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101A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101A
KR20070049101A KR1020067011076A KR20067011076A KR20070049101A KR 20070049101 A KR20070049101 A KR 20070049101A KR 1020067011076 A KR1020067011076 A KR 1020067011076A KR 20067011076 A KR20067011076 A KR 20067011076A KR 20070049101 A KR20070049101 A KR 20070049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guide rail
speed
guid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1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3767B1 (ko
Inventor
츠네히로 히가시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1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76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과, 이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에 대하여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멀어지도록 배치된 안내면과의 사이에 제동자를 설치하고, 이 제동자에,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 가이드 레일에 흡착하는 흡착부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흡착부를 가이드 레일에 흡착시킴으로써 제동자의 하강을 제지시키고, 이 제동자가 가이드 레일에 죄어 들어감으로써 쐐기를 넣는 형태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SAFETY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속도가 소정치를 넘었을 경우에, 강제적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안전장치로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속도가 소정치를 넘었을 경우에 강제적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긴급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종래의 비상 정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13)과 균형추(14)는, 권상기(卷上機)의 구동 쉬브(15)에 감겨진 메인 로프(16)에 의해 두레박식으로 매달려 있고, 구동 쉬브(15)의 회동에 연동하여 승강로 내를 서로 역방향으로 승강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13)과 균형추(14)는, 승강로 내에 세워 설치된 각각의 가이드 레일(1)(일부 도시생략)에 의해 그 승강 방향이 안내되어 있다. 또, 승강로 꼭대기부에 설치된 조속기의 메인 쉬브(17)와 승강로 피트(pit)부에 설치된 텐션 쉬브(18)에는, 그 일부가 엘리베이터 칸(13)에 연결된 무단(無端) 형상의 조속기용 로프(19)가 감겨져 있고, 조속기의 메인 쉬브(17)는, 조속기용 로프(19)가 엘리베이터 칸(13)의 승강에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조속기용 로프(19)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즉, 조속기는, 메인 쉬브(17)의 회동 속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3)의 승강 속도를 검출한다.
여기서, 권상기의 구동 쉬브(15)의 회전 속도 이상이나 트랙션(traction) 저하 등이 발생하고, 엘리베이터 칸(13)의 하강 속도가 어느 규정치를 초과했을 경우, 조속기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3)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어, 엘리베이터 칸(13)의 강제 정지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조속기의 메인 쉬브(17)의 회전수가 어느 소정치를 초과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13)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다. 조속기에 설치된 파지 수단(도시생략)은, 엘리베이터 칸(13)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면 이동중의 조속기용 로프(19)를 잡고, 이 조속기용 로프(19)를 강제적으로 제지시킨다. 엘리베이터 칸(13)에 설치된 비상 정지 장치(2)는, 조속기용 로프(19)가 제지됨으로써, 이 조속기용 로프(19)와의 사이에 연결된 세이프티 링크(20)를 통하여 동작되어, 엘리베이터 칸을 강제적으로 제지시킨다. 일반적으로 비상 정지 장치(2)는, 각 가이드 레일(l)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동자가 가이드 레일(1)에 파고들어가는 것에 의해 쐐기를 넣는 형태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안전장치에는,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균형추로 이루어지는 승강체와 조속기용 로프에 고정된 세이프티 링크의 밀어 올림 레버에 의해,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설치된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의 쐐기의 하면을 직접적으로 밀어 올려, 비상 정지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01-8084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 기재의 안전장치를 포함하여, 조속기용 로프나 세이프티 링크 등을 구비한 종래의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비상 정지 장치가 동작하여, 실제로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할 때까지의 타임 래그(time lag)가 크다. 