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219A - 분리 웰을 이용한 mos 버랙터 - Google Patents

분리 웰을 이용한 mos 버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219A
KR20070053219A KR1020077003435A KR20077003435A KR20070053219A KR 20070053219 A KR20070053219 A KR 20070053219A KR 1020077003435 A KR1020077003435 A KR 1020077003435A KR 20077003435 A KR20077003435 A KR 20077003435A KR 20070053219 A KR20070053219 A KR 20070053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region
conductivity type
substrate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251B1 (ko
Inventor
더글러스 디. 쿨바
더글러스 비. 헤르시버거
로버트 엠. 라셀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5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92Capacitors with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9/93Variable capacitance diodes, e.g. va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92Capacitors with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9/94Metal-insulator-semiconductors, e.g. MOS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성이 증가되고 품질 계수(Q)가 높은 버랙터(22)뿐만 아니라, 버랙터(22)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CMOS 처리 기법 또는 종래의 BiCMOS 처리 기법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 1 전도형의 반도체 기판(12) 및 선택적으로 기판(12)의 상부 영역(11) 아래에 배치된 제 2 전도형의 서브컬렉터(14) 또는 분리 웰(즉, 도핑 영역)을 포함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제 1 전도형은 제 2 전도형과는 다르다. 다음에, 복수의 분리 영역들(16)이 기판(12)의 상부 영역(11)에 형성되고, 다음에 웰 영역이 기판(12)의 상부 영역(11)에 형성된다. 일부 경우에, 도핑 영역(14)이 본 발명 공정의 이 시점에서 형성된다. 웰 영역은 제 2 전도형의 외부 웰 영역들(20A, 20C) 및 제 1 전도형의 내부 웰 영역(20B)을 포함한다. 상기 웰 영역의 각각의 웰은 분리 영역(16)에 의해 상부 표면에서 분리된다. 다음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도형의 게이트 전도체(26)를 가진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내부 웰 영역(20B)에 형성된다.
제 1 전도형, 반도체 기판, 분리 영역들, 웰 영역,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Description

분리 웰을 이용한 MOS 버랙터{MOS VARACTOR USING ISOLATION WELL}
본 발명은, 일부 예들에서 노이즈, 예컨대, 기생성분을 감소시키는 네거티브 바이어싱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가변성(tunability)이 향상된 버랙터를 포함하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및 바이폴라/CMOS(BiCMOS) 전자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디바이스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랙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또는 휴대 전화기, PDA(personnel digital assistance) 및 다른 고 RF(무선 주파수)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버랙터는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 바이어스에 의해 제어되는 커패시턴스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으로, 버랙터는 예컨대, 주파수가 인가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이른바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예들에서, VCO는 가변 주파수가 필요할 때 또는 신호가 기준 신호에 동기되어야 할 때 사용된다.
모바일/휴대 전화기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VCO는 일반적으로, 무 선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와 동기되는 기준 신호의 발생, 변조/복변조 동작, 및 주파수 합성을 포함해서, 적합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위상 동기 루프 회로에 사용된다.
수많은 버랙터들이 개발되어 집적 회로 기술들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컨대, 바이폴라, CMOS 및 BiCMOS 기술에서 pn-다이오드, 쇼트키 다이오드 또는 MOS-다이오드를 버랙터로 이용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제목이 "이온 주입된 초계단형 접합 전압 가변 커패시터(Ion-Implanted Hyperabrupt Junction voltage Variable Capacitors)"인 알. 에이. 몰린(R. A. Moline) 등의 문헌(IEEE Trans. Electron. Device, ED-19, pp267f, 1972)에는, pn-다이오드들을 구비한 버랙터들이 기술되어 있다. 폭스할(Foxhall) 등의 미국 특허 제 3,638,300 호; 굿윈(Goodwin) 등의 미국 특허 제 4,226,648 호; 파블리디스(Pavlidis)등의 미국 특허 제 4,827,319 호; 및 느구엔(Nguyen) 등의 미국 특허 제 5,557,140 호에는, 초계단형(hyper-abrupt) 이온-주입 접합들을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가변 커패시터(즉, 버랙터) 다이오드들이 기술되어 있다. 용어 '조계단형'은 임플란트가 인접한 외부 베이스 영역의 벽과 접촉하는 도핑 프로파일을 갖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에, 엠브리(Embree) 등의 미국 특허 제 4,973,922 호; 스톨파(Stolfa) 등의 미국 특허 제 5,965,912 호; 및 리트윈(Litwin) 등의 미국 특허 제 6,100,770 호에는 버랙터로서 사용되는 MOS-다이오드가 기술되어 있다.
