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022A - 가시부와 광원을 갖는 가소성 부품 - Google Patents

가시부와 광원을 갖는 가소성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022A
KR20070038022A KR1020060097657A KR20060097657A KR20070038022A KR 20070038022 A KR20070038022 A KR 20070038022A KR 1020060097657 A KR1020060097657 A KR 1020060097657A KR 20060097657 A KR20060097657 A KR 20060097657A KR 20070038022 A KR20070038022 A KR 20070038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visible
light source
molding compound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209B1 (ko
Inventor
미카엘 카이저
랄프 할라
베르너 카기
Original Assignee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filed Critical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3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4Lighting devices embedded in interior trim, e.g. in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소성 몰딩 화합물의 하나의 단일층으로 제조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가시부, 그리고 가시부의 표면 아래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램프 요소들을 포함하는 광원을 갖는 가소성 부품에 관한 것이다. 가시부는 필수적으로 일광과 관련하여 불투명하고 램프 요소들에 의해 방출된 광선에 관하여는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도록 제공된다. 가시부는 또한 혼합된 효과안료를 함유하고, 광원이 비활성일 때는 표면 외관 이미지를 필수적으로 가소성 부품이 설비된 물체의 나머지 벽의 표면 외관 이미지에 대응하고, 광원이 활성일 때는 필수적으로 광원활성에 의해 결정되는 표면 외관 이미지로 특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은 램프 요소들은 발광 다이오드,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광섬유 조명 시스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램프 요소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시부의 가소성 몰딩 화합물에 매설된다. 본 가소성 부품의 다양한 용도는 주택의 매우 다양한 장치들 뿐 아니라 차량, 패널 부재, 및 가구의 설비를 포함한다.
가소성 몰딩 화합물, 가소성 부품, 램프 요소, 발광 다이오드

Description

가시부와 광원을 갖는 가소성 부품{PLASTIC COMPONENT HAVING VISIBLE PART AND LIGHT SOURCE}
본 발명은 2005년 10월 5일 출원된 독일특허출원 DE 10 2005 047 500.0을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첨부된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제1항의 서문에 따라, 가소성 몰딩 화합물의 하나의 층으로 제조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가시부, 그리고 가시부의 표면 아래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램프 요소들을 포함하는 광원을 갖는 가소성 부품에 관한 것이다. 가시부는 필수적으로 일광과 관련하여 불투명하고 램프 요소들에 의해 방출된 광에 관하여는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도록 제공되고 혼합된 효과안료(effect pigment)를 함유한다. 그러므로, 가시부는 광원이 비활성일 때는 표면 외관 이미지를 필수적으로 가소성 부품이 설비된 물체의 나머지 벽의 표면 외관 이미지에 대응하고, 광원이 활성일 때는 필수적으로 광원활성에 의해 결정되는 표면 외관 이미지로 특징된다.
활성상태에서만 보이고 그렇지 않으면 실제적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광원들 은 자동차 구성에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이들은 낮 동안에는 작동하지 않는 도어핸들 조명 또는 숨겨진 방향지시등으로서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가소성 부품들은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를 갖는 열가소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가소성 몰딩 화합물로 제조되고, 이것은 통상적으로 장식특성을 갖는 가능한 한 후면-주입된 필름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한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의 사용이, 예를 들면, DE 198 05 771 A1 및DE 197 22 958 A1에 자동차 구성에서 알려져 있다. 차량에 이은 지면과 같은 조명된 필드를 밝히기 위한, 또는 스위치 요소들을 조명하기 위한 백열 램프들은 그 안에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되어 있는데, 이들 LED들은 전기에너지를 덜 소모하고 열을 덜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하여, LED의 사용기간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용기간을 초과한다. DE 199 28 201 A1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는 eh한 자동차의 직접적인 주변을 조명하기 위해 광학섬유와 결합될 수 있다. DE 199 47 752 A1에 따르면, LED는 자동차 도어의 후미진 핸들과 같은 기능적 요소들의 간접 조명으로서 사용된다.
발광 다이오드의 용도는 차량 분야와 관련없는 기술적 영역에도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실제 적용에 맞춰지고 연관된 광학축의 주변에서 광선 강도 분포를 갖는 LED는 박물관, 디스플레이 창문, 쇼케이스 등을 위한 빛과 관련하여 독일 실용신안 DE 20 2004 000 004 U1에 알려져 있다. 가정 설비에서 LED의 용도에 관한 선택으로서, 형광튜브가 독일 실용신안 DE 85 33 229 U1에 알려져 있고, 이것은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도어 핸들의 조명으로 사용된다.
자동차 구성에서 필름의 용도는 입증되어 있지만, 필름의 사용은 지금까지는 극히 다른 요구사항을 갖는 자동차의 모든 차량 바디 영역에 알맞는 필름이 없었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VDI-Gesellschaft fur Kunststoffechnik B 4270:KUNSTSTOFFE IM AUTOMOBILBAU [PLASTICS IN AUTOMOBILE CONSTRUCTION], VDI Verlag GmbH, Dusseldorf 2005, 2005년 3월 9일~10일 만하임 회의에서 보고됨 "Folientechnik im Automobilbau - ein Vergleich [Film Technology in Automobile Construction - a Co. mparison]" 145-159쪽 참조).
DE 693 31 711 T2(이것은 특허 EP 0 746 477 B1의 변역물이다)로부터, 반사표면 상에 광반사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장치가 알려져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면에 따르면, 이 문헌은, 예를 들면 자동차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조명장치를 언급한다. 이 조명장치는 심미적으로 더욱 호감가는 형태를 제공하고 입사광으로부터의 반사를 기존의 알려진 조명보다 더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문헌은 조명 또는 신호장치(예를 들면, 차량용 조명)를 개시하고, 이것은 그것의 스위치-꺼짐 상태는 차량의 불투명 바디의 일부이고, 스위치-켜짐 상태는 조명 또는 신호 작용을 충족한다.
DE 696 04 502 T2(이것은 특허 EP 0 858 647 B1의 번역물이다)로부터, 다층 디스플레이 패널이 알려져 있다. 이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제1층, 적어도 선택된 영역은 일정한 대조(광학, 색)로 작용하는 제2층, 및 제1층과 제2층을 연결하는 제3층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제1층은 광선 변형 입자들이 매설(embed)되어 있는 투명 캐리어를 갖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이 집적되어 있는 선택적인 가소성 부품을 제안하는 것으로, 이것은 에너지화된 상태에서 신호작용을 수행하지만, 비활성 상태에서는 인식할 수 없다. 통상의 광선은 또한 넓은 물리적 의미에서 신호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목적은 가소성 몰딩 화합물의 하나의 단일층으로 제조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가시부, 및 가시부의 표면 아래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램프를 포함하는 광원을 갖는 가소성 부품을 제안하는 제1항의 특성에 의해 달성된다. 가시부는 일광과 관련하여 필수적으로 광선을 통과시키지 않고 램프 요소들에 의해 방출된 광선에 관하여는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도록 제공된다. 가시부는 혼합된 효과안료를 함유하며, 광원이 비활성일 때는 필수적으로 가소성 부품이 설비된 물체의 나머지 벽의 표면 외관 이미지에 대응하고, 광원이 활성일 때는 필수적으로 광원활성에 의해 결정되는 표면 외관 이미지로 특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은 램프 요소들은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광섬유 조명 시스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램프 요소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시부의 가소성 몰딩 화합물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특성 뿐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들의 특히 바람직한 정교함 및 특히 바람직한 그것의 용도는 청구항을 가져온다. 광섬유 시스템은 광섬유를 포함하고, 이것은 예를 들면 가소성 부품 외부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들의 가시부들은 선행기술에 알려져 있는 필름보다 이점을 제공하고, 이것은, 특히 자동차 공업의 고품질 요구사항을 충족시기기 위해, 동일한 또는 더 나은 품질로 더욱 단순한 제품의 성형되고 후면-주입된 것이어야 한다. 특히 갈라진 틈과 얼룩 또는 부서진 지점이 종종 압연(deep-drawn) 필름에 발생하고, 이것은 그것으로 제조된 물질의 품질과 전체적 호감을 약화시킨다. 그러므로, 비용은 절감될 수 있고 성분들의 가시적 품질은 본 발명에 의해 향상될 수 있고, 이것은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들의 시장기회를 증가시킨다.
