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956A -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 - Google Patents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956A
KR20070054956A KR1020050113111A KR20050113111A KR20070054956A KR 20070054956 A KR20070054956 A KR 20070054956A KR 1020050113111 A KR1020050113111 A KR 1020050113111A KR 20050113111 A KR20050113111 A KR 20050113111A KR 20070054956 A KR20070054956 A KR 2007005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ading
read
correction
scann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4956A/ko
Publication of KR2007005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49Counter-measures for mechanical vib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48Detecting edges, e.g. of a stationary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독취기기에 관한 것으로, 원고가 안착되고 일정한 명암비를 갖는 보정바가 형성된 판독대; 상기 판독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도 및 상기 보정바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 상기 스캐닝 모듈을 상기 판독대의 하부에서 왕복 이송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스캐닝 모듈에서 독취되는 상기 보정바의 명암 독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유닛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스캐닝 모듈에 의한 원고의 독취시 스캐닝 모듈이 이송됨에 따라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진동 및 상·하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여 판독되는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원고의 독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image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scann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의 화상판독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의 이미지 센서의 출력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판독대
112 : 보정바
120 : 스캐닝 모듈
130 : 구동유닛
140 : 제어부
150 : 이미지 보정유닛
152 : 보정바 판독부
154 : 원고 판독부
156 : 이미지 보정부
본 발명은 화상독취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독취기기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화상의 오류를 보정하여 최적의 화상을 독취할 수 있도록 한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독취기기는 빛을 원고에 투사하여 반사시키고, 반사된 빛을 전계방출소자(Charge Coupled Device: 이하 'CCD'라 함) 또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 이하 'CIS'라 함)와 같은 센서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화상독취기기는 원고를 올려놓기 위한 투과성 재질의 판독대와, 판독대 위에 놓인 원고로 빛을 투사하여 원고에서 반사되는 빛을 판독하는 스캐닝 모듈과, 스캐닝 모듈을 판독대 하부에서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마련된다.
이에 스캐닝 모듈이 이송장치에 의해 판독대의 하부에서 왕복 이송되면서 판독대에 안착된 원고를 판독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과정에서 이송장치에 의해 스캐닝 모듈이 이송될 때 스캐닝 모듈의 설치 오차 및 이송장치의 조립공차 등의 원인에 의해 이송되는 스캐닝 모듈에 진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면서 발생되는 스캐닝 모듈의 진동은 스캐닝 모듈에 의해 독취되는 원고의 이미지 왜곡 등의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스캐닝 모듈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고자 이송장치와 스캐닝 모듈사이에 방진부재 등을 부착하여 이송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스캐닝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고 작동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방진부재가 그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144913호가 제안되었다. 동특허는 스캐닝 모듈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보정기준선을 형성하고, 원고의 화상 판독시 보정기준선을 판독하여 보정기준선의 사행에 따라 판독된 화상 이미지를 보정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동특허는 스캐닝 모듈의 진행방향에 평행한 보정기준선을 판독함으로써 스캐닝 모듈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좌·우 진동에 대한 감지 및 보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스캐닝 모듈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방향 또는 스캐닝 모듈의 이송방향에 직교한 상·하 방향의 진동에 대하여는 별다른 보정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캐닝 모듈에 의한 화상의 판독시 스캐닝 모듈이 이송됨에 따라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진동 및 상·하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여 판독되는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화상독취 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는, 원고가 안착되고 일정한 명암비를 갖는 보정바가 형성된 판독대; 상기 판독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도 및 상기 보정바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 상기 스캐닝 모듈을 상기 판독대의 하부에서 왕복 이송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스캐닝 모듈에서 독취되는 상기 보정바의 명암 독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보정유닛은, 상기 스캐닝 모듈에서 독취되는 상기 보정바의 위치 및 명암 정보를 판독하는 보정바 판독부; 상기 스캐닝 모듈에서 독취되는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판독하는 원고 판독부; 및 상기 보정바 판독부에서 판독되는 상기 보정바의 위치 및 명암정보에 따라 상기 원고 판독부에서 판독되는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방법은, 판독대에 안착된 원고 및 판독대에 형성된 보정바를 독취하는 독취단계; 독취되는 상기 보정바의 독취 정보를 획득하는 보정바분석단계; 상기 보정바의 독취 정보와 기 설정된 상기 보정바의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비교된 보정바의 독취 정보에 따라 상기 원고의 독취 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단계; 및 보정된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다.
