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420A - 황산철계 인산염 흡착제 - Google Patents

황산철계 인산염 흡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420A
KR20070031420A KR1020077002294A KR20077002294A KR20070031420A KR 20070031420 A KR20070031420 A KR 20070031420A KR 1020077002294 A KR1020077002294 A KR 1020077002294A KR 20077002294 A KR20077002294 A KR 20077002294A KR 20070031420 A KR20070031420 A KR 20070031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mposition
iii
solution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752B1 (ko
Inventor
한스-마르틴 물러
에리크 필립
피터 가이서
Original Assignee
비포르 (인터내셔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포르 (인터내셔날) 아게 filed Critical 비포르 (인터내셔날)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3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30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 A61P3/14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for calcium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8Plasma substitutes; Perfusion solutions; Dialytics or haemodialytics; Drugs for electrolytic or acid-base disorders, e.g. hypovolemic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25Compounds of Fe, Ru, Os, Co, Rh, Ir, Ni, Pd, Pt
    • B01J20/0229Compounds of 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2Oxides; Hydroxides
    • C01G49/06Ferric oxide [Fe2O3]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2Compounds of iron
    • C09C1/24Oxides of ir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6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besity (AREA)
  • Rheu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 조성물의 인산염 흡착제로서의 용도, 특히 인간 또는 동물에게 투여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산염, 흡착제

Description

황산철계 인산염 흡착제 {IRON SULFATE-BASED PHOSPHATE ADSORBENT}
본 발명은 새로운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 조성물의 인산염 흡착제로서의 용도, 특히 인간 또는 동물에게 투여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수용성 매체로부터 얻는 인산염 흡착제는 유럽 특허 제0 868 125호에 공지되어 있는데, 이때 흡착제는 탄수화물 및/또는 흄산(humic acid)에 의하여 안정화되는 다핵성 β-수산화철을 함유한다. 생성물은 염화철(Ⅲ) 용액을 염기(특히 소다 용액)와 반응시키고, 생성되는 수산화철이 숙성되기 전에 탄수화물 또는 흄산을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침전에서 염화철(Ⅲ)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그것은 염화 이온의 존재가 β-수산화철(아카가네이트)의 형성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생성되는 물질을 탄수화물 또는 흄산과 숙성된 β-수산화철의 혼합물과 비교시 더 우수한 인산염 흡착 능력을 보이는 결과와 마찬가지로, 탄수화물 또는 흄산을 첨가시키면 새롭게 얻은 β-수산화철이 안정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유럽 특허 제0 868 125호에 따라 인산염 흡착제의 제조에서 출발 물질로 염화철(Ⅲ)을 사용하게 되면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컨대, 염화철(Ⅲ)을 사용하게 되면 염화 이온의 존재 때문에 저장에 있어서 부식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염화철(Ⅲ)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므로, 출발 물질로서 염화철(Ⅲ)을 사용하여 생기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인산염 흡착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동시에, 인산염 흡착제는 유럽 특허 제0 868 125호에 따른 물질과 실질적으로 같은 인산염 흡착 능력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출발 물질로서 황산철 화합물 및/또는 질산철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염화철(Ⅲ)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예컨대, 탄수화물 또는 흄산에 의하여 분명히 안정화되고, 유럽 특허 제0 868 125호의 물질의 인산 흡착 능력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인산염 흡착 능력을 갖는 수산화철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공정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 황산염 및/또는 질산염 함유 철(Ⅲ)염 수용액에 1종 이상의 염기를 첨가하여 수산화철 침전을 형성하는 공정과,
b) 그 결과 생성되는 침전을 물로 1회 이상 세척하고, 수산화철의 수용성 현탁액을 얻는 공정과,
c) 그 결과 생성되는 수용성 현탁액에 상기 공정 b)에서 얻은 수산화철 침전의 숙성을 억제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첨가하는 공정과,
d) 상기 공정 c)에서 얻은 조성물을 건조하는 공정.
공정 a)에서, 황산염 및/또는 질산염 함유 철(Ⅲ)염 수용액을 1종 이상의 염기와 반응시켜 수산화철 침전을 형성시킨다.