즉, 여러 가지의 동작 지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을 검출하고 나서 조속기용 로프가 제지하기까지 발생하는 조속기의 파지 수단의 동작 지연이나, 조속기용 로프가 제지하고 나서 세이프티 링크가 동작하기까지 발생하는 조속기용 로프의 탄성 변형에 의한 동작 지연, 세이프티 링크가 동작하고 나서 비상 정지 장치가 동작하기까지 발생하는 연결 부분의 유격에 의한 동작 지연 등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 속도가 어느 규정치를 초과한 후도 일정기간 가속을 계속하게 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 거리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내에 세워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안내면과, 안내면 및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 사이에 설치된 제동자와, 이 제동자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가이드 레일에 흡착하는 흡착부를 구비하며, 제동자는, 흡착부가 가이드 레일에 흡착함으로써 그 하강이 제지됨과 동시에, 하강하는 안내면에 안내되어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내에 세워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안내면과, 안내면 및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의 사이에 설치된 제동자와, 이 제동자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가이드 레일에 흡착하는 흡착부를 구비하며, 제동자는, 흡착부가 가이드 레일에 흡착하는 것에 의해 그 하강이 제지됨과 동시에, 하강하는 안내면에 안내되어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가이드 레일
1a 플랜지부
1b 헤드부
2 비상 정지 장치
3 기본대
4 제 1 제동자
4a, 6a 제동면
5 안내부
5a 안내면
6 제 2 제동자
7 흡착부
8 가이드
9 가이드 플레이트
10 가이드부
10a 스토퍼
11 전자석
11a 흡착면
12 스프링
13 엘리베이터 칸
14 균형추
15 구동 쉬브
16 메인 로프
17 메인 쉬브
18 텐션 쉬브
19 조속기용 로프
20 세이프티 링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 다. 또한, 각 도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예 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도시생략)은, 그 상하 양단부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도시생략) 등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에 걸어 맞춤함으로써, 그 승강 방향이 안내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1)은, 횡단면이 대략 T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플랜지부(1a)로부터 돌출하는 헤드부(1b)가 엘리베이터 칸을 사이에 끼고 서로 대향하도록 승강로 내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는, 각각의 가이드 레일(1)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 속도가 어느 규정치를 초과했을 때에, 각각의 가이드 레일(1)에 걸어 맞춤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을 긴급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엘리베이터 칸 또는 승강로 고정체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 속도가 어느 규정치를 초과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과, 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 속도가 어느 규정치를 초과했다고 검출된 경우에, 비상 정지 장치(2)의 후술하는 전자석에 대한 전력 제어를 행하는 전력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비상 정지 장치(2)에는,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각 가이드 레일(1)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기본대(3)와, 이 기본대(3)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 일측면과 근소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는 제동면(4a)을 구비한 제 1 제 동자(4)와, 기본대(3)에 설치되고,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lb) 타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 안내면(5a)을 가지는 안내부(5)와, 이 안내면(5a)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안내부(5)의 안내면(5a) 및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 타측면 사이에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의 타측면에 대향하는 제동면(6a)을 가지는 제 2 제동자(6)와, 이 제 2 제동자(6)의 하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전력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그 일부가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 타측면에 흡착 고정하는 흡착부(7)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5)는, 기본대(3)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면(5a)을 가지는 대략 삼각기둥 형상을 나타내는 가이드(8)와, 이 가이드(8)의 안내면(5a)의 양측에 각각 경사지게 설치된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는 가이드 플레이트(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플레이트(9)는, 가이드(8)의 안내면(5a)의 헤드부(1b)측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된 꺾임부가, 안내면(5a)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 타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제동자(6)와 가이드 플레이트(9)에는, 제 2 제동자(6)가 가이드 플레이트(9)의 꺾임부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해지는 것과 같은 슬라이딩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슬라이딩 기구는 어떠한 구성의 것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제 2 제동자(6)의 반대쪽 헤드부(1b) 측에 단면이 대략 T자 형상을 나타내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가 가이드 레일(9)의 꺾임부에 걸어 맞 춤하도록 구성한 것으로도 좋다.
