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180A -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180A
KR20060122180A KR1020050044228A KR20050044228A KR20060122180A KR 20060122180 A KR20060122180 A KR 20060122180A KR 1020050044228 A KR1020050044228 A KR 1020050044228A KR 20050044228 A KR20050044228 A KR 20050044228A KR 20060122180 A KR20060122180 A KR 20060122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unit
print
print medium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화
마사히코 하부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2180A/ko
Priority to US11/362,715 priority patent/US20060268035A1/en
Priority to CNA2006100845643A priority patent/CN1868744A/zh
Priority to JP2006145919A priority patent/JP2006327201A/ja
Publication of KR20060122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41J2/155Arrangement thereof for lin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32Print quality control characterised by dot disposition, e.g. for reducing white stripes or banding
    • B41J2/2139Compensation for malfunctioning nozzles creating dot place or dot size e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트 헤드가 장착되는 캐리지; 캐리지를 제2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캐리지 이송부;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잉크가 인쇄매체의 원하는 부위에 착탄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 이송부와, 프린트 헤드와, 캐리지 이송부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은 인쇄 환경을 입력받는 단계; 감지부에 의해 노즐부의 불량 노즐을 감지하는 단계; 프린트 헤드를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며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불량 노즐에 의한 화질 불량을 인쇄매체 상의 여러 위치에 분산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인지되는 흰 선(white line)과 같은 인쇄 불량을 보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missing nozzle}
도 1은 종래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노즐부가 손상된 경우의 인쇄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손상된 노즐부를 보상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일 예에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 유니트와 캐리지 이송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프린트 헤드 유니트와 캐리지 이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노즐 보상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솔리드 패턴(solid pattern)으로 인쇄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불량 노즐 보상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프린트 헤드 유니트 106.......캐리지
108......가이드부 110.......몸체
111......프린트 헤드 112.......노즐부
112A.....제1노즐부 112B......제2노즐부
113......배지롤러 114.......지지부재
115......피딩롤러 117.......픽업롤러
130.......제어부 132......감지부
140.......적재부 160......캐리지 이송부
본 발명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 불량이나 기능이 약화된 불량 노즐에 의해 발생되는 화질 저하를 보상할 수 있는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page width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왕 복 주행되는 프린트 헤드로부터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이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셔틀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라 한다. 이러한 셔틀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프린트 헤드에는 잉크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된 노즐부가 마련되어 있다.
근래에는 사용자들의 고속 인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사용하여 고속 인쇄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되는 화상형성장치를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page width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라 한다. 종래의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프린트 헤드는 고정되어 있고, 인쇄매체만이 이송된다. 즉, 프린트 헤드가 고정된 상태에서 인쇄매체만이 이송되며 인쇄가 이루어지므로, 프린트 헤드에 구비된 각각의 노즐들은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에 대해 일대일 대응관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배치된 노즐들 중 어느 하나의 노즐이 손상되면 인쇄매체에는 흰 선(white line)과 같은 미싱 라인(missing line)이 나타난다.
도 1은 종래의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노즐부가 손상된 경우의 인쇄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손상된 노즐부를 보상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노즐부(80)에 구비된 노즐(82)에서 분사되는 잉크(I)가 인쇄매체에 착탄되어 잉크 화상을 형성한다. 종래의 노즐부 (80)는 인쇄매체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일부 노즐(84)이 손상된 경우 손상된 노즐(84, missing nozzle)에서는 잉크(I)가 분사되지 않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저한 미싱 라인(missing line)이 인쇄매체에 나타난다. 즉, 복수의 노즐(82) 중 일부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노즐(84)에 해당되는 인쇄매체의 부분에는 잉크가 분사되지 않으므로 흰 선(white line)과 같은 미싱 라인이 나타난다. 이러한 인쇄 불량은 인쇄 밀도가 낮은 화상(image)을 인쇄할 때는 큰 문제가 없으나, 솔리드 패턴(solid pattern)이나 인쇄 밀도가 높은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으로 흰 선이 나타나므로 인쇄 화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상기와 같이 손상된 노즐(missing nozzle)에 의한 화질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 셔틀방식의 경우 캐리지를 여러 번 왕복시켜 겹쳐 인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슁글링 방법(shingling method)으로 알려져 있다. 라인 프린팅 방식에서는 프린트 헤드가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왕복이동하지 않는다. 즉, 인쇄시 특정한 시점에 하나의 노즐이 인쇄하여야 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만약 상기 노즐이 특정한 시점에 인쇄하지 않거나 고장을 일으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되지 않는 영역의 연속선(white line)이 발생하여 화질이 열화된다. 이와 같이 손상된 노즐에 의한 화질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이 미국특허 US5581284에 개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도면은 미국특허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이다.