버랙터들의 집적도는 집적 회로 기술의 능력에 좌우된다. BiCMOS 기술에서 고 RF 응용들을 위한 집적 회로 디바이스의 개요가 예컨대, 제이. 엔. 벅하츠(J. N. Burghartz) 등의 문헌 "BiCMOS 기술에서의 집적된 RF 및 마이크로웨이브 구성요소(Integrated RF and Microwave Components in BiCMOS Technology)"(IEEE Trans. Electron Devices, Col. 43, pp1559, September 1996)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버랙터는 표준 BiCMOS 디바이스 세트의 일부가 아니다. 대신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베이스 접합을 버랙터로서 이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디바이스를 버랙터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가 다음의 기준들, 즉 (1) 가변성(즉, 최대 커패시턴스와 최소 커패시턴스의 비)가 높아야 한다는 기준(약 3 이상);(2) 품질 계수(Quality factor; Q)가 높아야 한다는 기준(약 20 이상); 및 (3) 디바이스가 선형성을 보여야 한다는 기준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공지된 종래 기술의 버랙터들의 다수는 상기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 예컨대, 전통적인 베이스-컬렉터 접합 버랙터들은 버랙터 가변성에 최적이 아닌 NPN 베이스-컬렉터 프로파일에 의존한다. 임플란트의 도핑 프로파일이 외부 베이스 영역의 “벽”에 배치된 초계단형 베이스-컬렉터 접합 버랙터들의 경우, 디바이스는 선형성이 부족하다. 전통적인 MOS 버랙터들의 경우, 가변성은 높으나, 훨씬 더 높은 가변성이 종종 요구된다.
종래 기술의 버랙터들의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을 감안하여, 상기 기준들을 충족하고 CMOS 및 BiCMOS 디바이스들과 집적될 수 있는, 새롭고 향상된 버랙터들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MOS 버랙터 설계들에서는, 벌크 기판으로부터 MOS 버랙터를 전기적으로 분리하기가 어렵다. 불충분한 전기적 분리로 인해 디바이스는 높은 기생성분, 예컨대, 노이즈를 가진다. 이와 같이, 충분한 전기적 분리를 갖고 있어 디바이스에서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버랙터 설계를 제공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은 가변성이 증가되고 품질 계수(Q)가 높은 버랙터뿐만 아니라, 그 버랙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CMOS 처리 기법 또는 종래의 BiCMOS 처리 기법에 통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넓은 용어로, 본 발명의 버랙터는,
제 1 전도형의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 2 전도형의 도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도형은 상기 제 2 전도형과 다름- 과,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웰 영역 -상기 웰 영역은 상기 제 2 전도형의 외부 웰 영역들 및 상기 제 1 전도형의 내부 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웰 영역의 각각의 웰은 분리 영역에 의해 상부 표면에서 분리됨- 과, 상기 내부 웰 영역 위에 배치된 상기 제 1 전도형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도체를 구비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BiCMOS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할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전도형의 도핑 영역은 서브컬렉터이다. CMOS 디바이스를 제조할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제 2 전도형의 도핑 영역이 분리 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버랙터는,
p-형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은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n-도핑 영역을 포함함- 과,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웰 영역 -상기 웰 영역은 외부 N-웰 영역들 및 내부 P-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웰 영역의 각각의 웰은 분리 영역에 의해 상부 표면에서 분리됨- 과, 상기 내부 P-웰 영역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p-형 게이트 전도체를 구비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버랙터는,
n-형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은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p-도핑 영역을 포함함- 과,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웰 영역 -상기 웰 영역은 외부 P-웰 영역들 및 내부 N-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웰 영역의 각각의 웰은 분리 영역에 의해 상부 표면에서 분리됨- 과, 상기 내부 N-웰 영역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n-형 게이트 전도체를 구비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버랙터 구조 이외에, 본 발명은 또한 버랙터 구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제 1 전도형의 반도체 기판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에 다수의 분리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상기 상부 영역에 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웰 영역은 상기 제 1 전도형과는 다른 제 2 전도형의 외부 웰 영역들 및 상기 제 1 전도형의 내부 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웰 영역의 각각의 웰은 분리 영역에 의해 상부 표면에서 분리됨- 와, 상기 내부 웰 영역 위에 상기 제 1 전도형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도체를 구비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기판은 기판의 상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 2 전도형의 도핑 영역을 포함한다. 도핑 영역은 상기 복수의 분리 영역들을 형성하기 전에 또는 상기 복수의 분리 영역들을 형성한 후에, 그러나 웰 영역 형성 전에 형성될 수 있다. 도핑 영역은 BiCMOS 또는 바이폴라 디바이스용 서브컬렉터 또는 CMOS 디바이스용 분리 웰일 수 있음에 주의한다.
바람직한 버랙터 구조의 경우에, 상기 방법은,
p-형 반도체 기판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에 다수의 분리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에 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웰 영역은 외부 웰 N-영역들 및 내부 P-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웰 영역의 각각의 웰은 분리 영역에 의해 상부 표면에서 분리됨- 와, 상기 내부 웰 영역 위에 적어도 하나의 p-형 게이트 전도체를 구비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기판은 기판의 상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 2 전도형의 도핑 영역을 포함한다. 도핑 영역은 상기 복수의 분리 영역들을 형성하기 전에 또는 상기 복수의 분리 영역들을 형성한 후에, 그러나 웰 영역 형성 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BiCMOS 또는 바이폴라 응용들을 위한 축적 버랙터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기본 처리 단계들을 (단면도를 통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n-웰 내의 NMOS(곡선 1), 종래 기술의 p-웰 내의 PMOS(곡선 2) 및 본 발명의 PMOS 축적 버랙터의 CV 특성(커패시턴스 밀도 대 게이트 전압 Vg)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CMOS 응용을 위한 축적 버랙터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이용된 기본 처리 단계들을 (단면도를 통해) 예시한 도면이다.
