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208A -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 - Google Patents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208A
KR20070035208A KR1020050089797A KR20050089797A KR20070035208A KR 20070035208 A KR20070035208 A KR 20070035208A KR 1020050089797 A KR1020050089797 A KR 1020050089797A KR 20050089797 A KR20050089797 A KR 20050089797A KR 20070035208 A KR20070035208 A KR 20070035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nitrogen
semiconductor compound
based semiconductor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528B1 (ko
Inventor
정원철
론깔리 쟝
크라비노 안토니오
레리쉬 필리프
프레르 피에르
로케 소피
박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528B1/ko
Priority to US11/362,035 priority patent/US7731796B2/en
Priority to EP06254082A priority patent/EP1767608A1/en
Priority to JP2006215985A priority patent/JP2007091714A/ja
Publication of KR2007003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54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58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10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even number of >CH- groups
    • C09B23/105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even number of >CH- groups two >C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08Triarylamine dyes containing no other chromopho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으로 성질이 다른 측쇄를 동시에 포함하는 질소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유기 반도체 또는 정공 수송 물질로 이용한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소자 적용 시에 스핀 코팅 공정이 가능하고 우수한 전기전도성 및 광기전력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Novel Nitrogen Semiconductor Compound and Device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으로 성질이 서로 다른 측쇄, 즉 전자 수용체와 전자 공여체를 동시에 포함하는 질소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유기 반도체 또는 정공 수송 물질로 이용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반도체 화합물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고도 함)는 일반적으로 기판, 게이트전극, 절연층, 소스/드레인 전극, 채널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종래에 이러한 트랜지스터 소자의 채널층으로 실리콘(Si)과 같은 무기반도체 물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점차적인 디스플레이의 대면적화, 저가격화 그리고 유연화로 인하여 상기 채널층, 즉 반도체층의 소재는 고가격, 고온진공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무기계 물질에서 유기계 반도체 물질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기박막 트랜지스터(OTFT)의 채널층용 유기 반도체 물질이 널리 연구되고 있으며, 그 트랜지스터 특성과 관련한 다양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많이 연구되는 저분자계 또는 올리고머 유기반도체 물질로는 멜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 페리렌, 펜타센, C60, 티오펜올리고머 등이 있고, 루슨트테크놀로지나 3M 등에서는 펜타센 단결정을 사용하여 3.2 ~ 5.0 ㎠/Vs 이상의 높은 전하이동도를 보고하고 있다(Mat. Res. Soc. Symp . Proc . 2003, Vol. 771, L6.5.1 ~ L6.5.11). 프랑스의 CNRS도 올리고티오펜 유도체를 이용하여 0.01 ~ 0.1 ㎠/Vs의 비교적 높은 전하이동도와 전류점멸비(on/off ratio)를 보고하고 있다(J.Am. Chem . Soc ., 1993, Vol. 115, pp. 8716~8721). 그러나, 이들 물질들은 박막형성을 주로 진공 프로세스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스핀 코팅 공정의 적용이 가능한 유기 반도체 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한편, 유기 반도체 물질이 사용되는 또 다른 예로서는 유기 태양전지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 광 전지는 반도체층과 전극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태양 광 전지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빛에 의해 반도체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발생하고, 전하들이 각각 P,N극으로 이동하는 현상에 의하여 P극과 N극의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면서, 이 때 태양전지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는 원리를 이용한 소자이다. 그런데 상기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태양 광 전지의 반도체층 역시 고가격, 고온진공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 무기계 물질보다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적용하려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태양 광 전지 소자에 적용할 때, 스핀 코팅 공정으로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光)량 증가에 따라 전지 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반도체 화합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수용체와 전자 공여체라는 성질이 전혀 다른 측쇄를 포함하는 질소 화합물을 이용하여, 소자 적용 시에 안정적인 상온 스핀 코팅 공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도성 또한 우수한 유기 반도체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A는 전자 수용체이고, D는 전자 공여체이며, m, n은 각각 1이상의 정수이고, m+n은 3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은 상기 질소 화합물을 유기반도체(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 또는 정공 수송 물질(Hole Conducting Material)로 이용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상기 식에서, A는 전자 수용체이고, D는 전자 공여체이며, m, n은 각각 1이상의 정수이고, m+n은 3이다.
