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904A -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904A
KR20070044904A KR1020050101193A KR20050101193A KR20070044904A KR 20070044904 A KR20070044904 A KR 20070044904A KR 1020050101193 A KR1020050101193 A KR 1020050101193A KR 20050101193 A KR20050101193 A KR 20050101193A KR 20070044904 A KR20070044904 A KR 20070044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ail
walk
seat
lo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재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4904A/ko
Priority to DE102005058741A priority patent/DE102005058741B4/de
Priority to CNB2005101302781A priority patent/CN100475598C/zh
Priority to US11/304,924 priority patent/US7566098B2/en
Publication of KR20070044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가 스프링 구조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스프링에 규제받지 않고 레일의 말단부까지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워크인(walk in) 구조를 롱레일(long rail) 구조에 적용함으로써, 롱레일에 의한 시트의 슬라이딩량과 워크인에 의한 시트의 슬라이딩 조작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일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시트, 슬라이딩, 롱레일, 워크인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A long rail-walk in complex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에 있어서, 워크인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부 레일 2: 상부 레일
10: 코일 스프링 20: 제1 브라켓
30: 제2 브라켓 40: 제3 브라켓
50: 제4 브라켓 60: 트랙 커버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롱레일 구조에 의한 슬라이딩량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워크인 구조의 편리한 조작성을 부여함으로써 시트의 조작성 및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바닥부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롱레일(long rail)이란, SUV 또는 MPV 차량 좌석의 2열 및 3열에서 주로 이용되는 구조다.
상기 롱레일은 레일 길이를 보통 500mm 이상으로 하여 탑승객이 편하게 타고 내릴 수 있게도 하고 시트들을 다 앞으로 당겨서 뒤에 큰 짐을 적재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써 시트 이동을 크게 하여 시트 활용도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ling rail-walk in) 복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바닥에 고정된 긴 하부 레일(1)과, 시트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 레일(1)을 따라 차량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상부 레일(2)과, 상기 상부 레일(2)의 전후방 이동을 조장하는 스프링(3)과, 상기 스프링(3)의 일단부를 하부 레일(1)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부재(4)와, 상기 스프링(3)의 타단부를 상부 레일(2)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부재(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트를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레버를 작동시키면 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레일(2)이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시트도 이동하여 탑승객이 편리하게 승하차할 수 있게 하고 큰 짐을 적재할 때도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하여 화물 적재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롱레일을 시트에 적용할 경우에는, 시트의 슬라이딩량이 보통 500mm 정도가 되므로 워크인 구조를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워크인 구조가 결합되지 않은 롱레일 구조를 이용하여 시트를 움직일 때에는 사람의 힘만으로 작동해야 하므로 조작하기가 힘들어 고객 상품성 평가시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 워크인 구조를 롱레일 구조에 적용한다 하더라도 워크인 스프링이 시트에 고정되어 있어 최고 슬라이딩량이 250mm 이상이 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롱레일은 슬라이딩량이 크기 때문에 워크인 구조와 같이 스프링을 고정하게 되면 슬라이딩량에 규제를 받게 되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프링을 길게 하면 스프링의 처짐 현상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품질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
한편, 현재 이용되고 있는 워크인 구조는 스프링이 레일 위로 돌출되어 있어서 외관상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가 스프링 구조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스프링에 규제받지 않고 레일의 말단부까지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워크인(walk in) 구조를 롱레일(long rail) 구조에 적용함으로써, 시트의 슬라이딩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조작성이 더욱 편리해진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 구조의 실시예는, 하부 레일 위에서 시트의 전후 방향 이동을 조장하는 코일 스프링; 시트가 설치되는 상부 레일에 장착된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체결공을 통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 브라켓; 상기 하부 레일에 장착되며, 제2 체결공을 통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3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제3 브라켓 사이의 상기 하부 레일에 장착되며, 제2 브라켓의 전방 이동을 저지하는 제4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브라켓에는 제1 고정공 및 제2 고정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브라켓에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제1 고정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브라켓에는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브라켓에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제2 고정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브라켓에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을 덮는 트랙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에 있어서, 워크인 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는 코일 스프링(10), 제1 브라켓(20), 제2 브라켓(30), 제3 브라켓(40), 제 4 브라켓(50), 및 트랙 커버(60)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0)은 일단이 하부 레일(1)에 장착된 제3 브라켓(40)과 결합되며, 타단이 상부 레일(2)에 장착된 제1 브라켓(2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브라켓(3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10)은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부 레일(2)을 하부 레일(1) 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차량 내부의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장하며, 그에 의해 시트가 동시에 차량 내부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브라켓(20)은 시트가 설치된 상부 레일(2)에 장착되어서 제2 브라켓(30)의 이동을 단속한다.
