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529A - 액화 천연 가스 처리 공정 - Google Patents

액화 천연 가스 처리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529A
KR20070027529A KR1020067020609A KR20067020609A KR20070027529A KR 20070027529 A KR20070027529 A KR 20070027529A KR 1020067020609 A KR1020067020609 A KR 1020067020609A KR 20067020609 A KR20067020609 A KR 20067020609A KR 20070027529 A KR20070027529 A KR 2007002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column
coupled
feed point
liquid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611B1 (ko
Inventor
카일 티. 쿠엘라
존 디. 윌킨슨
행크 엠. 허드슨
Original Assignee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2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2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 F25J3/023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separation of CnHm with 2 carbon atoms or m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feed stream
    • F25J3/0209Natural gas or substitute natural gas
    • F25J3/0214Liquefied natura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2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 F25J3/0233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separation of CnHm with 1 carbon atom or m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2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 F25J3/024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separation of CnHm with 3 carbon atoms or m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02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in a single pressure main colum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04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in a dual pressure main colum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70Refluxing the column with a condensed part of the feed stream, i.e. fractionator top is stripped or self-rect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72Refluxing the column with at least a part of the totally condensed overhea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76Refluxing the column with condensed overhead gas being cycled in a quasi-closed loop refrigerat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5/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 F25J2205/02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simple phase separation in a vessel or drum
    • F25J2205/04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simple phase separation in a vessel or drum in the feed line, i.e. upstream of the fractionation ste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10/0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other details of the feed stream
    • F25J2210/06Splitting of the feed stream, e.g. for treating or cooling in different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30/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gaseous process streams
    • F25J2230/08Cold compressor, i.e. suction of the gas at cryogenic temperature and generally without afterstage-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30/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gaseous process streams
    • F25J2230/6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gaseous process streams the fluid being hydrocarbons or a mixture of 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35/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r for conveying of liquid process streams
    • F25J2235/6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r for conveying of liquid process streams the fluid being (a mixture of) 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40/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expanding of process streams
    • F25J2240/02Expansion of a process fluid in a work-extracting turbine (i.e. isentropic expansion), e.g. of the feed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45/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recycling of process streams
    • F25J2245/02Recycle of a stream in general, e.g. a by-pass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액화 천연 가스 (LNG) 스트림으로부터 에탄, 에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및 중질 탄화수소의 회수 공정 및 장치를 기재하였다. LNG 공급 스트림은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제1 부분은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으로 공급된다. 제2 부분은 칼럼의 분별증류 단계로부터 생기는 보다 뜨거운 증류 스트림과 열 교환 관계를 가지도록 유도되며, 따라서 LNG 공급 스트림의 이 부분은 부분적으로 가열되고 증류 스트림은 완전히 응축된다. 응축된 증류 스트림은 "희박" LNG 생성물 스트림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환류 스트림은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으로 공급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LNG 공급 스트림의 일부분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증발하도록 추가적으로 가열되어 칼럼의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으로 공급된다. 원하는 성분의 대부분이 칼럼 출신의 저부 액체 생성물로부터 회수되는 온도에서 칼럼 오버헤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칼럼에 대한 공급물의 용량 및 온도는 효과적이다.
액화 천연 가스, 스트림, 칼럼, 에탄, 에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중질 탄화 수소, 회수

Description

액화 천연 가스 처리 공정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ing}
본 발명은 휘발성 메탄-풍부 희박 LNG 스트림(methane-rich lean LNG stream) 및 덜 휘발성인 천연 가스 액체 (NGL) 또는 액화 석유가스 (LPG)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액화 천연 가스 (이하 LNG라 언급함)로부터 에탄과 중질 탄화수소 또는 프로판과 중질 탄화수소의 분리 공정에 관한 것이다. 출원인은 2004년 7월 1일자로 출원된 선행 미국 가출원 제60/584,668호, 2005년 1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646,903호, 2005년4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669,642호, 및 2005년 4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671,930호의 미국특허법 (Title 35, United States Code), 섹션 119(e)에 따른 혜택을 주장한다.
파이프라인으로의 수송에 대한 대안으로서, 원격위치의 천연 가스는 때때로 액화되어 특수한 LNG 탱커에 담겨 적절한 LNG 수용 및 저장 터미널로 수송된다. LNG는 이후 천연 가스와 동일한 양식으로 재증발되어 가스 연료로서 사용된다. LNG는 통상 상당 비율의 메탄을 가지지만, 예를 들어 메탄은 LNG의 50 몰% 이상을 구성한다, 이는 또한 에탄, 프로판, 부탄 등은 물론 질소와 같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 의 중질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흔히 LNG의 증발로부터 생기는 가스 연료는 가열 유용성을 위한 파이프라인 특성에 부합하도록 LNG 중의 메탄으로부터 중질 탄화수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 흔히 이들 탄화수소는 연료로서 그의 가치보다 (일 예로서 석유화학 공급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액체 생성물로서 더 높은 가치를 갖기 때문에 메탄으로부터 중질 탄화수소를 분리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LNG로부터 에탄 및 중질 탄화수소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많은 공정들이 있지만, 이들 공정들은 흔히 높은 회수율, 낮은 유틸리티 비용 및 공정 단순성 (및 그에 따른 낮은 자본 투자) 간의 타협이 이뤄져야 한다. 미국특허 제2,952,984호; 제3,837,172호; 및 제5,114,451호 및 동시-계류중인 미국출원 제10/675,785호는 이후에 가스 분배 망에 진입하기 위한 압력을 공급하기 위해 압축되는 증기 스트림으로서의 희박 LNG를 생산하는 도중 에탄 또는 프로판의 회수가 가능한 관련된 LNG 처리공정들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유틸리티 비용은 희박 LNG가 가스 분배 망의 공급 압력으로 (압축되기보다는 차라리) 펌프 될 수 있는 액체 스트림으로서 생산된 후, 희박 LNG가 낮은 수준 외부 가열원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증발되는 경우에 가능하다. 미국특허출원 공개번호 US 2003/0158458 A1호는 상기 처리공정을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상기 LNG 스트림으로부터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및 중질 탄화수소류의 회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정 장비를 단순하게 하고 자본 투자는 낮게 유지함과 동시에 높은 에탄 또는 높은 프로판 회수를 허용하는 신규한 공정 배열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행기술 공정보다 낮은 작동 비용을 제공하는 LNG 처리에 요구되는 유틸리티 (동력 및 열)의 감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LNG 스트림의 대표적 분석은, 대략 몰%로, 86.7% 메탄, 8.9% 에탄 및 기타 C2 성분, 2.9% 프로판 및 기타 C3 성분, 및 1.0% 부탄+ (butanes plus)이며 나머지는 질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 하기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로서 나타내었다.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선행기술 LNG 처리 플랜트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US 2003/0158458 A1호에 따른 선행기술 LNG 처리 플랜트의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NG 처리 플랜트의 공정도이고; 또한
도 4 내지 13은 LNG 처리 플랜트에 본 발명을 적용시키기 위한 대체 수단을 예시하는 공정도이다.
상기 도면에 대한 하기 설명에서, 대표적인 처리조건을 위해 계산된 유동 속도를 요약한 표가 제공된다. 본원에 기재된 표에서, 유동 속도 값 (시간당 몰로 기재)은 편의상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 되었다. 표에 나타낸 전체 스트림 속도는 모든 비-탄화수소 성분을 포함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탄화수소 성분의 스트림 유동 속도의 합계보다 더 크다. 지시된 온도는 가장 가까운 온도로 반올림 된 근사값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처리공정들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된 공정 디자인 계산은 외계로부터 (또는 공정으로부터) 공정까지 (또는 외계까지) 열 누출이 없다는 가정에 근거하였음을 주지해야한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절연 물질의 품질은 상기를 매우 적절한 가설이 되도록 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공정 파라미터들은 전통적인 영국 단위 및 시스템 국제단위 (SI)의 단위들로 보고되었다. 표에 나타낸 몰 유동속도는 시간당 파운드 몰 또는 시간당 킬로그램 몰로 해석될 수 있다. 마력 (HP) 및/또는 시간당 천 영국 열 단위 (MBTU/Hr)로서 보고된 에너지 소비율은 시간당 파운드 몰의 공인된 몰 유동속도와 상응한다. 킬로와트(kW)로 보고된 에너지 소비율은 시간당 킬로그램 몰의 공인된 몰 유동 속도와 상응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목적을 위해 본 발명자는 공급 스트림에 존재하는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NGL 생성물을 생산하기 위 해 조절된 선행기술 LNG 공정 플랜트의 실시예를 시작한다. LNG 탱크(10)으로부터 나온 처리될 LNG (스트림(41))는 -255℉[-150℃]에 펌프(11)로 들어간다. 펌프(11)은 열 교환기 (heat exchanger)를 통해 유동한 후 분리기(15)로 유동할 수 있도록 LNG의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펌프를 나오는 스트림(41a)는, 열 교환기(12 및 13)에서 -120℉[-84℃]의 가스 스트림(52a) 및 80℉[27℃]의 탈메탄기 (demethanizer) 저부 (bottom) 액체 생성물 (스트림(51))과의 열 교환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스트림(41c)는 -163℉[-108℃] 및 230 psia [1,586 kPa(a)]의 분리기(15)에 들어가며, 여기서 증기 (스트림(46))가 잔류 액체 (스트림(47))로부터 분리된다. 스트림(47)은 펌프(28)에 의해 더 높은 압력으로 펌프된 다음 제어 밸브(20)에 의해 분별증류 탑(21)의 작동 압력 (대략 430psia [2,965 kPa(a)])까지 팽창되고 최상부 칼럼 공급물 (스트림(47b))로서 탑에 공급된다.