황산염 함유 철(Ⅲ)염 수용액은 특히, 황산철(Ⅲ)(Fe2(SO4)3)(그 수화물을 포함함) 수용액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 예컨대, KFe(SO4)2 또는 NH4Fe(SO4)2 등의 철 명반(iron alums) 용액과 같은 기타 황산염 함유 철(Ⅲ)염 수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황산 함유 황산철(Ⅱ)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예컨대, 질산과 같이 산화하기 쉽다.
사용하는 황산염 함유 철(Ⅲ)염 수용액은 좋기로는, 철의 양에 대하여 약 3 내지 16 중량%의 농도이다.
질산염 함유 철(Ⅲ)염 수용액은 특히, 질산철(Ⅲ)(Fe(NO3)3)(그 수화물을 포함함) 수용액일 수 있다.
사용하는 질산염 함유 철(Ⅲ)염 수용액은 좋기로는, 철의 양에 대하여 약 3 내지 16 중량%의 농도이다.
공정 a)에 첨가시키는 염기의 양은 pH 값이 3 이상으로, 좋기로는 6 이상으로 설정되도록 적절하게 선택한다. 적절하게는 사용 염기의 양은 경제적인 관점에서, 용액으로부터 철 침전이 완전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공정을 약 10 미만의 pH 값에서 수행시킨다. 더 높은 pH 값은 경제적인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다. 그러므로, 공정 a)에서 설정되는 pH 값은 좋기로는 약 3 내지 10, 더 좋기로는 약 5 내지 8이다.
공정 a)에서 사용하는 염기로는 좋기로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이 있다. 그러한 화합물로는 특히,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탄산염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탄산염,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 및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특히 나트륨의 경우가 더 좋다. 염기는 수용액의 형태로서 더 적절하고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약 0.01 내지 2 몰/L의 몰농도인 것이 좋다. 그러나, 염기를 황산염 및/또는 질산염 함유 철(Ⅲ)염 용액에 고체의 형태로 첨가시킬 수도 있다.
공정 a)에서 사용하는 염기는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및/또는 중탄산나트륨 특히, 그들의 수용액으로의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염기와의 반응은 높이 올린 온도에서는 수행시키지 않는데, 이는 높은 온도가 생성되는 수산화물의 숙성을 가속화시키기 때문이다. 반응 온도는 10 내지 40 ℃, 더 좋기로는 20 내지 30 ℃ 범위 내에서 유지시키고; 더욱 좋기로는 반응을 실온(25 ℃)에서 수행시킨다. 현탁액은 적절하게는 침전 후에 짧은 시간 동안 그대로 둘 수 있다. 실제에서는, 현탁액을 예컨대, 1 내지 5 시간 동안 실온 또는 그 이하의 온도에 그대로 둘 수 있다. 그 시간 동안, 현탁액을 교반시킬 수 있다.
그 후 생성되는 침전을 물로 1회, 좋기로는 수회 세척시키고, 각각의 경우 좋기로는 디캔팅(decanting), 여과, 원심 분리에 의하여 및/또는 역삼투압 과정에 의하여, 예컨대, 막 여과에 의한 세척/현탁액 작업 후에 물을 제거한다. 얻어지는 축축한 생성물을 건조시키지 않는다. 축축한 생성물을 물에 부유시킨다. 물의 양은 임계적이지 않고, 좋기로는 생성되는 현탁액의 철 함량(Fe로 계산)이 최대 10 중량%가 되도록, 특히 좋기로는 2 내지 8 중량%가 되도록 한다.
생성되는 수산화철의 수용성 현탁액은 추가 성분이 첨가되기 전에 약 6.5 내지 7.5 범위의, 대략적으로 중성 pH 값을 가진다. 더 낮은 pH 값에서는 수산화철이 부분적으로 다시 용액으로 될 수 있다. 더 높은 pH 값은 바람직하지 못한데, 이는 그들이 공정 c)에서 착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특히, 공정 c)에서 추가 성분이 첨가되기 전에 수산화철의 숙성이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좋다. 침전 숙성 중에 초기의 무질서하게 위치되어 있었던 분자들이 다소 규칙적인 결정 격자를 형성하도록 재그룹화가 종종 일어난다. 대부분의 경우 침전의 숙성은 결정화 뿐만 아니라 오스왈드 라이페닝(Ostwald ripening)의 결과로서 입자의 성장을 포함한다.
