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231B1 -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231B1
KR100833231B1 KR1020050052039A KR20050052039A KR100833231B1 KR 100833231 B1 KR100833231 B1 KR 100833231B1 KR 1020050052039 A KR1020050052039 A KR 1020050052039A KR 20050052039 A KR20050052039 A KR 20050052039A KR 100833231 B1 KR100833231 B1 KR 10083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rint
unit
print medium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531A (ko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231B1/ko
Priority to US11/453,149 priority patent/US20060284928A1/en
Publication of KR20060131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41J2/155Arrangement thereof for lin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13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for increasing life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5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using several operating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based on heating elements forming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based on piezoelectr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20Modul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 인쇄시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이동시키거나, 각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을 전위시키며 인쇄함으로써 특정 노즐에 부하가 집중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shift printing}
도 1은 특정한 인쇄 양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의 인쇄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프린트 헤드 유니트와 캐리지 이동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프린트 헤드 유니트와 캐리지 이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3은 도 9의 프린트 헤드 유니트와 캐리지 이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편심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의 인쇄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프린트 헤드 유니트 106.......캐리지
108.......가이드 샤프트 110.......몸체
111.......프린트 헤드 112.......노즐부
113.......배지롤러 114.......지지부재
115.......피딩롤러 117.......픽업롤러
130.......제어부 132.......감지부
140.......적재부 142.......캐리지 이동부
160.......구동수단
본 발명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인쇄시 반복 인쇄시마다 서로 다른 노즐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왕복 주행되는 프린트 헤드로부터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이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셔틀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라 한다. 이러한 셔틀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프린트 헤드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된 노즐부가 마련되어 있다.
근래에는 사용자들의 고속 인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사용하여 고속 인쇄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되는 화상형성장치를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라 한다. 이러한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프린트 헤드는 고정되어 있고, 인쇄매체만이 이송된다. 즉, 프린트 헤드가 고정된 상태에서 인쇄매체만이 이송되며 인쇄가 이루어지므로, 프린트 헤드에 구비된 각각의 노즐들은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에 대해 일대일 대응관계를 이루게 된다.
도 1은 특정한 인쇄 양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식의 인쇄물을 반복하여 수십 매 인쇄하는 경우, 프린트 헤드(5)의 특정한 노즐(a1, a2, a3, a4, a5)이 다른 부분의 노즐에 비해 현 저히 많은 양의 잉크를 인쇄매체(P)에 분사해야 한다. 이와 같이 특정한 인쇄물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경우, 특정한 노즐(a1, a2, a3, a4, a5)에 하중이 집중되고, 이로 인해 다른 노즐에 비해 상기 노즐(a1, a2, a3, a4, a5)의 수명이 현저히 감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특정한 양식을 반복하여 인쇄시 일부 노즐에 하중이 집중되고 이로 인해 프린트 헤드의 전체 수명도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인쇄시 특정한 노즐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환경에 따라 적합한 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a)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하는 단계; 및 (b) 반복 인쇄시마다 상기 인쇄매체 상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인쇄 화상을 전위(轉位)시키며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환경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쇄 환경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 상에서 상기 인쇄 화상을 전위(轉位)시키며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b) 단계는, 반복 인쇄시마다 다른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이 상기 인쇄 화상의 동일한 위치에 착탄되도록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b) 단계는, 반복 인쇄시마다 상기 인쇄매체 상에서 상기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 피치의 정수배 만큼씩 상기 인쇄 화상을 전위시키며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 상기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것으로, 제2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 및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 반복 인쇄시마다 상기 인쇄매체 상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인쇄 화상을 전위(轉位)시키며 인쇄하도록 상기 인쇄매체 이송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상기 인쇄 환경에 해당하는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되는 인쇄 환경 정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환경 정보부에 저장된 상기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 상에서 상기 인쇄 화상을 전위(轉位)시키며 인쇄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반복 인쇄시마다 다른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이 상기 인쇄 화상의 동일한 위치에 착탄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반복 인쇄시마다 상기 인쇄매체 상에서 상기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 피치의 정수배 만큼씩 상기 인쇄 화상을 전위시키며 인쇄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a)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하는 단계; (b) 반복 인쇄시마다 상기 프린트 헤드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c) 이동된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동일한 위치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환경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쇄 환경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 피치의 정수배 만큼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프린트 