통상 탈메탄기 (demethanizer)로 언급되는 분별증류 칼럼 (fractionation column) 또는 탑(21)은 복수 개의 수직 간격 트레이, 하나 이상의 충진 베드, 또는 트레이와 충진물의 일부 결합물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증류 칼럼 (distillation column)이다. 트레이 및/또는 충진물은 칼럼 내에서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상방으로 올라가는 증기 사이의 필요한 접촉을 제공한다. 칼럼은 또한 칼럼 위쪽으로 흐르는 스트리핑 증기 (stripping vapor)를 제공하기 위해 칼럼 아래쪽으로 흐르는 액체의 일부를 가열하고 증발하는 (리보일러(25)와 같은) 하나 이상의 리보일러 (reboiler)를 포함한다. 이들 증기는 액체로부터 메탄을 제거하며, 따라서 저부 액 체 생성물 (스트림(51))은 실질적으로 메탄이 없으며 또한 LNG 공급 스트림에 함유된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를 대부분 함유한다. (칼럼 리보일러에서 요구되는 온도 수준 때문에, 고 수준 유틸리티 가열원은 일반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가열 매체와 같은 리보일러에 가열 입력을 제공하는데 필요하다).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80℉ [27℃]에 탑의 저부를 나오며, 저부 생성물 중 용적 기준으로 0.005의 메탄 분획의 대표적인 표준을 기준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에서 43℉ [6℃]로 냉각한 후, 액체 생성물 (스트림(51a))은 유동하여 저장되거나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분리기(15)로부터 나온 증기 스트림(46)은 (외부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27)로 들어가며 또한 더 높은 압력까지 압축된다. 수득된 스트림(46a)는 -130℉ [-90℃]에 탈메탄기(21)을 이탈한 탈메탄기 오버헤드 증기인 스트림(48)과 결합되어 -120℉ [-84℃]의 메탄-풍부 잔류 가스 (스트림(52))를 생산하며, 이는 이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2) 내에서 -143℉ [-97℃]로 냉각되어 스트림을 완전히 응축한다. 펌프(32)는 이후 후속 증발 및/또는 이송을 위해 응축된 액체 (스트림(52a))를 1365 psia [9,411 kPa(a)]까지 펌프 작용 한다.
도 1에 예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동 속도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은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Ⅰ
(도 1)
스트림 유동 요약 - Lb. Moles/Hr [kg Moles/Hr]
Figure 112006072157798-PCT00001
회수율 *
에탄 90.00%
프로판 98.33%
부탄+ 99.62%
동력
LNG 공급 펌프 123 HP [ 202 kW]
탈메탄기 공급펌프 132 HP [ 217 kW]
LNG 생성물 펌프 773 HP [ 1,271 kW]
증기 압축기 527 HP [ 867 kW ]
총계 1,555 HP [ 2,557 kW]
고 수준 유틸리티 열
탈메탄기 리보일러 23,271 MBTU/Hr [ 15,032 kW]
* (반올림되지 않은 유동 속도 기준)
도 2는 도 1에서 사용된 선행기술 공정보다 더 낮은 유틸리티 소모와 일부 더 높은 회수 정도를 달성할 수 있는 미국특허출원 공개번호 US 2003/0158458 A1에 따른 또 하나의 선행기술 공정을 나타낸다. 공급 스트림에 존재하는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NGL 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해 본원에 적용된 도 2의 공정을 도 1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LNG 조성 및 조건에 적용하였다.
도 2 공정의 모의실험에서, LNG 탱크(10)으로부터 나온 처리될 LNG (스트림(41))는 -255℉[-150℃]에 펌프(11)로 들어간다. 펌프(11)은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분별증류 탑(21)로 유동할 수 있도록 LNG의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펌프를 나오는 스트림(41a)는, 열 교환기(12 및 13)에서 -130℉ [-90℃]의 칼럼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48), -122℉ [-86℃]의 압축된 증기 스트림(52a), 및 85℉ [29℃]의 탈메탄기 저부 액체 생성물 (스트림(51))과의 열 교환에 의해 가열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스트림(41c)는 그 후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사용하여 열 교환기(14)에서 -120℉ [-84℃] (스트림(41d))까지 추가적으로 가열된다.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은 통상적으로 저 수준 유틸리티 열에 비해 고가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해수와 같은 저 수준 열의 사용 시 통상적으로 획득되는 더 낮은 작동 비용이 최대화되며 고 수준 열의 사용은 최소화된다.) 제어 밸브(20)에 의해 분별증류 탑(21)의 작동 압력 (대략 450 psia [3,103 kPa(a)]까지 팽창한 후, 스트림(41e)는 -123℉ [-86℃]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으로 유동한다.
탑(21)에서 탈메탄기는 다수개의 수직 간격 트레이, 하나 이상의 충진 베드, 또는 트레이와 충진물의 일부 결합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증류 칼럼이다. 흔히 천연 가스 처리 플랜트의 경우 종종, 분별증류 탑은 두 개의 구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의 흡수 (정류) 구획(21a)는 에탄 및 중질 성분을 응축 및 흡수하기 위해 상방으로 상승하는 증기 및 하방으로 낙하하는 저온 액체 사이의 필요한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트레이 및/또는 충진물을 포함한다; 하부 스트리핑 (탈메탄화) 구획(21b)는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 및 상방으로 상승하는 증기 사이의 필요한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트레이 및/또는 충진물을 포함한다. 탈메탄화 구획은 또한 칼럼 위쪽으로 흐르는 스트리핑 증기를 제공하기 위해 칼럼 아래쪽으로 흐르는 액체의 일부를 가열 및 증발하는 (리보일러(25)와 같은) 하나 이상의 리보일러를 포함한다. 상기 증기는 액체로부터 메탄을 제거하며, 따라서 저부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실질적으로 메탄이 없으며 LNG 공급 스트림 중에 함유된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를 주로 포함한다.
오버헤드 스트림(48)은 -130℉[-90℃]에 분별증류 탑(21)의 상부 구획을 이탈하여 열 교환기(12)로 유동하며, 여기서 -135℉[-93℃]까지 냉각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저온 LNG (스트림(41a))와 열 교환에 의해 부분적으로 응축된다. 부분적으로 응축된 스트림(48a)는 환류 분리기(26)에 들어가며, 여기서 응축된 액체 (스트림(53))가 응축되지 않은 증기 (스트림(52))로부터 분리된다. 환류 분리기(26)에서 나온 액체 스트림(53)은 탈메탄기(21)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높은 압력까지 환류 펌프(28)에 의해 펌프되며 스트림(53b)는 그 후 제어 밸브(30)에 의해 탈메탄기(21)에 저온 상부 칼럼 공급물 (환류물, reflux)로서 공급된다. 상기 저온 액체 환류물은 탈메탄기(21)의 상부 흡수 (정류, rectification) 구획(21a)에서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흡수 및 응축한다.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85℉ [29℃]에서 분별증류 탑(21)의 저부를 나오며, 저부 생성물 중 용적 기준으로 0.005의 메탄 분획을 기준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에서 0℉[-18℃]로 냉각한 후, 액체 생성물 (스트림(51a))은 유동하여 저장되거나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환류 분류기(26)을 이탈하는 메탄-풍부 잔류 가스 (스트림(52))는 (외부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27)에 의해 493 psia [3,400 kPa(a)] (스트림(52a))로 압축되며, 따라서 스트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2)에서 -136℉[-93℃]까지 냉각됨에 따라 완전히 응축될 수 있다. 펌프(32)는 이후 후속 증발 및/또는 이송을 위해 응축 액체 (스트림(52b))를 1365 psia [9,411kPa(a)] (스트림(52c))까지 펌프한다.
도 2에 예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동 속도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은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Ⅱ
(도 2)
스트림 유동 요약 - Lb. Moles/Hr [kg Moles/Hr]
Figure 112006072157798-PCT00002
회수율 *
에탄 90.01%
프로판 100.00%
부탄+ 100.00%
동력
LNG 공급 펌프 298 HP [ 490 kW]
환류 펌프 5 HP [ 8 kW]
LNG 생성물 펌프 762 HP [ 1,253 kW]
증기 압축기 266 HP [ 371 kW ]
총계 1,291 HP [ 2,122 kW]
저 수준 유틸리티 열
LNG 가열기 6,460 MBTU/Hr [ 4,173 kW]
고 수준 유틸리티 열
탈메탄기 리보일러 17,968 MBTU/Hr [ 11,606 kW]
* (반올림되지 않은 유동속도 기준)
도 2 선행기술 공정에 대해 상기 표 Ⅱ에 나타낸 회수 수준과 도 1 선행기술 공정에 대해 표 I에 나타낸 회수 수준을 비교하면 도 2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에탄 회수율 및 약간 더 높은 프로판 및 부탄+ 회수를 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표 Ⅱ의 유틸리티 소비를 표 I의 것과 비교하면 도 2 공정은 도 1 공정보다 더 적은 동력과 더 적은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을 필요로 함을 나타낸다. 동력의 감소는 탑에서 에탄 및 중질 성분의 더욱 유효한 회수를 제공하기 위해 도 2 공정에서 탈메탄기(21)에 대한 환류물의 사용을 통하여 달성된다. 상기는 차례로 탑 공급물을 가열하기 위해 열 교환기(14)에서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의 사용으로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을 사용하는) 탈메탄기(21)의 리보일러 가열 조건을 감소시키면서, 탑 공급 온도를 도 1 공정보다 더 높게 한다. (도 1 공정은 저부 생성물 스트림(51a)를 -43℉[6℃]로 냉각하는 반면, 도 2 공정의 경우 희망하는 -0℉[-18℃]로 냉각함을 주지한다. 도 1 공정에서, 스트림(51a)를 더 낮은 온도로 냉각해보는 것은 리보일러(25)의 고 수준 유틸리티 열 요건을 감소시키지만, 분리기(15)에 들어가는 스트림(41c)가 수득한 더 높은 온도는 증기 압축기(27)의 동력 사용를 불균형적으로 증가시키는데, 이는 동일 회수 효율을 유지되어야 한다면 분리기(15)의 작동 압력이 낮아져야 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공정도를 예시한다. 도 3에 나타낸 공정에서 검토된 LNG 조성 및 조건은 도 1 및 2의 것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3 공정은 본 발명의 이점을 예시하기 위해 도 1 및 2 공정들과 비교될 수 있다.