가변성이 향상되고 기생성분, 즉, 노이즈가 감소된 MOS 버랙터뿐만 아니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도면은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일정한 비례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그려진 것이 아님에 주의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동일 및 대응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참조한다.
다음 설명에서, 교번하는 N-웰, P-웰, 및 N-웰 레이아웃 및 n-형 서브컬렉터를 포함하는 BiCMOS 및 바이폴라 응용을 위한 PMOS 버랙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배열이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또한 교번하는 P-웰, N-웰, 및 P-웰 레이아웃 및 p-형 서브컬렉터를 포함하는 BiCMOS 또는 바이폴라 응용을 위한 NMOS 버랙터를 고려한다. NMOS 버랙터는 PMOS 버랙터와는 반대인 도펀트 전도성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예컨대,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BiCMOS 또는 바이폴라 응용을 위해, 기판에 존재하는 제 1 전도형 도펀트와는 다른 제 2 전도형의 도핑 영역을 나타내는 서브컬렉터가 존재함에 주의한다. CMOS 응용에서, 기판에 존재하 는 제 1 전도형 도펀트와는 다른 제 2 전도형의 도핑 영역을 나타내는 분리 웰이 존재한다. 도핑 영역은 분리 영역들을 형성하기 전 또는 분리 영역 형성 후에, 그러나 본 발명의 웰 영역 형성 전에 형성될 수 있다.
먼저, n+ 서브컬렉터(14)가 반도체 기판(12)의 일부에 형성된 후에 형성된 초기 구조(10)를 예시한 도 1A를 참조한다. 반도체 기판(12)은 예컨대, Si, SiGe, SiGeC, SiC, GaAs, InAs, InP를 포함한 반도체 재료 또는 예컨대, SOI(silicon-on-insulator), SGOI(SiGe-on-insulator), 및 Si/SiGe와 같은 적층된 반도체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반도체 기판(12)은 p-형 기판이다. 기판(12)은 기판 재료 자체를 포함할 수 있는 상부 영역(11), 또는 n+ 서브컬렉터(14)를 형성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는 선택적 에피택셜 성장 반도체 층을 포함함에 주의한다.
n+ 서브컬렉터(14)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종래의 이온 주입 공정 및 조건을 이용하여 As 또는 P와 같은 n-형 도펀트 원자들을 주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임플란트는 전체 기판에 걸쳐 연속적인 서브컬렉터(14)를 제공하는 블랭킷(blanket) 임플란트일 수 있고, 또는 기판의 특정 부분 내에 별개의 서브컬렉터를 형성하는데 마스크 이온 주입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한가지 가능한 n-형 도펀트는 약 1E14 내지 약 5E16 원자들/cm2의 도핑 조사량(dosage)으로 약 20 내지 약 100 keV의 에너지로 주입될 수 있는 As이다. 위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다른 도펀트 이온 및/또는 주입 조건을 이용할 수도 있다. n+ 서브컬렉터(14)는 기판(1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약 300 내지 약 2000 nm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된 도펀트의 타입에도 불구하고, 서브컬렉터(14)는 일반적으로 약 1E18 내지 약 1E20 원자들/cm3의 도펀트 농도를 가지며, 약 1E19 내지 약 1E20 원자들/cm3의 도펀트 농도가 보다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이 시점에서, 서브컬렉터(14)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서브컬렉터(14)는 공정 중에 나중에, 즉, 분리 영역 형성 후에, 그러나 웰 영역 형성 전에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종래의 에피택셜 성장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또는 SiGe와 같은 에피택셜 반도체 층이 반도체 기판(12)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이 에피택셜 층은 도 1A에 나타낸 영역 11에 대응한다.
다음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리 영역들(16)이 반도체 기판(12)의 상부 영역(11)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 시점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분리 영역들(16)은 LOCOS(local oxidation of silicon) 분리 영역들일 수 있고,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분리 영역들(16)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 분리 영역이다. 분리 영역들(16)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공정들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예컨대, 분리 영역들(16)이 LOCOS 분리 영역으로 구성될 때에는, 이와 같은 분리 영역들을 형성하는데 LOCOS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분리 영역들(16)이 트렌치 분리 영역들로 구성될 때에는, 트렌치 분리 영역들은 리소그래피, 에칭 및 트렌치 필(trench fill)(즉, TEOS(tetratethylorthosilicate) 또는 HDPO(high- density plasma oxide)와 같은 트렌치 유전층 증착)에 의해 형성된다.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또는 연마(grinding)와 같은 평탄화 공정이 선택적으로 트렌치 필 이후에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치밀화(densification)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분리 영역들(16)은 기판(12)의 상부 영역(11)에 형성되고, n+ 서브컬렉터(14) 아래로 연장되지 않는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인접 분리 영역들이 디바이스 영역(18)을 정의한다.
