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578B1 - SiGe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SiGe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578B1
KR100425578B1 KR10-2001-0057175A KR20010057175A KR100425578B1 KR 100425578 B1 KR100425578 B1 KR 100425578B1 KR 20010057175 A KR20010057175 A KR 20010057175A KR 100425578 B1 KR100425578 B1 KR 10042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ollector
silicon
film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155A (ko
Inventor
민봉기
서동우
강진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5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578B1/ko
Priority to US10/044,107 priority patent/US6686640B2/en
Publication of KR2003002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0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1/045Manufacture or treatment of capaci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vara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2Capaci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1/64Variable-capacitance diodes, e.g. vara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0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10D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1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heterojunction BJTs [HBT]

Landscapes

  • Bipolar Transistor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버렉터는, 소자 분리막에 의해 한정되는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 위에서 활성 영역 중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에미터 전극 및 컬렉터 전극이 배치되고, 제1 영역에 인접한 소자 분리막 위의 제3 영역에는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과 컨택되는 베이스 전극이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실리콘-저매니움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것이다. 이 버렉터에 따르면, 제1 영역에는 반도체 기판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과,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컬렉터 영역과,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과,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위에 형성된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컨택되도록 형성된 제1 전극막이 배치되고, 제2 영역에는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컬렉터 컨택 영역과, 컬렉터 컨택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전극막이 배치되고, 그리고 제3 영역에서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막 및 베이스 전극이 제거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iGe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 및 그 제조 방법{Varactor having improved Q-factor using SiG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변 용량 특성을 갖는 버랙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SiGe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렉터(varactor)는 인가 전압 또는 전류원에 따라서 리액턴스 성분이 변하는 소자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PN 접합에 인가되는 역방향 바이어스의 크기에 따라 디플리션 영역의 폭이 변경되는 것을 이용하여 리액턴스 성분을 변화시키는 소자를 의미한다.
높은 Q-인자를 요구하는 분야에 버렉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우수한 동작 특성을 얻기 위해 가변 리액턴스 값에 기생하는 저항 성분이 최소로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제어 전압에 의해 발진 주파수를 가변으로 할 수 있는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controlled oscillator)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버렉터의 Q-인자는 인덕터의 Q-인자와 함께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의 공진기의 Q-인자를 결정하는 동시에 발진 신호의 위상 잡음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높은 Q-인자를 갖는 버렉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CMOS(Complementary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을 이용하여 축적 모드(accumulation mode)와 공핍 모드(depletion mode)를 이용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J.N.Burghartz;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Vol.32, No.9, 1997, pp1440-1445). 그러나 이 방법은 C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CMOS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 또는 BiCMOS(Bipolar Complementary MOS)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특히 CMOS 트랜지스터 소자의 경우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산화막의 계면에서 잡음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소자의 1/f(f:주파수) 잡음이 커져서 결국전압 제어 발진기의 위상 잡음이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 SiGe HBT(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를 이용하여 버렉터를 제조하는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SiGe HBT는 베이스 영역에서의 에너지 밴드 갭을 감소시킴으로써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SiGe HBT의 구조, 특히 자기 정렬형 SiGe HBT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형 기판(100)의 상부 표면에 n+형 매몰 컬렉터 영역(101)이 형성된다. n+형 매몰 컬렉터 영역(101) 위에는 n형 컬렉터 영역(102) 및 n+형 컬렉터 컨택 영역(103)이 소자 분리막(104)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n형 컬렉터 영역(102) 위에는 p+형 SiGe 베이스 영역(105)이 얇게 형성되는데, 이 p+형 SiGe 베이스 영역(105)은 소자 분리막(104) 위로 연장된다. p+형 SiGe 베이스 영역(105) 상부 표면 위와 n+형 컬렉터 컨택 영역(103) 위에는 n+형 폴리실리콘막이 형성된다. p+형 SiGe 베이스 영역(105) 상부 표면 위의 n+형 폴리실리콘막은 n+형 에미터 영역(106)이고, n+형 컬렉터 컨택 영역(103) 위의 n+형 폴리실리콘막은 컬렉터 도전막(107)이다.
