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061A - An managing system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 - Google Patents

An managing system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061A
KR20070046061A KR1020070036547A KR20070036547A KR20070046061A KR 20070046061 A KR20070046061 A KR 20070046061A KR 1020070036547 A KR1020070036547 A KR 1020070036547A KR 20070036547 A KR20070036547 A KR 20070036547A KR 20070046061 A KR20070046061 A KR 20070046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storage
motor
ossuary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경욱
Original Assignee
강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욱 filed Critical 강경욱
Priority to KR102007003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6061A/en
Publication of KR2007004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0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유골함 수납 선반까지의 위치별 경로데이터를 기저장한 상태에서, 수납모드 및 인출모드의 선택과, 유골정보의 선택에 따라 연계된 선반 위치를 추출하고, 해당 선반 위치까지의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회전수단 및 이송수단을 그 추출된 경로데이터에 따라 구동시킴으로써 정확한 유골함의 수납 선반 위치로 이동하고 유골함의 수납 및 인출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which is linked with the selection of the storage mode and the withdrawal mode, and the selection of the bone information while pre-stored route data for each location to the ashes storage shelf. The ossuary per column to extract the position, extract the route data to the shelf position, and drive the rotating means and the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the extracted route data to move to the exact shelf position of the ashes and to receive and withdraw the ashe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elic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을 적용하면, 매우 편리하게 다수의 선반에 유골함을 정확하게 수납하거나, 선반에 기수납된 특정 유골함을 정확하게 인출해낼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고, 토지 이용효율이 매우 크고, 봉분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convenient to accurately store the ashes on a plurality of shelves or draw out a specific ashes stored on the shelves accurately, so the convenience is very high, the land use efficiency is very large, the number of the number of b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Description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AN MANAGING SYSTEM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AN MANAGING SYSTEM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이송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모식도,1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port path constituting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ta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회전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tating means configured in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chap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이송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port means configured in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chap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승강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투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lifting means configured in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승강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means of FIG. 4;

도 6은 도 4의 승강수단에 구비된 유골함 이동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the ashes moving means provided in the lifting means of FIG. 4;

도 7은 도 6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configuration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ossuary box receiving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 템의 수납모드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9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torage mode signal flow of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의 인출모드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1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withdrawal mode signal flow of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봉분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ssuary box receiving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suga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o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회전수단, 30:승강수단,10: rotation means, 30: lifting means,

16a∼16n:위치감지센서, 104:LCD,16a to 16n: position sensor, 104: LCD,

108:메모리, 110:제어부.108: memory, 110: control unit.

본 발명은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각 유골함 수납 선반까지의 위치별 경로데이터를 기저장한 상태에서, 수납모드 및 인출모드의 선택과, 유골정보의 선택에 따라 연계된 선반 위치를 추출하고, 해당 선반 위치까지의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회전수단 및 이송수단을 그 추출된 경로데이터에 따라 구동시킴으로써 정확한 유골함의 수납 선반 위치로 이동하고 유골함의 수납 및 인출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and more specif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storage mode and the withdrawal mode and the bone information in a state of storing the route data for each location to each bone box storage shelf in detail. By extracting the associated shelf position, extracting the route data to the corresponding shelf position and driving the rotating means and the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the extracted route data, it moves to the exact shelf position of the ashes and the storing and withdrawal processing of the ashes is made. It relates to the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to be built.

주지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사람에게 오랫동안 인식되어진 전통적인 문화는 유교적 성향이 강하고, 이에 따라 장례 문화도 화장보다는 매장하는 것이 지배적이다.As is well known, traditional culture, which has long been recognized by Koreans, has a strong Confucian tendency, and accordingly the burial of funeral culture rather than cremation is dominant.

이러한 탓에, 현재 국내의 토지 면적 당 묘지의 면적이 날로 늘어나서 묘지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이 포화 상태인 실정이고, 아직까지 화장제도는 기피하는 성향이 전반적인 문화의 관습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근래에는 국내 실정을 감안한 화장 제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Because of this, the area of the cemetery per land area in Korea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area to accommodate the cemetery is saturated, and the tendency to avoid cremation is still a common cultural practice. The crem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domestic situation is increasing.

이렇듯,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화장 제도는 더욱 확산되어야 할 것이나, 아직까지는 공원 묘지나 선산의 묘지에 비하여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당은 제대로 정비가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고, 또한 여러 개의 납골함을 좁은 장소의 납골당에서 적층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조문을 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유골함을 선택하여 꺼내기가 번거롭고, 따라서 개별적으로 제사를 올리기가 불편한 문제점을 갖 는다.As such, the cremation system that i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Korea, which has a narrow territory, should be spread more, but until now, the ossuary which keeps the ashes is not properly maintained compared to the park cemetery or the cemetery of Seonsan. Because it is stored in the ossuary of the lamellar, if you want to visit the need to select the ashes needed to take out,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raise individual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유골함 중 자동으로 선별, 택일하여 이송하는 장치들이 다수 고안되어 있으나, 종래 고안된 대부분의 유골함은 적층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유골함을 수납 및 인출하도록 하는 장치는 구현이 매우 힘들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umber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sorting and alternatively transporting a plurality of ashes have been devised, but since most ashes designed in the past are stacked and installed, a device for storing and withdrawing ashes at an accurate position is implemented. This was very hard.

따라서, 종래에는 선반의 적층상태를 최소화하거나, 원형 등의 유골 수납선반을 구성함으로써 유골함의 수납 및 인출이 그나마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원형 이송구조의 시스템의 경우에는 많은 선반을 배치할 수 없으므로 공간의 활용도가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 다. 결국, 유골함 이송시스템의 구조가 복잡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보다도, 공간 활용도가 낮음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월등히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minimize the stacking state of shelves or to configure the ash storage shelf such as a circle so that the ashes can be easily stored and taken out. However, this conventional circular transfer system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tilization of space is very low because many shelves cannot be arrang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 loss due to the low space utilization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economic loss due to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ashes transport system.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 유골함 수납 선반까지의 위치별 경로데이터를 기저장한 상태에서, 수납모드 및 인출모드의 선택과, 유골정보의 선택에 따라 연계된 선반 위치를 추출하고, 해당 선반 위치까지의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회전수단 및 이송수단을 그 추출된 경로데이터에 따라 구동시킴으로써 정확한 유골함의 수납 선반 위치로 이동하고 유골함의 수납 및 인출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state of the art. The shelf linked with the selection of the storage mode and the withdrawal mode and the selection of the bone information in the state of pre-stored route data for each location to each ashes storage shelf. The ossuary per column to extract the position, extract the route data to the shelf position, and drive the rotating means and the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the extracted route data to move to the exact shelf position of the ashes and to receive and withdraw the ashe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elic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실에 구성되어져 있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져 있으며, 각각 수평하게 배치되어 다수의 유골함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선반으로 이루어진 유골함 수납시스템에 있어서, 그 다수의 선반의 측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세로 이동로와; 각 선반의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세로 이동로와 연결되어 경로를 구성하는 가로 이동로와; 상기 세로이동로 및 가로 이동로가 수직 연접된 위치에 구비되어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회전수단과; 상기 세로이동로 및 가로 이동로, 회전수단의 상면을 통해 이송되어 소망하는 선반까지 이송되고, 그 선반으로부터 출발점으로 이송 구동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특정 선반까지 이송된 경우, 해당 선반의 일정층수까지 상승되고, 유골함을 인출하거나 수납하게 구동되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spaced at regular intervals, each arranged horizontally, the ashes storage syste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helves for storing a plurality of ashes A longitudinal movement path for moving to the side of the plurality of shelves; A horizontal movement path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each shelf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ement path to constitute a path; Rotating means for changing a path provided at a vertically connected posi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path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A conveying means which is convey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ans, the horizontal moving path and the rotating means and is conveyed to a desired lathe, and driven to be transferred to the starting point from the lathe; When transported to a specific shelf by the transfer means, there is provided a bone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means which are raised to a certain number of floors of the shelf, and driven to draw or store the ashes.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세로이동로 및 가로 이동로가 수직 연접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그 회전판의 하부에는 구비된 풀리와; 그 회전판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장치 모터와; 그 회전장치 모터에 축설된 풀리와; 각 풀리에 연결된 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rotating means includes a rotat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the vertical movement path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are vertically connected; A pulle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A rotating device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on the rotating plate; A pulley built in the rotary motor; The ossuary receptacle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comprising a belt connected to each pulley.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소정부 및 선반의 전단에 구비된 가로이송로상에는 각 수납위치별로 장착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도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위치감지센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ensors are mounted on the horizontal transfer path provided at the edge of the rotary plate and the front end of the shelf to detect whether the lift means has arrived. The ossuary remain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물체 감지시 내부에 내장된 센서별 고유 ID를 물체 감지신호와 함께 발생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is provided with a bone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generate a unique ID for each sensor built in with the object detection signal when detecting the object.