다음에, 교번하는 전도성의 웰 영역이 이온 주입 및 어닐링을 통해 형성된다. 도 1C에 도시된 예에서, 교번하는 전도성의 웰 영역은 제 1 N-웰 영역(20A), P-웰 영역(20B), 및 제 2 N-웰 영역(20C)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안적인 도핑 구조가 웰 영역을 위해 형성된다. 도 1C에 도시된 예에서, P-웰 영역("액티브 웰")(20B)은 디바이스 영역(18) 내에 배치된다. N-웰 영역들(20A, 20C)은 디바이스 영역(18)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여기서는 "리치-쓰루(reach-through) 임플란트 영역"이라고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웰 영역들은 분리 영역들(16)의 아래로 연장되어, 각각의 인접 웰 영역이 인접 웰 영역, 예컨대, 20A 및 20B와 접촉한다. 웰 영역들(20A, 20B, 20C)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서브컬렉터(14)의 표면 쪽으로 아래로 연장된다. 웰 영역들(20A, 20C)은 서브컬렉터(14) 또는 분리 웰(14)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데 사용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웰 영역들은 이온 주입 및 어닐링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웰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도펀트의 타입은 버랙터의 최종 극성에 따라 좌우된다. N-웰을 형성하는 데는 As 및 P와 같은 원소 주기율표의 VA 족의 원소와 같은 N-형 도펀트가 이용되는 반면에, P-웰을 형성하는데는 B, In 및 Ga와 같은 원소 주기율표의 IIIA족의 원소와 같은 p-형 도펀트가 이용된다.
사용된 도펀트의 타입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웰 영역은 일반적으로 약 1E17 내지 약 1E19 원자들/cm3의 도펀트 농도를 가지며, 약 1E17 내지 약 1E18 원자들/cm3의 도펀트 농도가 보다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마스크 이온 주입 공정을 이용하여 선택적 도펀트 이온 타입이 반도체 기판(12)의 일부에 주입된다. 외부 웰 영역들(20A, 20C)은 동일 주입 조건을 이용하여 동일 시간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외부 웰 영역들(20A, 20C)은 상이한 주입 조건을 이용하여 상이한 시간에 형성될 수 있다. 주입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웰 영역(20B)은 웰 영역들(20A, 20C) 전 또는 후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웰 영역을 형성하는데 이용된 주입 조건은 종래의 것이고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N-웰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주입 조건은 약 1E12 내지 약 8E15 원자들/cm2의 n-형 도펀트 조사량 및 약 30 내지 약 1000 keV의 에너지를 포함할 수 있다. P-웰 영역은 약 1E12 내지 약 8E13 원자들/cm2의 p-형 도펀트 조사량 및 약 30 내지 약 600 keV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기술에서 리치-쓰루(n-형) 임플란트가 이용 가능한 경우, 이 임플란트를 표준 N-웰 임플 란트로 대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리치-쓰루 임플란트는 Sb와 같은 n-형 도펀트를 포함하고, 도펀트 조사량는 5E13 내지 5El4이고, 에너지는 100 내지 300 keV이다.
이온 주입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이온 주입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각진(angled) 이온 주입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어닐링 공정은 각각의 웰 영역 내의 도펀트를 활성화하는데 이용된다. 단일 어닐링 단계는 웰 영역이 형성된 후 이용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어닐링 공정은 각각의 개별적인 웰 영역의 주입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어닐링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900°C 이상이며, 약 1000°C 이상의 어닐링 온도가 보다 일반적이다. 어닐링 시간은 이용된 어닐링 공정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RTA(rapid thermal anneal) 공정, 레이저 어닐링, 또는 스파이크 어닐링을 위해서는 약 5 분 이하의 어닐링 시간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반면에, 노(furnace) 어닐링을 위해서는 약 30분 이상의 어닐링 시간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웰 영역들의 활성화는 본 발명의 공정 내의 다른 열적 사이클이 수행될 때까지는 지연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예컨대, 웰 영역들은 소스/드레인 확산 활성화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나중의 열 공정까지의 웰 영역들의 활성화를 지연시키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전체 공정 내에서 열 사이클들의 개수, 따라서 비용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종래의 CMOS 공정을 이용하여 도 1D에 도시된 버랙터(22)를 제공한다. 도 1D에 도시된 버랙터(22)는 게이트 유전층(24), 게이트 전 도체(26),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도체(26)의 측벽들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30), 및 기판(10)의 상부 부분에 배치된 소스/드레인 영역들(32)을 포함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를 구비함에 주의한다. 버랙터(22)는 중간 웰 영역, 즉, P-웰 영역(20B)의 최상부의 디바이스 영역(18) 내에 배치된다.
