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706A -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706A
KR20070041706A KR1020070032524A KR20070032524A KR20070041706A KR 20070041706 A KR20070041706 A KR 20070041706A KR 1020070032524 A KR1020070032524 A KR 1020070032524A KR 20070032524 A KR20070032524 A KR 20070032524A KR 20070041706 A KR20070041706 A KR 20070041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print head
image data
printing
prin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1706A/ko
Publication of KR2007004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41J2/155Arrangement thereof for lin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은: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켜, 분할된 n개의 그룹이 n개의 라인에 걸쳐 순차적으로 인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종래 발명과 동일한 구동 주파수로 인쇄한다. 따라서,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면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함으로써 순간 최대 소비 전류 및 평균 소비 전류를 감소시켜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매체를 느리게 이송시키며 분할된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인쇄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for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반적인 인쇄 작업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인쇄 방법에서 인가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인쇄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의 구동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a는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인쇄한 인쇄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10은 하나의 라인에 해당되는 화상 데이터를 2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인쇄한 경우의 인쇄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프린트 헤드 유니트 106.....캐리지
111.....프린트 헤드 112.....노즐부
113.....배지롤러 114.....지지부재
115.....피딩롤러 117.....픽업롤러
130.....제어부 132.....감지부
140.....적재부 P.......인쇄매체
IMC.....순간 최대 소비 전류 AC......평균 소비 전류
본 발명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를 분사하기 위해 프린트 헤드에 인가되는 순간 최대 소비 전류 및 평균 소비 전류를 줄일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프린트 헤드로부터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이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인 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셔틀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라 한다. 근래에는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프린트 헤드 대신에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사용하여 고속 인쇄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되는 화상형성장치를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page width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라 한다.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프린트 헤드는 고정되어 있고, 인쇄매체만이 이송된다. 인쇄 작업 수행시 인쇄매체는 프린트 헤드의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며, 프린트 헤드는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따라서,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화상 데이터를 한 번에 인쇄할 수 있으므로 고속 인쇄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화상 데이터를 한 번에 인쇄하려면 많은 수의 노즐이 구동되어야 하고, 또한 많은 수의 노즐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여야 한다. 즉, 프린트 헤드의 노즐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의 용량이 커져야만 한다.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반적인 인쇄 작업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인쇄 방법에서 인가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인쇄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매체를 10 ips(inch per second)의 속도로 이송시 1200 dpi의 수직 해상도로 인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순간 최대 소 비 전류(IMC, Instantaneous Maximum Current)가 50 A, 한 라인을 인쇄시 프린트 헤드의 구동 주파수(printing frequency)를 12 kHz, 노즐 분사 듀티(Nozzle Firing Duty)를 50% 라고 가정하면, 순간 최대 소비 전류(IMC)는 50A이고, 평균 소비 전류(AC1, Average Current 1)는 50 A * 50 % = 25 A 이다. 상기와 같이 한 라인을 인쇄시 인가되는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인쇄 방법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개시된 인쇄 방법에서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구동 주파수(printing frequency)를 1/2로 감소시켜 6 kHz로 프린트 헤드를 구동시키고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를 5 ips로 감소시키면 도 1과 동일한 해상도의 인쇄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프린트 헤드의 구동 주파수(printing frequency)가 1/2로 줄어들면 구동 주기(printing period)가 2배 증가하여 평균 소비 전류(AC2)는 50A * 25% = 12.5A가 된다. 그 결과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에서 공급되는 평균 소비 전류(AC2)를 줄일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평균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프린트 헤드의 구동에 필요한 평균 소비 전류는 감소되지만, 순간 최대 소비 전류(IMC)는 감소되지 않는다. 