바람직하게, 상기 세로이동로 및 가로 이동로상에는 랙기어로 이루어진 레일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수단의 상면에도 랙기어로 이루어진 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vertical movement path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is provided with a rail made of a rack gear, respectively,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ash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is provided. do.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구비되며, 세로이동로 및 가로 이동로, 상기 회전수단 상면에 형성된 레일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와; 그 피니언기어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피니언모터와; 그 피니언모터의 축에 축설 된 제 3 풀리와; 상기 승강수단의 바닥 하우징 하부 전면에 구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평행한 발란스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conveying means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means, the vertical movement path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the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il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ans; A pinion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pinion gear; A third pulley built on the axis of the pinion motor; The ossuary remain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on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bottom housing of the elevating means and is composed of a balance pinion gear parallel to the pinion gear.

바람직하게, 상기 피니언모터는 정역 모터이며, 펄스파에 의해 회전수가 정해지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pinion motor is a forward and reverse motor, the oscillation box receiving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motor is determined by the pulse wave speed.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수단은 최하단 베이스를 구성하는 바닥하우징과; 그 바닥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된 모터하우징과; 그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제 2 승강모터와; 상기 제 2 승강모터에 축설된 제 2 풀리와; 상기 모터하우징의 상면에 입설되게 장착되고, 그 내부 양측벽에 각각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지로드와; 그 지지로드의 최상단에 장착된 모터하우징과; 그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된 제 1 승강모터와; 상기 제 1 승강모터에 축설된 제 1 풀리와; 상기 지지로드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상하단이 각각 상기 제 1, 2 풀리에 권취되어져 있고 상기 제 1, 2풀리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체인과;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승강되게 후단 양측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어져 있고, 그 배면 소정부에 형성된 체인 고정구가 상기 체인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체인의 위치이동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승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lifting means comprises a bottom housing constituting the lowermost base; A motor housing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housing; A second lifting motor mounted inside the motor housing; A second pulley built in the second lifting motor; A support rod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and having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 walls thereof; A motor housing moun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rod; A first lifting motor configured inside the motor housing; A first pulley built in the first lifting motor; A chain mounted inside the support ro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hain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respectively, and being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Both rear ends of the rear e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s to be elevated along the support rod, and the chain fasteners formed at predetermined rear surfaces thereof are coupled to the chains, and thus the lifting plates are lif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ain. The ossuary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유골함은 유골단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유골단지 수용부가 마련되어져 있고, 유골함의 그 하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ashes are provided with a ashes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ashes inside, and the ashe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shes.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판은 제 1, 2, 솔레노이드를 내장하고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유골함이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몸체의 후단 소정부에는 유골함을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해 장착된 제 1 솔레노이드와; 상기 몸체의 전단 소정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반에 수납된 유골함을 끌어당겨 상기 승강판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제 2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 1 솔레노이드의 내부에서 인출입되어 상기 유골함을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 1 솔레노이드 로드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의 내부에서 인출입되어 상기 유골함을 선반으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한 제 2 솔레노이드 로드와; 그 제 2 솔레노이드 로드의 종단에 형성된 인출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elevating plate and the body, the first, second, and the solenoid therein; A seating surfac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seated with ashes; A first solenoid mounted 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ody to push the ashes forward; A second solenoid mounted on a predetermined front end of the body to attract the ashes stored in the shelf and to seat on the lifting plate; A first solenoid rod drawn in and out of the first solenoid to push the ashes forward; A second solenoid rod drawn in and out of the second solenoid to draw the ashes from the shelf; There is provided an ossuary receptacle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n extraction protrusion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olenoid rod.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면은 끝단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골함의 수납 및 인출이 경사면을 따라 안착면으로 용이하게 이송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seating surface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of the ossuary ashe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ashes are configured to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seating surface along the inclined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로드는 박막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골함의 하부 경사면을 따라 휘어지면서 상기 유골함의 전방 하단에 걸릴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second solenoid rod is made of a thin metal plate is bent along the lower inclined surface of the ashes and is provided with the ashe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aught on the front lower end of the ashes.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로드는 그 인출돌기가 유골함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로드는 상기 안착면중 경사면 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second solenoid rod is provided with the ash bone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olenoid rod is locat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so that the withdrawal projection is not caught in the ashes.

바람직하게, 상기 유골함의 인출모드 및 수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 신호 및, 유골함의 인출 및 수납을 위한 선반 위치 지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bone box storage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key input unit for generating a mod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withdrawal mode and the storage mode of the ashes, the shelf positioning signal for the withdrawal and storage of the ashes And a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바람직하게, 기저장된 다수의 영정사진 및 가족사진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 출력하기 위한 LCD가 더 포함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re is provided an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CD is further included to extract and store a plurality of pre-stored photographic and family photograph data.