또한, 상기 보정바분석단계는, 상기 보정바의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분석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정바분석단계는, 상기 보정바의 명암비를 분석하는 명암비분석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는, 독취될 원고(P)가 안착되는 판독대(110)와, 판독대(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캐닝 모듈(120)과, 스캐닝 모듈(120)을 판독대(110)의 하부에서 주사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구동유닛(130)과, 각 구성부(120, 130, 142, 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스캐닝 모듈(120)에서 독취되는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유닛(150)을 구비한다.
판독대(110)는, 독취될 원고(P)가 안착되는 투광성 재질로 독취될 원고(P)가 안착되도록 화상독취기기 본체(미도시)의 상부에 마련되며, 판독대(110)의 상면에는 스캐닝 모듈(120)에 의해 원고(P)의 판독과 동시에 판독되어 독취되는 화상의 보정기준이 되는 보정바(112)가 마련된다.
여기서, 보정바(112)는, 일정폭을 갖는 바(bar) 형태로, 스캐닝 모듈(120)에 의해 독취되는 일면에는 그레이스케일(gray scale) 중 선택된 어느 한 단계의 명도를 갖는 독취면(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러한 보정바(112)는 후술할 구동유닛(130)의 샤프트(132)와 평행한 방향으로 판독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스캐닝 모듈(120)은, 판독대(110)에 안착된 원고(P)에 일정한 광량의 빛을 투사하는 광원(122)과, 광원(122)에서 투사되어 원고(P)에 반사되는 빛을 독취하는 이미지 센서(124)와, 광원에서 원고(P)로 투사되는 빛과, 원고(P)에서 반사되는 빛의 광경로 및 결상상태를 조절하는 렌즈광학계(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캐닝 모듈(120)은 후술할 구동유닛(130)의 샤프트(13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샤프트(132)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판독대(110)에 안착된 원고(P)를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의 라인단위(또는 라인 픽셀단위)로 독취하여 아웃풋시그널(도 4참조)을 생성한다.
한편, 아웃풋시그널에는 더미영역과, 이미지영역이 같이 존재하며, 더미영역은 원고 독취시 발생되는 실제 이미지 데이터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독취되는 이미지 데이터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정상적인 아웃풋시그널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을 통하여 보정바(112)의 독취데이터를 적재한다.
구동유닛(130)은 상술한 스캐닝 모듈(12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132)와, 샤프트(132)의 일측에 마련되어 스캐닝 모듈(120)의 이동 동력 을 공급하는 모터(134)와, 모터(134)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스캐닝 모듈(1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36)가 마련된다.
이미지 보정유닛(150)은 스캐닝 모듈(120)의 이미지 센서(124)에서 독취되는 원고(P)의 이미지를 판독하는 원고 판독부(154)와, 스캐닝 모듈(120)의 이미지 센서(124)에서 원고(P)와 같이 독취되는 보정바(112)를 판독하는 보정바 판독부(152) 및 보정바 판독부(152)의 보정바(112) 판독여부에 따라 원고 판독부(154)에서 판독되는 원고(P)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156)를 구비한다.
여기서, 보정바 판독부(152)는 이미지 센서(124)에서 독취되어 출력되는 아웃풋시그널에서 보정바(112)의 이미지를 판독하는 것으로, 아웃시그널에서 보정바(112)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보정바(112)의 위치 및 보정바(112)의 명암을 판독하여 스캐닝 모듈(120)의 진동 발생 상태를 판독한다.
즉, 구동유닛(130)에 샤프트(13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스캐닝 모듈(120)에서 진동이 발생될 경우 스캐닝 모듈(120)에서 독취되는 보정바(112)의 위치 및 명암에 변화가 발생하고, 보정바 판독부(152)는 이를 추출 및 판독하여 스캐닝 모듈(120)의 진동 발생 상태를 판독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독취되는 보정바(112)의 위치 정보가 샤프트(132)의 직교한 방향으로 변화가 발생하면 이는 보정바(112)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120)이 샤프트(132)의 직교한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 것을 의미하며, 독취되는 보정바(112)의 명암에 변화가 발생하면 이는 보정바(112)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120)이 보정바(112)에 대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원고 판독부(154)는 이미지 센서(124)에서 독취되어 출력되는 아웃풋시그널에서 원고(P)의 이미지를 판독하는 것으로 아웃풋시그널에서 원고(P)의 이미지를 추출한다.