가이드 플레이트(9)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제동자(6)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9)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 때, 서로 대향하는 제 2 제동자(6)의 제동면(6a)과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 타측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제동면(6a)이 헤드부(1b) 타측면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한편, 이러한 상태로부터 제 2 제동자(6)가 가이드 플레이트(9)의 상부측에 이동하면, 제 2 제동자(6)는, 가이드 플레이트(9)와의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딩 기구에 안내되어 헤드부(1b) 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즉, 제 2 제동자(6)의 제동면(6a)과 헤드부(1b)의 타측면이 접근하고, 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서서히 좁아진다. 여기서, 제 2 제동자(6)가 소정의 높이에 이르면, 제 2 제동자(6)의 반대쪽 헤드부(1b)측 측면과 가이드(8)의 안내면(5a)이, 롤러 가이드 등의 슬라이딩 기구(도시생략)를 통하여 걸어 맞춤한다. 또, 제 2 제동자(6)가 더욱 위쪽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높이에 이르면, 제 1 제동자(4)의 제동면(4a)과 제 2 제동자(6)의 제동면(6a)과의 간격이,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의 폭과 대략 동일 정도로 되고, 제동면(4a)이 헤드부(1b) 일측면에, 또, 제동면(6a)이 헤드부(1b) 타측면에 각각 접촉한다. 또한, 제 2 제동자(6)는,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lb)에 접촉할 때의 제동면(6a)의 높이가, 제 1 제동자(4)의 제동면(4a)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요부 측면도이고, 제 2 제동자(6)와 그 하부에 설치된 흡착부(7)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제 2 제동자(6)의 제동면(6a)보다 아래쪽에 설치된 흡착부(7)는, 제 2 제동자(6)의 하부에 고정된 가이드부(10)와, 대략 원주 형상을 나타내고, 그 일단면에 설치된 흡착면(11a)이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 타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이 흡착면(11a)이 헤드부(1b) 타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도록, 가이드부(10)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전자석(11)과, 이 전자석(11)을 반대쪽 헤드부(1b) 타측면측에 가압하는 스프링(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0)와 전자석(11)에 설치된 슬라이딩 기구는 어떠한 구성의 것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10)의 하부에 단면이 대략 T자 형상의 홈을 수평 방향으로 형성하고, 전자석(11)의 상부에 이 홈과 끼워 맞춤하는 단면이 대략 T자 형상의 돌기부를 설치한 것과 같은 것으로도 좋다. 또 상기 스프링(12)은, 전자석(11)의 외주면과 가이드부(10)에 설치된 스토퍼(10a)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10a)는, 상기 슬라이딩 기구의 반대쪽 헤드부(1b) 측에, 전자석(11)의 타단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스프링(12)에 의해 가압된 전자석(11)을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제동자(6)가 가이드 플레이트(9)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자석(11)의 흡착면(11a)과 헤드부(1b)의 타측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의 동작을 설 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속도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상시 검출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제동자(6)는 자중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9)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또, 전자석(11)의 흡착면(11a)과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 타측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 속도가 어느 규정치를 초과한 것이 검출되면, 전력 제어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전자석(11)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여, 전자석(11)의 흡착면(11a)에 자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스토퍼(10a)와 전자석(11)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2)의 가압력은, 도 1의 상태에 있어서 전자석(11)과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흡착력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석(11)은, 전력 제어 수단에 의해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 측에 수평 이동하고,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lb)가 어느 위치에 흡착 고정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과 함께 하강하고 있던 제 2 제동자(6)는, 전자석(11)이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에 흡착함으로써, 그 하강이 제지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은, 전자석(11)이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에 흡착 고정한 후도 하강을 계속한다. 따라서, 제 2 제동자(6)는, 하강해 오는 가이드(8)의 안내면(5a)에 의해 헤드부(1b) 측에 가압되도록 안내되고, 제 2 제동면(6a)과 헤드부(1b)의 타측면이 접촉함으로써, 가이드(8)와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와의 사이에 쐐기를 넣는 형태로 되며, 엘리베이터 칸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강력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 정지를 위한 제동력이 발휘될 때까지, 전자석(11)으로의 전력 공급 및 가이드 레일(1)로의 전자석(11)의 흡착의 동작밖에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조속기용 로프나 세이프티 링크 등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실제로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세이프티 링크 등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상 정지 장치(2)와 세이프티 링크와의 연결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상 정지 장치(2)의 설치 장소의 제한이 완화되어, 설치 및 보수시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전자석(11)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자석(11)을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에 흡착 고정시키고 있으나, 흡착부(7)에,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 타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가이드부(1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영구자석(도시생략)과, 이 영구자석의 자력을 지우도록 배치된 전자석(11)을 구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전자석(11)으로의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영구자석을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 타측면으로 흡착 고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즉,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에는, 전자석(11)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서로의 자력을 지우도록 전자석(11)과 영구자석을 