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907A -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907A
KR20070036907A KR1020050091948A KR20050091948A KR20070036907A KR 20070036907 A KR20070036907 A KR 20070036907A KR 1020050091948 A KR1020050091948 A KR 1020050091948A KR 20050091948 A KR20050091948 A KR 20050091948A KR 20070036907 A KR20070036907 A KR 20070036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spection
camera
ultra
memor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택
Original Assignee
이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택 filed Critical 이한택
Priority to KR102005009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6907A/ko
Publication of KR20070036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4Automated test systems [ATE];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대형 평판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의 화질과 품질을 기계적인 방법과 영상 계측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장치와 그 검사 방법에 대한 것이다.
개시된 장치는 영상 계측용 카메라(305)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계측된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용 이미지 취득(Image Grabber) 및 제어 장치(112)와, 상기 카메라를 위치 제어 및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직선 이동 기계 장치(301, 302, 303, 304)와, 상기 직선 이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31,132,133)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대형 영상 장치를 포함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전체 영역에 대하여 정확한 화질을 검사 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평가 요소 가운데 수평 및 수직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을 검사하는데 있어서, 초대형 영상 장치가 필연적으로 가지는 화면 크기 속성 때문에 일반 영상 계측 방식으로 검사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다수의 직선 이동 기계 장치(301, 302, 303, 304) 와 영상 계측 장치 및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Digital Image Processing)기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초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PDP, LCD, OLED, 비젼 검사

Description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EXTRA-LARGE DISPLAY DEFINITION TEST}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방법에 대한 순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영상장치의 수직 및 수평 직선성 화질 검사 방법도
제6도는 일반 카메라의 시야 거리 속성
제7도는 고배율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의 시야 거리 속성
제8도는 영상장치의 수직 및 수평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과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의 사례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단위 검사 영역으로 분할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전체 화면의 개념도
100-a : 단위 검사 영역으로 분할된 제1 검사 단위
110: 영상 계측 제어부의 구성도
120: 연산 처리부의 구성도
130: 위치 이동 제어부의 구성도
124 :피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전체 화면에 대응되는 메모리 수단의 개념도
124-a :단위 검사 영역으로 분할된 제1 검사 단위에 대응되는 제1 메모리 수단의 배열 요소
301 : 제1 X 방향의 직선 이동 기구부
301-a : 엑츄에이터, 모터
301-b : 케이블 체인
301-c : 피 이송물에 대한 취부대
301-d : 커플링
301-e : 볼 스크류
301-f : LM 가이드
302 : 제2 X 방향의 직선 이동 기구부
303 : Y 방향의 직선 이동 기구부
303-b : 케이블 체인
303-c : 피 이송물에 대한 취부대
304 : Z 방향의 직선 이동 기구부
304-b : 케이블 체인
304-c : 피 이송물에 대한 취부대
305 : 카메라
305-a : 카메라의 렌즈
307: 전체 시험 장치의 이동용 제1 레일 장치
307-a : 베어링
307-b : 베어링 연결 장치
308: 전체 시험 장치의 이동용 제2 레일 장치
309 :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
3010 : 벽체
505-a :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
514: 단위 검사 영역의 수직 및 수평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 검사를 위한 메모리 수단의 영역 개념도
514-a : X 방향 기준선과 제 1 X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선 과의 거리
514-b : X 방향 기준선과 제 2 X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선 과의 거리
514-c : X 방향 기준선과 제 3 X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선 과의 거리
514-d : X 방향 기준선과 제 4 X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선 과의 거리
514-e : Y 방향 기준선과 제 1 Y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선 과의 거리
514-f : X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선
514-g : Y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선
514-h : X 방향 기준선
514-i : Y 방향 기준선
515: X 방향 기준선과 다수의 X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선 과의 거리를 측정한 데이터 메모리 수단의 개념도
515-a : 515의 제1 메모리 수단의 배열 요소
516: Y 방향 기준선과 다수의 Y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선 과의 거리를 측정한 데이터 메모리 수단의 개념도
516-a : 516의 제1 메모리 수단의 배열 요소
517: 515의 각 메모리 수단의 배열요소들의 편차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의 개념도
518: 516의 각 메모리 수단의 배열요소들의 편차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의 개념도
601 : 일반 카메라의 시야 거리
701 : 렌즈를 작착한 카메라의 시야 거리
800 :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 화면
801 : Y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 선
802 : X 방향의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 pattern) 선
본 발명은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대형 평판 디스플레이(display)장치의 화질과 품질을 기계적인 방법과 영상 계측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장치와 그 검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영상 장치 화면의 화질 시험 항목은 색감(colour), 색도(chromaticity), 밝기(brightness), 화소, 패턴 직선성(linearity)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한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는 나날이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며, 초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량 생산 체제에 맞추어 제품 검사 방법에 대한 자동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의 영상 화질 검사 방법은 이러한 시험 항목을 육안으로 직접 검사하거나, 고가의 특수 카메라와 고배율 렌즈를 사용하여 반자동화하는 방식을 취하여 검사하였다.