미국특허 US5581284에는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서 불량 노 즐, 즉 인쇄하지 않는 노즐이 발생할 때 이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불량 노즐이란 잉크를 분사하지 못하는 손상된 노즐(missing nozzle)이나 기능이 약화된 노즐(weak nozzle)과 같이 정상적으로 잉크를 분사하지 않는 노즐을 의미한다. 개시된 발명은 모노, 즉 블랙의 불량 노즐(63, 도 2a)을 감지하여 이 노즐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다른 색상, 즉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를 상기 불량 노즐이 인쇄하여야 할 영역에 순차적으로 인쇄한다. 이 과정이 도 2b, 도 2c, 도 2d에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가 같은 장소에 인쇄되면 검은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프로세스 블랙(process black) 또는 혼성 블랙(composite black)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블랙 색상의 보상에는 유용하지만, 다른 색상의 보상은 불가능하다. 또한, 블랙 색상만의 인쇄를 수행할 때는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의 노즐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이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블랙을 형성할 수 있지만, 복합적인 색상을 가진 화상을 인쇄할 때, 즉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색상의 노즐이 작동 중인 때에는 보상을 할 수 없다. 또한, 보상하는 노즐 중 어느 하나의 노즐이 손상된 경우 프로세스 블랙(process black)과 대비되는 색상인 레드(옐로우 + 마젠타)나, 그린(시안 + 옐로우), 블루(시안 + 마젠타) 등의 다른 색상으로 보상이 되므로 인쇄 화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불량 노즐이 발생시 사용자의 눈에 쉽게 띄는 흰 선과 같은 인쇄 불량이 발생된다. 이러한 인쇄 불량은 고속 인쇄뿐 아니라 고화질화를 추구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 큰 문제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상하여 화질을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잉크를 분사하지 못하는 노즐 또는 기능이 약화된 노즐인 불량 노즐에 의한 화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발명(US5581284)에서의 제약 조건(블랙 색상만 보상)을 극복하여 불량 노즐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 상기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것으로, 제2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장착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제2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캐리지 이송부;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잉크가 상기 인쇄매체의 원하는 부위에 착탄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매체 이송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캐리지 이송부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노즐부의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 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각 인쇄 환경에 해당하는 복수의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되는 인쇄 환경 정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환경 정보부에 저장된 인쇄 환경 정보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불량 노즐 정보에 따라 상기 캐리지의 왕복이동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환경은, 인쇄 밀도, 해상도, 인쇄매체의 크기, 인쇄매체의 종류, 사용 온도, 사용 습도, 연속 인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캐리지 이송부는, 상기 캐리지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캐리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를 왕복이동시키는 압전소자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캐리지에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캐리지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리지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즐부에는 크고 작은 두 개의 노즐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은: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a) 인쇄 환경을 입력받는 단계; (b) 감지부에 의해 상기 노즐부의 불량 노즐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프린트 헤드를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며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환경은, 인쇄 밀도, 해상도, 인쇄매체의 크기, 인쇄매체의 종류, 사용 온도, 사용 습도, 연속 인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노즐 보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인쇄하고자 하는 영역이 불량 노즐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인쇄하고자 하는 영역이 불량 노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정상적으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인쇄하고자 하는 영역이 불량 노즐을 포함하는 경우 인쇄 환경 정보부에 저장된 인쇄 환경에 해당하는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왕복이동 크기를 조절하며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은: 인쇄매체의 원하는 부위에 잉크가 착탄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 이송부에 의한 인쇄매체 이송 동작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잉크 분사 동작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왕복이동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즐부에는 크고 작은 두 개의 노즐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와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page width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일 예에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헤드 유니트와 캐리지 이송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프린트 헤드 유니트와 캐리지 이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카세트(120)와, 픽업롤러(117)와,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와, 이와 대면되게 위치되는 지지부재(114)와, 인쇄매체(P)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117, 115, 113)와, 인쇄매체(P)가 배지 후 적재되는 적재부(140)를 구비한다.
