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289A -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의 얀 피더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의 얀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289A
KR20070031289A KR1020067021567A KR20067021567A KR20070031289A KR 20070031289 A KR20070031289 A KR 20070031289A KR 1020067021567 A KR1020067021567 A KR 1020067021567A KR 20067021567 A KR20067021567 A KR 20067021567A KR 20070031289 A KR20070031289 A KR 20070031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eeding
yarn feeder
feed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734B1 (ko
Inventor
마사키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3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얀 피더를 대형화하지 않고 생산성이 높은 스티치가 가지런한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의 얀피더를 제공한다.
급사 후의 급사구의 대기위치에 대한 회전방향을 설정하고, 급사후의 연동수단의 선택·해제 동작에 연동하여 급사구를 급사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절환 가능하도록 구성한 절환기구에서, 하단에 급사구가 형성된 급사간을 상하 방향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한 적어도 두개의 부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급사구부재를 상방에 밀어 올려 가압한 가압수단을 설치하고, 급사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대기위치에 있어서의 급사구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한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한기구에 의하여 대기위치에서의 급사구의 소정 이상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의 얀 피더{YARN FEEDER OF YARN FEEDING DEVICE IN WEF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편성포 단부(端部)나 인타샤 편성포 등의 패턴편성에 있어서의 패턴변환 부분에서의 얀 피더의 대기위치에서 급사구를 편성포 편성영역 외로 절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의 얀 피더에 관한 것이다.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하여 캐리지와 연동하여 니들베드의 편침(編針)에 급사하고 있던 얀 피더는 그 급사구가 편성영역의 바깥 측의 대기위치에 놓여진다.
이 경우에 얀 피더가, 인접하는 편성영역의 경계를 넘어서 크게 이동하면 할수록 편사(編絲)의 위치가 내려가고, 급사 조건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인타샤 편성에서는 얀 피더가, 인접하는 편성영역의 경계를 넘은 위치에서 연동수단으로부터 해방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편성영역 내에서 정지한 얀 피더로부터 편성포에 걸쳐진 편사를 다음의 편성영역의 편성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후퇴시키기 위하여 얀 피더의 회전량을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런데 얀 피더의 회전량을 크게 하려고 하면, 얀 피더의 회전기구의 대형화·복잡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얀 피더의 회전량을 크게 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회전량을 크게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급 케이스에는 급사구의 위치를 절환하여 회전시키는 절환기구를 설치하고, 절환기구는 연동수단과 협동하여 급사구의 회전방향 및 높이를 절환조작하는 압입 조작부를 구비하는 얀 피더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1)
특허문헌1 : 국제공개WOO2-079556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종래의 제안에서는 얀 피더의 급사구가 대기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크게 회전하고 높은 위치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편성영역의 단부(端部)의 스티치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편사가 잡아 당겨짐으로써 당해 편성영역의 단부의 스티치가 작아져 균일한 스티치의 형성이 어렵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얀 피더의 급사구가 대기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크게 회전하고 높은 위치에서 정지할 때에, 스티치가 뜨기 쉽고, 코이동할 때에 스티치가 뜬 경우에는 스티치에 편침이 들어 가기 어려워 확실한 코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얀 피더의 급사구가 대기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크게 회전하여 높은 위치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편성영역의 단부(端部)에서의 코이동이나 고늘임 시의 편침의 배면으로 편사가 확실하게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들뜸이 없고 스티치가 가지런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의 얀 피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의 얀 피더는, 니들베드의 상부에 설치된 얀 가이드 레일에 복수 개의 얀 피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연동수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연동수단의 작동에 연동하여 급사간(給絲桿)의 하단부에 설치된 급사구를 급사위치와 대기위치로 절환하여 회전시키는 절환기구를 설치하고, 절환기구는 연동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얀 피더가 정지상태로부터 급사연동될 때까지의 사이에 절환기구가 조작되어, 급사구를 대기위치로부터 