도 3 공정의 모의실험에서, LNG 탱크(10)으로부터 나온 처리될 LNG (스트림(41))는 -255℉[-159℃]에 펌프(11)로 들어간다. 펌프(11)은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분리기(15)로 유동할 수 있도록 LNG의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펌프에서 나오는 스트림(41a)는 두 개의 부분, 스트림(42 및 43)으로 분할된다. 제1 부분인 스트림(42)는 팽창 밸브(17)에 의해 분별증류 칼럼(21)의 작동 압력 (대략 450 psia [3,103 kPa(a)])까지 팽창하며 탑의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된다. 제2 부분인 스트림(43)은 분리기(15)에 들어가기 전에 가열되어 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증발된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스트림(43)은 열 교환기(12 및 13)에서 -112℉[-80℃]의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48a), -129℉[-90℃]의 환류 스트림(53), 및 85℉[29℃]의 칼럼으로부터의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을 냉각시킴으로써 -106℉[-77℃]로 먼저 가열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스트림(43b)는 그 후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사용하여 열 교환기(14)에서 추가적으로 가열된다 (스트림(43c)). 모든 경우에서 교환기(12, 13 및 14)는 복수의 개별 열 교환기 또는 단일 멀티-패스 열 교환기, 또는 상기의 모든 조합의 견본임을 주지한다. (지시된 가열 서비스를 위해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를 사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은 투 입 LNG 유동 속도, 열 교환기 크기, 스트림 온도,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의 요소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열된 스트림(43c)는 증기 (스트림(46))가 모든 잔류 액체 (스트림(47))로부터 분리되는 -62℉[-52℃] 및 625 psia [4,309 kPa(a)]에 분리기(15)로 들어간다. 분리기(15)로부터 나온 증기 (스트림(46))는 작업물 팽창 장치(work expansion machine,(18))에 들어가며, 여기서 기계적 에너지가 고압 공급물의 이 부분에서 추출된다. 장치(18)은 탑 작동 압력에 대해 충분히 등엔트로피적으로 증기를 팽창하며, 이때 작업물 팽창 (work expansion)은 팽창된 스트림(46a)를 대략 -85℉[-65℃]의 온도까지 냉각한다. 대표적인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팽창 장치는 이상적인 등엔트로피적 팽창에서 이론적으로 가능한 작업물의 80-88% 정도 회수를 달성할 수 있다. 회수된 작업물은 예를 들면 칼럼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48))를 재압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항목(19)와 같은) 원심 압축기를 구동하는데 흔히 사용된다.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 스트림(46a)는 그 후 분별증류 칼럼(21)의 중앙-칼럼 공급지점에 공급물로서 공급된다. 분리기 액체(스트림(47))는 스트림(47a)가 분별 증류탑(21)의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으로 공급되기 전에 -77℉[-61℃]까지 냉각시키는 팽창 밸브(20)에 의해 분별증류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다.
분별증류 칼럼(21) 내의 탈메탄기는 복수 개의 수직 간격 트레이, 하나 이상의 충진 베드, 또는 트레이와 충진물의 일부 조합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증류 칼럼이다. 도 2에 나타낸 분별증류 탑과 유사하게, 도 3의 분별증류 탑은 두 구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흡수 (정류) 구획은 에탄 및 중질 성분을 응축 및 흡수하기 위해 상방으로 상승하는 증기 및 하방으로 낙하하는 냉각 액체 사이의 필요한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트레이 및/또는 충진물을 포함한다; 하부 스트리핑 (탈메탄화) 구획은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 및 상방으로 상승하는 증기 사이의 필요한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트레이 및/또는 충진물을 포함한다. 탈메탄화 구획은 또한 칼럼 위쪽으로 흐르는 스트리핑 증기를 제공하기 위해 칼럼 아래쪽으로 흐르는 액체의 일부를 가열 및 증발하는 (리보일러(25)와 같은) 하나 이상의 리보일러를 포함한다.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85℉ [29℃]에서 탑의 저부를 나오며, 저부 생성물 중 용적 기준으로 0.005의 메탄 분획을 기준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에서 0℉[-18℃]로 냉각한 후, 액체 생성물 (스트림(51a))은 유동하여 저장되거나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오버헤드 증류 스트림(48)은 -134℉[-92℃]에서 분별증류 탑(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팽창 장치(18)에 의해 구동된 압축기(19)로 유동하며, 여기서 550 psia [3,789 kPa(a)]로 압축된다 (스트림(48a)). 상기 압력에서, 상기 스트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2)에서 -129℉[-90℃]까지 냉각됨에 따라 완전히 응축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48b))는 그 후 두 부분, 스트림(52 및 53)으로 분할된다. 제 1부분 (스트림(52))은 메탄-풍부 희박 LNG 스트림이며, 이는 그 후 후속 증발 및/또는 이송을 위해 펌프(32)에 의해 1365 psia [9,411 kPa(a)](스트림(52a))까지 펌프된다.
나머지 부분은 열 교환기(12)로 유동하는 환류 스트림(53)이며,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환류 스트림(53)이 저온 LNG의 일부 (스트림(43))와 열 교환에 의해 -166℉[-110℃]까지 서브냉각된다. 서브냉각된 환류 스트림(53a)는 팽창밸브(30)에 의해 탈메탄기(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되며 팽창된 스트림(53b)는 이후 탈메탄기(21)에 저온 최상부 칼럼 공급물 (환류물)로서 공급된다. 상기 저온 액체 환류물은 탈메탄기(21)의 상부 정류 구획 내에서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흡수 및 응축한다.
도 3에 예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동 속도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은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Ⅲ
(도 3)
스트림 유동 요약 - Lb. Moles/Hr [kg Moles/Hr]
Figure 112006072157798-PCT00003
회수율 *
에탄 90.05%
프로판 99.89%
부탄+ 100.00%
동력
LNG 공급 펌프 396 HP [ 651 kW]
LNG 생성물 펌프 756 HP [ 1,243 kW ]
총계 1,152 HP [ 1,894 kW]
저수준 유틸리티 열
LNG 가열기 18,077 MBTU/Hr [ 11,667 kW]
고수준 유틸리티 열
탈메탄기 리보일러 8,441 MBTU/Hr [ 5,452 kW]
* (반올림되지 않은 유동속도 기준)
도 3 공정에 대해 상기 표 Ⅲ에 나타낸 회수 수준과 도 1 선행기술 공정에 대해 표 I에 나타낸 회수 수준의 비교는 본원 발명이 도 1 공정의 에탄 회수와 부합하며 약간 더 높은 프로판 회수 (99.89% 대 98.33%) 및 부탄+ 회수 (100.00% 대 99.62%)를 달성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표 Ⅲ의 유틸리티 소비와 표 I의 유틸리티 소비의 비교는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동력 및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이 도 1 공정의 경우보다 훨씬 더 낮음을 나타낸다 (각각 26% 더 낮으며 64% 더 낮음).
표 Ⅲ에 나타낸 회수 수준과 도 2 선행기술 공정에 대한 표 Ⅱ의 경우의 비교는 본원 발명이 도 2 공정의 액체 회수와 실질적으로 부합함을 나타낸다. (단지 프로판 회수는 약간 더 낮다, 99.89% 대 100.00%). 그러나 표 Ⅲ의 유틸리티 소비와 표 Ⅱ의 경우의 비교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동력 및 고 수준 유틸리티 열 모두가 도 2 공정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더 낮음을 나타낸다 (각각 11% 더 낮고 및 53% 더 낮음).
본 발명의 개선된 효율을 나타내는 3가지 주요 인자가 있다. 첫째, 도 1의 선행기술 공정에 비하여 본원 발명은 분별증류 칼럼(21)에 대한 환류물로서 직접 작용하기 위해 LNG 공급물 자체에 의존하지 않는다. 차라리, 저온 LNG의 고유한 냉각물이 회수되어야 할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 액체 환류 스트림 (스트림(53))을 생산하기 위해 열 교환기(12)에 사용되며, 따라서 분별증류 탑(21)의 상부 흡수 구획에서 효율적인 정류를 야기하고, 선행기술 도 1 공정의 평형 제한을 막는다. 두 번째, 도 1 및 2의 선행기술 공정과 비교하여, LNG 공급물을 분별증류 칼럼(21)에 공급하기 전에 두 부분으로 나누는 것은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해주며, 따라서 리보일러(25)에 의해 소비되는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을 감량한다. LNG 공급물의 비교적 더 저온인 부분 (도 3의 스트림(42a))은 분별 증류탑(21)에 대한 보충적인 환류 스트림으로 작용하며, 팽창된 증기 및 액체 스트림 (도 3의 스트림(46a 및 47a)) 내 증기의 부분 정류를 제공하며 따라서 LNG 공급물의 이 부분(스트림(43))을 가열하고 부분적으로 증발하 는 것은 열 교환기(12) 내의 응축 하중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셋째, 도 2 선행기술 공정에 비하여, 보충 환류 스트림으로서 저온 LNG 공급물의 일부 (도 3의 스트림(42a))의 사용은 표 Ⅱ의 스트림(53)과 표 Ⅲ의 스트림(53)을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별증류 탑(21)에 대해 더 적은 최상부 환류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표 Ⅱ와 표 Ⅲ을 비교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4)에서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사용하여 더 높은 가열 온도, 및 더 낮은 최상부 환류 유동은 분별증류 칼럼(21) 내의 더 적은 총 액체 공급으로 귀결되며, 리보일러(25)에서 요구되는 효율을 감소시키고 또한 탈메탄기로부터의 저부 액체 생성물의 표준을 맞추는데 필요한 고 수준 유틸리티 열량을 최소화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이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4에 나타낸 공정에서 검토된 LNG 조성 및 조건은 도 3의 것들과 동일할 뿐만 아니라, 도 1 및 2에 대해 전술한 것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4 공정은 도 3에 나타낸 실시태양 및 도 1 및 2에 나타낸 선행기술 공정들과 비교될 수 있다.
