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143A - 우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우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143A
KR20210053143A KR1020200046135A KR20200046135A KR20210053143A KR 20210053143 A KR20210053143 A KR 20210053143A KR 1020200046135 A KR1020200046135 A KR 1020200046135A KR 20200046135 A KR20200046135 A KR 20200046135A KR 20210053143 A KR20210053143 A KR 20210053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outlet
rainwater
uni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탁
Original Assignee
상리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리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리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3143A/ko
Publication of KR2021005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우수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우수 처리 시스템은, 지하에 마련되며 수용된 우수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퇴적물이 저장되며 퇴적물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거부; 및 유출구에 마련되며 유출구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개방되어 유출구로 우수를 흐르게 하는 제1 악취 차단부 및 유출구에 채워지는 우수의 부력에 의해 개방되어 유출구로 우수를 흐르게 하는 제2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악취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 처리 시스템{RAINWATER TREATING SYSTEM}
본 발명은, 우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퇴적물을 편리하게 제거함과 아울러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우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과 상업, 공업, 주택단지 및 도로면의 오물, 먼지, 오일 또는 그리스(Grease), 흙, 모래 등을 포함한 상태로 하수관을 통해 호소(湖沼)나 하천 등으로 흘러들어가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고, 이러한 오염물질로 인해 하천 등의 수질이 오염되고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하여 정화처리된 우수만을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빗물받이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빗물받이는 도로의 지면 상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인입되는 우수를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인입되는 우수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박스와, 본체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본체에 수용된 우수를 하천으로 배수하는 배수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빗물받이는 비가 내려 그레이팅으로 우수가 인입되면, 먼저 필터박스에 의해 우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우수는 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그 후, 비가 점차 내리게 되어 본체의 수용공간에 우수가 점차 차오르게 되면 배수파이프에 의해 우수는 하천으로 배수된다.
또한 종래의 빗물받이는 오랜시일에 걸쳐 퇴적물이 집적되면 배수파이프가 막혀 빗물이 역류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빗물받이의 퇴적물을 일정 주기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빗물받이가 많아서 일시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여 집적된 퇴적물 제거가 어렵고, 퇴적물을 퍼내는 작업을 인력으로 하고 있으므로 빗물받이의 규격이 협소하고 깊어서 퇴적물 제거작업에 시간이 지체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한편 도심지에 설치된 빗물받이는 비가 내릴 경우 우수, 오수가 분리된 하수 관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지역이 희박하고 대부분 합류식 하수관로에 연결되어 있어 일반 오수와 함께 배출되므로 빗물받이 연결관을 통한 하수도 악취발생에 따른 문제점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2433호(2008.04.08)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은 내설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부보다 하부를 무겁게 형성한 타원형의 회전판에 의해 내설관을 개방 및 폐쇄시켜 배수 및 연결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한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은 연결관에 빗물 등이 조금만 흐르는 경우에도 회전판이 전체적으로 회전되어 연결관의 상부 영역이 개방되므로 악취를 차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2433호(주식회사 위드콘) 2008. 04. 0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퇴적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함과 아울러 우수의 수위에 따라 차등 개폐되도록 마련하여 악취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우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하에 마련되며 수용된 우수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퇴적물이 저장되며 상기 퇴적물과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거부; 및 상기 유출구에 마련되며 상기 유출구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로 우수를 흐르게 하는 제1 악취 차단부 및 상기 유출구에 채워지는 우수의 부력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로 우수를 흐르게 하는 제2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악취 차단부를 포함하는 우수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거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에 마련되며 상기 퇴적물이 저장되는 수거 바디; 및 상기 수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수거 바디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시 견인 부재의 체결 영역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행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 바디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유출구와 대향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제2 벽부; 및 상기 제1 벽부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제3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 바디는 상기 유출구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접하는 영역이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악취 차단부는, 상기 유출구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악취 차단부의 차단 본체를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에 마련되는 제1 결합대; 및 상기 제1 결합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영역을 밀폐하며 우수의 유속에 의해 상기 유출구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악취 차단부는, 상기 제1 악취 차단부와 반대 방향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차단 본체의 플랜지에 마련되는 제2 결합대; 상기 제2 결합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영역을 밀폐하는 제2 차단 부재; 및 상기 제2 차단 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차단 