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194A - 건설용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건설용 엘리베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38194A KR20070038194A KR1020050093207A KR20050093207A KR20070038194A KR 20070038194 A KR20070038194 A KR 20070038194A KR 1020050093207 A KR1020050093207 A KR 1020050093207A KR 20050093207 A KR20050093207 A KR 20050093207A KR 20070038194 A KR20070038194 A KR 200700381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frame
- car
- wire
- cau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15—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machine ro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각 층마다 발판이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자동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각 층의 발판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카;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차와,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차를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권상기를 포함하는 기계실;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카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상기 카의 무게와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도르래부재; 및 상기 회전차와 상기 도르래부재에 각각 걸려, 일단은 상기 균형추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카와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프레임 상부의 하중이 경량화될 수 있어, 강풍이나 지진발생 등의 자연재해에 의해 프레임이 기울어져 추락하거나 낙하되는 위험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권상기의 설치가 쉽고 간단하므로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설용 엘리베이터, 카, 기계실, 균형추, 도르래, 와이어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엘리베이터가 해상의 선박에 사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엘리베이터가 지상의 건축물에 사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카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카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0a : 상부지지대
10b : 하부지지대 11 : 발판
20 : 카 20a : 도어
30 : 기계실 31 : 권상기
32 : 회전차 40 : 균형추
50 : 도르래부재 51 : 제 1도르래
52 : 제 2도르래 53 : 제 3도르래
54 : 제 4도르래 55 : 제 5도르래
60 : 와이어
본 발명은 건설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저층에서 고층 건물에 이르기까지 사람 및 화물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송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모든 건물에 필수적인 설비이며, 기타 산업용, 건축용, 특수용 등 다양한 용도의 엘리베이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의 각 층에는 승강로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한편, 선박을 건조할 때 통상 선박의 높이가 높으므로 작업자가 선박의 외부 벽면 작업시에 이동설비로서 선박용 곤도라나 대형 크레인 승선박스를 이용하였고, 종래의 건설공사용 타워 엘리베이터에서도 공사인부나 건축자재를 적재, 운반하는 적재함을 이용하여 중량물의 적재나 하역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종래 건설공사용 엘리베이터에는 카가 와이어에 의해 승강로 안에 매달려 있으며, 카용 가이드레일에 의해서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건출물 상부에 기계실이 위치하여, 전동기와 연결되어 있는 권상도르래, 제어반 등이 기계실 내에 탑재되어 있다. 권상기는 카의 상부면과 승강로의 최상면 사 이에 형성되는 안전 거리부에 해당되는 승강로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었다.
전술한 구성의 종래 건설공사용 엘리베이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철골 프레임으로 제작된 건설용 엘리베이터는 해상에서 선박을 건조하거나 지상에서 건축물 시공시 강풍이나 지진발생 등의 자연재해시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권상기의 하중이 많이 나가 프레임이 기울어져 추락이나 낙하의 위험이 있다.
또한 동력전달장치인 권상기의 고장이 생길 경우 권상기가 위치된 프레임의 상부까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올라가야 하므로 권상기를 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프레임 상부에 권상기를 포함한 기계실의 설치가 어려우며, 설치공간도 많이 필요하여 공간상 제약이 많이 따르며, 제작비, 시공비, 유지보수비가 많이 든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 상부의 하중이 경량화될 수 있어, 강풍이나 지진발생 등의 자연재해에 의해 프레임이 기울어져 추락하거나 낙하되는 위험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권상기의 설치가 쉽고 간단하므로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설용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설용 엘리베이터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각 층마다 발판이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 치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자동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각 층의 발판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카;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차와,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차를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권상기를 포함하는 기계실;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카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상기 카의 무게와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도르래부재; 및 상기 회전차와 상기 도르래부재에 각각 걸려, 일단은 상기 균형추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카와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부재는, 상기 회전차와 이격되며,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위치한 제 1도르래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되, 상기 제 1도르래의 연직상방에 위치한 제 2도르래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되, 상기 제 2도르래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카의 연직상방에 위치한 제 3도르래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되, 상기 제 3도르래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4도르래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되되, 상기 제 4도르래의 연직하방에 위치한 제 5도르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일단이 상기 균형추에 결합된 와이어는 상기 제 2도르래와 상기 제 1도르래와 상기 회전차에 차례로 걸리고, 타단이 상기 카에 결합된 와이어는 상기 제 3도르래와 상기 제 4도르래와 상기 제 5도르래에 차례로 걸리며, 상기 회전차와 상기 제 5도르래에 걸린 와이어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엘리베이터가 해상의 선박에 사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엘리베이터가 지상의 건축물에 사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건설용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상에서 선박(12)의 외부 벽면에 용접이나 도장 등의 작업시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의 건출물(13) 시공시 작업자나 건축자재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건설용 엘리베이터는 해상, 지상 등의 건설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설용 엘리베이터는 프레임(10)과 카(20)와 기계실(30)과 균형추(40)와 도르래부재(50)와 와이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1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각 층마다 발판(11)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10)은 형강, 평강, 강판 등의 강재를 사용하여 이들을 리벳,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조립한 구조이다.