헤드가 이동된 후 다른 노즐 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이 인쇄 화상의 동일한 위치에 착탄되도록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 상기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것으로, 제2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장착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 이동부;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 반복 인쇄시마다 상기 프린트 헤드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인쇄매체의 동일한 위치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매체 이송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캐리지 이동부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상기 인쇄 환경에 해당하는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되는 인쇄 환경 정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환경 정보부에 저장된 상기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 피치의 정수배 만큼씩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린트 헤드가 이동된 후 다른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이 인쇄 화상의 동일한 위치에 착탄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캐리지 이동부는, 캐리지 이동모터; 일측은 상기 캐리지 이동 모터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캐리지 이동롤러; 및 상기 캐리지와 결합되며, 상기 캐리지 이동롤러에 지지되어 상기 캐리지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 이동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캐리지 이동부는, 상기 캐리지에 연결되며 제2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로드; 및 상기 가이드 로드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부는, 기어를 구비하는 구동모터; 상기 기어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주면은 암나사면이 형성된 연결기어; 및 상기 가이드 로드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기어의 암나사면에 치합되는 리드스크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캐리지 이동부는, 압전소자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캐리지 이동부는, 상기 캐리지를 간섭하여 상기 캐리지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절부는, 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리지를 간섭하는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절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캐리지를 원래의 위치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캐리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轉位) 인쇄 방법(Method for image shift printing)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카세트(120)와,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와, 이와 대면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114)와,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32)와, 인쇄매체(P)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와, 인쇄매체(P)가 배지 후 적재되는 적재부(140)를 구비한다. 또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인쇄매체(P)는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다.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후술하는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에 의해 프린트 헤드 (111)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방향인 x 방향은 인쇄매체(P)가 이송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2방향인 y 방향은 인쇄매체(P)의 폭 방향, 즉 프린트 헤드(111)의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직각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는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117)와, 보조롤러(116)와, 피딩롤러(115), 및 배지롤러(113)를 구비한다. 인쇄매체 이송부(117, 116, 115, 113)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131)에 의해 구동되며,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원(131)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픽업롤러(117)는 급지카세트(120)의 일측에 설치되며,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인출한다. 픽업롤러(117)는 인쇄매체(P)의 상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인쇄매체(P)를 급지카세트(120)의 밖으로 이송시킨다.
피딩롤러(115)는 프린트 헤드(111)의 입측에 설치되며, 픽업롤러(117)에 의해 인출된 인쇄매체(P)를 프린트 헤드(111)로 이송시킨다. 피딩롤러(115)는 인쇄매체(P)가 프린트 헤드(111)를 통과하기에 앞서 인쇄매체(P)의 원하는 부분에 잉크가 분사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P)를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피딩롤러(115)는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115A)와, 이에 탄력적으로 맞물리는 아이들롤러(115B)를 포함한다. 픽업롤러(117)와 피딩롤러(115) 사이에는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보조롤러(11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배지롤러(113)는 프린트 헤드(111)의 출측에 설치되며,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를 화상형성장치의 밖으로 배지시킨다.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지된 인쇄매체(P)는 적재부(140)에 적재된다. 배지롤러(113)는 인쇄매체(P)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타휠(113A)과, 이에 대면되어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3B)를 구비한다. 노즐부(112)를 통과하면서 그 상면에 잉크가 분사된 인쇄매체(P)는 잉크에 의하여 젖어서 웨이브가 생길 수 있다. 웨이브가 심해지면 인쇄매체(P)가 노즐부(112) 또는 몸체(110)의 저면에 접촉되어 아직 건조되지 않은 잉크가 번져서 화상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웨이브로 인해 인쇄매체(P)와 노즐부(112)와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스타휠(113A)은 노즐부(112)의 하방으로 이송되는 인쇄매체(P)가 노즐부(112) 또는 몸체(110)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인쇄매체(P)와 노즐부(112)와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분은 노즐부(112)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P)의 상면에 점접촉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타휠(113A)은 인쇄매체(P)의 상면에 점접촉됨으로써 인쇄매체(P)의 상면에 분사되어 아직 마르지 않은 잉크화상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P)를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복수의 스타휠을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스타휠이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스타휠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속으로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인쇄매체(P)가 배지되어 적재부(140)에 적재된 후 상면의 잉크가 마르기 전에 다음 인쇄매체(P)가 배지되어 인쇄 매체(P)의 배면이 오염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건조 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114)는 노즐부(112)와 인쇄매체(P)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프린트 헤드(111)의 하측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한다. 노즐부(112)와 인쇄매체(P)와의 간격은 약 0.5 ∼ 2.5 mm 정도이다.
