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516A -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516A
KR20070043516A KR1020050099875A KR20050099875A KR20070043516A KR 20070043516 A KR20070043516 A KR 20070043516A KR 1020050099875 A KR1020050099875 A KR 1020050099875A KR 20050099875 A KR20050099875 A KR 20050099875A KR 20070043516 A KR20070043516 A KR 20070043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old
bridge
alternat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6643B1 (ko
Inventor
정상욱
Original Assignee
우경건설 주식회사
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건설 주식회사, 정상욱 filed Critical 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6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사장교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교대측의 부반력교좌장치를 배제하기 위해 교대의 기둥과 상부 주형인 주형빔을 강결하는 방법과 강관을 설치된 파일론에 연결설치되는 사재의 정착을 위한 정착구설치방법과 강재사장교를 임시 가교에 적용할 경우 주형빔의 연결을 위하여 고장력볼트에 의한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빔과 강결된 탄성교대빔은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옹벽기능의 기존교대벽체와 별도로 교대전면에 H빔의 강재를 기둥으로 설치하고, 교량상부구조인 주형빔과 강결하면서,
교량상부구조물인 주형빔의 온도변화에 의한 수평변위는 상기 주형빔과 강결연결된 탄성교대빔의 기둥으로 설치된 H빔인 강재의 탄성에 의한 유연성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하고, 종래 파일론에서 감당하던 교축방향 수평력을 주형빔과 강결연결된 탄성교대빔이 감당하도록 하므로서 수직력만을 감당하도록 역할분담을 하도록 하여 교량전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강재 사장교시공방법이다.

Description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of steel cable stayed bridge omitting negative reaction bridge seat}
도 1은 본 발명의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사장교의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의 강결연결부와 백스테이케이블을 탄성교대빔에 정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b)은 본 발명의 주형빔의 연결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4(a)(b)는 본 발명의 파일론에 사재를 설치한 것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5본 발명의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을 연결한 강결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을 연결한 강결연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강재 사장교 11 : 기초
13 : 사재 14 : 백스테이케이블(사재)
15 : 교대 16 : 파일론(PYLON)
17 : 탄성교대빔 18 : 탄성충전재
20 : 강결연결부 21 : 수직보강재
22 : 수평보강재 23 : 헌치
30 : 고정정착브라켓
40 : 주형빔 41 : 상부플랜지
42 : 하부플랜지 43 : 복부
44 : 돌출강판 45 : 상부강판
46 : 하부강판 47 : 볼트체결
48 : 복부강판
50 : 파일론사재설치장치 51 : 고정브라켓
52 : 전단월플레이트 53 : 강관
본 발명은 H빔인 강재를 이용하여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을 각각 설치하고, 교대에는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을 강결연결하고, 파일론에 설치된 사재는 주형빔을 지지하도록 한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 사장교시공방법에 관한 것으 로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은 지반위에 설치된 기초위에 종래의 교대를 설치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H빔인 강재로 설치된 강재기둥인 탄성교대빔을 설치하고, 상기 탄성교대빔과 강재로 설치된 주형빔을 강결연결한 강결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형빔을 지지하도록 교각으로 설치된 파일론에 다수개 설치된 사재를 상기 주형빔에 고정연결하여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파일론에 설치된 