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304A -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304A
KR20070044304A KR1020050100433A KR20050100433A KR20070044304A KR 20070044304 A KR20070044304 A KR 20070044304A KR 1020050100433 A KR1020050100433 A KR 1020050100433A KR 20050100433 A KR20050100433 A KR 20050100433A KR 20070044304 A KR20070044304 A KR 20070044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displayed
size
user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077B1 (ko
Inventor
곽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077B1/ko
Priority to US11/582,468 priority patent/US20070091209A1/en
Publication of KR20070044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된 텍스트(text)의 크기를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절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텍스트의 로딩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 버튼 신호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의 방향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텍스트 크기 조절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방송, 텍스트의 크기 조절, 텍스트 로딩 방식, 방향 버튼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xt of data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에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에서 텍스트가 로딩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중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중 텍스트가 로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장치 200 : 디스플레이 패널
310 : 방향 버튼 150 : 버튼 신호 입력부
160 : 신호 판단부 170 : 텍스트 크기 조절부
180 : 텍스트 로딩 방식 제어부 190 : 출력부
195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된 텍스트(text)의 크기를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절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의 로딩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의 디지털화 추세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TV 방송 등 기존 매체를 통해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방송 산업의 환경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매체들 중에서 방송의 디지털화와 통신과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흐름을 대변하여 새롭게 등장하는 매체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이다.
상기 DMB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이동하면서 다채널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하는 것이다.
여기서 DMB에 관한 설명을 하면, 현재 사용중인 라디오 방송은 아날로그 형태로서 원래 고정 수신용으로 개발되었으므로 보행 중 또는 차량 운행 중에 수신 할 경우에는 음질이 상당히 저하되고 높은 출력과 넓은 주파수 대역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표준화 및 상용화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방송 표준으로 Eureka-147을 택한 유럽에서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미국의 경우 DAR(Digital Audio Radio), 캐나다의 경우 DRB(Digital Radio Broadcasting), 제전기통신연합(ITU-R)의 경우 DSB(Digital Sound Broadcasting)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정보통신부에 의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차세대 방송용으로 개발된 DAB는 도심지의 전파환경과 잡음에 강하여 소출력으로 전송하여도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서 CD 수준의 음질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듣는 방송'의 개념을 '보고 듣는 방송'으로 라디오 방송의 개념을 확장시켰으며, 음악방송 외에도 뉴스, 교통정보, 기상정보, 지리위치정보, 동영상 정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문자와 그래픽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국내 정보통신부에 의해 명명된 DMB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음성방송의 디지털화가 됨에 따라 종전의 AM과 FM 라디오 형태를 넘어 고품질 CD 수준의 음질, 문자나 그래픽, 동화상까지 1.5Mbit/s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양방향성, 우수한 이동수신 품질 등을 제공하는 차세대 방송이다.
상술한 DMB는 전송 수단인 매체의 성격에 따라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위성 DMB 방송의 경우 고정형 서비스와 이동형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디지털시대를 맞아 압축기법을 활용한 미디어의 확산으로 통신, 컴퓨 터, 방송의 융합화가 가속될 것이며, 이에 음성과 영상뿐만 아니라,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이 가능하다.
DMB를 이용한 데이터 방송은 텔레비전 영상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정보를 다중화해 전송하거나 별도의 채널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나 컴퓨터를 보유한 사용자에게 문자정보, 정지영상, 상품정보, 프로그램 안내정보(EPG)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방송을 채용한 경우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르는 뉴스 정보, 결과를 알고 싶어하는 스포츠 경기 정보, 실시간 자료가 필요한 증권사항정보, 미리 알고 싶은 기상정보, 교통정보 등과 같은 속보성 정보와, 상품정보 제공을 통한 통신판매정보와, 프로그램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DMB를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을 송출하는 경우,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텍스트의 크기가 너무 작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텍스트를 읽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1996-263046(문자 표시 방법 및 장치)은 입력된 문자를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신속하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문자가 한자인 경우 종 방향으로 문자를 표시하고, 한자가 아닌 경우에는 세로쓰기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표시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에 대하여 종/횡 방향을 다 적용하나 그 문자가 한자 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구현하는 방향만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 또는 로딩 방식의 문제점 개선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된 텍스트의 크기를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된 텍스트의 로딩 방식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 버튼 신호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의 방향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텍스트 크기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 버튼 신호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로딩 방식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로딩 방식을 제어하는 텍스트 로딩 방식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는,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의 방향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텍스트 로딩 방식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텍스트 로딩 방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텍스트를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 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다수의 입력 수단(310, 320: 300)들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휴대용 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동영상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을 수 있는 장치로써, 예를 들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말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동영상 및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텍스트 데이터가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채널을 선택한 경우 문자정보, 정지영상, 및 상품정보 등을 포함한 텍스트 형태의 방송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는 사용자의 입력 수단(300) 조 작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의 위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소정 위치(예를 들어, 우측 상부)에는 메뉴 항목(예를 들어, 선택 가능한 메뉴 항목 및 현재 선택된 메뉴 항목)이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컨트롤 바(controll bar)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컨트롤 바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확대 영역 또는 축소 영역으로 이동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로딩 방식은 텍스트의 행이 스크롤(scroll)되는 방식 및 텍스트의 단어가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텍스트는 기 설정된 텍스트 행수(예를 들어, 5행)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다고 가정한다. 먼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행수가 기 설정된 텍스트의 행수와 동일하면, 즉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텍스트 1행에서 텍스트 5행이 디스플레이되면, 소정 시간이 경과 후 디스플레이된 텍스트 1행이 스크롤 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에는 텍스트 2행에서 텍스트 6행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수신된 텍스트의 전체 행(예를 들어, 10행)이 모두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반복된다. 여기서, 텍스트의 행이 스크롤 되는 방향은 '상' 방향이다.
