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010A -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010A
KR20070035010A KR1020070020916A KR20070020916A KR20070035010A KR 20070035010 A KR20070035010 A KR 20070035010A KR 1020070020916 A KR1020070020916 A KR 1020070020916A KR 20070020916 A KR20070020916 A KR 20070020916A KR 20070035010 A KR20070035010 A KR 2007003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twin
counter
bookbinding
twi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5075B1 (ko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김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호 filed Critical 김남호
Priority to KR1020070020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0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of castellated or comb-like form
    • B42B5/103Devices for assembling the elements with the stack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3/00Bookbinding presses; Joint-creasing equipment for bookbinding; Drying or setting devices for b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펀칭이 완료되어 일정단위로 이송되어 제공되는 제본 대상물에 트윈스프링을 자동으로 체결하기 위한 트윈스프링 체결장치는,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톱니들을 원형의 외면에 돌출시킨 상태로 구비되어, 일정주기마다 한바퀴씩 회전시켜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만큼의 트윈 스프링을 계수하는 스프링 계수기와, 상기 스프링 계수기가 한바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계수기를 통하여 계수되어 제공되는 트윈스프링을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스프링 계수부와; 상기 절단된 트윈스프링을 상기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삽입하고 압축하여 결합시키는 스프링 체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이 용이하고 고장의 염려가 적은 트윈스프링 체결이 가능하다.
트윈스프링, 체결, 적재, 실린더, 리프터, 계수기

Description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Twin spring binder and method for binding of twin sp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스프링 체결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겉지공급부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3은 도 1의 속지공급부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4는 및 도 5는 도 1의 이송부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1의 스프링 계수부의 개략적 동작 구조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프링 계수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스프링 체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구조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적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구조도이고,
도 12는 도 1의 전체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겉지공급부 120 : 속지공급부
130 : 이송부 140 : 스프링 계수부
150 : 스프링 체결부 160 : 적재부
본 발명은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체결속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어의 어려움없이 간단하게 자동으로 상기 트윈스프링을 계수할 수 있는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 달력 등 많은 제본 대상물이 트윈스프링(twin spring)이라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체결(binding)되고 있다. 이러한 트윈스프링은 가는 철사를 지그재그로 밴딩하여 반원을 벌려 놓은 듯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C"자모양의 고리를 옆으로 연속하여 이어놓은 듯한 모양으로 되어 있어 체결시 제본 대상물에 형성된 펀칭 구멍에 맞추고 누르면 체결이 완료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코일스프링과 같이 한쪽 끝을 제본대상물의 첫 번째 구멍으로 삽입하여 돌려서 다음 번 구멍에 순차적으로 끼워서 체결하는 방식에 비해 불편함을 덜수 있고,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제본대상물들이 트윈스프링으로 제본되고 있다. 상기 트윈스프링은 트윈 링(twin ring) 또는 더블스프링(double spring)으로도 불리어진다.
상기 트윈스프링을 이용하여 제본 대상물을 체결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의 종래의 예는 등록실용신안 제0117504호(1998.02.10)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트윈스프링을 일정한 거리로 이송시키고 정지된 상태에서 커터날을 이용하여 일정거리로 트윈 스 프링을 절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절단된 트윈 스프링을 기준판 위치까지 이송하고, 작업자에 의해 제본 대상물이 기준판에 맞춰 세팅되면, 세팅된 제본대상물의 펀칭 구멍에 상기 트윈스프링이 삽입되면서 압축됨에 의해 제본 완료물이 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윈스프링 체결장치는 사람의 손으로 직접 수행하던 스프링 체결 작업을 기계가 대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기록지의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제어동작이 필요하고, 상기 기준판까지 절단된 트윈스프링이 정확하게 이송되도록 동기되어야 한다.
종래의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는 구동모터의 제어동작이나 동기가 필요하므로 작업자가 쉽게 다룰 수 없으며, 전력소모를 크게 하고 잦은 고장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트윈스프링을 일정길이로 계수하는 경우에, 스테핑 모터의 전자적인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생산 지연 및 컨트롤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컨트롤이 용이하고, 고장 염려가 적은 트윈스프링 계수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는, 제본 대상물이 겉지와 속지로 공급되는 경우에, 이를 일일이 순차적으로 상기 트윈스프링과 체결하거나, 속지와 겉지를 미리 일정단위의 제본대상물로 결합하여 적재한 후에, 일정단위의 제본대상물을 체결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트윈 스프링을 체결하므로, 생산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단점이 있었다.