따라서,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는 순간 최대 소비 전류를 고려하여 전류를 공급해야 하므로,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의 용량을 줄일 수 없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인쇄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인쇄 방법보다 인쇄 속도가 1/2로 줄어드나, 수직 해상도는 동일하므로 인쇄 품질이 향상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프린트 헤드의 구동시 인가되는 순간 최대 소비 전류 및 평균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면서도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 이송되는 상기 인쇄매체에 대해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 소정의 주파수로 상기 프린트 헤드를 구동시켜 상기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구동 수단; 및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켜 분할된 상기 n개의 그룹이 n개의 라인에 걸쳐 인쇄되도록 상기 인쇄매체 이송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구동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스트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여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부; 같은 그룹에 속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같은 라인에 인쇄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분할 구동시키는 프린트 헤드 구동부; 및 분할된 상기 그룹의 수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 키는 인쇄 속도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데이터 분할부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노즐 피치의 n배 간격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에서 분사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부는, 상기 n개의 그룹이 복수개의 사선을 이루며 상기 인쇄매체에 착탄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분할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사선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부는, 상기 프린트 헤드의 구동 주파수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한 라인에 인쇄시의 구동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속도 결정부는, 상기 인쇄매체를 일반 모드 인쇄시의 이송 속도의 1/n 배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n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은: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a)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단계; (b) 분할된 상기 그룹의 수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결정된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에 따라 분할된 상기 n개의 그룹을 n개의 라인에 걸쳐 순차적으로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c) 단계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같은 라인에 인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같은 그룹에 속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노즐 피치의 n배 간격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에서 분사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n개의 그룹이 복수개의 사선을 이루며 상기 인쇄매체에 착탄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분할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개의 사선이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분할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프린트 헤드의 구동 주파수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한 라인에 인쇄시의 구동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매체를 일반 모드 인쇄시의 이송 속도의 1/n 배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n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빠른 이해를 위해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 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25)는, 급지카세트(120)와,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와, 이와 대면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114)와,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32)와, 인쇄매체(P)를 제1방향(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와, 인쇄매체(P)가 배지 후 적재되는 적재부(140)를 구비한다. 또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인쇄매체(P)는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다.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후술하는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에 의해 프린트 헤드(111)로 이송된다.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는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117)와, 보조롤러(116)와, 피딩롤러(115), 및 배지롤러(113)를 구비한다.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131)에 의해 구동되며,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원(131)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부(130)는 구동원(131)의 동작을 제어하여 인쇄 매체(P)의 이송 속도를 결정한다.
픽업롤러(117)는 급지카세트(120)의 일측에 설치되며,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인출한다. 피딩롤러(115)는 프린트 헤드(111)의 입측에 설치되며, 픽업롤러(117)에 의해 인출된 인쇄매체(P)를 프린트 헤드(111)로 이송시킨다. 피딩롤러(115)는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115A)와, 이에 탄력적으로 맞물리는 아이들롤러(115B)를 포함한다. 픽업롤러(117)와 피딩롤러(115) 사이에는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보조롤러(11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배지롤러(113)는 프린트 헤드(111)의 출측에 설치되며,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를 화상형성장치의 밖으로 배지시킨다.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지된 인쇄매체(P)는 적재부(140)에 적재된다. 배지롤러(113)는 인쇄매체(P)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타휠(113A)과, 이에 대면되어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3B)를 구비한다. 프린트 헤드(111)를 통과하면서 그 상면에 잉크가 분사된 인쇄매체(P)는 노즐부(112)에서 분사된 잉크에 젖어서 웨이브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웨이브로 인해 인쇄매체(P)와 노즐부(112)와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스타휠(113A)은 노즐부(112)의 하방으로 이송되는 인쇄매체(P)가 노즐부(112) 또는 몸체(110)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인쇄매체(P)와 노즐부(112)와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분은 노즐부(112)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P)의 상면에 점접촉된다.
지지부재(114)는 노즐부(112)와 인쇄매체(P)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프 린트 헤드(111)의 하측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한다. 노즐부(112)와 인쇄매체(P)와의 간격은 약 0.5 ∼ 2.5 mm 정도이다.
