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162A -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162A
KR20070046162A KR1020077005211A KR20077005211A KR20070046162A KR 20070046162 A KR20070046162 A KR 20070046162A KR 1020077005211 A KR1020077005211 A KR 1020077005211A KR 20077005211 A KR20077005211 A KR 20077005211A KR 20070046162 A KR20070046162 A KR 20070046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information
area
recorded
f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489B1 (ko
Inventor
가즈오 구로다
에이지 무라마쓰
마사히로 가토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lead-in are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lead-out are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track, i.e. the entire a spirally or concentrically arranged path on which the recording marks are located
    • G11B2020/123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track, i.e. the entire a spirally or concentrically arranged path on which the recording marks are located the track being a pregroove, e.g. the wobbled track of a recordable optical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5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ith ROM/RAM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7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for managing gaps between two recordings, e.g. control data in linking areas, run-in or run-out fields, guard or buffer zo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8Physical format specifications of the record carrier, e.g. compliance with a specific standard, recording density, number of layers, start of data zone or lead-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2Enhancement of the total storage capac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4Increase of the access speed
    • G11B2020/1297Increase of the access speed wherein the focus is on the write access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11B2220/237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having exactly two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정보 기록 매체(100)는, 기록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정보 영역(106), 기록 정보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인접하는 단부 영역(104, 108, 109), 및 단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하기 위한 플래그 영역(121)을 포함한다.
기록 정보 영역, 단부 영역, 플래그 영역, 정보 기록 매체, 사전 정보

Description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의 실시예에 관한 복수 개의 기록 영역을 가지는 광디스크의 기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광디스크의 개략 단면도와 이에 대응하는, 그 반경 방향에서의 기록 영역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기록층이 1층인 광디스크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기록층이 2층인 광디스크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기록층이 2층인 광디스크에 관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 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광디스크에 설치되는 어드레스 기록 영역 내에 기록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실시예에로서의 정보 기록/재생 장치 및 호스트 컴퓨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재생 장치의 제1 기록 동작 전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재생 장치의 제2 기록 동작 전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서,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제2 기록 동작시에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2 기록 동작시에 사전 정보의 추가 기록의 특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재생 장치의 제3 기록 동작의 전체적인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O: 광디스크 104: 리드인 영역 106: 사용자 데이터 영역
108: 리드아웃 영역 109: 중간 영역 112: RMA
113: 컨트롤 데이터 존 121: 플래그 영역 122: 어드레스 기록 영역
300: 정보 기록/재생 장치 352: 광픽업
353: 신호 기록/재생 디바이스 354: CPU
본 발명은, DVD 등의 정보 기록 매체, DVD 레코더 등의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컴퓨터를 이와 같은 정보 기록 장치로서 기능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CD(Compact Disc), DVD 등의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정 복제를 방지하고 또한 관리 정보나 제어 정보의 변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리드인 영역(lead-in area)의 필요한 최소의 영역에 엠보스 피트(embossed pits) 또는 프리 마크(pre-marks)를 미리 형성하고 있다.
또는, 하기의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층형의 광디스크의 기록 동작과 관련하여, 층간 점프를 위한 버퍼 영역을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기술도 있다.
또, 단층 또는 다층형의 광디스크의 기록 동작과 관련하여,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고, 파이널라이즈 처리(finalize processing)시에 리드아웃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하기의 특허문 헌 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보다 리드아웃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고속의 기록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도 있다.
또, 하기의 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드아웃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기록용 레이저광의 기록 방식을 변경하여 고속의 기록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도 있다.
또, 하기의 특허문헌 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ROM 디스크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리드아웃 영역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하는 기록 장치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1-26636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0-33141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2-170339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1-176079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3-151133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3-157620호 공보
그러나, 광디스크가 단일 층으로 된 경우에는, 리드인 영역에만 개시 위치 등이 정해져 있으며, 리드아웃 영역의 개시 위치는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엠보스 피트 또는 프리 마크를 미리 형성할 수 없다.
또, 단일 층 또는 다층형의 광디스크의 기록 동작에 대하여, 일반적인 ROM 디스크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과 동시에 동기 정보 와 어드레스 정보의 기록이 행해지며, 리드아웃 영역에의 기록 동작은 파이널라이즈 처리시에 행해진다. 그러므로, 리드아웃 영역의 길이를 단축하거나 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대해 고속의 기록 동작을 행한다고 하더라도,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을 행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하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리드아웃 영역의 길이를 가변 길이로 하고, 리드아웃 영역에 고속의 기록을 행하기 위해서는, 기록 장치를 매우 정밀하게 제어하여야 한다는 기술적인 문제점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기록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 기록 매체)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록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정보 영역; 정보 기록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단부 영역; 단부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사전 정보(pre-inforamtion)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pre-record flag)를 기록하기 위한 플래그 영역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면, 기록 정보 영역에 영상 정보나 음성 정 보 등의 기록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 이 기록 정보 영역의 한쪽의 단부 또는 양쪽의 단부에 인접하여 단부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 영역(edge portion area)은, 후술하는 정보 기록 장치의 광픽업에 의해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면을 검색할 때에, 레이저광이 정보 기록 영역의 밖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단부 영역 등의 구성이 없으면, 광픽업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기록 정보 영역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정보를 판독할 수 없고, 그 후 광픽업의 동작이 제어 불능의 폭주(runaway) 상태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단부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단부 영역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특히 단부 영역(또는 적어도 그 일부)에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하기 위한 플래그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는, 특히 본 발명에 관한 정보 기록 매체의 사용자에 의해(또는 사용자가 가지는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해)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 사전 정보는 단부 영역 중 미리 기록되어야 할 영역 부분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정보가 단부 영역 중, 광픽업 동작이 제어 불능의 폭주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영역 중 일부 또는 그 영역 전체에 미리 기록된다. 따라서, 사전 정보를 전체 단부 영역에 미리 기록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 예를 들면 기록 정보 영역에 기록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단부 영역에 사전 정보를 미리 기록해 두면, 파이널라 이즈 처리시에, 단부 영역에 다시 몇 개의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없다. 즉, 파이널라이즈 처리에 앞서, 단부 영역에 몇 개의 정보로서 사전 정보를 미리 기록할 수 있으므로, 파이널라이즈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록 동작을 더 효율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사전 정보를 미리 기록한 것은,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면, 정보를 정보 기록 매체에 효율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기록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미리 기록"(또는 "사전 기록")이라는 용어는, 사전 정보(pre-information)를 파이널라이즈 처리에 앞서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미리 기록할 때에는 기록 정보의 통상적인 기록과 동일한 동작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의 하나의 특징으로서, 단부 영역에는 사전 정보가 사전에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위치 정보 영역이 포함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사전 기록(pre-recording)을 중단해도, 그 중단한 위치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영역에 사전 정보를 한번에 미리 기록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나 정보 기록 장치 등을 사용하기에 적당한 때에, 여러 번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사전 기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사전 정보를 미리 기록하는 동안에 기록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이와 유사한 경우에는, 사전 정보가 사전에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위치 정보(예를 들 면, 어드레스 정보 등)를 위치 정보 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위치 정보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위치로부터 사전 기록을 재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기록 동작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다른 특징으로서, 단부 영역에는, 사전 정보가 사전에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종단부(end-edge portion)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위치 정보 영역이 포함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사전 기록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그 중단된 위치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영역에 사전 정보를 한번에 미리 기록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나 정보 기록 장치 등을 사용하기에 적당할 때(예컨대, 처리 부하가 작을 때)에, 예를 들면 여러 번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사전 기록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사전 정보가 사전에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종단부(즉,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 영역과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지 않은 기록 영역 간의 경계부)의 위치 정보가 기록되므로, 위치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위치 정보가 중단된 위치부터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을 바람직하게 재개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기록 동작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의 다른 특징으로서, 플래그 영역은, 정보 기록 매체의 제조자에 의해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복제되는 기록 관리 영역 또는 이 기록 관리 영역의 부근에 위치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플래그 영역은, 제2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복제되는 기록 관리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플래그 영역에 기록된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참조하는 정보 기록 장치는, 이 플래그가 사용자에 의해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인지 또는 제조자에 의해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복제된 것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치에 플래그 영역을 제공하면, 기존의 정보 기록 장치를 사용해도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바람직하게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물론, 기록 관리 영역의 부근에 플래그 영역이 설치되어 있어도, 앞서 설명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한 다른 특징으로서, 단부 영역은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중간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이 특징에 의하면, DVD나 CD 등의 널리 보급되어 있는 광디스크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한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기록 매체는, 기록 정보 영역 및 단부 영역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기록층을 포함하며, 플래그 영역은 이러한 복수 개의 기록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 개의 기록층을 가지고 있어도, 각각의 기록층마다 플래그 영역을 가질 필요가 없다. 즉, 복수 개의 기록층에 공통인 하나 이상의 플래그 영역이 하나 이상의 기록층에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그러므로, 플래그 영 역을 구비하기 위해 필요한 기록 용량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정보 기록 매체 전체의 기록 용량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정보 기록 장치)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록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정보 영역, 정보 기록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단부 영역, 및 단부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하기 위한 플래그 영역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매체(즉,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로서, 그 여러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로서, 기록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사전 정보를 단부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미리 기록하기 위한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 이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플래그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 및 기록 정보를 기록 정보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하면,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단부 영역 중 적어도 일부(즉, 단부 영역 중 사전 정보가 기록되어야 할 영역 부분)에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된다. 그리고, 사전 정보가 단부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플래그 영역에 기록된다.