특히 제본 대상물을 작업자 인근에 일정높이로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트윈스 프링 체결장치에 작업자가 하나씩 상기 제본 대상물을 공급하고, 적재된 제본대상물이 다 체결되면 이후에 다시 체결대상 제본 대상물을 다시 적재하는 등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제본 대상물이 상기 트윈스프링과 체결된 제본 완료물을 적재하는 경우에, 상기 트윈 스프링이 체결됨으로 인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적재되는 경우에 높이의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 경우 제본완료물을 적재 권수가 증가하게 되면, 높이차이로 인한 경사로 인하여 많은 수를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적재 방향을 서로 달리하여야 하는데 이는 작업자에 의해 일일이 수행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어 작업자의 작업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트롤이 용이하고, 고장 염려가 적도록 트윈스프링 계수하여 제공할 수 있는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본 완료물의 적재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본 대상물의 겉지 및 속지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펀칭이 완료되어 일정단위로 이송되어 제공되는 제본 대상물에 트윈스프링을 자동으로 체결하기 위한 트윈스프링 체결장치는,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톱니들을 원형의 외면에 돌출시킨 상태로 구비되어, 일정주기마다 한바퀴씩 회전시켜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만큼의 트윈 스프링을 계수하는 스프링 계수기와, 상기 스프링 계수기가 한바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계수기를 통하여 계수되어 제공되는 트윈스프링을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스프링 계수부와; 상기 절단된 트윈스프링을 상기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삽입하고 압축하여 결합시키는 스프링 체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트윈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계수기의 외면에 구비되는 톱니들이 상기 트윈 스프링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함에 의해, 상기 스프링 계수기의 상기 톱니들 구비구간 길이만큼의 길이를 가지도록 계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계수기는,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가 변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하는 다양한 개수의 톱니들을 가지는 스프링 계수기로 교체 가능하며, 상기 트원스프링의 홈 간격이 변동되는 경우에, 상기 톱니들의 간격이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의 간격에 대응하여 조절된 스프링 계수기로 교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체결 장치는, 상기 트윈 스프링을 상기 스프링 계수기로 가이드하고, 상기 스프링 계수기에 인접하여 상기 트윈스프링이 특정경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용 레일지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는, 사용가능한 제본 대상물 들 중 최대 크기 이상의 일정 간격마다 돌출된 이송가이드핀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핀들이 일정속도를 유지하며 특정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본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본 대상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겉지들이 적재되는 적재공간과, 상기 적재공간의 하부에 위치되며 일정주기로 수평운동하는 겉지공급대를 구비하여,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된 복수의 겉지들 중 하부에 위치된 일정개수의 겉지들 단위로, 겉지를 자동으로 상기 이송부에 공급하는 겉지 공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윈스프링 체결장치는, 상기 제본 대상물 중 복수의 속지들이 일정단위로 연속되어 적재되며, 적재된 속지들이 항상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거리센서를 통하여 수직운동이 제어되고 서로 교대로 리프팅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리프터들을 포함하는 속지공급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속지공급부는, 상기 겉지 공급부를 통한 겉지 공급시에는 공급된 겉지 상에 일정단위의 속지를 합체하기 용이하며, 겉지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부의 이송 가이드핀에 가이드되는 일정단위의 속지를 일정주기로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겉지 공급부와 상기 이송부에 인접하여 상기 이송부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체결부는, 상기 절단된 트윈스프링이 상기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삽입된 이후에 삽입된 트윈스프링을 압축하는 프레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상기 트윈스프링이 삽입된 이후 압축을 위해 상기 프 레스로 이송하는 경우에, 상기 트윈스프링의 벌어진 부위가 상기 제본대상물의 외부로 드러나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트윈스프링을 회전시키기 위한 경사 이송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윈스프링 체결장치는, 상기 스프링체결부에 의해 체결된 제본 완료물의 트윈스프링 체결부위가 서로 반대방향을 가지며 교대로 적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제본 완료물 들 중 짝수번째의 제본완료물 또는 홀수번째의 제본완료물을 뒤집어 적재하는 적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본완료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제본완료물 하단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짝수번째의 제본완료물 또는 상기 홀수번째의 제본완료물의 이송시에 돌출되었다가 다시 복귀하도록 하여 상기 제본 완료물이 뒤집어 적재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펀칭이 완료되어 일정단위로 제공되는 제본 대상물에 트윈스프링을 체결하는 트윈스프링 체결방법은,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톱니들을 원형의 외면에 돌출시킨 상태의 스프링 계수기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트윈스프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트윈스프링의 일부 홈에 상기 톱니들 중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계수기를 일정주기마다 한바퀴씩 회전시키고, 상기 스프링 계수기의 한바퀴 회전시마다 상기 스프링 계수기를 통과한 트윈스프링을 절단하여, 상기 스프링 계수기의 톱니들 구비구간 길이만큼의 길이로 상기 트윈 스프링을 계수하는 단계와; 상기 계수되어 절단된 트윈스프링을 상기 제본 대상물에 체결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계수기는,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가 변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톱니들의 개수를 가지는 스프링 계수기로 교체 가능하며,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 간격이 변동되는 경우에, 상기 톱니들의 간격이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의 간격에 대응하여 조절된 스프링 계수기로 교체 가능하며, 상기 스프링 계수기의 회전주기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컨트롤이 용이하고 고장의 염려가 적은 트윈스프링 체결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스프링 체결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100)는, 겉지 공급부(110), 속지공급부(120), 이송부(130), 스프링 계수부(140), 스프링 체결부(150), 적재부(160)를 구비한다.