도 4 공정의 모의실험에서, LNG 탱크(10)으로부터 나온 처리될 LNG (스트림(41))는 -255℉[-159℃]에 펌프(11)로 들어간다. 펌프(11)은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분리기(15)로 유동할 수 있도록 LNG의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펌프를 나오는 스트림(41a)는 분리기(15)에 들어가기 전에 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증발되도록 가열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림(41a)는 열 교환기(12 및 13)에서 -63 ℉ [-53℃]의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48b), -135℉ [-93℃]의 환류 스트림(53), 및 85℉ [29℃]의 칼럼으로부터 나온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을 냉각함으로서 -99℉ [-73℃]로 먼저 가열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스트림(41c)는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사용하여 열 교환기(14)에서 추가적으로 가열된다 (스트림(41d)).
가열된 스트림(41d)는 증기 (스트림 (44))가 모든 잔류 액체 (스트림(47))로부터 분리되는 -63℉[-53℃] 및 658 psia [4,537 kPa(a)]에 분리기(15)로 들어간다. 분리기 액체 (스트림(47))는, 스트림(47a)가 분별증류 탑(21)의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으로 공급되기 전에 -82℉[-63℃]까지 냉각시키는 팽창 밸브(20)에 의해 분별증류 칼럼(21)의 작동 압력 (대략 450 psia [3,103 kPa(a)]까지 팽창된다.
분리기(15)로부터 나온 증기 (스트림(44))는 두 개의 스트림(45 및 46)으로 분할된다. 총 증기의 약 30%를 함유하는 스트림(45)는 -134℉[-92℃]의 저온 탈메탄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48))와 열 교환관계로 열 교환기(16)을 통과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응축되도록 냉각된다. 그 결과 -129℉[-89℃]의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45a)는 팽창 밸브(17)을 통과하며 분별증류 탑(21)의 작동 압력까지 급속 팽창된다. 팽창 도중 스트림의 일부는 증발되어 전체 스트림을 냉각한다. 도 4에 예시된 공정에서, 팽창 밸브(17)을 이탈하는 팽창 스트림(45b)는 -133℉[-92℃]의 온도에 도달하여 분별증류 탑(21)의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으로 공급된다.
분리기(15)로부터 나온 증기 중 나머지 70% (스트림(46))는 작업물 팽창 장치(18)에 들어가며, 여기서 기계적 에너지가 고압 공급물의 이 부분에서 추출된다. 장치(18)은 탑 작동 압력에 충분히 등엔트로피적으로 증기를 팽창하며, 이때 작업 물 팽창은 팽창된 스트림(46a)를 대략 -90℉[-68℃]의 온도까지 냉각한다.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 스트림(46a)는 그 후 공급물로서 분별증류 칼럼(21)의 중앙-칼럼 공급지점으로 공급된다.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85℉ [29℃]에서 탑의 저부를 나오며, 저부 생성물 중 용적 기준으로 0.005의 메탄 분획을 기준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에서 0℉[-18℃]로 냉각한 후, 액체 생성물 (스트림(51a))은 유동하여 저장되거나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오버헤드 증류 스트림(48)은 -134℉[-92℃]의 분별증류 탑(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열 교환기(16) 내의 유입 공급 가스와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며 -78℉[-61℃]로 가열된다. 가열된 스트림(48a)는 팽창 장치(18)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19)로 유동하며 여기서 498 psia [3,430 kPa(a)] (스트림(48b))로 압축된다. 상기 압력에서, 상기 스트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2)에서 -135℉[-93℃]로 냉각됨에 따라 완전히 응축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48c))는 그 후 두 개의 부분, 스트림(52 및 53)으로 분리된다. 제 1부분 (스트림(52))은 메탄-풍부 희박 LNG 스트림이며, 이는 그 후 후속 증발 및/또는 이송을 위해 펌프(32)에 의해 1365 psia [9,411 kPa(a)](스트림(52a))까지 펌프된다.
나머지 부분은 환류 스트림(53)이며, 이는 열 교환기(12)로 유동하여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온 LNG의 일부 (스트림(41a))와 열 교환에 의해 -166℉[-110℃]까지 서브냉각된다. 서브냉각된 환류 스트림(53a)는 팽창 밸브(30)에 의해 탈메탄기(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되며 팽창된 스트림(53b)는 이후 탈메탄기(21)에 저 온 최상부 칼럼 공급물 (환류물)로서 공급된다. 상기 저온 액체 환류물은 탈메탄기(21)의 상부 정류 구획 내의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흡수 및 응축한다.
도 4에 예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동 속도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은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Ⅳ
(도 4)
스트림 유동 요약 - Lb. Moles/Hr [kg Moles/Hr]
Figure 112006072157798-PCT00004
회수율 *
에탄 90.06%
프로판 99.96%
부탄+ 100.00%
동력
LNG 공급 펌프 419 HP [ 688 kW]
LNG 생성물 펌프 761 HP [ 1,252 kW ]
총계 1,180 HP [ 1,940 kW]
저 수준 유틸리티 열
LNG 가열기 16,119 MBTU/Hr [ 10,412 kW]
고 수준 유틸리티 열
탈메탄기 리보일러 8,738 MBTU/Hr [ 5,644 kW]
* (반올림되지 않은 유동속도 기준)
본 발명의 도 4 실시태양에 대한 상기 표 Ⅳ와 본 발명의 도 3 실시태양에 대한 표 Ⅲ의 비교는 액체 회수가 도 4 실시태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나타낸다. 도 4 실시태양은 열 교환기(16)에서 분리기(15) 증기의 일부 (스트림(45))를 응축 및 서브냉각함으로써 분별증류 칼럼(21)에 대한 보충 환류 (스트림(45b))를 생성하기 위해 탑 오버헤드 (스트림(48))를 사용하기 때문에, 압축기(19)로 진입하는 가스 (스트림(48a))는 도 3 실시태양의 상응하는 스트림 (스트림(48))보다 상당히 더 뜨겁다. 상기 서비스에 사용된 압축 장치의 유형에 따라, 더 뜨거운 온도는 야금학 등의 측면에서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분별증류 칼럼(21)에 공급된 보 충 환류 스트림(45b)는 도 3 실시태양의 스트림(42a)만큼 차갑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최상부 환류 (스트림(53b))가 필요하며 또한 더 적은 저 수준 유틸리티 가열이 열 교환기(14)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리보일러(25)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키며 또한 도 3 실시태양에 비하여 본 발명의 도 4 실시태양에서 요구되는 고 수준 유틸리티 열량을 증가시킨다. 더 높은 최상부 환류 유동 속도는 또한 도 3 실시태양과 비교하여 도 4 실시태양의 동력 조건을 약간 (약 2%) 증가시킨다. 특별한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실시태양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동력과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의 상대 비용, 및 펌프, 열 교환기, 및 압축기의 상대적 자본 비용을 반영할 것이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더 간단한 또 하나의 실시태양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공정에서 검토된 LNG 조성 및 조건은 도 3 및 4의 것들과 동일할 뿐만 아니라 도 1 및 2에 대해 전술한 것들과도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5 공정은 도 3 및 4에 나타낸 실시태양 및 도 1 및 2에 나타낸 선행기술 공정들과 비교될 수 있다.
LNG 탱크(10)으로부터 나온 처리될 LNG (스트림(41))는 -255℉[-159℃]에 펌프(11)로 들어간다. 펌프(11)은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분리기(15)로 유동할 수 있도록 LNG의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펌프를 나오는 스트림(41a)는 분리기(15)에 들어가기 전에 가열되어 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증발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림(41a)는 열 교환기(12 및 13)에서 -110℉[-79℃]의 압축된 오버헤드 증 기 스트림(48a), -128℉[-89℃]의 환류 스트림(53), 및 85℉[29℃]의 칼럼으로부터 나온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을 냉각시킴으로써 -102℉[-75℃]까지 먼저 가열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스트림(41c)는 그 후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사용하여 열 교환기(14)에서 추가 가열된다 (스트림(41d)).
가열된 스트림(41d)는 -74℉[-59℃] 및 715 psia [4,930 kPa(a)]에 분리기(15)에 들어가며, 여기서 증기 (스트림(46))가 모든 잔류 액체 (스트림(47))로부터 분리된다. 분리기 증기 (스트림(46))는 작업물 팽창 장치(18)에 들어가며, 여기서 기계적 에너지가 고압 공급물의 이 부분에서 추출된다. 장치(18)은 탑 작동 압력 (대략 450 psia [3,103kPa(a)]까지 충분히 등엔트로피적으로 증기를 팽창하며, 이때 작업물 팽창은 팽창된 스트림(46a)를 대략 -106℉[-77℃]의 온도까지 냉각한다.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 스트림(46a)는 그 후 분별증류 칼럼(21)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물로서 공급된다. 분리기 액체(스트림(47))는 스트림(47a)가 분별 증류탑(21)의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으로 공급되기 전에 -99℉[-73℃]까지 냉각시키는 팽창 밸브(20)에 의해 분별증류 탑(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다.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85℉ [29℃]에 탑의 저부를 나오며, 저부 생성물 중 용적 기준으로 0.005의 메탄 분획을 기준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에서 0℉[-18℃]까지 냉각한 후, 액체 생성물 (스트림(51a))은 유동하여 저장되거나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오버헤드 증류 스트림(48)은 -134℉[-92℃]의 분별증류 탑(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팽창 장치(18)에 의해 구동된 압축기(19)로 유동하며, 여기서 563 psia [3,882kPa(a)]로 압축된다 (스트림(48a)). 상기 압력에서, 상기 스트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2)에서 -128℉[-89℃]로 냉각됨에 따라 완전히 응축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48b))는 그 후 두 부분, 스트림(52 및 53)으로 분할된다. 제 1부분 (스트림(52))은 메탄-풍부 희박 LNG 스트림이며, 이는 그 후 후속 증발 및/또는 이송을 위해 펌프(32)에 의해 1365 psia [9,411 kPa(a)](스트림(52a))까지 펌프된다.
