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078A - 폴리아릴레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릴레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078A
KR20070036078A KR1020067027477A KR20067027477A KR20070036078A KR 20070036078 A KR20070036078 A KR 20070036078A KR 1020067027477 A KR1020067027477 A KR 1020067027477A KR 20067027477 A KR20067027477 A KR 20067027477A KR 20070036078 A KR20070036078 A KR 20070036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hydroxyphenyl
hydroxy
propa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리 에르신 어카
폴 딘 사이버트
시아나양 리
카티크 바라크리쉬난
그레고리 알렌 오네일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3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07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블렌드는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를 포함한다. 제 1 수지는 화학식 I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이 때 R1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C1-C12 알킬기, 할로겐 원자이고, p는 0 내지 3이다. 제 2 수지는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는 40몰% 미만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 차를 갖는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아릴레이트 조성물{POLYARYLATE COMPOSITIONS}
본 발명은 투명한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본에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알킬렌 다이카복실레이트)(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그의 블렌드)는 어느 정도는 이들의 뛰어난 물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는 종류의 물질이다. 그러나,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알킬렌 다이카복실레이트) 및 그의 블렌드에 있어서 장기간의 색 안정성은 계속적인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색 불안정성은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 제품(moulded article)의 황화(yellowing), 및 투명성과 매력 감소에 의해 증명된다. 광택 감소는 또한 장기간에 걸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차체 판넬과 같은 특정한 용도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되는 경우,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알킬렌 다이카복실레이트) 및 그의 블렌드는 적어도 약 80℃ 이하에서의 내열성 및 적절한 사출성형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충격 시험에서 인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폴리카본에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의 황화는 대개 자외선 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이 때문에 상기 황화가 종종 "광황화"라고 불리운다. 폴리카본에이트-함유 물질에서 광황화를 억제하기 위한 많은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광황화를 억제하는 가장 통상적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자외선 흡수 화합물(UVA)을 첨가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UVA는 저분자량 화합물이고, 비교적 낮은 수준, 전형적으로는 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어서 충격강도 및 열변형온도와 같은 중합체 물성의 열화(degradation)를 방지하여야 한다. 광황화를 억제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다른 중합체를 폴리카본에이트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와 블렌딩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내열화성을 증가시키고 광택 감소를 지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물질의 광-열화 및 광택 감소에 대한 내성을 총칭하여 "내후성"이라 한다. "내후성" 블렌드의 예는 폴리카본에이트와 코폴리에스테르의 블렌드를 포함하며, 이 때 코폴리에스테르는 예컨대 지방족 또는 지환족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 또는 미국특허 제6,143,83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이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연질 블록" 에스테르 단위와 임의로 조합된 "레조르시놀 이소/테레프탈레이트" 구조 단위(하기 화학식 I 참고)를 포함한다. 안타깝게도, 상기 내후성 블렌드는 전형적으로 비혼화성이다. 따라서, 이들의 사용은 종종 투명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로 제한된다. 유기 중합체에 공통된 또 다른 문제점은 이들이 유기 액체에 의해 공격받기 쉽다는 것이며, 그 제한은 상기 중합체가 적용될 수 있는 용도에 영향을 끼친다.
전술한 문제점 및 제한으로 인해, 보다 광범위한 내후성 및 내후성-개선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에 관심이 주목된다. 따라서, 내-광열화성 및 증가된 내약품 성 둘다를 나타내는 성형 제품 또는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중합체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관심으로 남아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카본에이트와 같은 인성 및 성형성을 갖고, 이와 동시에 특정 약품에 대한 우수한 내열화성 및 뛰어난 내후성을 갖는 조성물을 밝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장기간에 걸쳐 바람직한 투명성 및 표면 광택 특징을 유지한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발명의 요약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투명한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투명한 중합체 블렌드는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를 포함한다. 제 1 수지는 하기 화학식 I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C1-C12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p는 0 내지 3이다.
제 2 수지는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 2 수지는 임의로는 화학식 I의 폴리아릴레이트 구 조 단위를 포함한다. 수지 1 및 임의로는 수지 2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는 제 1 수지의 전체 반복단위의 몰% 및 제 2 수지의 전체 반복단위의 몰%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는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를 또한 특징으로 한다.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는 제 1 수지중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의 몰%로부터 제 2 수지중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의 몰%를 차감하여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서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는 약 40몰% 미만이다. 투명한 중합체 블렌드는 또한 추가적인 수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수지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함량의 차가 약 40몰% 미만이어야 한다는 필요조건은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가 최소가 되어야 하는 중합체 블렌드중의 2개 수지("수지 1" 및 "수지 2"로 지칭됨)에 적용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 1 수지 및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임의로 포함하는 제 2 수지로 이루어지고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가 약 40몰% 미만인 신규한 중합체 블렌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신규한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내후성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 및 본원에 포함된 실시예를 참고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서 하기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의되는 수많은 용어가 언급되어 있다.
단수 형태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
"임의의" 또는 "임의로"는 이후에 기재되는 현상 또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상기 현상이 발생하는 예 및 발생하지 않는 예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폴리아릴레이트란 용어는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예컨대 화학식 I을 갖는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방향족 이산(diacid) 또는 방향족 이산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서 사용될 때 "알킬"이란 용어는 노말 알킬, 분지형 알킬, 아르알킬, 시클로알킬 및 바이시클로알킬 라디칼을 지칭하려는 것이다. 다양한 양태에서 노말 및 분지형 알킬 라디칼은 탄소원자 1 내지 약 12개를 함유하는 것이고, 예시적인 비제한적인 예로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ter-부틸, 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및 도데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시클로알킬 라디칼은 고리탄소원자 3 내지 약 12개를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시클로알킬 라디칼의 일부 예시적인 비제한적인 예는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메틸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헵틸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아르알킬 라디칼은 탄소원자 7 내지 약 14개를 함유하는 것이며, 이들은 벤질, 페닐부틸, 페닐프로필 및 페닐에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 사용된 아릴 라디칼은 고리탄소원자 6 내지 18개를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아릴 라디칼의 일부 예시적인 비제한적인 예는 페닐, 바이페닐 및 나프틸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방향족 라디칼"이란 용어는 1 이상의 원자가(valence)를 갖고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라디칼을 말한다. 방향족 라디칼의 예는 페닐, 피리딜, 푸란일, 티엔일, 나프틸, 페닐렌 및 바이페닐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방향족 및 지방족 성분 둘다를 함유하는 기, 예컨대 벤질기, 펜에틸기 또는 나프틸메틸기를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방향족 및 지환족 기 둘다를 포함하는 기, 예컨대 4-시클로프로필페닐 및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지방족 라디칼"이란 용어는 1 이상의 원자가를 갖고 환형이 아닌 선형 또는 분지형 원자 배열로 이루어진 라디칼을 말한다. 상기 배열은 질소, 황 및 산소와 같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탄소 및 수소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방족 라디칼의 예는 메틸, 메틸렌, 에틸, 에틸렌, 헥실, 헥사메틸렌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지환족 라디칼"이란 용어는 1 이상의 원자가를 갖고 환형인 원자 배열을 갖지만 방향족이 아니며 방향족 고리를 추가로 포함하지 않는 라디칼을 말한다. 상기 배열은 질소, 황 및 산소와 같은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거나 탄소 및 수소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환족 라디칼의 예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2-시클로헥실에틸-1-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일 등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투명하며 비-잔상성(non-ghosting) 물질이며 열 안정성이다. 중합체 조성물은 ASTM D1003에 의해 측정될 때 투과율이 25% 이상이면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하다. 중합체 블렌드는 ASTM D1003에 의해 측정될 때 투과율이 60% 이상이면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비-잔상성이라는 것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 또는 부품이 "잔상"을 나타내지 않아서 필름을 응시할(look through) 때 인간 육안에 보이는 헤이즈(haze)가 필름에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제 1 수지와 제 2 수지로 이루어진 2개 성분 블렌드를 포함하며, 상기 성분은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투명"하다. 전형적으로, 상기 2개 성분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제조되는 부품 또는 필름은 다양한 관찰 각도에서 응시될 때 인간 육안에 투명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열 안정성은 중합체가 가열되어 중합체 용융물을 형성할 때 분자량 감소에 대한 중합체 내성을 말한다. 따라서, 불충분한 열 안정성을 갖는 중합체는 압출, 성형, 열성형, 고온-압축 및 유사한 조건과 같은 "열 조건"하에서 상당한 분자량 감소를 나타낸다. 분자량 감소는 또한 색 형성 및/또는 내후성, 광택, 기계적 특성 및/또는 열적 특성과 같은 다른 특성의 열화로 표현될 수도 있다. 분자량 감소는 또한 중합체 블렌드의 용융 점도가 변화할 때 가공 조건에 상당한 변화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 2 수지는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임의로는 화학식 I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제 1 수지 및 임의로는 제 2 수지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는 수지에 존재하는 전체 반복 단위의 몰%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측면은 제 1 수지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의 몰%에서 제 2 수지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의 몰%를 차감한 것으로 표현되는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가 약 40% 미만일 때 중합체 블렌드가 우수하고 놀라운 물성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의 계산값이 음수일 때,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의 절대값은 약 40% 미만이어야 함을 유념한다. 중합체 블렌드는 추가적인 수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수지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약 40몰% 미만인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함량의 차는 중합체 블렌드중에서 가장 가까운 2개 수지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양태에서 중합체 블렌드는 약 30몰%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몰% 미만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를 특징으로 한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 1 수지가 하나 이상의 다이하이드록시-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와 하나 이상의 다이카복실산 잔기로부터 유도된 사슬 구성원과 함께, 하나 이상의 카본에이트 블록 및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블록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투명한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양태에서, 다이하이드록시-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는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 잔기로 예시되고 본 명세서 전체에서 레조르시놀 또는 레조르시놀 잔기로 통상적으로 지칭되는 1,3-다이하이드록시벤젠 잔기로부터 유도된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C1-12 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p는 0 내지 3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레조르시놀 또는 레조르시놀 잔기는 달리 명백하게 표기되지 않는 한 치환되지 않은 1,3-다이하이드록시벤젠 및 치환된 1,3-다이하이드록시벤젠 둘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합한 다이카복실산 잔기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의 혼합물을 비롯한 일환 방향족 이산 잔기로부터 유도되거나 다환 방향족 이산 잔기로부터 유도된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잔기를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잔기는 전형적으로 하기 화학식 III의 구조 잔기로 예시되는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다.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잔기는 그의 상응하는 산, 산 할로겐화물 및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03
편의를 위해, 화학식 II의 레조르시놀 잔기 및 화학식 III의 이소- 및 테레프탈레이트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아릴레이트는 "ITR 중합체" 또는 간단히 "ITR"이라고 불리운다. 따라서, 한 구체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 1 수지가 화학식 I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R1과 p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ITR인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제 1 수지는 하기 화학식 IV의 구조 단위를 추가로 포함한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04
상기 식에서,
R1 각각은 각 경우에 C1-C12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p는 0 내지 3이며;
R2는 단일 결합, C1-C50 2가 지방족 라디칼, C3-C50 지환족 라디칼 또는 C4-C40 방향족 라디칼이다.
