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979A - 내찰상성 폴리올레핀 - Google Patents

내찰상성 폴리올레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979A
KR20070038979A KR1020067027566A KR20067027566A KR20070038979A KR 20070038979 A KR20070038979 A KR 20070038979A KR 1020067027566 A KR1020067027566 A KR 1020067027566A KR 20067027566 A KR20067027566 A KR 20067027566A KR 20070038979 A KR20070038979 A KR 20070038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fin
bis
tert
butyl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5641B1 (ko
Inventor
아슈토쉬 에이취. 샤마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4Este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8Isomerisation; Cyc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en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 사슬 알코올이나 또는 긴 사슬 아민으로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 및 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를 폴리올레핀에 혼입함으로서 폴리올레핀 기질에 내찰상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양호한 내후성, 내찰상성, 양호한 가공성, 양호한 기계적 강도, 양호한 광택 보유성을 나타내며, 점성이 없다.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의 예는 수지 지방 알코올과 말레산 C18-C26 α-올레핀의 반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이다. 지방산 아미드의 예는 올레일 팔미트아미드 또는 스테아릴 에루카미드이다.
내찰상성, 폴리올레핀, 말레산 알파-올레핀

Description

내찰상성 폴리올레핀{Scratch Resistant Polyolefins}
본 발명은 내찰상성(scratch resistant)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정 내찰상성 첨가제를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혼입함으로써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내찰상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이를테면 열가소성 올레핀(TPO) 성형 부품이다. 성형 부품은 이를테면 자동차 분야에 유용하다.
미국특허 제6,048,942호에서는 폴리실옥산, 금속 스테아레이트, 포화 지방산 아미드 및 불포화 지방산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내찰상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올레핀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JP-A-2002338778는 지방산 아미드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5,731,376호는 폴리유기실옥산을 혼입함으로써 내찰상성을 개선시킨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이 조성물은 또한 지방산 아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5,585,420호는 무기 충전제와 같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내찰상성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이 조성물은 고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지방산 아미드, 폴리유기실옥산 또는 에폭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JP-A-2002003692는 지방산 아미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JP-A-62072739는 특정 폴리올레핀을 고무 물질과 특정 입자 크기를 갖는 운모의 특정량을 혼합하여 제조된 자동차 부품용 성형 물품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폴리올레핀은 특정 폴리프로필렌 및 불포화 카르복시산(무수물), 이를테면 말레산 무수물로 변성된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다.
JP-A-63017947는 내찰상성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JP-A-2001261902는 내부 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물질로서 유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특허 출원 공고 제2003/0004245호에서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과 알파, 베타 불포화 카르복시산 에스테르, 산 또는 무수물의 반응 생성물의 블렌드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폴리무수물 수지는 2004년의 "CPChem 스페셜티 케미칼스 데이타 시트"에 기재되어 있다.
놀랍게도, 폴리올레핀 기질은 긴 사슬 알코올 또는 긴 사슬 아민과 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로 관능화된 말레산(maleated) α-올레핀의 첨가제 조합물을 혼입함으로써 내찰상성을 갖게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다음 성분(a) 내지 (c)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폴리올레핀,
(b) 긴 사슬 알코올 또는 긴 사슬 아민으로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 및
(c) 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
본 발명은 또한 (b)긴 사슬 알코올이나 또는 긴 사슬 아민으로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 및 (c)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의 유효량을 상기 폴리올레핀에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기질에 내찰상성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핀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뿐만 아니라 시클로올레핀(예컨대,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폴리에틸렌(임의로 가교될 수 있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VLDPE) 및 (ULDPE).
폴리올레핀 즉, 앞 단락에서 예시한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한 방법, 특히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i) 라디칼 중합 반응(통상적으로는 고압 및 고온하에서)
ii) 통상적으로는 주기율표의 Ⅳb,Ⅴb, VIb 또는 Ⅷ족 금속 1이상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 중합반응. 이같은 금속은 일반적으로 1 이상의 리간드, 예컨대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케닐 및/또는 아릴을 가진다. 이같은 금속 착물은 유리 형태이거나 기질(예컨대, 활성 염화 마그네슘, 염화 티탄(Ⅲ), 알루미나 또는 산화 실리콘)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같은 촉매는 중합반응 매질에서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촉매를 중합반응에서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추가의 활성제(예컨대 금속이 주기율표 Ia, IIa 및/또는 IIIa의 원소인 금속 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를 사용할 수 있다. 활성제는 추가의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개질될 수 있다. 상기 촉매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필립스, 스탠다드 오일 인디애나, 지글러(-나타), TNZ(DuPont), 메탈로센 또는 단자리 촉매(SSC)라고 칭한다.
2. 1)에서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PP/HDPE, PP/LDPE) 및 다양한 형태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LDPE/HDPE).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서로간 또는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이들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일산화탄소를 갖는 그들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예컨대,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삼중합체; 및 이같은 공중합체 간 그리고 이같은 공중합체와 상기 1)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LLDPE/EVA, LLDPE/EAA 및 교대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예컨대, 폴리아미드)와 이들의 혼합물.