바람직하게, 영정사진 및 가족사진 데이터를 저장하고, 수납 선반별 위치별 경로데이터와 그 경로데이터별 모터 및 솔레노이드 구동데이터를 저장하며, 인출 및 수납모드별 제어루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키입력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한 경로데이터와 구동데이터에 따라 각 모터 및 솔레노이드를 제어루틴에 따라 구동 제어하며, 영정사진 및 가족사진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memory for storing photographs and family picture data, the path data for each position of the storage shelf, the motor and solenoid drive data for each path data,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control routine data for each retrieval and storage mode; And a controller for driving and controlling each motor and solenoid according to a control routine according to the route data and the drive data extracted from the memory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a key input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photographic and family photo data on the screen. The ossuary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데이터는 구동되는 각 모터와 솔레노이드정보 및 모터 회전수 정보가 해당 수납위치별로 구축되어져 있으며, 제어 루틴데이터는 순차적으로 구동되어야 하는 모터의 순서, 솔레노이드 구동순서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Preferably, the route data stored in the memory includes each motor driven, solenoid information, and motor rotational speed information for each storage position, and the control routine data includes a sequence of motors and solenoid driving sequence information to be sequentially driven. There is provided a ossuary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 템을 구성하는 이송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회전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이송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transport path constituting the ashes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b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ne box storage and storage of ossuary b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tation means configured in the take-out management system, Figure 3 is a main sectional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means configured in the ossuary box storage and take-ou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은 각 유골함 수납 선반까지의 위치별 경로데이터를 기저장한 상태에서, 수납모드 및 인출모드의 선택과, 유골정보의 선택에 따라 연계된 선반 위치를 추출하고, 해당 선반 위치까지의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회전수단 및 이송수단을 그 추출된 경로데이터에 따라 구동시킴으로써 정확한 유골함의 수납 선반 위치로 이동하고 유골함의 수납 및 인출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시스템이다.Referring to this,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tored path data for each location to each ashes storage shelf, the selection of the storage mode and withdrawal mode, and the bone information Optionally extract the associated shelf position, extract the route data to the corresponding shelf position and drive the rotating means and the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the extracted route data to move to the exact shelf position of the ashes and to store and withdraw the ashes. It is a system that allows processing to take place.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은 유골함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 내에서 유골함을 정확하게 지정된 선반의 수납위치로 이송하거나, 특정 선반의 수납위치로부터 지정한 유골함을 인출하여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수납실에 구성되어져 있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져 있으며, 각각 수평하게 배치되어 다수의 유골함(20)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선반(18)이 포함되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다수의 선반(18)의 측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세로 이동로(2) 및; 각 선반(18)의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세로 이동로(2)와 연결되어 경로를 구성하는 가로 이동로(4a, 4b, 4c, 4d..)가 다수개 구비되어져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bone box to the storage position of a precisely designated shelf in the storage room for storing the ashes, or the designated ash box from the storage position of a specific shelf. It is a system for drawing and transporting the same, which is configured in a storage room,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elves 18 arranged horizontally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ashes 20. A longitudinal movement path 2 for moving to the side of the plurality of shelves 18; A plurality of horizontal movement paths 4a, 4b, 4c, 4d .. which are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the shelves 18 and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movement path 2 to constitute a path are provided.

동 도면에서는, 4개의 선반(18)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단지 본 시스템의 설명 편의를 위해 제한한 것이며, 선반(18)의 숫자는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figure, four shelves 18 are shown, but this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system, and the number of shelves 18 is not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은 후술하는 승강수단이 상기 세로이동로(2) 및 가로 이동로(4a,4b,4c,4d..)를 따라 이송되면서 지정한 선반(18)의 수납위치로 이송되게 된다.Therefore, in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means described below are transported along the vertical movement path 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s 4a, 4b, 4c, and 4d .. It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position of the designated shelf 18.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은 상기 세로이동로(2) 및 가로 이동로(4a,4b,4c,4d..)가 수직 연접된 위치에 회전수단(10)이 구비되어져 있는 바, 그 회전수단(10)은 상기 세로이동로(2) 및 가로 이동로(4a,4b,4c,4d..)가 수직 연접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12)이 구성되며, 그 회전판(12)의 하부에는 풀리(미도시)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회전판(12)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장치 모터(14)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회전장치 모터(14)는 모터축에 별도의 풀리(미도시)가 축설되어져 있고, 그 풀리는 상기 회전판(12)에 구비된 풀리와 벨트(16)로 연결되어져 있다.At this time,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vertical movement path (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4a, 4b, 4c, 4d ..) is rotated in a vertically connected position ( 10 is provided, the rotating means 10 is a rotary plate 12 is rotatably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the vertical movement path (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4a, 4b, 4c, 4d ..) is vertically connected. ), A lower part of the rotating plate 12 is provided with a pulley (not shown), and the rotating plate 12 is provided with a rotating device motor 14 for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separate pulley (not shown) is formed in the motor shaft 14, and the pulley is connected to the pulley and the belt 16 provided in the rotating plate 12.

한편, 상기 회전판(12)의 가장자리 소정부 및 선반(18)의 전단에 구비된 가로이송로(4a,4b,4c,4d..)상에는 각 수납위치별로 다수개의 위치감지센서(16a∼16n)가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12) 또는 가로이송로(4a,4b,4c,4d..)상에는 각 수납위치별로 상기 승강수단의 도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다음 루틴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for each storage position on the horizontal transport path (4a, 4b, 4c, 4d ..) provided at the edge of the rotary plate 12 and the front end of the shelf 18. Is provided. Therefore, on the rotating plate 12 or the horizontal conveying path (4a, 4b, 4c, 4d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rrival of the lifting means for each storage posi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next routine.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16a∼16n)는 물체 감지시 내부에 내장된 센서별 고유 ID를 함께 발생시키게 구성되어져 있음으로, 상기 위치감지센서(16a∼16n)에서 감지신호를 발생할 때, 어느 위치감지센서(16a∼16n)에서 물체 감지신호가 발생되 었는 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are configured to generate a unique ID for each sensor embedded therein at the time of object detection, so that any position whe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generate a detec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an object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또, 상기 세로이동로(2) 및 가로 이동로(4a,4b,4c,4d..)상에는 랙기어로 이루어진 레일(6, 8a, 8b, 8c, 8d..)이 각각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판(12)의 상면에도 레일(6)이 구비되어져 있다.In addition, rails 6, 8a, 8b, 8c, 8d .. each of rack gears are provided on the vertical movement path 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s 4a, 4b, 4c, and 4d. The rail 6 is also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12.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판(12)은 상기 회전장치 모터(14)에 의해 90도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세로이동로(2) 및 가로 이동로(4a,4b,4c,4d..)상에 장착된 레일(6, 8a, 8b, 8c, 8d..)을 각각 연결시키게 구성되어져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the rotating plate 12 is rotated by 90 degrees by the rotating device motor 14 on the vertical movement path 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4a, 4b, 4c, and 4d .. The rails 6, 8a, 8b, 8c and 8d.

즉, 상기 회전판(12)은 상기 세로이동로(2)상의 레일(6)과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90도 회전되어, 상기 가로이동로(4a,4b,4c,4d..)상에 장착된 레일(8a, 8b, 8c, 8d..)과 일직선이 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판(12)의 상면 가장자리에 장착된 위치감지센서(16)는 상기 세로이동로(2)상의 레일(6)을 통해 이송된 상기 승강수단(30)의 도착 여부를 판단한 이후, 90도 회전되어, 상기 가로이동로(4a,4b,4c,4d..)상에 장착된 레일(8a, 8b, 8c, 8d..)을 통해 이송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rotating plate 12 is rotated 90 degrees in a state configured to be in line with the rail 6 on the longitudinal movement path (2),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4a, 4b, 4c, 4d ..) It can be changed to be in line with the mounted rails 8a, 8b, 8c, 8d .. At this time,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6 mounted on the upper edge of the rotating plate 1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rrival of the lifting means 30 transferred through the rail 6 on the longitudinal movement path 2, 90 It is also rotated so that it can be transported through the rails 8a, 8b, 8c, 8d .. mounted on the transverse paths 4a, 4b, 4c, 4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이송수단은 상기 세로이동로(2) 및 가로 이동로(4a,4b,4c,4d..)상에 장착된 레일(6, 8a, 8b, 8c, 8d..)과; 상기 승강수단(30)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레일(6, 8a, 8b, 8c, 8d..)에 치합되어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이송부로 구성되는 바, 상기 승강수단(30)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바닥 하우징(32)의 내부에는 이송부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이송부는 상기 레일(6, 8a, 8b, 8c, 8d..)과 치합되는 피니언기 어(38)와, 그 피니언기어(38)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피니언모터(34)와, 그 피니언모터(34)의 축에 축설된 제 3 풀리(36)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 하우징(32)의 하부 전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34)와 평행한 발란스 피니언기어(44)가 구성되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port means configured in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mounted on the vertical movement path 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4a, 4b, 4c, 4d ..) (6, 8a, 8b, 8c, 8d ..); It is configu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means 30 and is composed of a convey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rail (6, 8a, 8b, 8c, 8d ..) to generate a transfer force, and constitutes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means (30) A convey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bottom housing 32, and the conveying part has a pinion gear 38 engaged with the rails 6, 8a, 8b, 8c, 8d .. and the pinion gear 38. And a pinion motor 34 for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on the shaft, and a third pulley 36 arranged on the shaft of the pinion motor 34, and the pinion gear 34 on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bottom housing 32. The balance pinion gear 44 parallel to the structure is constituted.