이 경우, 정보 기록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기록 정보 영역에 기록 정보의 기록이 종료된 후에는, 재생 전용의 정보 재생 장치와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 파이널라이즈 처리가 행해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몇몇 정보가 단부 영역에 기록된다. 이때, 단부 영역에는, 파이널라이즈 처리에 앞서,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널라이즈 처리시에 단부 영역에 몇몇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달리, 몇몇 정보를 단부 영역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고 해도, 사전 정보를 미리 기록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정보를 기록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파이널라이즈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인 기록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단부 영역에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기록되므로,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참조하면, 단부 영역에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것을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하면,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기록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서의 각종의 특징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도 각종의 특징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대한 특징으로서, 단부 영역 중에서 사전 정보가 사전에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위치 정보 기록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사전 기록을 중단해도, 사전 기록이 중단된 위치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영역에 사전 정보를 한번에 미리 기록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나 정보 기록 장치 등을 사용하기 적당할 때에, 여러 번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사전 정보를 미리 기록하는 동안에 기록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이와 유사한 경우에는, 위치 정보 기록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사전 정보가 사전에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어드레스 정보 등)를 위치 정보 영역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정보를 참조하면, 사전 기록이 중단된 위치부터 사전 기록을 바람직하게 재개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기록 동작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대한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기록 장치는, 단부 영역 중에서 사전 정보가 사전에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종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위치 정보 기록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사전 기록이 중단된 경우에도, 그 중단된 위치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 영역에 사전 정보를 한번에 미리 기록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나 정보 기록 장치 등을 사용하기 적당할 때에, 여러 번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영역 부분의 종단부(즉,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 영역과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지 않은 기록 영역 간의 경계부)의 위치 정보가 기록되므 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부터 사전 정보를 바람직하게 재개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기록 동작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대한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기록 장치는,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정보를 미리 기록하는 중에, 정보 기록 디바이스에 의해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을 중단시키는 중단용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는, 정보 기록 디바이스에 의한 기록 정보의 기록이 종료한 후에 사전 정보를 미리 기록하는 동작을 재개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기록 정보의 기록에 따라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제의 기록 동작에 따라, 기록 정보의 기록과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을 유연하게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대한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기록 장치는,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에 의한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을 중단시키기 위한 중단용 디바이스와, 이 중단용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기록이 중단된 후, 미리 기록된 사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용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미리 기록된 사전 정보를 확인(즉, 사전 정보를 재생하여 재생 품질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정보 기록 장치의 기록 동작을 위한 여러 가지의 파라미터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동작을 더 바람직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특징에서는,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는, 확인 디바이스에 의한 검사 후에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을 재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확인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 후에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전 정보의 확인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가 가지는 각종 장점과 동일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다른 특징으로서,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는,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이 완료된 후에,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된 것을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단부 영역(특히, 단부 영역 중 사전 정보가 기록되어야 할 기록 영역 전체)에의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이 완료(즉, 종료)한 후에,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된 것을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플래그 영역에 기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참조하면, 사전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사전 정보의 기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다른 특징으로서,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는, 사전 정보가 정보 기록 매체의 제조자에 의해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복제되는 기록 관리 영역 또는 이 기록 관리 영역의 부근에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는, 제2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복제되는 기록 관리 영역에 기록된다. 따라서, 정보 기록 장치는, 참조할 플래그가, 사용자에 의해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인지 아니면 제조자에 의해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복제된 것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플래그를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치에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하면, 기존의 정보 기록 장치는 플래그 영역을 바람직하게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물론, 기록 관리 영역의 부근에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해도, 전술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다른 특징으로서,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는,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단부 영역으로서 각각 형성되는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중간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사전 정보를 기록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DVD나 CD 등과 같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 광디스크에 대해서, 전술한 여러 가지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다른 특징으로서, 정보 기록 매체는, 기록 정보 영역 및 단부 영역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기록층을 가지고 있고,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기록층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복수 개의 기록층을 가지고 있어도, 각각의 기록층마다 플래그 영역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즉, 복수 개의 기록층에 공통인 적어도 하나의 플래그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 다시 말해서, 복수 개의 기록층에 공통인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에 기록되면 된다. 그러므로,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기록 용량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정보 기록 매체 전체의 기록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정보 기록 방법)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록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정보 영역, 정보 기록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단부 영역, 단부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소정의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하기 위한 플래그 영역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매체(즉,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로서, 그 여러 가지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기록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사전 정보를 단부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미리 기록하는 사전 기록 공정;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하기 위한 플래그 기록 공정; 및 기록 정보를 기록 정보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와 동일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여러 가지 특징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정보 기록 방법도 여러 가지 특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를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단, 여러 가지 특징을 포함) 중 적어도 일부로서 기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 및 정보 기록 디바이스 중 적어도 일부로서 기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CD-ROM, DVD-ROM,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읽어들여 실행시키거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컴퓨터에 다운로드시킨 후에 실행시키면,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를 비교적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여러 가지 특징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도 여러 가지 특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정보 기록 장치(그 여러 가지 특징을 포함)에 구비된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을 명백하게 구현하고, 컴퓨터를,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 및 정보 기록 디바이스 중 적어도 일부로서 기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하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기 위한 ROM, CD-ROM, DVD-ROM,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컴퓨터에 읽어들이거나, 예를 들면 반송파에 해당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컴퓨터에 다운로드함으로써, 본 발명의 정 보 기록 장치를 비교적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를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로서 기능하게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코드(또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여러 가지 특징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도 여러 가지 특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작용 및 다른 장점은,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 명백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 기록 매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기본 구성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의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기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위쪽에는 복수 개의 영역을 가지는 광디스크의 구조를 개략적인 평면도로 나타내며, 아래쪽에는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에서의 영역 구조를 개념도로 대응시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디스크(10O)는, 광자기(magneto optical) 방식 이나 상변화(phase changing) 방식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록 방식으로, 데이터를 여러 번 또는 1회만 기록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 디스크(100)는, DVD와 동일하게, 직경 12cm 정도의 디스크 본체 상의 기록면에, 센터 홀(102)을 중심으로 하여,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해, 리드인 영역(104),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 및 리드아웃 영역(108)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은 본 발명의 "기록 정보 영역"의 구체적인 예를 구성하며,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또는 후술하는 중간 영역(109)]은 본 발명에서의 "단부 영역"(edge portion area)의 구체적인 예를 구성한다. 각 영역에는, 예를 들면, 센터 홀(102)을 중심으로 해서 나선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그루브 트랙(GT)과 랜드 트랙(LT)이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그루브 트랙(GT)은 워블링되어 있어도 되고, 그루브 트랙(GT)과 랜드 트랙(LT) 중 한쪽 또는 양쪽에 프리피트(pre-pit)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3개의 영역을 가지는 광디스크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드인 영역(104)이나 리드아웃 영역(108)이 존재하지 않아도, 이하에 설명하는 파일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또, 리드인 영역(104)이나 리드아웃 영역(108)을 더욱 세분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10O)는, 기록층이 1층인 광디스크로 한정되지 않고, 2층 단일 면(즉, 듀얼 층)이나 2층 양면(즉, 듀얼 층 더블 사이드)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100)는 2층의 기록층을 가지는 광디스크에 한정되지 않고, 3층 이상의 다층형의 광디스크라도 된다.