감지부(132)는 제조 공정 상에서 발생된 불량 노즐이나,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중 발생되는 불량 노즐을 감지한다. 불량 노즐(missing nozzle)이란 잉크를 분사하지 못하는 손상된 노즐(dead nozzle)이나 기능이 약화된 노즐(weak nozzle)과 같이, 잉크를 정상적으로 분사하지 못하는 노즐을 의미한다. 즉, 불량 노즐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노즐에서 잉크가 분사되지 않거나, 설계 사양보다 작은 잉크 액적량이 분사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불량 노즐은 프린트 헤드(111)의 제조 공정이나,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중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정상에서 발생된 불량 노즐에 대한 정보는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된 메모리(미도시)에 별도로 기억되며, 이와 같은 정보는 프린트 헤드(111)를 화상형성장치(125)에 장착시 화상형성장치(125)로 전달될 수 있다. 감지부(132)는 인쇄 작업을 시작하기 이전에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132A)와, 인쇄가 진행되는 도중에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132B)를 구비한다. 감지부(132)에 의해 감지된 불량 노즐에 대한 정보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일 실시예로서, 감지부(132)는 광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광센서는 인쇄매체(P)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 센서(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와, 인쇄매체(P)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수광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는 감지부(132)로 입력된다. 감지부(132)는 상기 출력신호에 의해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불량 노즐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광센서 자체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는 인쇄매체(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프린트 헤드(111)와,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되는 노즐부(112), 및 상기 몸체(110)가 장착되는 캐리지(106)를 구비한다. 캐리지(106)에는 몸체(110)가 카트리지 형태로 장착된다. 노즐부(112)의 입측에는 피딩롤러(115)가, 출측에는 배지롤러(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지만, 몸체(110)에는 잉크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잉크 저장 공간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몸체(110)에는 노즐부(112)의 각 노즐들과 연통되고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예를 들면, 압전 방식의 피에조 소자, 열구동 방식의 히터)이 마련된 챔버와, 몸체(110)에 수용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예를 들면, 오리피스(orifice)), 유로를 통해 유입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는 공통 유로인 매니폴드와, 매니폴드로부터 각각의 챔버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개별 유로인 리스트릭터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챔버, 유로, 매니폴드, 리스트릭터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잉크가 수용되는 잉크 저장 공간은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별도로 설치된 잉크 저장 공간(미도시)에 수용된 잉크는 호스와 같 은 이동수단을 통해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로 공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의 구동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였다. 또한, 도 5에서 참조번호 N1, N2, N3...는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을 의미하며, 노즐부에 구비된 하나의 노즐열(nozzle array)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수단(160)은 잉크 액적(ink droplet)을 분사시키는 분사력(firing force)을 제공하는 것으로, 소정의 주파수(frequency)로 프린트 헤드(111)를 구동시켜 인쇄매체(P)에 화상을 인쇄한다. 구동 수단(160)은 잉크 액적(ink droplet)에 분사력(firing force)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의 종류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그 하나는 히터(heater)를 이용하여 잉크에 버블(bubble)을 발생시켜 그 버블의 팽창력에 의해 잉크 액적을 분사시키는 열구동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그 압전소자의 변형으로 인해 잉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잉크 액적을 분사시키는 압전소자 방식이다. 여기서,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된 각 노즐들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160)의 구동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도 4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린트 헤드(111)는 제1방향(x 방향)으로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대해 제2방향(y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프린트 헤드(111)는 열에너지와 압전소자 등을 잉크 분사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에칭,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의하여 고해상도를 가지도록 제조된다. 프린트 헤드(111) 에는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노즐부(112)가 구비된다. 노즐부(112)는 인쇄매체(P)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거나, 인쇄매체(P)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111)에는 다수 행의 노즐열(112C, 112M, 112Y, 112K)이 형성된 다수의 헤드 칩(head chip)(H)이 장착될 수 있다. 각 헤드 칩(H)에는 각 노즐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거나 각 노즐들을 그룹 단위로 구동시키는 구동회로(112D)가 마련된다. 다수의 헤드 칩(H)이 일렬로 배열되면, 경계 부분인 헤드 칩(H) 사이의 노즐 간격이 동일한 헤드 칩(H) 내에서의 노즐 간격보다 더 이격되어 인쇄매체(P) 상에 잉크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헤드 칩(H)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zigzag)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헤드 칩(H)의 노즐열(112C, 112M, 112Y, 112K) 중 동일한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열은 제2방향(y 방향)으로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노즐열을 배열하면 각 노즐열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도트가 다른 노즐열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도트의 사이에 착탄되어 제2방향(y 방향)으로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헤드 칩(H)으로 구성된 노즐부(112)를 갖는 프린트 헤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노즐부(112)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헤드 칩(H)은 프린트 헤드(111)의 길이, 즉 인쇄매체(P)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에 상응하는 하나의 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노즐열이 제2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프린트 헤드(111)의 노즐부(1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도시된 노즐부(112)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노즐부(112)에 구비된 각 노즐들에는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한 구동 신호와 잉크 분사를 위한 전력, 화상 데이터 등이 전달되는 구동회로(112D)와 케이블(112C)이 연결된다. 케이블(112C)로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유연한 케이블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화상형성시스템은 호스트인 데이터 입력부(135)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25)를 포함한다. 또한, 도 8a는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인쇄한 인쇄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8a의 화상 데이터를 8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인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입력부(135)는 PC(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호스트(host) 시스템을 의미하며,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 페이지 순서대로 입력받는다. 데이터 입력부(135)는 응용 프로그램(210), 그래픽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GDI; graphics device interface)(220),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및 스풀러(250)를 포함한다.