불량 노즐이란 잉크를 분사하지 못하는 손상된 노즐(missing nozzle)이나 기능이 약화된 노즐(weak nozzle)과 같이, 잉크를 정상적으로 분사하지 못하는 노즐을 의미한다. 즉, 불량 노즐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노즐에서 잉크가 분사되지 않거나, 설계 사양보다 작은 잉크 액적량이 분사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불량 노즐은 프린트 헤드(111)의 제조 공정이나,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중 발생될 수 있다. 제조 공정상에서 발생된 불량 노즐은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된 메모리(미도시)에 별도로 기억된다. 이와 달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중 발생되는 불량 노즐은 감지부(132)에 의해 감지된다. 즉, 감지부(132)는 프린트 헤드(111)에 마련된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부(132)는 인쇄 작업을 시작하기 이전에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132A)와, 인쇄가 진행되는 도중에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132B)를 구비한다. 제1감지부(132A)는 노즐부(112)에 직접 광을 조사하여 노즐 구멍이 막혔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제2감지부(132B)는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광을 조사하여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부(132)의 일 실시예로서, 광센서는 인쇄매체(P)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 센서(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와, 인쇄매체(P)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수광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제2감지부(132B)로 입력된다. 제2감지부(132B)는 상기 출력신호에 의해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불량 노즐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감지부(13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에 의해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광센서 자체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는 인쇄매체(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프린트 헤드(111)와, 프린트 헤드(111)에 마련되는 노즐부(112)를 구비한다. 노즐부(112)의 입측에는 피딩롤러(115)가, 출측에는 배지롤러(1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노즐부(112)에 구비된 각 노즐들에는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한 구동 신호와 잉크 분사를 위한 전력, 인쇄 데이터 등이 전달되는 구동회로(미도시)와 케이블(미도시)이 구비된다. 케이블로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유연한 케이블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였 다. 여기서, 참조번호 N1, N2, N3..., N8은 프린트 헤드에 구비된 노즐을, 참조번호 d는 각 노즐간의 거리인 노즐 피치를 의미한다.
도 3, 도 4 및 도 2를 참조하면, 프린트 헤드(111)는 인쇄매체(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노즐부(112)를 구비하며,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인 x 방향에 대해 y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프린트 헤드(111)는 열에너지나 압전소자 등을 잉크 분사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에칭,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의하여 고해상도를 가지도록 제조된다. 상기 노즐부(112)는 인쇄매체(P)의 폭에 해당되거나, 인쇄매체(P)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는 하나의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프린트 헤드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프린트 헤드는 두 가지 이상의 색상의 잉크를 분사하는 컬러 프린트 헤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프린트 헤드는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동일한 색상의 잉크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각 노즐열에 구비된 각각의 노즐들은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지만, 도 2에 도시된 몸체(110)에는 잉크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잉크 저장 공간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몸체(110)에는 노즐부(112)의 각 노즐들과 연통되고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160, 도 3 및 도 4 참조)(예를 들면, 압전 방식의 피에조 소자, 열구동 방식의 히터)이 마련된 챔버와, 몸체(110)에 수용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예를 들면, 오리피스(orifice)), 유로를 통해 유입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는 공통 유로인 매니폴드와, 매니폴드로부터 각각의 챔버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개별 유로인 리스트릭터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챔버, 유로, 매니폴드, 리스트릭터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프린트 헤드(111)는 몸체 등과 연결된 카트리지 형태로 캐리지(미도시)에 장착될 수도 있다.
구동 수단(160)은 분사력(firing force)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수의 노즐(N1, N2, N3..., N8)을 분할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잉크 액적(ink droplet)에 분사력(firing force)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의 종류에 따라 구동 수단(160)은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그 하나는 히터(heater)를 이용하여 잉크에 버블(bubble)을 발생시켜 그 버블의 팽창력에 의해 잉크 액적을 분사시키는 열구동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압전소자의 변형으로 인해 잉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잉크 액적을 분사시키는 압전소자 방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수단(160)은 다수의 노즐(N1, N2, N3..., N8)을 독립적으로 분할 구동시켜 화상을 인쇄한다. 이때, 노즐부(112)의 분사 동작, 즉 구동수단(160)에 의한 노즐(N1, N2, N3..., N8)의 분사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화상형성시스템은 데이터 입력부(135)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25)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입력부(135)는 PC(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 메라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호스트(host) 시스템을 의미하며,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 페이지 순서대로 입력받는다. 데이터 입력부(135)는 응용 프로그램(210), 그래픽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GDI; graphics device interface)(220),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및 스풀러(250)를 포함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210)은 화상형성장치(125)를 이용하여 출력이 가능한 오브젝트(object)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GDI(220)는 호스트 상의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응용프로그램(21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를 받아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에 전달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요청하는 오브젝트에 관한 명령어를 생성한다.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는 컴퓨터 상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화상형성장치(125)가 해석할 수 있는 명령어를 생성한다.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컴퓨터 상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명령어를 생성하는 환경변수를 제공한다. 스풀러(Spooler)(250)는 호스트 상의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생성한 명령어를 화상형성장치(125)와 연결된 물리적인 입출력장치(미도시)에 전달한다.