사재중 교대측에 설치된 백스테이케이블을 강결연결된 교대의 주형빔에 고정정착브라켓에 의하여 고정연결되도록 하여 주형빔의 교축방향에 발생되는 하중에 의한 변위 및 온도에 의한 신축변위를 탄성교대빔의 강재의 탄성에 의한 유연도로 흡수하도록 하고, 교량에 발생되는 수직하중은 교각부인 파일론이, 교축방향 수평력은 교대가 하중을 전담하도록 역할분담이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강재 사장교는 교대의 탄성에 의하여 교축방향에서 발생되는 변위를 교대에서 흡수하게 되므로 종래 교량의 교대에 설치하던 부반력교좌장치의 설치가 불필요하며, 종래의 파일론은 교축수평력 및 수직방향의 하중을 동시에 받도록 설계되어 설치비가 고가인 반면에 본 발명의 파일론은 수직하중만을 전담케하므로서 파일론의 단면력을 종전의 것보다 줄일 수 있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파일론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교량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강재사장교시공방법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H빔인 강재의 탄성교대와 주형빔을 강결연결하여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변위를 탄성교대에 전달시켜 H빔인 강재의 탄성에 의한 유연 도에 의하여 교량에 발생된 수평변위를 흡수하도록 하고, 교각부인 파일론은 수직하중을 전담하도록 하므로서, 종래에는 파일론이 수평 및 수직하중을 모두 받도록 설게되므로서 내구력이 큰 단면으로 설치하게되어 이로인하여 고가의 파일론의 설치가 요구되어 교량공사비가 높게 책정되는 점을 본 발명의 파일론은 오직 수직하중만 부담하도록 하여 종래에 설치된 파일론의 단면적보다 작은 규모로 설치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단면적인 파일론 공사비로 인하여 전체적인 교량설치비를 보다 저렴하게 하면서, 교량상판인 주형빔과 강결연결한 탄성교대빔의 H빔인 강재의 탄성에 의한 유연도를 이용하여 주형빔에 발생되는 교축방향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하므로서 교대에서 발생되는 부반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지 않는 부반력 교좌장치의 설치가 필요치 않도록 하여 경제성이 있으면서, 구조적으로 교축방향의 수평력은 교대측이, 연직하중인 수직력은 교각측인 파일론이 각각 지지하도록 구조적 역할분담을 갖도록 하므로서 파일론의 공사비 및 부반력 교좌장치의 설치를 생략하므로서 교좌장치의 설치비 및 유지관리비를 절감하도록 하는 경제적이면서 구조적으로 강한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사장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목적은 강재사장교의 주형빔을 상호 연결할 때 주형빔의 복부양측면에 복부강판을 설치하고 고장력볼트체결을 하면서, 상부플랜지의 하부에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돌출강판을 양측면에 설치하면서 상기 돌출강판의 상하부에 상하부강판을 설치하고 고장력볼트체결을 하여 주형빔을 연결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의 상하부에 상하부강판을 설치하고 고장력볼트체결하도록 하여 축력만 작용하 는 본 발명의 강재 사장교의 주형빔이 보다 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복공판이 높으므로 복부와 하부플랜지에 만 강판을 대고 연결하여 수직력과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종래의 사장교의 주형이 취약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강재사장교를 가교에 사용하는 경우, 교량상부판인 주형빔의 상부에 복공판을 설치할 때 상기 주형빔과 주형빔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별도의 추가보강장치인 복부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별도의 강판을 대고 그 강판의 상하부에 덧댄 강판을 볼트체결하여 연결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강재 사장교인 가교의 주형빔의 교축방향에 작용하는 하중을 구조적으로 강한 상태에서 부담하도록 하여 종래의 H빔으로 설치하는 가교에는 복공판의 높이를 감안하여 상부플랜지의 연결을 하지 않고 바로 복부와 하부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도록 하여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없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사장교에 발생되는 전체의 수직력을 파일론이 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강관의 일정한 위치에 사재를 설치할 때 강관을 사선의 단면으로 전단월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한 다음, 강관의 외측이면서 상기 전단월플레이트의 끝단부에 고정브라켓을 용접부착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사재의 일측단부를 고정정착하고 타단은 주형빔을 연결고정하도록 설치한 