여기서 트윈스프링 체결을 위해 제본대상물을 이미 구비된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제본 대상물은 겉지와 속지로 구분되고, 겉지는 상기 겉지 공급부(110)의 적재공간에 적재되어 있으며, 상기 속지는 상기 속지공급부(120)의 적재공간에 적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겉지와 속지는 상기 트윈스프링의 길이 및 간격과 동일한 크기 및 펀칭구멍이 구비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겉지공급부(110)에서 자동으로 일정주기마다 상기 이송부(130)로 겉지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겉지가 공급되면, 상기 속지공급부(120)에서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일정단위의 속지를 잡을 수 있는 위치까지 속지를 공급하게 되고, 작업자는 용이하게 일정단위의 속지를 상기 공급된 겉지 상부에 놓게 된다.
이후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 상기 제본 대상물이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까지 이송된다. 상기 제본 대상물이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까지 이송되는 시간동안에, 외부의 스프링 공급장치(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연속적으로 이어진 트윈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계수부(140)로 공급되어 계수되고 절단된다. 즉 상기 스프링 계수부(140)에서는 기계적으로 상기 트윈스프링을 일정길이로 계수하여 자동으로 절단하여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에 공급한다.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에서는 상기 절단된 트윈 스프링을 상기 제본 대상물에 결합하여 압축하는 체결동작을 수행하여 제본 완료물을 상기 적재부(160)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적재부(160)에서는 상기 제본 완료물을 교차적으로 적재한다. 즉 한번은 그대로 적재하고, 다음번은 뒤집어 적재하는 방식으로 스프링이 체결된 부분이 연속하며 맞닿지 않도록 적재한다.
이하 각 부분별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2는 상기 겉지 공급부(110)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지 공급부(110)는 겉지가 적재되기 위한 적재공간과 겉지 공급대(112)를 구비한다.
상기 적재공간은 복수의 겉지들이 적재되기 위하여 지지판(180), 하부 지지대(114b), 측면지지대(114a)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80)은 상기 스프링 체결장치(100)의 전체 지지판(180)의 일부분으로 겉지가 놓여졌을 경우에 중력에 의해 경사방향으로 상기 겉지가 하강할 수 있을 정도의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지지대(114b)는 상기 지지판(180)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겉지의 하강을 막고, 정렬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측면지지대(114a)는 상기 겉지의 측면지지 및 정렬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14b) 및 상기 측면지지대(114a)는 상기 지지판(180)에 부착되어 수직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겉지 공급대(112)는 일정두께의 사각형의 판형 구조를 가지며, 좌우수평운동을 통하여 일정단위의 겉지(113)를 상기 이송부(130)에 공급한다. 상기 겉지 공급대(112)는 상기 적재공간에 복수의 겉지들(113)이 적재되어 있을 경우에, 하부에 적재된 일정단위의 겉지들(113)부터 상기 이송부(130)에 공급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겉지는 상기 제본대상물의 앞면과 뒷면을 위해 두장이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겉지 공급대는 두장의 겉지 두께만큼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겉지 공급대(112)가 상기 적재공간의 하부에서 좌우 수평이동함에 따라 두장의 겉지(113)가 상기 이송부(13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겉지공급대(112)는 상기 겉지(113)의 두께가 변화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원하는 두께의 겉지 공급대로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겉지 공급대(112)는 일정주기로 좌우 수평운동을 수행하는데, 이송부(130)의 이송속도에 대응되어 그 운동주기가 결정된다.
상기 겉지 공급부(110)와 상기 이송부(130)와의 경계지점에는 롤러(118)가 구비되어 상기 겉지 공급대(112)에 의해 겉지(113)가 공급되는 경우에, 이를 상기 이송부(130)에 원활하게 롤링해주게 된다.
도 3은 상기 속지공급부(120)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지공급부(12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리프터들을 구비한다.
상기 리프터들은 적재대들(122a, 122b), 지지대(126a, 126b), 및 거리센서(124a, 124b)를 구비한다.