한 특정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제 1 수지가 하기 화학식 V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단위를 갖고 제 2 수지가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임의로 화학식 I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05
상기 식에서,
q는 2 내지 400이다.
다른 양태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수지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는 수지 각각의 전체 반복 단위의 몰%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는 약 40몰% 미만인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를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바와 같이,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는 제 1 수지에 존재하는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의 몰%에서 제 2 수지에 존재하는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의 몰%를 차감한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블렌드에 존재하는 "제 1 수지"는 전형적으로 "ITR 블록" 및 폴리카본에이트 블록을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이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는 때때로 "폴리에스테르 블록"를 갖는 것으로 언급되고, 이 용 어는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이라는 용어와 바꿔 사용될 수 있다. "ITR 블록"은 화학식 I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을 말한다.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는 전형적으로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에스테르 중간체(예컨대, 하이드록시-말단 ITR 중간체)와 다이하이드록시-치환된 방향족 화합물(예컨대, BPA와 같은 비스페놀) 및 포스겐을 계면 조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에스테르 중간체는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2003년 8월 12일자 출원되어 동시계속중인 미국특허출원 10/639998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에스테르 중간체는 편리하게는 물, 및 물과 실질적으로 비혼화성인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중에서(즉, 계면 조건하에서) 레조르시놀과 같은 다이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방향족 이산 클로라이드(예컨대, 이소프탈로일 다이클로라이드 및 테레프탈로일 다이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에스테르의 분자량의 조절은 다이하이드록시-치환된 방향족 화합물 대 이용되는 이산 클로라이드의 몰비를 증가시키고, 또한 반응 혼합물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에스테르 중간체의 분자량의 강화된 조절은 말단처리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의 하나 이상이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을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인 경우에 본 발명의 블렌드의 투명한 비-잔상 양상이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에 존재하는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의 "크기" 또는 "길이"에 관련된 것으로 밝혀졌으므 로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에스테르 중간체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것은 특정한 예에서 중요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에스테르 중간체의 분자량이 특정한 역치(threshold) 분자량을 능가할 때,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에스테르 중간체로부터 유도된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의 폴리카본에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은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를 포함하는 필름 및 성형 제품에서 헤이즈 및/또는 잔상이 관찰되는 정도로 상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헤이즈 또는 잔상의 발생은 또한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의 폴리카본에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의 상대적인 양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블렌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 제조에서 사용되는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에스테르 중간체의 제조동안에 무수물 결합의 형성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시-말단 ITR과 같은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아릴레이트에서 무수물 결합은 2개의 이소프탈레이트 또는 테레프탈레이트 잔기 또는 그의 혼합물의 조합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무수물 결합은 폴리아릴레이트 사슬의 약한 결합을 나타내며, 무수물 결합은 특히 열 가공 조건하에서 쉽게 절단되어서 산-말단기로 종결되는 보다 짧은 사슬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상기 산-말단기는 이어서 중합체 주쇄를 따라 산 민감성 기(에스테르, 카본에이트)의 가수분해를 촉진시켜서 추가적인 카복실 및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발생시키고, 또한 분자량 감소 및 다른 바람직한 특성의 감소에도 기여한다.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예컨대, 중합체 블렌드 및 단일 중합체)에서 투명성의 감소는 조성물내의 폴리아릴레이트가 풍부한 상 및 폴리 카본에이트가 풍부한 상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영역을 형성한 결과로 보인다. 투명성의 감소는 상기 영역이 충분한 크기를 가져서 가시광선을 산란시킬 때 발생한다(레이레이(Rayleigh) 산란효과). 따라서,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으로 구성되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의 몰% 뿐만 아니라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의 길이 또는 "분자량"은 본 발명의 블렌드 또는 상기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투명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주의깊게 조절되어야 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투명한 블렌드에서 제 1 수지는 화학식 I을 갖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이며,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는 하나 이상의 폴리카본에이트 분자량 표준물을 사용하여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될 때 약 500 내지 약 15000g/몰,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5000g/몰의 화학식량에 해당하는 폴리아릴레이트 블록 길이를 특징으로 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 1 수지는 수성 공급 용액, 또는 적어도 일부 용해되지 않는 레소르시놀 잔기를 포함하는 물과의 공급 혼합물로서의 반응 혼합물에 레조르시놀 잔기를 첨가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레소르시놀 잔기와 같은 다이하이드록시-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는 제 1 수지의 형성에서의 한 단계로서 용융 상태로 반응 용기에 첨가될 수 있다. 혼합물의 변색은 수용액의 pH를 약 5 이하로 유지시킴으로써 감소된다. 색상은 육안 관찰 또는 분광법과 같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다른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약 5 이하의 pH가 하나 이상의 무기산, 하나 이상의 유기산, 또는 하나 이상의 무기산과 하나 이상의 유기산의 조합물을 사용하여 일부 양태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무기산은 염산, 인산, 아인산, 황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유기산은 유기 설폰산, 메테인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설폰산-작용성 이온교환수지, 유기 카복실산, 락트산, 말산, 글리세르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할로겐화 아세트산 등, 모노클로로아세트산, 다이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글루콘산은 철 착화 능력 및 일부 다른 산에 비해 낮은 부식성으로 인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존재할 수 있는 산의 양은 약 0.1ppm 내지 약 100,000ppm 범위이다.