급사위치로 절환조작 됨과 아울러 급사 후의 급사구의 대기위치에 대한 회전방향을 설정하고, 급사 후의 연동수단의 선택해제 동작에 연동하여 급사구를 급사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회전절환 가능하도록 구성한 횡편기의 얀 피더에 있어서, 하단에 급사구를 형성하는 급사간 부분을 상하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딩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부재로 형성함과 아울러 급사구를 형성한 부재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고, 급사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대기위치에 있어서의 급사구를 형성한 부재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한기구를 설치하고, 당해 제한기구에 의하여 대기위치에서의 급사구가 소정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의 얀 피더에서는 급사간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는, 급사구 형성부재와, 급사구 형성부재의 상부에서 급사간 가이드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수납부재와, 스프링 수납부재에 수납된 가압수단을 형성하는 압축 스프링과, 급사간 가이드의 결합구멍에 결합되고 압축 스프링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기구를 구비하고, 스프링 수납부재의 상단부에 제한기구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급사구 형성부재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가압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의 얀 피더에서는 고정구가 삽입되어서 연결되는 급사구 형성부재의 상단부와 스프링 수납부재의 하단부 중의 적어도 일방을 장공(長孔)으로 하여 급사구의 높이를 변경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했거나, 급사구 형성부재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스프링 수납부재의 상단부의 접촉부까지의 길이가 다른 스프링 수납부재를 교환함으로써 급사구의 상한제한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얀 피더를 구비한 급사장치를 장착한 횡편기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얀 피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얀 피더 부분의 기구 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얀 피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얀 피더에 있어서의 급사간(給絲桿) 및 제한기구 부분의 분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얀 피더에 있어서의 급사간 및 제한기구 부분의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얀 피더에 있어서의 급사간 및 제한기구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얀 피더에 있어서의 급사간 및 제한기구 부분의 일부를 종단한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얀 피더에 있어서의 선택 레버를 조작하는 부분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얀 피더에 있어서의 선택 레버를 조작하는 부분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니들베드 8…슬라이딩 구동기구(게이트 암)
9…얀 피더 10…연동수단
11…얀 가이드 레일 12…급사구
17…공급 케이스 20…급사간
22…하부 플레이트 22a…급사구 형성부재
22b…스프링 수납부재 22c…압축 스프링(가압수단)
22e…22b의 접촉부 29…절환기구
32…선택 레버 65…22a의 상단의 장공
66…22b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 67…고정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대한 실시의 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얀 피더를 구비한 급사장치를 창착한 횡편기의 측면도로서, 도면 중의 부호1은 횡편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부호2는 급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횡편기1은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3을 "八"자형으로 그 선단(先端)을 대치시킨 상태에서 프레임4에 설치하고, 각각의 니들베드3에는 복수 개의 편침5이 진퇴조작(進退操作)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니들베드3의 상면(上面)에는 캐리지6이 벨트 구동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왕복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캐리지6에는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은 편성 캠7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편성 캠7에 의하여 편침5의 버트48이 조작되어 편침5의 진퇴조작이 이루어진다.
캐리지6에는 전후의 니들베드3에 걸쳐서 이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게이트 암(슬라이딩 구동기구)8이 설치되어 있고, 게이트 암8에는 얀 피더9와 연동하는 연동수단10 및 얀 피더9의 급사구12를 편침5·5의 선단의 근방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하강수단13이 탑재되어 있다.
니들베드3의 상방에는 니들베드3의 길이방향을 따라 4개의 얀 가이드 레일11이, 니들베드3과 나란하게 설치된 편침5의 선단부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니들베드3 전후방향으로 부채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동수단10은, 제어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돌출(突出) 및 후퇴(後退) 제어되는 솔레노이드의 출력축의 동작을,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동핀14에 전달하는 전동간(傳動桿)15를 구비하고, 연동핀14는 스프링16에 의하여 하강가압 되어 있고, 연동핀14를 각 얀 피더9의 공급 케이스17의 상단 중앙 쪽 부분에 좌우 한 쌍인 회전편18에 형성된 결합부19에 결합시켜서 얀 피더9를 연동하게 되어 있다(도3참조).