배치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전자석(11)으로의 전력을 차단하고, 영구자석을 가이드 레일(1)의 헤드부(1b)에 흡착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정전시 등, 전자석(11)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 상태로 할 수 있어,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 속도가 어느 규정치를 초과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균형추의 하부에도 동일한 안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 속도가 어느 규정치를 초과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의 긴급 정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흡착부(7)로서 영구자석만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탄성체 등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을 가이드 레일(1)에 흡착 고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으로서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는 롤러 등을 사용하고, 전기적 동작을 사용하지 않으며, 기계적인 동작만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을 검출하고 나서 실제로 엘리베이터 칸을 긴급 정지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 초과 후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거리를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성이 뛰어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 내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의 사이에 설치된 제동자와, 이 제동자에게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흡착하는 흡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동자는, 상기 흡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흡착함으로써 그 하강이 제지됨과 동시에, 하강하는 상기 안내면에 안내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2.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 내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전력 제어를 행하는 전력 제어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의 사이에 설치된 제동자와, 이 제동자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의 전력 제어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에 흡착하는 흡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동자는, 상기 흡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흡착함으로써 그 하강이 제지됨과 동시에, 하강하는 상기 안내면에 안내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흡착부는,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도록 전자석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전자석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전자석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흡착부는,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영구자석과, 이 영구자석의 자력을 지우도록 배치된 전자석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전자석으로의 전력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20067011076A 2006-06-05 2004-11-16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0813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1076A KR100813767B1 (ko) 2006-06-05 2004-11-16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1076A KR100813767B1 (ko) 2006-06-05 2004-11-16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101A true KR20070049101A (ko) 2007-05-10
KR100813767B1 KR100813767B1 (ko) 2008-03-13

Family

ID=3827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1076A KR100813767B1 (ko) 2006-06-05 2004-11-16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7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9415A (zh) * 2017-08-16 2019-03-01 迈格钠磁动力股份有限公司 电梯永磁缓速安全保护装置
CN114728761A (zh) * 2019-11-21 2022-07-08 因温特奥股份公司 能够容易复位的电子防坠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85622A (en) * 2013-11-15 2021-05-26 Inventio Ag Safety brake for an elevator
CN106458512B (zh) * 2014-06-12 2019-06-14 奥的斯电梯公司 制动构件致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558A (ja) * 1996-01-30 1997-08-0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脱レール防止装置
US6161653A (en) * 1998-12-22 2000-12-19 Otis Elevator Company Ropeless governor mechanism for an elevator c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9415A (zh) * 2017-08-16 2019-03-01 迈格钠磁动力股份有限公司 电梯永磁缓速安全保护装置
CN109399415B (zh) * 2017-08-16 2023-10-24 迈格钠磁动力股份有限公司 电梯永磁缓速安全保护装置
CN114728761A (zh) * 2019-11-21 2022-07-08 因温特奥股份公司 能够容易复位的电子防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767B1 (ko)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9046B1 (en) 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CN109562910B (zh) 电梯装置
US10093515B2 (en) Elevator apparatus
CN108290713B (zh) 电梯装置
US20150041256A1 (en) Elevator apparatus
JP467265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09019229B (zh) 电梯制动控制装置及电梯
US20150353323A1 (en) Elevator apparatus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EP1749785B1 (en) Elevator controller
JP5809755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4315839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作業用管制装置
JP2014114130A (ja) エレベータ
KR100813767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4890246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419094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63394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001150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KR20070004277A (ko) 엘리베이터용 비상 브레이크장치
CN110171760B (zh)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JPH04313586A (ja)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
CN115397760B (zh) 紧急制动装置以及电梯
JP2011256001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2930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074205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