하지만 육안으로 검사하는 경우, 개개인의 주관성이 간섭되어 시험에 있어서 객관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울뿐더러, 많은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기 때 문에 비효율적이었다.
반면, 고배율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종래의 방법(도7)은 작은 영상 장치에서 화질을 검사하는데, 객관성을 갖추고 어느 정도 자동화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으나, 60인치 이상의 초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을 검사하는데 있어서 문제점과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초대형 영상 장치의 크기 속성을 카메라 및 카메라 렌즈가 수용하지 못해서 생기는 문제점으로, 초대형 영상 장치의 크기를 카메라의 시야 거리(701)가 수용하지 못하는 점, 렌즈의 곡률에 의한 왜곡(distortion) 현상으로 인해 초대형 영상 장치의 전체적인 색감, 패턴,등의 여러 가지 화질 평가 요소, 특히 수직 및 수평 패턴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을 정확히 검사 할 수 없었다.
제한된 시야거리(701)를 가지고 있는 카메라 및 렌즈를 통해서 취득되는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 화면의 일부분만으로 전체 영역의 직선성(linearity)을 판단 할 수 없으며, 시야거리(701)를 넓히기 위하여 고배율의 렌즈를 사용하는 것도 한계가 있을뿐더러, 고배율 렌즈를 사용하여 확대하면 렌즈의 곡률에 의한 왜곡(distortion) 현상으로 인해 직선성(linearity)을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없다.
그래서, 한편으로 대단히 고가의 특수 카메라와 고배율 렌즈를 다수 사용하기도 하나, 이 경우는 카메라 렌즈가 가지는 곡률에 의한 왜곡(distortion) 현상으로 인해 서 정확한 수직 및 수평 패턴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을 평가하기에는 근본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무엇보다 고가의 가격이 문제가 되어 대량 생산 체제의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첫 번째 목적은 단일의 일반 영상 계측 장비를 사용하여, 초대형 영상 장치를 포함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 및 표시 영역에 제한을 받지 않는 화질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화질 검사 및 평가 요소로는 색상, 색감, 명암, 밝기, 화소, 패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단일의 일반 영상 계측 장치를 사용하여 초대형 영상장치의 수평 및 수직 패턴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을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치와 그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및 그 제어 수단과 직선 위치 이동 제어 수단이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화질 검사 시스템 및 그 영상 계측 제어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초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과 품질을 검사 및 평가하는데 있어서 객관성을 갖춘 자동화 수단과 대량 생산 체제에 적합한 저가의 산업 적용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치 이동 제어부와 영상 계측 제어부와 연산 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의 위치 이동 제어부(130)는 쌍을 이루는 다수의 X축 방향의 수평 직선 이동 기구부(301, 302)와 다수의 Y축 방향의 수직 직선 이동 기구부(303)와 다수의 Z축 방향의 높이 직선 이동 기구부(304)와 상기 직선 이동 기구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엑츄에이터(301-a, 303-a, 304-a )와 상기 엑츄에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부(131,132,133)와 다수의 위치 감지 센서와 다수의 수평을 이루는 전체 검사 장치의 이동 장치(307,308)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 이동 제어부(130)는 궁극적으로 연산 처리부(120)의 명령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를 정밀하게 이동 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영상 계측 제어부(110)는 단일의 영상 계측용 카메라(305)와 다수의 조명과 단일의 디지털 이미지 취득 장치(Image Grabber)(112)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연산 처리부(120)는 상기의 영상 계측 제어부(110)를 통하여 취득된 디지털 이미지를 검사 조건과 비교하여 결과를 판단하는 판단부(122)(Digital Image Processing)와, 각 분할영역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처리 결과 및 그 판단 결과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24)와, 그 판단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의 위치 이동 제어부에 전기적인 제어 신호로서 위치 이동 명령을 계산하는 연산부(125)와, 검사 조건에 맞는 검사 패턴을 발생시키는 패턴 발생부(12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산 처리부(120)는 컴퓨터와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순서도 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1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조건 설정 단계202에서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가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화질을 검사하고자 하는 조건을 설정한다. 이 설정은 장치 운영자가 직접 할 수 도 있고, 데이터 구조화 하여 자동으로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자동으로 입력 받는 방법은 XML, 데이터 파일,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통신, 등을 통한 방법을 포함 할 수 있다.
