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886A -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50886A KR20070050886A KR1020070034213A KR20070034213A KR20070050886A KR 20070050886 A KR20070050886 A KR 20070050886A KR 1020070034213 A KR1020070034213 A KR 1020070034213A KR 20070034213 A KR20070034213 A KR 20070034213A KR 20070050886 A KR20070050886 A KR 200700508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rain gutter
- sphere
- blocking device
- rotat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 배수를 위해 빗물받이 구체에 설치된 연결관으로부터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빗물 등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수를 위해 빗물받이 구체에 연결관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 설치한 내설관과; 상기 연결관과 내설관 사이에 구비한 실링부재와; 부력과 수압 및 자중에 의한 회전을 통해 내설관을 개방 및 폐쇄시키므로 배수 및 연결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상기 내설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구의 부력을 통해 배수구멍을 개폐시키므로 빗물받이 구체로 유입된 우수 등을 연결관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면서 연결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는 빗물받이 구체로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빗물받이 구체, 연결관, 회전판, 힌지, 실링부재.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구조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7,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빗물받이 구체 200 : 연결관
300 : 내설관 400 : 립
500 : 회전판 510 : 핀
본 발명은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는 빗물받이 구체에 설치된 연결관으로부터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빗물 등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하수도 체계는 오수와 빗물 등의 우수가 함께 배출되도록 하는 합류식 체계와, 오수와 우수가 개별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류식 체계로 양분된다.
이중에서 분류식 체계는 도시환경용 측면 및 수질 정화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나, 합류식 체계는 아직도 구시가지에 걸쳐 보편적으로 설비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합류식 체계의 경우, 각종 오폐수의 배출에 따라 하수도 본관에서는 악취가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악취는 빗물받이 구체에 설치된 연결관을 통해 역류되어 외부로 배기되므로 주민의 주거환경을 악화시키고 각종 질병의 유발 가능성 및 민원의 대상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므로 대다수의 주민들은 빗물받이 구체가 주거시설이나 상업시설과 인접한 경우, 그 상부 뚜껑 그레이팅 부분을 비닐이나, 장판, 고무판 등의 덮개를 이용하여 빗물받이 구체를 커버하므로 악취의 유입을 차단하고 있었다.
그러나 우천시에는 덮개를 제거해야만 하나, 이를 소홀히 하거나, 특히 심야에 비가 내리는 경우 덮개를 제거하지 못하여 침수피해를 유발시키고, 이로 인하여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받이 구체로 유입된 빗물 등을 연결관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키면서 연결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는 차단할 수 있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와 설치작업이 쉬운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는 배수를 위해 빗물받이 구체에 연결관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는 부력과 수압 및 자중에 의한 회전을 통해 연결관을 개방 및 폐쇄시키므로 배수 및 연결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는 배수를 위해 빗물받이 구체에 연결관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 설치한 내설관과; 상기 연결관과 내설관 사이에 구비한 실링부재와; 부력과 수압 및 자중에 의한 회전을 통해 내설관을 개방 및 폐쇄시키므로 배수 및 연결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상기 내설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별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1실시예 >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과 회전판이 설치된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는 연결관(200)에 설치된 회전판(500)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회전판(500)은 연결관(200)의 내경보다 길도록 정면에서 볼 때에 타원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회전판(500)은 테두리를 얇게 형성하고, 상부보다는 하부의 중량이 더 무겁도록 이루어지며, 양측면 중앙부에 핀(510)을 구비하여 연결관(200) 내부 양측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하므로 그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받이 구체(100)에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경우, 회전판(500)은 수압과 부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연결관(200)을 개방시키고, 이로 인하여 빗물받이 구체(100)에 유입된 빗물 등은 연결관(200)을 통해 배수된다.
한편, 배수가 완료된 이후의 회전판(50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무거우므로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연결관(200)을 폐쇄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연결관(200)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 제2실시예 >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는 크게 내설관(300), 실링부재, 회전판(5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내설관(300)은 연결관(200) 중 빗물받이 구체(100) 측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합성수지, 금속, 콘크리트, 석재 등 다양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부 양측에는 회전판(500)의 설치를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
실링부재는 연결관(200)과 내설관(300) 사이의 틈새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예로 내설관(300)의 외주면에 다수의 립(Lip, 400)을 구비하였으나, 이러한 립(400) 이외에 실리콘이나 패킹 등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회전판(500)은 양측면 중앙부에 핀(510)을 구비하여 상기한 내설관(300)의 구멍에 회전 자유롭게 결합한 것으로, 내설관(300)의 내경보다 길도록 정면에서 볼 때에 타원형상으로 형성하고, 테두리를 얇게 형성하며, 상부보다는 하부의 중량이 더 무겁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받이 구체(100)에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경우, 회전판(500)은 수압과 부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내설관(300)을 개방시키고, 이로 인하여 빗물받이 구체(100)에 유입된 빗물 등은 내설관(300)과 연결관(200)을 통해 배수된다.