화상형성장치(125)는 비디오 컨트롤러(170), 제어부(130), 및 인쇄 환경 정보부(136)를 포함한다. 또한, 비디오 컨트롤러(170)는 비휘발성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185), SRAM(미도시), SDRAM(미도시), NOR Flash(미도시), 및 실시간 클록(RTC; real time clock)(190)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170)는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생성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비트맵(bitmap)화 한 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비디오 컨트롤러(170)가 생성한 비트맵을 화상형성장치(125)의 각 구성요소로 전달하여 인쇄매체(P)에 화상이 형성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25)에서 인쇄가 수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화상형성장치(125)의 마더보드(mother board) 상에 마련되며,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된 노즐부(112)의 분사 동작과, 인쇄매체 이송부(113, 115, 116, 117)의 이송 동작 등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노즐부(112)에서 분사되는 잉크가 인쇄매체(P)의 원하는 부위에 착탄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동기화시킨다. 제어부(130)는 데이터 입력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37)에 저장시키고, 메모리(137)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는 응용 프로그램(210)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각 인쇄 환경에 해당되는 복수의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된다. 즉,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인쇄 환경에 해당되는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인쇄 환경이란 동일한 데이터의 복수 매 연속 인쇄 여부, 인쇄 밀도, 해상도, 인쇄매체의 크기, 인쇄매체의 종류, 사용 온도, 사용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입력된 인쇄 환경에 대응되는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 저장된 각각의 인쇄 환경에 따라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된 노즐부(112), 인쇄매체 이송부(113, 115, 116, 117) 등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동일한 데이터의 복수 매 인쇄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로부터 입력되는 노멀 모드, 드래프트 모드, 및 고화질 모드 등에 따라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화상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인쇄 환경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구동원(131)을 동작시키며, 인쇄매체(P)는 구동원(131)에 의해 구동되는 인쇄매체 이송부(113, 115, 116, 117)에 의해 이송된다. 제어부(130)는 인쇄매체(P)가 노즐부(112)로 진입되는 시점에 맞춰 노즐부(112)를 동작시킨다. 즉, 제어부(130)는 노즐부(11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구동수단(160)은 상기 제어신호들을 받아 노즐부(112)를 동작시켜 인쇄매체(P)에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 저장된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인쇄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130)는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 저장된 인쇄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구동 수단(160)을 제어하여 노즐부(112)를 분할 구동시킨다. 이하,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의 제어부(130)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의 인쇄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는 첫 번째 인쇄시의 잉크 도트이고, ●는 두 번째 인쇄시의 잉크 도트이며, ◆는 세 번째 인쇄시의 잉크 도트이고, ▲는 네 번째 인쇄시의 잉크 도트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의 인쇄 화상이 동일한 인쇄매체에 인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실제로 각 인쇄 화상은 서로 다른 인쇄매체에 인쇄된다. 또한, 참조번호 N1, N2, N3... 는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된 노즐을, 1, 2, 3... 은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도트가 인쇄매체(P)에 착탄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직선을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첫 번째 인쇄시에는 N3 노즐을 이용하여 인쇄하고, 두 번째 인쇄시에는 N1 노즐을, 세 번째 인쇄시는 N6 노즐을, 네 번째 인쇄시는 N8 노즐을 이용하여 인쇄한다. 여기서, 두 번째 인쇄시의 인쇄 패턴은 첫 번째 인쇄시의 인쇄 패턴을 기준으로 인쇄매체 상에서 왼쪽으로 두 노즐 간격만큼 전위(shift)된 위치에 인쇄되고, 세 번째 인쇄시의 인쇄 패턴은 첫 번째 인쇄시의 인쇄 패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세 노즐 간격만큼 전위된 위치에 인쇄되며, 네 번째 인쇄시의 인쇄 패턴은 첫 번째 인쇄시의 인쇄 패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다섯 노즐 간격만큼 전위된 위치에 인쇄된다. 즉, 제어부(130)는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 반복 인쇄시마다 인쇄매체(P) 상에서 인쇄매체(P)의 폭 방향으로 인쇄 화상(printed image)을 전위(轉位, shift)시키며 인쇄하도록 구동수단(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어부(130)는 반복 인쇄시마다 다른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droplet)이 인쇄 화상의 동일한 위치에 착탄되도록 노즐을 전위(shift)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화상을 인쇄할 경우 첫 번째 인쇄시에 잉크 액적(★)을 분사하는 노즐(N3)과, 두 번째 인쇄시에 잉크 액적(●)을 분사하는 노즐(N1)과, 세 번째 인쇄시 에 잉크 액적(◆)을 분사하는 노즐(N6), 및 네 번째 인쇄시에 잉크 액적(▲)을 분사하는 노즐(N8)이 각각 다르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반복 인쇄시의 인쇄 화상(printed image)은 인쇄매체(P) 상에서 노즐 피치(d)의 정수배 만큼씩 전위(shift)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 저장된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인쇄매체(P) 상에서 인쇄 화상을 전위(shift)시키며 인쇄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 노즐을 전위(shift)시키며 인쇄하다보면 인쇄매체(P)의 외부에 잉크 액적이 분사될 수 있다. 이는 인쇄 품질 및 화상형성장치의 수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도 5 참조)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인쇄 환경에 따라 노즐의 전위(shift) 정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130)는 인쇄 환경 정보부(136, 도 5 참조)에 저장된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인쇄매체(P) 상에서 인쇄 화상을 전위(shift)시키며 인쇄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노즐의 전위(shift) 정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 환경 정보부(136, 도 5 참조)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도 5 참조)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1200 dpi(dots per inch)의 해상도를 갖는 프린트 헤드일 경우 각 노즐간의 거리인 노즐 피치(d)는 1/1200˝(inch)이다.