인쇄매체(P)는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다.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 매체(P)는 후술하는 인쇄매체 이송부(117, 115, 113)에 의해 프린트 헤드(111)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매체(P)는 제1방향인 x 방향으로 이송되며, 제2방향인 y 방향은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을 의미한다.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수직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인쇄매체 이송부(117, 115, 113)는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117)와, 피딩롤러(115), 및 배지롤러(113)를 구비한다. 인쇄매체 이송부(117, 115, 113)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131)에 의해 구동되며,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원(131)의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픽업롤러(117)는 급지카세트(120)의 일측에 설치되며, 급지카세트(12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인출한다. 픽업롤러(117)는 인쇄매체(P)의 상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인쇄매체(P)를 급지카세트(120)의 밖으로 이송시킨다.
피딩롤러(115)는 프린트 헤드(111)의 입측에 설치되며, 픽업롤러(117)에 의해 인출된 인쇄매체(P)를 프린트 헤드(111)로 이송시킨다. 피딩롤러(115)는 인쇄매체(P)가 프린트 헤드(111)를 통과하기에 앞서 인쇄매체(P)의 원하는 부분에 잉크가 분사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P)를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피딩롤러(115)는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115A)와, 이에 탄력적으로 맞물리는 아이들롤러(115B)로 구성된다. 픽업롤러(117)와 피딩롤러(115) 사이에는 인쇄매체(P)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보조롤러(11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배지롤러(113)는 프린트 헤드(111)의 출측에 설치되며,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를 화상형성장치의 밖으로 배지시킨다. 화상형성장치에서 배지된 인쇄매체(P)는 적재부(140)에 적재된다. 배지롤러(113)는 인쇄매체(P)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타휠(113A)과, 이에 대면되어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3B)를 구비한다. 노즐부(112)를 통과하면서 그 상면에 잉크가 분사된 인쇄매체(P)는 잉크에 의하여 젖어서 웨이브가 생길 수 있다. 웨이브가 심해지면 인쇄매체(P)가 노즐부(112) 또는 몸체(110)의 저면에 접촉되어 아직 건조되지 않은 잉크가 번져서 화상이 오염될 수 있다. 또, 웨이브로 인해 인쇄매체(P)와 노즐부(112)와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스타휠(113A)은 노즐부(112)의 하방으로 이송되는 인쇄매체(P)가 노즐부(112) 또는 몸체(110)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인쇄매체(P)와 노즐부(112)와의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분은 노즐부(112)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P)의 상면에 점접촉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타휠(113A)은 인쇄매체(P)의 상면에 점접촉됨으로써 인쇄매체(P)의 상면에 분사되어 아직 마르지 않은 잉크화상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P)를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복수의 스타휠을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스타휠이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스타휠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속으로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인쇄매체(P)가 배지되어 적재부(140)에 적재된 후 상면의 잉크가 마르기 전에 다음 인쇄매체(P)가 배지되어 인쇄 매체(P)의 배면이 오염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건조 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114)는 노즐부(112)와 인쇄매체(P)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프린트 헤드(111)의 하방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한다. 노즐부(112)와 인쇄매체(P)와의 간격은 약 0.5 ∼ 2.5 mm 정도이다.