제 1 수지는 하나 이상의 촉매를 반응 혼합물과 결합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촉매는 이산 기의 전체 몰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몰% 범위의 전체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촉매는 3차 아민, 4차 암모늄 염, 4차 포스포늄 염, 구아니디늄 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3차 아민은 트리에틸아민, 다이메틸부틸아민, 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고려되는 3차 아민은 N-에틸피롤리딘과 같은 N-C1-C6-알킬-피롤리딘, N-에틸피페리딘, N-메틸피페리딘 및 N-이소프로필피페리딘과 같은 N-C1-C6-피페리딘, N-에틸모폴린 및 N-이소프로필-모폴린과 같은 N-C1-C6-모폴린, N-C1-C6-다이하이드로인돌, N-C1-C6-다이하이드로이소인돌, N-C1-C6-테트라하이드 로퀸올린, N-C1-C6-테트라하이드로이소퀸올린, N-C1-C6-벤조모폴린, 1-아자바이시클로-[3.3.0]-옥테인, 퀸우클리딘, N-C1-C6-알킬-2-아자바이시클로-[2.2.1]-옥테인, N-C1-C6-알킬-2-아자바이시클로-[3.3.1]-노네인, N-C1-C6-알킬-3-아자바이시클로-[3.3.1]-노네인, 및 N,N,N',N'-테트라에틸-1,6-헥세인다이아민을 비롯한 N,N,N',N'-테트라알킬알킬렌다이아민을 포함한다. 적합한 4차 암모늄 염 및 4차 포스포늄 염은 4차 암모늄 및 4차 포스포늄 할로겐화물을 포함하며, 그의 예시적인 예는 테트라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프로필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틸트리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다이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옥틸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데실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라우릴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세틸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N-라우릴피리디늄 클로라이드, N-라우릴피리디늄 브로마이드, N-헵틸피리디늄 브로마이드, 트리카프릴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때때로 알리콰트(ALIQUAT) 336으로 알려져 있음), 메틸트리-C8-C10-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때때로 아도겐(ADOGEN) 464로 알려져 있음), 미국특허 제5,821,3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N,N,N',N',N'-펜타알킬-α,ω-아민-암모늄 염;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트리에틸옥타데실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트 리페닐메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트리옥틸에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세틸트리에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구아니디늄 염은 헥사알킬구아니디늄 할로겐화물, α,ω-비스(펜타알킬구아니디늄)알케인 할로겐화물, 헥사에틸구아니디늄 할로겐화물 및 헥사에틸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를 비롯한 헥사알킬구아니디늄 염 및 α,ω-비스(펜타알킬구아니디늄)알케인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에스테르 중간체 합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과 실질적으로 비혼화성인 유기 용매는 한 양태에서 약 5중량% 미만의 수 용해도를 갖고 다른 양태에서는 반응 조건하에 약 2중량% 미만의 수 용해도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유기 용매는 다이클로로메테인,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테인, 클로로포름, 1,2-다이클로로에테인, 트리클로로에테인, 톨루엔, 크실렌, 트리메틸벤젠, 클로로벤젠, o-다이클로로벤젠, 클로로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한 양태에서 수-비혼화성 용매는 다이클로로메테인과 같은 염소화 지방족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 및 블렌드에 존재하는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산 염화물은, 이소프탈로일 다이클로라이드, 테레프탈로일 다이클로라이드, 또는 이소프탈로일과 테레프탈로일 다이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을 비롯한 일환 잔기를 포함하거나 다이페닐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다이페닐에테르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다이페닐설폰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다이페닐케톤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다이페닐설파이드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 이드 및 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예컨대 나프탈렌-2,6-다이카복시산 다이클로라이드를 비롯한 다환 잔기를 포함하는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일환 잔기를 포함하는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의 혼합물; 다환 잔기를 포함하는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의 혼합물; 또는 일환 및 다환 잔기 둘다를 포함하는 방향족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는 일부 양태에서 이소프탈로일 대 테레프탈로일의 몰비가 약 0.25 내지 4.0:1이 되도록 이소프탈로일 및/또는 테레프탈로일 다이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사슬-종결제(이후에 "종결제" 또는 "말단종결제"로도 때때로 지칭되며, 상기 두 용어는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다)는 또한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수지의 제조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사슬-종결제를 첨가하는 한 목적은 중합체의 분자량을 더욱 제한하여서 조절된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적합한 사슬-종결제는 모노-페놀계 화합물, 모노-카복실산 클로라이드, 모노-클로로포름에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반응 동안에 임의의 시점에서 첨가되는 사슬-종결제의 양은 중합체 사슬 말단기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를 종결시키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사슬 종결제는 존재하는 경우 모노-페놀계 화합물의 경우 다이하이드록시-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를 기준으로, 또한 모노-카복실산 클로라이드 및/또는 모노-클로로포름에이트의 경우에 산 다이클로라이드를 기준으로 0.05 내지 10몰%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모노-페놀계 화합물은 치환되지 않은 페놀, C1-C22 알킬-치환된 페놀, p-쿠밀-페놀, p-tert-부틸 페놀, 하이드록시 다이페놀과 같은 일환 페놀; p-메톡시페놀과 같은 다이페놀 모노에테르를 포함한다. 알킬-치환된 페놀은 탄소원자 8 또는 9개를 갖는 분지쇄 알킬 치환기를 갖는 것을 포함하고, 일부 양태에서 수소원자의 약 47 내지 89%는 미국특허 제4,334,053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메틸기의 부분이다. 일부 양태의 경우, 모노-페놀계 UV 차단제(screener)는 종결제로 사용된다. 상기 화합물은 4-치환된-2-하이드록시벤조페논 및 그의 유도체, 아릴 살리실레이트, 다이페놀 모노에스테르, 예컨대 레조르시놀 모노벤조에이트, 2-(2-하이드록시아릴)-벤조트리아졸 및 그의 유도체, 2-(2-하이드록시아릴)-1,3,5-트리아진 및 그의 유도체 및 유사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모노-페놀계 사슬-종결제는 하나 이상의 페놀, p-쿠밀페놀 또는 레조르시놀 모노벤조에이트이다.
적합한 모노-카복실산 클로라이드는 일환 모노-카복실산 클로라이드, 예컨대 벤조일 클로라이드, C1-C22 알킬-치환된 벤조일 클로라이드, 톨루오일 클로라이드, 할로겐-치환된 벤조일 클로라이드, 브로모벤조일 클로라이드, 신나모일 클로라이드, 4-나디미도벤조일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 다환 모노-카복실산 클로라이드, 예컨대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및 나프토일 클로라이드; 및 일환 및 다환 모노-카복실산 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탄소원자 22개 이하의 지방족 모노카복실산의 클로라이드가 또한 적합하다.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및 메트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와 같은 지방족 모노카복실산의 작용화된 클로라이드가 또한 적합하다. 적합한 모노-클로로포름에이트는 페닐 클로로포름에이트, 알킬-치환된 페닐 클로로포름에이트, p-쿠밀 페닐 클로로포름에이트, 톨루엔 클로로포름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일환 모노-클로로포름에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 2 수지는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적으로, 제 2 수지는 화학식 I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지는 전형적으로 식 HO-D-OH의 하나 이상의 비스페놀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포함하며, 여기서 D는 하기 화학식 VI으로 표시되는 2가 방향족 라디칼이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06
상기 식에서,
A1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방향족 기이고;
E는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알킬렌, 알킬리덴 또는 지환족 기; 황-함유 결합; 인-함유 결합; 산소-함유 에테르 결합; 카본일기; 3차 질소기; 또는 규소-함유 결합이고;
R3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1가 탄화수소 기이며;
Y1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1가 탄화수소 기, 할로겐, 브롬, 염소; 니트로; 및 -OR(여기서, R은 1가 탄화수소 기이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을 포함하여 0 내지 치환에 이용될 수 있는 A1상의 위치의 개수인 임의의 정수를 나타내며;
n은 0을 포함하여 0 내지 치환에 이용될 수 있는 E상의 위치의 개수인 임의의 정수를 나타내고;
t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며;
s는 0 또는 1이고;
u는 0을 포함한 임의의 정수를 나타낸다.
특정한 양태에서 비스페놀 HO-D-OH는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펜테인; 2,2-비스(3-알릴-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2-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6-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6-메틸페닐)부테인; 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1-(1-메틸에틸리딘)]벤젠; 1,4-비스[4-하이드록시페닐-1-(1-메틸에틸리딘)]벤젠; 1,3-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6-메틸페닐-1-(1-메틸에틸리딘)]벤젠; 1,4-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6-메틸페닐-1-(1-메틸에틸리딘)]벤젠; 4,4'-바이페놀; 2,2',6,8-테트라메틸-3,3',5,5'-테트라브로모-4,4'-바이페놀; 2,2',6,6'-테트라메틸-3,3',5-트리브로모-4,4'-바이페놀;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2,2,2-트리클로로에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시아노에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다이시아노메테 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시아노-1-페닐메테인; 2,2-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노르보르네인;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3,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탈라이드; 1,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펜온;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4,4'-옥시다이페놀; 4,4-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펜타노산; 4,4-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펜타노산;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2,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메테인; 2-비스(2-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비스(4-하이드록시-5-니트로페닐)메테인; 비스(4-하이드록시-2,6-다이메틸-3-메톡시페닐)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2-클로로페닐)에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비스페놀-A);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프로페인; 2,2-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프로페인; 2,2-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프로페인; 2,2-비스(3-t-부틸-5-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브로 모-5-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클로로-5-페닐-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브로모-5-페닐-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페닐-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클로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브로모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2,6-다이클로로-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2,6-다이브로모-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에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5-다이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3,5,3',5'-테트라클로로-4,4'-다이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메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1-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4,4'-[1-메틸-4-(1-메틸-에틸)-1,3-시클로헥산디일]비스페놀(1,3 BHPM); 4-[1-[3-(4-하이드록시페닐)-4-메틸시클로헥실]-1-메틸-에틸]-페놀(2,8 BHPM); 3,8-다이하이드록시-5a,10b-다이페닐 쿠마라노-2',3',2,3-쿠마레인(DCBP); 2-페닐-3,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탈이미딘;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메틸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메틸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t-부틸-5-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5-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5-페닐-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5-페닐-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페닐-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클로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브로모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메틸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2,6-다이클로로-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2,6-다이브로모-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 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메틸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메틸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t-부틸-5-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5-t-부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비스(3-클로로-5-페닐-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5-페닐-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페닐-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클로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브로모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메틸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2,6-다이클로로-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2,6-다이브로모-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4,4-비스(4-하이드록시페닐)헵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데케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도데케인; 1,1-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시 클로도데케인; 4,4'-다이하이드록시-1,1-바이페닐;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1,1-바이페닐;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옥틸-1,1-바이페닐; 4,4'-(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리덴)다이페놀; 4,4'-비스(3,5-다이메틸)다이페놀;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에테르;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티오에테르; 1,3-비스(2-(4-하이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1,3-비스(2-(4-하이드록시-3-메틸페닐)-2-프로필)벤젠; 1,4-비스(2-(4-하이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1,4-비스(2-(4-하이드록시-3-메틸페닐)-2-프로필)벤젠; 2,4'-다이하이드록시페닐 설폰;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폰(BPS);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2,6-다이하이드록시 나프탈렌; 하이드로퀸온; 레조르시놀; C1-3 알킬-치환된 레조르시놀; 3-(4-하이드록시페닐)-1,1,3-트리메틸인단-5-올; 1-(4-하이드록시페닐)-1,3,3-트리메틸인단-5-올;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 에테르;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클로로다이페닐 에테르; 4,4-다이하이드록시-2,5-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 에테르; 4,4-티오다이페놀; 2,2,2',2'-테트라하이드로-3,3,3',3'-테트라메틸-1,1'-스피로비[1H-인덴]-6,6'-다이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제 2 수지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카본에이트는 하기 화학식 VII을 갖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본에이트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07
상기 식에서,
R4는 C2-C50 지방족, C3-C50 지환족 또는 C4-C40 방향족 라디칼이다.