상기 발란스 피니언기어(44)는 상기 바닥 하우징(32)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이송력이 발생되지는 않는다.The balance pinion gear 44 is for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bottom housing 32, and a separate feed force is not generat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이송수단은 상기 세로이동로(2) 및 가로 이동로(4a,4b,4c,4d..)상에 장착되며 랙기어로 구성된 레일(6, 8a, 8b, 8c, 8d..)에 치합된 상기 피니언기어(38)가 피니언모터(34)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됨으로써, 미리 지정된 선반(18)의 수납위치로 승강수단(30)을 이송하게 된다. Therefore, the conveying means configured in the ossuary box receiving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vertical movement path 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4a, 4b, 4c, 4d .. The pinion gear 38 meshed with the gear rails 6, 8a, 8b, 8c, 8d ..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pinion motor 34, thereby moving to a storage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shelf 18. The lifting means 30 is transferred.

이를 위해, 상기 피니언모터(34)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이며, 인가된 펄스파에 의해 회전수가 정해지는 스텝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pinion motor 34 is a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preferably a step motor whose rotation speed is determined by an applied pulse wav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승강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투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승강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means configured in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means of FIG.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는 상기 세로이동로(2) 및 가로 이동로(4a,4b,4c,4d..), 회전판(12)상을 통해 이송되어 미리 지정된 선반(18)으로 유골함(20)을 수납하거나, 그 선반(18)에서 특정 유골함(20)을 인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승강수단(30)이 구 비된다.Referring to this,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vertical movement path 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4a, 4b, 4c, 4d ..), the rotating plate 12 on the Elevated means 30 is provided to store the ashes 20 to a predetermined shelf 18 to be transferred through, or to carry out a specific ashes 20 from the shelves 18.

그 승강수단(30)은 이송력을 발생하는 이송부가 하부에 구성되어져 있으며, 최하단 베이스를 구성하는 바닥하우징(32)으로 이루어지며, 그 바닥 하우징(32)의 상부에는 내부에 제 2 승강모터(52)가 구비되어진 모터하우징(50)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승강모터(52)는 제 2 풀리(54)가 축설되어져 있으며, 상기 모터하우징(50)의 상면에는 내부 양측벽에 각각 가이드홈(58)이 형성된 지지로드(56)가 장착되어져 있고, 그 지지로드(56)의 최상단에는 내부에 제 1 승강모터(62)가 구비되어진 모터하우징(60)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승강모터(62)는 제 1 풀리(64)가 축설되어져 있음으로 이루어진다.The elevating means 3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portion for generating a transfer force, consisting of a bottom housing 32 constituting the lowermost base, the second elevating motor (on the top of the bottom housing 32) 52 is provided with a motor housing 50, the second lifting motor 52 has a second pulley 54 is installed, the upper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50, each of the guide grooves on both inner walls A support rod 56 having a 58 formed therein is mounted, and at the top end of the support rod 56, a motor housing 60 having a first lift motor 62 therein is provided. 62 consists of the 1st pulley 64 arrange | positioned.

또한, 상기 지지로드(56)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상하단이 각각 상기 제 1, 2 풀리(64,54)에 권취되어져 있고 상기 제 1, 2풀리(64,54)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체인(66)이 구비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 56 is mounted insid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64 and 54, respectively, and are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64 and 54, respectively. The chain 66 is provided.

한편, 상기 지지로드(56)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판(68)이 제공되는 바, 그 승강판(68)은 후단 양측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홈(58)에 결합되어져 있고, 그 배면 소정부에 형성된 체인 고정구(70)가 상기 체인(66)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체인(66)의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판(68)이 승강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plate 68 is provided along the support rod 56, the elevating plate 68, both ends of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58, respectively, the rear predetermined portion Since the formed chain fixture 70 is coupled to the chain 66, the lifting plate 68 is elev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chain 66.

또, 상기 승강판(68)의 후단 소정부에는 유골함(20)을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 1 솔레노이드(72)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승강판(68)의 전단 소정부에는 상기 선반(18)에 수납된 유골함(20)을 끌어당겨 상기 승강판(68)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제 2 솔레노이드(74)가 장착되어져 있다.In addition, a first solenoid 72 for pushing the ash box 20 forward is mounted at a rear end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levating plate 68, an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elevating plate 68, the shelf 18 is provided. A second solenoid 74 is mounted to pull the ash box 20 housed therein and seat it on the elevating plate 68.

도 6은 도 4의 승강수단에 구비된 유골함 이동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ashes moving means provided in the lifting means of Figure 4,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G.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유골함(20)은 유골단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유골단지 수용부(20a)가 마련되어져 있고, 유골함(20)의 그 하면에는 경사면(20b)이 형성되어져 있다.Referring to this, the ash box 20 included in the ashes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chap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ashes complex receiving portion 20a for accommodating the ashes complex therein, the ashes box The inclined surface 20b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2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승강판(68)은 제 1, 2, 솔레노이드(72,74)를 내장하고 있는 몸체(8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80)의 상면에는 유골함(20)이 안착되는 안착면(82)이 구비되어져 있고, 그 안착면(82)은 끝단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골함(20)의 수납 및 인출이 경사면을 따라 안착면(82)으로 용이하게 이송되게 구성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plate 68 is provided with a body 80, the first, second, the solenoid (72, 74) is built, the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remains 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80) 82 is provided, and the seating surface 82 is comprised so that the tip may be inclined surface, and the receipt and withdrawal of the said remains 20 are easily conveyed to the seating surface 82 along the inclined surface.

또, 상기 몸체(80)의 후단 소정부에는 유골함(20)을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 1 솔레노이드(72)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80)의 전단 소정부에는 상기 선반(18)에 수납된 유골함(20)을 끌어당겨 상기 승강판(68)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제 2 솔레노이드(74)가 장착되어져 있다.In addition, a first solenoid 72 for pushing the ash box 20 forward is mounted at a rear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80, and is stored in the shelf 18 at a predetermined front end of the body 80. A second solenoid 74 is mounted to pull the ashes 20 to be seated on the elevating plate 68.

상기 제 1 솔레노이드(72)는 내부에서 인출입되어 상기 유골함(20)을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 1 솔레노이드 로드(72a)가 장착되어져 있는 바, 그 제 1 솔레노이드 로드(72a)는 종단에 가압판이 형성되어져 상기 유골함(20)의 후단벽에 용이하게 밀착되어 유골함(20)을 밀어낼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The first solenoid 72 has a first solenoid rod 72a for drawing in and out to push the ash box 20 forward. The first solenoid rod 72a has a pressure plate at its end.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wall of the ash box 20 is configured to push the ash box 20.

또한, 상기 제 2 솔레노이드(74)는 내부에서 인출입되어 상기 유골함(20)을 선반(18)으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한 제 2 솔레노이드 로드(74a)가 장착되어져 있는 바, 그 제 2 솔레노이드 로드(74a)는 종단에 인출돌기(74b)가 형성되어져 상기 유골함(20)의 전방 하단에 걸려 용이하게 유골함(20)을 선반(18)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고, 제 2 솔레노이드 로드(74a)는 박막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골함(20)의 하부 경사면(20b)을 따라 휘어지면서 상기 유골함(20)의 전방 하단에 걸릴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olenoid 74 has a second solenoid rod 74a for drawing in and out of the inside and drawing out the ash box 20 from the shelf 18. The second solenoid rod 74a is mounted thereon. Is drawn out projection (74b) is formed at the e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asily pull out the ashes 20 from the shelf 18, hanging on the front lower end of the ashes 20, the second solenoid rod 74a is a thin film It consists of a metal plate of the oscillator 20 is bent along the lower inclined surface (20b) is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front lower end of the ash box (20).