4. 1.)에서 언급한 중합체와 충격 조절제, 이를테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공중합체(EPDM), 에틸렌과 고급 α-올레핀의 공중합체(예,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소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수소화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와의 블렌드. 이들 블렌드는 통상 공업적으로 TPO's(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이라 불리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동종- 및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동종- 및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이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폴리프로필렌 랜덤 및 충격(헤테로 상)공중합체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충격(헤테로 상) 공중합체, 그의 블렌드, 및 TPO's, 이를테면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및 충격 공중합체와 EPDM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블렌드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특히 TPO's이다. TPO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중합체 약 10∼90 중량부, 및 에틸렌 및 C3-C8 α-올레핀의 탄성 공중합체 약 90∼10 중량부이다. TPO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6,048,942호에 기재되어 있다.
말레산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 출원 제03/0004245호에 기재되어 있다. 말레산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α-올레핀과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과의 반응 생성물이다. 이 반응은 공지 수단에 의해 실시된다. 예를 들면, 반응은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용융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반응 개시제는 예를 들면 과산화물 또는 유기 아조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본 말레산 α-올레핀의 α-올레핀은 C3 내지 약 C33이고, 예를 들면 α-올레핀은 C18-C26 α-올레핀, 예를 들면 C22-C26 또는 C18 α-올레핀이다.
말레산 α-올레핀은 긴 사슬 알코올이나 긴 사슬 아민으로 관능화된다. 즉, 말레산 α-올레핀은 긴 사슬 알코올이나 긴 사슬 아민과 반응하여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또는 이미드 생성물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본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은 긴 사슬 알코올과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에스테르 또는 반 에스테르 생성물이거나, 또는 긴 사슬 1급 또는 2급 아민과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아미드 또는 이미드 생성물이다. 이미드는 반 아미드를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은 에스테르와 아미드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반 에스테르 유도체는, 물이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되지않는 조건 하에서 적절한 용매 중에 말레산 α-올레핀이 용해된 산촉매화 교반 용액에 알코올을 적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용매의 예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이다. 적당한 산 촉매는 황산, 메탄술폰산 및 p-톨루엔술폰산이다. 디에스테르는 과량의 알코올을 사용한 후, 물을 제거하여 반응을 완전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예를 들면,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은 하기 화학식(I)의 반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이다:
Figure 112006097496612-PCT00001
(I)
상기 식에서,
R은 C16-C24 알킬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22 알킬 또는 C2-C22 알케닐이고, 여기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C12-C22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그리고
n은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50,000이 되는 정수이다.
예를 들면, 본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은 하기 화학식(II)의 1급 또는 2 급 아미드이다:
Figure 112006097496612-PCT00002
(II)
상기 식에서,
R은 C16-C24 알킬이고,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22 알킬 또는 C2-C22 알케닐이고, 여기서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C12-C22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그리고
n은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50,000이 되는 정수이다.
예를 들면, 본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은 하기 화학식(III)의 이미드이다:
Figure 112006097496612-PCT00003
(III)
상기 식에서,
R은 C16-C24 알킬이고,
R1은 C12-C22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그리고
n은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50,000이 되는 정수이다.
예를 들면, R은 C16 알킬 또는 C20-C24 알킬이다.
예를 들면, 본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은 수지 지방 알코올, 리시놀레일 알코올[CAS# 540-11-4] 또는 올레일 알코올과 말레산 C18-C26 α-올레핀의 반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이다. 즉, 긴 사슬 알코올과 말레산 α-올레핀의 반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 반응 생성물이다.
예를 들면, 본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은 올레아미드, 에루카미드, 스테아르아미드, 베헨아미드, 올레일 팔미트아미드, 스테아릴 에루카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또는 에틸렌-비스-올레아미드를 갖는 말레산 C18-C26 α-올레핀의 아미드이거나, 또는 올레아미드, 에루카미드, 스테아르아미드 또는 베헨아미드를 갖는 말레산 C18-C26 α-올레핀의 이미드이다. 즉, 긴 사슬 아민과 말레산 α-올레핀의 아미드 또는 이미드 반응 생성물이다.
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의 지방기(fatty group)는 C11-C21 알킬 또는 C11-C21 알케닐이다. 본 2급 지방산 아미드는 비스 아미드, 즉 메틸렌-비스 또는 에틸렌-비스 아미드가 아니다.
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는, 예를 들면 올레아미드, 에루카미드, 스테아르아미드, 베헨아미드, 올레일 팔미트아미드 및 스테아릴 에루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다.
특히, 본 지방산 아미드는 2급 지방산 아미드, 예를 들면 스테아릴 에루카미드 또는 올레일 팔미트아미드이다.
적절한 지방산 아미드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6,228,915호에 기재되어 있다.
알킬은 직쇄 또는 측쇄이고,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차-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2-에틸부틸, n-펜틸, 이소펜틸, 1-메틸펜틸, 1,3-디메틸-부틸, n-헥실, 1-메틸헥실, n-헵틸, 이소헵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1-메틸헵틸, 3-메틸헵틸, n-옥틸, 2-에틸헥실, 1,1,3-트리메틸헥실, 1,1,3,3-테트라메틸펜틸, 노닐, 데실, 운데실, 1-메틸운데실, 도데실, 1,1,3,3,5,5-헥사메틸헥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아이코실 또는 도코실이다.