부재에 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차단 부재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퇴적물이 수거부에 저장됨과 아울러 수거부를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함으로써 퇴적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들은 우수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제1 악취 차단부만이 개방되고, 그 수위가 일정 수위로 높아지는 경우 제2 악취 차단부가 추가적으로 개방되므로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수위가 일정 높이로 높아지는 경우 제2 악취 차단부가 개방되어 우수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악취 차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악취 차단부가 개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악취 차단부의 개략적인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악취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악취 차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악취 차단부가 개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악취 차단부의 개략적인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시스템은, 지하에 마련되며 수용된 우수가 배출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에 마련되어 퇴적물이 저장되며 퇴적물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거부(20)와, 베이스 프레임(10)에 마련되어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 차단부(30)를 구비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마련되며, 우수를 모아 연결된 배관이나 파이프 등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고,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부에는 베이스 프레임(10)에 모아진 우수를 배출시키는 유출구(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유출구(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단부에는 그레이팅부(미도시)가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로 나뭇잎이나 부피가 큰 물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거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에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10)으로 유입되는 퇴적물이 저장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마련되어 저장된 퇴적물을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거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의 바닥에 마련되며 퇴적물이 저장되는 수거 바디(21)와, 수거 바디(21)에 마련되어 수거 바디(21)를 베이스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시 견인 부재의 체결 영역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행거대(26)를 포함한다.
수거부(20)의 수거 바디(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의 바닥에 배치되는 바닥부(22)와, 유출구(11)와 대향되도록 바닥부(22)에 마련되는 제1 벽부(23)와, 제1 벽부(23)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바닥부(22)에 마련되는 제2 벽부(24)와, 제1 벽부(23)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바닥부(22)에 마련되는 제3 벽부(25)를 포함한다.
본 실시 에에서 수거 바디(21)는 유출구(11)가 마련된 영역의 베이스 프레임(10)과 접하는 영역이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수거부(20)를 베이스 프레임(10)의 외부로 배출시 악취 차단부(30)의 차단 본체(100)와 수거 바디(21)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거 바디(21)의 개방된 영역이 유출구(11)의 방향으로 마련되므로 수거 바디(21)에 저장되는 퇴적물은 우수에 의해 유출구(11)로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수거부(20)를 베이스 프레임(10)의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 시 수거 바디(21)의 개방된 영역을 통해 수거 바디(21)에 퇴적된 퇴적물을 쉽게 수거 바디(2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수거부(20)의 복수의 행거대(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부(23)에 한 쌍이, 제2 벽부(24)와 제3 벽부(25)에 각각 한개씩 총 네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행거대(26)에는 크레인 등에 마련되는 후크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악취 차단부(3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유출구(11)에 마련되어 우수가 베이스 프레임(10)에 채워지기 전에 유출구(11)를 차단하여 악취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악취 차단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를 위한 베이스 프레임(10)의 유출구(11)에 결합되는 차단 본체(100)와, 차단 본체(100)에 결합되어 유출구(11)의 일부 영역을 차단하는 제1 악취 차단부(200)와, 차단 본체(100)에 결합되어 유출구(11)의 나머지 영역을 차단하는 제2 악취 차단부(300)를 구비한다.
차단 본체(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유출구(11)에 결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와, 베이스 바디(11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플랜지(120)와, 베이스 바디(110)의 전방을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벽(130)을 포함한다.
차단 본체(100)의 베이스 바디(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내부로는 우수가 흐르도록 비어 있을 수 있다.
차단 본체(100)의 플랜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전방에 마련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플랜지(120)는 베이스 바디(110)와 같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 바디(11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플랜지(120)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악취 차단부(300)의 제2 결합대(310)가 마련될 수 있다.
차단 본체(100)의 구획벽(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10)의 전방부를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획함과 아울러 제1 악취 차단부(2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획벽(130)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곡한 S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악취 차단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130)에 마련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에 의해 우수의 흐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악취 차단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130)에 마련되는 제1 결합대(210)와, 제1 결합대(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획벽(130)에 의해 구획된 하부 영역을 개폐시키는 제1 차단 부재(220)와, 제1 차단 부재(220)를 제1 결합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결합축(230)과, 제1 차단 부재(220)에 마련되며 제1 결합축(230)에 의해 제1 결합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차단 부재(220)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제1 결합 블록(240)을 포함한다.