(2) 데이터 구조
다음에,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매체의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고, 적당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기록층이 1층인 광디스크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기록층이 2층인 광디스크에 관한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기록층이 2층인 광디스크에 관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디스크(100)의 리드인 영역(104)에는, 파워 교정 영역(PCA: Power Calibration Area)(111), 기록 관리 영역(RMA: Recording Management Area)(112), 및 컨트롤 데이터 존(113)이 형성되어 있다.
PCA(111)에는, 최적 파워 제어(OPC: Optimum Power Control) 처리시에 OPC 패턴이 기록된다. 기록된 OPC 패턴을 재생함으로써, 광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최적 파워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RMA(112)에는, 광디스크(100)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기록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RMD: Recording Management Data)가 기록된다. RMA(112)는 본 발명의 "기록 관리 영역"의 일례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RMA(112)가 플래그 영역(121)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그 영역(121)에는,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또는, 후술하는 중간 영역(109) 또는 그 일부]에 사전 데이터(pre-data)(예를 들면, "00h" 데이터 등)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프리-플래그(user pre-flag)가 기록된다. 특히, 사용자에 의해 광디스크(100)에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된다. 즉, 사용자 프리-플래그는, 본 발명의 "제1 프리-레코드 플래그"의 구체적인 일례를 구성한다.
컨트롤 데이터 존(113)에는, 광디스크(10O)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동작이나, 광디스크(10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 광디스크(100)의 제조자(즉, 디스크 제조업자)에 의해, 리드인 영역(104)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108)[또는, 후술하는 중간 영역(109)]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조자 프리-플래그가, 예를 들면, 제조자 코드로서 기록되어 있다. 제조자 프리-플래그는, 본 발명의 "제2 프리-레코드 플래그"의 구체적인 일례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전 데이터는 광디스크(100)의 리드인 영역(104)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108) 등에 제조자에 의해 미리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조자 프리-플래그는, 미리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 예컨대 "0"을 나타내고 있다.
제조자 프리-플래그는, 통상적으로, 광디스크가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로딩되었을 때에, RMA(112), 특히 전술한 플래그 영역(121)과 동등한 기록 위치에 기록된다. 즉, 공장 출하시에 컨트롤 데이터 존(113)에 기록되어 있는 제조자 프리-플래그가 로딩시에 RMA(112)에 복제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되는 플래그 영역(121)은, 통상적으로 제조자 프리-플래그가 광디스크의 로딩시에 복제되는 복제 목적지의 기록 위치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 한 기록 위치에 설치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기록층이 2층으로 된 광디스크(100a)[특히, 오포지트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100a)]에서, 첫 번째 기록층인 L0층은,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리드인 영역(104),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1), 및 중간 영역(109-1)을 구비하고 있다. 두 번째 기록층인 L1층은,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리드아웃 영역(108),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2), 및 중간 영역(109-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디스크(100)와 마찬가지로, L0층의 리드인 영역(104)에는, PCA(111), RMA(112), 및 컨트롤 데이터 존(113)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RMA(112) 내에는 플래그 영역(121)이 형성되어 있다. 광디스크(100a)의 플래그 영역(121)에 기록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는, 리드인 영역(104), 리드아웃 영역(108), 중간 영역(109-1) 및/또는 중간 영역(109-2)(또는, 그 일부)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기록층이 2층으로 된 광디스크(100b)[특히, 패너랠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100b)]에서, 첫 번째 기록층인 L0층은,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리드인 영역(104-1),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1), 및 리드아웃 영역(108-1)을 구비하고 있다. 두 번째 기록층인 L1층은,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리드인 영역(104-2),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2), 및 리드아웃 영역(108-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디스크(100b)에서는, L0층의 리드인 영역(104-1)에, PCA(111-1), RMA(112-1), 및 컨트롤 데이터 존(113)이 형성되어 있고, L1층의 리드인 영역(104-2)에, PCA(111-2) 및 RMA(1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RMA(112-1) 내에는 플래그 영역(121)이 형성되어 있다. 광디스크(100b)의 플래그 영역(121)에 기록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는, 리드인 영역(104-1), 리드인 영역(104-2), 리드아웃 영역(108-1),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108-2)(또는, 그 일부)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기록층이 2층으로 된 광디스크(100a 및 100b)에서, 플래그 영역(121)은 각각의 기록층마다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들 광디스크(100, 100a 및 100b)에 형성되어 있는 플래그 영역(121)에 기록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사용자 프리-플래그는, 리드인 영역(104), 리드아웃 영역(108) 및 중간 영역(109)의 각각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광디스크(100)의 경우,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의 각각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를 각각 나타내는 두 개의 플래그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플래그 영역(121)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리드인 영역(104)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1"이면, 리드인 영역(104)[특히,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영역 부분 전체]에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리드아웃 영역(108)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0"이면, 리드아웃 영역(108)[특히,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영역 부분 전체]에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또, 도 3에 나타낸 광디스크(100a)의 경우,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104), 리드아웃 영역(108), 중간 영역(109-1), 및 중간 영역(109-2)의 각각에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4개의 플래그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된다. 도 4에 나타낸 광디스크(100b)의 경우,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104-1), 리드아웃 영역(108-1), 리드인 영역(104-2), 및 리드아웃 영역(108-2)의 각각에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4개의 플래그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된다.