이 타입의 가소성 부품들은 특히 자동차 차량에, 예를 들면, 외부 거울 하우징 또는 외부 도어 핸들로서 사용되지만, 그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심미적인 이유로 이들 가소성 부품들은 빈번히 그것의 색 및/또는 가시적 효과면에서 차량의 표면과 상응하는 표면이 제공되도록 요구되어진다. 표면이 금속성, 간섭, 진주광택 또는 단백광 효과를 일으킨다면, 특히 표면을 결정하는 층에 높은 요구사항이 있다. 이에 더하여, 이와 같은 성분들은 특히 스크래치 내성 및 내후성 표면을 가져야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성분들은 또한 특히 양호한 기계적 특성, 특히 높은 충격강도를 가져야만 한다.
바람직한 가소성 부품들은 가시부가 사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의 특별한 방법을 통해 생산되고 가시면(visible face)과 그로부터 다른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사출지점을 갖는 사출표면을 갖는다. 첫번째 바람직한 변화에서, 이와 같은 가소성 부품들은 후면에 램프 요소 또는 램프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홈(recess) 또는 홈들을 갖는 가시부를 포함한다.
가시부는 부가적으로 가시면 상의 안료에 영향 없이 투명 또는 반투명 표면층을 갖는다. 효과안료는 또한 이 경우에 (밑에 놓인) 가시부에만 함유된다. 이 표면층은 사출성형 동안 직접 적용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예를 들면 보호 래커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 추가의 표면층 및/또는 가시부는 일정한 두께 대신 선택적인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 프로파일은 가시부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상에 및/또는 추가의 표면층의 표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밑에 램프 요소들을 갖는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 완화는 바람직하기는 특정 지점, 예를 들면 가장자리에서 활성 광원에 의해 강조된다. 가시부의 가시면 상에 완화를 놓음으로써 그리고 추가의 표면층을 사용함으로써 이 완화의 불균등을 균형있게 함으로써, 완화 효과가 얻어질 수 있지만, 성분의 외부 표면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드럽게 제조될 것이고, 따라서 이 가소성 부품은 덜 더러워지고 및/또는 세척하기 간단하다.
두번째 변화의 가소성 부품은 바람직하기는 추가의 기저 부재를 포함하고, 이것은 조성과 물리적 및 화학적 가소적 특성이 가시부와 다를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고, 가소성 부품의 기저 부재는 이미 고형화된 가시부의 사출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사출성형된다. 그러므로, 두번째 바람직한 변화에 따른 가소성 부품은 바람직하기는 2-성분 또는 다성분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가시부의 가시면에 추가의 표면층의 적용이 또한 가능하다.
램프 요소들은, 특히 이들이 발광 다이오드일 때,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설되어, 물질적으로 결합되고 및/또는 가시부의 가소성 몰딩 화합물에 맞는 형태, 예를 들면 압출 코팅 또는 주조형태를 갖는다. 더우기, 가소성 부품은 바람직하기는 이 벽의 표면과 동일면에 가시면을 갖는 물질의 벽에 설치된다. 공공 전력공급원에 연결됨 없이 물체 중에 또는 물체 상에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은 LED의 낮은 전력소모 덕분에 태양광으로부터의 광전력 발생을 사용하는 것을 확실히 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선택적으로, 배터리는 완충 또는 단독 전력 공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들에서의 램프 요소들은 종종 최소한 주변 밝기 이하 또는 어둠에서 먼저 활성화되고, 그리고 나서 그들의 최대의 효과를 드러낸다.
본 발명에 정의된 "물체"는 비행기, 자동차, 모터 스쿠터 또는 배와 같은 임의의 차량일 수 있다. 또한, "물체"는 신호 패널, 신호 포스트, 또는 교통신호등과 같은 신호 유니트 뿐만 아니라 외부 광고탑, 광고 패널, 잠복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광고 매질을 포함한다. 빌딩, 도로 또는 차량의 디자인 및/또는 패널 요소, 뿐만 아니라 스포츠 및/또는 레크레이션 장비, 패션 악세서리, 완구, 및/또는 그들의 일부도 또한 "물체"에 속한다.
구조물의 가시면 영역(외부 및 가능하기는 내부도)은 본 명세서에서 "벽"으로 언급된다. 이와 같은 구조물은 캐빈, 하우징, 뿐만 아니라 하우징 부재 및/또는 전기, 전자, 통신, 보안기술, 의학기술, 가사, 및/또는 신체 보호 장비를 포함한다. 가구 및 포장 부재의 표면도 "벽"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에서, 광원은 바람직하기는 신호화 광원으로 제공되고, 이 신호는 고정 또는 이동상의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깜박이는 광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단색(흑/백 표현) 또는 다색(예를 들면, 이론적으로 1670만 (16.7 million)의 색 변화를 갖는 RGB 색 표현)을 갖는 다-면적 LED 모듈이 사용된다. 그리고 나서 LED는 바람직하기는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배열에 위치되고, 각 LED는 생성될 영상의 한 화소에 정확히 대응한다. 이와 같은 배열은 또한 "LED 클러스터"로 언급될 수 있고, My-tronic GmbH(D-54497 Morbach, Germany)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 및/또는 비디오 필름 시퀀스를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특별히 높은 광선 강도를 갖는 LED는 특히 바람직하고, 따라서 양호한 가시성과 강한 대조를 갖는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물론, 더 작은 디멘젼을 갖는 LED를 사용함에 의해 영상의 해상도가 증가되거나 또는 동일한 해상도에서 영상이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영상을 표현하는 LED 모듈 또는 LED 클러스터는 바람직하기는 컴퓨터 또는 전자조절 유니트에 의해 활성되거나 조절될 수 있고; 컴퓨터는 휴대용 컴퓨터(예를 들면, 랩탑, 노트북, 또는 휴대전화), 물체 및/또는 차량에 장착된 추가의 컴퓨터, 또는 차량 자체에 탑재된 컴퓨터일 수 있다. LED 모듈은 또한 또 다른 것 뒤쪽의 것에 위치한 LED를 갖는 선형 배열로 제공될 수 있고 광사슬을 형성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지표 및 차량, 경고 깜박이, 또는 차량의 경고등 또는 고정 장비(거리 신호 등), 깜박이 신호(교통신호에서의 작은 색깔있는 사람들, 교통방향지시 화살표등), 및 다른 광학적 알람 신호(보안 알람 시스템에서 의 깜박이 신호)가 "깜박이 광선"으로 간주된다.