제1 악취 차단부(200)의 제1 결합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130)의 일측 방향 예를 들어 도 4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치우치게 구획벽(130)에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차단 부재(220)의 형상을 도 4에 도시된 형상으로 마련하여도 제1 차단 부재(220)의 개폐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대(210)는 구획벽(130)과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되어 구획벽(130)에 공지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악취 차단부(200)의 제1 차단 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블록(240)과 제1 결합축(230)을 통해 제1 결합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차단 부재(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11)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우수의 흐름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1 차단 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는 남색의 태극 문양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 차단 부재(220)는 납작한 판과 같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악취 차단부(200)의 제1 결합축(2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대(210)와 제1 결합 블록(240)에 결합되어 제1 결합 블록(2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축(230)은 제1 결합대(210)와 제1 결합 블록(240)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고, 제1 결합축(230)과 제1 결합 블록(240)의 결합홀 사이에는 제1 결합 블록(240)이 회전되도록 약간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블록(240)의 결합홀에는 베어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악취 차단부(200)의 제1 결합 블록(2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 부재(220)에 마련되어 제1 차단 부재(220)를 대신하여 제1 결합대(210)에 결합됨으로써 제1 차단 부재(220)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블록(240)은 제1 차단 부재(22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고, 제1 차단 부재(220)의 상면부에 제1 차단 부재(220)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악취 차단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0)의 상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110)의 내부에 우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로 높아지는 경우 우수의 부력에 의해 개방되어 베이스 바디(110)의 내부로 우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제2 악취 차단부(300)는 우수의 부력에 의해 작동됨에 비해 제1 악취 차단부(200)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작동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악취 차단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결합대(310)와, 제2 결합대(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획벽(130)에 의해 구획된 상부 영역을 개폐시키는 제2 차단 부재(320)와, 제2 차단 부재(320)를 제2 결합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결합축(330)과, 제2 차단 부재(320)에 마련되며 제2 결합축(330)에 의해 제2 결합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차단 부재(320)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제2 결합 블록(340)과, 제2 차단 부재(320)에 마련되어 부력에 의해 제2 차단 부재(320)를 부유시키는 부유체(350)를 포함한다.
제2 악취 차단부(300)의 제2 결합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바(bar)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0)의 상측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대(310)는 플랜지(12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되어 구획벽(130)에 공지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악취 차단부(300)의 제2 차단 부재(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 블록(340)과 제2 결합축(330)을 통해 제2 결합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차단 부재(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에 채워지는 우수의 부력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2 차단 부재(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적색의 태극 문양을 가질 수 있고, 상부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2 차단 부재(320)는 납작한 판과 같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악취 차단부(300)의 제2 결합축(3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대(310)와 제2 결합 블록(340)에 결합되어 제2 결합 블록(34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축(330)은 제2 결합대(310)와 제2 결합 블록(340)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고, 제2 결합축(330)과 제2 결합 블록(340)의 결합홀 사이에는 제2 결합 블록(340)이 회전되도록 약간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블록(340)의 결합홀에는 베어링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악취 차단부(300)의 제2 결합 블록(3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단 부재(320)에 마련되어 제2 차단 부재(320)를 대신하여 제2 결합대(310)에 결합됨으로써 제2 차단 부재(320)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블록(340)은 제2 차단 부재(32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고, 제2 차단 부재(320)의 상면부에 제2 차단 부재(320)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악취 차단부(300)의 부유체(3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단 부재(320)의 전면부에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110)의 내부에 채워지는 우수의 부력에 의해 제2 차단 부재(320)를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부유체(35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특정 형상 예를 들어 글자체나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악취 차단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차단부(3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악취 차단부(200a)의 후면부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기어(250)를 마련하고, 제2 악취 차단부(300a)의 후면부에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1 