도 1D에 도시된 버랙터(22)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하나의 종래의 CMOS 공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즉, 반도체 기판(12)을 포함하는 도 1C에 도시된 구조의 전체 표면상에 그리고 분리 영역들(16)의 최상부에 게이트 유전층(24)이 형성된다(이들이 증착된 유전층으로 구성된 경우).
게이트 유전층(24)은 예컨대, 산화, 질화(nitridation) 또는 산질화(oxy nitridation)와 같은 열 성장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게이트 유전층(24)은 예컨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CVD(plasma assisted CVD), ALD(atomic layer deposition), 증착, 반응성 스퍼터링, 화학 용액 증착 및 다른 유사한 증착 공정들과 같은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유전층(24)은 또한 상기 공정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유전층(24)은 산화물, 질화물, 산질화물 및/또는 금속 실리케이트 및 질화 금속 실리케이트를 포함한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서, 게이트 유전층(24)은 예컨대, SiO2, HfO2, ZrO2, Al203, TiO2, La203, SrTiO3, LaAlO3, 및 그 혼합물과 같은 산화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유전층(24)의 물리적 두께는 변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게이트 유전층(24)은 약 0.5 내지 약 10 nm의 두께를 가지며, 약 0.5 내지 약 3 nm의 두께가 보다 일반적이다.
게이트 유전층(24)을 형성한 후, 예컨대, 물리 증기 증착, CVD 또는 증착과 같은 공지된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도 1D에 도시된 게이트 전도체(26)가 되는 폴리 실리콘(즉, polySi)의 블랭킷 층이 게이트 유전층(24) 상에 형성된다. 폴리실리콘의 블랭킷 층은 도핑될 수도 있고 도핑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핑되는 경우, 상기 블랭킷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인시츄(in-situ) 도핑 증착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도핑된 폴리Si 층은 증착, 이온 주입 및 어닐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폴리Si 층의 도핑은 형성된 게이트의 일함수를 시프트시킨다. 도펀트 이온들의 예는 As, P, B, Sb, Bi, In, Al, Ga, Tl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p-도핑된 폴리실리콘 게이트 전도체(26)가 형성된다. 이온 주입을 위한 바람직한 도우즈는 1E14(=1×1014) 내지 1E16(=1×1016) 원자들/cm2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E15 내지 5E15 원자들/cm2이다. 본 발명의 이 시점에서 증착된 폴리실리콘 층의 두께, 즉, 높이는 이용된 증착 공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실리콘 층은 약 20 내지 약 180 nm의 수직 두께를 가지며, 약 40 내지 약 150 nm의 두께가 보다 일반적이다.
사용된 도펀트의 타입에도 불구하고, 게이트 전도체(26)는 일반적으로 약 1E 19 내지 약 1E21 원자들/cm3의 도펀트 농도를 가지며, 약 5E19 내지 약 5E20 원자들 /cm3의 도펀트 농도가 보다 일반적이다.
폴리실리콘의 블랭킷 층(26)의 증착 후, 예컨대, 물리 증기 증착 또는 화학 증기 증착과 같은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하드 마스크(28)를 폴리실리콘의 블랭킷 층(26)의 최상부에 형성한다. 하드 마스크(28)는 산화물, 질화물, 산질화물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예컨대, Si3N4과 같은 질화물이 하드 마스크(28)로 이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드 마스크(28) 는 SiO2와 같은 산화물이다. 하드 마스크(28)의 두께, 즉, 높이는 약 20 내지 약 180 nm이며, 약 30 내지 약 140 nm의 두께가 보다 일반적이다.
다음에, 적어도 하나의 패터닝된 게이트 스택을 제공하기 위해, 블랭킷 폴리실리콘 층(26) 및 하드 마스크(28)를 리소그래피 및 에칭에 의해 패터닝한다. 디바이스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터닝된 게이트 스택들은 동일 치수, 즉,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또는 가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시점에서 각각의 패터닝된 게이트 스택은 폴리Si 게이트 전도체(26) 및 하드 마스크(28)를 포함한다. 리소그래피 단계는 포토레지스트를 하드 마스크(28)의 상부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를 원하는 패턴의 방사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종래의 레지스트 현상액을 이용하여 노출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에, 하나 이상의 건식 에칭 단계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을 하드 마스크(28) 및 폴리실리콘의 블랭킷 층(26)으로 전사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턴이 하드 마스크(28)로 전사된 후,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서는, 에칭이 완료된 후,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다.
하드마스크(28)는 일반적으로 게이트 패터닝 공정 동안 또는 그 후 제거됨에 주의한다. 하드마스크(28)는 일반적으로 최종 구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 1D를 참조한다.