공정 c)에서는 상기에서 얻어진 현탁액에 1종 이상의 추가 성분을 첨가시키는데, 추가 성분은 공정 b)에서 얻어진 수산화철 침전의 상기 묘사된 숙성을 억제시킨다. 수산화철 숙성을 억제하는 이 성분은 좋기로는 탄수화물, 탄수화물 유도체 및 흄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성분은 좋기로는 고체의 형태로 첨가시키고, 그러나 수용액의 형태로 첨가시키는 것도 원칙적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추가의 숙성 억제 성분인 탄수화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는 예컨대, 아가로스, 덱스트란, 텍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덱스트린 유도체, 덱스트란 유도체, 녹말, 미정질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같은 셀룰로오스, 수크로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또는 만니톨의 여러 다양한 탄수화물 및 슈가와 같은 것이 있다.
특히, 녹말, 수크로스, 덱스트린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좋다. 녹말, 수크로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더 좋다. 녹말, 말토덱스트린 및 셀룰로오스, 특히 미정질 셀룰로오스로부터 특히 선택된 1종 이상의 추가 성분과 수크로스의 혼합물이 더 좋다. 추가 성분의 기능은 하나의 이론이라 할 수는 없지만 추정하기로는 새롭게 침전된 수산화철을 안정화시켜 수산화철 침전의 숙성을 막는 것으로 여겨진다.
탄수화물 및/또는 흄산과 같이 수산화철 숙성을 억제시키는 추가 성분이 철 g 당(Fe로 계산하여) 0.5 g 이상, 좋기로는 1 g 이상이 첨가되도록 탄수화물 또는 흄산의 양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좋기로는 얻어지는 조성물의 철 함량은 50 중량% 이하, 좋기로는 40 중량% 이하이어야 한다. 얻어지는 조성물의 철 함량은 좋기로는 20 중량% 이상이어야 한다. 탄수화물 및/또는 흄산과 같이 수산화철 숙성을 억제시키는 성분의 최대 함량에는 제한이 없고, 주로 경제적인 이유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한 함량은 좋기로는 약 5 내지 60 중량%, 더 좋기로는 약 20 내지 60 중량%이다.
공정 c)에서 수산화철의 숙성을 억제시키는 성분을 첨가한 후에, 생성되는 수용성 현탁액을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건조시킨다. 건조는 예컨대, 진공에서의 농축에 의하여, 또는 분사 건조에 의하여 수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바람직한 구체화에서, 1종 이상의 칼슘염을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조성물을 건조시키기 전 또는 후에 첨가시킨다. 적절한 칼슘염으로는 예컨대,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염 특히, 칼슘 아세테이트이다. 칼슘염을 첨가시키면 특히, 더 높은 pH 값에서 인산염을 결합시키는 능력이 증가된다.
특히, 5를 초과하는 pH 값에서 칼슘염과 같이 제공되는 흡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그러면 완전한 인산염 결합 능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칼슘염 특히, 칼슘 아세테이트를 철 g 당 400 mg 내지 2 g, 예컨대 약 1 g을 첨가시키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은 물질은 실질적으로 수산화철과, 탄수화물 또는 흄산과 같이 수산화철의 숙성을 억제시키는 성분과의 물리적인 혼합물이다. 이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자는 새롭게 침전된 수산화철과 접촉되어 수산화철을 안정화시키는데, 그럼으로써 인산염 흡착 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의 숙성은 일어나지 않는다. 독일 특허 제42 39 44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착물 형성은 수용성 현탁액을 첨가시키는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되는 조건 하에서 일어날 수 없는데, 이는 착물이 형성되기 위하여는 예컨대, 수산화철에 탄수화물을 첨가시키는 동안 강한 알칼리 조건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조성물은 좋기로는 수용액으로부터 인산염용 흡착제를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좋기로는 인간 또는 동물에 경구 및/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를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조성물로부터 생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조성물을 고인산염혈 상태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좋기로는,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조성물을 투석 환자의 예방 및/또는 치료 처리용 제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에 의하여 예컨대, 경구 투여와 같이 약학적 투여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것들은 종래의 운반체 또는 보조 물질과 같은 종래의 약학적 첨가제와 같이 제제화될 수 있다. 