더불어, 상기 승강판(68)의 안착면(82)에 위치된 유골함(20)을 선반(18)으로 밀어넣어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로드(74a)의 인출돌기(74b)가 유골함(20)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로드(74a)는 상기 안착면(82)중 경사면 상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ash box 20 located on the seating surface 82 of the elevating plate 68 is to be pushed into the shelf 18 to be accommodated, the withdrawal protrusion 74b of the second solenoid rod 74a is provided. The second solenoid rod 74a is preferably locat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82 so as not to be caught by the ashes 2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ossuary box receiving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는 유골함(20)의 인출모드 및 수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신호 및, 유골함(20)의 인출 및 수납을 위한 선반 위치 지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키입력부(90)가 구비되어져 있다.Referring to this, in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withdrawal mode and storage mode of the ashes 20, and for the withdrawal and storage of the ashes 20 A key input unit 90 for generating a shelf positioning signal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는 이송구동력과 승강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승강수단(30) 및 경로 변환을 위한 회전수단(10)과; 경로상의 이송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16a∼16n)와; 기저장된 다수의 영정사진 및 가족사진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 출력하기 위한 LCD(104)로 구성되며, 영정사진 및 가족사진 데이터를 저장하고, 수납 선반별 위치별 경로데이터와 그 경로데이터별 모터 및 솔레노이드 구동데이터를 저장하며, 인출 및 수납모드별 제어루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8)와; 상기 키입력부(90)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108)로부터 추출한 경로데이터와 구동데이터에 따라 각 모터 및 솔레노이드를 제어루틴에 따라 구동 제어하며, 영정사진 및 가족사진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어부(110)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ssuary container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levating means 30 for generating a transfer driving force and an elevating driving force, and a rotating means 10 for converting a path;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for detecting a transfer position on a path; LCD 104 for extrac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pre-stored photographic and family photo data, and storing the photo and family photo data, and storing path data by position of storage shelves and motor and solenoid by path data. A memory 108 for storing driving data and storing control routine data for each drawing and storing mode; The controller controls driving of each motor and solenoid according to a control routine according to the route data and driving data extracted from the memory 108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key input unit 90, and displays the photographic and family photo data on the screen. Consists of 110.

이때, 상기 승강수단(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니언모터(34), 제 1, 2 승강모터(62,52)와, 제 1, 2 솔레노이드(72,74)로 이루어지므로, 피니언모터(34), 제 1, 2 승강모터(62,52)와, 제 1, 2 솔레노이드(72,74)를 구동하기 위한 각 구동부(92,94,96,98,100)가 포함되어져 있다.At this time, the lifting means 30 is made of a pinion motor 34,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motors 62 and 52, and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s 72 and 74, as described above, the pinion motor ( 34),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motors 62 and 52 and the respective drive units 92, 94, 96, 98 and 100 for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s 72 and 74 are included.

또한, 상기 회전수단(10)은 각 회전판(12)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회전장치 모터(14a∼14n)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102a∼102n)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LCD(104)를 구동시키기 위한 LCD구동부(106)가 마련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means 10 is provided with motor driving units 102a to 102n for driving the rotating device motors 14a to 14n for imparting driving force to each of the rotating plates 12, respectively. An LCD driver 106 for driving is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은 상기 키입력부(90)를 통해 선택된 인출모드 또는 수납모드신호 및 선반 위치정보 지정신호에 따라, 해당 선반까지의 경로데이터를 메모리(108)로부터 추출하고, 그 메모리(108)에 저장된 해당 경로데이터별 제어루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30)을 해당 선반까지 이송시키게 되며, 각 경로별 제어루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각 모터와 솔레노이드를 제어함으로써 이송 및 수납/인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refore,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withdrawal mode or storage mode signal and the shelf position information designation signal selec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90, the route data to the shelf Extracted from the memory 108, the lifting means 30 is transferred to the shelf according to the control routine data for each route data stored in the memory 108,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the control routine data for each route ) Controls each motor and solenoid to perform a transfer and retract / draw operation.

이를 위해, 각 선반별, 그 선반의 수납 위치별 경로데이터가 제어루틴데이터를 구성하게 되는 바, 그 제어루틴 데이터는 예컨대 제 1 선반의 제 1열, 3층 수납위치까지 이송수단(30)을 이송할 경우, 해당 경로데이터는 구동되는 각 모터와 솔레노이드정보 및 모터 회전수 정보가 해당 수납위치별로 구축되어져 있으며, 제어 루틴데이터는 순차적으로 구동되어야 하는 모터의 순서, 솔레노이드 구동순서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To this end, the route data for each shelf and storage position of the shelf constitutes control routine data, and the control routine data transfers the transfer means 30 to the first row and the third floor storage positions of the first shelf,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fer, the route data includes each motor driven, solenoid information, and motor rotational speed information for each storage position, and the control routine data consists of the order of the motors and the solenoid driving sequence that must be sequentially driven.

보다 상세하게, 도 1을 참조하여 세로이동로(2)와 제 1 가로이동로(4a)를 통해 3번째 열의 선반중 3층에 유골함(20)을 수납해야 될 경우라면, 경로데이터를 통해 상기 피니언모터(34)가 세로이동로(2)를 따라 이동할 펄스파 개수정보 즉 모터 회전수 정보와; 가로이동로(4a)를 따라 이동해야할 펄스파 개수 정보, 상기 회전장치모터(14a∼14b)의 펄스파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승강모터(62,52)의 펄스파 정보, 상기 제 1, 2 솔레노이드(72,74) 구동정보가 포함되어져 있고, 상기 제어루틴데이터는 상기 피니언모터(34), 상기 회전장치모터(14a∼14b), 상기 제 1, 2 승강모터(62,52), 상기 제 1, 2 솔레노이드(72,74)가 어떤 순서에 의해 동작되어야 하는 지의 데이터로 구성되어져 있다.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1, if the ashes 20 are to be stored on the third floor of the shelves in the third row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path 2 and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path 4a, the route data may be use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ulse waves to be moved by the pinion motor 34 along the longitudinal movement path 2, that is, the motor rotation speed information; Pulse wave number information to be moved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4a, pulse wave information of the rotary motors 14a to 14b, and pulse wave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motors 62 and 52, First and second solenoids 72 and 74 drive information is included, and the control routine data includes the pinion motor 34, the rotary motors 14a to 14b, and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motors 62 and 52. ),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s 72 and 74 are composed of data of which order should be operat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은 어떤 모터를 어느 정도 회전시켜 1차 이동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지, 1차 이동위치까지 도달되면, 차후 어떤 모터를 어느 정도 회전시켜서 2차 이동시켜야 하는 지, 어떤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야 하는 지를 모드 선택별, 수납이나 인출 위치별로 각각 저장되어져 있으므로, 그 제어루틴에 따라 유골함(20)을 선반(18)의 정 확한 수납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선반(18)에 수납된 특정 유골함(20)을 정확하게 인출해내어 이송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otor is rotated to what extent to move to the first movement position, when the first movement position is reached, which motor to what extent The solenoid box 20 is stored in the correct storage position of the shelf 18 according to the control routine, because it is stored for each mode selection and storage or withdrawal position. The specific ashes 20 stored in the shelf 18 can be accurately moved out and transported.