p+형 SiGe 베이스 영역(105)은 베이스 전극(108)과 전기적으로 컨택되고, n+형 에미터 영역(106)은 에미터 전극(109)와 전기적으로 컨택되며, 그리고 n+형 컬렉터 컨택 영역(103)은 컬렉터 전극(111)과 전기적으로 컨택된다. 각 영역들(105, 106, 103)과 각 전극들(109, 110, 111) 사이에는 각각 티타늄 실리사이드막(112)이 개재된며, 각 전극들(109, 110, 111)은 절연막(113)에 의해 상호 절연된다. 한편 참조 부호 "114"는 소자 분리를 위한 불순물 영역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115"는p+형 외부 베이스 영역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자기 정렬형 SiGe HBT를 이용한 버렉터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영역 또는 층을 나타낸다.
도 2의 버렉터를 도 1의 자기 정렬형 SiGe HBT와 비교하면, pn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n+형 에미터 영역(106)이 p+형 베이스 영역(105)과 절연막(113)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되며, 또한 에미터 전극(도 1의 110)도 제거된다. 이에 따라 n+형 컬렉터 영역(101) 및 컬렉터 전극(111)은 각각 캐소드 영역 및 캐소드 전극으로서 작용하고, p+형 베이스 영역(105) 및 베이스 전극(109)은 각각 애노드 영역 및 애노드 전극으로서 작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버렉터의 경우, p+형 베이스 영역(105)이 티타늄 실리사이드층(112)을 개재하여 베이스 전극(109)과 컨택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생 저항 성분이 존재하므로 소자의 Q-인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버렉터들을 멀티 핑거(multi finger) 형태로 구현할 경우, 인접한 버렉터들의 베이스를 연결시키기 위한 면적 확보로 인하여, n+형 매몰 컬렉터 영역(101)이 길어질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컬렉터 직렬 저항이 증가하여 Q-인자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소자 분리막(104)으로 인하여 베이스영역(105)과 컬렉터 영역(102)이 중첩되어 형성되는 기생 커패시턴스는 버렉터 고유의 커패시턴스와 병렬로 연결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체 커패시턴스를 증대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상 잡음 특성이 좋은 SiGe 이종 접합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Q-인자 특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버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버렉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SiGe 이종 접합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SiGe 이종 접합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버렉터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버렉터, 도 3의 버렉터 및 도 4의 버렉터의 다이오드 전압-전류 특성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나타내보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2의 버렉터, 도 3의 버렉터 및 도 4의 버렉터의 바이어스 전압에 대한 커패시턴스 및 Q-인자 특성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나타내보인 그래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400...p형 반도체 기판 301, 401...n+형 매몰 컬렉터 영역
302, 402...n형 컬렉터 영역 303, 403...n+형 컬렉터 컨택 영역
304, 404...소자 분리막 305, 405...p+형 SiGe 베이스 영역
406...n+형 도전막 307, 407...n+형 폴리실리콘막
309, 409...제1 금속막 311, 411...제2 금속막
312, 412...금속 실리사이드막 313, 413...절연막
314, 414...불순물 영역 315, 415...p+형 외부 베이스 영역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는,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 상기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의 제1 표면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컬렉터 영역; 상기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의 제2 표면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컬렉터 컨택 영역; 상기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위에 형성된 금속 실리사이드막;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컨택되도록 형성된 제1 전극막; 및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전극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및 상기 제2 전극막 사이에 형성된 컬렉터 도전막 및금속 실리사이드막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컬렉터 도전막은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일 수 있다.