프린트 헤드 유니트(105)는 인쇄매체(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몸체(110)와, 몸체(110)의 저면에 마련되는 프린트 헤드(111)와,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되는 노즐부(112), 및 상기 몸체(110)가 장착되는 캐리지(106)를 포함한다. 캐리지(106)에는 프린트 헤드(111)가 구비된 몸체(110)가 장착된다. 노즐부(112)의 입측에는 피딩롤러(115)가, 출측에는 배지롤러(113)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프린트 헤드(111)는 노즐부(112)를 구비한다. 프린트 헤드(111)는 열에너지나 압전소자 등을 잉크 분사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에칭,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의하여 고해상도를 가지도록 제조된다. 또한, 노즐부(112)에는 인쇄매체(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다수의 노즐열(nozzle array)이 마련된다. 상기 노즐부(112)는 인쇄매체(P)의 폭에 해당되거나 인쇄매체(P)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에 대해 제2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프린트 헤드(111)는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인 제1방향에 대해 제2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프린트 헤드(111)는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노즐부(112)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노즐을 갖는 제1노즐열(112A)와 제2노즐열(112B)을 구비하며, 상기 제1노즐열(112A)과 제2노즐열(112B)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노즐열(112A)과 제2노즐열(112B)은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의해 분사 동작이 제어된다. 제1노즐열(112A)과 제2노즐열(112B)에는 크고 작은 두 개의 노즐(112L, 112S)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노즐열(112A)과 제2노즐열(112B)의 노즐 각각은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평행하게 배치된 각각의 노즐은 크기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노즐열(112A)의 큰 노즐(112L)과 제2노즐열(112B)의 작은 노즐(112S), 제1노즐열(112A)의 작은 노즐(112S)과 제2노즐열(112B)의 큰 노즐(112L)이 제1방향으로 1:1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전체적으로는 바둑판 모양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노즐을 배치하면, 제1노즐열(112A)에 불량 노즐이 발생된 경우 제2노즐열(112B)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보상(offset)할 수 있다. 또한, 제2노즐열(112B)에 불량 노즐이 발생된 경우 제1노즐열(112A)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노즐열(112A)과 제2노즐열(112B)의 노즐 각각이 제1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었지만, 이와 달리 각각의 노즐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a에는 각 노즐들이 하나의 연속된 열(array)로 배치되었지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즐들이 다수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그룹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b에서 112C는 시안(cyan) 색상을, 112M은 마젠타(magenta) 색상을, 112Y는 옐로우(yellow) 색상을, 112K는 블랙(black) 색상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노즐열(112A)과 제2노즐열 (112B)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례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110)에는 잉크가 수용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몸체(110)에는 노즐부(112)의 각 노즐들과 연통되고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분사수단(예를 들면, 압전 방식의 피에조 소자, 열구동 방식의 히터)이 마련된 챔버와, 몸체(110)에 수용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예를 들면, 오리피스(orifice)), 유로를 통해 유입된 잉크를 챔버로 공급하는 공통 유로인 매니폴드와, 매니폴드로부터 각각의 챔버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개별 유로인 리스트릭터 등이 더 구비된다. 챔버, 분사수단, 유로, 매니폴드, 리스트릭터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캐리지(106)에는 몸체(110)가 장착된다. 프린트 헤드(111)는 상기 몸체(110) 등과 연결된 카트리지 형태로 상기 캐리지(106)에 장착된다. 캐리지 이송부(160)는 상기 캐리지(106)를 제2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캐리지 이송부(160)는 캐리지(106)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162)와, 캐리지(106)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08)를 구비한다.
구동부(162)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며, 상기 캐리지(106)에 결합되어 캐리지(106)를 왕복이동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구동부(162)로는 광 미러(optical mirror)와 같은 정밀 소자를 구동하는데 이용되는 압전 소자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 소자는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소자로, 위치 정밀도가 수 ㎛에 이르고 또한 높은 주파수 응답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구동부(162)로 압전 소자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면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잉크를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전 소자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캐리지(106)를 왕복이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가이드부(108)는 상기 구동부(162)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는 캐리지(106)를 가이드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08)는 결합부(107)와 가이드 축(108A)을 포함한다. 결합부(107)는 캐리지(106)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축(108A)은 중공 형상의 결합부(107)에 삽입되어 캐리지(106)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08)는 가이드 레일(108B)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108B)은 캐리지(106)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캐리지(106)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부(132)는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된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을 감지한다. 