얀 피더9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얀 가이드 레일11에 지지된 공급 케이스17과, 공급 케이스17로부터 하단에 급사구12가 형성된 급사간(給絲桿)20과, 상기 급사간20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급사간 가이드21을 아래로 늘어뜨림과 아울러 대기위치에서 급사구12를 중립위치에 지지하는 중립위치 지지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급사간 가이드21은 상부 부분의 피벗 지지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공급 케이스17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급사간20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승강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급사간 가이드21에 지지된 가늘고 긴 판자 모양의 하부 플레이트22와, 하부 플레이트22의 상단부분에 하단부가 붙었다 떨어졌다 하여 연계되는 중간 플레이트23과, 하단부가 중간 플레이트23의 상부후면으로 돌출된 하강 롤러24를 통하여 연결된 상부 플레이트25로 형성되어 있고, 하강 롤러24는 상부 플레이트25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로로 긴 장공(長孔)26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2는, 도4 내지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급사구 형성부재22a와, 급사구 형성부재22a의 상부에서 급사간 가이드21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수납부재22b와, 스프링 수납부재22b에 수납된 압축 스프링22c와, 급사간 가이드21의 결합구멍21a에 결합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가압수단)22c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기구22d를 구비하고, 스프링 수납부재22b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제한기구46에 접촉하는 접촉부22e가 형성되어 있 어 압축 스프링22c에 의하여 하부 플레이트22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가압되어 있다.
접촉부22e가 접촉하는 제한기구46은, 중간 플레이트23에 형성된 슬라이딩용 장공23a를 통하여 급사간 가이드21과 함께 공급 케이스17에 함께 체결되어 고정된 장기알모양부재47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25의 중간부분에는 중간 플레이트23 및 하부 플레이트22를 통하여 급사구12를 상승 가압하기 위한 코일스프링27이 공급 케이스17의 스프링수용부28과의 사이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다(도7참조).
또한 중간 플레이트23의 상단부 전면에는 급사구12의 자세를 절환하는 절환기구29의 절환용 롤러30이 돌출되어 있다.
절환기구29는, 상기 절환용 롤러30과, 상기 절환용 롤러3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공급 케이스17에 형성된 제한구멍31과, 제한구멍31의 후면 측에 설치된 선택 레버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한구멍31은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앙과 그 상부의 좌우로 절환용 롤러30이 결합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대략 3개의 잎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한구멍31에 접하는 절환용 롤러30의 상승방향을 설정하는 선택 레버32는, 상단부32a가 완만한 V자 모양으로 형성된 대략 T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의 피벗 지지부32b가 공급 케이스17에 피벗 지지됨과 아울러 상단부32a의 중앙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단부에는 절 환용 롤러30의 상승방향을 양분하기 위한 선택 레버32가 설치되고, 상기 선택 레버는 좌우의 측면부분에 경사면34, 34을 구비하는 대략 화살표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쪽 경사면34, 34의 중간부분에는 중립위치 지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경사면34, 34 및 중립위치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화살표 모양 부분의 상부에는 선택 레버32의 절환자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36은 화살표 모양 부분의 상부에서 좌우로 수염 모양의 탄성부37을 연장하고, 상기 탄성부37의 선단 쪽 부분을 곡선으로 만들어서 지지부38·39를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선택 레버32가 우측 또는 좌측 또는 중립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어느 일방의 지지부38 또는 중립위치의 경우에 결합하는 결합용 돌기40을 공급 케이스17의 이면에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대기위치에서 선택 레버32를 직립(直立)한 자세로 하여 급사구12를 편침5에 근접하는 낮은 중립위치로 지지하는 중립위치 지지기구50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공급 케이스17의 상단부분에 형성된 피벗 지지부51, 51과, 상기 피벗 지지부51, 51에 회전부52, 52가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된 한 쌍의 링크5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링크53은, 선단부분이 공급 케이스17의 중앙부분에서 결합하는 결합편54를 수평방향으로 형성하고, 상호간에 대면하는 측면부분에 는 선택 레버32의 상단부분32a를 하방으로부터 밀어 올려서 상기 선택 레버32를 중립위치로 조작하는 조작용 돌기55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조작편56이 회전부52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편56은 연동핀14로 회전 조작되는 것으로서 회전부52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이 결합편54 측에서 낮아지게 되는 경사면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바깥 측 단부가 비스듬한 하향의 경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 중의 부호57은 링크53의 빠짐 방지용의 플레이트이다.