즉, 상기 화합물은 질소를 중심으로 전자 수용체와 전자 공여체를 모두 포함한다. 그 결과 분자 자체는 분자량이 크지 않아 실제 소자에 적용하였을 때 산화전위가 균일하고 안정성 우수하면서도, 수 개의 분자가 함께 존재할 때 도 1에 나타난 구조로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용액형성이 용이한 성질을 갖는다. 즉, 전자를 제공하려는 성질이 강한 측쇄와 전자를 받으려는 성질이 강한 측쇄는, 그 전기적인 성질로 인해 전자 공여체와 수용체가 인접하도록 위치하면서 수 개의 화합물이 마치 하나의 고분자 화합물인 것처럼 작용하여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A로 표시되는 전자 수용체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CN, 탄소수 1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알킬기이고,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며, 이때, B1 및 B2 중 어느 하나는 -O-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화학식 1에서 D로 표시되는 전자 공여체는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5 내지 8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 내지 8에서, R1, R2,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알킬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분자 질소 화합물의 분자량은 600 ~ 2000의 범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수용체 및 전자 공여체를 동시에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화학식 9 내지 13으로 표시되는 질소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질소 원자를 중심으로 하고 페닐렌기와 티오펜을 연결기로 포함하면서, 두 개의 디티에닐렌비닐렌기를 전자 공여체로, 하나의 인단디온기(Indanedione group)를 전자 수용체로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디티에닐렌비닐렌기와 두 개의 인단디온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은 종래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 및 2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트리에틸아민같은 과량의 아민 염기 존재하에 용매로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을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의 환류조건에서 8~1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경로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질소계 화합물은 전자 수용체와 전자 공여체 성질을 갖는 다양한 치환기가 필요에 따라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치환기의 조절에 의해 공정 적용 시에 용액 형성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은 종래에 알려진 코팅방법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상온에서 코팅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크린 인쇄법, 프린팅법, 스핀코팅법, 스핀 캐스팅법, 딥핑법(dipping) 또는 잉크분사법을 통해 필요한 두께의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을 유기반도체(organic semiconductor), 또는 정공전달물질(hole conducting material)로 이용한 소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자에는 OTFT(Organic Thin Film Transistor), OFET(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유기 태양 광 전지(Organic Solar Photovoltaic Cell) 또는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질소계 화합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공정에 의해 OTFT, OFET 소자의 유기 반도체층 또는 유기 태양 광 전지나 유기 전계 발광소자의 정공 수송물질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1)의 제조
상기 구조의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을 다음과 같은 경로에 의해 합성하였다.
먼저, 트리스(4-브로모페닐)아민(제조사: Aldrich)(1g, 2mmol)을 100ml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2.9ml(4.5eq)의 2-트리부틸스테닐티오펜(2-tributylstannylthiophene) 및 27mg(1.1%)의 Pd(PPh3)4를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시간 환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브라인(brine)으로 두번 세척한 다음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잔류물을 PE(Petroleum Ether)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0.87g(85%)의 엷은 노란색 고체인 트리스[4-(2-티에닐)페닐]아민을 얻었다.
1H NMR (CDCl3): 7.50 (d, 2H) 7.20 (m, 2H) 7.10 (d, 2H) 7.08 (dd, 1H)
이렇게 수득한 트리스[4-(2-티에닐)페닐]아민(500mg, 1mmol)을 30ml의 1,2-디클로로에탄 및 DMF(0.37g)에 용해시키고, POCl3(0.78g, 5eq)을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15시간 환류하였다. 5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100ml의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포화 수용액을 부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2시간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따라내고, 물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53g(90%)의 오렌지색 고체인 트리스[4-(5-포밀-2-티에닐)페닐]아민을 얻었다.
1H NMR (CDCl3): 9.90 (s, 1H, CHO) 7.70 (d, 1H) 7.60 (d, 1H) 7.30 (d, 2H) 7.20 (d, 2H)
상기에서 수득한 트리스[4-(5-포밀-2-티에닐)페닐]아민(400mg, 0.7mmol)과 400mg(2.5eq)의 티에닐-2-메틸디에틸포스포네이트를 50mL의 무수 THF에 용해시키고, 191mg(2.5eq)의 칼륨-t-부톡사이드를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시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150mL의 디클로로메탄을 부가하고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잔류물을 PE(Petroleum Ether)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100mg(20%)의 빨간색 고체인 비스(4-[5-(2-티에닐에테닐)-2-티에닐]페닐}-4-(5-포밀-2-티에닐)페닐]아민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9.90 (s, 1H, CHO) 7.70 (d, 1H) 7.60 (d, 1[2]H) 7.50 (d, 4H) 7.35 (d, 1H) 7.20 (d, 2H) 7.15 (m, 8H) 7.00 (m, 10H)
상기에서 수득한 비스(4-[5-(2-티에닐에테닐)-2-티에닐]페닐}-4-(5-포밀-2-티에닐)페닐]아민(100mg, 0.1mmol)을 30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질소분위기 하에서 30ml(1.5eq)의 인단디온 및 과량의 트리에틸아민을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적색 고체(50mg, 수율=43%)를 수득하였다.