상기 컬렉터 영역과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외부 베이스 영역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는,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 상기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의 제1 표면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컬렉터 영역; 상기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의 제2 표면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컬렉터 컨택 영역; 상기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위에 형성된 도전막; 상기 도전막 위에 형성된 금속 실리사이드막;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컨택되도록 형성된 제1 전극막; 및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전극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막은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및 상기 제2 전극막 사이에 형성된 컬렉터 도전막 및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컬렉터 도전막은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의 제조 방법은,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상부에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컬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몰 컬렉터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위에 제2 도전형의 컬렉터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소자 분리막에 의해 상기 컬렉터 에피층을 분리시켜 컬렉터 영역 및 컬렉터 컨택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 분리막, 상기 컬렉터 영역 및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위에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컬렉터 영역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도록 한정되는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위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표면과 직접 컨택되도록 제1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위에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이 도핑된 컬렉터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렉터 도전막 위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표면과 직접 컨택되도록 제2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의 제조 방법은,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상부에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몰 컬렉터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위에 제2 도전형의 컬렉터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소자 분리막에 의해 상기 컬렉터 에피층을 분리시켜 컬렉터 영역 및 컬렉터 컨택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 분리막, 상기 컬렉터 영역 및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위에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질화막 패턴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 위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 위에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질화막 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을 패터닝하여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위에 컬렉터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상기 도전막 및 상기 컬렉터 도전막 상부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막 상부의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표면과 직접 컨택되도록 제1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렉터 도전막 상부의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표면과 직접 컨택되도록 제2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형 반도체 기판(300)의 상부 표면에 n+형 매몰 컬렉터 영역(301)이 형성된다. n+형 매몰 컬렉터 영역(301) 위에는 n형 컬렉터 영역(302) 및 n+형 컬렉터 컨택 영역(303)이 소자 분리막(304)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n형 컬렉터 영역(302) 위에는 p+형 외부 베이스 영역(315)이 형성된다. p+형 외부 베이스 영역(315) 위에는 p+형 SiGe 베이스 영역(305)이 형성된다. p+형 SiGe 베이스 영역(305) 위에는 금속 실리사이드막(312)이 형성된다. 금속 실리사이드막(312)의 일부 표면 위에는 에노드 전극으로 사용되는 제1 금속막(309)이 형성되어 금속 실리사이드막(312)을 통해 p+형 SiGe 베이스 영역(3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n+형 컬렉터 컨택 영역(303) 위에는 컬렉터 도전막으로 사용되는 n+형 폴리실리콘막(307)이 형성된다. n+형 폴리실리콘막(307) 위에도 금속 실리사이드막(312)이 형성된다. 이 금속 실리사이드막(312)의 일부 표면 위에는 캐소드 전극으로 사용되는 제2 금속막(311)이 형성되어 금속 실리사이드막(312)을 통해 n+형 컬렉터 도전막(307), n+형 컬렉터 컨택 영역(303) 및 n+형 매몰 컬렉터 영역(301)을 통하여 n형 컬렉터 영역(3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금속막(309) 및 이 제1 금속막(309)과 접촉된 금속 실리사이드막(312)은 절연막(313)에 의해 제2 금속막(313) 및 이 제2 금속막(313)과 접촉된 금속 실리사이드막(312)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한편 참조 부호 "314"는 소자 분리를 위한 불순물 영역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버렉터는, SiGe HBT 구조에서의 에미터 영역을 제거하고, p+형 SiGe 베이스 영역(305)에 직접 에노드 전극으로서의 제1 금속막(309)을 컨택시킴으로써 별도의 베이스 컨택 영역이 불필요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p+형 SiGe 베이스 영역(305)의 길이가 길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p+형 SiGe 베이스 영역(305) 내부의 직렬 저항 성분이 감소되어 우수한 Q-인자 특성이 나타난다. 