입력 수단(300)은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향 버튼(310) 및 특정 기능이 할당된 다수의 기능 버튼(320)들을 포함한다.
방향 버튼(3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이동 및 소정 아이콘(또는 항목)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능 버튼(320)을 이용하여 메뉴 항목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방향 버튼(3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중 이용을 원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향 버튼(310)의 좌우 버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뉴 항목 중 크기(size) 조절 항목을 선택하여 크기 조절 기능이 동작된 후, 방향 버튼(310)의 좌측 방향 버튼을 선택하면 텍스트의 크기가 축소되고, 방향 버튼(310)의 우측 방향 버튼을 선택하면 텍스트의 크기가 확대된다.
한편, 사용자가 방향 버튼(310)을 선택하는 경우 각 버튼의 방향마다 다른 효과음이 출력되며,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할 경우에도 소정의 효과음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텍스트 로딩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신호 수신부(110), 복조부(120), 역다중화부(130), 디코딩부(140), 버튼 신호 입력부(150), 신호 판단부(160), 텍스트 크기 조절부(170), 텍스트 로딩 방식 제어부(180), 출력부(190), 및 디스플레이부(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방송 신호 수신부(110)는 위성 DMB 방송국이나 지상파 DMB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방송신호(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등)를 수신한다.
복조부(Demodulator)(120)는 방송 신호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시키고, 역다중화부(Demultiplexing)(130)는 복조부(120)를 통해 복조된 방송신호를 복원한다. 여기서, 복조부(120)는 복조된 방송 신호에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분리하여 복원시킨다.
디코딩부(Decoding)(140)는 복원된 방송신호를 압축을 위한 표준방식인 MPEG(Moving Picture Export Group phase) 방식으로 디코딩 한다. 여기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출력부(190)를 통해 출력되고, 비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95)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다.
버튼 신호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예를 들어, 방향 버튼 신호, 및 기능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다.
신호 판단부(160)는 버튼 신호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버튼 신호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신호 판단부(160)는 입력된 버튼 신호가 방향 버튼(310)인 경우, 입력된 버튼의 방향(예를 들어, 좌, 우, 상, 및 하)을 체크하여 체크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입력된 버튼 신호가 기능 버튼(320)인 경우 해당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동작시킨다.
텍스트 크기 조절부(170)는 버튼 신호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버튼 신호의 방향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방향 버튼(310)의 좌측 방향 버튼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가 축소되며, 사용자가 방향 버튼(310)의 우측 방향 버튼을 선 택하면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가 확대된다.
텍스트 로딩 방식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로딩 방식을 결정하는 것으로, 여기서, 로딩 방식은 텍스트의 행이 스크롤(scroll)되는 방식 및 텍스트의 단어가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을 말한다.