파이론사재설치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파일론사재설치장치를 이용하여 강관을 관통하여 사재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사재에 의하여 주형빔이 강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래의 사장교에서 백스테이케이블이 설치되는 교대측에서는 교축방향으로 자유롭게 가동되는 부반력교좌장치를 배치하고, 교축방향 수평력과 모든 수직하중을 교각인 파일론이 부담하도록 하도록 하고 있어 파일론에 모든 힘이 집중되어 하중분산효과가 없어서 공사비가 고가로 되는 단점과 부반력교좌장치를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상존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H빔인 강재의 주형빔을 상호 연결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인 주형빔으로 설치하고, 이들을 파일론의 사재에 의하여 연결지지하도록 하면서,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이 강결연결되도록 하면서 탄성교대빔의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에 의한 유연도를 이용하여 교축방향에 작용하는 변위를 상기 탄성교대빔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부반력교좌장치의 설치를 생략하고, 파일론에는 오직 수직하중만 전담하도록 하여 공사비를 절감하도록 하면서 효율적인 교량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교대의 부반력교좡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간의 양측부에 설치된 기초(55) 위에 종래 교량의 교대에 해당하는 교대(15)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탄성교대빔(17)을 설치하고, 종래의 교대와 탄성교대빔의 사이에 탄성충전재(18)를 채우고,
상기 탄성교대빔(17) 상부와 주형빔(40)을 강결연결한 강결연결부(20)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교대빔(17)과 강결연결된 상기 주형빔(40)과 연이어서 설치된 또 다른 주형빔(40)을 상호 연결한 연결부(60)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교량상판인 주형빔(40)을 설치하면서, 상기 교대와 교대 사이에 설치된 파일론(16)에 파일론사재설치장치에 의하여 연결된 사재(13)와 상기 주형빔(40)을 연결지지하도록 하되, 탄성교대빔(17)과 강결연결된 주형빔(40)의 복부(43)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정착브라켓(30)에 의하여 백스테이케이블(14)이 고정연결되도록 하여, 교대인 탄성교대빔(17)에는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에의한 유연도를 이용하여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변위를 흡수하도록 하고, 교각인 파일론(16)에는 수직하중만을 전담하도록 역할분담을 하도록 하는 구조체를 갖도록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를 시공하는 방법인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간의 양측부에 설치된 기초(11) 위에 종래의 교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교대(15)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교대빔(17)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탄성충전재(18)를 채움토록하고,
상기 탄성교대빔(17) 상부와 H빔인 강재의 주형빔(40)과 강결연결되도록 하는 강결연결부(20)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교대빔(17)와 강결연결(20)된 상기 주형빔(40)과 연이어서 설치된 또 다른 주형빔(40)을 상호 연결한 연결부(60)를 형성하면서 교량상부인 주형빔을 설치하되,
상기 교대와 교대 사이에 설치된 파일론(16)에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에 의하여 연결된 사재(12)와 주형빔(40)을 각각 연결지지하도록 하되, 탄성교대빔(17)과 강결연결된 주형빔(40)의 복부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정착브라켓(30)에 의하여 백스테이케이블(14)이 고정연결되도록 하여, 교량상판인 주형빔(40)의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변위를 상기 탄성교대빔(17)의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에 의한 유연도를 이용하여 흡수되도록 하여 교축방향에서는 변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교대에 부반력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여 부반력교좌장치의 설치를 생략하도록 하면서, 교량에 발생하는 수직하중은 오직 파일론(16)만이 부담하도록 하는 역할분담이 되는 구조계를 갖도록 