더욱이 복수개의 버렉터들을 멀티 핑거 구조로 구현할 경우, 종래의 베이스 컨택 영역으로 인한 기생 커패시턴스도 제거되므로 버렉터의 고유 커패시턴스 변화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 구조에서 베이스 접합을 위한 제1 금속막(309)이 베이스-컬렉터 접합에 영향을 끼칠수 있는데 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 구조는 이와 같은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 금속막과 베이스 영역 사이에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을 삽입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p형 반도체 기판(400)의 상부 표면에 n+형 매몰 컬렉터 영역(401)이 형성된다. n+형 매몰 컬렉터 영역(401) 위에는 n형 컬렉터 영역(402) 및 n+형 컬렉터 컨택 영역(403)이 소자 분리막(404)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n형 컬렉터 영역(402)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p+형 외부 베이스 영역(415)이 형성된다. p+형 외부 베이스 영역(415) 및 n형 컬렉터 영역(402) 위에는 p+형 SiGe 베이스 영역(405)이 형성된다. p+형 SiGe 베이스영역(305) 위에는 n+형으로 도핑된 도전막(406) 및 금속 실리사이드막(412)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금속 실리사이드막(412)의 일부 표면 위에는 에노드 전극으로 사용되는 제1 금속막(409)이 형성되어 금속 실리사이드막(412) 및 도전막(406)을 통해 p+형 SiGe 베이스 영역(4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n+형 컬렉터 컨택 영역(403) 위에는 컬렉터 도전막으로 사용되는 n+형 폴리실리콘막(407)이 형성된다. n+형 폴리실리콘막(407) 위에도 금속 실리사이드막(412)이 형성된다. 이 금속 실리사이드막(412)의 일부 표면 위에는 캐소드 전극으로 사용되는 제2 금속막(411)이 형성되어 금속 실리사이드막(412)을 통해 n+형 컬렉터 도전막(407), n+형 컬렉터 컨택 영역(403) 및 n+형 매몰 컬렉터 영역(401)을 통하여 n형 컬렉터 영역(4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금속막(409) 및 이 제1 금속막(409)과 접촉된 금속 실리사이드막(412)은, 절연막(413)에 의해 제2 금속막(413) 및 이 제2 금속막(413)과 접촉된 금속 실리사이드막(412)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한편 참조 부호 "414"는 소자 분리를 위한 불순물 영역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버렉터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와 같이 개선된 Q-인자 특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제1 금속막(409)과 p+형 SiGe 베이스 영역(405) 사이에 완충막 역할의 도전막(406)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제1 금속막(409)의 베이스-컬렉터 접합에 대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버렉터, 도 3의 버렉터 및 도 4의 버렉터의 다이오드 전압-전류 특성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나타내보인 그래프로서, 특히 DC(Direct Current) 특성을 나타내 보인 그래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도 2의 버렉터(520 참조)와 도 3의 버렉터(530 참조)의 경우 유사한 DC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 4의 버렉터(540 참조)의 경우 브레이크다운 전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에서 발생하지만, 이 브레이크다운 전압이 일반적인 동작 전원 이상에서 발생하므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2의 버렉터, 도 3의 버렉터 및 도 4의 버렉터의 바이어스 전압에 대한 커패시턴스 및 Q-인자 특성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나타내보인 그래프로서, 특히 AC(Alternating Current) 특성을 나타내 보인 그래프이다. 도 6에서 참조 부호 "621"은 도 2의 버렉터의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커패시턴스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622"는 도 2의 버렉터의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Q-인자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631"은 도 3의 버렉터의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커패시턴스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632"는 도 3의 버렉터의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Q-인자를 나타내며, 그리고 참조 부호 "641"은 도 4의 버렉터의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커패시턴스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642"는 도 4의 버렉터의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Q-인자를 나타낸다.
도 6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도 2의 버렉터에 비하여 도 3의 버렉터의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더 적으며, 도 3의 버렉터보다는 도 4의 버렉터의 커패시턴스가 상대적으로 더 적다. Q-인자의 경우, 도 2의 버렉터는 대략 30 정도의 값을 가지지만, 도 3의 버렉터와 도 4의 버렉터의 경우, 각각 80과 120의 개선된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p형 반도체 기판(300) 위에 마스크막 패턴, 예컨대 포토레지스트막 패턴을 이용하여 매몰 컬렉터 영역 영역이 노출되도록 한다. 다음에 포토레지스트막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한 불순물, 예컨대 비소(As)와 같은 n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고 열처리하여 n+형 매몰 컬렉터 영역(301)을 형성한다. 다음에 n+형 매몰 컬렉터 영역(301)이 형성된 기판(300) 상에 불순물이 첨가되지 않은 컬렉터 에피층(320)을 형성한 후,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 컬렉터 에피층(320) 위에 질화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 후에 열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활성 소자 영역인 컬렉터 영역(302) 및 컬렉터 컨택 영역(303)이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국부 실리콘 산화(LOCOS)막으로 된 소자 분리막(304)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질화막 패턴을 제거하고, 이어서 컬렉터 컨택 영역(303)만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막 패턴(미도시)을 이용하여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다. 그러면 n+형 매몰 컬렉터 영역(301)의 일부 표면 위에 n+형 컬렉터 컨택 영역(303)이 형성된다. 다음에 다시 n형 컬렉터 영역(302) 표면만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막 패턴(미도시)을 이용하여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다. 그러면 n형 컬렉터 영역(302) 위에 p+형 외부 베이스 영역(315)이형성된다. 