R4 기는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유기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VIII의 라디칼이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08
상기 식에서,
A2 및 A3 각각은 C3-C10 일환 2가 방향족 라디칼이고;
Y2는 A3로부터 A2를 분리시키는 1개 또는 2개 원자를 갖는 C1-C10 지방족 라디칼, 또는 A3로부터 A2를 분리시키는 1개 또는 2개 원자를 갖는 C3-C10 지환족 라디칼이다.
비스페놀 A 폴리카본에이트는 특히 제 2 수지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화학식 VII 및 VIII의 구조 범위내에 있다. 화학식 VII 및 VIII의 구조에 포함되는 다른 폴리카본에이트의 예는 비스페놀 Z 폴리카본에이트, 2,2'-다이메틸비스페놀 A 폴리카본에이트, 비스페놀 M 폴리카본에이트, 및 화학식 VII 또는 VIII의 구조를 포함한 코폴리카본에이트를 포함한다.
많은 적합한 폴리카본에이트가 시판되고 있으며, 많은 다른 폴리카본에이트는 포스겐을 사용하는 계면 중합반응, 비스페놀 A 비스클로로포름에이트를 사용하는 비스클로로포름에이트 중합반응, 및 비스페놀 A와 다이아릴 카본에이트, 예컨대 다이페닐 카본에이트를 사용하는 용융 중합반응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 2 수지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는 하기 화학식 IX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09
상기 식에서,
A4는 C1-C40 지방족 라디칼이다.
화학식 IX의 구조 단위는 화학식 X의 이산 및 이산 유도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10
상기 식에서,
A4는 C1-C40 지방족 라디칼이고,
R5는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하이드록실, 할로겐, C7-C12 아릴옥시기 또는 C7-C12 알크아릴옥시기이다.
적합한 이산 및 이산 유도체, 예컨대 화학식 X에 포함되는 이산, 이산 할로겐화물, 다이에스테르 및 산 에스테르는 데케인디오산, 운데케인디오산, 도데케인 디오 데케인디오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올레산, 아젤라산, 에루크산, 브라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말론산, 말산, 말레산, 락트산, 나프탈렌-2,6-다이카복실산, 나프탈렌-2,7-다이카복실산, 시클로헥세인-1,4-다이카복실산, 바이페닐-3,4'-다이카복실산, 바이페닐-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에테르-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설폰-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케톤-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설파이드-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메테인-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다이클로로메테인-4,4'-다이카복실산, 그의 상응하는 이산 할로겐화물, 다이에스테르 또는 산 에스테르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제 2 수지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는 제 1 수지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본원에 개시된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즉, 화학식 I의 구조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 뿐만 아니라 지방족 이산 또는 지방족 이산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를 포함한다. 렉산 에스피(LEXAN SP), 코폴리카본에이트는 비스페놀 A 및 도데케인디오산으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렉산 에스피는 지이 어드밴스트 머터리알즈(GE Advanced Materials: 미국 매사츄세츠주 피츠필드 소재)에서 시판된다. 제 2 수지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의 예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미국특허 제4,238,596호 및 제4,238,597호, 및 2003년 8월 12일자로 출원되어 동시계속중인 미국특허출원 제10/639998호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 문헌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 1 수지 또는 제 2 수지중 하나 이상은 하기 화학식 XI을 갖는 구조단위를 추가로 포함한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11
상기 식에서,
R6은 C2-C1000 지방족 라디칼 또는 C4-C1000 지환족 라디칼이고,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Figure 112006097184043-PCT00012
또는 -CH2-O-을 나타낸다.
화학식 XI에 상응하는 구조 단위는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연질 블록(soft block)" 또는 "연질 블록 구역"으로 알려져 있다. 연질 블록 또는 연질 블록 구역을 함유하는 관련 중합체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통상적으로 허여된 미국특허 제5,916,997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정한 양태에서, 화학식 XI의 구조 단위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폴리테트라하이드로푸란 다이올 및 폴리카프로락톤 다이올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된다.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인식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수지는 동일한 수지가 아닐 수 있으나, 상당히 유사한 조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로 이루어진 투명한 블렌 드 이외에 하나 이상의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투명한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은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본에이트; ABS,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과 같은 올레핀 중합체; 폴리실록세인, 폴리실레인, 폴리술폰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수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양태에서 제 3 수지는 중합체 블렌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열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UV 안정화제, 가소제, 시각 효과 강화제(visual effect enhancer), 증량제(extender), 대전방지제, 촉매 급냉제, 이형제, 난염제, 취입제, 충격 개질제, 가공조제와 같은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상이한 첨가제가 전형적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시각 효과 강화제는 때때로 시각 효과 첨가제 또는 안료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캡슐화된 형태, 캡슐화되지 않은 형태 또는 중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입자에 적층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시각 효과 첨가제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알루미늄, 금, 은, 구리, 니켈, 티탄, 스테인레스 강, 니켈 설파이드,코발트 설파이드, 망간 설파이드, 금속 산화물, 백운모, 흑운모, 진주 운모, 합성 운모, 운모 코팅된 이산화티탄, 금속-코팅된 유리 플레이크, 및 페릴렌 레드(Perylene Red)를 비롯한(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착색제이다. 시각 효과 첨가제는 높거나 낮 은 종횡비를 가질 수 있고, 하나보다 많은 연마면(facet)을 포함할 수 있다. 솔벤트 블루(Solvent Blue) 35, 솔벤트 블루 36, 디스퍼즈 바이올렛 2, 솔벤트 그린 3, 아나플라스트(Anaplast) 오렌지 엘에프피, 페릴렌 레드 및 모플라스 레드 36와 같은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퍼마넌트 핑크 알(Permanent Pink R: 색지수 피그먼트 레드 181, 클라리언트 코포레이션(Clariant Corporation)에서 시판), 호스타솔 레드 5비(Hostasol Red 5B: 색지수 #73300, CAS #522-75-8, 클라리언트 코포레이션에서 시판) 및 마크롤렉스 플루오레선트 옐로우(Macrolex Fluorescent Yellow) 10GN(색지수 솔벤트 옐로우 160:1, 베이어 코포레이션(Bayer Corporation)에서 시판)을 비롯한(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형광 염료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티탄, 아연 설파이드, 카본블랙, 코발트 크롬에이트, 코발트 티탄에이트, 카드뮴 설파이드, 철 산화물, 소듐 알루미늄 설포실리케이트, 소듐 설포실리케이트, 크롬 안티몬 티타늄 루틸, 니켈 안티몬 티타늄 루틸 및 아연 산화물과 같은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캡슐화된 형태의 시각 효과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중합체에 의해 캡슐화된 알루미늄 플레이크처럼 높은 종횡비의 물질같은 시각 효과 물질을 포함한다. 캡슐화된 시각 효과 첨가제는 비드(bead)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산화방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트리스(2,4-다이-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3,9-다이(2,4-다이-tert-부틸펜옥시)-2,4,8,10-테트라옥사-3,9-다이포스파스피로[5.5]운데케인; 3,9-다이(2,4-다이쿠밀펜옥시)-2,4,8,10-테트라옥사-3,9-다이포스파스피로[5.5]운데케인; 트리스(p-노닐페닐)포스파이트;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ert부틸- 1,1'-바이페닐-2'-디일]포스파이트]; 3,9-다이스테아릴옥시-2,4,8,10-테트라옥사-3,9-다이포스파스피로[5.5]운데케인; 다이라우릴 포스파이트; 3,9-다이[2,6-다이-tert-부틸-4-메틸펜옥시]-2,4,8,10-테트라옥사-3,9-다이포스파스피로[5.5]운데케인; 테트라키스(2,4-다이-tert-부틸페닐)-4,4'-비스(다이페닐렌)포스포나이트; 다이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다이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2,4,6-트리-tert-부틸페닐-2,-부틸-2-에틸-1,3-프로페인다이올 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솔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다이-tert-부틸페닐)-4,4'-바이페닐렌 다이포스포나이트; (2,4,6-트리-tert-부틸페닐)-2-부틸-2-에틸-1,3-프로페인다이올포스파이트;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 및 전술한 것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포스파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트리스(2,4-다이-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2,4,6-트리-tert-부틸페닐-2-부틸-2-에틸-1,3-프로페인디올 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뿐만 아니라 전술한 포스파이트 등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포스파이트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임의로는 충격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개질제 수지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중량% 내지 약 30중량%에 해당하는 양으로 열가소성 조성물에 첨가된다. 적합한 충격 개질제는 그래프트(graft) 또는 코어 셸(core shell) 고무와 같은 여러 상이한 고무 개질제중 하나, 또는 상기 개질제 둘 이상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충격 개질제는 아크릴 고무, ASA 고무, 디엔 고무, 유기실록세인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고 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고무, 메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고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글리시딜 에스테르 충격 개질제로 예시된다.
"아크릴 고무 개질제"란 용어는 가교결합된 또는 부분 가교결합된 (메트) 아크릴레이트 고무 코어상을 갖는 다단계, 코어-셸, 공중합체 개질제, 바람직하게는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지칭할 수 있다. 고무 코어상에 침투하는 아크릴 또는 스티렌 수지,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의 외부 셸이 상기 가교결합된 아크릴 에스테르 코어에 회합되어 있다.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다른 단량체 소량을 수지 셸에 혼입하면 적합한 충격 개질제가 얻어진다. 이전에 중합되어 가교결합된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 상의 존재하에서 수지상을 형성하는 단량체가 중합되어 가교결합될 때 침투(interpenetrating) 네트워크가 제공된다.