하는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시공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사장교의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의 강결연결부와 백스테이케이블을 탄성교대빔에 정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탄성교대빔(17)과 주형빔(40)의 강결연결(20)된 부분의 주형빔(40)의 양측면에 파일론(16)에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에 의하여 연결된 사재(13)로서 교대측에 설치된 백스테이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하여 주형빔(40)의 복부에 고정정착브라켓(30)을 설치하도록 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고정정착브라켓(30)은 강판을 주형빔(40)의 복부측에 용접부착하되, 사재(13)를 관통하도록 한 구조이며, 상기 강판을 관통한 사재(13)의 일측단을 너트로 고정하면서, 상기 사재(13)의 타측단의 연장부는 파일론(16)의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에 의하여 파일론(16)에 연결고정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백스테이케이블(Back Stay Cable)(14)은 파일론(16)에 연결되도록 하고, 그 일측단은 탄성교대빔(17)과 주형빔(40)이 강결연결된 부분의 주형빔(40)의 양측면에 고정연결된 것으로서, 파일론(16)은 수직하중만을 전담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특수한 구조에 의하여 파일론(16)에 고정연결된 백스테이케이블(14)이 탄성교대빔(17)과 강결연결된 주형빔(40)에 고정연결되어 교대에 부반력교좌장치 없이도 탄성교대빔과 강결연결된 주형빔이 일체로 저항하도록 하면서, 파일론(16)이 수직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체역할을 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3(a)(b)은 본 발명의 주형빔의 연결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a)는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b)는 평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강재 사장교의 주형빔(40)을 상호 연결할 때 주형빔의 복부(43)양측면에 복부강판(48)을 설치하고 볼트체결(47)을 하면서, 상부플랜지(41)의 하부에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돌출강판(44)을 양측면에 설치하면서 상기 돌출강판(44)의 상하부에 상하부강판(45,46)을 설치하고 볼트체결(47)을 하여 주형빔(40)을 연결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42)의 상하부에 상하부강판(44, 45)을 설치하고 볼트체결(47)하도록 한 연결부(60)를 설치하도록 하여 교축방향의 변위만 작용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강재사장교의 주형빔(40)이 보다 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복공판이 높으므로 복부와 하부플랜지에 만 강판을 대고 연결하 여 수직력과 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종래 사장교의 주형이 취약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다시말하면, 본 발명의 강재사장교를 가교에 사용하는 경우, 교량상부판인 주형빔(40)의 상부에 복공판을 설치할 때 상기 주형빔과 주형빔(4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60)에는 별도의 추가보강장치인 복부(43)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별도의 강판(44)을 대고 그 강판의 상하부에 덧댄 강판(45, 46)을 볼트체결(47)하여 연결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강재사장교인 가교의 주형빔의 교축방향에 작용하는 하중을 구조적으로 강한 상태에서 부담하도록 하여 종래의 강재로 설치하는 가교에는 복공판의 높이를 감안하여 상부플랜지의 연결을 하지 않고 바로 복부와 하부플랜지를 상호 연결하도록 하여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없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
도 4(a)(b)는 본 발명의 파일론에 사재를 설치한 것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중공의 강관(53)의 일정한 위치에 사재(13)를 설치할 때 강관(53)을 사선단면으로 전단월플레이트(52)를 관통하여 설치한 다음, 강관(53)의 외측이면서 상기 전단월플레이트(52)의 상하면 끝단부에 고정브라켓(51)을 각각 용접부착하고, 상기 고정브라켓(51)에 사재(13)의 일측단부를 설치하고 너트로 사재를 고정정착하면서, 전단월플레이트면에 안내관(미도시)을 부착하고, 상기 안내관내에 사재를 삽입하도록 하면서 사재의 타단은 주형빔(40)을 연결고정하도록 연장설치한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이다.