상기 적재대들(122a, 122b)은 일정단위의 속지들이 연속적으로 적재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속지들은 하나의 제본대상물에 삽입되기 위한 단위로 분리 가능하도록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들(126a, 126b)은 상기 적재대들(122a, 122b)과 결합고정되어 상기 적재대들(122a, 122b)을 지지하고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대들(126a, 126b)을 수직운동시킴에 의해 상기 적재대들(122a, 122b)이 수직운동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적재대들(122a, 122b)만이 상기 지지대들(126a, 126b)에 지지되어 수직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들(124a, 124b)은 상기 적재대들(122a, 122b)에 적재된 속지들과 상기 거리센서(124a, 124b)와의 거리가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감지 신호들을 발생한다. 상기 거리센서들(124a, 124b)은 상기 적재대들(122a, 122b)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적재대들(122a, 122b) 중 제1적재대(122a)는 상기 지지대들(126a, 126b) 중 제1지지대(126a)와 고정결합되거나 유동적으로 결합되어 제1리프터를 구성하며, 상기 적재대들(122a, 122b) 중 제2적재대(122b)는 상기 지지대들(126a, 126b) 중 제2지지대(126b)와 고정결합되거나 유동적으로 결합되어 제2리프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적재대(122a) 상부에 상기 거리센서들(124a, 124b) 중 제1거리센서(124a)가 위치하고, 상기 제2적재대(122b)상부에 상기 거리센서들(124a, 124b) 중 제2거리센서(124b)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속지공급부(120)는 상기 겉지 공급부(110)를 통한 겉지 공급시에는 공급된 겉지 상에 일정단위의 속지를 합체하기 용이한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겉지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부(130)에 일정단위의 속지를 일정주기로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겉지 공급부(110)와 상기 이송부(130)에 인접하여 상기 이송부(13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상기 속지를 상기 겉지와 합체하여 상기 이송부(130)에 공급하기 용이한 위치에 상기 속지 공급부(130)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 체결장치(100)의 지지판(180)에 인접하여 뒷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리프터의 적재대(122a)에 일정량의 속지들이 일정높이로 적재되고, 제2리프터의 적재대에(122b)에 일정량의 속지들이 일정높이로 적재되었다고 가정하고 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리프터의 적재대(122a)에 적재된 속 지들을 먼저 공급하는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상기 스프링 체결장치(100)가 동작되면, 상기 겉지 공급부(110)를 통하여 겉지가 일정주기마다 상기 이송부(130)에 공급된다. 이 주기에 대응하여 작업자는 상기 속지공급부(120)의 상기 제1리프트에 적재되어 있는 일정단위의 속지를 상기 겉지 공급부(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겉지 상부에 적재한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일정단위의 속지가 상기 이송부(130)로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제1리프터의 상기 제1적재대(122a)어 적재된 속지들과 상기 제1거리센서(124a)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상기 제1거리센서(124a)에서는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1적재대(122a)가 공급된 속지들의 두께만큼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제1적재대(122a)에 적재된 속지들과 상기 제1거리센서(124a)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거리 유지동작은 상기 제1적재대(122a)에 적재된 속지들이 전부 공급되어 소진될 때 까지 계속된다.
이후 상기 제1적재대(122a)에 적재된 속지들이 전부 공급되면, 상기 제1적재대(122a)는 하강하여 다시 속지들이 적재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속지들의 공급은 상기 제2적재대(122b)에 적재된 속지들을 통하여 수행된다. 상기 제2적재대(122b)를 통한 속지공급 시간동안에, 상기 제1적재대(122a)에는 다시 공급되어야 될 속지들이 적재되게 되고, 상기 제2적재대(122b)를 통한 속지공급이 완료되면, 다시 제1적재대(122a)를 통한 속지공급이 시작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1리프터와 제2리프터를 교대로 동작시킴에 의해 속지를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되고, 이는 종래에 비하여 속지 공급에 따른 시 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4는 상기 이송부(130)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겉지공급부(110)에서 상술한 지지판(180)의 일부와 한 면으로 이어지며 동일경사를 가지는 이송지지판(180)과, 상기 제본 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가이드핀들(132), 상기 제본 대상물의지지 및 정렬을 위한 지지대(134)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트윈스프링 체결장치(100)의 일부를 이루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겉지공급부(110)와 상기 이송부(130)와의 경계지점에서부터 상기 스프링체결부(150)를 거쳐 상기 적재부(160)까지 상기 제본대상물 또는 제본 완료물을 이송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겉지 공급부(110), 상기 스프링체결부(150) 및 상기 적재부(160)까지를 포괄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이송지지판(180)은 일정경사를 가지고 있어, 제본대상물이 상기 겉지공급부(110) 및 상기 속지공급부(120)를 통하여 공급되면, 상기 경사에 의해 상기 이송지지판(180)의 경사면을 타고 하부로 하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하부로 이동된 제본 대상물은 상기 지지대(134)에 의해 지지되고 정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본대상물은 상기 지지대(134)에 의해 상하 정렬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상기 가이트 핀들(132)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핀들(132)은 상기 이송지지판(180)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핀들(132)은 체인의 운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체인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이송지지판(180)의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틈을 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이송지지판(180)과는 직접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 핀들(132)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본대상물을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로 이송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핀들(132)을 이용한 이송에 의해 상기 제본대상물은 좌우 정렬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핀들(132)의 자세한 구조 및 동작은 도 5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이송가이드 핀(132)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겉지공급부(110)와 상기 이송부(130)와의 경계지점에서부터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를 지나 상기 적재부(160)의 이탈 방지 지지대까지의 길이만큼의 이송구간을 가지도록 길게 배치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어들(135a, 135b)을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두개이상의 기어(135a, 135b)간을 체인(133)이 연결하고 상기 기어(135a, 135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133)이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도면상에서는 좌에서 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 가이핀들(132)은 상기 체인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배치되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이송지지판(180)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133) 및 기어(135a, 135b)구조는 상기 이송지지판(18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이송가이드 핀들(132)은 사용가능한 제본 대상물 들 중 최대 크기를 가정하고 그 크기 이상의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하나의 제본 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하여는 적어도 두개이상의 이송가이트 핀들(132)을 구비하여야 안 정된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어(135a, 135b)가 일정속도로 회전함에 따라 체인(133)이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들(132)이 일정속도를 유지하며 특정수평방향(좌에서 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기어(135a, 135b)의 회전속도는 조절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겉지 공급부(110)에서 겉지가 공급되는 주기, 상기 겉지 공급부(110)에서 겉지가 상기 이송부(130) 제공되는 주기, 상기 가이드 핀들(132)이 상기 가이드 핀들(132) 간의 이격된 간격만큼 이동하는 시간은 동일하거나 서로 근접되어야 한다.