응용프로그램(210)은 화상형성장치(125)를 이용하여 출력이 가능한 오브젝트(object)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기능을 한다. GDI(220)는 호스트 상의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응용프로그램(21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를 받아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에 전달하며,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요청하는 오브젝트에 관한 명령어를 생성한다.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는 컴퓨터 상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화상형성장치(125)가 해석할 수 있는 명령어를 생성한다.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컴퓨터 상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명령어를 생성하는 환경변수를 제공한다. 사용자(user)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모드, 예를 들어 드래프트 모드, 노멀 모드, 고해상도 모드 등과 같은 인쇄모드를 선택한다. 스풀러(Spooler)(250)는 호스트 상의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생성한 명령어를 화상형성장치(125)와 연결된 물리적인 입출력장치(미도시)에 전달한다.
화상형성장치(125)는 비디오 컨트롤러(170), 제어부(130), 및 인쇄환경정보부(136)를 포함한다. 또한, 비디오 컨트롤러(170)는 비휘발성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185), SRAM(미도시), SDRAM(미도시), NOR Flash(미도시), 및 실시간 클록(RTC; real time clock)(190)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170)는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생성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비트맵(bitmap)화 한 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비디오 컨트롤러(170)가 생성한 비트맵을 화상형성장치(125)의 각 구성요소로 전달하여 인쇄매 체(P)에 화상이 형성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25)에서 인쇄가 수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화상형성장치(125)의 마더보드(mother board)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한 라인(line)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며, 인쇄매체(P)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켜 분할된 n개의 그룹이 n개의 라인에 걸쳐 순차적으로 인쇄되도록 인쇄매체 이송부(113, 115, 116, 117)와, 프린트 헤드(111), 및 구동 수단(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71)와, 데이터 분할부(172)와, 프린트 헤드 구동부(173), 인쇄속도 결정부(174), 및 제어신호 생성부(175)를 구비한다.
제어부(130)는 호스트인 데이터 입력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부(171)에 저장시키고, 메모리부(171)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한 라인 분량의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구동시켜 하나의 라인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전력 소모가 매우 크다. 따라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도 8a와 같은 하나의 인쇄 라인을 도 8b와 같이 분할하여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분할부(172)는 메모리부(171)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그룹(G1, G2, G3...)으로 분할한다.