또한, 그 유골함(20)과 관련된 영정사진이나 가족사진은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상기 메모리(108)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LCD(104)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동작은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hotographs or family photos associated with the ashes 20 may be extracted from the memory 108 through the controller 110 and displayed on the LCD 104. More detailed operation of the present system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의 수납모드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orage mode signal flow of the ossuary box receiving and withdraw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는 본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납모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바, 사용자가 키입력부(90)를 통해 수납모드 및 수납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메모리(108)로부터 제어루틴데이터 및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제어루틴과 경로데이터에 따라 이송수단(30)의 하부에 구성된 피니언모터(34)에 기설정 펄스파를 인가하여 구동시킨다.First, FIG. 9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mode performed through the system. When the user receives the storage mode and the storage position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unit 90,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control routine data from the memory 108. And extracting the path data and driving the predetermined pulse wave to the pinion motor 34 configured at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means 30 according to the control routine and the path data.

상기 피니언모터(34)가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되는 도중, 상기 제어부(108)는 회전판(12)에 장착된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각 위치감지센서(16a∼16n)는 상기 제어부(108)로 고유 ID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108)는 경로데이터에 설정된 위치까지 상기 이송수단(30)이 도달하였는 지를 인식할 수 있다.While the pinion motor 34 is moved by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12. At this time, each position detection sensor 16a to 16n generates a unique ID to the control unit 108 so that the control unit 108 can recognize whether the transfer means 30 has reached the position set in the route data.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경로 변 경을 수행해야 되는 바,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피니언모터(34)로 구동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회전판(12)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 모터(14a∼14n)를 기설정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신호를 발생한다.When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a path change should be performed. The control unit 108 applies a driving stop signal to the pinion motor 34, and the rotating plate 12 ) Rotates the motor 14a to 14n to generate a rotation drive signal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그러면, 상기 회전판(12)이 회전되어 상기 승강수단(30)이 가로이동로(4a∼4n)로 이동될 수 있게 레일(6,8a,8b,8c,8d..) 경로가 변경된다.Then, the path of the rails 6, 8a, 8b, 8c, 8d .. is changed so that the rotating plate 12 is rotated so that the lifting means 30 can move to the horizontal movement paths 4a to 4n.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8)는 해당 선반(18)의 수납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피니언모터(34)에 기설정 펄스파를 인가하여 구동시킨다.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08 applies and drives a predetermined pulse wave to the pinion motor 34 so as to be moved to the storage position of the shelf 18.

상기 피니언모터(34)가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되는 도중, 상기 제어부(108)는 각 선반(18)의 수납열 전방에 장착된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While the pinion motor 34 is moved by a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mounted in front of the storage row of each shelf 18. do.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유골함(30)을 소망하는 선반(18)의 층수로 상승시켜야 되므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피니언모터(34)로 구동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 1 승강모터(62)에 기설정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유골함(20)을 안착한 승강판(68)이 소망하는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한다.When the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s 16a to 16n, the ash box 30 must be raised to the desired number of floors of the shelf 18, so that the control unit 108 stops driving the pinion motor 34. A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elevating motor 62 to generate a rotation drive signal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so that the elevating plate 68 on which the ash box 20 is seated rises to a desired posi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제 1 승강모터(62)가 기설정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구동이 완료된 경우라면, 상기 제 1 승강모터(62)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lifting motor 62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and if the driving is completed, applies the driving stop signal to the first lifting motor 62. .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승강판(68)에 구비된 제 1 솔레노이드(72)를 구동시켜 상기 유골함(20)이 원하는 수납위치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고, 수납 과정과 역순으로 복귀하게 된다.Next, the control unit 108 drives the first solenoid 72 provided in the lifting plate 68 to allow the ashes 20 to be stored in a desired storage position, and to return in the reverse order to the storing process. do.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의 인출모드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FIG. 10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withdrawal mode signal flow of the ossuary receptacle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키입력부(90)를 통해 인출모드 및 인출위치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메모리(108)로부터 제어루틴데이터 및 경로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제어루틴과 경로데이터에 따라 이송수단(30)의 하부에 구성된 피니언모터(34)에 기설정 펄스파를 인가하여 구동시킨다.First, when the user receives the withdrawal mode and withdrawal position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unit 90, the control unit 110 extracts the control routine data and the route data from the memory 108 and transfers the means according to the control routine and the route data. A predetermined pulse wave is applied to the pinion motor 34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tor 30 to be driven.

상기 피니언모터(34)가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되는 도중, 상기 제어부(108)는 회전판(12)에 장착된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각 위치감지센서(16a∼16n)는 상기 제어부(108)로 고유 ID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108)는 경로데이터에 설정된 위치까지 상기 이송수단(30)이 도달하였는 지를 인식할 수 있다.While the pinion motor 34 is moved by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12. At this time, each position detection sensor 16a to 16n generates a unique ID to the control unit 108 so that the control unit 108 can recognize whether the transfer means 30 has reached the position set in the route data.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경로 변경을 수행해야 되는 바,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피니언모터(34)로 구동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회전판(12)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 모터(14a∼14n)를 기설정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신호를 발생한다.When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s 16a to 16n, a path change should be performed. The control unit 108 applies a driving stop signal to the pinion motor 34, and the rotating plate 12 The rotary device motors 14a to 14n for rotating the motor generate rotational drive signals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그러면, 상기 회전판(12)이 회전되어 상기 승강수단(30)이 가로이동로(4a∼4n)로 이동될 수 있게 레일(6,8a,8b,8c,8d..) 경로가 변경된다.Then, the path of the rails 6, 8a, 8b, 8c, 8d .. is changed so that the rotating plate 12 is rotated so that the lifting means 30 can move to the horizontal movement paths 4a to 4n.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8)는 해당 선반(18)의 수납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피니언모터(34)에 기설정 펄스파를 인가하여 구동시킨다.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08 applies and drives a predetermined pulse wave to the pinion motor 34 so as to be moved to the storage position of the shelf 18.

상기 피니언모터(34)가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되는 도중, 상기 제어부(108)는 각 선반(18)의 수납열 전방에 장착된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While the pinion motor 34 is moved by a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mounted in front of the storage row of each shelf 18. do.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유골함(30)을 인출하기 위해 소망하는 선반(18)의 층수로 상승시켜야 되므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피니언모터(34)로 구동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 1 승강모터(62)에 기설정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유골함(20)을 인출하기 위한 위치까지 승강판(68)이 상승하도록 한다.When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s 16a to 16n, the controller 108 needs to ascend to the number of floors of the desired shelf 18 in order to withdraw the preset ashes 30. A driving stop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lift motor 62, and a rotation drive signal is generated to the first lift motor 62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so that the lift plate 68 is raised to a position for withdrawing the ash box 20. .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제 1 승강모터(62)가 기설정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구동이 완료된 경우라면, 상기 제 1 승강모터(62)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lifting motor 62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and if the driving is completed, applies the driving stop signal to the first lifting motor 62. .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승강판(68)에 구비된 제 2 솔레노이드(74)를 구동시켜 미리 설정된 특정 유골함(20)의 전단을 걸어내어 상기 승강판(68)으로 인출시키도록 한다.Next, the control unit 108 drives the second solenoid 74 provided in the elevating plate 68 to walk the front end of the predetermined ash box 20 and draw it out to the elevating plate 68. .