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인쇄시, 인쇄 화상을 10개의 노즐 폭 내에서 전위시킨다고 하더라도 인쇄 화상이 전위되는 정도는 1/120˝(inch), 즉 0.21 mm 정도에 불과하다. 일반적으로 문서를 인쇄시 5 ∼ 15 mm 정도 의 여백을 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노즐을 전위시키며 인쇄하더라도 인쇄매체(P)의 밖으로 잉크가 분사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여백이란 인쇄매체(P)의 외곽으로부터 인쇄 화상(printed image)까지는 거리를 의미한다. 다만, 인쇄 화상이 인쇄매체(P)의 폭 방향으로 전위되는 정도가 소정 크기 이상이 되면,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일정 매수 인쇄한 후, 인쇄 화상을 최초 인쇄시의 위치로 전위시켜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설정된 최대 전위량을 초과하면 인쇄 화상을 최초 인쇄시의 위치로 전위시켜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일한 데이터를 어느 정도 반복하여 인쇄한 후 초기 위치로 되돌릴 것인가는 제어부(130, 도 5 참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도 5 참조)에 입력되는 인쇄 환경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을 전위시키며 인쇄하면, 전위한 횟수만큼 노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노멀 모드나 드래프트 모드와 같은 인쇄모드와 달리, 사진을 인쇄하는 경우와 같이 고화질 모드로 인쇄시에는 여백 없이 인쇄매체(P)의 전 영역이 인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하는 경우라도 노즐을 전위(shift)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인쇄 환경에 따라 노즐을 전위시키며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입력되는 다양한 인쇄 환경에 따라 인쇄 화상을 전위시키며 인쇄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과,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인쇄할 것인지 여부(S5)에 따라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달리한다.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인쇄하지 않는다면 인쇄매체(P)에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하면 된다(S10).
한편,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인쇄하는 경우, 반복 인쇄시마다 인쇄매체(P) 상에서 인쇄매체(P)의 폭 방향으로 인쇄 화상(printed image)을 전위(轉位, shift)시키며 인쇄한다. 즉, 본 발명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 인쇄시마다 다른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droplet)이 인쇄 화상의 동일한 위치에 착탄되도록 노즐을 전위(shift)시키며 인쇄한다. 이때, 반복 인쇄시의 인쇄 화상(printed image)은 인쇄매체(P) 상에서 노즐 피치(d)의 정수배 만큼씩 전위(shift)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환경을 입력받는 단계(S15)를 더 포함하며, 입력된 인쇄 환경에 따라 인쇄 화상(printed image)을 전위시키며 인쇄한다. 입력받는 인쇄 환경으로는 화상 전위(image shift) 허용 노즐 수(K)나, 반복 인쇄 횟수(n)나, 인쇄 모드 등이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n회 인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노즐을 전위(shift)시키며 인쇄하다보면 인쇄매체(P)의 외부에 잉크 액적이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인쇄 환경에 따 라 노즐의 전위(shift) 정도인 화상 전위 허용 노즐 수(K)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 저장된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화상 전위 허용 노즐 수(K) 내에서 인쇄 화상을 전위(shift)시키며 인쇄한다. 1회 인쇄시(S25) N과 M에는 0이 입력된다(S20). M 값이 화상 전위 허용 노즐 수(K)보다 작으면(S30) N과 M에는 1이 입력되고(S45), 노즐은 인쇄매체(P) 상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printed image)을 전위시키기 위해 전위된다(S5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인쇄 화상을 전위시키게 된다. 이때, 과정이 반복되면서 N과, M 값은 1씩 증가된다. 여기서, M 값이 화상 전위 허용 노즐 수(K)와 같아지면, 1회 인쇄시의 인쇄 화상과 같은 위치에 인쇄하기 위해 M 값에는 0이 입력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일정 매수 인쇄한 후, 인쇄 화상을 최초 인쇄시의 위치로 전위시켜 인쇄한다. 즉, 설정된 최대 전위량(K)을 초과하면 인쇄 화상을 최초 인쇄시의 위치로 전위시켜 인쇄한다. 여기서, 동일한 데이터를 어느 정도 인쇄한 후 초기 위치로 되돌릴 것인가는 제어부(130)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40)에 입력되는 인쇄 환경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N 값이 n 값과 같아지면(S40) 인쇄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복 인쇄시마다 M개 노즐수만큼 노즐을 전위시키며(S50) 인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노즐을 전위시키는 방법으로 처음의 노즐의 위치를 기준으로 -1, +1, -2, +2, -3, +3... 과 같이 노즐을 대칭되게 전위시키며 인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노멀 모드나 드래프트 모드와 같은 인쇄모드와 달리, 사진을 인쇄하는 경우와 같이 고화질 모드로 인쇄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하는 경우라도 노즐을 전위(shift)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되는 다양한 인쇄 환경에 따라 인쇄 화상을 전위시키며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프린트 헤드 유니트와 캐리지 이동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프린트 헤드 유니트와 캐리지 이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9의 프린트 헤드 유니트와 캐리지 이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편심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이 비슷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였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카세트(120)와,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와, 이와 대면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114)와,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 이동부(142)와, 인쇄매체(P)를 부주사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113, 115, 116, 117)와, 인쇄매체(P)가 배지 후 적재되는 적재부(140)를 구비한다. 또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저면에 마련되는 프린 트 헤드(111)와,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되는 노즐부(112), 및 상기 몸체(110)가 장착되는 캐리지(106)를 구비한다. 캐리지(106)에는 프린트 헤드(111)가 구비된 몸체(110)가 카트리지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캐리지(106)는 후술하는 캐리지 이동부(142)에 의해 제2방향(y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프린트 헤드(111)는 제2방향(y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정지된 상태에서 인쇄매체(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06)에는 몸체(110)가 장착된다. 프린트 헤드(111)는 몸체(110) 등과 연결된 카트리지 형태로 상기 캐리지(106)에 장착된다. 캐리지 이동부(142)는 상기 캐리지(106)를 제2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캐리지 이동모터(144)와, 캐리지 이동롤러(143a, 143b)와, 캐리지 이동벨트(145)를 포함한다. 