나머지 부분은 환류 스트림(53)이며, 이는 열 교환기(12)로 유동하여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온 LNG (스트림(41a))와 열 교환에 의해 -184℉[-120℃]까지 서브냉각된다. 서브냉각된 환류 스트림(53a)는 팽창 밸브(30)에 의해 탈메탄기(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되며 팽창된 스트림(53b)는 그 후 탈메탄기(21)에 저온 최상부 칼럼 공급물 (환류물)로서 공급된다. 상기 저온 액체 환류물은 탈메탄기(21)의 상부 정류 구획 내에서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흡수 및 응축한다.
도 5에 예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동 속도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은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Ⅴ
(도 5)
스트림 유동 요약 - Lb. Moles/Hr [kg Moles/Hr]
Figure 112006072157798-PCT00005
회수율 *
에탄 90.02%
프로판 100.00%
부탄+ 100.00%
동력
LNG 공급 펌프 457 HP [ 752 kW]
LNG 생성물 펌프 756 HP [ 1,242 kW ]
총계 1,213 HP [ 1,994 kW]
저 수준 유틸리티 열
LNG 가열기 16,394 MBTU/Hr [ 10,590 kW]
고 수준 유틸리티 열
탈메탄기 리보일러 10,415 MBTU/Hr [ 6,728 kW]
* (반올림되지 않은 유동속도 기준)
본 발명의 도 3 실시태양에 대한 표 Ⅲ 및 도 4 실시태양에 대한 표 Ⅳ와 본 발명의 도 5 실시태양에 대한 상기 표 Ⅴ의 비교는 액체 회수가 도 5 실시태양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나타낸다. 도 5 실시태양은 도 3 및 4의 실시태양이 수행하는 것처럼 분별증류 칼럼(21)에 대해 보충 환류물 (각각 스트림(42a 및 45b))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최상부 환류물 (스트림(53b))이 요구되며 또한 열 교환기(14)에서 더 적은 저 수준 유틸리티 가열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리보일러(25)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키며 또한 도 3 및 4 실시태양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도 5 실시태양에서 요구되는 고 수준 유틸리티 열량을 증가시킨다. 더 높은 최상부 환류 유동 속도는 또한 도 3 및 4 실시태양에 비하여 도 5 실시태양의 동력 요구량을 약간 (각각 약 5% 및 3%로) 증가시킨다. 특정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실시태양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동력과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의 상대 비용, 및 칼럼, 펌프, 열 교환기, 및 압축기의 상대 자본 비용을 반영할 것이다.
실시예 4
더 낮은 동력 소비와 동일 C2 성분 회수를 유지하는 약간 더 복잡한 설계는 도 6 공정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공정에서 검토된 LNG 조성 및 조건은 도 3 내지 5의 것들은 물론 도 1 및 2에 대해 전술한 것들과도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6 공정은 도 3 내지 5에 나타낸 실시태양 및 도 1 및 2에 나타낸 선행기술 공정들과 비교될 수 있다.
도 6 공정의 모의실험에서, LNG 탱크(10)으로부터 나온 처리될 LNG (스트림(41))는 -255℉[-159℃]에 펌프(11)로 들어간다. 펌프(11)은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흡수기 칼럼(21)로 유동할 수 있도록 LNG의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펌프를 나오는 스트림(41a)는 열 교환기(12)에서 -129℉[-90℃]의 접촉 및 분리 장치 흡수기 칼럼(21)로부터 인출된 오버헤드 증기 (증류 스트림(48)) 및 -83℉[-63℃]의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인출된 오버헤드 증기 (증류 스트림(50))를 냉각시킴으로써 -120℉[-84℃]까지 먼저 가열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액체 스트림(41b)는 그 후 두 부분, 스트림(42 및 43)으로 분리된다. 제 1 부분인 스트림(42)는 팽창 밸브(17)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 (대략 495 psia [3,413 kPa(a)])까지 팽창되며 탑의 하부 중앙-칼럼 공급지점에 공급된다.
제 2 부분인 스트림(43)은 흡수기 칼럼(21)에 들어가기 전에 가열되어 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증발된다.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스트림(43)은 열 교환기(13)에서 88℉ [31℃]의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의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을 냉각함으로서 -112℉ [-80℃]까지 먼저 가열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스트림(43a)는 이후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사용하여 열 교환기(14)에서 추가 가열된다 (스트림(43b)). 부분적으로 증발된 스트림(43b)는, 스트림(43c)가 흡수기 칼 럼(21)의 하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기 전에 -67℉[-55℃]까지 냉각시키는 팽창 밸브(20)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다. 팽창된 스트림(43c)의 액체 부분은 (존재 시)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혼합하며 결합된 액체 스트림(49)는 -79℉[-62℃]에 흡수기 칼럼(21)의 저부를 나온다. 팽창된 스트림(43c)의 증기 부분은 흡수기 칼럼(21)을 상방으로 통과하여 상승하며 또한 하방으로 낙하하는 저온 액체와 접촉하여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들을 응축 및 흡수한다.
접촉 장치 흡수기 칼럼(21)의 저부로부터 나온 결합된 액체 스트림(49)는 스트림(49)가 분별 증류 스트리퍼 칼럼(24)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들어가기 전에 -83℉[-64℃] (스트림(49a))로 냉각하는 팽창 밸브(22)에 의해 스트리퍼 칼럼(24)의 작동 압력 (465 psia [3,206kPa(a)])보다 약간 높게 급속 팽창된다. 스트리퍼 칼럼(24)에서, 스트림(49a)는 용적 기준으로 0.005의 메탄 분획의 표준을 맞추기 위해 리보일러(25)에 생성된 증기에 의해 그의 메탄이 제거된다. 수득된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88℉[31℃]에 스트리퍼 칼럼(24)의 저부를 나오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에서 0℉[-18℃]로 냉각되며 (스트림(51a)), 그 후 유동하여 저장되거나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나온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50))는 -83℉[-63℃]에 칼럼을 나와 열 교환기(12)로 유동하며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132℉[-91℃]로 냉각되어 스트림을 완전히 응축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50a)는 그 후 스트 림(50b)의 압력을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에 비해 약간 높게 상승시키는 오버헤드 펌프(33)으로 들어간다. 제어 밸브(35)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한 후, -130℉[-90℃]의 스트림(50c)는 그 후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여기서 스트림(50c)는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혼합하여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구획으로부터 상승하는 증기에서 C2 및 중질 성분을 포획하는데 사용되는 액체의 일부가 된다.
-129℉[-90℃]에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된 오버헤드 증류 스트림(48)은 열 교환기(12)로 유동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135℉[-93℃]까지 냉각되어 스트림을 완전히 응축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48a))는 펌프(31)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보다 다소 높은 압력까지 펌프되며 (스트림(48b)), 그 후 두 부분인 스트림(52 및 53)으로 분할된다. 제 1부분 (스트림(52))은 메탄-풍부 희박 LNG 스트림이며, 이는 그 후 후속 증발 및/또는 이송을 위해 펌프(32)에 의해 1365 psia [9,411 kPa(a)](스트림(52a))까지 펌프된다.
나머지 부분은 환류 스트림(53)이며, 이는 제어 밸브(30)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다. 팽창된 스트림(53a)는 그 후 흡수기 칼럼(21)에 저온 최상부 칼럼 공급물 (환류물)로서 -135℉[-93℃]에 공급된다. 상기 저온 액체 환류물은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에서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흡수 및 응축한다.
도 6에 예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동 속도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은 하 기 표에 나타낸다:
표 Ⅵ
(도 6)
스트림 유동 요약 - Lb. Moles/Hr [kg Moles/Hr]
Figure 112006072157798-PCT00006
회수율 *
에탄 90.04%
프로판 99.88%
부탄+ 100.00%
동력
LNG 공급 펌프 359 HP [ 590 kW]
흡수기 오버헤드 펌프 48 HP [ 79 kW]
스트리퍼 오버헤드 펌프 11 HP [ 18 kW]
LNG 생성물 펌프 717 HP [ 1,179 kW ]
총계 1,135 HP [ 1,866 kW]
저 수준 유틸리티 열
LNG 가열기 16,514 MBTU/Hr [ 10,667 kW]
고 수준 유틸리티 열
탈메탄기 리보일러 8,358 MBTU/Hr [ 5,399 kW]
* (반올림되지 않은 유동속도 기준)
본 발명의 도 6 실시태양에 대한 상기 표 Ⅵ과 본 발명의 도 3 내지 5 실시태양에 대한 표 Ⅲ 내지 Ⅴ의 비교는, 액체 회수가 도 6 실시태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표 Ⅵ의 유틸리티 소비와 표 Ⅲ 내지 V의 경우들과의 비교는 본 발명의 도 6 실시태양에서 요구되는 동력 및 고 수준 유틸리티 열 모두가 도 3 내지 5 실시태양의 경우보다 더 낮음을 나타낸다. 도 6 실시태양의 동력 조건은 각각 1%, 4% 및 6% 더 낮으며, 또한 고 수준 유틸리티 열 조건은 각각 1%, 4% 및 20% 더 낮다.