그리고, 리드인 영역(104), 리드아웃 영역(108), 및 중간 영역(109)을 하나의 기록 영역으로 간주하고, 그 하나의 기록 영역을 전체로 해서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프리-플래그를 기록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100) 등에는 플래그 영역(1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래그 영역(121) 내에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프리-플래그를 참조하면, 리드인 영역(104) 등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에,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 등을 기록하기 전에(또는 기록하는 중에), 리드인 영역(104) 등에 사전 데이터를 미리 기록하게 되면, 광디스크(100) 등의 파이널라이즈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파이널라이즈 처리시에는, 리드인 영역(104), 리드아웃 영역(108), 및 중간 영역(109)에, 소정의 관리 데이터 또는 더미 데이터(예를 들면, "0Oh" 데이터 등)를 기록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특히 더미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플래그 영역(121)은, 제조자 프리-플래그가 본래 복제되는 복제 목적지의 기록 위치와 동일하므로, 광디스크(100)가 기존의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로딩된다고 해도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 사전 데이터는 반드시 리드인 영역(104)의 전체에 기록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파이널라이즈 처리시에 소정의 관리 데이터 등을 반드시 기록할 필요가 없는 기록 영역[예를 들면, R-information 존이나 엑스트라 경계 존(extra border zone) 등]에는 기록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 프리-플래그는, 파이널라이즈 처리시에 소정의 관리 데이터 등을 반드시 기록할 필요가 없는 기록 영역 외의 리드인 영역(104)에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물론, 리드아웃 영역(108)이나 중간 영역(109)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100) 등의 리드인 영역(104), 리드아웃 영역(108), 및 중간 영역(109) 등의 위치(즉,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영역의 위치)는, 예를 들면 랜드 프리피트(Land Pre-Pit) 등에, 예를 들면 어드레스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광디스크(100a)의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그리고, 여기서는, 도 3에 나타낸 광디스크(100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0층에서는, 내주측에서부터 외주측으로 갈수록[즉, 리드인 영역(104),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1), 및 중간 영역(109-1)의 순서], 광디스크(100)의 기록 영역의 섹터 번호가 증가한다. 즉, 리드인 영역(104)의 경우, 섹터 번호가 "02FFFFh"와 같거나 작은 기록 영역에 상당하는 것이, 예를 들면 랜드 프리피트 등에 의해 나타나 있다. 또, 중간 영역(109-1)의 경우, 섹터 번호가 "1AFFFFh" 보다 큰 기록 영역에 상당하는 것이, 예를 들면 랜드 프리피트 등에 의해 나타나 있다. 한편, L1층에서는, 외주측에서 내주측으로 갈수록[즉, 중간 영역(109-2),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2), 및 리드아웃 영역(108)의 순서], 광디스크(100)의 기록 영역의 섹터 번호가 증가한다. 즉, 리드아웃 영역(108)의 경우, 섹터 번호가 "FCFFEFh" 보다 큰 기록 영역에 상당하는 것이, 예를 들면 랜드 프리피트 등에 의해 나타나 있다. 또한, 중간 영역(109-2)은 섹터 번호가 "E50000h" 보다 작은 기록 영역에 상당하는 것이, 예를 들면 랜드 프리피트 등에 의해 나타나 있다. 이와 달리, 더 상세하게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영역을 나타낸 어드레스 정보 등이 랜드 프리피트 등에 의해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어드레스 정보가 취득됨으로써, 후술하는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리드인 영역(104), 리드아웃 영역(108), 및 중간 영역(109)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다.
참고로, 이상 설명한 L0층과 L1층에서의 섹터 번호는 모두 16진수로서 15의 보수 관계에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L0층에서의 반환점(섹터 번호 "1AFFFFh")과 L1층에서의 반환점(섹터 번호 "E50000h")은 15의 보수 관계에 있다. 형식적으로, "1AFFFFh"의 보수는, 16진수의 섹터 번호 "1AFFFFh"를 2진수 "000110101111111111111111"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111001010000000000000000"로 비트 반전시킨 다음, 16진수 "E50000h"로 재변환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섹터 번호에 대해서, 논리 블록 어드레스(LBA: Logical Block Address)가 1 대 1로 할당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섹터 번호 "030000h"에는 "000000"의 LBA가 대응하고, 섹터 번호 "FCFFEFh"에는 "30FFEF"의 LBA가 대응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는, 물리적인 섹터 번호를 의식하지 않고도,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의 리드인 영역(104)과의 경계 부근에 기록되는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논리 블록 어드레스(LBA)에 따라 기록 동작 및 재생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변형예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매체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변형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광디스크에 설치되는 어드레스 기록 영역 내에 기록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변형예에 관한 광디스크(100c)에서는, 전술한 광디스크(10O)와 마찬가지로, 리드인 영역(104) 내에, PCA(111), RMA(112), 및 컨트롤 데이터 존(113)을 구비하고 있고, RMA(112) 내에 플래그 영역(121)이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에 관한 광디스크(100c)에서는, 특히 RMA(112) 내에, 본 발명의 "위치 정보 영역"의 구체적인 일례를 구성하는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는, 사전 데이터가 리드인 영역(104)에 미리 기록된 기록 영역의 종단부의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된다. 다시 말해서, 사전 데이터의 기록을 중단했을 때에, 사전 데이터가 마지막으로 기록된 기록 영역의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된다. 즉, 예를 들면, 리드인 영역(104)의 섹터 번호가 "023FFFh" 와 같거나 작은 기록 영역에는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고, 섹터 번호가 "024000h"와 같거나 큰 기록 영역에 사전 데이터가 아직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023FFFh"의 섹터 번호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된다. 물론, 리드아웃 영역(108)이나 중간 영역(109)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예를 들면, 리드아웃 영역(108)의, 섹터 번호가 "F8FFFFh"와 같거나 작은 기록 영역에는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고, 섹터 번호가 "F9000Oh"와 같거나 큰 기록 영역에는 사전 데이터가 아직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F8FFFFh"의 섹터 번호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된다.
또, 리드인 영역(104) 중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영역 전체에 사전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에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104)의 종단부의 섹터 번호인 "02FFFFh"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가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사전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즉, 완료)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000h"의 섹터 번호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가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기록되어도 된다.
또한, 리드아웃 영역(108)에의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을 아직 개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도 8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아웃 영역(108)에 관한 어드레스 정보가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기록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들 도 8의 (b)로부터 도 8의 (d)에 나타낸 어드레스 정보의 설명은, 당연히 리드인 영역(104), 리드아웃 영역(108), 및 중간 영역(109)의 각각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프리-플래그를 기록하는 플래그 영역(121)에 추가로,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을 구비함으로써, 사전 데이터가 리드인 영역(104) 등의 어느 부분까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사전 데이터의 기록을 더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을 도중에 중단해도, 그 중단된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가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사전 기록을 중단한 후에도, 그 중단 위치로부터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을 비교적 용이하고 또한 신속히 재개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래그 영역(121)과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의 모두를 구비하는 광디스크(100c)에서,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완료한 경우, 사용자 프리-플래그를, 예를 들면 "0"에서 "1"로 바꿔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을 도중에 중단한 경우, 사용자 프리-플래그는 "0"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완료하는 것은, 플래그 영역(121)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1"이며 또한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 정보가,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0000h"를 나타내는지, 또는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 데이터를 미리 기록해야 할 기록 영역의 종단부의 섹터 번호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또, 변형예에서는,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기록되는 어드레스 정보의 구체적인 일례로서 섹터 번호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논리 블록 어드레스에 의해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어도 되고, 또는 그 외의 정보(예를 들면, 트랙 번호 등)에 의해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어도 된다. 또, 절대적인 어드레스값에 의해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오프셋 어드레스와 같이 상대적인 어드레스 값에 의해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어도 된다.