패터닝된 게이트 스택을 형성할 때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적합한 건식 에칭 공정들은 반응성 이온 에칭, 이온 빔 에칭, 플라즈마 에칭 또는 레이저 제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용되는 건식 에칭 공정은 일반적으로 하부 게이트 유전층(24)에 대해 선택적이며, 따라서 이 에칭 단계는 일반적으로 게이트 유전층(24)을 제거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에칭 단계는 게이트 스택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게이트 유전층(24)의 부분들을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 패터닝된 게이트 스택의 노출된 측벽들 상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30)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30)는 산화물, 질화물, 산질화물 및/또는 그 조합과 같은 절연체로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증착 및 에칭에 의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30)의 폭은 (후속으로 형성될) 소스 및 드레인 실리사이드 콘택들이 게이트 스택의 에지 아래로 침식하지 않도록 충분히 넓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소스/드레인 실리사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30)가 바닥에서 측정된 약 15 내지 약 80 nm의 폭을 갖고 있을 때는 게이트 스택의 에지 아래로 침식하지 않는다.
스페이서 형성 후, 소스/드레인 영역들(32, 32')을 기판(12)에 형성한다. 소스/드레인 영역들(32, 32')은 이온 주입 및 어닐링 단계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어닐링 단계는 이전 주입 단계에 의해 주입된 도펀트들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온 주입 및 어닐링 조건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용어 "소스/드레인 영역들"은 딥(deep) 소스/드레인 확인 영역들, 선택적 할로(halo) 임플란트, 및 소스/드레인 확장 영역을 포함한다.
다음에, 게이트 유전층(24)의 노출된 부분이 이전에 제거되지 않은 경우, 그 노출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게이트 유전층(24)을 제거하는 화학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이 에칭 단계는 반도체 기판(12)의 상부 표면뿐만 아니라 분리 영역들(16)의 상부 표면에서 멈춘다. 게이트 유전층(24)의 노출된 부분들을 제거할 때 화학 에천트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일실시예에서는 DHF(dilute hydrofluoric acid)를 이용한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종래의 소스/드레인 실리사이드화(silicidation) 공정 및 금속 게이트 실리사이드화 공정들을 이용함으로써, 소스/드레인 영역들(32, 32') 및, 선택적으로, 게이트 전도체(24)의 적어도 일부가 본 발명의 이 시점에서 실리사이드화될 수 있다.
도 1D는 BiCMOS 또는 바이폴라 응용을 위한 본 발명의 구조, 즉, 웰 기법 및 하부 서브컬렉터를 포함하는 기판(12)의 최상부에 배치된 버랙터(22)를 나타냄에 주의한다. 도면에서, 버랙터(22)는 p-형 폴리실리콘 게이트 전도체(26), 하부 P-웰 영역(20B), 분리 영역들(16)에 의해 버랙터로부터 분리된 인접 N-웰 영역 들(20A, 20C), 및 p-형 반도체 기판(12)의 몸체로부터 P-웰 영역(20B)을 분리시키는 하부 n+ 서브컬렉터(14)를 포함한다. 반대 극성 타입의 구조, 즉, n-형 폴리실리콘 게이트 전도체(26), 하부 N-웰 영역(20B), 분리 영역들(16)에 의해 버랙터 구조로부터 분리된 인접 P-웰 영역들(20A, 20C), N-웰 영역(28B)을 n-형 반도체 기판(12)의 몸체로부터 분리하는 하부 p+ 서브컬렉터(14)가 가능하다.
도 1D에 나타낸 구조는 바람직한데, 이는 공핍에서 동작하는 네거티브 바이어스 축적 버랙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른 버랙터들(22)은 필요한 경우 기판(12)의 표면상에 형성될 수 있음에 주의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N-웰 내의 NMOS(곡선 1), 종래 기술의 P-웰 내의 PMOS(곡선 2) 및 본 발명의 웰 기법 및 하부 n+ 서브컬렉터 또는 분리 웰을 가진 P-웰 내의 버랙터 PMOS의 CV 특성을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부터 관찰되는 바와 같이, 곡선 1 및 2에 비해 본 발명의 버랙터의 최소 커패시턴스가 감소하며, 따라서 디바이스의 가변성을 증가시킨다. 이 최소 커패시턴스의 감소는 n-형 서브컬렉터 또는 분리 웰의 약간의 반대 도핑의 영향 때문이다. 이는 본 발명의 P-웰 내의 p-형 도펀트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최소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킨다.
도 3A 내지 도 3C는 CMOS 응용을 위한 버랙터를 형성할 때 이용되는 처리 단계들을 예시한다. 공정은 구조 기판(12)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분리 영역들(16)을 가진 반도체 기판(12)을 포함하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먼저 제공함으로써 개시된다. 상기 복수의 분리 영역들(16)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영역(18)은 2개의 인접 분리 영역들 사이에 형성된다. 반도체 기판(12)은 제 1 전도형 도펀트(n- 또는 p-형)로 도핑된다.