예컨대, 캡슐화시킬 수 있는데, 단단하거나 부드러운 젤라틴 캡슐과 같이 약학적 부문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물질을 캡슐화시키는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조성물의 마이크로캡슐화도 역시 가능하다. 흡착제를 임의로 보조 물질 및 첨가제와 같이, 사셰(sachet) 내에 충전된 과립, 정제, 당의정의 형태로서, 젤 형태로서 또는 스틱의 형태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예컨대, 철에 대하여 1 내지 3 g, 좋기로는 약 1.5 g이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조성물은 또한 식품에 결합된 인산염 흡착용으로 사용하는데 적절한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예컨대 식품 내에 이들을 혼합시킬 수 있다. 끝으로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의약용 제형으로 제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조성물은 특히 체액, 유미즙 및 식품으로부터 무기 및 식품과 결합된 인산염용 흡착제로서 적절하다. 이들은 유럽 특허 제0 868 125호에 따라 얻은 제제와 비슷한 인산염 흡착 능력을 가지면서도, 간단하고 비싸지 않게 제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의하여 얻은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출발 물질로서 황산철 및/또는 질산철을 사용함으로써 조성물에 단지 흔적으로만 존재하는 특히 낮은 농도의 염화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염화물의 함량은 특히 아카가네이트(akaganeite)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염화물 함량 보다 더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수화물 및 흄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과 수산화철(Ⅲ)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조성물은 0.05 중량% 미만, 좋기로는 0.03 중량% 미만, 더욱 좋기로는 0.01 중량% 미만의 염화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1
수산화철(Ⅲ) 용액(11.3 % 중량/중량 Fe) 444 g을 소다 용액(d20 = 1.185 g/ml) 1160 g에 20 내지 30분에 걸쳐 적가 교반(vane-type stirrer)시킨다. 현탁액을 1시간 더 교반시킨다. 그런 후에, 물 2 리터를 현탁액에 첨가 교반시키고; 혼합물을 그대로 둔 후, 상청액(supernatant) 용액을 디캔트(decant)시킨다. 이 공정을 5번 반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철 함량이 4.0 %(중량/중량)(착염 정적법에 의하여 결정됨)인 현탁액 1238 g을 얻는다. 수크로스 및 녹말 각각 73.9 g을 상기의 현탁액 1238 g에 첨가시킨다. 현탁액은 그런 후에 60 ℃에서 회전 농축기(rotary evaporatory)에서 농축시키고, 50 ℃, 고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철 함량이 21.5 g(중량/중량)인 분말 223 g을 얻을 수 있다.
인산염 흡착 능력의 결정:
인산나트륨 용액(13.68 g/l Na3PO4 × 12 H2O) 10 ml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얻은 물질 233 mg(철 0.9 mmol에 대응함)(몰 비율 Fe : P = 1 : 0.4)에 첨가시킨다. pH 값을 맞춘 후,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다. 그런 후 현탁 액을 원심 분리시키고; 상청액을 디캔트시키며, 증류수로 25 ml를 맞추고, 그 인산 함량을 결정한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결정된, 실시예에 따라 얻은 물질의 인산 흡착은 pH 3에서 0.20 mg P/mg Fe이고, pH 5.5에서 0.16 mg P/mg Fe이었다.
실시예 2
황산철(Ⅲ) 용액(11.5 % 중량/중량 Fe) 439 g을 수산화나트륨 용액(9.6 % 중량/부피) 1014 ml에 20 내지 30분에 걸쳐 적가 교반(vane-type stirrer)시킨다. 현탁액을 1시간 더 교반시킨다. 그런 후에, 물 2 리터를 현탁액에 첨가 교반시키고; 혼합물을 그대로 둔 후, 상청액 용액을 디캔트시킨다. 이 공정을 디캔트된 상청액에 황산염이 없게(황상바륨에 의하여 조절) 될 때까지 반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철 함량이 2.74 %(중량/중량)(착염 정적법에 의하여 결정됨)인 현탁액 1606 g을 얻는다. 수크로스 및 녹말 각각 66.0 g을 상기의 현탁액 1606 g에 첨가시킨다.현탁액은 그런 후에 60 ℃에서 회전 농축기에서 농축시키고, 50 ℃, 고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철 함량 22.2 g(중량/중량)인 분말 190 g을 얻는다.