(정보 기록/재생 장치)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실시예인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기본 구성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 및 호스트 컴퓨터(4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재생 장치 및 호스트 컴퓨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는, 광디스크(100)에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과, 광디스크(100)에 기록된 기록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는, 광디스크(100), 스핀들 모터(351), 광픽업(352), 신호기록/재생 디바이스(353), CPU(드라이브 제어 디바이스)(354), 메모리(355), 데이터 입출력 제어 디바이스(306), 및 버스(35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호스트 컴퓨터(400)는, CPU(359), 메모리(360), 조작/표시 제어 디바이스(307), 조작 버튼(310), 표시 패널(311), 및 데이터 입출력 제어 디바이스(30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스핀들 모터(351)는 광디스크(100)를 회전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 광디스크(100)에 액세스할 때에 동작한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스핀들 모터(351)는, 도시하지 않은 서보 유닛 등에 의해 스핀들 서보를 받으면서 소정 속도로 광디스크(100)를 회전 및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픽업(352)은, 광디스크(100)에 대한 기록/재생을 수행하기 위하여, 반도체 레이저 장치와 렌즈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광픽업(352)은, 광디스크(100)에 대해서 레이저광을, 재생시에는 판독 광으로서 제1 파워로 조사하고, 기록시에는 기록 광으로서 제2 파워로 변조시키면서 조사한다.
신호 기록/재생 디바이스(353)는, 본 발명의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 및 "정보 기록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일례를 구성하며, 스핀들 모터(351)와 광픽업(352)을 제어하는 것으로, 광디스크(100)에 대해서 기록/재생을 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신호 기록/재생 디바이스(353)는, 레이저 다이오드(LD) 드라이버 및 헤드 증폭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LD) 드라이버는, 광픽업(352)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를 구동시킨다. 헤드 증폭기는, 광픽업(352)의 출력 신호, 즉 레이저광의 반사광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신호 기록/재생 디바이스(353)는, OPC(Optimum Power Control) 처리시에, CPU(354)의 제어하에서,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생성기와 함께, OPC 패턴의 기록 및 재생 처리에 의해 최적의 레이저 파워를 결정하기 위하여, 광픽업(352)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를 구동시킨다.
메모리(355)는, 기록/재생 데이터의 버퍼 영역, 신호 기록/재생 디바이 스(353)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할 때의 중간 버퍼로서 사용되는 영역 등을 포함하며,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에서의 전체적인 데이터 처리 및 OPC 처리 등에 사용된다. 또한, 메모리(355)는 레코더 기기로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즉 펌웨어가 저장되는 ROM 영역, 기록/재생 데이터의 일시 저장용 버퍼, 및 펌웨어 프로그램 등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RAM 영역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CPU(드라이브 제어 디바이스)(354)는, 버스(357)를 통하여 신호 기록/재생 디바이스(353) 및 메모리(355)에 접속되고, 각종 제어 디바이스에 지시를 내림으로써,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 전체의 제어를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CPU(354)가 동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는 메모리(355)에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 입출력 제어 디바이스(306)는,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메모리(355)의 데이터 버퍼에 대한 저장 및 인출을 수행한다.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에 SCSI, ATAPI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400)(이하, 적당히 호스트라고 함)로부터 발행되는 드라이브 제어 명령은, 데이터 입출력 제어 디바이스(306)를 통하여 CPU(354)에 전달된다. 또한, 기록/재생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데이터 입출력 제어 디바이스(306)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400)에 대하여 송수신된다.
조작/표시 제어 디바이스(307)는 호스트 컴퓨터(400)에 대한 동작 지시의 접수와 표시를 행하는 것이며, 기록 또는 재생의 조작 버튼(310)에 의한 지시를 CPU(359)에 전달한다. CPU(359)는, 조작/표시 제어 디바이스(307)로부터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입출력 디바이스(308)를 통하여,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에 대해서 제어 명령(커맨드)을 송신하여,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 전체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CPU(359)는,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에 대해서, 동작 상태를 호스트 컴퓨터(400)에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기록 중 또는 재생 중이라는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CPU(359)는 조작/표시 제어 디바이스(307)를 통하여 형광관(fluorescent tube), LCD 등의 표시 패널(311)에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호스트 컴퓨터(400)가 사용하는 내부 기억 장치이며, 예를 들면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등의 펌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 영역,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 등이 저장되는 RAM 영역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메모리(360)는, 데이터 입출력 제어 디바이스(308)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하드 디스크 등의 외부 기억 장치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와 호스트 컴퓨터(400)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구체적인 일례는,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레코더 기기 등의 가정용 기기이다. 이 레코더 기기는 방송 수신 튜너 및 외부 접속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크에 기록하고, 텔레비전 등의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크로부터 재생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레코더 기기로서의 동작은, 메모리(3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359)에서 실행시키는 것으로 수행된다. 또한, 다른 구체예 에서는,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가 디스크 드라이브(이하, 적당히 "드라이브"라고 함)이며, 호스트 컴퓨터(400)는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이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호스트 컴퓨터(400)와, 디스크 드라이브는 SCSI나 ATAPI와 같은 데이터 입출력 제어 디바이스(306 및 30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호스트 컴퓨터(400)에 인스톨되어 있는 라이팅 소프트웨어(writing software) 등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어한다.
(2) 제1 기록 동작의 예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의한 제1 기록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1 기록 동작 전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제1 기록 동작의 예는, 도 2에 나타낸 광디스크(100)[또는, 도 3에 나타낸 광디스크(100a) 또는 도 4에 나타낸 광디스크(100b)]에 대해서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기록 동작으로서, 특히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리드인 영역(104) 등에 한번에(즉, 중단하지 않고) 사전 데이터를 미리 기록하는 기록 동작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광디스크(100)가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에 로딩된다(단계 S101).
이어서, CPU(354)의 제어하에서, OPC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102). 즉, PCA(111)에 OPC 패턴이 기록되고, 기록된 OPC 패턴의 재생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레이저광의 최적의 파워가 산출된다.
이어서,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의 각각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다(단계 S103).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랜드 프리피트(land pre-pit)를 판독함으로써,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의 각각의 위치[또는,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의 각각에서의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위치]가 취득되고, 그 위치에 사전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어서, CPU(354)의 제어하에서, 플래그 영역(112)에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된다(단계 S104).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계 S103에서,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의 각각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으므로, "1"을 나타낸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플래그 영역(112)에 기록된다. 그 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PC용 데이터 등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에 기록된다(단계 S105).
이어서, CPU(354)의 제어하에서, 기록 동작을 종료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06). 즉, 기록해야 할 데이터의 기록을 종료하였는지,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록 동작의 정지 지시가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의 결과, 기록 동작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106: 아니오(No)], 본 처리 과정은 단계 S105로 복귀하여, 기록 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기록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되면[단계 S106: 예(Yes)], 파이널라이즈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107). 구체적으로, 플래그 영역(112)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프리-플래그를, 리드인 영역(104) 내의 R-information 존에 복제하고, 또한 리드인 영역(104) 내의 엑스트라 경계 존(extra border zone)에 광디스크(100) 상에서의 데이터의 분포를 나타내는 스페이스 비트맵 데이터(space bitmap data) 등을 기록한다. 따라서, 단계 S103에서 리드인 영역(104)에 사전 데이터를 미리 기록하는 경우에는, 이 R-information 존이나 엑스트라 경계 존에 사전 데이터를 미리 기록하지 않는다.