적합한 충격 개질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MMA) 또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로 그래프트된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0℃ 미만의 Tg,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80℃의 Tg를 갖는 고무 성분을 갖는 그래프트 또는 코어 셸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고무 함량은 1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보다 많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75중량%이다.
특히 적합한 충격 개질제는 롬 앤드 하쓰(Rohm & Hass)에서 시판되는 유형의 부타디엔 코어-셸 중합체, 예컨대 파랄로이드(Paraloid: 등록상표) EXL2600이다. 가장 적합한 충격 개질제는 부타디엔계 고무 코어를 갖고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단 독으로 또는 스티렌과 조합되어 중합되는 제 2 단계를 갖는 두 단계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고무는 지이 스페셜티 케미칼즈(GE Specialty Chemicals)에서 시판되는 ABS 유형 블렌덱스(Blendex: 등록상표) 336 및 415이다. 상기 고무 둘다는 SBR 고무의 충격 개질제 수지를 함유한다. 여러 고무가 개시되어 있으나, 더 많은 고무가 시판되고 있다. 충격 개질제가 열가소성 조성물의 물성 또는 심미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임의의 고무가 충격 개질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가공조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도버루브(Doverlube: 등록상표) FL-599(도버 케미칼 코포레이션(Dover Chemical Corporation)에서 시판), 폴리옥시터(Polyoxyter: 등록상표)(폴리켐 알로이 인코포레이티드(Polychem Alloy Inc.)에서 시판), 글리콜루브 피(Glycolube P)(론자 케미칼 캄파니(Lonza Chemical Company)에서 시판),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메타블렌(Metablen) A-3000(미츠비시 레이온(Mitsubishi Rayon)에서 시판),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벤조에이트 등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UV 안정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컨대 5'-메틸-; 3',5'-다이-tert-부틸-; 5'-tert-부틸-; 5'-(1,1,3,3-테트라메틸부틸)-; 5-클로로-3',5'-다이-tert-부틸-; 5-클로로-3'-tert-부틸-5'-메틸-; 3'-sec-부틸-5'-tert-부틸-; 3'-α-메틸벤질-5'-메틸; 3'-α-메틸벤질-5'-메틸-5-클로로-; 4'-하이드록시-; 4'-메톡시-; 4'-옥톡시-; 3',5'-다이-tert-아밀-; 3'-메틸-5'-카보메톡시에틸-; 5-클로로-3',5'-다이-tert-아밀-유도체; 및 티누 빈(Tinuvin: 등록상표) 234(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에서 시판)을 포함한다. 또한, 2,4-비스-(2'-하이드록시페닐)-6-알킬-s-트리아진, 예컨대 6-에틸-; 6-헵타데실 또는 6-운데실 유도체가 적합한다.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예컨대 4-하이드록시-; 4-메톡시-; 4-옥톡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하이드록시-; 2,2',4,4'-테트라하이드록시- 또는 2'-하이드록시-4,4'-다이메톡시-유도체가 적합하다. 1,3-비스-(2'-하이드록시벤조일)-벤젠, 예컨대 1,3-(2'-하이드록시-4'-헥실옥시-벤조일)-벤젠; 1,3-비스-(2'-하이드록시-4'-옥틸옥시-벤조일)-벤젠 또는 1,3-비스-(2'-하이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일)-벤젠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임의로 치환된 벤조산 에스테르, 예컨대 페닐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다이벤조일레조르신; 비스-(4-tert-부틸벤조일)-레조르신; 벤조일레조르신; 3,5-다이-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산-2,4-다이-tert-부틸페닐 에스테르 또는 -옥타데실 에스테르 또는 -2-메틸-4,6-다이-tert-부틸 에스테르가 마찬가지로 이용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α-시아노-β, β-다이페닐아크릴산-에틸 에스테르 또는 이소옥틸 에스테르, α-카보메톡시-신남산 메틸 에스테르,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남산 메틸 에스테르 또는 부틸 에스테르 또는 N(β-카보메톡시비닐)-2-메틸-인돌린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옥살산 다이아마이드, 예컨대 4,4'-다이-옥틸옥시-옥사닐라이드; 2,2'-다이-옥틸옥시-5,5'-다이-tert-부틸-옥사닐라이드; 2,2'-다이-도데실옥시-5,5-다이-tert-부틸-옥사닐라이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라이드; N,N'-비스-(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옥살아마이드; 2-에톡시-5-tert-부틸-2'-에틸옥사닐라이드, 및 이들과 2-에톡시-2'-에틸-5,4'-다이-tert- 부틸-옥사닐라이드의 혼합물; 또는 o- 및 p-메톡시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o- 및 p-에톡시 이치환된 옥사닐라이드의 혼합물이 또한 UV 안정화제로서 적합한다. 바람직하게, 본 조성물에서 사용된 자외선 흡수제는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다이-tert-아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다이-(α,α-다이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하이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니켈 비스(O-에틸 3,5-다이-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폰에이트); 2,4-다이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티오비스(4-tert-부틸페닐)과의 니켈 부틸아민 착물; 2-에톡시-2'-에틸옥사닐라이드; 2-에톡시-2'-에틸-5,5'-다이tert-부틸옥사닐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사용될 수 있는 난염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포타슘 노나플루오로부틸설폰에이트, 포타슘 다이페닐설폰 설폰에이트 및 다가 페놀의 포스파이트 에스테르, 예컨대 레조르시놀 및 비스페놀 A를 포함한다.
이형 조성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펜타에리트리톨, 구에르베트(guerbet) 알코올, 장쇄 케톤, 실록세인, 알파-올레핀 중합체, 장쇄 알케인 및 탄소원자 15 내지 600개의 탄화수소와 같은 알코올과 장쇄 지방족 산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검토된 바와 같이,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에서 블록 길이를 변화시키는 수많은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놀랍게도, 제 1 수지가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을 포함하고 제 2 수지가 비스페놀 A 폴리카본에이트인 예에서 제 1 수지중의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의 분자량은 제 1 수지와 제 2 수지의 혼화성에 영향 을 미칠 수 있음이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일부인 실험적 발견의 요점이 표 1에 제공되어 있다. 표 1과 관련하여, 블렌드가 보다 높은 농도의 폴리아릴레이트 블록(ITR 몰%)을 함유하는 경우, 폴리아릴레이트 블록(ITR 블록)의 분자량이 낮을수록 블렌드는 보다 큰 투명성을 나타내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제 1 수지 및 임의로는 제 2 수지에 존재하는 폴리아릴레이트 블록의 분자량을 적절히 선별함으로써 본 발명의 중합체 블렌드(및 상기 블렌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성능 특징을 더욱 최적화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13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블렌드 성분(제 1 및 제 2 수지)를 임의의 추가적인 중합체 조성물 성분과 결합하고 혼합함으로써, 예컨대 단축 또는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혼합하거나 블렌드의 성분과 분말의 조성물을 2개 롤 밀(roll mill), 밴버리(Banbury) 혼합기, 또는 도료 혼합기에서 혼합한 후 임의로는 이와 같이 형성된 조성물을 미립자 형태로 축소시킴으로써(예컨대, 조성물을 펠릿화 또는 분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롤러 혼합기상에서 분말 형태의 투명한 블렌드(제 1 수지 및 제 2 수지로 이루어짐)를 분말 비스페놀 A 폴리카본에이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공하고, 이는 이어서 압출되어서 폴리카본에이트, 및 제 1 수지와 제 2 수지로 이루어진 투명한 블렌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게 된다.
일부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이 수성 혼합물 또는 용액으로서 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으며, 압출기와 같은 적절한 가공 장비에서 액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성분중 일부는 수성 용액에서 혼합된 후에 증발되어서, 나머지 성분에 첨가될 수 있는 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1/8" 두께의 테스트 칩으로 성형한 후의 중합체 조성물은 ASTM 1003 테스트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약 70% 내지 약 90%의 광투과율, 및 ASTM D1003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약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0% 미만의 헤이즈값(또는 1/8" 두께의 칩위에서 측정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사출성형, 압출, 회전성형, 취입성형 및 열성형과 같은 각종 수단에 의해 유용한 형상의 제품으로 성형되어서 제품, 예컨대 컴퓨터 및 비즈니스 기계 하우징(housing), 휴대용(hand held) 전자장치 하우징, 및 조명기구 구성성분, 장신구, 가전용품, 지붕, 온실, 일광욕실, 수영장 인클로저(enclosure) 등과 같은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중합체 조성물은 또한 반투명 플라스틱 시이트(sheet) 물질의 제작에 사용될 수도 있다. 고체 시이트, 다중벽 시이트, 중공(hollow body)을 포함하는 다중벽 시이트를 비롯한 반투명 시이트의 압출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스콰이어즈(Squires)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476,627호, 슈렝크(Schrenk)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565,985호, 다카하시(Takahashi)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668,288호, 니셀(Nissel)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918,865호, 브룩스(Brooks)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933,964호, 레만(Lehmann)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477,521호 및 베터(Vetter)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707,393호에 기재되어 있다. 공압출된 시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적인 층의 조성물에 대해 특별한 제한이 없다. 다층벽 시이트의 구조 또는 형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추가적인 층은 예컨대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형광제 및/또는 내후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층벽 시이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4mm 내지 약 40mm이고, 고체 시이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1mm 내지 약 12mm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다층 물질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다층 물질의 한 예는 기판상의 말단층으로서이다. 유용한 기판은 열가소성 조성물과 상용성인 것이어야 하고, 가공 또는 정상적인 사용 조건하에서 거의 또는 전혀 탈층(delamination)되지 않아야 한다. 다층 물질은 공압출, 압축 성형 및 적층을 비롯한(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많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개시내용은 예시적인 양태에 관련하여 기재되었으나, 당업계의 숙련자들은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등가물이 그 성분을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개시내용의 본질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구체적인 상황 또는 물질을 개시내용의 교지에 맞추기 위한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실시하기 위하여 고려되는 최상의 방식으로 개시된 구체적인 양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범주내에 속하는 모든 양태를 포함하고자 한 것이다. 개시내용은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다.