출력부(19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텍스트 데이터 및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될 경우 연동되어 있는 효과음 및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방향 버튼(310)이 선택된 경우, 방향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효과음을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효과음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5)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데이터 및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5)는 소정 메뉴 항목 및 텍스트 크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바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에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소정 크기의 텍스트(400)와, 메뉴 항목(330) 및 컨트롤 바(340)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텍스트(40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방향 버튼(310)을 이용하여 메뉴 항목 중 '크기(size) 조절 항목'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우측 상부에 현재 선택된 메뉴 항목(330)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고, 텍스트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바(340)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컨트롤 바는 사용자의 방향 버튼(310) 선택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디스플레이된 텍스트(400)의 크기가 가장 작은 상태이므로, 컨트롤 바(340)는 텍스트 크기의 축소를 나타내는 영역에 위치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방향 버튼(310)을 이용하여 컨텐츠(400)의 크기를 크게 조절하면, 사용자의 버튼 선택에 따라 소정 크기로 디스플레이된 텍스트(400)의 크기가 확대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방향 버튼(310)의 좌측 방향 버튼을 선택하면 텍스트(400)의 크기가 축소되고, 방향 버튼(310)의 우측 방향 버튼을 선택하면 텍스트(400)의 크기가 확대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텍스트(400)의 크기가 확대될 경우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바(340)는 텍스트 확대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위치가 변경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방향 버튼(310)을 이용하여 텍스트(400)의 크기를 최대로 확대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는 최대로 확대된 텍스트(400)가 디스플레이되고, 컨트롤 바(340)는 텍스트 확대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위치가 변경된다.
한편, 메뉴 항목 선택 및 텍스트 크기 변경을 위해 방향 버튼(310)을 선택한 경우, 소정의 효과음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도 선택에 따른 동작이 수행됨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방향 버튼(310)을 이용하여 메뉴 항목 선택 시 각 방향마다 다른 물방울 소리가 출력되고, 좌우 방향 버튼을 선택하여 텍스트 크기를 조절할 경우, 텍스트 크기가 확대되면 고음의 효과음이 출력되고, 텍스트 크기가 축소되면 저음 의 효과음이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되는 효과음은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에서 텍스트가 로딩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4a은 텍스트의 행이 스크롤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텍스트의 단어가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텍스트 행수에 따라 소정 텍스트(400)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행수가 기 설정된 텍스트의 행수와 동일하면, 다음 텍스트의 행이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첫번째 텍스트 행(410)은 스크롤 된다. 여기서, 텍스트 행이 스크롤 되는 방향은 '상' 방향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한 단어씩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텍스트의 단어는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 설정된 텍스트 행수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텍스트의 행 수가 5행 인 경우, 한 단어씩 디스플레이 되는 단어는 5행 이상 디스플레이될 수 없다.
그 다음, 기 설정된 텍스트의 행수와 하나씩 디스플레이된 단어의 행수가 동일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되었던 텍스트(또는, 단어)는 모두 삭제되고, 새로운 텍스트의 단어가 한 단어씩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텍스트(400)에 'very'라는 단어(또는 알파벳)(420) 가 디스플레이되고, 그 다음, 단어(또는 알파벳) 'f'(430)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읽기 쉬운 로딩 방식으로 텍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텍스트 인지율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중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데이터 방송이 송출됨에 따라 수신된 소정의 텍스트(400)를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 한다(S500). 여기서, 디스플레이된 텍스트(400)의 크기는 가장 작은 크기로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방향 버튼(310)를 이용하여 메뉴 항목 중 '크기(size) 조절 항목'을 선택하면, 버튼 신호 입력부(150)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고(S510), 신호 판단부(160)는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 신호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텍스트 크기 조절 항목을 선택한 경우(S520), 텍스트 크기 조절 메뉴가 실행된다(S530). 여기서, 텍스트 크기 조절 메뉴가 실행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우측 상부에 현재 선택된 메뉴 항목(즉, 크기 조절 항목)(330)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고, 텍스트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바(340)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방향 버튼(310)을 이용하여 텍스트(400) 크기를 조절하면(S540), 텍스트 크기 조절부(17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400)의 크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방향 버튼(310)의 좌측 방향 버튼을 선택하면 텍스트(400)의 크기가 축소되고, 방향 버튼(310)의 우측 방향 버튼을 선택하면 텍스트(400)의 크기가 확대된다. 여기서, 텍스트(400)의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바(340)의 위치도 변경된다. 또한, 텍스트 크기 변경을 위해 방향 버튼(310)을 선택한 경우, 출력부(190)를 통해 소정의 효과음이 출력된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부(195)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사용자의 방향 버튼(310) 선택에 따라 크기가 변경된 텍스트(400)를 디스플레이 한다(S550).