"영상"은 단색 또는 다색일 수 있다. "고정 영상"은, 예를 들면, 거리신호의 방향지시 화살표를 포함한다. "이동 영상"은 가변 칼라 및/또는 서로로의 색흐름 또는 펄스, 숏필름, 로고, 문장, 광고 슬로건, 이동 채색 필적 등과 같은 정보 내용을 갖는 표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효과안료"는 폴리머 매트릭스에 제공된 불용성 입자들로 정의된다. 그들의 타입, 크기, 및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 내에서의 현재 농도 또는 분포에 따라, 이와 같은 효과안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입사 전자파(특히 가시광 파장범위, UV 또는 IR 및/또는 NIR 범위에서)를 반사, 산란 또는 흡수하고 몇몇 방법으로 이들 파장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통상의 입사일광으로, 본 기술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들 그것에 및/또는 그것 아래에 숨겨지며, 즉 그들의 특히 불활성 상태에서의 개별적인 광원 또는 복수개의 광원은 감추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평균시력에는 숨겨진다. 일광에서도 활성화된 광원 또는 연결된 광선 또는 그것에 의해 생성된 영상은 볼 수 있고, 그러나 감소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 일광으로 더욱 분명하고 강조된다.
NIR-민감 첨가제가, 예를 들면, 가소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을 처리하기 위한 레이저 몰딩 또는 레이저 명각(inscription)에 사용될 수 있다. 금속 입자들, 알루미늄/청동 분말, 간섭안료, 천연(무색) 및 착색 래커된 알루미늄 글리터, 및 무기 운모가 특히 투명 가소제에 사용하기 위한 효과안료로서 알려져 있다(Schafer/Kusters in Chapter 1.3: Rohstoffe fur Masterbatches [Raw materials for Masterbatches] in FARB- UND ADDITIV-MASTERBATCHES IN DER PRAXIS [COLOR AND ADDITIVE MASTERBATCHES IN PRACTICE], 2003, published by Masterbatch Verband im Verband der Mineralfarbenindustrie e.V., Frankfurt am Main, Germany). 이들 발명자들은 또한 극히 미세한 진주광택의 효과안료를 사용할 때 연결 라인의 발생에 관하여 언급한다. 알루미늄 브론즈와 골드 브론즈 안료는 예를 들면, 상표명 PHOENIX®(ECKERT GmbH & Co.KG, Furth, Germany)으로 시판된다. 또한, 진주광택의 안료 및/또는 진주광택 입자들이 알려져 있고, 이들은 가시부에서 동일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경우, 가능한 기저 부재는 어두운 색이 바람직하다. 금속성 안료, 특히 알루미늄 글리터(EP 0 994 415) 또는 진주광택 입자들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이들 효과입자들의 임의의 혼합물들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효과입자들은 바람직하기는 칼라 농축물로 미리 혼합되고 마스터배치 또는 액체분산액으로서 사출성형 나사의 주입구에 투여된다.
가시부의 가소성 몰딩 화합물은 PA MACM 12, PA PACM 12(또한 공개된 특허출원 JP 11 279 289)와 같은 폴리아미드; COC(시클릭 올레핀 코폴리머); PMMA(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I(폴리메틸 메타크릴이미드); 폴리에스테르(여러가지 호모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및 그들의 블렌드); PC(폴리카보네이트) 뿐 아니라 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머 및 그들의 블렌드; PS(폴리스티렌) 및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머); SAN(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ASA(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다른 스티렌 코폴리머 및 그들의 블렌드; CA, CP 및 CAB와 같은 셀룰로스 에스테르; PI(폴리이미드) 및 PEI(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술폰 및 폴리에테르 술폰(PES, PSU, PPSU), 폴리페닐렌(PPO, PPE), 폴리아크릴레이트(PAR)를 포함하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뿐 아니라 이들 폴리머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폴리머를 포함한다.
투명 폴리아미드는 그 자체로(코폴리아미드의 형태로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딩 화합물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고, 이것은 예를 들면, 다음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로부터 생산된다:
ㆍ1,6-헥사메틸렌디아민, 2-메틸-1,5-디아미노펜탄,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1,9-노나메틸렌디아민, 1,10-데카메틸렌디아민, 또는 1,12-도데카메틸렌디아민과 같은 6~14개의 C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지방족 디아민;
ㆍ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프로판,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2,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 또는 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민과 같은 6~22개의 C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아민;
ㆍm- 또는 p-크실렌 디아민 또는 비스(4-아미노페닐)프로판과 같은 8~22개의 C 원자를 갖는 방향지방족(araliphatic) 디아민;
ㆍ아디프산, 2,2,4- 및/또는 2,4,4-트리메틸 아디프산, 아젤란산, 세바스산 또는 1,12-도데칸디온산과 같은 6 ~22개의 C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ㆍ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 4,4'-디카르복실디시클로헥실메탄, 3,3'-디 메틸-4,4'-디카르복실디시클로헥실메탄, 4,4'-디카르복실디시클로헥실프로판, 및 1,4-비스(카르복실메틸)시클로헥산과 같은 6~22개의 C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
ㆍ4,4'-디페닐메탄 디카르복실산과 같은 8~22개의 C 원자를 갖는 방향지방족 디카르복실산;
ㆍ이소프탈산, 트리부틸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 1,5-, 2,6- 및/또는 2,7-나프탈린 디카르복실산, 디페닌산, 또는 디페닐에테르-4,4'-디카르복실산과 같은 8~22개의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ㆍ최대 44개의 C 원자, 바람직하기는 36개의 C원자를 갖는 다이머화 지방산;
ㆍε-카프로락탐, ε-아미노 카프론산, 카프릴 락탐, ω-아미노 카프릴산, ω-아미노 운데카논산, 라우린 락탐, 또는 ω-아미노 도데카논산과 같은 6~12개의 C 원자를 갖는 락탐 및/또는 상응하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
투명 코폴리아미드 PA 12/MACMI와 PA MACM/PACM 12 및 그것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 뿐만 아니라 PA MACM 12와 PA PACM 12 같은 투명 호모폴리아미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EP 1 369 447로부터 알려진 PA MACM/PACM 12가 특히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투명 또는 균일한 투명 가시부는 폴리프로필렌, 포화 선형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PET) 및 선형 지방족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PA 6, PA 66, PA 6 과 PA 66으로 만들어진 혼합물, PA 11, PA 12)같은 부분적으로 결정성 폴리머로부터 적절한 프로세싱 및/또는 냉각 조건 하에서 그리고/또는 적절한 층 두께를 산출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연화제, 정전기 방지제, 내염제, 충진제, 착색제, 항료 잉크 및/또는 방향제, 안정제 (예를 들면, 열 및 UV 안정제 및/또는 UV 흡수제), 그리고 안료 같은 시판되는 첨가제가 가시부를 위해 가소성 성형 혼합물에 필요에 따라 혼합된다. 유리 섬유, 유리 비드 및 미네랄 첨가제 (특히 나노 규모의 미네랄 및/또는 나노 혼성물)같은 강화제가 가시부의 가시성 효과가 그것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한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선행 기술로부터 필수적으로 알려진 이러한 성형 혼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 및 가능한 한 기저 부품을 포함하는 가소성 부품, 혼합된 효과안료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기질을 포함하는 가시부에 대한 가소성 성형 혼합물 형태로 가공된다. 효과안료 입자 및/또는 효과안료는 예를 들어, 색 농축액으로써 미리 혼합되고 마스터배치나 액체 분산 같은 사출 성형 스크류의 흡입구를 통해 주입된다. 선택적으로, 상응하는 가소성 과립은 사출 성형(예를 들면, 혼합하는 것을 통해) 전에 산출되고 이 과립은 사출 성형 기계에 사용된다. 가능한 한 제공된 기저 부품은 가시부과 비교하여 다른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가소성 성질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또한 가시부과 기저 부품은 동일한 폴리머 기질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기저 부품은 가시부에 대한 설치 골조 및 LED 활성을 위한 인쇄물로서, 또한 LED를 안전하게 포함하는 하우징, 인쇄물, 가능하기는 전지, 냉각 요소 등과 같은 추가 설비로서 제공될 수 있다.