도 3 내지 5 실시태양에 비하여 본 발명의 도 6 실시태양을 위한 유틸리티 조건의 감소는 주로 두 가지 인자로 기인될 수 있다. 첫째, 도 3 내지 5 실시태양의 분별증류 칼럼(21)을 별도의 흡수기 칼럼(21) 및 스트리퍼 칼럼(24)로 분리함으 로써, 두 칼럼의 작동 압력은 각각의 서비스를 위해 독립적으로 최적화 될 수 있다. 도 3 내지 5 실시태양의 분별증류 칼럼(21)의 작동 압력은 더 높은 작동 압력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는 증류 작업 상의 유해 효과를 야기하지 않는 수치보다 훨씬 높게 상승될 수 없다. 상기의 효과는 그의 증기 및 액체 스트림의 상 성질에 기인한 분별증류 칼럼(21)에서의 낮은 질량 이동에 의해 명백해 진다. 증기-액체 분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관련된 물리적 성질은, 다시 말하면 두 가지 상의 액체 표면 장력 및 밀도 차이이다. 도 3 내지 5 실시태양에서와 같이 더 이상 함께 결합되지 않은 정류 작동 (흡수기 칼럼(21)) 및 스트리핑 작동 (스트리퍼 칼럼(24))의 작동 압력으로, 열 교환기(12)에서 오버헤드 스트림 (도 6 실시태양에서 스트림(48))의 응축을 촉진하는 더 높은 압력에서 정류 작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스트리핑 작동(stripping operation)은 적합한 작동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둘째로, 도 3 및 4 실시태양에서 보충 환류 스트림으로 사용된 LNG 공급 스트림 부분 (도 3에서 스트림(42a) 및 도 4에서 스트림 (45b))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도 6 실시태양은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구획으로 들어가는 스트림(43c) 내 증기의 정류를 돕기 위해 흡수기 칼럼(21)을 위한 제2 보충 환류 스트림 (스트림(50c))를 사용한다. 상기는 고 수준 유틸리티 열 조건을 감소시키는 리보일러(25)에 대한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열 교환기(14)에서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더욱 최적으로 사용하게 한다. 특별한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실시태양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동력과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의 상대 비용, 및 칼럼, 펌프, 열 교환기, 및 압축기의 상대 자본 비용을 반영할 것이다.
실시예 5
본 발명은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스트림 중에 존재하는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LPG 생성물을 생산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공정에서 검토된 LNG 조성 및 조건은 도 1 내지 6에 대해 전술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7 공정은 도 1 및 2에 나타낸 선행기술 공정은 물론 도 3 내지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과 비교될 수 있다.
도 7 공정의 모의실험에서, LNG 탱크(10)으로부터 나온 처리될 LNG (스트림(41))는 -255℉[-159℃]에 펌프(11)로 들어간다. 펌프(11)은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흡수기 칼럼(21)로 유동할 수 있도록 LNG의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펌프를 나오는 스트림(41a)는 열 교환기(12 및 13)에서 -90℉[-68℃]의 접촉 및 분리 장치 흡수기 칼럼(21)로부터 인출된 오버헤드 증기 (증류 스트림(48)),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인출된 57℉[14℃]의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50a)), 및 190℉[88℃]의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의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을 냉각시킴으로써 -99℉[-73℃]까지 먼저 가열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액체 스트림(41c)는 그 후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이용하여 열 교환기(14)에서 -43℉[-42℃]까지 추가 가열된다 (스트림(41d)). 부분적으로 증발된 스트림(41d)는, 스트림(41e)가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기 전에 -48℉[-44℃]까지 냉각하는 팽창 밸브(20)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 (대략 465 psia [3,206 kPa(a)])까지 팽창된다. 팽창된 스트림(41e)의 액체 부분은 (존재 시)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혼합하며 또한 결합된 액체 스트림(49)는 -50℉[-46℃]에 흡수기 칼럼(21)의 저부를 나온다. 팽창된 스트림(41e)의 증기 부분은 흡수기 칼럼(21)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상승하며 또한 하방으로 낙하하는 저온 액체와 접촉하여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들을 응축 및 흡수한다.
접촉 장치 흡수기 칼럼(21)의 저부로부터 나온 결합된 액체 스트림(49)는, 스트림(49)가 분별 증류 스트리퍼 칼럼(24)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으로 들어가기 전에 -53℉[-47℃] (스트림(49a))로 냉각하는 팽창 밸브(22)에 의해 스트리퍼 칼럼(24)의 작동 압력 (430 psia [2,965kPa(a)])보다 약간 높게 급속 팽창된다. 스트리퍼 칼럼(24)에서, 스트림(49a)는 몰 기준으로 에탄: 프로판 = 0.020: 1의 표준을 맞추기 위해 리보일러(25)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그의 메탄 및 C2 성분이 제거된다. 수득된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190℉[88℃]에 스트리퍼 칼럼(24)의 저부를 나오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에서 0℉[-18℃]까지 냉각되며 (스트림(51a)), 그 후 유동하여 저장되거나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나온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50))는 30℉[-1℃]에 칼럼을 나와서 (보조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오버헤드 압축기(34)로 유동하며 여기서 스트림(50a)의 압력을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높게 상승시킨 다. 스트림(50a)는 열 교환기(12)로 들어가고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78℉[-61℃]까지 냉각되어 스트림을 완전히 응축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50b)는 제어 밸브(35)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하며, -84℉[-64℃]의 수득된 스트림(50c)는 그 후 흡수기 칼럼(21)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여기서 스트림(50c)는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혼합하여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구획으로부터 상승하는 증기에서 C3 및 중질 성분을 포착하는데 사용되는 액체의 일부가 된다.
-90℉[-68℃]에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된 오버헤드 증류 스트림(48)은 열 교환기(12)로 유동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132℉[-91℃]까지 냉각되어 스트림을 완전히 응축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48a))는 펌프(31)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보다 다소 높은 압력까지 펌프되며 (스트림(48b)), 그 후 두 부분인 스트림(52 및 53)으로 분리된다. 제 1부분 (스트림(52))은 메탄-풍부 희박 LNG 스트림이며, 이는 그 후 후속 증발 및/또는 이송을 위해 펌프(32)에 의해 1365 psia [9,411 kPa(a)](스트림(52a))까지 펌프된다.
나머지 부분은 환류 스트림(53)이며, 이는 제어 밸브(30)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다. 팽창된 스트림(53a)는 그 후 흡수기 칼럼(21)에 저온 최상부 칼럼 공급물 (환류물)로서 -131℉[-91℃]에 공급된다. 상기 냉각 액체 환류물은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에서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흡수 및 응축한다.
도 7에 예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동 속도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은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Ⅶ
(도 7)
스트림 유동 요약 - Lb. Moles/Hr [kg Moles/Hr]
Figure 112006072157798-PCT00007
회수율 *
프로판 99.00%
부탄+ 100.00%
동력
LNG 공급 펌프 325 HP [ 535 kW]
흡수기 오버헤드 펌프 54 HP [ 89 kW]
LNG 생성물 펌프 775 HP [ 1,274 kW]
스트리퍼 오버헤드 압축기 67 HP [ 110 kW ]
총계 1,221 HP [ 2,008 kW]
저 수준 유틸리티 열
LNG 가열기 15,139 MBTU/Hr [ 9,779 kW]
고 수준 유틸리티 열
탈에탄기 리보일러 6,857 MBTU/Hr [ 4,429 kW]
* (반올림되지 않은 유동속도 기준)
도 7 공정에 대한 상기 표 Ⅶ의 유틸리티 소비와 표 Ⅲ 내지 Ⅵ의 것들의 비교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태양을 위한 동력 조건이 도 3 내지 6 실시태양의 것보다 약간 더 높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C2 성분의 회수가 희망했던 바와 다른 경우 더 많은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이 열 교환기(14)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도 7 실시태양에 대해 요구되는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은 도 3 내지 6 실시태양에 대한 것보다 현저하게 더 낮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도 3 내지 6 실시태양에 비한 도 7 실시태양의 동력 요구의 증가는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50))를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열 교환기(12)를 통과하여 흡수기 칼럼(21)로 들어가도록 유도하는데 필요한 원동력을 제공하는 도 7의 압축기(34)에 주로 기인한다. 도 8은 상기 압축기를 생략하고 동력 요구를 감소시 키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예시한다. 도 8에 나타낸 공정에서 검토된 LNG 조성 및 조건은 도 7의 것들은 물론 도 1 내지 6에 전술된 것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8 공정은 도 7에 나타내어진 본 발명의 실시태양, 도 1 및 2에 나타낸 선행기술 공정, 및 도 3 내지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과 비교될 수 있다.
도 8 공정의 모의실험에서, LNG 탱크(10)으로부터 나온 처리될 LNG (스트림(41))는 -255℉[-159℃]에 펌프(11)로 들어간다. 펌프(11)은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흡수기 칼럼(21)로 유동할 수 있도록 LNG의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펌프를 나오는 스트림(41a)는 -90℉[-68℃]의 접촉 및 분리 장치 흡수기 칼럼(21)로부터 인출된 오버헤드 증기 (증류 스트림(48)), 20℉[-7℃]의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인출된 오버헤드 증기 (증류 스트림(50)), 및 190℉[88℃]의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1)로부터의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을 냉각시키는 열 교환기(12 및 13)에서 -101℉[-74℃]까지 먼저 가열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스트림(41c)는 그 후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이용하여 열 교환기(14)에서 -54℉[-48℃]까지 추가 가열된다 (스트림(41d)). 팽창 밸브(20)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 (대략 465 psia [3,206 kPa(a)])까지 팽창한 후, 스트림(41e)는 -58℉[-50℃]인 칼럼의 하부 칼럼 공급 지점으로 유동한다. 팽창된 스트림(41e)의 액체 부분 (존재 시)은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혼합하며 결합된 액체 스트림(49)는 -61℉[-52℃]에 접촉 장치 흡수기 칼럼(21)의 저부를 나온다. 팽창된 스트림(41e)의 증기 부분은 흡 수기 칼럼(21)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상승하며 또한 하방으로 낙하하는 냉각 액체와 접촉하여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들을 응축 및 흡수한다.