C2-C22 알케닐은 측쇄 또는 비측쇄 라디칼, 예를 들면 비닐, 프로페닐(알릴), 2-부테닐, 3-부테닐, 이소부테닐, n-2,4-펜타디에닐, 3-메틸-2-부테닐, n-2-옥테닐, n-2-도데세닐, 이소도데세닐, 올레일, n-2-옥타데세닐 또는 n-4-옥타데세닐이다.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 첨가제[성분 (b)] 대 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 드 첨가제[성분(c)]의 중량비는, 예를 들면 약 1:1 내지 20:1, 예를 들면 약 1:1 내지 15:1, 약 1:1 내지 10:1, 약 1:1 내지 7:1, 또는 약 1:1 내지 5:1이다. 예를 들면,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 대 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의 중량비는 약 1.5:1, 약 2:1, 약 3:1, 또는 약 4:1이다.
폴리올레핀 기질에 혼입되는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 및 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 첨가제 조합물의 총량은, 폴리올레핀 기질의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1∼15 중량%이다. 예를 들면, 첨가제 조합물은, 폴리올레핀 기질의 중량 기준으로, 약 1∼10 중량%, 약 3∼7 중량%, 또는 약 3∼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b)은, 폴리올레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올레핀에 0.05∼15 중량%, 특히 1∼10 중량%, 예를 들면 1∼7 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c)은, 폴리올레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올레핀에 0.05∼15 중량%, 특히 1∼10 중량%, 예를 들면 1∼7 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폴리올레핀 기질에 개별적으로 첨가되거나 또는 서로 혼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개별 성분은 폴리올레핀에 혼입되기 전에, 예를 들면 건조 블렌딩, 압착 또는 용융물에 서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를 혼입하는 것은 분말 형태로 건식 혼련하거나, 또는 이를테면 불활성 용매, 물 또는 오일의 용액, 분산액 또는 현탁액 형태로 습식 혼합하는 등의 공지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예컨대 성형하기 전 또는 후에 또는 용해되거나 또는 분산된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을 폴리올레핀 물질에 가한 다음, 후속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제/분산제를 증발시키거나 증발시키지 않고 혼입될 수 있다. 이들은 직접적으로 가공 장치(예, 압출기, 내부 혼합기 등)에 부가되며, 예컨대 건조 혼합물, 분말, 용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용융물로서 부가될 수 있다.
상기 혼입은 교반기를 구비한 가열 가능한 용기, 예컨대 혼련기, 혼합기 또는 교반되는 용기와 같은 밀폐 장치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혼입은 예컨대 압출기 또는 혼련기로 바람직하게 실시된다. 가공이 불활성 대기압 하 또는 산소 존재하에서 실시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첨가제를 폴리올레핀 기질에 첨가하는 것은 폴리올레핀 기질을 용해시키고 첨가제와 혼합시키는 통상의 모든 혼합기에서 실시될 수 있다. 적합한 혼합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주로 혼합기, 혼련기 및 압출기이다.
가공은 예컨대 압출, 공동혼련, 풀트루젼(pulltrusion), 압축성형, 시트 압출, 열형성, 사출성형 또는 회전성형을 포함한다. 상기 공정은 가공하는 동안 첨가제를 도입함으로써 압출기 내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된다.
특히 바람직한 가공 기기는 단일 스크루 압출기, 콘트라회전 및 공동회전 2축 스크루 압출기, 로토성형 장치, 평면상 기어 압출기, 링 압출기 또는 공혼련기이다. 진공이 적용될 수 있는 1 이상의 가스 제거 구획이 제공된 가공 기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적합한 압출기 및 혼련기는 예컨대 Handbuch der Kunststoffextrusion , Vol . Grundlagen, Editors F. Hensen , W. Knappe , H. Potente , 1989, pp . 3-7, ISBN : 3-446-14339-4 ( Vol . 2 Extrusionsanlagen 1986, ISBN 3-446-14329-7)에 기재되어 있다.
예컨대, 스크루 길이는 1-60 스크루 직경, 예컨대 35-48 스크루 직경이다. 스크루의 회전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분당 10∼600 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25∼300 rpm 이다.