가시부의 필수 특성은 다음의 면들을 포함한다:
ㆍ 자외선 복사, 열, 광선, 습기, 추위 및 화학 물질에 대한 높은 내성; 높 은 내마모성, 높은 충격 강도, 고광택.
ㆍ 효과안료는, 그들이 이와 같은 매트릭스에 분포한다면, 금속성 또는 진주광택 효과와 같은 간섭 효과를 제공한다.
ㆍ 이 매트릭스가 더욱 반투명 또는 투명할수록, 색 효과 특히 개개의 효과 입자의 광택감이 더욱 명확해진다.
ㆍ 효과안료의 두께 효과는 매트릭스의 투명성의 함수이다. 그러나, 단지 불완전하게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매트릭스 재료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ㆍ 선택적으로, 또한, 다른(예를 들면, 가용성) 착색제가 가시부를 위해 가소성 몰딩 화합물에 혼합되어, 예를 들면, 효과안료 및/또는 물체의 나머지 벽에 맞는 어느 임의의 투명색 톤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의 특정 변화를 산출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은 출원번호 CH 2004 01563/04의 2004년 9월 24일의 본 출원의 스위스 특허 출원 및 출원번호 US 60/612,639의 2004년 9월 24일의 US Provisional Application에 개시되었다. 이 사출 성형 방법은 상기 언급된 두 공고되지 않은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유럽 특허 출원 EP 1 640 134 A1에 또한 개시되었다. 이 사출 성형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 또는 기저부를 갖는 열가소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가소성 몰딩 화합물로 만들어진 가소성 부품을 생산하기에 알맞고, 상기 가시부를 위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은 혼합된 효과안료를 갖는 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부 또는 기저부는 가시부와 다른 물리적 또는 화학적 가소성 특성을 갖는다. 이 사출성형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가시면(face)과 그것으로부터 방향이 빗나간 사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 가소성 몰딩 하합물을 사출성형하고 이것을, 제1 가시성 몰드 하프(half)와 제1 사출성형 하프로 정의되는 제 1강을 갖는 제1 몰드에서 고형화시키는 단계;
b) 제1 사출성형 하프로부터 제 1 가시성 몰드 하프를 이동시킴으로써 분할 면에 따라 제1 몰드를 여는 단계;
c) 가시부를 갖는 리셉터클 몰드 하프와 제2 사출성형 하프로 정의되는 제2강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를 이용하여 제2 몰드를 닫는 단계:
d)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의 사출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기능부 또는 기저부의 가소성 몰딩 화합물을 사출성형하고 이것을, 가시부와 기능부 또는 기저부 사이에서 결합 부착되는 동안 고형화시키는 단계; 및
e) 제2 몰드를 열고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
만일 램프 요소들 (특히 그들이 발광 다이오드인 경우)이 본 발명에서, 가시부의 가소성 몰딩 화합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설되지 않았다면 그들은, 물질적으로 결합되고 및/또는 형태에 맞게 끼워지고, 기저부가 제공된다면, 가시부의 사출면의 일부만이 기저 물질에 의해 덮인다. 나머지 영역은 램프 요소 또는 램프 요소들이 가시부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기 위해 사용되지 않고 남아야 한다.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SEBS(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 또는 SBS(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와 같은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 스토머 (TEEE); 실리콘 (이것은 후에 가교-결합된다); ABS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머), 또는 PVC 뿐만 아니라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의 군으로부터 사출 성형이 가능한 열가소물이 기저부의 생산에 알맞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특히 기능부 또는 기저부가 인장을 대신할 때 사용된다. 상기 폴리머들의 블렌드 또는 재생물 또는 서로 양립가능하거나 또는 서로 양립가능하게 제조된 그들의 블렌드로 기저부를 생산할 수 있다.
충격인성 변형제, 안정화제 (예를 들면, UV 및 열 안정화제), 연화제, 착색제, 내염제, 충진제, 강화제 (예를 들면,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운모, 유리 비드), 및/또는 안료 같은 시판되는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기저부를 위한 가소성 성형 화합물에 혼합된다.
기저부의 필수 성질은 다음의 면을 포함한다:
ㆍ 고 내충격성, 기계적 강성, 변형내성 및 치수 안정성.
ㆍ 가시부의 가소성 성형화합물과의 양호한 양립성.
ㆍ 적절한 기계적 강도, 현저한 내크리프성, 고온내성.
ㆍ 필요에 따라 전기적 성질 또한 고려된다.