프레임(10) 내의 상부에는 상부지지대(10a)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하부 지지대(10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지지대(10a)와 하부지지대(10b)의 쓰임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카(20)는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자동 개폐되는 도어(20a)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카(20)는 프레임(10)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여 내부공간이 각 층의 발판(11)과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계실(30)은 프레임(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다. 기계실(30) 내에는 회전차(32)와 권상기(31)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차(32)와 권상기(31) 외에도 여러가지 제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권상기(31)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회전차(32)를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차(32)는 원판 형상이며, 후술하는 와이어(60)가 걸리므로 회전차(32)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60)가 이동하게 된다.
균형추(40)는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카(20)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한다. 즉, 카(20)가 상승하면 균형추(40)는 하강하며, 카(20)가 하강하면 균형추(40)는 상승한다. 이러한 균형추(40)는 카(20)의 무게와 균형을 유지한다.
도르래부재(50)는 프레임(10)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며, 제 1도르래(51)와 제 2도르래(52)와 제 3도르래(53)와 제 4도르래(54)와 제 5도르래(5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도르래(5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30)에 설치된 회전차 (32)와 이격되며, 프레임(10) 내의 하부지지대(10b)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 1도르래(51)에는 회전차(32)에 걸린 와이어(60)가 걸림으로써, 와이어(60)가 프레임(10) 일측의 연직상방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제 2도르래(52)는 프레임의 상단에 상부지지대(10a)에 설치되되, 제 1도르래(51)의 연직상방에 위치한다. 제 2도르래(52)에는 제 1도르래(51)에 걸린 와이어가 걸림으로써, 와이어(60)가 프레임(10)의 연직하방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제 2 도르래(52)에 의해 프레임(10)의 연직하방으로 위치된 와이어(60)의 일단에는 균형추(40)가 결합되어 있다.
제 3도르래(53)는 프레임(10)의 상단에 상부지지대(10a)에 설치되되, 제 2도르래(52)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제 3도르래(53)는 카(20)의 연직상방에 위치한다. 제 3도르래(53)에 걸려 프레임(10)의 연직하방으로 위치된 와이어(60)의 타단에는 카(20)가 결합되어 있다.
제 4도르래(54)는 프레임(10)의 상단에 상부지지대(10a)에 설치되되, 제 3도르래(53)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 4도르래(54)에는 제 3도르래(53)에 걸린 와이어(60)가 걸림으로써, 와이어(60)를 프레임(10)의 연직하방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제 5도르래(55)는 프레임(10)의 하부에 하부지지대(10b)에 설치되되, 제 4도르래(54)의 연직하방에 위치한다. 제 5도르래(55)에는 제 4도르래(54)에 걸린 와이어(60)가 걸림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위치한 와이어(60)를 수평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며, 제 5도르래(55)에 걸린 와이어(60)는 상기에서 설명한 회전자 (32)에 걸린 와이어(60)와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60)는 상기에서와 같이 회전차(32)와 도르래부재(50)에 각각 걸리며, 일단은 균형추(40)와 결합되고, 타단은 카(20)와 결합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카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카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카(20)가 상승하고, 균형추(40)는 하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계실(30)에 설치된 권상기(31)에 의해 회전차(32)가 본 명세서의 도 5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차(32)의 회전에 의해 제 5도르래(55)에 걸린 와이어(60)를 회전차(32)가 위치한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제 4 도르래(54)에 걸린 와이어(60)는 하방으로, 제 3도르래(53)에 걸린 와이어(60)는 제 4도르래(54)측으로 각각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 3도르래(53)에 걸린 와이어(60)의 타단에 결합된 카(20)는 프레임(10)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회전차(32)의 회전에 의해 제 1도르래(51)에 걸린 와이어(60)는 프레임(10)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2도르래(52)에 걸린 와이어(60)는 하방으로 이동하함으로써, 균형추(40)는 프레임(1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카(20)의 무게와 균형을 유지한다.