최대 출력은 스크루 직경, 회전 속도 및 구동력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상술한 매개변수를 달리함으로써 또는 투여량을 전달하는 측량 기기를 이용함으로써 최대 출력보다 낮은 수준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복수의 성분을 첨가하는 경우, 이들은 미리 혼합되거나 개별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폴리올레핀 물질 상에 분무될 수 있다. 이들은 다른 첨가제(예컨대 임의의 공지된 첨가제) 또는 이들의 용융물을 희석시킬 수 있어 상기 첨가제와 함께 물질 상에 분무될 수 있다. 중합반응 촉매를 탈활성화시키는 동안 분무에 의해 첨가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발생한 증기는 촉매를 탈활성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형의 중합된 폴리올레핀의 경우, 예컨대 경우에 따라 다른 첨가제와 함께 본 발명의 첨가제를 분무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 및 임의의 추가 첨가제는 중합체 내에 상기 성분을 약 1 ∼4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20 중량%의 농도로 함유하는 마스터뱃치("농축물") 형태로 상기 폴리올레핀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는 첨가제가 최종적으로 첨가되는 폴리올레핀과 반드시 동일한 구조일 필요는 없다. 이러한 작업시, 상기 중합체는 분말, 과립, 용액, 현탁액 또는 라티스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혼입은 성형 작업 전 또는 도중에 후속적인 용매의 증발 없이 또는 증발과 함께 용해되거나 분산된 화합물을 폴리올레핀에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를 폴리올레핀에 혼입하는 또 다른 가능성은 상응하는 단량체의 중합 전, 도중 또는 직후에 또는 가교 전에 그들을 첨가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첨가제는 그 자체 또는 캡슐화 형태(예, 왁스, 오일 또는 중합체)로 첨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은 성형, 로토성형 물품, 사출 성형 물품, 취입 성형 물품, 프로파일 등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하기 열거한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여러가지 추가 첨가제 약 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5∼2 중량%, 특히 약 0.1∼1 중량%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들어 2,6-디-삼차 부틸-4-메틸페놀, 2-삼차 부틸-4,6-디메틸페놀, 2,6-디-삼차 부틸-4-에틸페놀, 2,6-디-삼차 부틸-4-n-부틸페놀, 2,6-디-삼차 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삼차 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에서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스-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삼차 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를들어 2,6-디-삼차 부틸-4-메톡시페놀, 2,5-디-삼차 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 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삼차 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 β-, γ-,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 (비타민E)
1.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들어 2,2'-티오비스(6-삼차 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 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 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이차 아밀페놀), 4,4'-비스 (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삼차 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삼차 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 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삼차 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삼차 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삼차 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삼차 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삼차 부틸-2-메틸페놀), 1,1-비스(5-삼차 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삼차 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삼차 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삼차 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삼차 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삼차 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삼차 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삼차 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삼차 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7. 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삼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1,3,5-트리-(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디-(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설파이드,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트산 이소옥틸 에스테르, 비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올 테레프탈레이트,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인산 디옥타데실 에스테르 및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인산 모노에틸 에스테르, 칼슘염.
1.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삼차 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삼차 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질)-2,3, 5, 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 3,5-트리스(4-삼차 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 (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포스포네이트, 예를들어 디메틸-2,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삼차 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 포스포네이트, 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를들어 4-히드록시-라우르산 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산 아닐리드, 2,4-비스-옥틸머캅토-6-(3,5-삼차 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s-트리아진 및 옥틸 N-(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삼차 부틸 -4-히 드록시페 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4.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 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5-삼차 부틸 -4-히드록시-3- 메틸페닐 )-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5.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 디시클로헥실 -4- 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6.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 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
1.17. β-(3,5-디-삼차 부틸 -4- 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들어 N,N'-비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피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 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프오피오닐)히드라지드, N,N'-비스[2-(3-[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옥사미드 (Naugard® XL-1, 유니로얄사 제).
1.18.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1.19. 아민 산화방지제,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 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삼차 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삼차 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삼차 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삼차 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 부틸/삼차 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 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 부틸/삼차 옥틸페노타이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 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2. 광안정화제
2.1. 2-(2- 히드록시페닐 )-2H- 벤조트리아졸, 미국특허 3,004,896; 3,055,896; 3,072,585; 3,074,910; 3,189,615; 3,218,332; 3,230,194; 4,127,586; 4,226,763; 4,275,004; 4,278,589; 4,315,848; 4,347,180; 4,383,863; 4,675,352; 4,681,905, 4,853,471; 5,268,450; 5,278,314; 5,280,124; 5,319,091; 5,410,071; 5,436,349; 5,516,914; 5,554,760; 5,563,242; 5,574,166; 5,607,987, 5,977,219 및 6,166,218에 기재된 공지의 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트리아졸,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 부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삼차 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이차 -부틸-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아밀-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쿠밀-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ω-히드록시-옥타(에틸렌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도데실화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삼차-옥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3-α-쿠밀-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삼차-옥틸-5-α-쿠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5-플루오로-2-(2-히드록시-3,5-디-α-쿠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2-히드록시-3,5-디-α-쿠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2-히드록시-3-α-쿠밀-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3-α-쿠밀-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 드록시-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3,5-디-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메틸-3-(5-트리플루오로메틸-2H-벤조트리아졸-2-일)-5-3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메이트, 5-부틸술포닐-2-(2-히드록시-3-α-쿠밀-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3-α-쿠밀-5-삼차-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3,5-디-α-쿠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5-부틸술포닐-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5-페닐술포닐-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 2- 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치환 및 비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4-삼차 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삼차 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삼차 부틸페닐 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삼차 부틸페닐 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말로네이트, 예를들어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또는 이소옥틸 에스테르, α-카르보메톡시-신남산 메틸 에스테 르,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남산 메틸 에스테르 또는 부틸 에스테르,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남산 메틸 에스테르,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Sanduvor® PR25, 디메틸 p-메톡시벤질리덴말로네이트 (CAS#7443-25-6) 및 Sanduvor® PR31, 디-(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p-메톡시벤질리덴말로네이트 (CAS#147783-69-5).
2.5. 니켈 화합물,
예를 들어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예: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가 있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삼차 부틸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예: 2-히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가 있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예를들어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알릴-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벤질-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 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삼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고리상 축합생성물, 트리스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 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고리상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 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티렌디아민 및 4-시클로헥실아민-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 합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및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뿐만 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생성물(CAS Reg.No.[136504-96-6]);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생성물, 1,1-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2-(4-메톡시페닐)에텐,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4-메톡시메틸렌말론산과 1,2,2,6,6-펜타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의 디에스테르, 폴리 -[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실옥산, 말레산무수물-α -올레핀 공중합체와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생성물.