도 6은 상기 스프링 계수부(140)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계수부(140)는 스프링 계수기(147), 커터(148), 및 가이드용 레일지그(146)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는 회전판(142)과 원형의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톱니들(144)이 돌출된 계수링(143)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판(142)은 일정주기마다 한바퀴(360도)씩 회전하는 모터나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판(142)은 일정주기마다 한바퀴씩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142)의 회전주기는 유기적인 동작을 위해 상기 겉지공급부(110)의 겉지공급대(112)를 통한 겉지 공급주기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핀들(132)이 상기 가이드 핀들(132) 간의 이격된 간격만큼 이동하는 시간과 상기 회전판(142)의 회전주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유사할 필요가 있다. 상기 회전판(142)의 회전주기는 컨트롤 가능하다. 상기 회전판(142)는 플 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기타 금속이나 이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수링(143)은 상기 회전판(142)의 원형외면(원주면)을 들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외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톱니들(14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계수링(143)은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트윈스프링의 홈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톱니들(144)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 및 상기 트윈스프링이 길이가 트윈스프링 홈이 20개에 대응되는 길이인 경우에, 상기 톱니들(144)은 20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의 계수링(143)에 구비되는 톱니들(144)이 상기 트윈 스프링(145)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함에 의해,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의 상기 톱니들(144) 구비구간 길이만큼의 길이만큼 상기 트윈스프링(145)이 계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계수부(140)에는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의 역회전을 통한 상기 트윈 스프링의 반대방향으로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한 역회전 방지 클러치 베어링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터(148)는,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가 한바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를 통하여 계수되어 제공되는 트윈스프링을 절단한다. 즉 상기 커터(148)는 상기 스프링 계수가(147)가 한바퀴 회전하는 주기마다, 상기 트윈스프링(145)을 일정위치에서 커팅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용 레일지그(146)는 상기 트윈 스프링(145)을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로 가이드하고,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에 인접하여 상기 트윈스프링(145)이 특정경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한다. 즉 상기 레일지그(146)는 상기 트윈스프링(145)의 벌어진 부위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상기 트윈스프링(145)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윈스프링(145)은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의 톱니들(144)에 상기 트윈스프링(145)의 홈이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가이드용 레일 지그(146)에 의해 고정되고 가이드 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용 레일지그(146)를 통하여 트윈스프링(145)이 공급되고,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가 한바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에 구비된 톱니들(144)의 개수만큼의 길이로 상기 트윈스프링(145)이 계수된다. 이때 상기 계수된 트윈스프링(145)을 상기 커터(148)가 절단하게 되고, 계수되고 절단된 트윈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로 자동으로 이송된다.
도 7은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는 두가지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본대상물의 길이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는 동일한 회전판(142)에 톱니들의 개수를 달리하는 계수링(143)이 부착되어 있다.
도 7의 상부(a)에는 도 6에서 도시된 스프링 계수기(147)의 톱니들의 1/2 정도의 톱니들을 가지는 스프링 계수기로써, 제본대상물의 크기가 도 6의 경우보다 1/2배로 작은 경우에 적용되는 스프링 계수기(147)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하부(b)에는 도 6에서 도시된 스프링 계수기(147)의 톱니들의 1/4 정도의 개수의 톱니들을 가지는 스프링 계수기로써, 제본대상물의 크기가 도 6의 경우보다 1/4배로 작은 경우에 적용가능한 스프링 계수기(147)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톱니들의 개수가 달라진다고 하여 톱니들(144) 간의 간격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고, 도 6의 스프링 계수기(147)의 구조에서 원하는 개수의 톱니들을 남겨두고 나머지 톱니들은 제거함에 의해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본대상물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톱니들(144)의 개수를 달리하는 스프링 계수기로 교체함에 의해 다양한 제본대상물에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트윈스프링의 홈 간격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상기 톱니들의 간격을 이에 대응하여 조절한 스프링 계수기를 설치하여 다양한 종류의 트윈 스프링을 이용하여 스프링을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의 일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써, 상기 제본대상물에 절단된 트윈스프링(156)을 삽입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어들(152a, 152b, 152c)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들(152a, 152b, 152c)에 의해 구동되는 체결링(153)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링(153)의 외부에는 도 6에서의 계수링(143)에서와 같이, 다수의 톱니들(154)이 구비된다. 상기 톱니들(154)은 상기 계수링(143)에 구비된 톱니들(144)과 동일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계수부(140)에서 계수되어 절단된 트윈스프링(156)은 트윈스프링(156)의 벌어진 부위가 바닥에 닿은 상태로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에 제공되게 된다. 상기 트윈스프링이 계수되고 절단되어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에 제공되는 시간동안에, 상기 제본 대상물은 상기 이송부(130)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 체결부(150)에 이송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면의 삽입부(1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된 트윈스프링(156)의 홈에 상기 체결링(153)의 톱니들(154)이 삽입되고, 상기 체결링(153)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트윈스프링(156)이 이송된다.