상기와 반대로 카(20)가 하강하고, 균형추(40)가 상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권상기(31)에 의해 회전차(32)가 본 명세서의 도 6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차(32)의 회전에 의해 제 1도르래(51)에 걸린 와이어(60)를 회전차(32)가 위치한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제 2도르래(52)에 걸린 와이어(60)는 본 명세서의 도 6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 2도르래(52)에 걸린 와이어(60)의 일단에 결합된 균형추(40)는 프레임(10)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회전차(32)의 회전에 의해 제 5도르래(55)에 걸린 와이어(60)는 프레임(10)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4도르래(54)에 걸린 와이어는 제 3도르래(53)측으로, 제 3도르래(53)에 걸린 와이어는 하방으로 각각 이동함으로써, 카(20)는 프레임(10)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설용 엘리베이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프레임 상부의 하중이 경량화될 수 있어, 강풍이나 지진발생 등의 자연재해에 의해 프레임이 기울어져 추락하거나 낙하되는 위험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권상기의 설치가 쉽고 간단하므로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
-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각 층마다 발판이 구비된 프레임;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자동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각 층의 발판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카;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차와,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차를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권상기를 포함하는 기계실;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카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상기 카의 무게와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추;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도르래부재; 및상기 회전차와 상기 도르래부재에 각각 걸려, 일단은 상기 균형추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카와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엘리베이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도르래부재는,상기 회전차와 이격되며,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위치한 제 1도르래와,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되, 상기 제 1도르래의 연직상방에 위치한 제 2도르래와,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되, 상기 제 2도르래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카의 연직상방에 위치한 제 3도르래와,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되, 상기 제 3도르래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4도르래와,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되되, 상기 제 4도르래의 연직하방에 위치한 제 5도르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일단이 상기 균형추에 결합된 와이어는 상기 제 2도르래와 상기 제 1도르래와 상기 회전차에 차례로 걸리고,타단이 상기 카에 결합된 와이어는 상기 제 3도르래와 상기 제 4도르래와 상기 제 5도르래에 차례로 걸리며,상기 회전차와 상기 제 5도르래에 걸린 와이어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설용 엘리베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3207A KR20070038194A (ko) | 2005-10-05 | 2005-10-05 | 건설용 엘리베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3207A KR20070038194A (ko) | 2005-10-05 | 2005-10-05 | 건설용 엘리베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8194A true KR20070038194A (ko) | 2007-04-10 |
Family
ID=3815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3207A KR20070038194A (ko) | 2005-10-05 | 2005-10-05 | 건설용 엘리베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3819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5121B1 (ko) * | 2007-05-22 | 2009-04-29 | (주)상아엘리베이터 | 엘리베이터용 구동장치의 설치구조 |
-
2005
- 2005-10-05 KR KR1020050093207A patent/KR200700381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5121B1 (ko) * | 2007-05-22 | 2009-04-29 | (주)상아엘리베이터 | 엘리베이터용 구동장치의 설치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8531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use of a hoisting machine | |
JP6296249B2 (ja) | 大型船舶と海洋プラント建造用超大型エレベーター | |
KR101923924B1 (ko) |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 |
JP2000247560A5 (ko) | ||
KR102480892B1 (ko) |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 |
KR101766914B1 (ko) |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
JP6477255B2 (ja) |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 |
CN116249668A (zh) | 升降机设备 | |
JP4849431B2 (ja) |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 |
JP4376585B2 (ja) |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 |
KR101923925B1 (ko) |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 |
KR20070038194A (ko) | 건설용 엘리베이터 | |
KR102402799B1 (ko) | 기계실 및 승강로 구조물이 필요없는 트윈 마스트 구조의 로프식 탑승카 자체구동 고하중용 승강기 | |
CN215248971U (zh) | 一种高层、超高层建筑大型超重机电设备吊运施工装置 | |
JP6504589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01097649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CN114439213A (zh) | 井道操作平台装置及其施工方法 | |
JPH09272671A (ja) | エレベーターの据付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 |
JP2003201074A (ja) |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方法および装置 | |
KR102443566B1 (ko) | 수직개폐형 도어패널의 추락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시간을 단축시킨 대형 및 초대형 엘리베이터 | |
JP2000086113A (ja) | 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据付工法 | |
KR101791857B1 (ko) | 엘리베이터용 하부체대구조 | |
KR102566304B1 (ko) | 구동 권상기가 균형추에 구비된 기계실이 필요없는 승객용, 인화물용, 화물용, 건설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 |
JP2008001509A (ja) | 屋上エレベーター機械室の構造 | |
JPH07237848A (ja) | エレベーターの据付け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