기저부를 갖는 가소성 부품에서 가시부에 대한 재료가 확립된 후, 기저부의 재료는 양호한 결합 부착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같은 폴리머류에 속하거나 또는 가시부의 폴리머와 실제로 동일하다. 예를 들면, 만일 PA MACM 12 (Grilaimd® TR 90의 명칭의 EMS-Chemie AG 제품, Domat/Ems, 스위스)가 선 택되었다면, 양호한 결합 부착을 고려해서, PA MACM 12 GF 40 (40% 유리 섬유 성분을 갖는 Grilaimd® TR 90로 만들어진 성형 화합물)이 기저 부품의 생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이것은 EMS-Chemie AG사(Domat/Ems, 스위스)로부터 Grilaimd® TRV-4X9의 상표명으로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미 언급된 Grilaimd® TR 90로 만들어진 가시부에 대하여, 기저부에 대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로써 물질적으로 상이한 폴리머, 즉, 예를 들면, 유리비드로 보강된 폴리아미드 12, 즉, 예를 들면, PA 12 GK 50 (50% 유리 비드 성분을 갖는 폴리아미드 12로 만들어진 몰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블렌드 성분의 적어도 하나가 가시부에 결합 부착을 확실하게 하는 블렌드가 기저부에 대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로서 적절하다. 이 블렌드 성분은 가시부의 폴리머 성분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부 및 기저부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서로 양립할 수 없다면, 즉, 그들이 천연적으로 불충분한 결합 부착을 생성한다면, 그들의 양립성은 반응ㅅ성기(cf. EP 0 393 409 B1)를 갖는 폴리올레핀 같은 부착-매개 변형제를 이용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고, 이것은 기저부의 몰딩 화합물 및/또는 가시부의 몰딩 화합물에 혼합된다. 가시부는 바람직하기는 필수적으로 균일한 층 두께를 갖도록 생성된다. 이것은 오직 하나의 -성형되어질 가시부의 구조에 따른- 사출 노즐만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지만, 이것은 항상 가시면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위치해야 한다. 사출점의 위치는 양호한 유량을 갖는 사출 성형 강의 균일한 충전을 고려 하여 최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그 결과 연결선 및/또는 결합틈 생성과 같은 울퉁불퉁한 것이 없다. 양호한 유량으로 강을 채우는 것은, 혼합된 유효입자를 갖는 가소성 몰딩 화합물의 분포가 마감된 부품에서 이 사출점을 인식할 수 없도록 균일한 것을 허용한다. 더우기, 균질한 시각적 효과와 동일한 색 농도 및 차폐 효과는 필수적으로 가시부의 균일한 두께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이 차폐 효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시부를 지지하는 기저 물질의 착색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소성 성분은 바람직하기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시클릭 올레핀 코폴리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머 및 그들의 블렌드,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다른 스티렌 공중합체 및 그들의 블렌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술폰 및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폴리머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시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투명 폴리머를 포함한다.
가시부에 대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이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폴리머를 포함하고, 다음의 군의 선택된 모노머로부터 생산되는 가소성 부품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ㆍ 6~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쇄 또는 비분쇄 지방족 디아민;
ㆍ 6~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아민;
ㆍ 8~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지방족 디아민;
ㆍ 6~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쇄 또는 비분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ㆍ 6~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
ㆍ 8~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지방족 디카르복실산;
ㆍ 8~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ㆍ 최대 44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이머 지방산;
ㆍ 6~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락탐 및/또는 상응하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
가시부에 대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이 PA MACM 12, PA PACM 12, PA 12/MACMI, 및 PA MACM/PACM 12 및 그것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폴리머를 포함하는 가소성 부품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시부에 대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은 UV 안정화제, UV 흡수제, 및 그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시부에 대한 효과안료는 금속성 안료 - 특히 착색되지 않은 또는 착색된 알루미늄 글리터 또는 알루미늄 브론즈 또는 골드 브론즈 안료 - 간섭 안료, 진주광택성 안료, 미네랄 운모,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통상적으로 (예를 들면, 프레임 형태의) 가시부를 부착시키고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가능하기는 LED가 부착되고 그것을 통해 LED가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판을 지지하고, 필요한 경우, LEDs의 폐열을 소산시키기 위한 기저부는 바람직하기는 사출성형이 가능한 폴리머를 포함하고, 이것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실리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머, PVC, 및/또는 그것들의 블렌드나 재활용 산물뿐만 아니라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몰딩부를 이용하여 생산 또는 마감될 수 있는 생성물의 몇몇 바람직한 예가 하기 리스트에 언급되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ㆍ 캐빈 (공중 케이블 또는 승객 엘리베이터를 위한 승객 캐빈 뿐만 아니라 전화 캐빈 같은), 하우징 및 하우징 부품 및 전기, 전자, 통신, 보안 기술, 의학 기술, 가사, 또는 신체 보호 장비의 다른 부품. 이와 같은 장비는 예를 들면, 카메라, 커피 자판기, 팬 및 그것의 덮개, 휴대폰 및 그것의 껍질; 면도칼; 전원 스위치; 라디오, 텔레비전과 컴퓨터 및 그들의 악세서리, 버튼,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믹서 및 헤어 드라이어.
ㆍ 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장비, 패션 악세서리, 스키 헬멧, 자전거 및 오토바이 헬멧과 같은 완구 또는 그것들의 일부.
ㆍ 디자인 요소, 커버 플레이트, 키친 커버, 거울 프레임, 패널링 요소와 같은 건물, 도로 또는 차량(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및 철도, 배, 및 항공기 등)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될 수 있는 기능 및 기능적 디자인 요소; 변기 시트, 커버, 및/또는 화장실용 변기 탱크 커버, 조명 설비; 장식용 장식 및 캡; 바퀴 커버, 방음 및 거울 쉘, 외부 백미러 하우징 내의 신호등 및 외부 도어 손잡이, 스크린, 자동차용 B-컬럼 커버, 도어 손잡이, 오목한 핸들, 스포일러, 안테나 커버, 고장 경 보 삼각대, 및 다른 교통 표지 또는 표지 패널.
ㆍ 도어 외장, 엔진 후드 및 엔진 커버와 같은 차량 표면, 수화물 구획 커버, 트렁크 커버, 펜더, 예비 타이어 커버, 홈, 라디에이터 그릴, 모자 걸이.
ㆍ 접이식 탁자, 캐비닛 도어 같은 가구 및 가구 부품; 캔 및 병(예를 들면, 음료용), 스프레이 캔 또는 튜브의 뚜껑 및 캔 또는 튜브 자체와 같은 포장 부품.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성 부품의 특히 바람직한 용도는 다음을 포함한다:
ㆍ 차량, 특히 기능부, 패널링부, 디자인부, 또는 기능적 디자인부, 무엇보다도 자동차 구성에서 그것의 설비.
ㆍ 캐빈, 하우징, 및 하우징부 및/또는 전기, 전자, 통신, 보안 기술, 의학 기술, 가사, 또는 신체 보호 장치의 다른 부재에서의 그것의 설비.
ㆍ 스포츠 및/또는 레크레이션 장치, 패션 악세서리, 완구 및/또는 그것들의 일부의 제품.
ㆍ 디자인, 기능, 기능적 디자인, 및/또는 건물, 도로, 또는 운송 수단 상의 패널용제 요소의 제품.
ㆍ 가구 및/또는 포장 부품의 제품.