상기 트윈스프링(156)은 상기 기어들(152a, 152b, 152c)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한 기어(152c) 인접부위에서 상기 제본 대상물과 만나게 되고,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상기 트윈스프링(156)이 삽입되게 된다. 즉 상기 기어(152c)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트윈스프링(156)이 좌에서 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과 만나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트윈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계수기(147)에 의해 계수되어 절단되면 절단된 트윈스프링(156)의 한쪽 끝은 상기 커터(148) 절단위치에 위치되지만, 다른 쪽 끝은 상기 삽입부(155)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어들(152a, 152b, 152c)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트윈스프링의 절단과 동시에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의 삽입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서 제본대상물에 트윈스프링이 삽입된 채로 프레스로 이동하는 경우의 이송과정에서의 트윈스프링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동작에 의해 제본대상물(157)에 트윈스프링(156)이 삽입되면, 압축을 위해 프레스(미도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프레스에 의해 트윈스프링의 벌어진 부위가 서로 맞붙어 체결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스에 의한 압축동작은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프레스로 압축을 위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본대상물(157)에 삽입된 트윈스프링(156)은 벌어진 부위가 상기 제본 대상물의 외부에 드러나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본 대상물(157)의 펀칭구멍에 완전히 트윈스프링이 삽입되어 반대편을 통하여 돌출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경사진 이송로(158)를 구비한다. 도 8의 동작에 의해 제본대상물(157)에 트윈스프링(156)이 삽입되면, 상기 트윈스프링(156)은 벌어진 부위가 아래(지지판(180) 하부)를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경사 이송로(158)는 이송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경사가 점점 심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트윈스프링(156)이 체결된 제본대상물(157)은 진행방향(좌에서 우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제본대상물(157)은 상기 이송부(130)의 이송가이드 핀들(132)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송된다.
이 경우, 상기 트윈스프링(156)이 상기 경사 이송로(158)를 관통하여 진행방향(좌에서 우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경사 이송로(158)에서는 상기 제본대상물(157)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본대상물(157)에 삽입된 부분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트윈스프링(156)의 삽입되지 않고 드러난 부분이 상승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트윈스프링(156)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트윈스프링(156)의 회전방향은 상기 경사이송로(158)의 설치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나,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다. 상기 트윈스프링(156)의 벌어진 부위가 외부로 완전히 드러날 정도(트윈스프링의 벌어진 부위가 제본대상물(157)의 외부로 완전히 드러난 경우)까지 회전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으로 상기 트윈 스프링을 압축하여 트윈스프링 체결동작을 완료한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적재부(16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상기 적재부(160)의 동작은 두가지로 나뉘는데, 도 10은 적재 제1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1은 적재 제2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60)는 상기 이송지지판(180)에서 연장되고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적재지지판(180), 적어도 두개 이상의 실린더(162a, 162b, 162c), 가변지지대(164), 및 이탈 방지 지지대(166)를 구비한다.
상기 적재지지판(180)은 상기 겉지공급부(110)의 지지판(180), 상기 이송부의 이송지지판(180)과 함께 하나의 지지판을 이루는 것으로, 명칭을 구성요소에 대응하여 표현한것에 불과하다. 상기 적재지지판(180)은 일정경사를 이루면서 상기 이송지지판(18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실린더들(162a, 162b, 162c)은 상기 스프링체결부(150)에 의해 체결된 제본 완료물의 트윈스피링 체결부위가 서로 반대방향을 가지며 교대로 적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제본 완료물 들 중 짝수번째의 제본완료물 또는 홀수번째의 제본완료물을 뒤집어 적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본 완료물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제본 대상물의 두께보다 상기 트윈스프링의 두께가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제본완료물을 다수개로 적재할 경우에 트윈스프링이 체결된 부위와 트윈스프링이 체결되지 않은 반대편 부위의 적재높이가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많은 수의 제본 완료물을 적재할 수 없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들(162a, 162b, 162c)이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들(162a, 162b, 162c)은 상기 제본 완료물이 이송되면 상기 제본 대상물을 밀쳐서 하부의 적재함으로 떨어지기 적합하도록 적당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본완료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들(162a, 162b, 162c)은 상기 제본 완료물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아야 한다.
상기 실린더들(162a, 162b, 162c)은 제본 완료물의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모양에 대응하여 적절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들(162a, 162b, 162c)은 제본 완료물을 반대로 적재하기 필요한 정도로 동작되면 되므로, 전부가 동작될 필요는 없고, 하나 또는 두개만 동작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그 동작을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들(162a, 162b, 162c)은 상기 적재지지판(180)의 하부에 구비되어 통상의 동작시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러나지 않는다.