한편, 스캐닝 모듈(120)에서 보정바 판독부(152) 및 원고 판독부(154)로 전송되는 아웃풋 시그널은 별도의 A/D컨버터(160)를 통해 2진 데이터화 되어 전송된다. 이러한 과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미지 보정부(156)는 보정바 판독부(152)에서 판독되는 보정바(112)의 위치 정보 및 명암정보에 따라 원고 판독부(154)에서 판독되는 이미지를 보정하도록 마련된다.
즉, 보정바 판독부(152)에서 스캐닝 모듈(120)의 진동이 판독될 경우, 보정바의 진동여부와, 기 설정된 보정바(112)의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판독되는 스캐닝 모듈(120)의 진동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원고 판독부(154)에서 판독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다.
제어부(140)는, 상술한 각 구성부(120, 130, 142, 150)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이미지 보정유닛(150)에서 보정되는 원고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제어부(140)에는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별도의 메모리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이미지 보정부(150)의 기능은 제어부(140)의 기능에 포함되어 제어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140), 보정유닛(150) 등은 스캐닝 모듈(120)로부터 얻어진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가 마련된다. 이러한 회로는 일반적으 로 알려진 전자부품에 의해 구현되며, 이 전자부품 중에서는 일련의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즉, 펌웨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에 의해 스캐닝 장치를 전체를 통제하여 취득된 이미지 신호를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시스템 콘트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의 화상판독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의 이미지 센서의 출력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가 원고의 독취를 개시한다(단계 S110). 이에 따라 판독대(110)의 하부에 위치한 스캐닝 모듈(120)이 구동유닛(130)에 의해 판독대(110)의 상면에 안착된 원고(P)와, 판독대(110)의 상면에 양측에 형성된 보정바(112)를 독취한다.
즉, 구동유닛(130)의 모터(134)가 구동됨에 따라 모터(134)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동력전달부(136)에 의해 스캐닝 모듈(120)로 전달되고, 스캐닝 모듈(120)은 구동유닛(130)의 샤프트(132)를 따라 샤프트(132)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스캐닝 모듈(120)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이 판독대(110)에 안 착된 원고(P)에 반사되고, 반사되는 빛은 렌즈광학계를 통해 이미지 센서(124)에 입사되고, 이미지 센서(124)는 입사되는 빛을 독취하여 아웃풋시그널을 생성한다.
한편, 상술한 과정에서 이미지 센서(124)에 의해 생성되는 아웃풋 시그널은 스캐닝 모듈(120)이 샤프트(132)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판독대(110)에 안착된 원고(P)를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의 라인단위로 독취하여 형성되는 것이다.(도 4참조)
이후, 보정바 판독부(152) 및 원고 판독부(154)는 스캐닝 모듈에서 생성된 아웃풋시그널에서 보정바(112)의 독취 이미지와, 원고(P)의 독취이미지를 분리하여 각각 판독한다.
여기서 보정바 판독부(152)는 분리된 보정바(112)의 이미지를 판독하여 보정바(112)의 위치변화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단계 S120). 즉, 기 설정된 보정바(112)의 위치 정보와 스캐닝 모듈(120)이 구동유닛(130)의 샤프트(132)를 따라 이동되면서 독취하는 보정바(112)의 이미지 정보를 상호 비교한다.
이때, 기 설정된 보정바(112)의 위치 정보와 독취된 보정바(112)의 이미지 정보가 상이 할 경우, 이미지 보정부(156)는 기 설정된 보정바(112)의 위치 정보와 독취된 보정바(112)의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원고 판독부(154)에 의해 분리된 원고(P)의 이미지를 보정한다(단계 S130).