실험 부분
중합체 분자량(Mw)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하였다. 인용된 GPC 분자량은 폴리카본에이트 표준물에 대해 측정된 값에 관련된다. 연성은 ASTM D256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하의 실시예 및 이전의 검토에서 "ITR"이란 용어는 이소프탈로일-테레프탈로일-레조르시놀 구조 단위를 말하는 것이며, "RSCO"는 레조르시놀 카본에이트 구조 단위를 말하는 것이고, BPACO는 비스페놀 A 카본에이트 구조 단위를 말하는 것이다. 존재하는 다양한 구조 단위는 블록 단위 또는 무작위의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편의상 "블록"이라고 한다. 예컨대, 본질적으로 무작위 분포의 비스페놀 A 카본에이트(BPACO) 및 레조르시놀 카본에이트(RSCO) 구조 단위를 갖는 코폴리카본에이트는 "BPACO 블록" 및 "RSCO 블록"을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ITR 폴리아릴레이트 블록 16몰%, 레조르시놀 카본에이 트(RSCO) 블록 7몰% 및 BPA 카본에이트(BPACO) 블록 77몰%로 이루어져서 16/7/77(ITR/RSCO/BPACO)로 지칭되는 ITR-BPA 블록 공중합체(제 1 수지)를 제조한 후에 이 ITR-BPA 블록 공중합체를 BPA 폴리카본에이트 단독중합체의 50:50 분말 혼합물에서 블렌딩하였다.
메틸렌 클로라이드 9.2ℓ 및 물 1.3ℓ중 레조르시놀 1581g 및 트리에틸아민 28㎖의 교반된 혼합물에 메틸렌 클로라이드 3.8㎏중 이소- 및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50/50 혼합물 2030g 용액을 약 292㎖/분으로 첨가하였다. 동시에,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약 62㎖/분으로 첨가하여서 pH를 약 4 내지 7로 유지하였다. 산 클로라이드 첨가가 완료된 이후에 7.5 내지 8.5의 안정한 pH가 얻어질 때까지 부식물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약 10분동안 교반하였다. ITR 블록 전구체인 생성된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아릴레이트의 분자량(Mw)은 약 4,200g/몰로 밝혀졌다.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아릴레이트에 BPA 10,994g, p-쿠밀페놀 440g, 트리에틸아민 112㎖, 물 33ℓ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27ℓ을 첨가하였다. 딥 튜브(dip tube)를 통해 포스겐(6537g)을 첨가하고 그 동안 50% 부식 용액에 의해 pH를 약 8.5 내지 10.5로 유지하였다. 유기상을 염수층으로부터 분리하고, 묽은 염산으로 세척하고, 물로 3회 액체-액체 원심분리하였다. 중합체를 증기 침전에 의해 분리하고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생성물인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는 27,330g/몰의 분자량(Mw)(PC 표준물에 의해 보정된 GPC에 의함)을 가졌고, 3개의 기본 구조 유형, 즉 ITR(16%), RSCO(7.0%) 및 BPACO(77%)을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 르카본에이트와 일치하는 1H-NMR 스펙트럼을 가졌다. 몰% 비는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ITR 몰% = 100 X 이산 클로라이드의 몰/(이산 클로라이드 몰 + BPA 몰 + (레조르시놀 몰 - 이산 클로라이드 몰))
RSCO 몰% = 100 X (레조르시놀 몰 - 이산 클로라이드 몰)/(이산 클로라이드 몰 + BPA 몰 + (레조르시놀 몰 - 이산 클로라이드 몰))
BPA CO 몰% = 100 X BPA 몰/(이산 클로라이드 몰 + BPA 몰 + (레조르시놀 몰 - 이산 클로라이드 몰))
블렌드 제조방법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생성물인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 분말(ITR-BPA 블록 공중합체라고도 함) 및 분말 형태의 BPA 폴리카본에이트 단독중합체(50/50 중량%)를 블렌드 조성물 0.03중량%에 해당하는 양으로 도버포스 S9228과 함께 도료 진탕기(shaker)에서 혼합하였다. 이어서, 분말 블렌드를 배럴(barrel) 온도 600℉ 및 성형 온도 180℉를 갖는 85톤 성형 기계상에서 2 x 3 x 0.125 인치 컬러 칩으로 성형시켰다. 블렌드의 특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로 만들었다.
실시예 2 내지 21 및 비교실시예 1 및 2
본 실시예에서 ITR 폴리아릴레이트 블록, 레조르시놀 카본에이트(RSCO) 블록 및 BPA 카본에이트(BPACO) 블록을 다양한 양으로 포함하는 ITR-BPA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BPA 호모폴리카본에이트와 50:50 블렌딩하였다. 블렌드를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결과를 표 2로 만들었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14
표 2에 기재된 공중합체 수지 각각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각각의 수치 배치(batch)로부터의 분말을 BPA 폴리카본에이트 단독중합체 분말(50/50중량%) 및 도베르포스-S9228 0.03%와 함께 도료 진탕기에서 혼합하였다. 블렌딩하고 건조시킨 이후에, 분말을 85톤 성형 기계에서 580℉로 사출 성형하였다. 성형 이후에 샘플을 투명도 측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일부 경우에, 증가된 상 분리의 결과로서 헤이즈 형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샘플을 1시간동안 170℃에서 어닐링하였다(샘플은 어닐링 이전에 120℃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하기의 비교는 에시적인 것이다:
● 실시예 1 내지 21 대 비교실시예 1과 2를 비교하면 ITR 몰% 차가 약 40% 미만인 블렌드가 낮은 헤이즈를 특징으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1 내지 3, 5 내지 10, 13 및 15 대 실시예 4, 11, 12 및 14는 ITR 26몰% 미만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와 BPA 폴리카본에이트의 블렌드가 바람직하며, 약 7800g/몰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ITR 블록이 "성형시" 헤이즈값을 기준으로 가장 바람직하다.
● 실시예 4, 11 및 14 대 실시예 12는 ITR 약 26몰% 미만을 갖는 공중합체와 BPA 폴리카본에이트를 블렌딩할 때 8500g/몰 미만의 ITR 블록 분자량이 "성형시" 헤이즈값에 근거할 때 바람직함을 나타낸다.
● 실시예 16 대 17은 ITF 약 26몰%를 갖는 공중합체와 BPA 폴리카본에이트를 블렌딩할 때에 4900g/몰 미만의 ITR 블록 분자량이 "성형시" 헤이즈값에 근거할 때 바람직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22
본 실시예에서 81% ITR 수지를 51% ITR 수지와 블렌딩하였다.
메틸렌 클로라이드 29ℓ 및 물 4.6ℓ중 레조르시놀 4360g, p-쿠밀페놀 310g 및 트리에틸아민 100㎖의 교반된 혼합물에 약 525㎖/분으로 메틸렌 클로라이드 13.6㎏중 이소- 및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50/50 혼합물 7309g 용액을 첨가하였다. 동시에, 50% 수산화나트륨을 약 112㎖/분으로 첨가하여서 pH를 4 내지 7로 유지하였다. 산 클로라이드 첨가가 완료된 이후에 7.5 내지 8.5의 안정한 pH가 얻어질 때까지 부식물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약 10분동안 교반하였다.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아릴레이트 ITR의 분자량(Mw)은 PC 표준물로 보정된 GPC에 의할 때 약 12,000g/몰이었다.)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아릴레이트 ITR 올리고머 용액에 BPA 1068g, 물 24ℓ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4ℓ을 첨가하였다. 딥 튜브를 통해 포스겐(1350g)을 첨가하고, 그 동안 50% 부식물에 의해 pH를 약 8.5 내지 10.5로 유지하였다. 본질적으로 포스겐 전부가 소모될 때 유기상을 염수층으로부터 분리하고, 묽은 염산으로 세척하고, 물과 함께 액체-액체 원심분리하였다. 중합체를 증기 침전에 의해 분리하고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ITR-BPA 블록 공중합체는 1H-NMR에 의해 "ITR", "RSCO" 및 "BPACO" 구조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NMR 결과는 82/8/10의 ITR/RSCO/BPACO의 계산된 몰비와 일치하였다. ITR-BPA 블록 공중합체는 26,000g/ 몰의 분자량을 가졌다.