한편, 판단 결과 사용자가 소정 기능 버튼(320)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수행된다(S56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중 텍스트가 로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먼저, 사용자는 방향 버튼(310)을 이용하여 텍스트 로딩 방식을 설정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을 통해 텍스트 로딩 방식을 설정한다. 이에, 버튼 신호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고(S600), 신호 판단부(160)는 입력된 버튼 신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텍스트 로딩 방식을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설정한 텍스트 로딩 방식이 스크롤 방식인 경우(S610),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텍스트(400)를 디스플레이부(105)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 된다((S620). 여기서, 텍스트 로딩 방식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텍스트 로딩 방식을 저장하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400)는 기 설정 되어 있는 텍스트 행수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행수가 기 설정되어 있는 행수와 동일한 경우(S630), 다음 텍스트의 행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첫번째 텍스트 행을 스크롤 시킨다(S640). 여기서, 텍스트 행이 스크롤 되는 방향은 '상' 방향이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된 첫번째 텍스트 행이 스크롤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던 새로운 텍스트 행이 디스플레이 된다(S650).
예를 들어, 수신된 텍스트의 전체 행이 10행이고,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 설정된 텍스트의 행수는 5행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수신된 텍스트의 1행에서 5행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행수가 기 설정되어 있는 행수와 동일한 경우, 디스플레이된 1행은 스크롤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던 텍스트 6행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수신된 텍스트 전체 행(예를 들어, 10행)이 모두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상기 동작은 반복되어 수행된다.
한편, 판단 결과(S610), 사용자가 설정한 텍스트 로딩 방식이 한 단어씩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인 경우,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텍스트(400)를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한 단어(또는 하나의 알파벳)를 디스플레이 한다((S660).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단어(또는 알파벳)은 기 설정되어 있는 텍스트 행수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다.
그 다음, 하나씩 디스플레이된 단어의 행수와 기 설정된 텍스트의 행수가 동일하면(S670), 디스플레이되었던 단어들은 모두 삭제되고(S680), 새로운 텍스트 단어가 하나씩 디스플레이 된다(S690).
한편, 도 5에서 설명한 방향 버튼(31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텍스트(400)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과, 도 6에서 설명한 텍스트 로딩 방법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400)의 크기를 방향 버튼(310)의 조작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크기가 조절된 텍스트(400)에 스크롤 방식 및 한 단어씩 디스플레이하는 로딩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된 텍스트의 크기를 방향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된 텍스트의 로딩 방식을 다양 하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어 사용자의 텍스트 인지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버튼 선택 시 각각 다른 효과음을 출력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출력되는 효과음을 통해서 선택에 따른 동작이 수행됨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 버튼 신호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의 방향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텍스트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컨트롤 바가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 조절 시 크기의 확대 및 축소에 따른 효과음이 출력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4.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 버튼 신호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로딩 방식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로딩 방식을 제어하는 텍스트 로딩 방식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의 로딩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행이 스크롤되는 방식 및 텍스트의 단어가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6.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컨트롤 바가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 조절 시 크기의 확대 및 축소에 따른 효과음이 출력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로딩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행이 스크롤되는 방식 및 텍스트의 단어가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10.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의 방향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컨트롤 바가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크기 조절 시 크기의 확대 및 축소에 따른 효과음이 출력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13. 데이터 방송이 수신됨에 따라 소정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텍스트 로딩 방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텍스트 로딩 방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텍스트를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의 로딩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텍스트의 행이 스크롤되는 방식 및 텍스트의 단어가 하나씩 디스플레이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인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050100433A 2005-10-24 2005-10-24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33A KR100736077B1 (ko) 2005-10-24 2005-10-24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11/582,468 US20070091209A1 (en) 2005-10-24 2006-10-18 Apparatus to control the text of broadcasted data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ext of broadcasted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33A KR100736077B1 (ko) 2005-10-24 2005-10-24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304A true KR20070044304A (ko) 2007-04-27
KR100736077B1 KR100736077B1 (ko) 2007-07-06

Family

ID=3798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433A KR100736077B1 (ko) 2005-10-24 2005-10-24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91209A1 (ko)
KR (1) KR100736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637A2 (en) * 2009-02-12 2010-08-19 EchoStar Technologies, L.L.C. Electronic program guides,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variable size of textual information
WO2010105028A3 (en) * 2009-03-11 2010-11-04 Sony Corporation Interactive access to media or other content related to a currently viewed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6787B (en) * 2008-04-18 2012-06-21 Htc Corp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ntents and a electr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9579A1 (en) * 1994-09-22 1996-03-28 Izak Van Cruyningen Popup menus with directional gestures
JPH09102940A (ja) * 1995-08-02 1997-04-15 Sony Corp 動画像信号の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記録媒体及び伝送方法