상기 제1 브라켓(20)은 하부의 제2 브라켓(30)과 접촉되는 부위에 제1 고정구(22) 및 제2 고정구(24)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라켓(20)의 제1 고정구(22)는 상기 제 2 브라켓(30)의 제1 고정공(3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고정구(24)는 상기 제2 브라켓(3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브라켓(20)은 제1 고정구(22) 및 제2 고정구(24)를 이용하여 레버(미도시)가 작동되지 않은 평상 시에 제2 브라켓(3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부 레일(2)이 하부 레일(1)의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제1 브라켓(20)과 제2 브라켓(30)은 제4 브라켓(50)이 장착된 부위까지 함께 이동하였다가 서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1 브라켓(20)은 상부 레일(2)과 함께 하부 레일(1) 말단부까지 계속 이동되지만, 상기 제2 브라켓(30)은 제4 브라켓(50)에 의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저지를 받는다.
상기 제2 브라켓(30)에는 두 개의 고정공인 제1 고정공(34)과 제2 고정공(36)이 구비되며, 코일 스프링(10)의 일단부를 체결하는 제1 체결공(3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브라켓(30)의 제1 고정공(34)에는 제1 브라켓(20)의 제1 고정구(22)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제2 고정공(36)에는 아래에 기술될 제4 브라켓(50)의 제3 고정구(52)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2 브라켓(30)은 사용자가 레버를 작동시킬 때 상부 레일(2)의 이동에 따라 제1 브라켓(20)과 동시에 이동하지만, 하부 레일(1)에 장착된 제4 브라켓(5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된다.
상기 제3 브라켓(40)은 상기 하부 레일(1)에 장착되며, 제2 체결공(42)을 통 해서 상기 코일 스프링(10)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제4 브라켓(50)은 제2 브라켓(30)과 제3 브라켓(40) 사이의 하부 레일(1)에 장착되어서 제2 브라켓(30)의 전방 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브라켓(50)은 제2 브라켓(30)의 제2 고정공(36)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고정구(52)와, 제2 브라켓(3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고정구(54)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4 브라켓(50)은 제1 브라켓(20)과 결합되어서 이동하는 제2 브라켓(30)의 전방 이동을 제3 고정구(52)와 제4 고정구(54)를 이용하여 저지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 트랙 커버(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1)과 상부 레일(2)의 일부분과, 분리가 가능한 워크인 구조를 덮어 외관상 전혀 보이지 않게 하여 미관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 레일 워크 인 복합구조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의 작동 상태도이다.
사용자가 워크인 레바를 작동하면 시트는 상기 코일 스프링(10)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부 레일(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 스프링(10)이 당겨지면 제2 브라켓(30)이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2 브라켓(30)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브라켓 (20)도 당겨지게 되어 시트가 전방을 향하여 자동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10)에 의해서 시트가 당겨지면 도 6a와 같이 제4 브라켓(50)이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시트의 이동에 의해 하부 레일(1)에 장착된 제4 브라켓(50)과 만나게 되면 제3 고정구(52)가 제2 고정공(36)에 끼워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코일 스프링(10)은 최대로 당겨진 상태가 아니므로 제2 브라켓(30)은 코일 스프링(10)의 힘에 의해서 제4 브라켓(50)과 여전히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가 코일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계속 하부 레일(1)의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브라켓(20)은 제2 브라켓(30)에서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시트는 더 이상 코일 스프링(10)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하부 레일(1)이 설치되어있는 한 최대로 전방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트가 원상태로 되돌아 갈 때는 제1 브라켓(20)의 제1 고정구(22)가 제4 브라켓(50)에 의해서 고정되어있는 제2 브라켓(30)의 제1 고정공(34)에 걸리게 하여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10)을 늘어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 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롱 레일 워크 인 복합 구조를 이용하면, 코일 스프링이 시트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시트가 하부 레일의 말단부까지 슬라이딩되어 롱레일에 의한 시트의 슬라이딩량과 워크인에 의한 시트의 슬라이딩 조작성이 동시에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하부 레일(1) 위에서 시트의 전후 방향 이동을 조장하는 코일 스프링(10);
    시트가 설치되는 상부 레일(2)에 장착된 제1 브라켓(20);
    상기 제1 브라켓(2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체결공(32)을 통해서 상기 코일 스프링(1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 브라켓(30);
    상기 하부 레일(1)에 장착되며, 제2 체결공(42)을 통해서 상기 코일 스프링(1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3 브라켓(40); 및
    상기 제2 브라켓(30)과 상기 제3 브라켓(40) 사이의 상기 하부 레일(1)에 장착되며, 제2 브라켓(30)의 전방 이동을 저지하는 제4 브라켓(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롱 레일 워크 인 복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30)에는 제1 고정공(34) 및 제2 고정공(3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롱 레일 워크 인 복합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20)에는 상기 제2 브라켓(30)의 제1 고정공(3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구(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롱 레일 워크 인 복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20)에는 상기 제2 브라켓(30)의 하부에 분 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고정구(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롱 레일 워크 인 복합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브라켓(50)에는 상기 제2 브라켓(30)의 제2 고정공(36)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고정구(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롱 레일 워크 인 복합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브라켓(50)에는 상기 제2 브라켓(3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고정구(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롱 레일 워크 인 복합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레일(1)과 상부 레일(2)을 덮는 트랙 커버(6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롱 레일 워크 인 복합 구조.