여기서, 불량 노즐이란 잉크를 분사하지 못하는 손상된 노즐(missing nozzle)이나 기능이 약화된 노즐(weak nozzle)과 같이 정상적으로 잉크를 분사하지 않는 노즐을 의미한다. 잉크를 분사하는 데 작용하는 히터(heater)가 단선되거나 히터의 구동회로가 고장나는 경우, 또는 FET(Field Emission Transistor)와 같은 전기적인 구성 요소의 손상에 의해 발생되는 노즐의 불량은 쉽게 감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압전 소자의 구동에 의해 잉크를 분사하 는 경우, 압전 소자 자체의 불량이나 압전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의 손상에 의해 발생되는 노즐의 불량도 쉽게 감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불량 노즐의 발생 원인을 쉽게 감지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불량 노즐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해 시험 인쇄를 실시한다(test page printing). 불량 노즐에 의해 인쇄되는 부분은 손실 도트(missing dot)로 인해 인쇄 농도가 낮으므로, 광센서와 같은 감지부(132)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광센서는 인쇄매체(P)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 센서(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와, 인쇄매체(P)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수광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는 감지부(132)로 입력되고, 이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광센서 자체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노즐 보상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화상형성시스템은 데이터 입력부(135)와 잉크젯 화상형성장치(12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 입력부(135)는 PC(Personal Computer), 디지털 카메라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 페이지 순서대로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입력부 (135)가 컴퓨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데이터 입력부(135)는 응용 프로그램(210), 그래픽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GDI; graphics device interface)(220),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및 스풀러(250)를 포함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210)은 MS-Word와 같이 컴퓨터 상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서, 화상형성장치(120)를 이용하여 출력이 가능한 오브젝트(object)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GDI(220)는 컴퓨터 상의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응용프로그램(21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를 받아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에 전달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요청하는 오브젝트에 관한 명령어를 생성한다.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는 컴퓨터 상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화상형성장치(120)가 해석할 수 있는 명령어를 생성한다.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컴퓨터 상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명령어를 생성하는 환경변수를 제공한다. 스풀러(Spooler)(250)는 컴퓨터 상의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생성한 명령어를 화상형성장치(120)와 연결된 물리적인 입출력장치(미도시)에 전달한다.
화상형성장치(120)는 비디오 컨트롤러(170), 제어부(130), 및 인쇄환경정보부(136)를 포함한다. 또한, 비디오 컨트롤러(170)는 비휘발성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185) 및 실시간 클록(RTC; real time clock)(190)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170)는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230)가 생성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비트맵(bitmap)화 한 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비디오 컨트롤러(170)가 생성한 비트맵을 화상형성장치(120)의 각 구성요소로 전달하여 인쇄매체(P)에 화상이 형성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20)에서 인쇄가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노즐 보상 과정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화상형성장치(120)의 마더보드(mother board) 상에 마련되며, 프린트 헤드(111)에 구비된 노즐부(112)의 분사 동작과, 인쇄매체 이송부(117, 115, 113)의 이송 동작, 및 캐리지 이송부(160)의 이송 동작 등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노즐부(112)에서 분사되는 잉크가 인쇄매체(P)의 원하는 부위에 착탄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동기화시킨다. 또한, 제어부(130)는 데이터 입력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37)에 저장시키고, 메모리(137)에 인쇄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는 데이터 입력부(135)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각 인쇄 환경에 해당되는 복수의 인쇄 환경 정보 저장된다. 즉, 인쇄 환경 정보부(13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인쇄 환경에 해당되는 인쇄 환경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인쇄 환경이란 인쇄 밀도, 해상도, 인쇄매체의 크기, 인쇄매체의 종류, 사용 온도, 사용 습도, 연속 인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화상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구동원(131)을 동작시키며, 구동원(131)에 의해 구동되는 인쇄매체 이송부(117, 115, 113)에 의해 인쇄매체(P)가 이송된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 저장된 인쇄 환경 정보와 감지부(132)에 의해 감지된 불량 노즐 정보에 따라 캐리지 이송부(160)를 동작시킨다. 캐리지 이송부(160)는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캐리지(106)를 왕복이동시킨다. 이때, 각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동작되는 캐리지 이송부(160)에 의한 캐리지(106)의 왕복이동 크기는 인쇄밀도나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커지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량 노즐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인쇄매체(P)가 노즐부(112)로 진입되는 시점에 맞춰 잉크가 분사되도록 노즐부(112)를 동작시킨다. 