특별히 위치된 가소성 부품은, 예를 들면, 차량, 특히 승용차와 같은 자동차의 측면 도어 또는 후면 도어에 설치된다. 그리고 나서 ELD는 외부 도어 표면 위에 상을 산출하기 위한 배열에 위치되고, 각각의 LED는 생성될 상의 하나의 화소에 정확하게 대응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택시, 택시 로고, 또는 피자 배달 회사 같은 다른 사업의 표지를 광고를 위해 도어 표면 위에서 발생시킨다. 만일 관련 도어가 구급차량의 도어라면, EMERGENCY, 몰타십자(Maltese Cross), 적십자(Red Cross), 또는 다른 상이 대응 표면에 발생될 수 있다. 경찰의 요청에 의해, PLEASE PULL OVER 같은 것이 차량 도어 또는 다른 차량 차체의 외부 표면에 또한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다른 차량 부품은 차 펜더(fender), 엔진 후드, 컨버터블 루프, 선루프, 트렁크 리드 등 같은 상을 발생시키기에 또한 적당하고; 관련 LED가 설치된 것을 갖는 가소성 성형 부품의 휠 캡은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발생되어질 상은 자동차의 탑재된 컴퓨터로부터 RFID 표지(무선 주파수 확인 표지)까지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는데, 이것은 휠 캡의 내부에 위치해 있고, LEDs가 통제하는 주형에 연결되어있다. 바퀴 회전과 상 발생의 조정은 예를 들면, 바퀴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정지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된 램프 요소를 갖는 가소성 부품이, 예를 들면, 차량의 계기반에서 특정 운전 상태(예를 들면, 낮/밤 디자인의 통제 요소) 또는 위험을 나타내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특정 운전 상태 또는 위험의 발생에 따른 상응하는 표현의 배타적 외관은 그것들의 컴플라이언스를 향상시키는데, 그것들은 보통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차량을 운전하는 개인의 불필요한 긴장 또는 정신산란을 초래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된 램프 요소를 갖는 가소성 부품은 또한 예를 들면 온 도 센서 또는 용이하게 손상되는 제품을 위한 패키지 상의 시계와 결합하여, 온도 또는 날짜 경고 표시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성 부품은 또한 요리법에 민감한 음식용의 팬 또는 팬 커버 위에 온도 디스플레이로서 온도 센서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2)

  1. 가소성 몰딩 화합물의 하나의 단일층으로 제조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가시부, 및 가시부의 표면 아래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램프 요소들을 포함하는 광원을 갖는 가소성 부품으로, 상기 가시부는 필수적으로 일광에 관하여 불투명하고 램프 요소들에 의해 방출된 광에 관하여는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고, 상기 가시부는 혼합된 효과안료를 함유하고, 광원이 비활성일 때는 표면 외관 이미지를 필수적으로 가소성 부품이 설비된 물체의 나머지 벽의 표면 외관 이미지에 대응하게 규정하고 광원이 활성일 때는 필수적으로 광원활성에 의해 결정되는 표면 외관 이미지를 규정하고, 여기서 상기 램프 요소들은 발광 다이오드,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광섬유 광선시스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램프 요소들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가시부의 가소성 몰딩 화합물에 매설되는 것인 가소성 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요소들은 발광 다이오드인 가소성 부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는 사출성형을 통해 또는 사출성형의 특정방법을 통해 제조되고, 가시면과 그로부터 다른 방향의, 하나 이상의 사출지점을 갖는 사출면을 갖는 것인 가소성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는 추가로 가시면 위에의 효과안료가 없는 투명 또는 반투명 표면층을 갖는 것인 가소성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는 그 후면에 램프 요소 또는 램프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홈 또는 홈들을 포함하는 것인 가소성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성 부품은 추가의 기저부를 포함하고, 이것은 그 조성과 물리적 및 화학적 가소성 특성이 가시부와 다를 수 있고, 가소성 부품의 기저부는 미리 고형화된 가시부의 주입면의 일부 이상 위에 사출성형되는 것인 가소성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를 위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은 가시부를 위한 몰딩 화합물에 함유된 폴리머와 동일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가소성 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요소들은 가시부의 가소성 몰딩 화합물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물질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인 가소성 부품.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성 부품은 물체의 벽 표면과 동일 면에 가시면을 갖는 물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인 가소성 부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신호화 광원으로서 제공되고, 이 신호는 고정 또는 이동 영상의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깜박이 광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가소성 부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모듈에 위치되고 컴퓨터 또는 전자조절 유니트에 의해 활성화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인 가소성 부품.
  12. 제1항에 있어서, 가시부를 위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은 폴리아미드, 시클릭 올레핀 코폴리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머 및 그들의 블렌드,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다른 스티렌 코폴리머 및 그들의 블렌드,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술폰 및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및 이들 폴리머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투명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가소성 부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를 위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투명 폴리머를 포함하고, 이것은 다음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들로부터 생산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블렌드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성 부품:
    ㆍ 6~14개의 C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지방족 디아민;
    ㆍ 6~22개의 C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아민;
    ㆍ 8~22개의 C 원자를 갖는 방향지방족 디아민;
    ㆍ 6~22개의 C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ㆍ 6~22개의 C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
    ㆍ 8~22개의 C 원자를 갖는 방향지방족 디카르복실산;
    ㆍ 8~22개의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ㆍ 최대 44개의 C 원자를 갖는 다이머화 지방산;
    ㆍ 6~12개의 C 원자를 갖는 락탐 및/또는 상응하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를 위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은 PA MACM 12, PA PACM 12, PA 12/MACMI 및 PA MACM/PACM 12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투명 폴리머를 포함하는 가소성 부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를 위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은 UV 안정화제, UV 흡수제 및 그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소성 부품.
  16. 제1항에 있어서, 효과안료는 금속성 안료 -특히 착색되지 않은 또는 착색된 알루미늄 글리터 또는 알루미늄 브론즈 또는 골드 브론즈 안료-, 간섭 안료, 진주광택 안료, 무기 운모,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소성 부품.
  17. 제6항에 있어서, 기저부를 위한 가소성 몰딩 화합물은 사출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실리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머, PVC, 및 그들의 블렌드 또는 재생제품을 포함하는 폴리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가소성 부품.
  18. 차량에, 특히 차량의 기능, 패널 부재, 디자인적으로, 또는 기능성 디자인 부재에, 특히 자동차 구조에 설치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소성 부품의 용도.
  19. 캐빈, 하우징, 및 하우징 부재 및/또는 전기, 전자, 통신, 보안기술, 의학기술, 가사, 및/또는 신체 보호 장비의 다른 부재에 설치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소성 부품의 용도.
  20. 스포츠 및/또는 레크레이션 장비, 패션 악세서리, 완구, 및/또는 그들의 부 재를 생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소성 부품의 용도.
  21. 빌딩, 도로 또는 차량에 대한 디자인, 기능, 기능성 디자인 및 패널 부재를 생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소성 부품의 용도.
  22. 가구 또는 포장 부재를 생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소성 부품의 용도.