한편, 데이터 분할부(172)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가 노즐 피치의 n배 간격으로 프린트 헤드(111)에서 분사되도록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즉, 첫 번째 그룹(G1)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가 N1, N1+Nn, N1+N2n, N1+N3n... 노즐에 의해 인쇄된다면, 두 번째 그룹(G2)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는 N2, N2+Nn, N2+N2n, N2+N3n...에 의해, 세 번째 그룹(G3)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는 N3, N3+Nn, N3+N2n, N3+N3n... 노즐에 의해 인쇄되도록 화상 데이터가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분할부(172)는 첫 번째 그룹(G1)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는 N1, N9, N17, N25 노즐에 의해 인쇄되고, 두 번째 그룹(G2)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는 N2, N10, N18, N26 노즐에 의해 인쇄되도록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린트 헤드 구동부(173)는 구동 수단(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같은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가 같은 라인에 인쇄되도록 프린트 헤드(111)를 분할 구동시킨다. 즉, 프린트 헤드 구동부(173)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G1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가 첫 번째 라인에 인쇄되고, G2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가 두 번째 라인에 인쇄되도록 프린트 헤드(111)를 분할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한 라인 분량의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n개의 라인에 걸쳐 순차적으로 인쇄하면 프린트 헤드(111)의 구동시 인가되는 순간 최대 소비 전류 및 평균 소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쇄하면 하나의 라인을 인쇄하는데 필요한 화상 데이터가 1/n배로 줄어들게 되므로, 순간 최대 소비 전류 및 평균 소비 전류를 1/n배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 구동부(173)는 n개의 그룹(G1, G2, G3...)으로 분할된 화상 데이터가 복수개의 사선을 이루며 인쇄매체(P)에 착탄되도록 프린트 헤드(111) 를 분할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 구동부(173)는 상기 복수개의 사선이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프린트 헤드(111)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n개의 라인에 걸쳐 사선으로 인쇄하면, 하나의 라인으로 인쇄하는 경우(도 8a 참조)보다 인쇄매체(P)의 이송 방향으로의 해상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도 8b 참조).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그룹(G1, G2, G3...)에서 분사된 잉크가 인쇄매체(P)의 이송 방향으로 Line1, Line2 상에서 1/n로 등분된 위치에 각각 착탄되므로, 인쇄매체(P)의 이송 방향으로의 해상도 향상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 구동부(173)는 프린트 헤드(111)의 구동 주파수를 화상 데이터가 하나의 라인에 인쇄될 때의 프린트 헤드(111)의 구동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프린트 헤드(111)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라인에 해당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G1, G2, G3...)으로 분할하여 인쇄하면 하나의 라인을 인쇄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증가되므로, 프린트 헤드(111)의 주파수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후술하는 인쇄속도 결정부(174)에 의해 인쇄매체(P)를 일반 모드 인쇄시의 이송 속도의 1/n배로 이송시키면 프린트 헤드(111)의 구동 주파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인쇄속도 결정부(174)는 분할된 상기 그룹의 수에 따라 인쇄매체 이송부(113, 115, 116, 117)의 동작을 제어하여 인쇄매체(P)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라인에 분할하여 인쇄한다. 만약, 인쇄매체(P)를 일반 모드 인쇄시의 이송 속도와 동 일한 속도로 이송시키며 인쇄할 경우 인쇄매체(P)의 이송 방향으로의 해상도가 더 저하된다. 따라서, 인쇄매체(P)를 감속시키며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인쇄할 경우, 인쇄 속도 결정부(174)는 인쇄매체(P)를 일반 모드 인쇄시의 이송 속도의 1/n 배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신호 생성부(175)는 데이터 입력부(135)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와, 데이터 분할부(172), 프린트 헤드 구동부(173), 및 인쇄속도 결정부(174)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들을 생성하여 출력하여 인쇄를 수행하게 된다.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는 응용 프로그램(210)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각 인쇄 환경에 해당되는 복수의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된다. 즉,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인쇄 환경에 해당되는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인쇄 환경이란 인쇄 모드, 인쇄 밀도, 해상도, 인쇄매체의 크기, 인쇄매체의 종류, 사용 온도, 사용 습도, 연속 인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입력된 인쇄 환경에 대응되는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 저장된 각각의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프린트 헤드(111), 구동수단(160), 및 인쇄매체 이송부(113, 115, 116, 117)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40)에서 드래프트 모드가 입력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인쇄를 수행하고, 해상도 향상 모드가 입력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인쇄를 수행하면 된다. 이때, 해상도 향상 모드에서는 인쇄매체(P)를 저속으로 이송시키며 화상 데이터를 n 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인쇄함으로써 해상도 향상 효과뿐 아니라 불량 노즐 보상 효과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입력되는 인쇄 환경에 따라 인쇄 방법을 달리하도록 하는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된다.