입체장애 아민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하는 미국특허 5,980,783호에 기재된 화합물중의 하나, 즉 미국특허 5,980,783호의 칼럼 64-72에 수록된 화합물 I-a), I-b), I-c), I-d), I-e), I-f), I-g), I-h), I-i), I-j), I-k) 또는 I-l), 특히 광안정화제 1-a-1, 1-a-2, 1-b-1, 1-c-1, 1-c-2, 1-d-1, 1-d-2, 1-d-3, 1-e-1, 1-f-1, 1-g-1, 1-g-2 또는 1-k-1이다.
입체장애 아민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하는 미국 특허 6,046,304호 및 6,297,299호에 기재된 화합물중의 하나, 예컨대 청구항 10 또는 38 또는 실시예 1-12 또는 D-1 내지 D-5에 기재된 화합물일 수 있다.
2.7. 히드록시-치환된 알콕시 기에 의해 N- 원자상에서 치환된 입체장애 아민, 예컨대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타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헥사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옥실-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과 삼차-아밀알코올로부터의 탄소 라디칼과의 반응 생성물,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소-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디페이트,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숙시네이트,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글루타레이트 또는 2,4-비스{N-[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N-부틸아미노}-6-(2-히드록시에틸아미노)-s-트리아진.
2.8. 옥사미드,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삼차 부톡사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삼차 부톡사아닐리드, 2-에톡시-2'-에톡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삼차 부틸-2'-에톡사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5,4'-디-삼차 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중 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중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2.9. 트리스 -아릴-o- 히드록시페닐 -s- 트리아진, 예를 들어 미국특허 3,843,371호; 4,619,956호; 4,740,542호; 5,096,489호; 5,106,891호; 5,298,067호; 5,300,414호; 5,354,794호; 5,461,151호; 5,476,937호; 5,489,503호; 5,543,518호; 5,556,973호; 5,597,854호; 5,681,955호; 5,726,309호; 5,736,597호; 5,942,626호; 5,959,008호; 5,998,116호; 6,013,704호; 6,060,543호; 6,242,598호 및 6,255,483호에 기재된 공지의 트리스-아릴-o-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및 트리아진류, 예컨대 4,6-비스(2,4-디메틸페닐)-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s-트리아진, Cyasorb® 1164, Cyte Corp, 4,6-비스-(2,4-디메틸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히드록시페닐)-6-(4-클로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2-히드록시에톡시)페닐]-6-(4-클로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4-히드록시에톡시)페닐]-6-(4-브로모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2-아세톡시에톡시)페닐]-6-(4-클로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히드록시페닐)-6-(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4-비스(4-비페닐릴)-6-(2-히드록시-4-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리덴옥시페닐)-s-트리아진, 2-페닐-4-[2-히드록시-4-(3-이차-부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6-[2-히드록시-4-(3-이차-아밀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n-부틸옥시페닐)-6-(2,4-디-n-부틸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3-노닐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5-α-큐밀페닐]-s-트리아진(*는 옥틸옥시, 노닐옥시 및 데실옥시 기의 혼합물을 의미함), 메틸렌비스-{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3-부틸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 3:5', 5:5' 및 3:3' 위치에서 5:4:1 비로 브릿지된 메틸렌 브릿지된 이합체 혼합물, 2,4,6-트리 스(2-히드록시-4-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이소프로필리덴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헥실옥시-5-α-큐밀페닐)-s-트리아진, 2-(2,4,6-트리메틸페닐)-4,6-비스[2-히드록시-4-(3-부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이차-부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4,6-비스-(2,4-디메틸페닐)-2-(2-히드록시-4-(3-도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과 4,6-비스-(2,4-디메틸페닐)-2-(2-히드록시-4-(3-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s-트리아진의 혼합물, Tinuvin®400,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코포레이션 제조, 4,6-비스-(2,4-디메틸페닐)-2-(2-히드록시-4-(3-(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 및 4,6-디페닐-2-(4-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사아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삼차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오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포스포나이트,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 리스(2,4-디-삼차 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 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큐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삼차 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 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삼차 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삼차 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삼차 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삼차 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 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삼차 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삼차 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삼차 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이하의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스(2,4-디-삼차 부틸페닐)포스파이트(Irgafos® 168,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사 제품),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및 하기 화학식(A), (B), (C), (D), (E), (F) 및 (G)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스파이트:
Figure 112006097496612-PCT00004
Figure 112006097496612-PCT00005
Figure 112006097496612-PCT00006
Figure 112006097496612-PCT00007
Figure 112006097496612-PCT00008
5. 히드록실아민, 예를들어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 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 수지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6. 니트론, 예를들어 N-벤질-α-페닐-니트론, N-에틸-α-메틸-니트론, N-옥틸-α-헵틸-니트론, N-라우릴-α-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α-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α-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페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 수지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아민 옥사이드, 예를 들어 미국특허 5,844,029호 및 5,880,19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아민 옥사이드 유도체, 디데실 메틸 아민 옥사이드, 트리데실 아민 옥사이드, 트리도데실 아민 옥사이드 및 트리헥사데실 아민 옥사이드.