상기와 같이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를 이용하여 강관(53)을 관통하여 사재(13)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사재에 의하여 주형빔이 강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안내관을 강관을 관통하여 사선으로 설치된 전단월플레이트면에 설치하고, 사재를 삽입관통시켜, 타단의 사재를 주형빈에 고정시키도록 한 것은 주형빔과 파일론을 사재에 의하여 상호 연결한 후에 교량에 하중을 작용시키도록 할때 사재의 측면이 전단월플레이트면과 직접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사재 및 전단월플레이트가 접촉에 의한 마모등으로 인한 단면적 감소로 인하여 교량에 악영향을 주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안내관내에 설치된 사재가 마모 및 부식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방청 및 윤활작용을 하는 물질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파이론은 오직 수직하중만을 부담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중공의 원형단면의 강관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종전의 파일론은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동시에 받도록 설계되어 큰 규모의 단면력이 필요하여 파일론설치비가 과다하게 책정되어 공사비의 낭비요인이 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파일론은 수직하중만 전담하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어 효율성이 뛰어난 중공의 원형강관을 이용하므로, 종전의 파일론 설치비에 비하여 크게 절감된 공사비로 파일론을 설치하도록 하여 공사비의 절감을 가져오도록 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교대빔과 주형빔을 연결한 강결연결부의 실시예를 각각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주형빔(40)과 탄성교대빔(17)이 강결연결된 부분의 주형빔(40)의 상하플랜지(41,42) 사이와 복부(43)에 수직보강재(21)를 용접부 착하고, 탄성교대빔(17)의 상하플랜지(41,42)사이와 복부(43)에 수평보강재(22)를 용접부착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보강재(21,22)가 설치된 코너부분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측모두에 헌치(23)를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한 강결연결부(20)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H빔인 강재를 연결하여 주형빔을 설치하고, 이들을 파일론에 연결된 사재에 의하여 연결고정하도록 하고, 교량상판인 주형빔과 탄성교대빔을 강결연결하되, 교량의 주형빔의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변위는 탄성교대빔의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의 유연도를 이용하도록 하여 탄성교대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교대에는 부반력교좌장치의 설치를 생략하도록 하고, 교각인 파일론에는 수직하중만을 전담하도록 역할분담이 되도록 힘의 배분을 유도하여 해당부재의 힘의 거동에 맞는 효율적인 부재설계를 하므로서 교량전체공사비를 절감하면서 교대에 부반력교좌장치의 설치가 배제되므로서 교량시공의 간편성과 교좌장치에 대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시공방법인 것이다.

Claims (6)

  1. 교량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간의 양측부에 설치된 기초(11) 위에 종래의 교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교대(15)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H빔인 강재기둥의 탄성교대빔(17)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탄성충전재(18)를 채움토록하고,
    상기 탄성교대빔(17) 상부와 H빔인 강재의 주형빔(40)과 강결연결되도록 하는 강결연결부(20)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교대빔(17)와 강결연결(20)된 상기 주형빔(40)과 연이어서 설치된 또 다른 주형빔(40)을 상호 연결한 연결부(60)를 형성하면서 교량상부인 주형빔을 설치하고,
    상기 교대와 교대 사이에 설치된 파일론(16)에 파일론사재설치장치(50)에 의하여 연결된 사재(12)와 주형빔(40)을 각각 연결지지하도록 하되, 탄성교대빔과 강결연결된 주형빔의 복부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정착브라켓에 의하여 사재인 백스테이케이블이 고정연결되도록 하여, 주형빔의 교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변위를 상기 탄성교대빔의 강재기둥의 탄성에 의한 유연도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하며, 교량에 발생하는 수직하중은 오직 파일론만이 부담하도록 하는 역할분담이되는 구조계를 갖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정착브라켓은 강판을 주형빔의 복부측에 용접부착하되, 사재를 관통하도록 한 구조이며, 상기 강판을 관통한 사재의 일측단을 너트로 고정하면서, 상기 사재의 타측단의 연장부는 파일론에 연결고정되도록 하는 구조인 것에 특징이 있는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주형빔의 복부양측면에 복부강판을 설치하고 볼트체결을 하면서, 상부플랜지의 하부에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돌출강판을 양측면에 부착설치하면서 상기 돌출강판의 상하부에 상하부강판을 설치하고 볼트체결을 하여 주형빔을 연결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의 상하부에 상하부강판을 설치하고 볼트체결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론사재설치장치는 중공의 원형강관의 일정한 위치에 강관을 사선단면으로 전단월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전단월플레이트의 상하면 끝단부에 고정브라켓을 각각 용접부착하면서 안내관을 상하로 설치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에 사재의 일측단부를 설치하고 너트로 사재를 고정정착하면서 사재를 상기 안내관내에 삽입관통하도록 하고, 사재의 타단은 주형빔을 연결고정하도록 연장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내에 관통삽입된 사재의 마모 및 부식을 막기 위한 물질을 충전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결연결부는 주형빔과 탄성교대빔이 강결연결된 부분의 주형빔의 상하플랜지 사이와 복부에 수직보강재를 용접부착하고, 탄성교대빔의 상하플랜지사이와 복부에 수평보강재를 용접부착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보강재가 설치된 코너부분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측모두에 헌치를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KR1020050099875A 2005-10-21 2005-10-21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KR100776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75A KR100776643B1 (ko) 2005-10-21 2005-10-21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75A KR100776643B1 (ko) 2005-10-21 2005-10-21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516A true KR20070043516A (ko) 2007-04-25