이하,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Flow chart)와 결부시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Flow chart)이고, 도 10은 하나의 라인에 해당되는 화상 데이터를 2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인쇄한 경우의 인쇄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25)는 데이터 입력부(135)로부터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10 단계). 이때, 사용자(user)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환경을 입력하게 된다(S20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래프트 모드나, 노멀 모드, 해상도 향상 모드와 같은 인쇄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드래프트 모드가 디폴트 모드로 설정될 수도 있고, 해상도 향상 모드가 디폴트 모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인쇄 모드와 같은 인쇄 환경은 사용 환경이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로부터 입력된 인쇄 환경에 따라 이후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다르게 진행된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로부터 입력된 인쇄 환경이 해상도 향상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이후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진행한 다(S30 단계). 해상도 향상 모드가 아닌 경우 입력된 모드로 인쇄 작업이 진행된다(S70 단계). 해상도 향상 모드인 경우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고(S40 단계), 분할된 그룹의 수에 따라 인쇄매체(P)의 이송 속도를 결정하며(S50 단계), 결정된 인쇄매체(P)의 이송 속도에 따라 분할된 n개의 그룹을 n개의 라인에 걸쳐 순차적으로 인쇄하게 된다(S60 단계). 이하,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2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인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해상도 향상 모드의 인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린트 헤드(111)의 수평 해상도(y 방향으로의 해상도)를 1200 dpi라고 가정한다. 프린트 헤드(111)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쇄 출력물의 수평 해상도도 1200 dpi가 된다. 인쇄매체(P)를 10ips(inch per second)의 속도로 이송시킬 때 인쇄매체(P)의 이송 방향으로의 해상도인 수직 해상도가 1200 dpi가 된다고 가정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해상도는 1200 * 1200 dpi가 된다. 또한, 하나의 라인에 해당되는 인쇄 데이터를 12 kHz의 주파수로 프린터 헤드(111)를 구동시켜 인쇄한다.
도 10,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 입력부(135)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부(171)에 저장된다. 데이터 분할부(172)는 메모리부(17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여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2개의 그룹(G1, G2)으로 분할한다. 이때, 데이트 분할부(172)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가 노즐 피치의 2배 간격으로 프린트 헤드에서 분사되도록 화상 데이터를 분할한다. 예를 들어, G1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는 N1, N3, N5... 노즐에서 분사되어 인쇄되 고, G2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는 N2, N4, N6... 노즐에서 분사되어 인쇄된다. 또한, 프린트 헤드 구동부(173)는 같은 그룹(G1, G2)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가 같은 라인에 인쇄되도록 프린트 헤드(111)를 분할 구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화상을 인쇄하면,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인쇄되고, 다른 그룹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들은 인쇄매체(P)가 제1방향으로 이송되므로 복수개의 사선을 이루며 인쇄매체(P)에 인쇄된다. 또한, 프린트 헤드 구동부(173)는 화상 데이터를 한 라인에 인쇄시의 구동 주파수와 동일한 구동 주파수로 프린트 헤드(111)를 구동시키며, 인쇄속도 결정부(174)는 일반 모드 인쇄시의 이송 속도의 1/2배로 인쇄매체(P)를 이송시킨다. 따라서, 수직 해상도는 인쇄매체(P)를 1/2배의 속도로 이송시키며 1200 dpi의 한 라인에 인쇄되는 데이터를 반씩 나누어 인쇄하게 되므로, 2400 dpi 상당의 수직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인쇄 방법을 적용한 인쇄 출력물은 1200 dpi의 수직 해상도를 갖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방법을 적용하면 2400 dpi 상당의 수직 해상도를 구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방법은 인쇄매체(P)를 일반 모드 인쇄시의 이송 속도의 1/2배로 이송시키고, 프린트 헤드(111)는 화상 데이터를 하나의 라인에 인쇄할 때의 주파수인 12 kHz의 구동 주파수로 구동된다. 또한, 첫 번째 라인에는 1/2 배의 크기로 분할된 화상 데이터(G1)가 인쇄된다. 그리고, 다음 라인에는 전 라인에서 인쇄된 데이터 외의 화상 데이터(G2)가 인쇄된다. 이와 같은 인쇄 방법에 의해 인쇄된 인쇄 패턴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쇄하면 한 라인의 인쇄에 필요한 데이터의 크기가 1/2로 줄어들게 되므로 순간 최대 소비 전류(IMC, Instantaneous Maximum Current)가 1/2로 감소되고, 프린트 헤드(111)의 구동 주파수는 도시된 바와 같이 50%의 Duty를 갖는다. 따라서, 순간 최대 소비 전류(IMC)가 25A가 되고, 평균 소비 전류(AC, Average Current)는 25A * 50 % = 12.5A 가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비해 순간 최대 소비 전류 및 평균 소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은 종래 발명과 달리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종래 발명과 동일한 구동 주파수로 인쇄한다. 따라서,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면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함으로써 순간 최대 소비 전류 및 평균 소비 전류를 감소시켜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매체를 느리게 이송시키며 분할된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인쇄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인쇄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
    이송되는 상기 인쇄매체에 대해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
    소정의 주파수로 상기 프린트 헤드를 구동시켜 상기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구동 수단; 및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켜 분할된 상기 n개의 그룹이 n개의 라인에 걸쳐 순차적으로 인쇄되도록 상기 인쇄매체 이송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구동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스트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여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부;