1H-NMR (CDCl3) d(ppm) 8.00 (m, 5H), 7.80 (m, 1H), 7.70 (d, 2H), 7.55 (d, 4H), 7.40 (d, 1H), 7.20 (m, 10H), 7.00 (m, 10H)
이렇게 합성된 최종 화합물의 UV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합성된 질소계 화합물이 넓은 파장 범위에서 UV를 흡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광전 효율의 측정
유리 기판 위에 ITO 전극를 형성하고, 그 위에 80nm 두께의 전도성 고분자(Bayer社, Baytron P)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제조에 1에서 합성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과 PCBM([6,6]-phenyl-C61-butyric acid methylester)을 1:3(w/w)로 혼합하여 스핀캐스팅에 의해 100nm 두께의 유기 반도체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유기 반도체층 위에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60nm 두께의 반대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광전 효율 측정을 위한 소자를 제작하였다. 상기 소자의 전류-전압 곡선을 AM 1.5 조건에서 측정하여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으로부터 계산된 광전 효율은 100mW/㎠의 빛에서 0.84%로 나타났다. 또한 광 세기에 따른 소자의 효율을 확인하기 위해 태양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로 1 sun, AM1.5 조건에서 빛의 세기 변화에 따른 전류밀도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빛의 강도가 세짐에 비례하여 전류밀도가 높아져 우수한 태양 전지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한 질소계 화합물은 저분자의 안정한 반도체 화합물로서 상온 스핀 코팅 공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여 비교적 단순한 공정을 통해 OTFT(Organic Thin Film Transistor), OFET(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유기 태양 광전지(Organic Solar Photovoltaic Cell) 또는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1에서 합성된 저분자 질소 화합물의 UV 흡수 스펙트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태양전지 소자의 I-V 그래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태양전지 소자의 광 세기에 따른 전지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A는 전자 수용체이고, D는 전자 공여체이며, m, n은 각각 1이상의 정수이고, m+n은 3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되는 전자 수용체이고, 상기 D는 하기 화학식 5 내지 8로 표시되는 전자 공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CN, 탄소수 1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알킬기이고,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며, 이때, B1 및 B2 중 어느 하나는 -O-일 수 있다.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상기 화학식 5 내지 8에서, R1, R2,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알킬기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9 내지 13으로 표시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13]
  4. 제 1항의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을 채널 물질로 포함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물질은 스크린 인쇄법, 프린팅법, 스핀코팅법, 스핀 캐스팅법, 딥핑법 또는 잉크분사법을 통하여 박막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6. 제 1항의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을 정공 수송 물질(Hole Conducting Material)로 포함하는 유기 태양 광전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물질은 스크린 인쇄법, 프린팅법, 스핀코팅법, 스핀 캐스팅법, 딥핑법 또는 잉크분사법을 이용하여 박막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 광전지.
  8. 제 1항의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을 정공수송 물질로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소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물질은 스크린 인쇄법, 프린팅법, 스핀코팅법, 스핀 캐스팅법, 딥핑법 또는 잉크분사법을 이용하여 박막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소자.
KR1020050089797A 2005-09-27 2005-09-27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 KR101156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797A KR101156528B1 (ko) 2005-09-27 2005-09-27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
US11/362,035 US7731796B2 (en) 2005-09-27 2006-02-27 Nitrogen semiconductor compound and device fabricated using the same
EP06254082A EP1767608A1 (en) 2005-09-27 2006-08-03 Tris(thienylphenyl)amine derivatives as organic semiconductors
JP2006215985A JP2007091714A (ja) 2005-09-27 2006-08-08 新規な窒素系半導体化合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有機太陽光電池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797A KR101156528B1 (ko) 2005-09-27 2005-09-27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208A true KR20070035208A (ko) 2007-03-30
KR101156528B1 KR101156528B1 (ko) 2012-06-20

Family

ID=3693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797A KR101156528B1 (ko) 2005-09-27 2005-09-27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31796B2 (ko)
EP (1) EP1767608A1 (ko)
JP (1) JP2007091714A (ko)
KR (1) KR101156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941A (ko) * 2009-09-29 2011-04-0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전 변환 소자, 광전 변환 소자 재료, 광센서 및 촬상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692A (ko) * 2005-08-08 2007-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분자 공액 질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
KR101156528B1 (ko) * 2005-09-27 2012-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
EP2177516A4 (en) 2007-08-06 2013-03-27 Idemitsu Kosan Co AROMATIC AM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JP2009215279A (ja) * 2008-02-13 2009-09-24 Osaka Univ 分岐型化合物、これを用いた有機薄膜及び有機薄膜素子
JP2009267092A (ja) * 2008-04-25 2009-11-12 Toray Ind Inc 光起電力素子用材料および光起電力素子
JP5630156B2 (ja) * 2010-09-03 2014-11-2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ダノン誘導体とその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色材としての利用
CN102617525B (zh) * 2012-03-02 2014-02-26 河北联合大学 一类用于全固态量子点敏化太阳能电池的杂环修饰的三苯胺有机空穴传输材料
JP7433741B2 (ja) 2016-05-31 2024-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二次元センサ、画像センサおよび撮像装置