다음에, 분리 웰(14)(즉, 제 2 전도형의 도펀트 영역)이 p- 또는 n-형 도펀트를 도 3A에 도시된 구조로 이온 주입함으로써 형성되어, 도 3B에 도시된 구조가 생성된다. 분리 웰 영역(14)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종래의 주입 공정들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웰 영역들(20A, 20B, 20C)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20A 및 20C는 분리 웰 영역(14)과 동일한 전도형 도펀트를 가진 리치-쓰루 임플란트인 반면에, 액티브 웰 영역(20B)은 기판과 동일한 전도형 도펀트를 갖고 있음에 주의한다. 결과적인 구조가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처리는 도 1D에 도시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도 3C에 도시된 구조상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성이 증가되고 품질 계수(Q)가 높은 버랙터 및 버랙터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특히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 사항의 상기 변경 및 다른 변경을 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설명 및 예시된 정확한 형태 및 세부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취지 및 범위에 속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10)

  1. 버랙터(varactor) 구조물에 있어서,
    제 1 전도형의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제 2 전도형의 도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도형은 상기 제 2 전도형과 다름- 과,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웰 영역 -상기 웰 영역은 상기 제 2 전도형의 외부 웰 영역들 및 상기 제 1 전도형의 내부 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웰 영역의 각각의 웰은 분리 영역에 의해 상부 표면에서 분리됨- 과,
    상기 내부 웰 영역 위에 배치된 상기 제 1 전도형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도체를 구비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버랙터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형은 p-형 도펀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도형은 n-타입 도펀트를 포함하는, 버랙터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형은 n-형 도펀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도형은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버랙터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핑 영역은 서브컬렉터(subcollector) 또는 분리 웰인, 버랙터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웰 영역은 인접하는 웰 영역들이 서로 컨택하도록 상기 분리 영역 아래로 연장되는, 버랙터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은 에피택셜 반도체 층을 포함하는, 버랙터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전도체 아래에 배치된 게이트 유전체, 상기 게이트 전도체 상에 배치된 하드 마스크, 상기 게이트 전도체의 측벽들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인접 소스/드레인 영역들을 더 포함하는 버랙터 구조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도체는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는 버랙터 구조물.
  9. 버랙터 구조물에 있어서,
    p-형 반도체 기판 -상기 p-형 반도체 기판은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 아래에 배치된 n-도핑 영역을 포함함- 과,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웰 영역 -상기 웰 영역은 외부 N-웰 영역들 및 내부 P-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웰 영역의 각각의 웰은 분리 영역에 의해 상부 표면에서 분리됨- 과,
    상기 내부 P-웰 영역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p-형 게이트 전도체를 구비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버랙터 구조물.
  10. 버랙터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도형의 반도체 기판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에 다수의 분리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상기 상부 영역에 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웰 영역은 상기 제 1 전도형과는 다른 제 2 전도형의 외부 웰 영역들 및 상기 제 1 전도형의 내부 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웰 영역의 각각의 웰은 분리 영역에 의해 상부 표면에서 분리됨- 와,
    상기 내부 웰 영역 위에 상기 제 1 전도형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도체를 구비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도형의 도핑 영역은 상기 다수의 분리 영역들의 형성 이전, 또는 직후에 상기 기판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버랙터 구조물 제조 방법.
KR1020077003435A 2004-08-27 2005-08-05 분리 웰을 이용한 mos 버랙터 KR101013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11,144 US7714412B2 (en) 2004-08-27 2004-08-27 MOS varactor using isolation well
US10/711,144 2004-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219A true KR20070053219A (ko) 2007-05-23
KR101013251B1 KR101013251B1 (ko) 2011-02-09

Family

ID=3594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435A KR101013251B1 (ko) 2004-08-27 2005-08-05 분리 웰을 이용한 mos 버랙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14412B2 (ko)
EP (1) EP1800343A4 (ko)
JP (1) JP2008511989A (ko)
KR (1) KR101013251B1 (ko)
CN (1) CN101015058A (ko)
TW (1) TWI353654B (ko)
WO (1) WO20060260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3026A1 (en) * 2005-07-12 2007-01-18 Ching-Hung Kao Vara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936041B2 (en) * 2006-09-15 2011-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hottky barrier diodes for millimeter wave SiGe BICMOS applications
US20080149983A1 (en) * 2006-12-20 2008-06-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al-oxide-semiconductor (mos) varactors and methods of forming mos varactors
US7598560B2 (en) * 2007-03-30 2009-10-06 Kavalieros Jack T Hetero-bimos injection process for non-volatile flash memory
CN103593698B (zh) * 2008-04-07 2017-05-03 瑞章科技有限公司 利用光对rfid标签进行子集选择
US7804119B2 (en) * 2008-04-08 2010-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vice structures with a hyper-abrupt P-N junction, methods of forming a hyper-abrupt P-N junction, and design structures for an integrated circuit
CN101924142B (zh) * 2009-06-17 2011-09-14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GaAs肖特基变容二极管及其制作方法
TWI513011B (zh) * 2011-07-06 2015-12-1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差動可變電容元件
US9236466B1 (en) 2011-10-07 2016-01-12 Mie Fujitsu Semiconductor Limited Analog circuits having improved insulated gate transistors, and methods therefor
JP2013143446A (ja) * 2012-01-10 2013-07-22 Sony Corp 容量素子、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US8586439B1 (en) 2012-07-11 2013-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version mode varactor