이때, 단계 S103에서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으므로, 본래 파이널라이즈 처리시에 실행해야 하는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에 더미 데이터 등(예를 들면, "0Oh" 데이터 등)의 기록 동작을 행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파이널라이즈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리-플래그는, 제조자 프리-플래그가 본래 복제되어야 할 기록 영역과 동일한 또는 거의 동일한 기록 영역에 위치하는 플래그 영역(112) 내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파이널라이즈 처리시에 특별한 동작이나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즉,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에서, 사용자 프리-플래그와 제조자 프리-플래그를 구별하여 취급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정보 기록/재생 장치라도, 광디스크(100)를 적절히 파이널라이즈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단계 S1O1에서 광디스크를 로딩할 때에, 광디스크(10O)의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RMA(112) 내의 플래그 영역(121)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프리-플래그를 참조함으로써,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0"을 나타내고 있으면, 사전 기록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다. 한편, 사용자 프리-플래그 가 "1"을 나타내고 있으면, 사전 기록이 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사전 기록이 이미 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103의 사전 기록이 행해지지 않게 구성해도 된다. 또는, 광디스크(100)가 처음으로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에 로딩된 것이면, 플래그 영역(121)에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경우 사전 기록은 아직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어도 된다. 사전 기록이 아직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103의 사전 기록이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RMA(112)내의 플래그 영역(121)을 참조하는 것에 추가하여, 또는 그 전에, 또는 이에 대신하여, 컨트롤 데이터 존(113) 내에 기록되어 있는 제조자 프리-플래그를 참조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광디스크(100)의 제조자에 의해 리드인 영역(104)이나 리드아웃 영역(108)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광디스크(100)의 제조자에 의해 리드인 영역(104) 등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으면(즉, 예를 들면 제조자 프리-플래그가 "1"을 나타내고 있으면), OPC 처리를 한 후, 제조자 프리-플래그를 RMA(112) 내의 플래그 영역(121)에 복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한편, 광디스크(100)의 제조자에 의해 리드인 영역(104) 등에 아직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즉, 예를 들면 제조자 프리-플래그가 "0"을 나타내고 있으면), 단계 S103의 사전 기록(즉, 사용자에 의한 사전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3) 제2 기록 동작의 예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재생 장 치에 의한 제2 기록 동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2 기록 동작 전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서,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제2 기록 동작시에서 사전 정보의 사전 기록의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2 기록 동작시에 사전 정보의 추가 기록의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그리고, 제2 기록 동작 예는, 광디스크(100c)의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또는, 중간 영역(109)]에의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을, 사전 기록의 완료 전의 도중에 중단하는 기록 동작 예이다. 또한, 전술한 제1 동작 예와 공통되는 동작에 대하여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광디스크(100c)가 정보 기록/재생 장치(3OO)에 로딩된다(단계 S101).
이어서, CPU(354)의 제어하에서, OPC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102). 그 후,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의 각각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다(단계 S103).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 중에는, 사전 기록이 중단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01). 예를 들면,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에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PC용 데이터 등의 기록을 위한 지시가, 사용자에 의해 또는 CPU(354 또는 359)의 명령에 의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의 결과, 사전 기록이 중단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201: 아니오(No)], 사전 기록이 종료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02). 구체적으로,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특히,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의 각각에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영역의 전체]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202에서의 판정의 결과로서, 사전 기록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202: 아니오(No)], 본 처리 과정은 단계 S103으로 복귀하여,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계속해서 행해진다. 한편, 사전 기록이 종료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202: 예(Yes)], CPU(354)의 제어하에서, 플래그 영역(112)에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된다(단계 S104).
한편, 단계 S2O1에서의 판정의 결과, 사전 기록이 중단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201: 예(Yes)],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 기록 영역의 종단부의 어드레스 정보(즉, 사전 기록이 중단된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 등)가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기록된다(단계 S203). 다시 말해서, 사전 데이터의 기록이 중단되었을 때에, 사전 데이터가 마지막으로 기록된 기록 영역의 어드레스 정보 등이 어드레스 기록 영역에 기록된다. 그 후, CPU(354)의 제어하에서, 플래그 영역(112)에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된다(단계 S104). 구체적으로, 단계 S201에서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중단되어 있고, 사전 기록이 종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0"을 나타내는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플래그 영역(112)에 기록되는 것이다.
그 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PC용 데이터 등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에 기록된다(단계 S105).
이어서, CPU(354)의 제어하에서,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재개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04).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정 사이즈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에 기록하기 위해서, 단계 S202에서 사전 기록이 중단되어 있는 경우, 소정 사이즈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되면, 사전 기록이 재개되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에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PC용 데이터 등을 기록하라는 지시가 없으면, 사전 기록이 재개되는 것으로 판정되어도 된다.
이 판정의 결과, 사전 기록이 재개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204: 예(Yes)], 사전 기록이 완료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05). 이 단계에서는,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에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정할 뿐만 아니라,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 중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어야 할 기록 영역 전체에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 동작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CPU(354)의 제어하에서, RMA(112) 내의 플래그 영역(121)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참조되어, 그 값이 "1"인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301).
이 판정의 결과,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1"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3O1: 예(Yes)],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된다(단계 S302). 즉, 도 11의 단계 S202에서, 사전 기록이 종료했을 때만, "1"을 나타내는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플래그 영역(112)에 기록되므로,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1"을 나타내고 있으면, 사전 기록은 종료(즉, 완료)한 것으로 판정된다.
한편,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1"이 아닌 것(즉,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O")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301: 아니오(No)],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다(단계 S303).
이 판정의 결과,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303: 예(Yes)], 사전 기록은 완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다(단계 S304). 즉,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는, 사전 기록이 중단된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적어도 그 시점에서는 사전 기록이 완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완료된 경우에는, 어드레스 정보로서, 예를 들면 "00000Oh"의 섹터 번호 또는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영역의 최외주부의 섹터 번호가 기록된다. 따라서, 이들 섹터 번호 등에 의해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전 기록이 완료한 것으로 판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들 섹터 번호 등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플래그 영역(121)에서의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1"이므로, 통상적으로, 단계 S303에서, 이들 섹터 번호 등에 의해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는 참조하지 않는다.
한편,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 로 판정된 경우[단계 S303: 아니오(No)],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은 아직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다(단계 S305).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한 번이라도 개시되었으면,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는, 사전 기록이 중단된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 등 또는 사전 기록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즉, "00000Oh"의 섹터 번호 또는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영역의 최외주부의 섹터 번호 등)가 기록된다. 그러므로,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현재 로딩되어 있는 광디스크(10Oc)에 대해서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한 번도 행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도 11에 있어서, 단계 S205에서의 판정의 결과, 사전 기록이 완료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205: 예(Yes)], 더 이상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을 행할 수 없으므로, 단계 S106으로 진행해서, 기록 동작의 종료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단계 S205에서의 판정의 결과, 사전 기록이 완료되지 않은 것(또는, 미실행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205: 아니오(No)],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위치의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06).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을 참조하여,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그 후, 단계 S103으로 복귀하여, 단계 S206에서 취득한 어드레스 정보가 나타내는 기록 위치부터,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을 재개한다.
그리고, 단계 S206에서 새롭게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하지 않아도, 도 12의 단계 S303의 판정 동작에서, 미리 어드레스 정보가 취득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사전 기록이 미실행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206에서 어드레스 정보 를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동작은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한편, 단계 S204에서의 판정의 결과, 사전 기록이 재개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204: 아니오(No)], CPU(354)의 제어하에서, 기록 동작을 종료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06). 그 후, 기록 동작을 종료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106: 아니오(No)]에는, 기록 동작을 계속한다. 기록 동작을 종료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106: 예(Yes)]에는, 파이널라이즈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107).