단계202의 조건으로는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 검사 화질 항목, 카메라 속성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단계203에서 연산 처리부(120)는 단계202의 조건 중에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검사 영역의 크기와 카메라의 시야거리(601)에 따라 검사 단위로 검사 영역을 분할할 위치를 산출하며, 이 결과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전체 검사 영역은 여러 개의 검사 단위(200-a)로 분할되어 배열 형식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산출된 분할 위치 데이터는 메모리부의 일부에 저장된다.
단계204에서 상기 단계203의 결과로 산출된 검사 단위의 분할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모리 맵의 주소를 재정의한다. 메모리 수단의 시작 번지를 시작으로 카메라의 시야거리에 해당하는 분할 위치 데이터가 옵셋 번지로 변환되어 메모리 수단의 배열(213)을 형성하도록 메모리 수단의 번지를 재정의한다. 이로서 실제 검사 단위(200-a)는 메모리 수단의 배열 요소(213-a)에 대응되며, 향후 실제 검사 단위 영역(200-a)의 영상을 취득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여 메모리 수단의 배열 요소(213-a)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실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 치의 전체 검사 영역(200)이라는 객체을 메모리 수단을 통하여 추상화할 수 있으며, 이것은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Digital Image Processing) 기술을 통하여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체 영역 또는 부분 영역 모두를 검사 및 판단하기 위함이다.
단계203과 단계204를 수행함으로서, 피 시험 대상의 영상 장치 전체 검사 영역의 화면(200)은 다수의 단위 검사 영역(200-a)에 대응되는 다수의 메모리 수단의 배열 요소(213-a)로 구성되는 메모리 수단(213)으로 추상화된다.
단계205에서 상기 단계202에서 설정된 검사 방법에 따라 패턴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 신호를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에게 전송한다.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 자체적으로 패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 원하는 패턴 발생을 유도한다.
단계206에서 상기 연산처리부(120)에서 연산된 위치 제어 이동 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다수의 X, Y, Z 방향으로 직선 위치 이동시킨다.
단계207에서 상기 단계203에서 분할된 단위 검사 영역(200-a)에 대하여 영상을 취득한다.
단계208에서 상기 단계207에서 취득된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단계209에서는 상기 단계208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상기 단계202에서 설정된 검사 조건에 따라 검사 및 판단한다.
단계210에서는 상기 단계208에서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Digital Image Processing)된 검사 단위 영역(200-a)의 영상 데이터와 단계209에서 판단된 검사 결과를 메모리 수단의 배열 요소(213-a)에 저장한다.
단계211에서 검사 영역의 전체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전체 검사 영역을 완수할 때 까지 상기 단계(206,207,208,209,210)를 반복한다.
단계212에서 전체 메모리 수단(213)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단계202에서 설정된 검사 조건에 따라, 전체 화면 영역 또는 특정 화면 영역에 대하여 판단함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대형 영상장치의 수평 및 수직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 검사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2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조건 설정 단계502에서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가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수평 및 수직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을 검사하고자 하는 조건을 설정 한다. 이 설정은 장치 운영자가 직접 할 수 도 있고, 데이터 구조화 하여 자동으로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자동으로 입력 받는 방법은 XML, 데이터 파일,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통신 등을 통한 방법을 포함 할 수 있다.
단계503에서 연산 처리부(120)는 단계502의 조건 중에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검사 영역의 크기와 카메라의 시야거리(601)에 따라 검사 단위로 검사 영역을 분할할 위치를 산출하며, 이 결과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전체 검사 영역은 여러 개의 검사 단위(500-a)로 분할되어 배열 형식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산출된 분할 위치 데이터는 메모리부의 일부에 저장된다.
단계504에서 상기 단계503의 결과로 산출된 분할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 평가에 사용 될 메모리 수단의 영역과 주소를 재정의한다.
카메라의 시야거리(601)에 해당하는 분할 위치 데이터에 따라서 단위 검사 영역(500-a)에 대응하는 메모리 수단의 영역(514)을 할당하고, 향후 실제 단위 검사 영역(500-a)의 영상을 취득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여 메모리 수단(514)에 저장하게 된다.
피 시험 대상의 영상 장치 전체 검사 영역의 화면(500)을 검사하는데 있어서 다수의 단위 검사 영역을 반복 검사 하게 되고, 그 때마다 같은 메모리 수단의 영역(514)에 할당하여 메모리 수단을 절약할 수 있다.