8. 벤조푸라논 인돌리논 , 예를들어 미국특허 4 325 863호, 4 338 244호, 5 175 312호, 5 216 052호, 5 252 643호, DE-A-4 316 611호, DE-A-4 316 622호, DE-A-4 316 876호, EP-A-0 589 839호 또는 EP-A-0 591 102호에 개시된 것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삼차 부틸-벤조푸란-2-온, 5,7-디-삼차 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삼차 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삼차 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삼차 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삼차 부틸-벤조푸란-2-온, 3-(3,4- 디메틸페닐)-5,7-디-삼차 부틸벤조푸란-2-온, 3-(2,3-디메틸페닐)-5,7-디-삼차 부틸벤조푸란-2-온, 3-(2-아세틸-5-이소옥틸페닐)-5-이소옥틸벤조푸란-2-온.
9. 티오상승제, 예를 들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10. 과산화물 제거제, 예를들어 β-티오디프로핀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또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디부틸디티오카밤산 아연,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11.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들어 요오드 및/또는 인 화합물과 병합된 구리 염 및 2가 망간의 염.
12.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베헨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리시놀레산 나트륨, 팔미트산 칼륨, 피로카테콜산 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 아연.
13. 핵생성제, 예를들어 무기물질(예;활석), 금속 산화물(예; 이산화 티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황산염; 유기 화합물(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이들의 염, 예컨대 4-삼차 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나트륨; 중합체 화합물, 예컨대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
14. 충전제 및 보강제, 예를 들어 탄산칼슘, 규산염, 유리 섬유, 유리 벌브,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블랙, 흑연, 목재 가루 또는 기타 천연물의 가루 또는 섬유, 합성 섬유.
15. 분산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산화물 왁스 또는 광유.
16. 기타 첨가제, 예를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 보조제, 촉매, 유동조절제, 광학 광택제(brighteners), 미끄럼제, 가교제, 가교 부스터(boosters), 할로겐 제거제, 매연 억제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치환 및 비치환 비스벤질리덴 소르비톨과 같은 청정제(clarifiers),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과 같은 벤조옥사지논 UV 흡수제, Cyasorb® 3638(CAS# 18600-59-4) 및 발포제.
바람직한 추가 첨가제는 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히드록실아민 안정화제, 유기 인 안정화제, 벤조푸란온 안정화제 및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또는 벤조페논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첨가제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양호한 내후성(열, 산소 및 빛에 대한 안정성), 내찰상성, 양호한 가공성, 양호한 기계적 강도, 양호한 광택 보유성을 나타내며, 점성이 없다. 폴리올레핀 성형 부품은 이를테면 자동차 부품, 즉 범퍼 띠(fascia) 등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폴리올레핀에 대한 내찰상성제(scratch resistant agent)로서 성분(b) 및 (c)의 혼합물의 용도에 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별도 언급이 없는 한, 모든 %는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폴리올레핀의 내찰상성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 대 스테아릴 에루카미드의 2:1 중량비 블렌드[성분(b) 및 (c)의 혼합물; 본 발명의 블렌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은 C22-C26 α-올레핀과 말레산 무수물의 중합체의 수지(tallow) 지방 알코올 에스테르이다:
Figure 112006097496612-PCT00009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수지이고, R은 C20-C24 알킬이고, 그리고 n은 평균값 약 45이다.
비교 성능을 위해 평가된 기타 첨가제는 올레아미드, 스테아릴 에루카미드 및 다우코닝 MB 50-321 폴리실옥산 첨가제이다. 중량 퍼센트는 폴리프로필렌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첨가제는 충격 개선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ROFAX 7523, Basell 사제)과 20∼30% 활석 및 2∼3%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고충격 폴리프로필 렌(3-5 용융 흐름) 중에서 혼합된다. 모든 혼합은 25 mm 2중-스크루 압출기를 사용하고 공업 표준 조건을 이용하여 실시된다. 모든 배합물은 또한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자외선 흡수제, 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장애 페놀성 산화방지제 및 유기 인 가공 안정화제와 같은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사출 성형된 플레이크는 BOY 50-M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고 표준 조건을 이용하여 혼합된 시료로부터 제조된다.
충격성 이외에 에이징(weathering) 전후의 내찰상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회의 실험을 실시한다. 그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표준 다섯 손가락 스크래치 시험 가이드라인 (Daimler Chrysler Corporation Test Number LP-463DD-18-1, 2002-07-24)
등급 스크래치 폭 백화
1 (최선) 폭 <0.2 mm, 거의 관찰 불가능 없음
2 폭 0.2-0.3 mm, 약간 변형, 좁은 범위에서 관찰 없음
3 폭 0.3-0.4 mm, 현저하게 관찰
4 폭 0.4-0.5 mm 전체 스크래치에서 백화 관찰
5 (최악) 폭 >0.5 mm 전체 스크래치 상에 백화 및 파편 수반 가능
결과 (N= 뉴우톤)
3 N 6 N 10 N 15 N
대조용 1.5 4 4.5 5
1% 올레아미드 1.5 2 3.5 4.5
3% 다우코닝 MB 50-321 1.5 2.5 4 5
3% 본 발명의 블렌드 1.0 2 2 3.5
에이징 후의 결과
별도의 상세한 연구에서, 에이징 후의 결과를 나타낸다. 크세논 아크 WeatherOmeter, 0.55 W/m2 조사(340 nm), SAE J 1885-NAFTA 내부 자동차 프로토콜, 89℃ 흑판 온도, 건조 상태. 600 kJ/m2에 대한 내찰상성이 바람직하다. 표준 다섯 손가락 시험 등급은 하기와 같다.