상기 가변지지대(164)는 상기 제본완료물이 상기 적재지지판(180)에 이송되는 경우에 교차적으로 동작한다. 예를들어 짝수번째 제본완료물이 이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본 완료물을 고정지지하는 형태의 상기 적재지지판(18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홀수번째 제본완료물이 이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적재지지판(180)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이완되어, 이송된 제본 완료물이 상기 적재지지판(180)의 경사로 인하여 하부 적재함으로 적재되도록 한다. 물론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이탈 방지 지지대(166)는 상기 적재지지판(180)을 상기 제본 완료물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로 상기 적재지지판(180) 상의 측면상에 구비된다.
이하 상기 적재부(160)의 동작을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본 완료물들 중 짝수번째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반대로 적재하고 홀수번째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그대로 적재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10은 제본 완료물이 홀수번째로 이송되는 경우의 동작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본 완료물이 상기 적재지지판(180)으로 이송되면, 상기 실린더들(162a, 162b, 162c)은 동작하지 않고, 상기 가변지지대(164) 만 이완되어 상기 적재지지판(180)의 경사에 의해 상기 제본완료물이 하부의 적재함에 적재되도록 한다.
도 11은 제본완료물이 짝수번째로 이송되는 경우의 동작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본 완료물이 상기 적재지지판(180)으로 이송되면, 상기 실린더들(162a, 162b, 162c) 중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예를 들면 162a)가 돌출된다. 이에 따라 제본완료물을 밀어서 상기 하부의 적재함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162a)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제본완료물은 하부의 적재함에서 이전의 홀수번째의 제본완료물과는 반대방향(뒤집힌 방향)으로 적재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변지지대(164)는 상기 제본 완료물을 고정지지하는 형태로 상기 적재지지판(18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부적재함에 적재된 제본 완료물들은 일정개수가 적재되면 자동으로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윈스프링 체결장치(10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부터 겉지공급부(110), 이송부(130)가 구비되고, 이송부(130)의 인접한 뒷부분에 속지공급부(120)이 구비된다. 또한 스프링 계수부(140)가 이송부(130)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계수부(140)에 인접하여 스프링 체결부(150)가 구비된다. 또한 적재부(160)가 상기 트윈스프링 체결장치(100)의 가장 우측에 구비된다.
도 12의 사진에는 다소 구조가 복잡하게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의 전체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구성들로서,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한 내용 설명 이외의 구성이나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거나 이미 알려진 내용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는, 전자제어식이 아닌 기계식으로 트윈스프링을 계수하여 제공함에 의해 고장이 적으며, 간단하게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겉지 및 속지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공급하여 작업 속도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제본 완료물의 적재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제어식이 아닌 기계식으로 트윈스프링을 계수하여 제공함에 의해 고장이 적으며, 간단하게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겉지 및 속지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공급하여 작업 속도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제본 완료물의 적재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펀칭이 완료되어 일정단위로 이송되어 제공되는 제본 대상물에 트윈스프링을 자동으로 체결하기 위한 트윈스프링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톱니들을 원형의 외면에 돌출시킨 상태로 구비되어, 일정주기마다 한바퀴씩 회전시켜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만큼의 트윈 스프링을 계수하는 스프링 계수기와, 상기 스프링 계수기가 한바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계수기를 통하여 계수되어 제공되는 트윈스프링을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스프링 계수부와;
    상기 절단된 트윈스프링을 상기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삽입하고 압축하여 결합시키는 스프링 체결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계수기의 외면에 구비되는 톱니들이 상기 트윈 스프링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함에 의해, 상기 스프링 계수기의 상기 톱니들 구비구간 길이만큼의 길이를 가지도록 계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계수기는,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가 변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 응하는 다양한 개수의 톱니들을 가지는 스프링 계수기로 교체 가능하며,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 간격이 변동되는 경우에, 상기 톱니들의 간격이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의 간격에 대응하여 조절된 스프링 계수기로 교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체결 장치는,
    상기 트윈 스프링을 상기 스프링 계수기로 가이드하고, 상기 스프링 계수기에 인접하여 상기 트윈스프링이 특정경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용 레일지그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는,
    사용가능한 제본 대상물 들 중 최대 크기 이상의 일정 간격마다 돌출된 이송 가이드핀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핀들이 일정속도를 유지하며 특정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본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스프링 체결장치는,
    상기 제본 대상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겉지들이 적재되는 적재공간과, 상기 적재공간의 하부에 위치되며 일정주기로 수평운동하는 겉지공급대를 구비하여,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된 복수의 겉지들 중 하부에 위치된 일정개수의 겉지들 단위로, 겉지를 자동으로 상기 이송부에 공급하는 겉지 공급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스프링 체결장치는,