제어부(130)는 인쇄매체(P)에 화상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제1노즐열(112A)과 제2노즐열(112B)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제1, 제2노즐열(112A)(112B)은 상기 제어신호들을 받아 인쇄매체(P)에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불량 노즐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이송부(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프린트 헤드(111)를 제2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며 인쇄매체(P)에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이와 같이 프린트 헤드(111)를 왕복이동시키며 인쇄하면 불량 노즐에 의한 효과가 분산되므로 불량 노즐에 의한 영향이 줄어든다. 이때, 프린트 헤드(111)의 왕복이동 크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로부터 입력되는 인쇄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노즐열(112A)의 노즐이 불량인 경우 제2노즐열 (112B)을 이용하여 보상할 수도 있고, 제2노즐열(112B)의 노즐이 불량인 경우 제1노즐열(112A)을 이용하여 보상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10은 솔리드 패턴(solid pattern)으로 인쇄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불량 노즐 보상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솔리드 패턴이란 당해 해상도에 해당되는 최고 밀도의 인쇄 화상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참조번호 a, b, c, d, e, f, g, h, i 는 노즐부(112)의 노즐열(nozzle array)을 의미하고, a', b', c', d', e', f', g', h', i' 는 상기 노즐에 의해 분사된 도트열(dot array)을 의미한다. 또한, 1R, 2R, 3R은 인쇄매체(P)가 이송되면서 도트가 인쇄되는 행(row)을 의미하고, 1C, 2C, 3C, 4C, 5C, 6C, 7C, 8C, 9C는 각 노즐열에 의해 도트가 인쇄되는 열(column)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c 가 불량 노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은 인쇄 환경을 입력받는 단계(S10)와,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을 감지하는 단계(S20), 및 불량 노즐을 보상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인쇄 환경을 입력받는 단계(S10)와 노즐부(112)의 불량 노즐을 감지하는 단계(S20)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불량 노즐을 보상하는 단계(S30)는 인쇄하고자 하는 영역이 불량 노즐을 포 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한다. 인쇄하고자 하는 영역이 불량 노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정상적으로 인쇄를 수행하면 된다(S50). 그러나, 인쇄하고자 하는 영역이 불량 노즐을 포함하는 경우 손상된 노즐에서는 잉크가 정상적으로 분사되지 않으므로, 그대로 인쇄를 수행하면 흰 선(white line)과 같은 미싱 라인(missing line)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흰 선은 눈에 쉽게 띄므로 인쇄 화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를 보상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로서, 인쇄하고자 하는 영역이 불량 노즐을 포함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환경 정보부(136)에 저장된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프린트 헤드(111)를 왕복이동시키며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240)에서 입력되는 인쇄 환경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111)의 왕복이동 여부와 왕복이동 크기 등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인쇄 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불량 노즐에 의한 영향이 작으므로, 프린트 헤드(111)를 작게 왕복시키거나 또는 왕복시키지 않아도 된다. 인쇄 밀도가 높아질수록 불량 노즐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나므로, 프린트 헤드(111)의 이동량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0)에서 입력되는 인쇄 환경에 따라 프린트 헤드(111)의 왕복 이동량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동작되는 프린트 헤드(111)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되지 않은 캐리지 이송부에 의해 프린트 헤드(111)는 112C → 112L → 112R → 112C → 112L 사이를 왕복 운동하며 잉크를 분사한다. 프린트 헤드(111)가 112C의 위치에 있을 때 인쇄매체(P) 상에는 c 노즐에 의해 c' 의 미싱 도트가 발생된다. 인쇄매체(P)가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됨과 동시에 프린트 헤드(111)는 캐리지 이송부에 의해 112L의 위치로 이동되며, 인쇄매체(P) 상에는 c 노즐에 의해 c' 의 미싱 도트가 발생된다. 그리고 나서, 인쇄매체(P)가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 진행되고, 프린트 헤드(111)는 캐리지 이송부에 의해 112R의 위치로 이동되며, 인쇄매체(P) 상에는 c 노즐에 의해 c' 의 미싱 도트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불량 노즐인 c 노즐에 의해 발생되는 c'의 미싱 도트는 1행(1R)에서는 3열(3C)에, 2행(2R)에서는 2열(2C)에, 3행(3R)에서는 4열(4C)에 나타난다. 즉, 미싱 도트(c')는 지그재그 형태로 인쇄매체(P)의 각 부분에 분산되어 나타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111)는 왕복 이동되면서 잉크를 분사하므로, 인쇄매체(P) 상의 정확한 위치에 잉크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인쇄매체(P) 상의 정확한 위치에 잉크가 착탄될 수 있도록 제어부(130)는 인쇄매체 이송부(117, 115, 113)에 의한 인쇄매체 이송 동작과, 프린트 헤드(111)의 잉크 분사 동작과, 프린트 헤드(111)의 왕복이동 동작을 동기화시킨다. 즉, 제어부(130)는 입력되는 인쇄 환경에 따라 프린트 헤드(111)에서 분사되는 도트의 위치 정보를 보완하며 인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고 작은 두 개의 노즐이 교대로 배치된 제1, 제2노즐열(112A)(112B)을 이용하여 불량 노즐을 보상할 수도 있다. 