캐리지 이동모터(144)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캐리지 이동롤러(143a, 143b)의 일측(143b)은 캐리지 이동모터(144)에 연결되고 타측(143a)은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된다. 캐리지 이동벨트(145)는 상기 캐리지 이동롤러(143a, 143b)에 지지되어 무한궤도상을 주행한다. 캐리지 이동벨트(145)에는 캐리지(106)가 결합된다. 캐리지(106)는 후술하는 제어부(130)에서 캐리지 이동모터(144)로 보내지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캐리지(106)의 이동은 가이드 샤프트(108)에 의해 가이드된다. 즉, 가이드 샤프트(108)는 상기 캐리지 이동모터(144)에 의해 구동되는 캐리지(106)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캐리지(106)의 일측에는 가이드 샤프트(108)가 삽입되는 결합부(107)가 마련된다. 결합부(107)는 캐리지(106)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된 다. 가이드 샤프트(108)는 중공 형상의 결합부(107)에 삽입되어 캐리지(106)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이동부(142)는 캐리지(106)에 연결되며 제2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로드(152)와, 상기 가이드 로드(152)를 제2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150)를 구비한다. 가이드 로드(152)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연결기어(155)의 암나사면에 치합되는 리드 스크류(lead screw)(159)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구동부(150)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고정된 프레임(151)과, 내주면(156)에 리드 스크류(159)의 나사면과 치합하는 암나사면이 형성되고 외주면(157)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연결기어(155)와, 상기 프레임(151)에 고정된 구동모터(160)를 구비한다. 구동모터(160)는 연결기어(155)와 치합하여 상기 연결기어(155)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162)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160)에 연동되는 기어(162)가 정,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기어(162)에 치합되는 연결기어(155)가 회전되고, 연결기어(155)의 내주면(156)에 치합되는 리드 스크류(159)에 동력이 전달되어 가이드 로드(152)가 제2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 로드(152)에 결합된 캐리지(106)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로서, 캐리지 이동부(142)로는 광 미러(optical mirror)와 같은 정밀 소자를 구동하는데 이용되는 압전소자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으나, 압전소자는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소자로, 위치 정밀도가 수 ㎛에 이르고 또한 높은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캐리지 이동부(142)로 압전소자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면 보다 정밀하게 캐리지(106)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이동부(142)는 캐리지(106)를 간섭하여 제2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캐리지 이동부(142)는 조절부(175)와, 바이어스부(195)를 구비한다. 조절부(175)는 캐리지(106)를 간섭하여 캐리지(106)를 제2방향(y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조절부(175)는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캐리지(106)를 간섭하는 편심캠(175)과, 편심캠(175)을 회전시키는 구동원(179)을 구비한다. 편심캠(175)은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부(178)와, 캐리지(106)를 간섭하는 간섭부(176)로 구성된다. 회전부(178)는 본체 프레임(미도시)에 마련된 결합공(미도시)에 삽입되어 일점(17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178)는 후술하는 구동원(179)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기어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178)의 회전시 캐리지(106)를 간섭하여 캐리지(106)를 제2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간섭부(176)는 회전부(178)에 대해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달리 간섭부(176)는 타원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구동원(179)은 편심캠(175)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원(179)으로는 정밀한 위치 제어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주로 이용되는 압전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압전소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이어스부(195)는 조절부(175)에 의해 이동된 캐리지(106)를 원래의 위치로 바이어스시킨다. 즉, 바이어스부(195)는 캐리지(106)를 상기 조절부(175)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바이어스부(195)는 본체 프레임(197)과 캐리지(106) 사이 에 설치되어 캐리지(106)를 원래의 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9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캐리지(106)는 조절부(175)와 바이어스부(195)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도 15는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의 인쇄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는 첫 번째 인쇄시의 잉크 도트이고, ●는 두 번째 인쇄시의 잉크 도트이며, ◆는 세 번째 인쇄시의 잉크 도트이고, ▲는 네 번째 인쇄시의 잉크 도트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의 인쇄 화상이 동일한 인쇄매체에 인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실제로 각 인쇄 화상은 서로 다른 인쇄매체에 인쇄된다. 또한, 참조번호 N1, N2, N3... 는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된 노즐을, 1st, 2nd, 3rd, 4th는 반복 인쇄시의 프린트 헤드(111)의 위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직선을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5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 반복 인쇄시마다 프린트 헤드(111)를 제2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인쇄매체(P)의 동일한 위치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인쇄매체 이송부(113, 115, 116, 117)와, 프린트 헤드(111), 및 캐리지 이동부(142)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인쇄시에는 N3 노즐을 이용하여 인쇄하고, 두 번째 인쇄시에는 N1 노즐을, 세 번째 인쇄시는 N5 노즐을, 네 번째 인쇄시는 N7 노즐을 이용하여 인쇄한다. 즉,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 반복 인쇄시마다 프린트 헤드(111)를 이동시키며 인쇄한다. 