 실험을 하였다.
리본 교반기에 시멘트 공급 밸브와 물 밸브를 설치하고 폐타이어 분쇄물과 스티로폴, 콜크 분쇄물은 콘베어 밸트를 통해 일정량 투입되도록 속도를 조절한다.
유동화제와 침강방지제는 물이 투입될 때 일정량 투입되도록 조절해두어 정량 투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고층 아파트에 직접 실험 타설하여 슬러리의 비중과 분포도 작업성을 검토한 결과 허용 오차 범위에 들어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각 조성물의 비율은 실험예 1과 같이 하였다.
상기한 실시 예들을 종합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 방법에 의해 형성된 바닥은 기포 등에 의해 그 내부에 다수의 공극(기포)들이 형성되어 있어 충격 등에 의한 소음의 흡수 및 난반사에 의해 소음을 차단하고, 또한 충격을 분산, 완화시켜 층간소음 차단 및 내구성의 향상 등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아파트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간의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형성을 현장에서 현장의 실정에 맞게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바닥을 형성할 수 있는 바닥시공 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바닥형성을 현장에서 직접 단 한 번에 시공하여 완료할 수 있어 시간 및 인건비 등을 절약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건축비를 절감하는 등의 효과를 얻으면서 또한 건물에서 층간 소음을 차단하여 정숙한 실내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충격에 대한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와 달리 바닥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도 그릇이나 골프공 등의 낙하음, 의자 이동음 등과 같이 고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경량 충격음과, 성인보행, 어린이들의 뜀뛰기 등과 같이 저주파수 성분의 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중량 충격음을 흡수하여 다른 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1)

  1. 경량 기포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입경이 0.1mm 내지 30mm인 탄성을 갖는 완충재 분쇄물을 혼합하여 조성되데,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600중량부에 완충재 분쇄물 10 내지 7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조성물에는 단열재 분쇄물이 더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분쇄물은 폐스치로폴, 우레탄,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팽창성 단열재 분쇄물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 분쇄물은 폐타이어, EPDM 등의 고무류 분쇄물과 콜크 분쇄물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조성물에는 석고 분말이 상기 완충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75중량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조성물에는 침강 방지제가 완충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물 100내지 400중량부에 기포제 0.1내지 2.5중량부와, 시멘트 50내지 35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8. 건물의 바닥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물 100내지 400중량부에 기포제 0.1지 2.5중량부를 희석시켜 조성된 기포액에 300중량부에 대하여 입경이 0.1mm 내지 30mm인 탄성을 갖는 완충재 분쇄물 10 내지 70중량부를 혼합하는 조성물 혼합 단계와 ;
    (2) 상기 조성물 혼합 단계에서 수득되는 혼합액에 200중량부에 대하여 25내지 300중량부의 시멘트를 혼합, 교반하는 모르타르 조성 단계와 ;
    (3) 상기 모르타르 조성 단계에서 수득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 모르타르를 건물의 바닥에 타설하는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바닥 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혼합 단계에서는 완충재 분쇄물과 동일한 양의 단열재 분쇄물이 더 혼합되며,
    상기 단열재 분쇄물은 입경이 0.1mm 내지 30mm이고, 폐스치로폴, 우레탄,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팽창성 단열재 분쇄물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바닥 시공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혼합 단계에서는 침강 방지제가 완충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 더 혼합되며, 상기 침강 방지제는 벤톤, 아타겔 등의 무기질이나 HEC(Hydrocell Ethyl Cellulose), 나트라졸(Natrasol)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바닥 시공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혼합 단계에서는 석고 분말이 상기 완충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75중량부 더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완충조성물을 이용한 건물 바닥 시공 방법.
KR20050113595A 2005-11-25 2005-11-25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 KR20070055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3595A KR20070055178A (ko) 2005-11-25 2005-11-25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
PCT/KR2006/004994 WO2007061259A1 (en) 2005-11-25 2006-11-24 A shock absorbing composition for inter layer noise proofing of a construction and floor forming method using the shock absorbing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3595A KR20070055178A (ko) 2005-11-25 2005-11-25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178A true KR20070055178A (ko) 2007-05-30

Family

ID=3806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13595A KR20070055178A (ko) 2005-11-25 2005-11-25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55178A (ko)
WO (1) WO200706125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335B1 (ko) * 2013-12-09 2015-02-24 정민상 소음 차단재와 이를 이용한 차음 바닥재 및 층간 슬래브 구조체
KR102399896B1 (ko) * 2021-09-29 2022-05-18 차지연 단열성 및 방음성이 향상된 다용도 도료 조성물
KR20230068878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저감성능이 우수한 포설형 완충재 조성물 및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1014B2 (ja) * 2016-06-01 2019-08-14 日鉄パイプライ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空隙充填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601950A (zh) * 2017-09-06 2018-01-19 袁进新 普通水泥微发泡改性添加剂及微发泡混凝土混合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2645C2 (de) * 1994-01-29 1996-11-14 Knauf Westdeutsche Gips Leichtmörtel auf Gipsbasis,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KR20030048288A (ko) * 2001-12-11 2003-06-19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경량기포콘크리트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20030093415A (ko) * 2002-06-03 2003-12-11 영보화학 주식회사 강도가 우수한 흡차음재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335B1 (ko) * 2013-12-09 2015-02-24 정민상 소음 차단재와 이를 이용한 차음 바닥재 및 층간 슬래브 구조체
KR102399896B1 (ko) * 2021-09-29 2022-05-18 차지연 단열성 및 방음성이 향상된 다용도 도료 조성물
KR20230068878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저감성능이 우수한 포설형 완충재 조성물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1259A1 (en)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827B1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N102249614A (zh) 一种轻质保温隔音阻尼地坪砂浆
KR19980084656A (ko) 차음단열 조성물
KR20060091214A (ko) 단열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단열 패널과 그제조방법 및 건축물의 층간구조
JP2001508016A (ja) 硬化性混合物及び遮音性床構造物の製法
KR20070055178A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건물 바닥시공 방법
KR100583847B1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KR100773106B1 (ko) 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용 완충재,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이용한 바닥층 형성방법
CN105036683A (zh) 一种整体隔声楼板用石膏基隔声找平胶粘材料及其制备方法
KR19990085309A (ko) 바닥충격음 저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Kim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floor impact sounds from damping materials using mineral binders
CN105236888A (zh) 一种建筑地面轻质干拌料及其制备与应用方法
CN108911689A (zh) 一种吸声材料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0181811Y1 (ko) 소음 및 진동 차폐용 공동주택 바닥구조
CN201531106U (zh) 一种楼板隔声垫板
KR0147842B1 (ko) 주택바닥 방음방진재
KR100602041B1 (ko) 단열방진 경량콘크리트 조성물
KR20070108332A (ko)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 층간바닥구조체의제조방법 및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측벽구조체의 제조방법
KR20050093265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다층 건물의 층간진동 및 소음저감재
JP2838872B2 (ja) 防音床下地材
KR100532540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차음 기능을 갖는 뜬바닥 구조층용기포 콘크리트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25496A (ko) 탄성 콘크리트 바닥 차음저감재의 제법 및 바닥구조
KR100335447B1 (ko) 탄성 경량 단열 골재 및 그의 제조 방법
RU2174499C2 (ru) Способная к отверждению смесь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по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