기어(250)와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제2 기어(360)를 마련하여 베이스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와, 한 쌍의 제1 기어(250) 및 한 쌍의 제2 기어(360)의 기어 맞물림으로 제1 악취 차단부(200a)와 제2 악취 차단부(300a)를 개방시키게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 한 쌍의 제1 기어(250)와 한 쌍의 제2 기어(360)의 기어 맞물림으로 인해 제1 악취 차단부(200a)와 제2 악취 차단부(300a)는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악취 차단부(200a)와 제2 악취 차단부(300a)는 최대로 개방되는 경우 우수의 흐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배치는 한 쌍의 제1 기어(250)와 한 쌍의 제2 기어(360)의 기어 맞물림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퇴적물이 수거부에 저장됨과 아울러 수거부를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함으로써 퇴적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들은 우수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제1 악취 차단부만이 개방되고, 그 수위가 일정 수위로 높아지는 경우 제2 악취 차단부가 추가적으로 개방되므로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수위가 일정 높이로 높아지는 경우 제2 악취 차단부가 개방되어 우수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프레임 11 : 유출구
20 : 수거부 21 : 수거 바디
22 : 바닥부 23 : 제1 벽부
24 : 제2 벽부 25 : 제3 벽부
26 : 행거대 30,30a : 악취 차단부
100 : 차단 본체 110 : 베이스 바디
120 : 플랜지 130 : 구획벽
200,200a : 제1 악취 차단부 210 : 제1 결합대
220 : 제1 차단 부재 230 : 제1 결합축
240 : 제1 결합 블록 250 : 제2 기어
300,300a : 제2 악취 차단부 310 : 제2 결합대
320 : 제2 차단 부재 330 : 제2 결합축
340 : 제2 결합 블록 350 : 부유체
360 : 제2 기어

Claims (1)

  1. 지하에 마련되며 수용된 우수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퇴적물이 저장되며 상기 퇴적물과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거부; 및
    상기 유출구에 마련되며 상기 유출구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로 우수를 흐르게 하는 제1 악취 차단부 및 상기 유출구에 채워지는 우수의 부력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로 우수를 흐르게 하는 제2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악취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에 마련되며 상기 퇴적물이 저장되는 수거 바디; 및 상기 수거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수거 바디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시 견인 부재의 체결 영역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행거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 바디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유출구와 대향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제2 벽부; 및 상기 제1 벽부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제3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 바디는 상기 유출구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접하는 영역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악취 차단부는, 상기 유출구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악취 차단부의 차단 본체를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에 마련되는 제1 결합대; 및 상기 제1 결합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영역을 밀폐하며 우수의 유속에 의해 상기 유출구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1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악취 차단부는, 상기 제1 악취 차단부와 반대 방향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차단 본체의 플랜지에 마련되는 제2 결합대; 상기 제2 결합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영역을 밀폐하는 제2 차단 부재; 및 상기 제2 차단 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차단 부재에 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차단 부재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우수 처리 시스템.
KR1020200046135A 2020-04-16 2020-04-16 우수 처리 시스템 KR20210053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135A KR20210053143A (ko) 2020-04-16 2020-04-16 우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135A KR20210053143A (ko) 2020-04-16 2020-04-16 우수 처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854 Division 2019-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43A true KR20210053143A (ko) 2021-05-11

Family

ID=7591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135A KR20210053143A (ko) 2020-04-16 2020-04-16 우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31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33B1 (ko) 2007-04-06 2008-04-16 주식회사 위드콘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33B1 (ko) 2007-04-06 2008-04-16 주식회사 위드콘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5216B2 (ja) 総汚染物質濾過装置
US5133619A (en) Storm water filtration system for use with conventional storm water collection sewers
US5004534A (en) Catch basin
KR100924075B1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JP4936955B2 (ja) 雨水一時貯留槽
KR200405382Y1 (ko)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101185579B1 (ko)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210053143A (ko) 우수 처리 시스템
KR101291606B1 (ko)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JP4320758B2 (ja) 排水処理設備
KR102270451B1 (ko) 빗물재이용 고분자 복합소재 저류조 시스템
KR200494625Y1 (ko) 악취 차단 기능이 구비된 우수 처리 장치
KR102139984B1 (ko) 비점오염 처리용 여재 교체형 침투도랑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60034612A (ko) 빗물받이
KR20210053142A (ko)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우수 처리 장치
KR101356964B1 (ko) 도로 집수정
KR20100122372A (ko) 협잡물 거름 원통형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48451Y1 (ko)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