초기 등급 600 KJS 에이징 후의 등급
3N 6N 10N 3N 6N 10N
3% 스테아릴 에루카미드 3.5 3.5 4.0 3.5 3.5 4.5
3%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 3.5 4.5 4.5 3.5 4.0 4.5
3% 본 발명의 블렌드 2.5 3 3.5 3 3 4
블랭크 3.5 4 4.5 3.5 4 4.5
스테아릴 에루카미드를 함유하는 플레이크는 600 KJS에 노출한 후 점성질이 되었다. 본 발명의 블렌드는 에이징 후에 어떠한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놀랄만한 상승 효과를 나타냈다.
변형된 Taber 마모 시험
육안 관찰 기준
등급 스크래치 폭 상대 평가
1(최선) <50 mm 우수
2 200-300 mm 양호
3 300-400 mm 보통
4 400-500 mm 불량
5(최악) >500 mm 매우 불량
변형된 Taber 마모 시험 데이타
대조용 4
1% 올레아미드 2.5
3% 다우코닝 MB 50-321 2.5
3% 본 발명의 블렌드 1.5
상기 결과로부터, 폴리올레핀 중의 본 발명에 따른 블렌드가 개선된 내찰상 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하기 성분(a) 내지 (c)를 포함하는 조성물:
    (a) 폴리올레핀,
    (b) 긴 사슬 알코올 또는 긴 사슬 아민으로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 및
    (c) 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이 하기 화학식(I)의 반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인 조성물:
    Figure 112006097496612-PCT00010
    (I)
    상기 식에서,
    R은 C16-C24 알킬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22 알킬 또는 C2-C22 알케닐이고, 여기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C12-C22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그리고
    n은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50,000이 되는 정수이다.
  4. 제 1항에 있어서,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이 수지 지방 알코올, 리시놀레일 알코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과 말레산 C18-C26 α-올레핀의 반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이 하기 화학식(II)의 1급 또는 2급 아미드 또는 하기 화학식(III)의 이미드인 조성물:
    Figure 112006097496612-PCT00011
    (II)
    상기 식(II)에서,
    R은 C16-C24 알킬이고,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22 알킬 또는 C2-C22 알케닐이고, 여기서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C12-C22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그리고
    n은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50,000이 되는 정수이고;
    Figure 112006097496612-PCT00012
    (III)
    상기 식(III)에서,
    R1은 C12-C22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그리고
    R 및 n은 상기 식(II)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제 1항에 있어서,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이 올레아미드, 에루카미드, 스테아르아미드, 베헨아미드, 올레일 팔미트아미드, 스테아릴 에루카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또는 에틸렌-비스-올레아미드를 갖는 말레산 C18-C26 α-올레핀의 아미드이거나; 또는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이 올레아미드, 에루카미드, 스테아르아미드 또는 베헨아미드를 갖는 말레산 C18-C26 α-올레핀의 이미드인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의 지방기가 C11-C21 알킬 또는 C11-C21 알케닐인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지방산 아미드가 스테아릴 에루카미드 또는 올레일 팔미트 아미드인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성분(b)의 함량이 성분(a)의 중량 기준으로 0.05∼15 중량%인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성분(c)의 함량이 성분(a)의 중량 기준으로 0.05∼15 중량%인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성분(a), (b) 및 (c) 이외에 추가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추가 첨가제로서 장애 아민 광안정화제, 히드록실아민 안정화제, 유기 인 안정화제, 벤조푸란온 안정화제 및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또는 벤조페논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3. (b)긴 사슬 알코올이나 또는 긴 사슬 아민으로 관능화된 말레산 α-올레핀 및 (c)1급 또는 2급 지방산 아미드의 유효량을 폴리올레핀에 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기질에 내찰상성을 제공하는 방법.
  14. 폴리올레핀에 대한 내찰상성제로서 제 1항에 따른 성분(b) 및 (c)의 혼합물의 용도.