다음에 기판(300) 전면에 p형 불순물 이온이 고농도로 주입된 SiGe 베이스 에피층(321)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 p+형 외부 베이스 영역 위의 p+형 SiGe 베이스 에피층(321)을 제외한 나머지 p+형 SiGe 베이스 에피층(321)을 제거하여 p+형 SiGe 베이스 영역(305)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에 기판(300) 전면에 n+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폴리실리콘막(322)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n+형 컬렉터 컨택 영역(303) 위의 폴리실리콘막(322)을 제외한 나머지 폴리실리콘막(322)을 제거하여 컬렉터 도전막으로서의 n+형 폴리실리콘막(307)을 형성한다. 그리고 통상의 실리사이드 공정을 수행하여 p+형 SiGe 베이스 영역(305) 및 n+형 컬렉터 컨택 영역(303) 위에 금속 실리사이드막(312)을 형성한다. 다음에 기판(300) 전면에 절연막(313)을 형성하고, 이어서 절연막(313) 일부를 식각하여 p+형 SiGe 베이스 영역(305) 위의 금속 실리사이드막(312)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제1 컨택 홀과, n+형 폴리실리콘막(307) 위의 금속 실리사이드막(312)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제2 컨택 홀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1 컨택 홀을 채우는 제1 금속막(309) 및 제2 컨택 홀을 채우는 제2 금속막(311)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금속막(309)은 버렉터의 애노드 전극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2 금속막(311)은 버렉터의 캐소드 전극으로 사용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렉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p형 반도체 기판(400) 위에 마스크막 패턴, 예컨대 포토레지스트막 패턴을 이용하여 매몰 컬렉터 영역 영역이 노출되도록 한다. 다음에 포토레지스트막 패턴을 이온 주입 마스크로 한 불순물, 예컨대 비소(As)와 같은 n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고 열처리하여 n+형 매몰 컬렉터 영역(401)을 형성한다. 다음에 n+형 매몰 컬렉터 영역(401)이 형성된 기판(400) 상에 불순물이 첨가되지 않은 컬렉터 에피층(420)을 형성한 후,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면, 컬렉터 에피층(420) 위에 질화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 후에 열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활성 소자 영역인 컬렉터 영역(402) 및 컬렉터 컨택 영역(403)이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국부 실리콘 산화(LOCOS)막으로 된 소자 분리막(404)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질화막 패턴을 제거하고, 이어서 컬렉터 컨택 영역(403)만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막 패턴(미도시)을 이용하여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다. 그러면 n+형 매몰 컬렉터 영역(401)의 일부 표면 위에 n+형 컬렉터 컨택 영역(403)이 형성된다. 다음에 기판(400) 전면에 p형 불순물 이온이 고농도로 주입된 p+형 SiGe 베이스 에피층(421)을 형성한다. 이어서 SiGe 베이스 에피층(421) 위에 질화막 패턴(422)을 형성한다. 이 질화막패턴(422)은 p+형 SiGe 베이스 에피층(421)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다. 다음에 질화막 패턴(422)의 개구부를 채우는 도전막(406)을 형성한다. 이 도전막은 n+형 폴리실리콘막 패턴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면, 질화막 패턴(422)을 제거하고, 이어서 p+형 SiGe 베이스 에피층(421)의 일부를 제거하여 n형 컬렉터 영역(402) 표면과 연결되는 p+형 SiGe 베이스 영역(405)을 형성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질화막 패턴(422)을 제거한 후에 상기 도전막(406) 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n+형 컬렉터 컨택 영역(403) 표면 위에 컬렉터 도전막으로서 n+형 폴리실리콘막(407)을 형성한다. 이어서 소정의 마스크막 패턴(미도시)을 이용한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n형 컬렉터 영역(402) 상부에 p+형 외부 베이스 영역(415)을 형성한다. 다음에 통상의 실리사이드 공정을 수행하여 p+형 SiGe 베이스 영역(405)의 일부 표면, 도전막(406) 표면 및 n+형 폴리실리콘막(407) 표면에 금속 실리사이드막(412)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기판(400) 전면에 절연막(413)을 형성하고, 이어서 절연막(413) 일부를 식각하여 도전막(406) 위의 금속 실리사이드막(412)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제1 컨택 홀과, n+형 폴리실리콘막(407) 위의 금속실리사이드막(412)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제2 컨택 홀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1 컨택 홀을 채우는 제1 금속막(409) 및 제2 컨택 홀을 채우는 제2 금속막(411)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금속막(409)은 버렉터의 애노드 전극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2 금속막(411)은 버렉터의 캐소드 전극으로 사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iGe HBT를 이용하여 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에 의하면, 일반적인 SiGe HBT 구조에서의 에미터 영역 및 에미터 전극을 제거하고, 그 위치에 컬렉터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SiGe 베이스 영역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 영역에서의 저항을 감소시켜 개선된 Q-인자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버렉터들을 멀티 핑거 구조로 구현할 경우, 종래의 베이스 컨택 영역으로 인한 기생 커패시턴스도 제거되므로 버렉터의 고유 커패시턴스 변화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컬렉터 전극과 베이스 영역 사이에 완충막 역할의 도전막을 개재하는 경우, 컬렉터 전극과 베이스 영역이 직접 컨택되지 않으므로 컬렉터 전극의 베이스-컬렉터 접합에 대한 나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버렉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를 통상의 HBT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소자 분리막에 의해 한정되는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 위에서 상기 활성 영역 중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에미터 전극 및 컬렉터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소자 분리막 위의 제3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과 컨택되는 베이스 전극이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실리콘-저매니움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버렉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과, 