즉, 제어부(130)는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 반복 인쇄시마다 인쇄매체(P)의 동일한 위치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프린트 헤드(111) 및 구동수단(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반복 인쇄시마다 프린트 헤드(111)가 이동된 후 다른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droplet)이 인쇄 화상의 동일한 위치에 착탄되도록 프린트 헤드(111)를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화상을 형성할 경우 제어부(130)는 첫 번째 인쇄시 노즐(N3)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과, 두 번째 인쇄시 노즐(N1)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과, 세 번째 인쇄시 노즐(N5)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과, 네 번째 인쇄시 노즐(N7)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이 인쇄매체(P)의 동일한 위치에 착탄되도록 프린트 헤드(111)와 구동수단(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프린트 헤드(111)를 노즐부(112)에 구비된 노즐 피치(d)의 정수배 만큼씩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부(130)는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 저장된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프린트 헤드(111)를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프린트 헤드(111)를 이동시키는 이유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노즐을 전위(shift)시키며 인쇄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헤드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인쇄 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은 차이점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슷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a)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하는 단계와, (b) 반복 인쇄시마다 프린트 헤드를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c) 이동된 프린트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동일한 위치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b) 단계는 프린트 헤드를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 피치의 정수배 만큼씩 이동시키며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b) 단계는, 입력되는 인쇄 환경에 따라 프린트 헤드를 이동시키며 인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프린트 헤드가 이동된 후 다른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이 인쇄 화상의 동일한 위치에 착탄되도록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 인쇄시 노즐 또는 프린트 헤드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인쇄함으로써 반복 인쇄시마다 다른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을 이용하여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은 종래 발명과 달리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인쇄시 특정 노즐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프린트 헤드의 수명 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환경에 적합한 방법으로 화상을 인쇄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특정 패턴의 인쇄물을 수 십장 또는 수 백장 인쇄하는 사무실이나 관청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인쇄 환경에 따라 노즐이나 프린트 헤드의 이동 크기를 달리 적용함으로써 각 인쇄 환경에 따라 최적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28)

  1. 적어도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하는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인쇄매체 상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이 전위 허용 범위 이내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전위(轉位)되어 인쇄됨으로써 각 노즐의 누적 분사 시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환경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 환경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 상에서 상기 인쇄 화상을 전위(轉位)시키며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각 전위 동작시, 다른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이 상기 인쇄매체의 전위 허용 범위 이내에 착탄되도록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허용 범위는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인쇄매체의 여백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반복 인쇄시마다 상기 각 인쇄매체 상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이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전위(轉位)되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반복 인쇄시마다 상기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 피치의 정수배 만큼씩 상기 인쇄 화상이 상기 인쇄매체 상에서 전위되며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7. 인쇄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
    적어도 상기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것으로, 제2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 및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 상기 각 인쇄매체 상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이 전위 허용 범위 이내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전위(轉位)되어 인쇄되도록 상기 인쇄매체 이송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각 노즐의 누적 분사 시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상기 인쇄 환경에 해당하는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되는 인쇄 환경 정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환경 정보부에 저장된 상기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화상을 전위(轉位)시키며 인쇄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전위 동작시, 다른 노즐에서 분사되는 잉크 액적이 상기 인쇄매체의 전위 허용 범위 이내에 착탄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허용 범위는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인쇄매체의 여백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반복 인쇄시마다 상기 각 인쇄매체 상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이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전위(轉位)되어 인쇄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반복 인쇄시마다 상기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 피치의 정수배 만큼씩 상기 인쇄 화상이 상기 인쇄매체 상에서 전위되며 인쇄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3. 적어도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하는 인쇄 방법에 있어서,
    (a) 반복 인쇄시 적어도 한 번 이상 상기 프린트 헤드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b) 이동된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전위 허용 범위 이내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환경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인쇄 환경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 피치의 정수배 만큼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허용 범위는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인쇄매체의 여백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 인쇄 방법.