상기 승강판(68)의 상면에 유골함(20)이 안착되게 되면,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제 2 승강모터(52)에 기설정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유골함(20)이 안착된 상기 승강판(68)을 하강시킨다.When the ash box 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68, the control unit 108 generates a rotation drive signal to the second lifting motor 52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the ash box 20 is The seated lifting plate 68 is lowered.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제 2 승강모터(52)가 기설정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구동이 완료된 경우라면, 상기 제 2 승강모터(52)에 구동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해당 회전판(12)의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피니 언모터(34)에 기설정 펄스파를 인가하여 구동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lifting motor 52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If the driv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8 applies a driving stop signal to the second lifting motor 52. In order to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plate 12, the pinion motor 34 is driven by applying a predetermined pulse wave.

상기 피니언모터(34)가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되는 도중, 상기 제어부(108)는 각 회전판(12)에 장착된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While the pinion motor 34 is moved by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mounted on the respective rotating plates 12.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경로 변경을 수행해야 되는 바,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피니언모터(34)로 구동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회전판(12)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 모터(14a∼14n)를 기설정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신호를 발생한다.When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s 16a to 16n, a path change should be performed. The control unit 108 applies a driving stop signal to the pinion motor 34 and the rotating plate 12. The rotary device motors 14a to 14n for rotating the motor generate rotational drive signals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그러면, 상기 회전판(12)이 회전되어 상기 승강수단(30)이 가로이동로(4a∼4n)로부터 상기 세로이동로(6)로 이동될 수 있게 레일(6,8a,8b,8c,8d..) 경로가 변경된다.Then, the rotating plate 12 is rotated so that the lifting means 30 can be moved from the horizontal moving paths 4a to 4n to the vertical moving path 6. The rails 6, 8a, 8b, 8c and 8d. .) The path is changed.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승강수단(30)이 해당 출발점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피니언모터(34)에 기설정 펄스파를 인가하여 구동시킨다.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08 applies and drives a predetermined pulse wave to the pinion motor 34 so that the lifting means 30 can be moved to the corresponding starting point position.

상기 피니언모터(34)가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되는 도중, 상기 제어부(108)는 해당 출발점에 장착된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While the pinion motor 34 is moved by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s 16a to 16n mounted at the starting point.

해당 위치감지센서(16a∼16n)로부터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피니언모터(34)로 구동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사용자는 그 유골함(20)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f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s 16a to 16n, the controller 108 applies a driving stop signal to the pinion motor 34, so that the user can secure the ashes 20. do.

상기한 동작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을 통해 매우 편리하게 다수의 선반(18)에 유골함(20)을 정확하게 수납하거나, 선반(18)에 기수납된 특정 유골함(20)을 정확하게 인출해낼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Through the oscillation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ca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e above operation, it is very convenient to accurately store the ashes 20 on a plurality of shelves 18, or be stored on the shelves 18. Since the specific ashes 20 can be accurately drawn out, the convenience is very high.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이 봉분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ssuary box receiving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suga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od powder.

먼저, 도 11의 경우에는 다수의 봉분(120)의 하부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이동로(126)를 별도로 구비하고, 그 이동로(126)를 통해 일정거리 이격된 보관실에 수납된 유골함(20)을 봉분(120)의 인출구(122)를 통해 제단(124)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First, in the case of FIG. 11, a movement path 126 configured in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ly provided under the plurality of rods 120, and the movement path 126. It illustrate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ashes 20 stored in the storage space spaced apart through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outlet 122 of the rod powder 120 to the altar 124.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단(124)의 소정부에는 유골함(20)의 인출을 위한 키입력부(미도시)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고, 그 키입력부로부터 유골함(20)의 인출신호가 발생되면 어떤 유골함(20)을 인출해야되는 지를 제어부(108)가 판단하여 보관실로부터 해당 유골함(20)을 인출하게 된다.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altar 124 is provided with a key input unit (not shown) for withdrawing the ashes 20, and when the withdrawal signal of the ashes 20 is generated from the key input portion,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the ashes 20 should be withdrawn and withdraws the ashes 20 from the storage room.

이 경우에는, 외형상으로는 기존의 봉분(120) 형상을 취하지만, 그 내부에 다수의 유골함(20)을 단일의 보관실에서 보관하고 있으므로 봉분(120)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토지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lthough the shape of the existing rod powder 120 is taken as an external shape, since the plurality of ashes 20 are stored in a single storage room, the number of the rod powder 120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land use is possible. Th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possible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은 매우 편리하게 다수의 선반에 유골함을 정확하게 수납하거나, 선반에 기수납된 특정 유골함을 정확하게 인출해낼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고, 토지 이용효율이 매우 크고, 봉분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ssuary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convenient because it is very convenient to accurately store the ashes on a plurality of shelves or draw out certain ashes already stored on the shelves. In addition, the land use efficiency is very lar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rods.

Claims (17)