상기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컬렉터 영역과, 상기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과,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위에 형성된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컨택되도록 형성된 제1 전극막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컬렉터 컨택 영역과,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전극막이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막 및 상기 베이스 전극이 제거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렉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 영역과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외부 베이스 영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렉터.
  3. 소자 분리막에 의해 한정되는 활성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 위에서 상기 활성 영역 중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에미터 전극 및 컬렉터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소자 분리막 위의 제3 영역에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과 컨택되는 베이스 전극이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실리콘-저매니움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버렉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과, 상기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컬렉터 영역과, 상기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과,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위에 형성된 도전막과, 상기 도전막 위에 형성된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과 컨택되도록 형성된 제1 전극막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 위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고농도 컬렉터 컨택 영역과,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전극막이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막 및 상기 베이스 전극이 제거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렉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렉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및 상기 제2 전극막 사이에 형성된 컬렉터 도전막 및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렉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터 도전막은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렉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은 p형이고, 상기 제2 도전형은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렉터.
  8.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상부에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몰 컬렉터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위에 제2 도전형의 컬렉터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소자 분리막에 의해 상기 컬렉터 에피층을 분리시켜 컬렉터 영역 및 컬렉터 컨택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 분리막, 상기 컬렉터 영역 및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위에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컬렉터 영역의 상부 표면에만 배치되고 상기 소자 분리막 상부에서는 제거된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위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표면과 직접 컨택되도록 제1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렉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위에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불순물이 도핑된 컬렉터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렉터 도전막 위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표면과 직접 컨택되도록 제2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렉터의 제조 방법.
  10. 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상부에 제2 도전형의 고농도 매몰 컬렉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몰 컬렉터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위에 제2 도전형의 컬렉터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소자 분리막에 의해 상기 컬렉터 에피층을 분리시켜 컬렉터 영역 및 컬렉터 컨택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 분리막, 상기 컬렉터 영역 및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위에 제1 도전형의 고농도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의 일부 표면을 노출시키는 질화막 패턴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 위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 위에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질화막 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에피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컬렉터 영역의 상부 표면에만 배치되고 상기 소자 분리막 상부에서는 제거된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렉터 컨택 영역 위에 컬렉터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저매니움 베이스 영역, 상기 도전막 및 상기 컬렉터 도전막 상부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막 상부의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표면과 직접 컨택되도록 제1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렉터 도전막 상부의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표면과 직접 컨택되도록 제2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렉터의 제조 방법.