WO2017208965A1 (ja) * 2016-05-31 2017-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二次元センサ、画像センサおよび撮像装置
JP2018014426A (ja) * 2016-07-21 2018-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化合物及びそれを有する有機光電変換素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1284A (en) * 1995-08-04 1999-12-14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 Organoelectroluminescence device material and organoelectroluminescence device for which the material is adapted
TW546301B (en) * 1997-02-28 2003-08-11 Sumitomo Chemical Co Silicon-containing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TW541855B (en) * 2001-04-27 2003-07-11 Sumitomo Chemical Co Polymeric fluorescent substance and polymer light-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TW588105B (en) * 2001-07-19 2004-05-21 Sumitomo Chemical Co Polymeric fluorescent substance and polymer light-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TWI249542B (en) * 2001-11-09 2006-02-21 Sumitomo Chemical Co Polymer compound and polymer light-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03187983A (ja) * 2001-12-17 2003-07-04 Ricoh Co Ltd 有機elトランジスタ
US7223641B2 (en) * 2004-03-26 2007-05-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iquid crystal television and EL television
KR101156528B1 (ko) * 2005-09-27 2012-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
DE112007000169T5 (de) * 2006-01-16 2008-11-27 Sumitomo Chemical Co. Ltd. Polymerverbindung und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auf Polymerbasis unter deren Verwend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941A (ko) * 2009-09-29 2011-04-0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전 변환 소자, 광전 변환 소자 재료, 광센서 및 촬상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31796B2 (en) 2010-06-08
EP1767608A1 (en) 2007-03-28
JP2007091714A (ja) 2007-04-12
KR101156528B1 (ko) 2012-06-20
US20070068450A1 (en)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528B1 (ko) 신규한 질소계 반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소자
US7528176B2 (en) Carbonyl-functionalized thiophene compounds and related device structures
Niimi et al. Dianthra [2, 3-b: 2′, 3′-f] thieno [3, 2-b] thiophene (DATT):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FET characteristics of new π-extended heteroarene with eight fused aromatic rings
Zhang et al. High-performance, stable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based on trans-1, 2-(dithieno [2, 3-b: 3′, 2′-d] thiophene) ethene
Cai et al. Two photon absorption study of low-bandgap, fully conjugated perylene diimide-thienoacene-perylene diimide ladder-type molecules
Sonar et al. High-mobility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based on benzothiadiazole-sandwiched dihexylquaterthiophenes
EP2361915A1 (en) Novel heterocyclic compound and use thereof
Pathak et al. Fine-tuning of photophysical and electroluminescence properties of benzothiadiazole-based emitters by methyl substitution
KR20080107420A (ko) 불소 함유 화합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불소 함유 중합체, 유기 박막, 및 유기 박막 소자
US20100006830A1 (en) Organic semiconductor compound based on 2,7-bis-(vinyl)[1]benzothieno[3,2-b]benzothiophene, organic semiconductor thin film and transistor using the sam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Hwang et al. 3, 4-Ethylenedioxythiophene-based isomer-free quinoidal building block and conjugated polymers for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WO2011049531A1 (en) N-type materials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s
WO2009105042A1 (en) Thienothiophene derivatives
US20110303909A1 (en) Planar conjugated compounds and their applications for organic electronics
EP1752458A2 (en) Low molecular weight conjugated nitrogen compounds and devices obtainable using the same
EP2768835B1 (en) 5H-THIENO[2,3-c]PYRROLE-4,6-DIONE BASED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
Chen et al. Solution-processable tetrazine and oligothiophene based linear A–D–A small molecules: Synthesis, hierarchical structure and photovoltaic properties
Gupta et al. Small molecules containing rigidified thiophenes and a cyanopyridone acceptor unit for solution-processable bulk-heterojunction solar cells
Anjali et al. Ester-Flanked π-Extended Quinolines for Solution-Processable Ambipolar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EP2920185B1 (en) Thieno[2,3-c]pyrrole-dione derivatives and their use for organic semiconductors
Lee et al. Highly π-extended small molecules with bis (alkylthio) methylene side chains for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Chen et al. n-Type Field-effect Transistors Based on Thieno [3, 2-b] thiophene-2, 5-dione and the Bis (dicyanomethylene) Derivatives
JP2020186316A (ja) アクセプタ−アクセプタ型のn型半導体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ようなポリマーを含有している有機半導体層及び有機電子デバイス
Duan et al.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based on two phenylene–thiophene oligomer derivatives with a biphenyl or fluorene core
Um et al. High-performance organic semiconductors for thin-film transistors based on 2, 7-divinyl [1] benzothieno [3, 2-b] benzothioph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