    같은 그룹에 속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같은 라인에 인쇄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분할 구동시키는 프린트 헤드 구동부; 및
    분할된 상기 그룹의 수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 기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키는 인쇄 속도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할부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노즐 피치의 n배 간격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에서 분사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부는,
    상기 n개의 그룹이 복수개의 사선을 이루며 상기 인쇄매체에 착탄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분할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부는,
    상기 복수개의 사선이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분할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 구동부는,
    상기 프린트 헤드의 구동 주파수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한 라인에 인쇄시의 구동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속도 결정부는,
    상기 인쇄매체를 일반 모드 인쇄시의 이송 속도의 1/n 배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9.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에 있어서,
    (a) 한 라인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단계;
    (b) 분할된 상기 그룹의 수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결정된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속도에 따라 분할된 상기 n개의 그룹을 n개의 라인에 걸쳐 순차적으로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같은 라인에 인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같은 그룹에 속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노즐 피치의 n배 간격으로 상기 프린트 헤드에서 분사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그룹이 복수개의 사선을 이루며 상기 인쇄매체에 착탄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분할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사선이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분할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의 구동 주파수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한 라인에 인쇄시의 구동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상기 프린트 헤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매체를 일반 모드 인쇄시의 이송 속도의 1/n 배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1020070032524A 2007-04-02 2007-04-02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20070041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524A KR20070041706A (ko) 2007-04-02 2007-04-02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524A KR20070041706A (ko) 2007-04-02 2007-04-02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114A Division KR100823257B1 (ko) 2005-07-28 2005-07-28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706A true KR20070041706A (ko) 2007-04-19

Family

ID=3817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524A KR20070041706A (ko) 2007-04-02 2007-04-02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17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6123A (zh) * 2020-06-08 2020-10-09 深圳圣德京粤科技有限公司 一种多喷头打印装置及其打印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6123A (zh) * 2020-06-08 2020-10-09 深圳圣德京粤科技有限公司 一种多喷头打印装置及其打印方法
CN111746123B (zh) * 2020-06-08 2024-03-26 深圳圣德京粤科技有限公司 一种多喷头打印装置及其打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257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100644709B1 (ko) 프린트 헤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화상형성장치의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788664B1 (ko) 프린트 헤드와 이를 구비하는 스캐닝 방식 잉크젯화상형성장치, 및 고해상도 구현 방법
EP2085232B1 (en) Printer
KR10075016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0694118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멀티 패스를 이용한 고해상도 구현방법
KR100833232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보상 방법
KR100728000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 보상 방법
KR100727955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고해상도 인쇄 방법
KR100717018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불량 노즐검출 방법
KR20060122180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20070035840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보상 방법
US20070013729A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igh resolution printing method
KR100694120B1 (ko)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화질 향상방법
KR100636243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프린트 헤드의 메인티넌스 방법
KR20060124993A (ko) 스캐닝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084680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10083323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인쇄 방법
KR20070041706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100694136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846808B1 (ko) 스캐닝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0694122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보상 방법
JP3956393B2 (ja) 液滴吐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36242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20070039521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