US5929927A (en) * 1996-12-19 1999-07-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odulated scroll rate for text display
US6137487A (en) * 1997-02-24 2000-10-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graphical object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0592075B1 (ko) * 1997-10-17 2006-06-21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프로그램 안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256650B1 (en) * 1998-05-18 2001-07-0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ausing editable text to substantially occupy a text frame
JP3374771B2 (ja) * 1998-12-16 2003-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端末装置
US8595764B2 (en) * 1999-06-25 2013-11-26 Jlb Ventures, Llc Image-oriented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6421067B1 (en) * 2000-01-16 2002-07-16 Isurftv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JP4101491B2 (ja) * 2000-09-25 2008-06-18 アドビ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合成フォント編集装置、合成フォント編集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050109B2 (en) * 2001-03-02 2006-05-2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provision of user selected advanced close captions
US7873972B2 (en) * 2001-06-01 2011-01-18 Jlb Ventur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mosaic style electronic program guide
JP2003150296A (ja) * 2001-11-14 2003-05-23 Nec Corp 端末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7117450B1 (en) * 2002-03-15 2006-10-03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ont attributes
US20050035199A1 (en) * 2002-04-11 2005-02-17 John Goci Voter interface for electronic vot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KR20030097310A (ko) * 2002-06-20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상크기조절방법 및 그화상크기조절시스템과 화상크기조절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7194693B2 (en) * 2002-10-29 2007-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highlighting text in an electronic document
WO2004066122A2 (en) * 2003-01-16 2004-08-05 Fabricant Christopher J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edical diagnostic coding
US8671359B2 (en) * 2003-03-07 2014-03-11 Nec Corporation Scroll display control
KR20040099628A (ko) * 2003-05-19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멀티미디어 장치
US20050071753A1 (en) * 2003-09-30 2005-03-31 Udo Klein Variable size input areas in user interfaces
JP4165888B2 (ja) * 2004-01-30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イアウト制御方法、レイアウト制御装置及びレイアウト制御プログラム
US7797643B1 (en) * 2004-06-25 2010-09-14 Apple Inc. Live content resizing
US8872843B2 (en) * 2004-07-02 2014-10-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diting images in a mobile terminal
JP4262164B2 (ja) * 2004-08-06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652672B1 (ko) * 2004-09-20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력 검사 장치와 방법 및 시력에따른 글자 크기 변경 방법
US7750924B2 (en) * 2005-03-15 2010-07-0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enerating graphics having a finite number of dynamically sized and positioned shapes
US8560952B2 (en) * 2005-06-13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Adding an arbitrary number of placeholders to a custom layout
US20070106690A1 (en) * 2005-11-08 2007-05-10 Denniston Vanessa S Personalized memory album
US20100125807A1 (en) * 2008-11-18 2010-05-20 Jack Edward Easterday Electronic Scrolling Text Displa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637A2 (en) * 2009-02-12 2010-08-19 EchoStar Technologies, L.L.C. Electronic program guides,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variable size of textual information
WO2010093637A3 (en) * 2009-02-12 2010-10-28 EchoStar Technologies, L.L.C. Electronic program guides,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variable size of textual information
US8799947B2 (en) 2009-02-12 2014-08-05 EchoStar Technologies, L.L.C. Electronic program guides,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variable size of textual information
WO2010105028A3 (en) * 2009-03-11 2010-11-04 Sony Corporation Interactive access to media or other content related to a currently viewed program
KR101278403B1 (ko) * 2009-03-11 2013-06-24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현재 시청중인 프로그램과 관련된 미디어 또는 기타의 콘텐츠로의 대화형 액세스
US8555167B2 (en) 2009-03-11 2013-10-08 Sony Corporation Interactive access to media or other content related to a currently viewe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077B1 (ko) 2007-07-06
US20070091209A1 (en)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216B2 (ja) デジタル放送番組表示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番組表示プログラム
KR101358224B1 (ko)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단말장치 및 방법
KR20070044303A (ko) 화면 캡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US20100165200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2007013725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US84077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JP4587821B2 (ja) 映像再生装置
KR100736077B1 (ko) 데이터 방송의 텍스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20240176472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00101947A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CN107743710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4364192B2 (ja) 表示装置
JP5341820B2 (ja) 受信装置及び表示方法
JP5340699B2 (ja) 車載用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ータ放送表示方法
JP4208033B2 (ja) 受信装置
KR100823040B1 (ko) 멀티태스킹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1176501B1 (ko)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관련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905525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588434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06265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474491B1 (ko) 텔레텍스트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9128B1 (ko)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JP4340546B2 (ja) 受信装置
KR101366312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 영상 표시 방법
JP4315200B2 (ja) 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