인산염 흡착 능력의 결정:
인산나트륨 용액(13.68 g/l Na3PO4 × 12 H2O) 10 ml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얻은 물질 226 mg(철 0.9 mmol에 대응함)(몰 비율 Fe : P = 1 : 0.4)에 첨가한다. pH 값을 맞춘 후,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다. 그런 후 현탁액을 원심 분리시키고; 상청액을 디캔트시키며, 증류수로 25 ml를 맞추고, 그 인산 함량 을 결정한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결정된, 실시예에 따라 얻은 물질의 인산 흡착은 pH 3에서 0.19 mg P/mg Fe이고, pH 5.5에서 0.15 mg P/mg Fe이었다.
실시예 3
질산철(Ⅲ) 용액(9.7 % 중량/중량 Fe) 535 g을 소다 용액(d20 = 1.185 g/ml) 1200 g에 20 내지 30분에 걸쳐 적가 교반(vane-type stirrer)시킨다. 현탁액을 1시간 더 교반시킨다. 그런 후에, 현탁액을 여과 백에 옮기고, 물로 계속 헹굼으로써 3 시간 동안 세척시킨다(3 시간 후에 세척한 물의 전도도는 300 μS/cm). 이러한 방식으로 철 함량이 4.3 %(중량/중량)(착염 정적법에 의하여 결정됨)인 현탁액 923 g을 얻는다. 수크로스 및 녹말 각각 60.1 g을 상기의 현탁액 923 g에 첨가시킨다. 현탁액은 그런 후에 60 ℃에서 회전 농축기에서 농축시키고, 50 ℃, 고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철 함량 22.3 g(중량/중량)인 분말 172 g을 얻는다.
인산염 흡착 능력의 결정:
인산나트륨 용액(13.68 g/l Na3PO4 × 12 H2O) 10 ml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얻은 물질 225 mg(철 0.9 mmol에 대응함)(몰 비율 Fe : P = 1 : 0.4)에 첨가한다. pH 값을 맞춘 후,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다. 그런 후 현탁액을 원심 분리시키고; 상청액을 디캔트시키며, 증류수로 25 ml를 맞추고, 그 인산 함량을 결정한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결정된, 실시예에 따라 얻은 물질의 인산 흡착은 pH 3에서 0.21 mg P/mg Fe이고, pH 5.5에서 0.17 mg P/mg Fe이었다.
실시예 4
황산철(Ⅲ) 용액(11.4 % 중량/중량 Fe) 234 g을 소다 용액(d20 = 1.185 g/ml) 615 g에 20 내지 30분에 걸쳐 적가 교반(vane-type stirrer)시킨다. 현탁액을 1시간 더 교반시킨다. 그런 후에, 현탁액을 여과 백에 옮기고, 물로 계속 헹굼으로써 3 시간 동안 세척시킨다(염화바륨으로 황산염의 부재를 시험). 이러한 방식으로 철 함량이 6.0 %(중량/중량)(착염 정적법에 의하여 결정됨)인 현탁액 470 g을 얻는다. 수크로스 및 말토덱스트린 각각 21.1 g을 상기의 현탁액 470 g에 첨가시킨다. 현탁액은 그런 후에 60 ℃에서 회전 농축기에서 농축시키고, 50 ℃, 고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철 함량 20.3 g(중량/중량)인 분말 66 g을 얻는다.
인산염 흡착 능력의 결정:
인산나트륨 용액(13.68 g/l Na3PO4 × 12 H2O) 10 ml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얻은 물질 247 mg(철 0.9 mmol에 대응함)(몰 비율 Fe : P = 1 : 0.4)에 첨가한다. pH 값을 맞춘 후,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다. 그런 후 현탁액을 원심 분리시키고; 상청액을 디캔트시키며, 증류수로 25 ml를 맞추고, 그 인산 함량을 결정한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결정된, 실시예에 따라 얻은 물질의 인산 흡착은 pH 3에서 0.21 mg P/mg Fe이고, pH 5.5에서 0.17 mg P/mg Fe이었다.