CN106485290B (zh) 2015-08-24 2019-08-13 瑞章科技有限公司 增强标签反向散射能量的装置及方法
KR102345676B1 (ko) * 2015-09-09 2021-12-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모스 버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소자
US9960284B2 (en) * 2015-10-30 2018-05-01 Globalfoundries Inc. Semiconductor structure including a varactor
US9882066B1 (en) 2017-02-10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Transcap manufacturing techniques without a silicide-blocking mask
US10840387B2 (en) * 2018-04-05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Buried oxide transcap devices
US10622491B2 (en) 2018-06-21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Well doping for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varactor
US10958216B2 (en) 2019-08-22 2021-03-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2090A (en) * 1996-04-04 1998-04-21 Advanced Micro Devices, Inc. Narrow width trenches for field isolation in integrated circuits
EP0902483B1 (en) 1997-09-11 2008-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a voltage dependant capaci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172378B1 (en) * 1999-05-03 2001-01-09 Silicon Wave, Inc. Integrated circuit varactor having a wide capacitance range
US6351020B1 (en) * 1999-11-12 2002-02-26 Motorola, Inc. Linear capacitor structure in a CMOS process
US6566971B1 (en) * 2000-02-24 2003-05-2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circuitry for implementing a differentially tuned varactor-inductor oscillator
US6407412B1 (en) * 2000-03-10 2002-06-18 Pmc-Sierra Inc. MOS varactor structure with engineered voltage control range
US6917095B1 (en) * 2000-05-30 2005-07-12 Altera Corporation Integrated radio frequency circuits
US6521939B1 (en) * 2000-09-29 2003-02-18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High performance integrated varactor on silicon
US7053465B2 (en) * 2000-11-28 2006-05-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or varactor with reduced parasitic resistance
JP5073136B2 (ja) * 2001-08-24 2012-11-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0425578B1 (ko) * 2001-09-17 2004-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iGe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 및 그 제조 방법
US6542043B1 (en) * 2001-10-16 2003-04-01 Broadcom Corporation All PMOS fully differential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SE520590C2 (sv) 2001-11-15 2003-07-29 Ericsson Telefon Ab L M Halvledarprocess och PMOS-varaktor
US6521506B1 (en) * 2001-12-13 2003-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actors for CMOS and BiCMOS technologies
US6670654B2 (en) * 2002-01-09 2003-12-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germanium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with carbon incorporation
JP3877597B2 (ja) * 2002-01-21 2007-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端子型mosバラクタ
US6608362B1 (en) * 2002-08-20 2003-08-19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capacitive and magnetic effects from a substrate by using a schottky diode under passive components
TW575989B (en) * 2002-09-25 2004-02-11 Mediatek Inc NPN Darlington ESD protection circuit
JP2004235577A (ja) * 2003-01-31 2004-08-19 Nec Electronics Corp 電圧制御可変容量素子
US6847095B2 (en) * 2003-04-01 2005-01-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ariable reactor (varactor) with engineered capacitance-voltage characteristics
JP4636785B2 (ja) * 2003-08-28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949440B2 (en) * 2003-11-11 2005-09-27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forming a va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14412B2 (en) 2010-05-11
TWI353654B (en) 2011-12-01
CN101015058A (zh) 2007-08-08
TW200610103A (en) 2006-03-16
WO2006026055A2 (en) 2006-03-09
US20060043454A1 (en) 2006-03-02
EP1800343A4 (en) 2008-11-19
JP2008511989A (ja) 2008-04-17
EP1800343A2 (en) 2007-06-27
WO2006026055A3 (en) 2006-12-14
KR101013251B1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251B1 (ko) 분리 웰을 이용한 mos 버랙터
US7135375B2 (en) Varactors for CMOS and BiCMOS technologies
US7705426B2 (en) Integration of a SiGe- or SiGeC-based HBT with a SiGe- or SiGeC-strapped semiconductor device
US6475838B1 (en) Methods for forming decoupling capacitors
US7518215B2 (en) One mask hyperabrupt junction varactor using a compensated cathode contact
US5965912A (en) Variable capaci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6630377B1 (en) Method for making high-gain vertical bipolar junction transistor structures compatible with CMOS process
US7183628B2 (en) Structure and method of hyper-abrupt junction varactors
US7560798B2 (en) High performance tapered varactor
US20080149983A1 (en) Metal-oxide-semiconductor (mos) varactors and methods of forming mos varactors
US2007023201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junction varactor with high q factor
US6660616B2 (en) P-i-n transit time silicon-on-insulator device
US20080169495A1 (en) Fin differential mos varactor diode
US6686640B2 (en) Varactor having improved Q-fa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ing SiG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US7554174B2 (en) Bipolar transistor having semiconductor patterns filling contact windows of an insulating layer
US7491632B2 (en) Buried subcollector for high frequency passive semiconductor devices
KR20020050702A (ko) SiGe BiCMOS 집적 설계에 의한 폴리-폴리 캐패시터의제조방법
US9748270B2 (en) Tunable capacitor for FDSOI applications
US20050045992A1 (en) Bipolar/thin film SOI CMOS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