KR1020050101193A 2005-10-26 2005-10-26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 KR20070044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193A KR20070044904A (ko) 2005-10-26 2005-10-26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
DE102005058741A DE102005058741B4 (de) 2005-10-26 2005-12-08 Einstiegs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CNB2005101302781A CN100475598C (zh) 2005-10-26 2005-12-12 汽车座位的复合长轨/行进的结构
US11/304,924 US7566098B2 (en) 2005-10-26 2005-12-14 Seat rail structure of vehicle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193A KR20070044904A (ko) 2005-10-26 2005-10-26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904A true KR20070044904A (ko) 2007-05-02

Family

ID=3791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193A KR20070044904A (ko) 2005-10-26 2005-10-26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66098B2 (ko)
KR (1) KR20070044904A (ko)
CN (1) CN100475598C (ko)
DE (1) DE10200505874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2045A1 (en) * 2013-03-29 2014-10-02 Daniel Halterman Jeffery Mechanism for Increasing the Distance Traveled During a Forceful Change in Velocity
JP6032125B2 (ja) * 2013-05-17 2016-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CN109790450A (zh) 2016-08-18 2019-05-21 塞特工业公司 磺基琥珀酸酯表面活性剂组合物及使用其的方法
KR20240040318A (ko) 2022-09-21 2024-03-2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레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5428A (en) * 1976-02-27 1977-09-03 Nissan Motor Co Ltd Memory including seat for walk-in rail
US4770386A (en) * 1986-02-04 1988-09-13 Magna International Inc. Lever assembly for manual six-way seat adjustment
JPS6331838A (ja) * 1986-07-25 1988-02-10 Oi Seisakusho Co Ltd シ−トスライド装置
US4856847A (en) * 1989-02-24 1989-08-15 Tachi-S Co., Ltd. Automotive seat with walk-in device
JP4120078B2 (ja) * 1998-12-25 2008-07-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JP4151366B2 (ja) * 2002-09-30 2008-09-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58741B4 (de) 2009-04-30
CN100475598C (zh) 2009-04-08
US7566098B2 (en) 2009-07-28
US20070102616A1 (en) 2007-05-10
DE102005058741A1 (de) 2007-05-03
CN1955035A (zh)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3038B2 (en) Deployable center console
US10625646B2 (en) Articulating mechanical thigh extension composite trim payout linkage system
US8770661B2 (en) Configurable underseat storage feature
US20040036336A1 (en) Mechanism to obtain the complete reclining of a seat, particularly for an aircraft seat
US8439419B2 (en) Flipper panel assembly
JP5509979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4620335A (en) Lower bed structure for a recreational vehicle
US8960785B2 (en) Vehicle seat
US20050236882A1 (en) Rear seat having a backrest implemented with a back board
US20170057415A1 (en) Integrated seatback storage
CA2600671A1 (en) Slide out cargo floor
KR100783510B1 (ko) 차량의 가변형 격벽장치
JP2007313918A (ja) 車両室内構造
KR20070044904A (ko) 차량용 시트의 롱레일 워크인 복합구조
US10543920B2 (en) Deployable foot rest assembly
JP6401383B2 (ja) 車両用シート
US9156380B2 (en) Vehicle seat of type having upwardly foldable seat cushion
JP4787972B2 (ja) テーブル
SE536261C2 (sv) Bäddanordning
JP6392979B2 (ja) 車両用シート
US20090218468A1 (en) Mechanism for locking the rails of a motor vehicle seat
JP3783033B2 (ja) シートの前後調節装置
US20060022491A1 (en) Sun screen device
JP4013871B2 (ja) 車両用のシート構造
JP2007022252A (ja) 車両用シートの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