KR1020067027566A 2004-07-07 2006-12-28 내찰상성 폴리올레핀 KR101175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609304P 2004-07-07 2004-07-07
US60/586,093 2004-07-07
PCT/EP2005/052981 WO2006003127A1 (en) 2004-07-07 2005-06-27 Scratch resistant polyolef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979A true KR20070038979A (ko) 2007-04-11
KR101175641B1 KR101175641B1 (ko) 2012-08-22

Family

ID=3497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566A KR101175641B1 (ko) 2004-07-07 2006-12-28 내찰상성 폴리올레핀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390574B2 (ko)
EP (1) EP1776416B1 (ko)
JP (1) JP5209304B2 (ko)
KR (1) KR101175641B1 (ko)
CN (1) CN1997703B (ko)
AT (1) ATE397038T1 (ko)
AU (1) AU2005259262B9 (ko)
BR (1) BRPI0513147B1 (ko)
CA (1) CA2573027C (ko)
DE (1) DE602005007243D1 (ko)
ES (1) ES2307190T3 (ko)
RU (1) RU2386652C2 (ko)
TW (1) TWI427112B (ko)
WO (1) WO2006003127A1 (ko)
ZA (1) ZA2006105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4369A1 (en) * 2005-05-12 2006-11-2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Thermoformed, extruded sheeting with reduced gloss
EP1888686B1 (en) * 2005-06-07 2013-01-23 Basf Se Scratch resistant polyolefins
US7790795B2 (en) * 2006-05-25 2010-09-0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Scratch and mar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s, methods for making and articles made from the same
KR101458235B1 (ko) * 2006-12-21 2014-11-0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충전된 tpo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JP2008260887A (ja) * 2007-04-13 2008-10-30 Yokohama Rubber Co Ltd:The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および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ATE513011T1 (de) * 2007-09-07 2011-07-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Gefüllte tpo-zusammensetzungen mit guter tieftemperaturduktilität
JP2009079117A (ja) * 2007-09-26 2009-04-16 Prime Polymer:Kk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BRPI0906582B1 (pt) 2008-01-25 2019-08-13 Borealis Ag composição compreendendo uma resina epóxi de bisfenol a, seu uso, artigo automotivo e uso de uma resina epóxi de bisfenol a
WO2009138211A1 (en) 2008-05-15 2009-11-19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Scratch-resistant moulded article made from a filled polypropylene composition
KR101402502B1 (ko) * 2008-12-22 2014-06-19 바스프 에스이 내스크래치성의 개선 방법과 관련 제품 및 용도
TWI477547B (zh) * 2009-05-26 2015-03-21 Basf Corp 抗刮聚丙烯
BR112014002876A2 (pt) * 2011-08-11 2017-02-21 Borealis Ag composição com melhorada resistência a arranhão a longo prazo e adesão à superfície reduzida
EP2557117B1 (en) * 2011-08-11 2014-06-11 Borealis AG Composition with improved scratch visibility and low surface tack
RU2632811C2 (ru) * 2013-07-08 2017-10-10 Прайм Полимер Со., Лтд. Композиция пропиленовой смолы и её применение
CN108610553A (zh) * 2018-04-20 2018-10-02 苏州睿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耐划伤pp塑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150436B (zh) * 2021-03-31 2022-12-0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3033A (ja) * 1985-04-09 1986-10-17 Mitsui Petrochem Ind Ltd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S6323964A (ja) * 1986-07-16 1988-02-01 Kao Corp 結晶性高分子用改質剤
US5731376A (en) 1991-07-29 1998-03-2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Scratch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GB9302069D0 (en) 1993-02-03 1993-03-24 Ici Plc Scratch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s
US6497337B1 (en) 1993-05-26 2002-12-24 White Cap,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moting adhesion of thermoplastic elastomers to metal substrates
NO309384B1 (no) * 1995-01-16 2001-01-22 Borealis Holding As Polyolefinlegering med forbedret overflatehårdhet og ripefasthet
US6048942A (en) 1996-09-30 2000-04-11 Montell North America Inc. Thermoplastic olefin articles having high surface gloss and mar resistance
WO1999046321A1 (en) 1998-03-10 1999-09-16 Ferro Corporation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polyolefins and reaction products of a polyolefin and an unsaturated carboxylic reagent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6177515B1 (en) * 1998-12-17 2001-01-23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Polypropylene graft copolymers with improved scratch and mar resistance
US6300419B1 (en) * 1999-12-08 2001-10-09 The Dow Chemical Company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JP2001261902A (ja) 2000-03-17 2001-09-26 Tokuyama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2003692A (ja) 2000-04-18 2002-01-09 Japan Polychem Corp 耐傷付き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100412452B1 (ko) * 2001-03-08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2338778A (ja) 2001-05-16 2002-11-27 Nof Corp グラフト共重合体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US6967225B2 (en) 2003-05-05 2005-11-22 Honda Motor Co., Ltd. Scratch-resistant polypropylen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7104326A (ru) 2008-08-27
US20060009554A1 (en) 2006-01-12
WO2006003127A1 (en) 2006-01-12
EP1776416A1 (en) 2007-04-25
DE602005007243D1 (de) 2008-07-10
BRPI0513147A (pt) 2008-04-29
ES2307190T3 (es) 2008-11-16
JP2008505993A (ja) 2008-02-28
US7390574B2 (en) 2008-06-24
CA2573027C (en) 2013-04-02
EP1776416B1 (en) 2008-05-28
CN1997703A (zh) 2007-07-11
AU2005259262B9 (en) 2011-03-31
AU2005259262B2 (en) 2011-02-24
TW200613424A (en) 2006-05-01
ZA200610568B (en) 2008-08-27
JP5209304B2 (ja) 2013-06-12
KR101175641B1 (ko) 2012-08-22
ATE397038T1 (de) 2008-06-15
AU2005259262A1 (en) 2006-01-12
BRPI0513147B1 (pt) 2016-04-12
TWI427112B (zh) 2014-02-21
RU2386652C2 (ru) 2010-04-20
CA2573027A1 (en) 2006-01-12
CN1997703B (zh)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641B1 (ko) 내찰상성 폴리올레핀
EP2435515B1 (en) Scratch resistant polypropylene
EP1910455B1 (en) Stabilization of polyolefins with liquid tris-(mono-alkyl)phenyl phosphites
US20100240810A1 (en) Liquid Oxyalkylene Bridged Bis- andTris-Phosphite Ester Mixtures
US20070088108A1 (en) Stabilization of polyolefins with liquid cyclic phosphites
JP5153339B2 (ja) 紫外線吸収安定剤の組合せ
US20120259046A1 (en) Scratch Resistant Polypropyl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