    상기 제본 대상물 중 복수의 속지들이 일정단위로 연속되어 적재되며, 적재된 속지들이 항상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거리센서를 통하여 수직운동이 제어되고 서로 교대로 리프팅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리프터들을 포함하는 속지공급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공급부는,
    상기 겉지 공급부를 통한 겉지 공급시에는 공급된 겉지 상에 일정단위의 속지를 합체하기 용이하며, 겉지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부의 이송 가이드핀에 가이드되는 일정단위의 속지를 일정주기로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겉지공급부와 상기 이송부에 인접하여 상기 이송부의 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체결부는,
    상기 절단된 트윈스프링이 상기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삽입된 이후에 삽입된 트윈스프링을 압축하는 프레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체결부는,
    상기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상기 트윈스프링이 삽입된 이후 압축을 위해 상기 프레스로 이송하는 경우에, 상기 트윈스프링의 벌어진 부위가 상기 제본대상물의 외부로 드러나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트윈스프링을 회전시키기 위한 경사 이송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스프링 체결장치는,
    상기 스프링체결부에 의해 체결된 제본 완료물의 트윈스프링 체결부위가 서로 반대방향을 가지며 교대로 적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제본 완료물 들 중 짝수번째의 제본완료물 또는 홀수번째의 제본완료물을 뒤집어 적재하는 적재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본완료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제본완료물 하단부위에 위치되며, 상기 짝수번째의 제본완료물 또는 상기 홀수번째의 제본완료물의 이송시에 돌출되었다가 다시 복귀하도록 하여 상기 제본 완료물이 뒤집어 적재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13. 펀칭이 완료되어 일정단위로 제공되는 제본 대상물에 트윈스프링을 체결하는 트윈스프링 체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톱니들을 원형의 외면에 돌출시킨 상태의 스프링 계수기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트윈스프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트윈스프링의 일부 홈에 상기 톱니들 중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계수기를 일정주기마다 한바퀴씩 회전시키고, 상기 스프링 계수기의 한바퀴 회전시마다 상기 스프링 계수기를 통과한 트윈스프링을 절단하여, 상기 스프링 계수기의 톱니들 구비구간 길이만큼의 길이로 상기 트윈 스프링을 계수 및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계수 및 절단된 트윈스프링을 상기 제본 대상물에 체결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계수기는,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가 변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본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톱니들의 개수를 가지는 스프링 계수기로 교체 가능하며,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 간격이 변동되는 경우에, 상기 톱니들의 간격이 상기 트윈스프링의 홈의 간격에 대응하여 조절된 스프링 계수기로 교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계수기의 회전주기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KR1020070020916A 2007-03-02 2007-03-02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KR10083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916A KR100835075B1 (ko) 2007-03-02 2007-03-02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916A KR100835075B1 (ko) 2007-03-02 2007-03-02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010A true KR20070035010A (ko) 2007-03-29
KR100835075B1 KR100835075B1 (ko) 2008-06-03

Family

ID=4163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916A KR100835075B1 (ko) 2007-03-02 2007-03-02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10B1 (ko) * 2007-07-13 2009-09-24 한치수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504Y1 (ko) * 1995-07-26 1998-05-15 신봉섭 트원링 자동 제본기
JP3950552B2 (ja) 1998-06-29 2007-08-01 共同印刷株式会社 刷本供給装置
US7007944B1 (en) 2000-10-14 2006-03-07 Eastman Kodak Company Pulsed airknife control for a vacuum corrugated feed supply
KR200268684Y1 (ko) 2001-12-17 2002-03-16 송홍전 트윈스프링 제본기
KR200395746Y1 (ko) 2005-06-23 2005-09-13 한치수 제본기
KR200402190Y1 (ko) 2005-09-06 2005-11-29 이신영 트윈 링 자동 체결 장치
KR200428369Y1 (ko) 2006-07-03 2006-10-16 구종수 로터리 방식의 트윈스프링 자동 제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10B1 (ko) * 2007-07-13 2009-09-24 한치수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075B1 (ko) 2008-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2695B1 (en) Device for loading bound product
US5515667A (en) Device for forming a stack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standing, sequential printed sheets
US20140234067A1 (en) Device for delivering print shop products supplied in a product stream on two separate stacks
US8356967B2 (en) Stacker, stacking system or assembly and method for stacking
JP2005500224A (ja) 可撓性材料シートの製造機械
US200600457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cking and transporting plates
KR200471557Y1 (ko) 스프링 제본물 이송장치
KR100835075B1 (ko)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CN108556504B (zh) 一种封面机用纸板上料输送机构
CN100577540C (zh) 装订设备和印刷品装订方法
CN101472817A (zh) 供纸装置
KR100918510B1 (ko)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KR200362787Y1 (ko) 종이재 원단 이송장치
CN112278919B (zh) 一种分料送料装置
CN208776021U (zh) 全自动收纸机构
CN210653774U (zh) 一种瓷砖包装机用传输机构
CN209352319U (zh) 一种纸板转运平台
KR200450424Y1 (ko) 제본완료물 적재장치
CN2621169Y (zh) 全自动编织袋裁切成型机的改良快速输送装置
CN110626849A (zh) 接纸机构
CN219341189U (zh) 一种本册分层堆叠推本装置
JP5771747B1 (ja) 印刷単位ブロック整列装置及び整列方法
JP3364983B2 (ja) 積層体の打ち抜き装置用型準備装置
CN219949761U (zh) 一种新型钣金料库的钣金出料传送机构
CN214243012U (zh) 一种配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