그리고 배수가 완료된 이후의 회전판(50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 부가 무거우므로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내설관(300)을 폐쇄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연결관(200)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대부분의 구조는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2와 동일하며, 다만 회전판(500)을 형상을 원판형으로 하고, 그 지름을 내설관(300)의 직경과 비슷하게 형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빗물받이 구체(100)에 우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 수압과 부력에 의해 회전판(500)은 회전되어 내설관(300)을 개방시키고, 이로 인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며, 배수가 완료된 이후 회전판(500)은 자중에 의해 수직 상태로 회전 복귀되어 연결관(200)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대부분의 구조는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2와 동일하며, 다만 회전판(500)을 형상을 원판형으로 하고, 그 지름을 내설관(300)의 내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하며, 그 설치위치를 내설관(300)의 후단부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점에 있어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빗물받이 구체(100)에 우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 수압과 부력에 의해 회전판(500)은 회전되어 내설관(300)을 개방시키고, 이로 인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배수가 완료된 이후 회전판(500)은 자중에 의해 원래 상태로 회전되어 내설관(300)의 후단부를 커버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연결관(200)으로부터 역 류되는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대부분의 구조는 도 7에서 도시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내설관(300)의 단부를 우하향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한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회전판(500)은 테이퍼형상인 내설관(300)의 특성상 수압과 부력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부하없이 내설관(300)을 개방하게 되며, 배수가 완료된 이후에는 자중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내설관(300)을 커버하므로 연결관(200)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판의 수압과 부력에 의한 회전을 통해 연결관 또는 내설관을 개방시키므로 빗물받이 구체에 유입된 빗물 등을 연결관으로 배수시키고, 배수가 완료된 이후에는 회전판의 자중에 의해 원래 위치로 회전되어 연결관 또는 내설관을 폐쇄하므로 연결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순히 회전판의 회전을 통해 배수와 악취 차단이 모두 가능하므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 및 설치비용을 크게 줄이고, 설치작업도 매우 간편하며, 빗물받이 구체의 청소작업도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 배수를 위해 빗물받이 구체에 연결관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상기 연결관(200)에는 부력과 수압 및 자중에 의한 회전을 통해 연결관(200)을 개방 및 폐쇄시키므로 배수 및 연결관(200)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회전판(500)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배수를 위해 빗물받이 구체에 연결관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상기 연결관(200)에 설치한 내설관(300)과;상기 연결관(200)과 내설관(300) 사이에 구비한 실링부재와;부력과 수압 및 자중에 의한 회전을 통해 내설관(300)을 개방 및 폐쇄시키므로 배수 및 연결관(200)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상기 내설관(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회전판(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00)은 타원형의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00)은 테두리의 두께를 얇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00)은 상부보다 하부가 더 무겁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00)은 핀(51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00)은 원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설관(300)은 후단부가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4213A KR100822433B1 (ko) | 2007-04-06 | 2007-04-06 |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4213A KR100822433B1 (ko) | 2007-04-06 | 2007-04-06 |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0886A true KR20070050886A (ko) | 2007-05-16 |
KR100822433B1 KR100822433B1 (ko) | 2008-04-16 |
Family
ID=3827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4213A KR100822433B1 (ko) | 2007-04-06 | 2007-04-06 |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24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6348B1 (ko) * | 2009-11-10 | 2010-08-16 | 매크로드 주식회사 | 토사 침투 방지용 회전 갑문을 갖는 비점오염저감장치 |
CN103452183A (zh) * | 2013-02-01 | 2013-12-18 | 河南省佰腾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防止垃圾从下水道阴井盖进入下水道的方法 |
KR101632919B1 (ko) | 2015-12-07 | 2016-06-24 |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 수질개선 기능과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
KR101632920B1 (ko) | 2015-12-07 | 2016-06-27 |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 악취 누출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빗물받이 |
KR101654689B1 (ko) | 2015-12-30 | 2016-09-08 |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 수질개선 기능과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
KR20210053143A (ko) | 2020-04-16 | 2021-05-11 | 상리건설 주식회사 | 우수 처리 시스템 |
KR20210053142A (ko) | 2020-04-16 | 2021-05-11 | 상리건설 주식회사 |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우수 처리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1964U (ko) * | 1998-06-24 | 1999-06-25 | 홍세환 | 악취방지및하수역류방지용배수전 |
KR200333348Y1 (ko) | 2003-06-17 | 2003-11-15 | 권혁중 |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
KR200375976Y1 (ko) | 2004-11-10 | 2005-03-11 | 박대식 |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
-
2007
- 2007-04-06 KR KR1020070034213A patent/KR10082243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2433B1 (ko) | 2008-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2433B1 (ko) |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 |
KR100961152B1 (ko) | 악취방지 빗물받이 | |
KR20110111996A (ko) | 하수구 및 우수구 악취차단 자동개폐장치 | |
KR101064335B1 (ko) | 악취차단기능이 있는 빗물받이 | |
KR200420165Y1 (ko) | 하수도용 우수토구 자동 개폐 장치 | |
KR100885534B1 (ko) | 우수 유출 저감시설 | |
CN205329832U (zh) | 带过滤框的雨水口 | |
KR101306829B1 (ko) |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 |
KR100336314B1 (ko) | 악취 및 역류 방지용 집수받이 | |
JP6153122B2 (ja) |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 |
KR200351993Y1 (ko) |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 |
KR20220122061A (ko) |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 |
KR20050103147A (ko) | 보 차도용 하수도 빗물받이 | |
KR101849023B1 (ko) | 홍수예방 및 하수역류차단 구조를 갖는 관로구조 | |
KR100762411B1 (ko) |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 |
KR200361559Y1 (ko) | 덮개식 하수도 빗물받이 | |
PL240631B1 (pl) | Wpust rynnowy | |
KR19990035530U (ko) | 하수처리 차집관로의 우수토실 자동개폐장치. | |
KR200176500Y1 (ko) | 악취 및 역류 방지용 집수받이 | |
KR101022645B1 (ko) | 하수구용 배수트랩 | |
KR19990022650U (ko) | 하수역류방지및악취차단장치 | |
KR200218222Y1 (ko) | 우수역류 방지장치 | |
JP2014009458A (ja) | 雨水貯溜配管構造 | |
KR20180091160A (ko) | 역류 방지 배수 그레이트 | |
KR200422006Y1 (ko) |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