이 파이널라이즈 처리시에, 단계 S104에서의 사전 기록이 완료(또는, 종료)하지 않았으면, 더미 데이터 등이 리드인 영역(104)이나 리드아웃 영역(108) 중 사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영역 부분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도 11의 단계 S103에서는,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또는, 그 일부)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사전 데이터를 미리 기록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면, 파이널라이즈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효율적인 기록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록 동작 예가 가지는 장점과 마찬가지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제2 기록 동작 예에서는, 특히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도중에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그때의 상황에 따라 유연한 기록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록 동작을 더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사전 기록이 중단된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가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어드 레스 정보를 참조하면 사전 기록을 신속하게 또한 바람직하게 재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에 관한 중단 동작과 재개 동작에 대하여, 도 13의 (a)~(c)에 나타낸 실제의 데이터 구조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섹터 번호가 "A"인 기록 위치까지 사전 데이터가 기록된 후, 미리 기록이 중단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도 11의 단계 S203에서 기록되는 어드레스 정보는 섹터 번호 "A"이며, 또 도 11의 단계 S104에서 기록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는 "0"이다. 따라서, 도 11의 단계 S205의 판정 동작에서도, 사전 기록은 완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다.
이어서, 사전 기록이 재개되어,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섹터 번호가 "B"인 기록 위치까지 사전 데이터가 기록된 후, 사전 기록이 중단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도 11의 단계 S203에서 기록되는 어드레스 정보는 섹터 번호 "B"이며, 도 11의 단계 S104에서 기록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는 "0"이다. 따라서, 도 11의 단계 S205의 판정 동작에서도, 사전 기록은 완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다.
이어서, 사전 기록이 재개되어,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섹터 번호가 "C"인 기록 위치[즉, 리드인 영역(104) 중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영역의 종단부의 위치]까지 사전 데이터가 기록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도 11의 단계 S203에서 기록되는 어드레스 정보는 섹터 번호 "C" 또는 섹터 번호 "00000Oh"이며, 도 11의 단계 S104에서 기록되는 사용자 프리-플래그는 "1"이다. 따라서, 도 11의 단계 S205의 판정 동작에서, 사전 기록은 완료한 것으로 판정된다.
이와 같이, 제2 기록 동작 예에서, 사전 기록이 중단되고 그 취지를 나타내 는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플래그 영역(121)에 기록되며, 또 그 취지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가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기록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섹터 내의 링크 위치에서의 링크의 구체적인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사전 기록이 중단된 기록 위치에 계속해서 다시 사전 데이터를 미리 기록하는 경우의 링크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 기록 영역의 뒤쪽에, 새롭게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또는 추가 기록)을 할 때에는, 섹터 내의 링크 위치에서 링크(중복 기록)가 행해진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부분이 미기록 영역이고 사전 기록을 새롭게 행하는 하나의 ECC 블록(16개의 섹터)의 선두에 위치하는, 예컨대 링크 섹터(linking sector) 내의 26개의 싱크 프레임 중 제1 싱크 프레임의 "0" 바이트에서 "16" 바이트까지, 사전 기록이 미리 수행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사전 기록이 새롭게 수행되면, 이 링크 섹터의 제1 싱크 프레임의 "15" 바이트와 "17" 바이트 사이의 "16" 바이트부터 추가 기록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ECC 블록의 선두에 위치하는 링크 섹터의 제1 싱크 프레임의 16 바이트(16번째 바이트)는, 새로운 사전 기록에 의해 중복 기록되는 영역이 되며, 이 영역을 링크 위치(linking position)라고 한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예컨대, 2KB의 정보량을 가지는 링크 섹터는 26개의 싱크 프레임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각 싱크 프레임은 "32" 채널 비트의 동기 신호부와 "1488" 채널 비트의 데이터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동기 신호는, 도 14의 "SY0", "SY5" 등과 같이, 8개의 종류가 있으며, 이들 동기 신호의 두 개의 조합에 의해, 고유한 싱크 프레임 쌍을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는, 하나의 섹터 내의 사전 기록이 행해지는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제3 기록 동작 예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재생 장치에 의한 제3 기록 동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제3 기록 동작 전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그리고, 제3 기록 동작 예에서는, 리드인 영역(104), 리드아웃 영역(108), 및 중간 영역(109)에 사전 데이터를 미리 기록할 때에 이 사전 기록된 사전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광디스크(100)의 재생 품질을 검사하거나 또는 정보 기록/재생 장치의 초기 설정 등이 행해진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광디스크(100c)가 정보 기록/재생 장치(300)에 로딩된다(단계 S101).
이어서, CPU(354)의 제어하에서, OPC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102). 그 후, 리드인 영역(104) 및 리드아웃 영역(108)의 각각에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다(단계 S103). 이 경우, 예컨대 여러 개의 ECC 블록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다. 그 후, 사전 기록이 중단되고 사전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 기록 영역의 종단부의 어드레스 정보(즉, 사전 기록이 중단된 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 등)가 어드레스 기록 영역(122)에 기록된다(단계 S203). 또한, CPU(354)의 제어하에서, 플래그 영역(112)에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된다(단계 S104). 이 단계에서는, 사전 기록이 종료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프리-플래그로서 "0"이 기록된다.
이어서, 미리 기록된 사전 데이터가 확인 처리된다(단계 S401). 예를 들면, 미리 기록된 사전 데이터의 재생 품질(예를 들면, 비대칭, 지터 값, 변조 진폭 등)이 측정된다. 그리고,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광픽업(352)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파워와 파형이 적당하게 조정되거나, 각종 서보 회로가 조정된다. 또는, 그 기록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 등을 조정해도 된다. 또, 측정 결과로부터 광디스크(10Oc)의 품질이 나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광디스크(100c)는 불량품인 것으로 간주하여, 이후의 기록 동작에 이용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확인 처리 후에 사전 기록을 재개할 수 있도록, 사전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위치의 어드레스 정보가 취득된다(단계 S206). 그리고, 단계 S206에서 취득된 어드레스 정보가 나타내는 기록 위치로부터, 사전 데이터의 사전 기록이 재개된다(단계 S103). 사전 기록이 완료된 후에는, CPU(354)의 제어하에서, 플래그 영역(112)에 사용자 프리-플래그가 기록된다(단계 S104). 이 단계에서는, 사전 기록이 종료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프리-플래그로서 "1"이 기록된다.
이어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PC용 데이터 등이 사용자 데이터 영역(106)에 기록된다(단계 S105). 이어서, CPU(354)의 제어하에서, 기록 동작이 종료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06). 그 후, 기록 동작이 종료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106: 아니오(No)], 기록 동작을 계속한다. 기록 동작이 종료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단계 S106: 예(Yes)], 파이널라이즈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107).
이상의 결과로서, 전술한 제1 기록 동작 예 및 제2 기록 동작 예와 마찬가지로, 파이널라이즈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효율적인 기록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제3 기록 동작예에서는, 특히 여러 개의 ECC 블록의 사이즈를 가지는 사전 데이터를 처음에 미리 기록하고, 이 미리 기록된 사전 데이터를 사용하여 확인 동작을 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더 바람직한 기록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정보 기록 매체의 일례로서 광디스크(10O)를 설명하고, 정보 기록 장치의 일례로서 광디스크(100)에 관한 레코더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광디스크 및 레코더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고밀도 기록 또는 높은 전송 레이트의 각종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레코더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알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을 따른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및 기록 제어용의 컴퓨터 프로그램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정보 기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DVD 등의 고밀도 광디스크에 이용가능하고, 또한 DVD 레코더 등의 정보 기록 장치에 이용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개인용 또는 업무용의 각종 컴퓨터 기기에 탑재되는 또는 각종 컴퓨터 기기에 접속가능한 정보 기록 장치 등에도 이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의하면, 기록 정보 영역, 단부 영역, 및 플래그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기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하면, 사전 기록용 디바이스,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 및 정보 기록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방법에 의하면, 사전 기록 공정, 플래그 기록 공정, 및 정보 기록 공정을 구비한다. 따라서,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기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12)

  1.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정보 영역;
    상기 기록 정보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각각 인접하는 복수 개의 단부 영역; 및
    소정의 사전 정보(pre-information)가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 중 대응하는 단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리-레코드 플래그(pre-record flag)를 각각 기록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플래그 영역
    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할 때의 기록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관리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록 관리 영역에는 상기 복수 개의 플래그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의 각각의 영역에서 상기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위치 정보 영역을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의 각각의 영역에서 상기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종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위치 정보 영역을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중간 영역인, 정보 기록 매체.