흡수기 칼럼(21)의 저부로부터 나온 결합된 액체 스트림(49)는, 스트림(49)가 분별 증류 스트리퍼 칼럼(24)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들어가기 전에 -64℉[-53℃] (스트림(49a))로 냉각하는 팽창 밸브(22)에 의해 스트리퍼 칼럼(24)의 작동 압력 (430 psia [2,965kPa(a)])보다 약간 높게 급속 팽창된다. 스트리퍼 칼럼(24)에서, 스트림(49a)는 몰 기준으로 에탄: 프로판 = 0.020: 1의 표준을 맞추기 위해 리보일러(25)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그의 메탄 및 C2 성분이 제거된다. 수득된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190℉[88℃]에 스트리퍼 칼럼(24)의 저부를 나오며, 유동하여 저장 또는 추가 처리되기 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에서 0℉[-18℃]로 냉각된다 (스트림(51a)).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나온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50))는 20℉[-7℃]에 칼럼을 나와서 열 교환기(12)로 들어가고 전술한 바와 같이 -98℉[-72℃]로 냉각되어 스트림을 완전히 응축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50a)는 그 후 스트림(50b)의 압력을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높게 상승시키는 오버헤드 펌프(33)으로 들어가며, 그 결과 스트림(50b)는 부분적으로 증발되도록 열 교환기(12)로 재진입하고 동시에 상기 교환기에서 전체 냉각 효율의 일부를 제공함으로써 -70℉[-57℃] (스트림(50c))로 가열된다. 제어 밸브(35)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한 후, -75℉[-60℃]의 스트림(50d)는 그 후 흡수기 칼럼(21)의 중앙-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여기서 스트림(50d)는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혼합하여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구획으로부터 상승하는 증기에서 C3 및 중질 성분을 포착하는데 사용되는 액체의 일부가 된다.
오버헤드 증류 스트림(48)은 -90℉[-68℃]에 접촉 장치 흡수기 칼럼(21)로부터 인출되어 열 교환기(12)로 유동하며, 여기서 -132℉[-91℃]까지 냉각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저온 LNG (스트림(41a))와 열 교환에 의해 완전히 응축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48a))는 펌프(31)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보다 다소 높은 압력으로 펌프되며 (스트림(48b)), 그 후 두 부분인 스트림(52 및 53)으로 분할된다. 제 1부분 (스트림(52))은 메탄-풍부 희박 LNG 스트림이며, 이는 그 후 후속 증발 및/또는 이송을 위해 펌프(32)에 의해 1365 psia [9,411 kPa(a)](스트림(52a))까지 펌프된다.
나머지 부분은 환류 스트림(53)으로, 제어 밸브(30)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다. 팽창된 스트림(53a)은 그 후 흡수기 칼럼(21)에 저온 최상부 칼럼 공급물 (환류물)로서 -131℉[-91℃]에 공급된다. 상기 저온 액체 환류물은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에서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흡수 및 응축한다.
도 8에 예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동 속도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은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Ⅷ
(도 8)
스트림 유동 요약 - Lb. Moles/Hr [kg Moles/Hr]
Figure 112006072157798-PCT00008
회수율 *
프로판 99.03%
부탄+ 100.00%
동력
LNG 공급 펌프 325 HP [ 534 kW]
흡수기 오버헤드 펌프 67 HP [ 110 kW]
스트리퍼 오버헤드 펌프 11 HP [ 18 kW]
LNG 생성물 펌프 761 HP [ 1,251 kW ]
총계 1,164 HP [ 1,913 kW]
저 수준 유틸리티 열
LNG 가열기 13,949 MBTU/Hr [ 9,010 kW]
고 수준 유틸리티 열
탈에탄기 리보일러 8,192 MBTU/Hr [ 5,292 kW]
* (반올림되지 않은 유동속도 기준)
본 발명의 도 8 실시태양에 대한 상기 표 Ⅷ과 본 발명의 도 7 실시태양에 대한 표 Ⅶ의 비교는, 액체 회수가 도 8 실시태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나타낸다. 도 8 실시태양은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접촉 장치 흡수기 칼럼(21)로 오버헤드 증기를 유도하기 위해 압축기 (도 7의 오버헤드 압축기(34)) 대신 펌프 (도 8의 오버헤드 펌프(33))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 8 실시태양에서 더 적은 동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도 8 실시태양에 필요한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은 더 높다 (약 19% 정도). 특별한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실시태양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동력과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의 상대 비용, 및 펌프 대 압축기의 상대적 비용을 반영할 것이다.
실시예 7
감소된 고 수준 유틸리티 열 소비와 동일 C3 성분 회수를 유지하는 약간 더 복잡한 설계는 도 9 공정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공정에서 검토된 LNG 조성 및 조건은 도 7 및 8의 경우는 물론 도 1 내지 6에 대해 전술한 것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9의 공정은 도 7 및 8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태양, 도 1 및 2에 나타낸 선행기술 공정, 및 도 3 내지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과 비교될 수 있다.
도 9 공정의 모의실험에서, LNG 탱크(10)으로부터 나온 처리될 LNG (스트림(41))는 -255℉[-159℃]에 펌프(11)로 들어간다. 펌프(11)은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분리기(15)로 유동할 수 있도록 LNG의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펌프를 나오는 스트림(41a)는 분리기(15)에 들어가기 전에 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증발되도록 가열된다.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스트림(41a)는 열 교환기(12 및 13)에서 -70℉[-57℃]의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48a), 67℉[19℃]의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50a), 및 161℉[72℃]의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나온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을 냉각시킴으로써 -88℉[-66℃]까지 먼저 가열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스트림(41c)는 그 후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이용하여 열 교환기(14)에서 추가 가열된다 (스트림(41d)).
가열된 스트림(41d)는 -16℉[-27℃] 및 596 psia [4,109 kPa(a)]에 분리기(15)에 들어가며, 여기서 증기 (스트림(46))가 모든 잔류 액체 (스트림(47))로부터 분리된다. 분리기 증기 (스트림(46))는 작업물 팽창 장치(18)에 들어가며 기계적 에너지는 고압 공급물의 이 부분에서 추출된다. 장치(18)은 탑 작동 압력 (대략 415 psia [2,861kPa(a)])에 충분히 등엔트로피적으로 증기를 팽창하며, 이때 작업물 팽창은 팽창된 스트림(46a)를 대략 -42℉[-41℃]의 온도까지 냉각한다.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 스트림(46a)는 그 후 분별증류 칼럼(21)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 에 공급물로서 공급된다. 분리기 액체 (스트림(47))가 존재한다면, 이는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기 전에 팽창 밸브(20)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다.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스트림(41d)는 열 교환기(14)에서 완전히 증발되며, 따라서 분리기(15) 및 팽창 밸브(20)은 필요하지 않으며, 대신 팽창된 스트림(46a)는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공급지점에 공급된다. 팽창된 스트림(46a) (및 존재 시 팽창된 스트림(47a))의 액체 부분 (존재 시)은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혼합하며 또한 결합된 액체 스트림(49)는 -45℉[-43℃]에 흡수기 칼럼(21)의 저부를 나온다. 팽창된 스트림(46a) (및 존재 시 팽창된 스트림(47a))의 증기 부분은 흡수기 칼럼(21)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상승하며 또한 하방으로 낙하하는 저온 액체와 접촉하여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들을 응축 및 흡수한다.
접촉 및 분리 장치 흡수기 칼럼(21)의 저부로부터 나온 결합된 액체 스트림(49)는, 스트림(49)가 분별 증류 스트리퍼 칼럼(24)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들어가기 전에 -54℉[-48℃] (스트림(49a))까지 냉각하는 팽창 밸브(22)에 의해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의 작동 압력 (320 psia [2,206kPa(a)])보다 약간 높게 급속 팽창된다. 스트리퍼 칼럼(24)에서, 스트림(49a)는 몰 기준으로 0.020: 1의 에탄 대 프로판 비율 표준을 맞추기 위해 리보일러(25)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그의 메탄 및 C2 성분이 제거된다. 수득된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161℉[72℃]에 스트리퍼 칼럼(24)의 저부를 나오며, 유동하여 저장 또는 추가 처리되기 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에서 0℉[-18℃]로 냉각된다 (스트림(51a)).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나온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50))는 20℉[-6℃]에 칼럼을 나와서 (팽창 장치(18)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의 일부에 의해 구동되는) 오버헤드 압축기(34)로 유동하며 여기서 스트림(50a)의 압력을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높게 상승시킨다. 스트림(50a)는 열 교환기(12)로 들어가고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87℉[-66℃]로 냉각되어 스트림을 완전히 응축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50b)는 제어 밸브(35)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하며, -91℉[-68℃]의 수득된 스트림(50c)는 그 후 흡수기 칼럼(21)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여기서 스트림(50c)는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혼합하여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구획으로부터 상승하는 증기에서 C3 및 중질 성분을 포착하는데 사용되는 액체의 일부가 된다.