블렌드의 제조방법
상기와 같이 제조된 82/8/10 ITR/RSCO/BPACO의 ITR-BPA 블록 공중합체 및 51/15/34의 ITR/RSCO/BPACO의 조성을 갖는 ITR-BPA 블록 공중합체의 50:50 혼합물을 도료 진탕기에서 도버포스 S9228 0.03중량%와 함께 혼합하였다. 이어서, 600℉의 배럴 온도 및 180℉의 성형 온도를 갖는 85톤 성형 기계상에서 분말 혼합물을 2 x 3 x 0.125인치 컬러 칩으로 성형시켰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내지 33
본 실시예에서 수지 1의 ITR 수지를 수지 2의 또 다른 ITR 수지와 함께 블렌딩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15
표 3의 결과는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수지 1의 조성물" 및 "수지 2의 조성물" 제하 및 "ITR" 소제하의 표에서 나타낸 값을 참고한다)는 "ITR 차" 제하의 컬럼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약 40몰% 미만일 때 최적의 투명도가 이루어짐을 예시한다. 블렌드의 투명도의 다양함은 수지 1 및 수지 2의 ITR 함량의 차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수지 1 및 2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하이드록시-말단 폴리아릴레이트 중간체의 블록 길이에 따라 투명도가 결정됨을 보여준다.
실시예 34
본 실시예는 투명한 중합체 블렌드의 광학 특성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ITR 블록 길이(블록 분자량)가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를 추가로 예시한다.
제 1 공중합체가 51% ITR 함량을 갖고 제 2의 공중합체가 81% ITR 함량을 갖는 2개의 ITR 공중합체의 50/50중량%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2개 ITR 공중합체중 ITR 함량의 차는 약 30% 이었다. 51% ITR 함량을 갖는 제 1 공중합체는 약 5000g/mol의 ITR 블록 분자량을 가졌다. 제 2 수지는 약 81%의 ITR 공중합체 함량 및 약 12,000g/몰의 ITR 블록 분자량을 가졌다. 분말을 도버포스-S9228 0.03%에 의해 건조 블렌딩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2 x 3 x 0.125인치 칩으로 성형하였다. 상기 칩은 어닐링 이전과 이후에 투명하였다.
실시예 35 내지 39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추가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표 4는 조성물에 사용된 성분을 제공하고, 표 5는 상기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16
Figure 112006097184043-PCT00017
실시예 40 내지 49 및 비교실시예 6 및 7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착색 조성물을 제공한다. 조성물에 사용된 성분 및 광택 보유 데이터가 하기 표 6에 제공되어 있다. 광택은 BYK-가드너 휴대용 마이크로 광택계(GARDNER MICRO TRI GLOSSMETER)을 사용하여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시험 부품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06097184043-PCT00018
ITR 함량 차가 40몰% 미만인 실시예 40 내지 49에서 광택 보유율이 보다 높았다(우수한 광택 보유 성능). ITR 차가 40몰% 보다 큰 비교실시예 6 및 7에서 광택 보유율이 보다 낮았다(열등한 광택 보유 성능).
본 발명은 그의 바람직한 양태와 구체적으로 관련지어 상세히 기재되었으나, 당업계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내에서 변화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4)

  1. (a) 하기 화학식 I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 1 수지; 및 (b)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임의로 화학식 I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 2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가 상기 제 1 수지의 전체 반복 단위의 몰% 및 상기 제 2 수지의 전체 반복 단위의 몰%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제 1 수지 및 상기 제 2 수지가 약 40몰% 미만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06097184043-PCT00019
    상기 식에서,
    R1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C1-C12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p는 0 내지 3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가 30몰% 이하인 중합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가 20몰% 이하인 중합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가 하기 화학식 IV의 구조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IV
    Figure 112006097184043-PCT00020
    상기 식에서,
    R1 각각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C1-C12 알킬기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p는 0 내지 3이며;
    R2는 단일 결합, C1-C50 2가 지방족 라디칼, C3-C50 지환족 라디칼 또는 C4-C40 방향족 라디칼이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가 식 HO-D-OH의 비스페놀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이 때 D가 하기 화학식 VI으로 표시되는 2가 방향족 라디칼인 중합체 조 성물:
    화학식 VI
    Figure 112006097184043-PCT00021
    상기 식에서,
    A1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방향족기이고;
    E는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알킬렌, 알킬리덴 또는 지환족 기; 황-함유 결합; 인-함유 결합; 산소-함유 에테르 결합; 카본일기; 3차 질소기; 또는 규소-함유 결합이고;
    R3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1가 탄화수소 기이며;
    Y1은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1가 탄화수소 기, 할로겐, 니트로 및 -OR(여기서, R은 1가 탄화수소 기이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을 포함하여 0 내지 치환에 이용될 수 있는 A1상의 위치 개수인 임의의 정수를 나타내며;
    n은 0을 포함하여 0 내지 치환에 이용될 수 있는 E상의 위치 개수인 정수를 나타내며;
    t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s는 0 또는 1이며;
    u는 0을 포함한 임의의 정수를 나타낸다.
  6. 제 5 항에 있어서,
    비스페놀 HO-D-OH가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펜테인; 2,2-비스(3-알릴-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2-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6-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6-메틸페닐)부테인; 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1-(1-메틸에틸리딘)]벤젠; 1,4-비스[4-하이드록시페닐-1-(1-메틸에틸리딘)]벤젠; 1,3-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6-메틸페닐-1-(1-메틸에틸리딘)]벤젠; 1,4-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6-메틸페닐-1-(1-메틸에틸리딘)]벤젠; 4,4'-바이페놀; 2,2',6,8-테트라메틸-3,3',5,5'-테트라브로모-4,4'-바이페놀; 2,2',6,6'-테트라메틸-3,3',5-트리브로모-4,4'-바이페놀;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2,2,2-트리클로로에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시아노에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다이시아노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시아노-1-페닐메테인; 2,2-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노르보르네인;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3,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탈라이드; 1,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펜온;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4,4'-옥시다이페놀; 4,4-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펜타노산; 4,4-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펜타노산;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2,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메테 인; 2-비스(2-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비스(4-하이드록시-5-니트로페닐)메테인; 비스(4-하이드록시-2,6-다이메틸-3-메톡시페닐)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2-클로로페닐)에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비스페놀-A);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프로페인; 2,2-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프로페인; 2,2-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프로페인; 2,2-비스(3-t-부틸-5-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브로모-5-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클로로-5-페닐-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브로모-5-페닐-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5-다이페닐-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클로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브로모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2,6-다이클로로- 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2,6-다이브로모-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에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5-다이메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3,5,3',5'-테트라클로로-4,4'-다이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메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1-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4,4'-[1-메틸-4-(1-메틸-에틸)-1,3-시클로헥산디일]비스페놀(1,3 BHPM); 4-[1-[3-(4-하이드록시페닐)-4-메틸시클로헥실]-1-메틸-에틸]-페놀(2,8 BHPM); 3,8-다이하이드록시-5a,10b-다이페닐쿠마라노-2',3',2,3-쿠마레인(DCBP); 2-페닐-3,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탈이미딘;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메틸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메틸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t-부틸-5-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5-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5-페닐-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 -5-페닐-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페닐-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클로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브로모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메틸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2,6-다이클로로-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2,6-다이브로모-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메틸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메틸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t-부틸-5-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 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5-t-부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비스(3-클로로-5-페닐-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브로모-5-페닐-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3,5-다이페닐-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클로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브로모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2,3,5,6-테트라메틸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2,6-다이클로로-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1,1-비스(2,6-다이브로모-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세인; 4,4-비스(4-하이드록시페닐)헵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데케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도데케인; 1,1-비스(3,5-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도데케인; 4,4'-다이하이드록시-1,1-바이페닐;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1,1-바이페닐;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옥틸-1,1-바이페닐; 4,4'-(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리덴)다이페놀; 4,4'-비스(3,5-다이메틸)다이페놀;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에테르;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티오에테르; 1,3-비스(2-(4-하이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1,3-비스(2-(4-하이드록시-3-메틸페닐)-2-프로필)벤젠; 1,4-비스(2-(4-하이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1,4-비스(2-(4-하이드록시-3-메틸페닐)-2-프로필)벤젠; 2,4'-다이하이드록시페닐 설폰; 4,4'- 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폰(BPS);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2,6-다이하이드록시 나프탈렌; 하이드로퀸온; 레조르시놀; C1-3 알킬-치환된 레조르시놀; 3-(4-하이드록시페닐)-1,1,3-트리메틸인단-5-올; 1-(4-하이드록시페닐)-1,3,3-트리메틸인단-5-올;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 에테르;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클로로다이페닐 에테르; 4,4-다이하이드록시-2,5-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 에테르; 4,4-티오다이페놀; 2,2,2',2'-테트라하이드로-3,3,3',3'-테트라메틸-1,1'-스피로비[1H-인덴]-6,6'-다이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블렌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가 하기 화학식 VII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본에이트인 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VII
    Figure 112006097184043-PCT00022
    상기 식에서,
    R4는 C2-C50 지방족, C3-C50 지환족 또는 C4-C40 방향족 라디칼이고, R4 기의 전체 수의 약 60% 이상은 방향족 라디칼이다.