  6.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정보 영역, 상기 정보 기록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각각 인접하는 복수 개의 단부 영역, 및 소정의 사전 정보가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 중 대응하는 단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각각 기록되는 복수 개의 플래그 영역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장치로서,
    상기 플래그 영역에 기록된 상기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디바이스;
    상기 프리-레코드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 중 하나의 단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사전 정보를 미리 기록하기 위한 사전 기록 디바이스(pre-recording device); 및
    상기 사전 정보가 상기 하나의 단부 영역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상기 복수 개의 플래그 영역 중에서, 상기 하나의 단부 영역에 대응하는 하나의 플래그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할 때의 기록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관리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는 상기 기록 관리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하나의 플래그 영역에 상기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의 각각의 영역에서 상기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기 기록 관리 영역에 기록하기 위한 위치 정보 기록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의 각각의 영역에서 상기 사전 정보가 미리 기록된 영역 부분의 종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기 기록 관리 영역에 기록하 기 위한 위치 정보 기록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기록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으로서 각각 배치된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중간 영역에 상기 사전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
  11.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정보 영역, 상기 정보 기록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각각 인접하는 복수 개의 단부 영역, 및 소정의 사전 정보가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에서의 대응하는 단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리-레코드 플래그가 각각 기록되는 복수 개의 플래그 영역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플래그 영역에 기록된 상기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판독하는 판독 공정;
    상기 프리-레코드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부 영역 중 하나의 단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사전 정보를 미리 기록하는 사전 기록 공정; 및
    상기 사전 정보가 상기 하나의 단부 영역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프리-레코드 플래그를, 상기 복수 개의 플래그 영역 중 상기 하나의 단부 영역에 대응하는 하나의 플래그 영역에 기록하는 플래그 기록 공정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
  12. 제6항에 기재된 정보 기록 장치에 구비되는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기록 제어용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를, 상기 판독 디바이스, 상기 사전 기록 디바이스, 및 상기 플래그 기록 디바이스 중 적어도 일부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77005211A 2004-08-03 2005-08-01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KR100874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6721 2004-08-03
JP2004226721 2004-08-03
PCT/JP2005/014044 WO2006013823A1 (ja) 2004-08-03 2005-08-01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112A Division KR100872473B1 (ko) 2004-08-03 2005-08-01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162A true KR20070046162A (ko) 2007-05-02
KR100874489B1 KR100874489B1 (ko) 2008-12-18

Family

ID=357871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112A KR100872473B1 (ko) 2004-08-03 2005-08-01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KR1020077005211A KR100874489B1 (ko) 2004-08-03 2005-08-01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112A KR100872473B1 (ko) 2004-08-03 2005-08-01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768899B2 (ko)
EP (2) EP1783770B1 (ko)
JP (2) JP4375677B2 (ko)
KR (2) KR100872473B1 (ko)
CN (2) CN101042915A (ko)
AT (2) ATE450040T1 (ko)
DE (2) DE602005017911D1 (ko)
TW (1) TWI358060B (ko)
WO (1) WO20060138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38B1 (ko) * 2004-07-10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기록층을 구비한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재생 장치
CN101042915A (zh) * 2004-08-03 2007-09-26 日本先锋公司 信息记录介质、信息记录装置和方法、以及计算机程序
KR101244907B1 (ko) * 2005-09-29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피트가 형성된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재생 장치 및기록/재생 방법
KR20070102079A (ko) * 2006-04-13 200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피트가 형성된 정보 저장 매체 및 기록/재생 장치 및기록/재생 방법
KR20080051461A (ko) 2006-12-05 200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 광 기록 매체 및 다층 광 기록 매체의 어드레스 할당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 기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836A (ja) * 1998-02-12 1999-08-27 Toshiba Corp 多層情報層を有する情報記憶媒体及び多目的情報処理装置
JP3783909B2 (ja) 1999-05-20 2006-06-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カッティング装置、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カッティング方法
JP2001176079A (ja) 1999-12-17 2001-06-29 Mitsum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へのデータ書込み方法
JP2001266362A (ja) 2000-01-14 2001-09-28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可能な光ディスク及びその記録方法
WO2002017055A1 (fr) 2000-08-18 2002-02-28 Fujitsu Limited Dispositif de commande de disque, procede de commande de disque, dispositif de commande a distance de disque, et procede de commande a distance de disque
TW583650B (en) * 2001-06-18 2004-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JP3878442B2 (ja) * 2001-07-30 2007-02-0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再生装置とプログラム
JP3947428B2 (ja) 2001-09-10 2007-07-1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3151133A (ja) 2001-11-12 2003-05-23 Hitachi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3699926B2 (ja) 2001-12-03 2005-09-28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
JP3499854B2 (ja) 2001-12-05 2004-02-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3867038B2 (ja) * 2002-10-23 2007-01-10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装置と情報記録方法と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KR100991788B1 (ko) * 2003-03-04 2010-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매체 및 광기록매체의 기록방법 및 장치
JP4239004B2 (ja) * 2004-04-27 2009-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媒体
CN101042915A (zh) * 2004-08-03 2007-09-26 日本先锋公司 信息记录介质、信息记录装置和方法、以及计算机程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40098A1 (en) 2007-06-21
EP1783773B9 (en) 2010-03-10
CN1993757A (zh) 2007-07-04
EP1783770A1 (en) 2007-05-09
ATE446575T1 (de) 2009-11-15
WO2006013823A1 (ja) 2006-02-09
KR20070048767A (ko) 2007-05-09
US20080310290A1 (en) 2008-12-18
ATE450040T1 (de) 2009-12-15
CN101042915A (zh) 2007-09-26
EP1783770B1 (en) 2009-11-25
US7768899B2 (en) 2010-08-03
EP1783773A3 (en) 2007-10-24
JP4375677B2 (ja) 2009-12-02
TW200617894A (en) 2006-06-01
EP1783773B1 (en) 2009-10-21
TWI358060B (en) 2012-02-11
DE602005017911D1 (de) 2010-01-07
KR100872473B1 (ko) 2008-12-05
JP2007141443A (ja) 2007-06-07
KR100874489B1 (ko) 2008-12-18
DE602005017288D1 (de) 2009-12-03
CN100592409C (zh) 2010-02-24
EP1783770A4 (en) 2007-09-26
EP1783773A2 (en) 2007-05-09
JPWO2006013823A1 (ja)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9668B2 (en)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storage medium having space bit map and defect management structures
US7933192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0874489B1 (ko)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US7801015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physical and logical position information of buffer areas
US7889604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using dummy data in dummy data recording area
US20090022029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US7940635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4493049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948859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7193881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28548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