즉, 제1노즐열(112A)에 불량 노즐이 발생된 경우 제2노즐열(112B)을 이용하여 보상할 수도 있고, 제2노즐열(112B)에 불량 노즐이 발생된 경우 제1노즐열(112A)을 이용하여 보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노즐열(112A)의 큰 노즐(112L)이 불량인 경우 제2노즐열(112B)의 작은 노즐(112S)을 이용하여 보상할 수 있고, 제2노즐열(112B)의 작은 노즐(112S)이 불량인 경우 제1노즐열(112A)의 큰 노즐(112L)을 이용하여 보상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불량 노즐에 의해 발생되는 손실 도트(missing dot)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입력되는 인쇄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축(108A)에 캐리지(106)를 장착하거나 나란하게 배치된 가이드 레일(108B)에 캐리지(106)를 장착한 후 이를 캐리지 이송부(160)에 의해 왕복이동시키면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불량 노즐에 의한 미싱 도트가 인쇄매체(P) 상에 분산되어 인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은 종래 발명과 달리 불량 노즐에 의한 화질 불량을 인쇄매체 상의 여러 위치에 분산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인지되는 흰 선(white line)과 같은 인쇄 불량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인쇄 환경에 따라 프린트 헤드의 왕복이동 크기를 달리 적용함으로써, 불량 노즐에 의한 화질 불량을 각 인쇄 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최적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린트 헤드를 왕복이동시키며 동일한 색상을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종래 발명(US5581284)의 제약 조건을 극복하여 불량 노즐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고 작은 노즐에서 분사되는 도트가 퍼지면서 서로 상쇄되는 효과를 보이므로 낮은 거칠기(roughness)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노즐열의 큰 노즐이 불량 노즐인 경우 다른 노즐열의 작은 노즐을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잉크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노즐열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각각의 노즐열에 구비된 노즐의 배치를 조절하여 보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인쇄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인쇄매체 이송부;
    상기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것으로, 제2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트 헤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장착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제2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캐리지 이송부;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잉크가 상기 인쇄매체의 원하는 부위에 착탄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매체 이송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와, 상기 캐리지 이송부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불량 노즐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인쇄 환경으로 인쇄시 각 인쇄 환경에 해당하는 복수의 인쇄 환경 정보가 저장되는 인쇄 환경 정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환경 정보부에 저장된 인쇄 환경 정보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불량 노즐 정보에 따라 상기 캐리지의 왕복이동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환경은,
    인쇄 밀도, 해상도, 인쇄매체의 크기, 인쇄매체의 종류, 사용 온도, 사용 습도, 연속 인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이송부는,
    상기 캐리지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캐리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를 왕복이동시키는 압전소자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캐리지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리지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는 크고 작은 두 개의 노즐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0. 인쇄매체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a) 인쇄 환경을 입력받는 단계;
    (b) 감지부에 의해 상기 노즐부의 불량 노즐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프린트 헤드를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며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노즐 보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환경은,
    인쇄 밀도, 해상도, 인쇄매체의 크기, 인쇄매체의 종류, 사용 온도, 사용 습 도, 연속 인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노즐 보상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인쇄하고자 하는 영역이 불량 노즐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노즐 보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인쇄하고자 하는 영역이 불량 노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정상적으로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노즐 보상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인쇄하고자 하는 영역이 불량 노즐을 포함하는 경우 인쇄 환경 정보부에 저장된 상기 인쇄 환경에 해당하는 인쇄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왕복이동 크기를 조절하며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노즐 보상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쇄매체의 원하는 부위에 잉크가 착탄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 이송부에 의한 인쇄매체 이송 동작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잉크 분사 동작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왕복이동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노즐 보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는 크고 작은 두 개의 노즐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20050044228A 2005-05-25 2005-05-25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20060122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28A KR20060122180A (ko) 2005-05-25 2005-05-25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US11/362,715 US20060268035A1 (en) 2005-05-25 2006-02-28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efective nozzle
CNA2006100845643A CN1868744A (zh) 2005-05-25 2006-05-25 喷墨成像装置及用于补偿故障喷嘴的方法
JP2006145919A JP2006327201A (ja) 2005-05-25 2006-05-25 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および不良ノズルの補償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28A KR20060122180A (ko) 2005-05-25 2005-05-25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180A true KR20060122180A (ko) 2006-11-30