  8. 제 8 항에 있어서,
    R4가 하기 화학식 VIII의 방향족 유기 라디칼인 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VIII
    Figure 112006097184043-PCT00023
    상기 식에서,
    A2 및 A3 각각은 C3-C10 일환 2가 방향족 라디칼이고,
    Y2는 A3로부터 A2를 분리시키는 1개 또는 2개 원자를 갖는 C1-C10 지방족 라디칼, 또는 A3로부터 A2를 분리시키는 1개 또는 2개 원자를 갖는 C3-C10 지환족 라디칼이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가 하기 화학식 IX의 구조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IX
    Figure 112006097184043-PCT00024
    상기 식에서,
    A4은 C1-C40 지방족 라디칼이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가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화학식 IX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X
    Figure 112006097184043-PCT00025
    상기 식에서,
    A4는 C1-C40 지방족 라디칼이고,
    R5는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하이드록실, 할로겐, C7-C12 아릴옥시기 또는 C7-C12 알크아릴옥시기이다.
  11. 제 10 항의 화학식 X의 화합물이 데케인디오산, 운데케인디오산, 도데케인디오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올레산, 아젤라산, 에루크산, 브라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말론산, 말산, 말레산, 락트산, 나프탈렌-2,6-다이카복실산, 나프탈렌-2,7-다이카복실산, 시클로헥세인-1,4-다이카복실산, 바이페닐-3,4'-다이카복실산, 바이페닐-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에테르-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설폰-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케톤-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설파이드-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메테인-4,4'-다이카복실산, 다이페닐다이클로로메테인 -4,4'-다이카복실산, 이들의 상응하는 이산(diacid) 할로겐화물, 다이에스테르, 산 에스테르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 10 항의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제 1 수지 및 상기 제 2 수지가 하기 화학식 XI을 갖는 구조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XI
    Figure 112006097184043-PCT00026
    상기 식에서,
    R6은 C2-C1000 지방족 라디칼 또는 C4-C1000 지환족 라디칼이고,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Figure 112006097184043-PCT00027
    또는 -CH2-O-을 나타낸다.
  13. 제 12 항에 있어서,
    화학식 XI의 구조 단위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폴리테트라하이드로푸란 다이올 및 폴리카프로락톤 다이올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수지가 하나 이상의 폴리카본에이트 분자량 표준물을 사용하여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될 때 약 500 내지 약 15000g/몰의 화학식량에 해당하는 폴리아릴레이트 블록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지가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본에이트, 올레핀 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실록세인, 폴리실레인, 폴리설폰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조성물.
  17. (a) 하기 화학식 V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제 1 수지; 및 (b) 폴리카본에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카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임의로 화학식 V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제 2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가 상기 제 1 수지의 몰 반복 단위의 총 수의 몰% 및 상기 제 2 수지의 몰 반복 단위의 총 수의 몰%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제 1 수지 및 상기 제 2 수지가 약 40몰% 미만의 폴리아릴레이트 구조 단위 함량의 차를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화학식 V
    Figure 112006097184043-PCT00028
    상기 식에서,
    q는 2 내지 400이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가 폴리카본에이트인 중합체 조성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지가 비스페놀-A 폴리카본에이트인 중합체 조성물.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가 ASTM D1003에 따라 측정될 때 60% 이상의 광투과율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가 ASTM D1003에 따라 측정될 때 40% 이하의 헤이즈(haze)값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
  22. 제 17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충전제, 하나 이상의 난염제, 하나 이상의 UV 안정화제, 하나 이상의 대전방지제, 하나 이상의 산 소거제 또는 하나 이상의 시각 효과 강화제(visual effect enhancer)를 추가로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23. 제 1 항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24. 제 17 항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KR1020067027477A 2004-06-28 2005-06-22 폴리아릴레이트 조성물 KR200700360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81,957 US7109274B2 (en) 2004-06-28 2004-06-28 Polyarylate compositions
US10/881,957 2004-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078A true KR20070036078A (ko) 2007-04-02

Family

ID=3497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477A KR20070036078A (ko) 2004-06-28 2005-06-22 폴리아릴레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09274B2 (ko)
EP (1) EP1763560B1 (ko)
JP (1) JP5053082B2 (ko)
KR (1) KR20070036078A (ko)
CN (1) CN1976995B (ko)
AT (1) ATE440912T1 (ko)
DE (1) DE602005016251D1 (ko)
WO (1) WO20060121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464A (ko) * 2018-11-23 2020-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4432B2 (en) * 2003-09-30 2007-05-08 General Electric Company Coating compositions, their preparation, and coated articles made therefrom
US7408016B2 (en) * 2005-07-07 2008-08-0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ethods for producing and purifying 2-hydrocarbyl-3,3-bis(4-hydroxyaryl)phthalimidine monomers and polycarbonates derived therefrom
KR100789617B1 (ko) * 2005-09-13 2007-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네가티브 c 타입의 보상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70293626A1 (en) * 2005-12-07 2007-12-20 Shreyas Chakravarti Polyamide blend compositions
US20070135610A1 (en) * 2005-12-09 2007-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arylate acid chloride compositions and derivatives therefrom
US7691304B2 (en) * 2006-11-22 2010-04-06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Thermoplastic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US7686998B2 (en) * 2006-11-22 2010-03-3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Thermoplastic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US7686997B2 (en) * 2006-11-22 2010-03-3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Thermoplastic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US20080161507A1 (en) * 2006-12-28 2008-07-03 Shreyas Chakravarti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KR100955571B1 (ko) * 2007-01-05 201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리아진 구조의 아미노 수지가 혼합된 폴리아릴레이트수지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광학필름
US7691950B2 (en) * 2007-04-30 2010-04-06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ester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7687583B2 (en) * 2007-04-30 2010-03-3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ester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7829632B2 (en) * 2007-04-30 2010-11-0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ester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CA2760186C (en) 2009-04-28 2019-10-29 Foamix Ltd.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protic polar solvents and uses thereof
JP5687120B2 (ja) * 2011-04-20 2015-03-18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アリレート樹脂
US8691915B2 (en) 2012-04-23 2014-04-0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polymers and polymer blends having improved refractive indices
US9580595B2 (en) 2012-05-16 2017-02-2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mposition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containing branched polycarbonate
US20150232662A1 (en) * 2014-02-20 2015-08-2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Thermoplastic composition and article
WO2015160965A1 (en) 2014-04-15 2015-10-2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igh heat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10370534B2 (en) 2014-04-15 2019-08-0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igh heat polycarbonate compositions
CN107108923B (zh) * 2014-12-24 2020-11-20 京瓷株式会社 介电膜、以及使用了其的薄膜电容器和连结型电容器、以及逆变器、电动车辆
CN105199359B (zh) * 2015-10-27 2017-06-13 上海金山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耐候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200140686A1 (en) 2017-06-21 2020-05-0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igh flow, low gloss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composition
EP4141073A1 (en) * 2021-08-31 2023-03-01 SHPP Global Technologies B.V. Filled conductive compositions with improved conductivity
CN115368724B (zh) * 2022-09-30 2023-06-23 厦门天宇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流动性聚碳酸酯组合物、制备方法和包含聚碳酸酯组合物的制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6251A (en) 1976-11-02 1978-05-22 Sumitomo Chem Co Ltd Prevention of devitrifiction of aromatic polyester
EP0261869A3 (en) 1986-09-26 1988-07-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Synthe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arylate and a polyester
US5916997A (en) 1998-02-25 1999-06-29 General Electric Company Weatherable copolymers
US6143839A (en) 1998-09-14 2000-11-07 General Electric Company Weatherable blends of polycarbonates with arylate polymers
JP2002528614A (ja) * 1998-10-29 2002-09-03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耐候性ブロックコポリエステルカーボネ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ブレンド
US6572956B1 (en) 1999-04-08 2003-06-03 General Electric Company Weatherable multilayer resinous article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WO2002020698A1 (en) * 2000-09-01 2002-03-14 Ticona Llc Blends of stretchable liquid crystal polymers with thermoplasti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464A (ko) * 2018-11-23 2020-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6995B (zh) 2010-06-09
CN1976995A (zh) 2007-06-06
EP1763560A1 (en) 2007-03-21
US7109274B2 (en) 2006-09-19
ATE440912T1 (de) 2009-09-15
US20060004152A1 (en) 2006-01-05
EP1763560B1 (en) 2009-08-26
JP2008504401A (ja) 2008-02-14
WO2006012161A1 (en) 2006-02-02
DE602005016251D1 (en) 2009-10-08
JP5053082B2 (ja)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3560B1 (en) Polyarylate compositions
US6037424A (en) Clear blends of polycarbonates and polyesters
US6043322A (en) Clear polycarbonate and polyester blends
EP1771516B1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US5942585A (en) Polycarbonate and polyester blends
US6140422A (en) Polyesters including isosorbide as a comonomer blended with other thermoplastic polymers
US6005059A (en) Clear polycarbonate and polyester blends
US20030195295A1 (en) Miscible blends of polyesters and polycarbonates with good therm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processes and articles
US5461120A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JPH08319409A (ja) 低い複屈折を示す組成物
JP2788098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成形材料
US5821321A (en) Mold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US5045610A (en) Blend of copolyestercarbonate polymer derived from diaryl dicarboxylic acid
US5849845A (en) Blends of aromatic polycarbonates and epoxy-functional terpolymers
EP1951799B1 (en) Radiation stable aromatic carbonate polymer compositions
WO2003004561A2 (en) Polyester / polycarbonate blend composition
JPH021738A (ja) 成形用樹脂
KR900001381B1 (ko) 열가소성 중합체의 색상 개선 방법
US5376736A (en) Transparent polycarbonate PET blends
JPH07188541A (ja) 透明なポリカーボネート/pbt配合物
JPH0649341A (ja) 熱可塑性複合樹脂組成物
MXPA98007353A (es) Una composicion de moldeo que tiene una mejor resistencia al impac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