또한 상기 급사간20을 밀어 내리는 하강수단13은, 일단(一端)이 상기 연동핀14의 중간높이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42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42의 타단(他端)을 캠 플레이트43의 상단부에 연결함으로써 연동핀14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캠 플레이트43이 피봇 핀(pivot pin)44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2 참조).
상기 캠 플레이트43의 평평한 하면부분의 중앙위치에서 얀 가이드 레일11 측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4에서 부호46은 브레이크 장치로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46은 얀 가이드 레일에 흡착되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있고 얀 피더9의 소형 경량화에 의하여 상기 자석의 흡착력에 의한 가벼운 슬라이딩 마찰로도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얀 피더의 경우와 같이 연동 중의 얀 피더를 정지시 키는 경우에 큰 관성력에 의하여 정지위치가 불안정해져서 희망하는 위치에 정지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도 없고, 또한 큰 관성력을 극복하여 희망하는 정지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특별한 제동장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급사장치에 있어서의 얀 피더9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의 출력신호로 벨트 구동수단에 의하여 캐리지6이 니들베드3의 상면을 우측에서 좌측(도3 및 도8 내지 도10에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주행하면, 편성 캠7에 의하여 니들베드3에 나란하게 설치된 편침5의 진퇴조작이 이루어진다.
캐리지6의 주행 시에 편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에서는 패턴편성용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가 작동하고 출력축이 하방으로 돌출(突出)한 상태가 되며 전동간15를 통하여 연동수단10의 연동핀14가 스프링16의 장력에 저항하여 상승되어져 있다.
상기 연동핀14의 상승에 따라 하강수단13의 캠 플레이트43은 피봇 핀(pivot pin)44를 중심으로 하여 상승한 상태가 된다(도2 우측의 캠 플레이트43 참조).
그리고 편성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는, 캐리지6이 편침5에 급사를 하는 소정의 얀 피더9와 대면하는 앞의 위치에서 제어장치의 출력신호로 솔레노이드가 작동하고, 상기 출력축이 상방으로 후퇴한 상태가 되면 지금까 지 상승하고 있었던 연동핀14는 스프링16의 장력에 의하여 밀려 내려간다. 상기 연동핀14의 하강에 연동하여 연결 플레이트42를 통하여 하강수단13의 캠 플레이트43이 피봇 핀(pivot pin)44를 중심으로 하여 얀 피더9 측으로 회전한다(도2 좌측의 캠 플레이트43 참조).
캐리지6이 슬라이딩 되어 캠 플레이트43이 단부의 경사 부분으로 코일스프링27의 가압력(탄성력)에 대항하여 상부 플레이트25의 상단부(압입 조작부)25a를 밀어 내리면, 제한구멍31에 접하는 절환용 롤러30이 제한구멍31의 중앙하부로 인도되어서 하강한 도9의 상태가 된다.
상기 절환용 롤러30이 제한구멍31의 중앙하부로 인도되어서 하강함에 따라서 급사간 가이드21은 급사간20의 급사구12를 급사간 가이드2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키면서 공급 케이스17의 중앙부분에 직립하여 급사구12가 니들베드3의 편침5에 근접한 급사위치의 상태가 된다.
캐리지6의 계속된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선택 레버32의 돌출되어 있는 하류 측(좌측)의 상단부32a를 연동핀14가 누르면, 선택 레버32는 피벗 지지부32b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도9의 상태로부터 도10의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자세는 지지수단36을 형성하는 탄성부37의 좌측방향의 지지부38과 결합용 돌기40의 결합이 빠지고 우측 방향의 지지부39와 결합용 돌기41이 결합함으로써 지지된다.