단계505에서 상기 단계502에서 설정된 검사 방법에 따라 수평 및 수직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 패턴 신호(505-a)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 신호를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에게 전송한다.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 자체적으로 패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 원하는 패턴 발생을 유도한다.
단계506에서 상기 연산처리부(120)에서 연산된 위치 제어 이동 명령에 따라 카메라를 다수의 X, Y, Z 방향으로 직선 위치 이동시킨다.
단계507에서 상기 단계503에서 분할된 단위 검사 영역(500-a)에 대하여 영상을 취득한다.
단계508에서 상기 단계507에서 취득된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단계509와 단계510에서는 5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계508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상기 단계502에서 설정된 검사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순서로 검사 및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저장한다.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Digital Image Processing) 기법을 활용하여 각 기준선(514-h,514-i)과 각 패턴 라인(514-f,514-g)를 인식하고,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 할 수 있다.
첫째,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된 단위 검사 영역에서 X 방향의 직선성을 평가하기 위해, X 방향 기준선(514-h)과 다수의 X방향 패턴 라인(514-f) 과의 거리(514-a, 514-b, 514-c, 514-d)를 각각 측정한다.
둘째. 다수의 상기 X 방향의 거리 데이터를 배열 형식 메모리 수단(515)으로 저장한다.
상기에서 측정한 514-a, 514-b, 514-c, 514-d 를 515의 배열 요소 515-a, 515-b, 515-c, 515-d 에 각각 저장한다.
셋째.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된 단위 검사 영역에서 Y 방향의 직선성을 평가하기 위해, Y 방향 기준선(514-i)과 다수의 Y방향 패턴 라인(514-g)과 의 거리(514-e)를 각각 측정한다.
넷째, 상기 Y 방향의 거리 데이터를 배열 형식 메모리 수단(516)으로 저장한다.
상기에서 측정한 514-e를 516의 배열 요소 516-a 에 각각 저장한다.
상기 X, Y방향의 거리 측정과 측정 데이터의 수는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와 수평 및 수직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 패턴 신호(505-a)의 종류에 따라서 변동 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X, Y방향의 거리를 측정한 배열 데이터(515, 516)의 각 배열 요소들 간의 편차를 이용하여 단위 검사 영역의 수평 및 수직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별도의 메모리 수단(517,518)에 각각 저장한다.
단계511에서 검사 영역의 전체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전체 검사 영역을 완수할 때 까지 상기 단계(506,507,508,509,510)를 반복한다.
각 단위 검사 영역에 대하여 평가를 반복함에 있어서, X, Y 방향의 누적 편차 데이터(517,518)가 상기 단계502에서 설정된 평가 한계값을 이미 벗어나게 되면 그 즉시 검사를 멈추고, 전체 영역의 검사를 수행 할 필요 없이,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를 불합격 판정을 내릴 수 있다.
전체 화면의 검사를 마치게 되면, 단계512에서 전체 화면에 대한 X 방향 기준선과 X 방향 패턴 라인의 거리를 측정한 배열 데이터 (515)의 전체 배열 요소들 간의 편차와 전체 화면에 대한 Y 방향 기준선과 Y 방향 패턴 라인의 거리를 측정한 배열 데이터 (516)의 전체 배열 요소들 간의 편차를 산출 할 수 있다. 이 전체 편차 데이터와 상기 단계502에서 설정된 검사 조건을 비교하여, 전체 화면 영역에 대한 수평 및 수직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을 재판정함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면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화질 평가 요소를 검사하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초대형 영상장치의 수평 및 수직 패턴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을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초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과 품질을 검사 및 평가하는데 있어서 객관성을 갖춘 자동화 수단과 대량 생산 체제에 적합한 저가의 산업 적용 가능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시간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품질을 객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전체 검사 장치를 수평 이동 할 수 있는 다수의 쌍을 이루는 기초 이동 기구부와;
    그 기초 이동 기구부 위에 설치되고, 카메라를 정밀하게 위치 제어하기 위한
    쌍을 이루는 다수의 X축 방향의 수평 직선 이동 기구부와 다수의 Y축 방향의 수직 직선 이동 기구부와 다수의 Z축 방향의 높이 직선 이동 기구부와;
    고배율의 카메라 렌즈를 대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수의 X축 방향의 수평 직선 이동 기구부와 다수의 Y축 방향의 수직 직선 이동 기구부와 다수의 Z축 방향의 높이 직선 이동 기구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카메라를 이동하여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에 관계없이 화질 평가 요소를 검사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에 관계없이 화질 평가 요소를 검사할 수 있는 수단은,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전체 화면 크기를 카메라의 시야거리가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다수의 단위 검사 영역으로 나누고, 그 각 단위 검사 영역을, 분할 위치 데이터에 따라서 카메라가 정밀하게 위치 이동하여 반복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에 관계없이 화질 평가 요소를 검사할 수 있는 수단은,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화면을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단계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단계와;
    그 디지털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으로 할당하는 단계와;