또한, 보정바 판독부(152)는 분리된 보정바(112)의 이미지를 판독하여 보정바(112)의 명암 변화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단계 S140). 즉, 기 설정된 보정바(112)의 명암 정보와 스캐닝 모듈(120)이 구동유닛(130)의 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면 서 독취하는 보정바(112)의 명암 정보를 상호 비교한다.
이때, 기 설정된 보정바(112)의 명암 정보와 독취된 보정바(112)의 명암 정보가 상이 할 경우, 이미지 보정부(156)는 기 설정된 보정바(112)의 명암 정보와 독취된 보정바(112)의 명암 정보를 기반으로 원고 판독부(154)에 의해 분리된 원고(P)의 이미지를 보정한다(단계 S150).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스캐닝 모듈에 의해 독취되는 보정바(112)의 위치 및 명암 정보와 기 설정된 보정바(112)의 정보가 동일할 경우에는 원고 판독부(154)에서 분리된 원고(P)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부(142)에 저장하거나, 이미지 보정부(146)에서 보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부(142)에 저장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에 따르면, 스캐닝 모듈에 의한 원고의 독취시 스캐닝 모듈이 이송됨에 따라 발생하는 좌·우 방향의 진동 및 상·하 방향의 진동을 감지하여 판독되는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원고의 독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Claims (5)

  1. 원고가 안착되고 일정한 명암비를 갖는 보정바가 형성된 판독대;
    상기 판독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도 및 상기 보정바를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
    상기 스캐닝 모듈을 상기 판독대의 하부에서 왕복 이송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스캐닝 모듈에서 독취되는 상기 보정바의 명암 독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보정유닛은,
    상기 스캐닝 모듈에서 독취되는 상기 보정바의 위치 및 명암 정보를 판독하는 보정바 판독부;
    상기 스캐닝 모듈에서 독취되는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판독하는 원고 판독부; 및
    상기 보정바 판독부에서 판독되는 상기 보정바의 위치 및 명암정보에 따라 상기 원고 판독부에서 판독되는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기기.
  3. 판독대에 안착된 원고 및 판독대에 형성된 보정바를 독취하는 독취단계;
    독취되는 상기 보정바의 독취 정보를 획득하는 보정바분석단계;
    상기 보정바의 독취 정보와 기 설정된 상기 보정바의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비교된 보정바의 독취 정보에 따라 상기 원고의 독취 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단계; 및
    보정된 상기 원고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바분석단계는,
    상기 보정바의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분석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바분석단계는,
    상기 보정바의 명암비를 분석하는 명암비분석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방법.
KR1020050113111A 2005-11-24 2005-11-24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 KR20070054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11A KR20070054956A (ko) 2005-11-24 2005-11-24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11A KR20070054956A (ko) 2005-11-24 2005-11-24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956A true KR20070054956A (ko) 2007-05-30

Family

ID=3827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111A KR20070054956A (ko) 2005-11-24 2005-11-24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49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4395A (zh) * 2017-12-28 2018-07-06 清华大学 扫描图像校正装置、方法和移动式扫描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4395A (zh) * 2017-12-28 2018-07-06 清华大学 扫描图像校正装置、方法和移动式扫描设备
CN108254395B (zh) * 2017-12-28 2023-10-13 清华大学 扫描图像校正装置、方法和移动式扫描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1543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20060023266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5552757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
US10477051B2 (en) Reading k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KR100222988B1 (ko) 셔틀방식 스캐너의 스캐닝헤드 정렬공차 보정방법 및 그 장치
EP1347628A1 (en) Image reading system
KR20070054956A (ko) 화상독취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
JP2011024029A (ja) 画像読取装置
EP0814421A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7279256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7065329A (ja) 画像読取装置
JP2002354207A (ja) 画像読取装置
JP2007158859A (ja)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69059B2 (ja) 画像読取装置
JPH11355513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複写機
JP5226455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2176535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読取位置設定方法
JP2007150541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24606A (ja) 画像読取装置のキャリッジロック検出方法および画像読取装置
EP143572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reader
US7746513B2 (en) Scanner and method thereof
JP200707907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適用可能な画像読み取り装置
JP2021072538A (ja) 画像読取装置
JP2004135214A (ja) スキャナ装置
JP2008258947A (ja) 複合型画像形成装置及び複合型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