실시예 5
황산철(Ⅲ) 용액(11.3 % 중량/중량 Fe) 223 g을 소다 용액(d20 = 1.185 g/ml) 585 g에 20 내지 30분에 걸쳐 적가 교반(vane-type stirrer)시킨다. 현탁액 을 1시간 더 교반시킨다. 그런 후에, 현탁액을 여과 백에 옮기고, 물로 계속 헹굼으로써 3 시간 동안 세척시킨다(염화바륨으로 황산염의 부재를 시험). 이러한 방식으로 철 함량이 6.0 %(중량/중량)(착염 정적법에 의하여 결정됨)인 현탁액 447 g을 얻는다. 수크로스 및 미정질 셀룰로오스 각각 20.6 g을 상기의 현탁액 447 g에 첨가시킨다. 현탁액은 그런 후에 60 ℃에서 회전 농축기에서 농축시키고, 50 ℃, 고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철 함량 20.6 g(중량/중량)인 분말 65 g을 얻는다.
인산염 흡착 능력의 결정:
인산나트륨 용액(13.68 g/l Na3PO4 × 12 H2O) 10 ml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얻은 물질 244 mg(철 0.9 mmol에 대응함)(몰 비율 Fe : P = 1 : 0.4)에 첨가한다. pH 값을 맞춘 후,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다. 그런 후 현탁액을 원심 분리시키고; 상청액을 디캔트시키며, 증류수로 25 ml를 맞추고, 그 인산 함량을 결정한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결정된, 실시예에 따라 얻은 물질의 인산 흡착은 pH 3에서 0.20 mg P/mg Fe이고, pH 5.5에서 0.17 mg P/mg Fe이었다.

Claims (23)

  1. a) 황산염 및/또는 질산염 함유 철(Ⅲ)염 수용액에 1종 이상의 염기를 첨가하여 수산화철 침전을 형성하는 공정과,
    b) 그 결과 생성되는 침전을 물로 1회 이상 세척하고, 수산화철의 수용성 현탁액을 얻는 공정과,
    c) 그 결과 생성되는 수용성 현탁액에 상기 공정 b)에서 얻은 수산화철 침전의 숙성을 억제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첨가하는 공정과,
    d) 상기 공정 c)에서 얻은 조성물을 건조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황산염 함유 철(Ⅲ)염 용액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산화철 침전의 숙성을 억제하는 추가 성분은 탄수화물, 탄수화물 유도체 및 흄산(hum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철(Ⅲ)염 용액은 황산철(Ⅲ) 수용액인 것이 특징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철(Ⅲ)염 용액은 질산철(Ⅲ) 수용액인 것이 특징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정 a)에서의 pH 값은 3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생성되는 조성물은 50 중량% 이하의 철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염기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 및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염기는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및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정 a)에서의 염기로서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알칼리 금속의 중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수용액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정 a)에서의 pH 값은 6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공정 a)에서의 염기로서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및/또는 중탄산나트륨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산화철의 숙성을 억제하는 추가 성분은 녹말, 수크로스 및 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건조되기 전 또는 후에 1종 이상의 칼슘염이 첨가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산화철의 숙성은 공정 c)에서 추가 성분을 첨가하기 전에는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것이 특징인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생성되는 조성물은 추가 공정 e)에서 약학적 투여형으로 제제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7. 수용액으로부터 인산염 흡착제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조성물의 용도.
  18. 인간 또는 동물에 경구 및/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조성물의 용도.
  19. 고인산염혈 상태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조성물의 용도.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투석 환자의 예방 및/또는 치료 처리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
  21.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흡착제.
  22. 식품과의 혼합용 흡착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라 얻은 조성물의 용도.
  23. 탄수화물 및 흄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과 수산화철(Ⅲ)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0.05 중량% 미만의 염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조성물.