    검사 조건 정보를 참고로 화질 평가 요소를 평가하는 단계를 반복함으로서, 카메라가 수용할 수 없는 크기의 피 시험 대상 초대형 영상 장치의 전체 화면을 메모리 수단으로 추상화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전체 화면에 대응되는, 메모리 수단에 할당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그 메모리 수단의 주소를 이용하여, 화면 전체 또는 일부분을 포함한, 위치 영역에 관계없이 화질 평가 요소를 검사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전체 화면 크기를 카메라의 시야거리가 수용할 수 있는 단위 검사 영역으로 나누고, 그 단위 검사 분할 영역의 크기 데이터에 따라서 메모리 수단의 시작 번지와 옵셋 번지를 정의하는 단계와;
    정의된 메모리 수단의 시작 번지와 옵셋 번지에 따라서 단위 검사 영역에 대응하는 단위 메모리 수단의 배열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와;
    그 형성된 단위 메모리 수단의 배열 요소에, 단위 검사 영역의 검사를 반복 함에 따라 수취되는 단위 검사 영역의 디지털 화면 데이터를 할당하는 단계와;
    그 단위 메모리 수단의 배열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계를 반복함으로서,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전체 화면에 대응되는 2차 배열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5.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카메라를 다수의 X,Y,Z 방향의 직선 이동 기구부의 조합 운동에 의해 정밀 위치 이동하여,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면에 대한 수평 및 수직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을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면에 대한 수평 및 수직 직선성(horizontal and vertical linearity)을 피 시험 대상 영상 장치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은,
    카메라가 수용할 수 있는 분할된 단위 검사 영역을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통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바꾸는 단계와;
    그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으로 할당하는 단계와;
    단위 검사 영역의 화면에 대응하는 메모리 수단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준선과 다수의 검사용 패턴(pattern)선 과의 수평 거리와 수직거리를 측정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단위 검사 영역을 반복 검사 및 측정함으로서 형성된 다수의 수평거리와 수직거리의 배열 요소 데이터들 간의 편차 크기를 산출하여, 전체 화면에 대응하는 수평 및 수직 직선성을 평가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영상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KR1020050091948A 2005-09-30 2005-09-30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070036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948A KR20070036907A (ko) 2005-09-30 2005-09-30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948A KR20070036907A (ko) 2005-09-30 2005-09-30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212U Division KR200404789Y1 (ko) 2005-10-03 2005-10-03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907A true KR20070036907A (ko) 2007-04-04

Family

ID=3815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948A KR20070036907A (ko) 2005-09-30 2005-09-30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69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8561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어레이 테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8561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어레이 테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6820A (en) Metrology system for analyzing panel misregistration in a panel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viding appropriate information for adjusting panel manufacturing processes
JP4417400B2 (ja) はんだ検査ライン集中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管理装置
KR100728457B1 (ko) 인쇄땜납 검사장치
KR20100053442A (ko) 결함 검사 장치 및 결함 검사 방법
KR20020007998A (ko) 반도체 웨이퍼의 패턴형상 평가방법 및 장치
US20070172111A1 (en) Inspection apparatus of object to be inspected
KR100644023B1 (ko) 프린트기판검사장치
CN107038697A (zh) 用于诊断半导体晶圆的方法和系统
US20160065901A1 (en) Thermal pattern monitoring of machine
JP2006276454A (ja) 画像補正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欠陥検査方法
US2002005156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mage processing program
KR200404789Y1 (ko)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KR20070036907A (ko) 초대형 영상 장치의 화질 검사 장치 및 방법
US20020131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vision inspection through platen
JPH02201110A (ja) プリント配線回路の検査方法、特にカードの構成部分の検査方法及び該方法を適用する装置
US72744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distance of semiconductor patterns
US20150355105A1 (en) Inspection Apparatus
JPH10311705A (ja) 画像入力装置
TWI663412B (zh) 協助陣列排版之電路板辨識且記錄缺陷位置的系統
CN110857924A (zh) 协助阵列排版的电路板辨识且记录缺陷位置的系统
Chin et al. Automatic visual inspection of printed circuit boards
JP7431195B2 (ja) 平面形状測定システムの点検装置
KR102364989B1 (ko) 행/열 인덱스 기반 led 웨이퍼 맵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00559A (ko) 영상인식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261897B (zh) 检查设备和检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