그런 후에 연동핀14가 선택 레버32의 진행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회전편18의 결합부19와 접촉하면, 얀 피더9는 캐리지6에 연동되는 상태가 되고, 얀 피더9의 급사구12로부터 편침5에 급사되어 상기 얀 피더9로부터의 급사에 의하여 소정의 편성영역이 편성된다.
소정의 편성영역의 편성이 종료되고 얀 피더9가 편성영역 외의 대기위치가 되면, 제어장치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에 급전되어, 솔레노이드의 출력축이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지금까지 하강하고 있었던 연동핀14는 스프링16의 장력에 대항하여 밀어 올려진다.
연동핀14의 상승에 따라 하강수단13의 캠 플레이트43이 피봇 핀(pivot pin)44를 중심으로 하여 상승한 상태로 회전한다.
연동핀14의 상승에 의하여 캐리지6의 진행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회전편18의 결합부19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얀 피더9가 해방됨과 아울러 캠 플레이트43의 상승 회전에 의하여 지금까지 밀려 내려져 있던 급사간20이 코일스프링27에 의하여 상승하고 하단의 급사구12가 상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사간20이 상승할 때에 선택 레버32의 하부가 우측으로 경사진 도10의 상태가 되어서 급사간20의 상단의 절환용 롤러30이 좌측방향의 경사면34에 안내되어져 반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상승한다.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22의 스프링 수납부재22b의 상단부에 형성된 접촉부22e가 장기알모양부재47에 접촉하면, 급사구 형성부재22a의 상승은 정지하지만, 중간 플레이트23만이 계속 상승하기 때문에 급사구12는 더 이상 상승 하지 않고 우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은 압입 조작부에서 급사구까지가 일체로서 작 용하도록 구성된 얀 피더와 비교하여 대기위치에서의 급사구의 높이가 낮은 위치에서 지지되므로, 예를 들면 인타샤 패턴의 편성포와 같이 얀 피더9가 절환하는 경계부분에서도 그 경계부분으로부터 크게 떨어져서 얀 피더9 사이에 간섭하는 경우가 없어 매우 편리한 급사장치가 가능하다.
한편 대기위치로부터 급사위치에 급사구12가 절환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캐리지6의 슬라이딩으로 캠 플레이트43이 단부의 경사 부분에 의하여 코일스프링27의 가압력(탄성력)에 대항하여 상부 플레이트25의 상단부25a가 밀려 내려간다. 이렇게 되면 우선 상부 플레이트25가 하강하고, 하강 롤러24를 통하여 중간 플레이트23이 하강을 시작하고, 절환용 롤러30으로부터 스프링 수납부재22b를 통하여 하부 플레이트22가 하강하기 때문에 급사구12가 급사위치로 절환된다.
또한 도5내지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22의 급사구 형성부재22a의 상단의 장공65와, 스프링 수납부재22b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66을 볼트ㅇ너트 등의 고정구67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이 고정구67을 느슨하게 하여 하부 플레이트2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급사구1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22를 급사구 형성부재22a와 스프링 수납부재22b로 구성하고, 이 스프링 수납부재22b의 상단부에 접촉부22e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높이가 다른 접촉부22e를 교체하는 것에 의하여 급사구 형성부재22a의 상승시의 상한제한위치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고, 다른 게이지의 경우나 편성용도에 따라 상한제한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면 중의 부호61은 회전제한기구61로서, 캠 플레이트43의 작용을 받지 않는 위치 즉 급사위치까지 상부 플레이트25를 압입하고, 상기 회전제한기구61의 돌기부61a를 중간 플레이트23에 형성된 슬라이딩용 장공23a의 하단부에 삽입하고, 회전제한기구61을 공급 케이스17에 형성된 암나사63에 고정구(固定具)62로 부착하면, 급사간 가이드21을 그 측방에서 구속하여 회전을 제한하여 통상의 얀 피더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단에 급사구를 형성한 급사간을 길이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 개의 부재로 형성함과 아울러, 급사구부재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고, 급사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대기위치에서 급사구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한기구를 설치하고, 당해 제한기구에 의하여 대기위치에서 급사구의 소정 이상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대기 위치에서 급사구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편성영역의 단부의 스티치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편사가 강하게 잡아 당겨지는 경우가 없고, 급사구의 소정 이상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편성영역의 단부의 스티치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스티치의 품질이 높은 편성포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같은 회전량에서도 급사구의 높이를 종래에 비하여 낮게 할 수 있고, 큰 회전량을 필요로 하는 코스 게이지(coarse gauge)나 하프 게이지 편성(half gauge knitting)의 경우에도 급사구로부터의 높이를 이상적인 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니들베드의 상부에 설치된 얀 가이드 레일에 복수 개의 얀 피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연동수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연동수단의 작동에 연동하여 급사간(給絲桿)의 하단부에 설치된 급사구를 급사위치와 대기위치로 절환하여 회전시키는 절환기구를 설치하고, 절환기구는 연동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얀 피더가 정지상태로부터 급사연동 될 때까지의 사이에 절환기구가 조작되어, 급사구를 대기위치로부터 급사위치로 절환조작 됨과 아울러 급사 후의 급사구의 대기위치에 대한 회전방향을 설정하고, 급사 후의 연동수단의 선택해제 동작에 연동하여 급사구를 급사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회전절환 가능하도록 구성한 횡편기의 얀 피더에 있어서,