KR1020060097657A 2005-10-04 2006-10-04 가시부와 광원을 갖는 가소성 부품 KR101249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7500A DE102005047500B4 (de) 2005-10-04 2005-10-04 Kunststoffbauteil mit Sichtteil und Lichtquelle
DE102005047500.0 2005-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022A true KR20070038022A (ko) 2007-04-09
KR101249209B1 KR101249209B1 (ko) 2013-04-03

Family

ID=3756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657A KR101249209B1 (ko) 2005-10-04 2006-10-04 가시부와 광원을 갖는 가소성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85008B2 (ko)
EP (1) EP1772667B1 (ko)
JP (1) JP4469361B2 (ko)
KR (1) KR101249209B1 (ko)
CN (1) CN1945103B (ko)
DE (1) DE102005047500B4 (ko)
TW (1) TWI38770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581A (ko) * 2019-04-16 2020-10-26 (주)엘지하우시스 조명 투영부가 은폐된 플라스틱 부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0162B2 (en) * 2007-03-12 2009-08-04 Se-Kure Controls, Inc. Illuminated sensor for security system
DE102007018128A1 (de) * 2007-04-16 2008-10-30 Resul Senol Möbelabdeckplatte
DE102007045430A1 (de) * 2007-09-22 2009-04-02 Henzel Formenbau Gmbh Verwendung eines Polymer-Blends als Material für Fahrzeugteile, insbesondere für kraftstoffführende Fahrzeugteile
HUE043133T2 (hu) 2007-11-21 2019-07-29 Smith & Nephew Sebkötözés
GB0723855D0 (en) 2007-12-06 2008-01-16 Smith & Nephew Apparatus and method for wound volume measurement
US7946056B2 (en) * 2008-01-23 2011-05-24 Kroll Family Trust Ambulatory hairdryer
TW200950178A (en) * 2008-01-30 2009-12-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LED lighting device
DE102008061724B4 (de) * 2008-01-31 2012-04-19 Johnson Controls Automotive Electronics Gmbh Anzeigevorrichtung, Foli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202008005398U1 (de) 2008-04-18 2008-09-04 Krinner Innovation Gmbh LED-Leuchtmittel
KR101561301B1 (ko) * 2008-10-22 201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물 제작 방법
US20100219957A1 (en) * 2008-12-30 2010-09-02 Dimension One Spas, Inc. Lighted surround
ES2551386T3 (es) * 2009-07-24 2015-11-18 Panasonic Corporation Cocina de calentamiento
EP2363324B1 (de) * 2010-03-04 2013-05-08 DURA Automotive Body and Glass Systems GmbH Durchleuchtete Zierleiste
ES2444118T3 (es) 2010-03-11 2014-02-24 Max Maier Recipiente y tapa GN de color, para alimentos
DE102010051166A1 (de) 2010-04-20 2011-10-20 Hauke Reis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rpus mit bei Beleuchtung sichtbarer Graphik
DE102010024264B4 (de) * 2010-06-18 2014-05-15 Diehl Aerospace Gmbh Inneneinrichtungsanordnung für eine Passagierkabine
GB201015656D0 (en) 2010-09-20 2010-10-27 Smith & Nephew Pressure control apparatus
EP2463151B1 (de) * 2010-12-10 2017-11-22 SMR Patents S.à.r.l. Beleuchtungsmodul für ein Fahrzeug
US8358066B1 (en) * 2011-08-10 2013-01-22 General Electric Compan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with energy blocking layer
US9084845B2 (en) 2011-11-02 2015-07-21 Smith & Nephew Plc Reduced pressure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9400569B2 (en) 2011-11-23 2016-07-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hree dimensional building blocks
US9006006B2 (en) * 2011-11-29 2015-04-14 Sharp Kabushiki Kaisha Manufacturing method for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multi-step cured silicon resin
IN2014CN04515A (ko) 2011-12-05 2015-09-11 Koninkl Philips Nv
DE102012003412A1 (de) * 2012-02-23 2013-08-29 Daimler Ag Hinterleuchtetes Formteil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US10046096B2 (en) 2012-03-12 2018-08-14 Smith & Nephew Plc Reduced pressure apparatus and methods
CA2867969C (en) 2012-03-20 2020-03-24 Smith & Nephew Plc Controlling operation of a reduced pressure therapy system based on dynamic duty cycle threshold determination
US8691915B2 (en) 2012-04-23 2014-04-0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polymers and polymer blends having improved refractive indices
US9427505B2 (en) 2012-05-15 2016-08-30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EP2752623B1 (en) * 2013-01-08 2020-09-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oking hob with illumination
DE102013108901A1 (de) * 2013-08-16 2015-02-19 Novem Car Interior Design Gmbh Dekorteil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Dekorteils
DE102013016325A1 (de) * 2013-10-04 2015-04-09 Webasto S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ahrzeugaußenflächenbauteils und Fahrzeugaußenflächenbauteil
JP6014007B2 (ja) 2013-11-08 2016-10-25 豊田合成株式会社 照明装置
KR20160096664A (ko) * 2013-12-12 2016-08-16 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이동식 전자 부품
US10001271B2 (en) 2014-01-28 2018-06-19 Songyan Xu LED lamp forming material and light-pervious waterproof LED lamp
EP2930062B1 (de) 2014-04-08 2016-07-13 DURA Automotive Body & Glass Systems GmbH Beleuchtete Zierleiste
FR3022869B1 (fr) * 2014-06-30 2018-03-30 Akwel Vigo Spain Sl Piece d’equipe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piece d’equipement
US9527341B2 (en) * 2014-12-17 2016-12-27 Poly-Wood, Inc. Extruded board with realistic appearance
US10486354B2 (en) 2014-12-17 2019-11-26 Poly-Wood, Llc Extruded board with realistic appearance
US10682446B2 (en) 2014-12-22 2020-06-16 Smith & Nephew Plc Dressing status detection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CN107438537A (zh) * 2014-12-22 2017-12-05 弗莱克斯-N-格特法国公司 包括半透明体的车辆的车身元件及制作该车身的方法
DE102015100327A1 (de) 2015-01-12 2016-07-14 Daimler Ag Beleuchtete Zierleiste
DE102015104299A1 (de) 2015-03-23 2016-09-29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Gmbh Innenverkleid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CN108025625B (zh) * 2015-09-07 2021-06-29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公司 背门的塑料玻璃表面
EP3347184B1 (en) 2015-09-07 2022-08-0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olding of plastic glazing of tailgates
US10082252B2 (en) 2015-10-28 2018-09-25 GE Lighting Solutions, LLC LED signal module with light-absorbing textured pattern
WO2017089946A2 (en) 2015-11-23 2017-06-0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Lighting systems for windows having plastic glazing
JP1586116S (ko) 2016-02-29 2017-09-19
DE102017103926A1 (de) * 2016-10-28 2018-05-03 Seoyon E-Hwa Co., Ltd. Schaumspritzguss-Struktur und Verfahren mit EL-Folie
EP3395875B2 (de) 2017-04-24 2023-01-25 Covestro Deutschland AG Laserstrahl-durchlässiges substratmaterial für sensoranwendungen
EP3729127A1 (de) 2017-12-21 2020-10-28 Covestro Deutschland AG Vorrichtung aus einem mehrschichtkörper und einem lidar-sensor
FR3079771B1 (fr) * 2018-04-10 2021-09-10 Plastic Omnium Cie Piece de carrosserie comportant un insert surmoule en polyolefine amorphe