KR10-2001-0057175A 2001-09-17 2001-09-17 SiGe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42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175A KR100425578B1 (ko) 2001-09-17 2001-09-17 SiGe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 및 그 제조 방법
US10/044,107 US6686640B2 (en) 2001-09-17 2002-01-11 Varactor having improved Q-fa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ing SiG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175A KR100425578B1 (ko) 2001-09-17 2001-09-17 SiGe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155A KR20030024155A (ko) 2003-03-26
KR100425578B1 true KR100425578B1 (ko) 2004-04-03

Family

ID=1971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175A KR100425578B1 (ko) 2001-09-17 2001-09-17 SiGe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86640B2 (ko)
KR (1) KR100425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5862B2 (en) * 2001-07-10 2007-06-2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Gate-enhanced junction varactor
US6825089B1 (en) * 2003-06-04 2004-11-30 Agere Systems Inc. Increased quality factor of a varactor in an integrated circuit via a high conductive region in a well
US7714412B2 (en) * 2004-08-27 2010-05-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S varactor using isolation well
US7335956B2 (en) * 2005-02-11 2008-02-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Capacitor device with vertically arranged capacitor regions of various kinds
US7459367B2 (en) * 2005-07-27 2008-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vertical P-N junction device
KR100780248B1 (ko) * 2006-12-27 2007-11-27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US7696604B2 (en) * 2007-10-23 2010-04-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germanium heterostructure barrier varactor
US20100019351A1 (en) * 2008-07-28 2010-01-28 Albert Ratnakumar Varactors with enhanced tuning ranges
US10109623B2 (en) 2014-05-08 2018-10-23 Qorvo Us, Inc. Dual-series varactor EPI
US20150325573A1 (en) 2014-05-08 2015-11-12 Triquint Semiconductor, Inc. Dual stack varactor
US9484471B2 (en) * 2014-09-12 2016-11-01 Qorvo Us, Inc. Compound varactor
US10193002B2 (en) 2016-09-13 2019-01-29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MOS varactor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MOS varactors
US10158030B2 (en) 2017-02-13 2018-12-18 Qualcomm Incorporated CMOS and bipolar device integration including a tunable capacitor
FR3069370B1 (fr) * 2017-07-21 2021-10-22 St Microelectronics Rousset Circuit integre contenant une structure de leur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4532A (ja) * 1998-06-03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703A (ko) 1998-12-26 2000-07-15 서평원 바락터 다이오드의 신호 열화 억제장치
US6172378B1 (en) 1999-05-03 2001-01-09 Silicon Wave, Inc. Integrated circuit varactor having a wide capacitance range
US6521506B1 (en) * 2001-12-13 2003-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actors for CMOS and BiCMOS technolog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4532A (ja) * 1998-06-03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52388A1 (en) 2003-03-20
KR20030024155A (ko) 2003-03-26
US6686640B2 (en) 200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2275B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DMOS, BJT and CMOS structures
KR100425578B1 (ko) SiGe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개선된 Q-인자 특성을 갖는 버렉터 및 그 제조 방법
US680053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bipolar transistor and a variable capacitor
US5432360A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n anode layer having low density regions by selective diffusion
JP4608205B2 (ja) サブコレクタとしての多数キャリア蓄積層を有す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TWI829086B (zh) 利用新的單元幾何結構增強固態功率半導體器件特性
SE520590C2 (sv) Halvledarprocess och PMOS-varaktor
JP3905929B2 (ja) 半導体装置
US6043553A (en) Multi-emitter bipolar transistor of a self-align type
KR20010051900A (ko) 전력 스위치로 사용하기 위한 SiC NMOSFET 및그 제조 방법
US20120068309A1 (en)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istor
US724792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0299386A (ja) 半導体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86842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08072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CN111199970A (zh) 用于静电防护的晶体管结构及其制造方法
US8829650B2 (en) Zener diode in a SiGe BiCMOS proces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3794963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4032202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4016901B2 (ja)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および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649056B2 (ja) 半導体装置
JP436441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10738A (ko) 전력용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8969855A (zh) 二极管及其制造方法
CN119050155A (zh) 一种SiC器件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