  17. 인쇄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
    적어도 상기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것으로, 제2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장착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 이동부; 및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복수 매 인쇄시, 적어도 한 번 이상 상기 프린트 헤드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인쇄매체의 전위 허용 범위 이내에 화상이 인쇄되도록 상기 인쇄매체 이송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캐리지 이동부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상기 인쇄 환경에 해당하는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되는 인쇄 환경 정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환경 정보부에 저장된 상기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노즐부에 구비된 노즐 피치의 정수배 만큼씩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 허용 범위는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인쇄매체의 여백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이동부는,
    캐리지 이동모터;
    일측은 상기 캐리지 이동 모터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캐리지 이동롤러; 및
    상기 캐리지와 결합되며, 상기 캐리지 이동롤러에 지지되어 상기 캐리지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 이동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이동부는,
    상기 캐리지에 연결되며 제2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로드; 및
    상기 가이드 로드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기어를 구비하는 구동모터;
    상기 기어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주면은 암나사면이 형성된 연결기어; 및
    상기 가이드 로드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기어의 암나사면에 치합되는 리드스크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이동부는,
    압전소자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이동부는,
    상기 캐리지를 간섭하여 상기 캐리지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리지를 간섭하는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캐리지를 원래의 위치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캐리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52039A 2005-06-16 2005-06-16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인쇄 방법 KR100833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39A KR100833231B1 (ko) 2005-06-16 2005-06-16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인쇄 방법
US11/453,149 US20060284928A1 (en) 2005-06-16 2006-06-15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shift prin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39A KR100833231B1 (ko) 2005-06-16 2005-06-16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인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31A KR20060131531A (ko) 2006-12-20
KR100833231B1 true KR100833231B1 (ko) 2008-05-28

Family

ID=3757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039A KR100833231B1 (ko) 2005-06-16 2005-06-16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인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84928A1 (ko)
KR (1) KR1008332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0793D0 (en) * 2008-01-16 2008-02-27 Sun Chemical Bv An ink jet printer and an ink jet printing process
US9880795B2 (en) * 2012-12-04 2018-01-30 Canon Finetech Nisca, Inc. Recording system,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that shift range of recording elements
JP6485039B2 (ja) * 2014-12-26 2019-03-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5248A (ja) * 1990-09-05 1992-04-16 Minolta Camera Co Ltd 光プリンタ
JPH11245396A (ja) * 1998-01-08 1999-09-14 Xerox Corp 液体インクプリンタ及び画像プリン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2808B1 (en) * 1999-08-30 2006-01-03 Stamps.Com Virtualized printing of indicia, logos and graphics
US7035578B1 (en) * 2003-03-28 2006-04-25 Eastman Kodak Company Image shifting in a digital printer to reduce image artifacts
US7192115B2 (en) * 2003-09-24 2007-03-20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cor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5248A (ja) * 1990-09-05 1992-04-16 Minolta Camera Co Ltd 光プリンタ
JPH11245396A (ja) * 1998-01-08 1999-09-14 Xerox Corp 液体インクプリンタ及び画像プリン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31A (ko) 2006-12-20
US20060284928A1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257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100694118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멀티 패스를 이용한 고해상도 구현방법
KR100788664B1 (ko) 프린트 헤드와 이를 구비하는 스캐닝 방식 잉크젯화상형성장치, 및 고해상도 구현 방법
US740725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mpensate for defective nozzle of inkjet image forming device
KR20070095465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고품질인쇄 방법
KR100727955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고해상도 인쇄 방법
KR100612026B1 (ko) 잉크젯 헤드와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노즐 보상 방법
KR100644709B1 (ko) 프린트 헤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화상형성장치의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728000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 보상 방법
KR20060122180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US20070013729A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igh resolution printing method
KR10083323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인쇄 방법
KR100636243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프린트 헤드의 메인티넌스 방법
KR100694120B1 (ko)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화질 향상방법
US7559618B2 (en) Scanning type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4680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100694136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846808B1 (ko) 스캐닝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20070041706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100694122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보상 방법
KR20070039521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319

Effective date: 20080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