수납실에 구성되어져 있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져 있으며, 각각 수평하게 배치되어 다수의 유골함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선반으로 이루어진 유골함 수납시스템에 있어서,In the ash compartment storage system is configu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each horizontally arrange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helves for storing a plurality of ashes, 그 다수의 선반의 측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세로 이동로와;A longitudinal movement path for moving to the sides of the plurality of shelves; 각 선반의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세로 이동로와 연결되어 경로를 구성하는 가로 이동로와;A horizontal movement path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each shelf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ement path to constitute a path; 상기 세로이동로 및 가로 이동로가 수직 연접된 위치에 구비되어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회전수단과;Rotating means for changing a path provided at a vertically connected posi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path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상기 세로이동로 및 가로 이동로, 회전수단의 상면을 통해 이송되어 소망하는 선반까지 이송되고, 그 선반으로부터 출발점으로 이송 구동되는 이송수단과;A conveying means which is convey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ans, the horizontal moving path and the rotating means and is conveyed to a desired lathe, and driven to be transferred to the starting point from the lathe;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특정 선반까지 이송된 경우, 해당 선반의 일정층수까지 상승되고, 유골함을 인출하거나 수납하게 구동되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When the transfer means is transferred to a specific shelf, the ashe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aised to a certain number of floors of the shelf, the lifting means is driven to withdraw or receive the ash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세로이동로 및 가로 이동로가 수직 연접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그 회전판의 하부에는 구비된 풀리와; 그 회전판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장치 모터와; 그 회전장치 모터에 축설된 풀리와; 각 풀리에 연결된 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The rotating plat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vertical movement path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pulle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A rotating device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on the rotating plate; A pulley built in the rotary motor; Ossuary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elt connected to each pulley.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소정부 및 선반의 전단에 구비된 가로이송로상에는 각 수납위치별로 장착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도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위치감지센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ing sensors for detecting the arrival of the lifting means is mounted on each of the storage position on the horizontal transport path provided at the edge of the rotary plate and the front end of the shelf further Ossuary remains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물체 감지시 내부에 내장된 센서별 고유 ID를 물체 감지신호와 함께 발생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The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unique ID for each sensor embedded therein with the object detecting signal when detecting the obje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이동로 및 가로 이동로상에는 랙기어로 이루어진 레일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수단의 상면에도 랙기어로 이루어진 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movement path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is provided with a rail made of a rack gear, respectively,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ash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of the ossuary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구비되며, 세로이동로 및 가로 이동로, 상기 회전수단 상면에 형성된 레일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와; 그 피니언기어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피니언모터와; 그 피니언모터의 축에 축설된 제 3 풀리와; 상기 승강수단의 바닥 하우징 하부 전면에 구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평행한 발란스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ing means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means, the vertical movement path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the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il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means; A pinion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pinion gear; A third pulley arranged on the shaft of the pinion motor; Ossuary remains and takeou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ance is formed on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bottom housing of the lifting means and parallel to the pinion gea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모터는 정역 모터이며, 펄스파에 의해 회전수가 정해지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7. The bone box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inion motor is a forward and reverse motor and a step motor whose rotation speed is determined by a pulse wa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최하단 베이스를 구성하는 바닥하우징과; 그 바닥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된 모터하우징과; 그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제 2 승강모터와; 상기 제 2 승강모터에 축설된 제 2 풀리와; 상기 모터하우징의 상면에 입설되게 장착되고, 그 내부 양측벽에 각각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지로드와; 그 지지로드의 최상단에 장착된 모터하우징과; 그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된 제 1 승강모터와; 상기 제 1 승강모터에 축설된 제 1 풀리와; 상기 지지로드의 내부에 장착되며, 그 상하단이 각각 상기 제 1, 2 풀리에 권취되어져 있고 상기 제 1, 2풀리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체인과;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승강되게 후단 양측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어져 있고, 그 배면 소정부에 형성된 체인 고정구가 상기 체인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체인의 위치이동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승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means comprises a bottom housing constituting the lowermost base; A motor housing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housing; A second lifting motor mounted inside the motor housing; A second pulley built in the second lifting motor; A support rod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and having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 walls thereof; A motor housing moun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rod; A first lifting motor configured inside the motor housing; A first pulley built in the first lifting motor; A chain mounted inside the support ro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hain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respectively, and being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Both rear ends of the rear e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s to be elevated along the support rod, and the chain fasteners formed at predetermined rear surfaces thereof are coupled to the chains, and thus the lifting plates are lif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ain. Ossuary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은 유골단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유골단지 수용부가 마련되어져 있고, 유골함의 그 하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hes are provided with a ash complex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ash complex therein, the ashe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of the ossuar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sh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제 1, 2, 솔레노이드를 내장하고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유골함이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몸체의 후단 소정부에는 유골함을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해 장착된 제 1 솔레노이드와; 상기 몸체의 전단 소정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반에 수납된 유골함을 끌어당겨 상기 승강판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제 2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 1 솔레노이드의 내부에서 인출입되어 상기 유골함을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 1 솔레노이드 로드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의 내부에서 인출입되어 상기 유골함을 선반으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한 제 2 솔레노이드 로드와; 그 제 2 솔레노이드 로드의 종단에 형성된 인출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lifting plate comprises: a body having first, second, and solenoids therein; A seating surfac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seated with ashes; A first solenoid mounted 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ody to push the ashes forward; A second solenoid mounted on a predetermined front end of the body to attract the ashes stored in the shelf and to seat on the lifting plate; A first solenoid rod drawn in and out of the first solenoid to push the ashes forward; A second solenoid rod drawn in and out of the second solenoid to draw the ashes from the shelf; Ossuary receptacle storage and takeou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withdrawal projec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olenoid ro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끝단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골함의 수납 및 인출이 경사면을 따라 안착면으로 용이하게 이송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11. The ossuary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eating surface ha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ashes is easily transferred to the seating surface along the inclined surfa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로드는 박막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골함의 하부 경사면을 따라 휘어지면서 상기 유골함의 전방 하단에 걸릴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11. The ashes storage and retrieval management system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solenoid rod is made of a thin metal plate and is bent along the lower inclined surface of the ashes so as to be caught by the front lower end of the ashe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로드는 그 인출돌기가 유골함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로드는 상기 안착면중 경사면 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The ossuary remains and retrieval management system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solenoid rod is position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such that the second solenoid rod is not caught in the ash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의 인출모드 및 수납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신호 및, 유골함의 인출 및 수납을 위한 선반 위치 지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The ossuary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key input unit for generating a mod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withdrawal mode and a storage mode of the ashes, and a shelf position designation signal for withdrawing and storing the ashes. Ashe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다수의 영정사진 및 가족사진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 출력하기 위한 LCD가 더 포함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LCD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pre-stored photographic and family photograph data to output an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영정사진 및 가족사진 데이터를 저장하고, 수납 선반별 위치별 경로데이터와 그 경로데이터별 모터 및 솔레노이드 구동데이터를 저장하며, 인출 및 수납모드별 제어루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키입력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한 경로데이터와 구동데이터에 따라 각 모터 및 솔레노이드를 제어루틴에 따라 구동 제어하며, 영정사진 및 가족사진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The memory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photographic and family photograph data, to store path data for each position of the storage shelf, motor and solenoid driving data for the path data, and to store control routine data for the retrieval and storage modes; ; And a controller for driving and controlling each motor and solenoid according to a control routine according to the route data and the drive data extracted from the memory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f a key input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photographic and family photo data on the screen. Ossuary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데이터는 구동되는 각 모터와 솔레노이드정보 및 모터 회전수 정보가 해당 수납위치별로 구축되어져 있으며, 제어 루틴데이터는 순차적으로 구동되어야 하는 모터의 순서, 솔레노이드 구동순서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의 유골함 수납 및 인출 관리시스템.17. The route data stored in the memory comprises: each motor driven, solenoid information, and motor rotational speed information are constructed for each storage position, and the control routine data is a sequence of motors to be driven sequentially and a solenoid driving sequence. Ossuary receptacles storage and withdrawal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information.
KR1020070036547A 2007-04-13 2007-04-13 An managing system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 KR200700460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547A KR20070046061A (en) 2007-04-13 2007-04-13 An managing system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547A KR20070046061A (en) 2007-04-13 2007-04-13 An managing system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061A true KR20070046061A (en) 2007-05-02

Family

ID=3827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547A KR20070046061A (en) 2007-04-13 2007-04-13 An managing system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606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3748A (en) * 2014-08-15 2014-12-17 江西仙廷精藏设备有限公司 Misplaced storage prevention subsystem for cinerary casket storage device
CN116873372A (en) * 2023-09-06 2023-10-13 杭州威灿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bracelet storage box for case handling manag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3748A (en) * 2014-08-15 2014-12-17 江西仙廷精藏设备有限公司 Misplaced storage prevention subsystem for cinerary casket storage device
CN104213748B (en) * 2014-08-15 2016-08-17 江西仙廷精藏设备有限公司 The Anti-dislocation of cinerary-casket storing equipment deposits subsystem
CN116873372A (en) * 2023-09-06 2023-10-13 杭州威灿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bracelet storage box for case handling management
CN116873372B (en) * 2023-09-06 2024-01-05 杭州威灿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bracelet storage box for case handling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4998B2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fast entry and storage of parcels
US9371182B2 (en) Specimen archive
ES2209299T3 (en) EXPENDING MACHINE WITH A COMMON DELIVERY HANDLER.
JPS61188331A (en) Wafer slice takeout device
JP6203835B2 (en) Plant cultivation factory
JP2004075363A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2007302300A (en) Cap feeding device
KR102118202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cups
JP3189545B2 (en) Two-way transfer equipment in automatic warehouse
US6582182B2 (en) Semiconductor wafer storage kiosk
KR20070046061A (en) An managing system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ashes box
JP2004345837A (en) Storage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ES2907242T3 (en)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workpiece
JPH08133426A (en) Pick-up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warehouse
ES2216973T3 (en) STORAGE STORAGE.
KR100501832B1 (en) Shoes cabinet for automatically drawing shoes and method thereof
KR100245114B1 (en) Dimensional service device
CN210276391U (en) Rotation type intelligence express delivery cabinet
RU104750U1 (en) TRADE AUTOMATIC SYSTEM WITH EXACT POSITIONING SYSTEM
JPS60144206A (en) Storing room
JP2008272167A (en) Ball feeder
JP2019085194A (en) Article carry-in/out device
CN214987877U (en) Medicine replenishing mechanism and medicine selling machine
JP2024016471A (en) Display apparatus
CN211970614U (en) Storage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judging material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