KR1020077002294A 2004-06-28 2005-06-21 황산철계 인산염 흡착제의 제조 방법 KR101122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1181.1 2004-06-28
DE102004031181A DE102004031181A1 (de) 2004-06-28 2004-06-28 Phosphatadsorbens
PCT/EP2005/052861 WO2006000547A2 (de) 2004-06-28 2005-06-21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hosphatadsorbens auf eisensulfat-ba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420A true KR20070031420A (ko) 2007-03-19
KR101122752B1 KR101122752B1 (ko) 2012-03-23

Family

ID=3550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294A KR101122752B1 (ko) 2004-06-28 2005-06-21 황산철계 인산염 흡착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20090169645A1 (ko)
EP (1) EP1899270B1 (ko)
JP (1) JP4997107B2 (ko)
KR (1) KR101122752B1 (ko)
CN (1) CN1997596B (ko)
AR (1) AR049522A1 (ko)
AU (1) AU2005256617C1 (ko)
BR (1) BRPI0512636A (ko)
CA (1) CA2571364C (ko)
DE (1) DE102004031181A1 (ko)
ES (1) ES2718458T3 (ko)
HK (1) HK1108422A1 (ko)
MX (1) MX2007000335A (ko)
NO (1) NO20070391L (ko)
NZ (1) NZ552247A (ko)
RU (1) RU2344083C2 (ko)
TW (1) TWI351926B (ko)
UA (1) UA92894C2 (ko)
WO (1) WO2006000547A2 (ko)
ZA (1) ZA2007007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941A (ko) * 2011-09-08 2014-06-09 샤리떼 우니베지테츠메디친 베를린 마그헤마이트 또는 마그헤마이트/마그네타이트에 기초한 나노미립자 인산염 흡착제, 이의 제법 및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319804E (pt) * 2006-12-14 2014-11-24 Novartis Ag Adsorvente de fosfato à base de ferro (iii)-carboidrato
EP1932807A1 (en) * 2006-12-14 2008-06-18 Novartis AG Inorganic compounds
EP2319804B1 (en) * 2006-12-14 2014-10-22 Novartis AG Iron(III)-Carbohydrate based phosphate adsorbent
TWI468167B (zh) 2007-11-16 2015-01-11 威佛(國際)股份有限公司 藥學組成物
US20110086097A1 (en) * 2008-06-13 2011-04-14 Daniel Kaufmann Manufactur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iron containing phosphate adsorbent
CN101318122B (zh) * 2008-07-21 2013-03-20 郜洪文 阴离子表面活性剂-硫酸钡复合吸附材料及其制备方法
SG173887A1 (en) * 2009-03-02 2011-10-28 Vifor Int Ag Phosphate adsorbent
JP2012192326A (ja) * 2011-03-15 2012-10-11 Kyoto Univ 硫黄含有ガス除去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硫黄含有ガス除去方法
RU2496722C1 (ru) * 2012-04-10 2013-10-27 Леонид Асхатович Мазитов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воды от фосфатов
ES2820737T3 (es) * 2013-11-27 2021-04-22 Vifor Fresenius Medical Care Renal Pharma Ltd Composición farmacéutica que comprende partículas de quelante de fosfato
US11583846B2 (en) 2014-11-25 2023-02-21 Graver Technologies Llc High capacity adsorbent for oxyanions and cation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343154B2 (en) 2014-11-25 2019-07-09 Graver Technologies Llc High capacity adsorbent for fluoride ion and oxyanions of phosphorous and arsenic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7397810B (zh) * 2016-05-19 2021-08-24 欣凯医药化工中间体(上海)有限公司 基于铁的氢氧化物-桃胶的磷结合剂、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07397760B (zh) * 2016-05-19 2021-07-30 欣凯医药化工中间体(上海)有限公司 基于铁的氢氧化物-低分子量糖的磷结合剂、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07397758A (zh) * 2016-05-19 2017-11-28 欣凯医药化工中间体(上海)有限公司 一种磷结合剂及其制备方法
CN107397759A (zh) * 2016-05-19 2017-11-28 欣凯医药化工中间体(上海)有限公司 基于铁的氢氧化物-降解的碳水化合物的磷结合剂、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08773889A (zh) * 2018-09-10 2018-11-09 芜湖新达园林绿化集团有限公司 一种去污絮凝剂用复合微球及去污絮凝剂的制备、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06874B (de) * 1956-01-31 1965-12-16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eitgehend sulfat-freiem Eisenoxydhydrat als Ausgangsprodukt fuer die Ferritherstellung
US2885393A (en) * 1956-02-24 1959-05-05 R K Laros Company Dextran-iron complex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S56136648A (en) * 1980-03-27 1981-10-26 Taki Chem Co Ltd Chemical agent for water treatment