Family

ID=3744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228A KR20060122180A (ko) 2005-05-25 2005-05-25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68035A1 (ko)
JP (1) JP2006327201A (ko)
KR (1) KR20060122180A (ko)
CN (1) CN18687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65047A (ja) * 2015-09-30 2017-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の製造方法
KR20170132975A (ko) * 2016-05-25 2017-12-05 세메스 주식회사 액적 토출 방법
KR20210082942A (ko) 2019-12-26 2021-07-06 한국기계연구원 잉크젯 헤드 및 잉크젯 프린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4597B2 (ja) * 2007-07-11 2013-05-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8899064B2 (en) 2007-12-14 2014-1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2010030281A (ja) * 2008-06-27 2010-02-12 Canon Inc 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6278556B2 (ja) * 2014-01-06 2018-02-14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US9770909B2 (en) * 2014-01-30 2017-09-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head dies molded with nozzle health sensor
JP6451109B2 (ja) * 2014-07-10 2019-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吐出装置の制御方法
JP6584998B2 (ja) * 2016-04-19 2019-10-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短絡検出方法
JPWO2018168191A1 (ja) * 2017-03-16 2020-01-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検出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10202935B (zh) * 2018-02-28 2020-11-10 森大(深圳)技术有限公司 喷嘴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083586A (zh) * 2021-04-07 2021-07-09 江苏亨通光电股份有限公司 光纤色环着色设备
CN113211980B (zh) * 2021-04-21 2022-04-22 华南理工大学 一种用于印刷oled器件的压电控制系统及优化方法
CN115366539B (zh) * 2021-09-23 2024-01-23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喷墨打印补偿方法以及喷墨打印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3268A (en) * 1992-04-17 1996-01-09 Rohm Co., Ltd. Method for driving ink jet print head
US5581284A (en) * 1994-11-25 1996-12-03 Xerox Corporation Method of extending the life of a printbar of a color ink jet printer
TW487639B (en) * 2000-02-15 2002-05-21 Acer Comm & Multimedia Inc Ink-jet printer having abnormal compensation function of nozzle
US6318832B1 (en) * 2000-03-24 2001-11-20 Lexmark International, Inc. High resolution print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65047A (ja) * 2015-09-30 2017-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の製造方法
KR20170132975A (ko) * 2016-05-25 2017-12-05 세메스 주식회사 액적 토출 방법
KR20210082942A (ko) 2019-12-26 2021-07-06 한국기계연구원 잉크젯 헤드 및 잉크젯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8744A (zh) 2006-11-29
JP2006327201A (ja) 2006-12-07
US20060268035A1 (en)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2026B1 (ko) 잉크젯 헤드와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노즐 보상 방법
KR20060122180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788664B1 (ko) 프린트 헤드와 이를 구비하는 스캐닝 방식 잉크젯화상형성장치, 및 고해상도 구현 방법
KR100694118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멀티 패스를 이용한 고해상도 구현방법
KR10075016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0833232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보상 방법
KR100728000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 보상 방법
KR100823257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20070095465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고품질인쇄 방법
KR100727955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고해상도 인쇄 방법
KR100644709B1 (ko) 프린트 헤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화상형성장치의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728016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 보상 방법 및 장치, 그를이용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0788663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727986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보상 방법
KR20070008226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고해상도인쇄 방법
US20080068432A1 (en)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94120B1 (ko)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화질 향상방법
KR100636243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프린트 헤드의 메인티넌스 방법
KR20060124993A (ko) 스캐닝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084680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방법
KR20060115125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833231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전위인쇄 방법
KR100694136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636242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846808B1 (ko) 스캐닝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