    하단에 급사구를 형성하는 급사간 부분을 상하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딩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부재로 형성함과 아울러 급사구를 형성한 부재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고, 급사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대기위치에 있어서의 급사구를 형성한 부재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한기구를 설치하고, 당해 제한기구에 의하여 대기위치에서의 급사구가 소정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의 얀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급사간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는, 급사구 형성부재와, 급사구 형성부재의 상부에서 급사간 가이드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수납부재와, 스프링 수납부재에 수납된 가압수단을 형성하는 압축 스프링과, 급사간 가이드의 결합구멍에 결합되고 압축 스프링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기구를 구비하고, 스프링 수납부재의 상단부에 제한기구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급사구 형성부재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의 얀 피더.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구가 삽입되어서 연결되는 급사구 형성부재의 상단부와 스프링 수납부재의 하단부 중의 적어도 일방을 장공(長孔)으로 하여 급사구의 높이를 변경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의 얀 피더.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급사구 형성부재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스프링 수납부재의 상단부의 접촉부까지의 길이가 다른 스프링 수납부재를 교환함으로써 급사구의 상한제한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급사장치에 있어서의 얀 피더.
KR1020067021567A 2004-07-07 2005-06-14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의 얀 피더 KR101094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00779 2004-07-07
JP2004200779A JP4125267B2 (ja) 2004-07-07 2004-07-07 横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のヤーンフィーダ
PCT/JP2005/010851 WO2006006335A1 (ja) 2004-07-07 2005-06-14 横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のヤーンフィー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289A true KR20070031289A (ko) 2007-03-19
KR101094734B1 KR101094734B1 (ko) 2011-12-16

Family

ID=3578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567A KR101094734B1 (ko) 2004-07-07 2005-06-14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의 얀 피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43462B2 (ko)
EP (1) EP1764431B1 (ko)
JP (1) JP4125267B2 (ko)
KR (1) KR101094734B1 (ko)
CN (1) CN100535218C (ko)
WO (1) WO20060063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417B1 (ko) * 2011-09-21 2013-01-24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용 실 공급기
KR20150077311A (ko) * 2013-12-27 2015-07-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의 급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0892B4 (de) * 2010-03-10 2013-08-01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und Flachstrickmaschine
US8839532B2 (en) 2011-03-15 2014-09-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8522577B2 (en) * 2011-03-15 2013-09-03 Nike, Inc. Combination feeder for a knitting machine
US9060570B2 (en) 2011-03-15 2015-06-23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knitted component
US8387418B1 (en) * 2011-09-19 2013-03-0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Yarn feeder for flat knitting machines