DE202018104520U1 (de) * 2018-05-07 2019-08-13 Rehau Ag + Co Durchleuchtbares Verkleid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WO2020016263A1 (de) 2018-07-20 2020-01-23 Merck Patent Gmbh Anzeigevorrichtung,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018121194A1 (de) * 2018-08-30 2020-03-05 Airbus Operations Gmbh Innenraumbeleuchtung, Verkleidungselement, Luftfahrzeug mit einer Innenraumbeleu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Innenraumbeleuchtung
WO2020083661A1 (de) 2018-10-23 2020-04-30 Covestro Deutschland Ag Ir-transparentes sensor- und kamerasystem für kraftfahrzeuge
FR3089848A1 (fr) * 2018-12-13 2020-06-19 Compagnie Plastic Omnium Procédé de surmoulage de fibres optiques dans une pièce de carrosserie
DE102019103172A1 (de) 2019-02-08 2020-08-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außenhautanordnung
DE102022208325A1 (de) 2022-08-10 2024-02-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plankungsteils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9690C (de) 1952-12-19 1954-11-02 Porsche Kg Beleuchtungskoerper fuer Kraftfahrzeuge
DE3151350A1 (de) * 1981-12-24 1983-07-07 Bayer Ag, 5090 Leverkusen Mit einem 3-schichtueberzug ausgeruestete kunststofformkoerper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ausruestung
DE8533229U1 (de) 1985-11-26 1986-03-27 Jakoby, René, Dipl.-Ing., 6900 Heidelberg Türgriff aus an sich durchsichtigem und/oder teildurchsichtigem Kunststoff mit integrierter Beleuchtung und/oder Signalbeleuchtung
KR950704701A (ko) 1992-10-29 1995-11-20 스티븐 에스. 그레이스 성형가능한 반사 다층제(Formable reflective multilayer body)
US5383102A (en) 1992-11-25 1995-01-17 Tenebraex Corporation Illumination apparatus and reflection control techniques
GB9522135D0 (en) * 1995-10-30 1996-01-03 John Mcgavigan Holdings Limite Display panels
DE29610057U1 (de) 1996-06-07 1996-09-26 Patzig Wilfried Lichtemitterdioden in der Fahrzeugindustrie
US5788357A (en) * 1996-08-28 1998-08-04 K. W. Muth Company, Inc. Mirror assembly
DE19805771A1 (de) 1998-02-13 1999-08-19 Hohe Gmbh & Co Kg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JPH11279289A (ja) 1998-03-31 1999-10-12 Unitika Ltd 樹脂成形品
DE19818009C2 (de) * 1998-04-22 2003-05-22 Mcgavigan John Ltd Mehrschicht-Abdeckung für Mehrfachfunktions-Heckleuchten für Straßenfahrzeuge
US6279154B1 (en) 1998-10-13 2001-08-21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nstall system for third party applications
DE19928201A1 (de) 1999-06-19 2000-12-21 Hella Kg Hueck & Co Vorrichtung zum Beleuchten eines Vorfeldes eines öffenbaren Fahrzeugteiles
DE19947752A1 (de) 1999-10-02 2001-03-22 Daimler Chrysler Ag Beleuchtungsvorrichtung
US6354714B1 (en) * 2000-04-04 2002-03-12 Michael Rhodes Embedded led lighting system
DE20018043U1 (de) 2000-10-19 2001-01-18 Benkhardt Axel Türbetätigungsvorrichtung
DE10060780A1 (de) 2000-12-07 2002-06-1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Griff für ein Kraftfahrzeug
DE10062592B4 (de) 2000-12-15 2012-06-06 Lisa Dräxlmaier GmbH Zierteil für Kraftfahrzeuge
GB2386461B (en) 2002-03-13 2006-02-22 Mcgavigan John Ltd Decorative panel
FI20020761A0 (fi) * 2002-04-19 2002-04-19 Nokia Corp Menetelmä muovipuristeisen indikaattorisymbolin valmistamiseksi ja muovipuristeinen indikaattorisymboli
JP2003324215A (ja) 2002-04-30 2003-11-14 Toyoda Gosei Co Ltd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DE10224947B4 (de) 2002-06-05 2006-07-06 Ems Chemie Ag Transparente Polyamid-Formmassen mit verbesserter Transparenz, Chemikalienbeständigkeit und dynamischer Belastbarkeit
DE60316569T2 (de) * 2002-06-06 2008-07-03 Ilight Technologies, Inc., Evanstone Beleuchtungsvorrichtung zur simulation von neonlicht unter verwendung von fluoreszierenden farbstoffen
ATE352863T1 (de) 2002-12-10 2007-0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ampe für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abblendlicht
DE10314524A1 (de) 2003-03-31 2004-10-2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cheinwerfer und Scheinwerferelement
DE202004000004U1 (de) 2004-01-02 2004-06-03 Hidde, Simon LED-Beleuchtung
CA2517940A1 (en) * 2004-09-24 2006-03-24 Ems-Chemie Ag Injection mo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parts
DE102004062918A1 (de) 2004-12-22 2006-07-06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Griff von Fahrzeugen, vorzugsweise von Kraftfahrzeugen
DE102005041198A1 (de) 2005-08-31 2007-03-01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Türgriff für die Betätigung einer Verriegelung einer Tür eines Automobils von der Innenseite
KR101232614B1 (ko) * 2006-01-18 201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수의 도메인을 갖는 확산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
CN101122703B (zh) * 2006-08-11 2010-12-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学板及采用该光学板的背光模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581A (ko) * 2019-04-16 2020-10-26 (주)엘지하우시스 조명 투영부가 은폐된 플라스틱 부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99267A (ja) 2007-04-19
EP1772667A2 (de) 2007-04-11
EP1772667B1 (de) 2014-12-03
CN1945103B (zh) 2010-08-11
TWI387703B (zh) 2013-03-01
US20070091614A1 (en) 2007-04-26
EP1772667A3 (de) 2008-07-02
US7985008B2 (en) 2011-07-26
TW200714840A (en) 2007-04-16
DE102005047500B4 (de) 2013-12-05
KR101249209B1 (ko) 2013-04-03
CN1945103A (zh) 2007-04-11
JP4469361B2 (ja) 2010-05-26
DE102005047500A1 (de)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209B1 (ko) 가시부와 광원을 갖는 가소성 부품
US7350949B2 (en) Trim component with concealed indicium
CN100540262C (zh) 制造塑料部件的注塑方法
EP2269797B1 (en) Selectively Illuminated Trim Panels
US8113695B2 (en) Trim component with concealed indicium
EP2996904B1 (en) Accent lighting of automotive roof rails
US20160280128A1 (en) Interior Trim Element For A Motor Vehicle
CN210101569U (zh) 车辆格栅总成
US20120280528A1 (en) Vehicle accent molding with puddle light
US20150022994A1 (en) Selectively visible battery charge status indicator for exterior trim components
US20120313392A1 (en) Vehicular component incorporating concealable indicia with controlled light transmission
US9834136B2 (en) Illuminated chromatic emblem assembly
CN102387943A (zh) 用于机动车的饰件
GB2552996A (en) Illuminated panel assembly
CN105882558A (zh) 具有微型led的发光有色标志组件
US8926149B2 (en) Side-view mirror assembly with selectively illuminating portion
CN209666992U (zh) 一种可发光的汽车外饰件和一种汽车
US10571690B2 (en) Automotive window with transparent light guide display
CN209666991U (zh) 一种可发光的汽车外饰件和一种汽车
US8466620B2 (en) Bi-color license plate frame
CN220147259U (zh) 均匀发光汽车车标及相应的汽车
CN216659792U (zh) 一种机动车后发光徽标
CN214564534U (zh) 一种整体式集成塑料尾门外板
GB2497833A (en) An illuminated design element such as a badge for the exterior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