US4597958A (en) * 1984-09-17 1986-07-0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Method of producing hydrated iron oxide
US4970079A (en) * 1989-06-05 1990-11-13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composition of oxy-iron compounds for treatment of hyperphosphatemia
US5411569A (en) * 1991-08-28 1995-05-02 Kemiron, Inc. Iron humate product
JPH05155776A (ja) * 1991-12-02 1993-06-22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高リン血症治療剤
DE19547356A1 (de) * 1995-12-19 1997-06-26 Vifor Int Ag Adsorbens für Phosphat aus wäßrigem Medium,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GB9720061D0 (en) * 1997-09-19 1997-11-19 Crosfield Joseph & Sons Metal compounds as phosphate binders
DK172860B1 (da) * 1998-03-25 1999-08-16 Pharmacosmos Holding As Jerndextranforbindelse til anvendelse som komponent i et terapeutisk middel til forebyggelse af eller behandling af jernman
DE10115415A1 (de) * 2001-03-29 2002-10-02 Bayer Ag Kontakt- und Adsorber-Granulate
WO2002026631A1 (de) * 2000-09-26 2002-04-04 Bayer Aktiengesellschaft Kontakt- und adsorber-granulate
DE10232069A1 (de) * 2002-07-16 2004-02-05 Sachtleben 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senhydroxid, Eisenoxidhydrat oder Eisenoxid aus Filtersalzen der Dünnsäurerückgewinnung
DE10249552A1 (de) * 2002-10-23 2004-05-13 Vifor (International) Ag Wasserlösliche Eisen-Kohlenhydrat-Komplexe,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941A (ko) * 2011-09-08 2014-06-09 샤리떼 우니베지테츠메디친 베를린 마그헤마이트 또는 마그헤마이트/마그네타이트에 기초한 나노미립자 인산염 흡착제, 이의 제법 및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18458T3 (es) 2019-07-02
CN1997596A (zh) 2007-07-11
AR049522A1 (es) 2006-08-09
TWI351926B (en) 2011-11-11
NO20070391L (no) 2007-03-20
TW200603746A (en) 2006-02-01
HK1108422A1 (en) 2008-05-09
RU2007103154A (ru) 2008-08-10
CA2571364C (en) 2013-05-14
CA2571364A1 (en) 2006-01-05
RU2344083C2 (ru) 2009-01-20
ZA200700767B (en) 2008-09-25
WO2006000547A3 (de) 2006-06-22
BRPI0512636A (pt) 2008-03-25
EP1899270B1 (de) 2019-02-27
DE102004031181A1 (de) 2006-01-19
WO2006000547A2 (de) 2006-01-05
NZ552247A (en) 2010-06-25
CN1997596B (zh) 2011-03-30
EP1899270A2 (de) 2008-03-19
JP4997107B2 (ja) 2012-08-08
JP2008504344A (ja) 2008-02-14
UA92894C2 (ru) 2010-12-27
AU2005256617B2 (en) 2010-08-26
MX2007000335A (es) 2007-03-12
AU2005256617A1 (en) 2006-01-05
KR101122752B1 (ko) 2012-03-23
US20090169645A1 (en) 2009-07-02
US20140335202A1 (en) 2014-11-13
AU2005256617C1 (en)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752B1 (ko) 황산철계 인산염 흡착제의 제조 방법
CA2240668C (en) Adsorbent for phosphate from an aqueous medium, production and use of said adsorbent thereof
US4482542A (en) Antacid material based on magnesium aluminium hydroxide and the preparation thereof
CA2008068A1 (en) Bismuth-containing compositions suitable for therapeutic use
US4443433A (en) Antacid material based on magnesium aluminum hydroxide and preparation thereof
WO1996038058A1 (fr) Composition contenant du calcium facilement absorbab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3131385B2 (ja) 易吸収性カルシウム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11884B2 (ja) ヒ素化合物の除去方法及び吸着剤
JPH062580B2 (ja) ベーマイト状水酸化アルミニウム、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経口用リン酸イオン吸着剤
US1807608A (en) A calcittee-carbohydeate compound
JPH0579648B2 (ko)
JPS61209575A (ja) 食品の防腐剤
JPH05244948A (ja) アスコルビン酸酸化酵素の安定化方法
CN116809033A (zh) 一种磷酸化几丁质复合材料及其制备和应用
JPH10236806A (ja) ハイドロキシアパタ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30373B2 (ko)
JPS6139315B2 (ko)
JPS63109755A (ja) 固結しないマグネシウム含有食塩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