US9371603B2 (en) * 2013-02-28 2016-06-21 Nike, Inc. Feeder for knitting machine with friction reducing features
CN103741359B (zh) * 2013-12-19 2015-05-27 瑞安市威克横机配件有限公司 组合交织导纱器
CN106906564B (zh) * 2017-04-25 2018-12-14 绍兴金楚印染有限公司 一种防止导纱过程中动力中断的设备
CN107829205B (zh) * 2017-12-14 2023-07-04 唐山雾谷机电设备有限公司 换线器的喂纱结构
JP7054913B2 (ja) * 2018-04-19 2022-04-15 常陽工学株式会社 積層体製造装置とこの装置を用いた積層体の製造方法
CN111501184B (zh) * 2019-01-30 2021-10-26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具有变化喂纱位置的横编机喂纱器
US11421354B2 (en) * 2019-02-27 2022-08-23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lat knitting machine yarn feeder with variable yarn feeding positions
TWD208197S (zh) * 2019-06-18 2020-11-11 義大利商聖東尼股份公司 紡織機構件
TWD208383S (zh) * 2019-06-18 2020-11-21 義大利商聖東尼股份公司 紡織機構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6931C1 (de) * 1986-07-01 1988-01-28 Stoll & Co H Fadenfuehrerschlitten
JP2807848B2 (ja) * 1991-07-11 1998-10-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ヤーンフィーダの駆動装置
ES2120492T3 (es) * 1992-05-25 1998-11-01 Emm Srl Dispositivo de movimiento de los portahilos para una maquina tricotosa plana.
JP3498270B2 (ja) * 1994-04-28 2004-02-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方法及び装置
JP3044370B2 (ja) * 1997-08-21 2000-05-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供給装置
WO2001064989A1 (fr) * 2000-02-29 2001-09-07 Shima Seiki Mfg.,Ltd. Jeteur pour metier a tricoter trame
EP1391545B1 (en) * 2001-03-29 2010-11-17 Shima Seiki Mfg., Ltd Yarn feeder of flat knitting machine
US6988385B2 (en) * 2001-07-24 2006-01-24 Shima Seiki Mfg., Ltd.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feeding yarn for weft knitting machine
JP4163212B2 (ja) * 2003-02-26 2008-10-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ヤーンキャリア
EP1605086B1 (en) * 2003-03-07 2008-09-24 Shima Seiki Mfg., Ltd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JP4125212B2 (ja) * 2003-10-10 2008-07-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着脱式編成用移動体および編成部材切換装置を備える横編機
JP4125268B2 (ja) * 2004-07-07 2008-07-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のヤーンフィー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417B1 (ko) * 2011-09-21 2013-01-24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용 실 공급기
KR20150077311A (ko) * 2013-12-27 2015-07-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의 급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02137A1 (en) 2008-12-11
EP1764431B1 (en) 2014-12-24
EP1764431A1 (en) 2007-03-21
US7543462B2 (en) 2009-06-09
KR101094734B1 (ko) 2011-12-16
CN100535218C (zh) 2009-09-02
CN1957126A (zh) 2007-05-02
WO2006006335A1 (ja) 2006-01-19
JP4125267B2 (ja) 2008-07-30
EP1764431A4 (en) 2009-12-02
JP2006022425A (ja)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734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의 얀 피더
KR101170352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의 얀 피더
US534578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cement of yarn feeders
KR100867140B1 (ko) 횡편기의 얀 피더
JPWO2003010378A1 (ja) 横編機の給糸装置及び横編機の給糸方法
JP2006022425A5 (ko)
JP4125319B2 (ja) 横編機の給糸装置
EP0672769B1 (en) Flat bed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yarn guide members
KR19980042155A (ko) 셋업장치를 구비한 횡편직기
JP2006022426A5 (ko)
CN221028948U (zh) 一种横编织机
CN112663219B (zh) 一种用于横编织机牵拉装置的牵拉耙
CN220788971U (zh) 一种横编织机的三角装置及手套机
CN117144549A (zh) 一种横编织机及编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