KR100776643B1 KR100776643B1 (ko) 2007-11-15

Family

ID=3817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875A KR100776643B1 (ko) 2005-10-21 2005-10-21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6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448A (zh) * 2016-05-03 2016-09-07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曲线独塔双索面的斜拉桥主塔的施工方法
CN108505428A (zh) * 2018-05-23 2018-09-0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大夹角小半径多塔曲线斜拉桥
CN112048987A (zh) * 2020-08-12 2020-12-08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桥下空间受限条件下独塔空间索面地锚斜拉桥
WO2023016573A1 (zh) * 2022-05-09 2023-02-16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斜拉桥钢混主梁的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04B1 (ko) 2008-07-07 2009-03-25 (주)평화엔지니어링 활성사재와 비활성사재를 주형과 지주에 강결연결한 사판재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191U (ko) * 1989-11-17 1991-07-23
JPH07207618A (ja) * 1994-01-18 1995-08-08 Taisei Corp 斜張橋のケ−シングパイプの設置方法及び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448A (zh) * 2016-05-03 2016-09-07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曲线独塔双索面的斜拉桥主塔的施工方法
CN105926448B (zh) * 2016-05-03 2017-05-31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曲线独塔双索面的斜拉桥主塔的施工方法
CN108505428A (zh) * 2018-05-23 2018-09-0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大夹角小半径多塔曲线斜拉桥
CN108505428B (zh) * 2018-05-23 2023-12-1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大夹角小半径多塔曲线斜拉桥
CN112048987A (zh) * 2020-08-12 2020-12-08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桥下空间受限条件下独塔空间索面地锚斜拉桥
WO2023016573A1 (zh) * 2022-05-09 2023-02-16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斜拉桥钢混主梁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643B1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514B1 (ko) 강선에 신장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흙막이용 가시설거더 및 이의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100987062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91208B1 (ko) 개량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강재띠장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76643B1 (ko) 교대의 부반력교좌장치를 생략한 강재사장교 시공방법
CN109930480B (zh) 暗锚悬臂梁式梳齿型桥梁伸缩装置
KR100985139B1 (ko)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KR101389285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KR101390169B1 (ko)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27923B1 (ko) 합성 결합구조를 갖는 사장교 주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58994B1 (ko) 형강인 수직보강부재로 보강된 빔과 그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2163560B1 (ko)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이 설치된 교량
KR101124515B1 (ko) 다양한 단면형식의 합성으로 강성의 최대화와, 편심의 극대화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단면빔을 이용하여 설치한 가설구조체
CN210946479U (zh) 一种高性能可维护公路悬臂齿型伸缩缝
KR101126081B1 (ko) 가로보 지지 브라켓을 이용한 트러스 가설교량
KR102067254B1 (ko)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KR102433621B1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KR100696646B1 (ko) 조립식 가로보에 정착 및 지지된 긴장재에 의한 ps 콘크리트 합성거더 교량의 외부긴장 공법
KR20120028637A (ko)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지지공법용 논웨일 스트러트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CN211200056U (zh) 一种适用于桥梁伸缩缝处主梁纵向连接构造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0530024B1 (ko) 프리플렉스 h형 빔에 상하부 커버 플레이트 및 긴장재정착장치를 설치한 슬래브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슬래브 보강 시공방법
JP5860723B2 (ja) 角形鋼管を用いた床版橋とその施工方法
KR100733004B1 (ko)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 방지구조
CN219710386U (zh) 一种挡墙支护结构
CN210886915U (zh) 具有弹性伸缩构件的填缝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