오버헤드 증류 스트림(48)은 -94℉[-70℃]에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팽창 장치(18)에 의해 생성되는 동력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19)로 유동하며, 여기서 508 psia [3,501 kPa(a)] (스트림(48a))로 압축된다. 상기 압력에서, 스트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2)에서 -126℉[-88℃]까지 냉각됨에 따라 완전히 응축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48b))는 그 후 두 부분, 스트림(52 및 53)으로 분할된다. 제 1부분 (스트림(52))은 메탄-풍부 희박 LNG 스트림이며, 이는 그 후 후속 증발 및/또는 이송을 위해 펌프(32)에 의해 1365 psia [9,411 kPa(a)](스트림(52a))까지 펌프된다.
나머지 부분은 환류 스트림(53)이며, 이는 팽창 밸브(30)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다. 팽창된 스트림(53a)는 그 후 흡수기 칼럼(21)에 저온 최상부 칼럼 공급물 (환류물)로서 -136℉[-93℃]에 공급된다. 상기 저온 액체 환류물은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에서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흡수 및 응축한다.
도 9에 예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동 속도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은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Ⅸ
(도 9)
스트림 유동 요약 - Lb. Moles/Hr [kg Moles/Hr]
Figure 112006072157798-PCT00009
회수율 *
프로판 98.99%
부탄+ 100.00%
동력
LNG 공급 펌프 377 HP [ 620 kW]
LNG 생성물 펌프 806 HP [ 1,325 kW ]
총계 1,183 HP [ 1,945 kW]
저 수준 유틸리티 열
LNG 가열기 17,940 MBTU/Hr [ 11,588 kW]
고 수준 유틸리티 열
탈에탄기 리보일러 5,432 MBTU/Hr [ 3,509 kW]
* (반올림되지 않은 유동속도 기준)
본 발명의 도 9 실시태양에 대한 상기 표 Ⅸ와 본 발명의 도 7 및 8 실시태양에 대한 표 Ⅶ 및 Ⅷ의 비교는, 액체 회수가 도 9 실시태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나타낸다. 도 9 실시태양의 동력 조건은 도 7 실시태양에서 요구하는 것보다 약 3% 더 낮으며 도 8 실시태양에서 요구하는 것보다 약 2% 더 높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도 9 실시태양에서 요구하는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은 도 7 실시태양보다 (약 21%) 또는 도 8 실시태양보다 (약 34%) 모두 현저하게 더 낮다. 특별한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실시태양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동력 대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의 상대 비용, 또한 펌프 및 열 교환기 대비 압축기 및 팽창 장치의 상대적 자본 비용을 반영할 것이다.
실시예 8
도 9 실시태양과 동일한 C3 성분 회수를 유지하는 본 발명의 약간 더 간단한 실시태양은 도 10 공정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공정에서 검토된 LNG 조성 및 조건은 도 7 내지 9의 경우는 물론 도 1 내지 6에 대해 전술한 것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10의 공정은 도 7 내지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태양, 도 1 및 2에 나타낸 선행기술 공정, 및 도 3 내지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과 비교될 수 있다.
도 10 공정의 모의실험에서, LNG 탱크(10)으로부터 나온 처리될 LNG (스트림(41))는 -255℉[-159℃]에 펌프(11)로 들어간다. 펌프(11)은 열 교환기를 통과하여 분리기(15)로 유동할 수 있도록 LNG의 압력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펌프를 나오는 스트림(41a)는 분리기(15)에 들어가기 전에 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증발되도록 가열된다.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스트림(41a)는 열 교환기(12 및 13)에서 -61℉[-52℃]의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48a), 40℉[4℃]의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50), 및 190℉[88℃]의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나온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을 냉각시킴으로써 -83℉[-64℃]까지 먼저 가열된다. 부분적으로 가열된 스트림(41c)는 그 후 저 수준 유틸리티 열을 이용하여 열 교환기(14)에서 추가적으로 가열된다 (스트림(41d)).
가열된 스트림(41d)는 -16℉[-26℃] 및 621 psia [4,282 kPa(a)]에 분리기(15)로 들어가며, 여기서 증기 (스트림(46))가 모든 잔류 액체 (스트림(47))로부터 분리된다. 분리기 증기 (스트림(46))는 작업물 팽창 장치(18)에 들어가며 기계적 에너지는 고압 공급물의 이 부분으로부터 추출된다. 장치(18)은 탑 작동 압력 (대략 380 psia [2,620 kPa(a)])까지 충분히 등엔트로피적으로 증기를 팽창하며, 이때 작업물 팽창은 팽창된 스트림(46a)를 대략 -50℉[-46℃]의 온도까지 냉각한다.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 스트림(46a)는 그 후 흡수기 칼럼(21)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물로서 공급된다. 분리기 액체 (스트림(47))가 존재한다면, 이는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칼럼 공급 지점으로 공급되기 전에 팽창 밸브(20)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다.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스트림(41d)는 열 교환기(14)에서 완전히 증발되며, 따라서 분리기(15) 및 팽창 밸브(20)은 필요하지 않으며, 대신 팽창된 스트림(46a)는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칼럼 공급지점에 공급된다. 팽창된 스트림(46a) (및 존재 시 팽창된 스트림(47a))의 액체 부분 (존재 시)은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혼합하며 또한 결합된 액체 스트림(49)은 -53℉[-47℃]에 흡수기 칼럼(21)의 저부를 나온다. 팽창된 스트림(46a) (및 존재 시 팽창된 스트림(47a))의 증기 부분은 흡수기 칼럼(21)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상승하며 또한 하방으로 낙하하는 저온 액체와 접촉하여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들을 응축 및 흡수한다.
접촉 및 분리 장치 흡수기 칼럼(21)의 저부로부터 나온 결합된 액체 스트 림(49)는 펌프(23)으로 들어가서 스트리퍼 칼럼(24)의 작동 압력 (430 psia [2,965 kPa(a)])보다 약간 높게 펌프된다. -52℉[-47℃]의 수득된 스트림(49a)는 그 후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들어간다. 스트리퍼 칼럼(24)에서, 스트림(49a)는 몰 기준으로 0.020: 1의 에탄 대 프로판 비율 표준을 맞추기 위해 리보일러(25)에서 생성된 증기에 의해 그의 메탄 및 C2 성분이 제거된다. 수득된 액체 생성물 스트림(51)은 190℉[88℃]에 스트리퍼 칼럼(24)의 저부를 나오며, 유동하여 저장 또는 추가 처리되기 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3)에서 0℉[-18℃]까지 냉각된다 (스트림(51a)).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나온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50))는 40℉[4℃]에 칼럼을 나와서 열 교환기(12)로 들어가며,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89℉[-67℃]까지 냉각되어 스트림을 완전히 응축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50a)는 팽창 밸브(35)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되며, -94℉[-70℃]의 수득된 스트림(50b)는 그 후 흡수기 칼럼(21)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여기서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액체와 혼합하여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구획으로부터 상승하는 증기의 C3 및 중질 성분을 포착하는데 사용되는 액체의 일부가 된다.
오버헤드 증류 스트림(48)은 -97℉[-72℃]에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팽창 장치(18)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19)로 유동하며, 여기서 507 psia [3,496 kPa(a)] (스트림(48a))로 압축된다. 상기 압력에서, 스트림은 전 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12)에서 -126℉[-88℃]까지 냉각됨에 따라 완전히 응축된다. 응축된 액체 (스트림(48b))는 그 후 두 부분, 스트림(52 및 53)으로 분할된다. 제 1부분 (스트림(52))은 메탄-풍부 희박 LNG 스트림이며, 이는 그 후 후속 증발 및/또는 이송을 위해 펌프(32)에 의해 1365 psia [9,411 kPa(a)](스트림(52a))까지 펌프된다.
나머지 부분은 환류 스트림(53)으로, 팽창 밸브(30)에 의해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다. 팽창된 스트림(53a)는 그 후 흡수기 칼럼(21)에 저온 최상부 칼럼 공급물 (환류물)로서 -141℉[-96℃]에 공급된다. 상기 저온 액체 환류물은 흡수기 칼럼(21)의 상부 구획에서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흡수 및 응축한다.
도 10에 예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동 속도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은 하기 표에 나타낸다:
표 Ⅹ
(도 10)
스트림 유동 요약 - Lb. Moles/Hr [kg Moles/Hr]
Figure 112006072157798-PCT00010
회수율 *
프로판 99.02%
부탄+ 100.00%
동력
LNG 공급 펌프 394 HP [ 648 kW]
흡수기 저부 펌프 9 HP [ 14 kW]
LNG 생성물 펌프 806 HP [ 1,325 kW ]
총계 1,209 HP [ 1,987 kW]
저 수준 유틸리티 열
LNG 가열기 16,912 MBTU/Hr [ 10,924 kW]
고 수준 유틸리티 열
탈에탄기 리보일러 6,390 MBTU/Hr [ 4,127 kW]
* (반올림되지 않은 유동속도 기준)
본 발명의 도 10 실시태양에 대한 상기 표 Ⅹ과 본 발명의 도 7 내지 9 실시태양에 대한 표 Ⅶ 내지 Ⅸ의 비교는, 액체 회수가 도 10 실시태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을 나타낸다. 도 10 실시태양의 동력 조건은 도 7 실시태양에서 요구하는 것보다 약 1% 더 낮으며 도 8 및 9 실시태양에서 요구하는 것보다 각각 약 4% 및 2% 더 높다. 본 발명의 도 10 실시태양에서 요구하는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은 도 7 및 8 실시태양 모두에 비하여 (각각 약 7% 및 22%) 현저하게 낮지만, 도 9 실시태양에 비하여 약 18% 더 높다. 특별한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실시태양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동력 대 고 수준 유틸리티 열의 상대 비용, 및 펌프, 열 교환기, 압축기, 및 팽창 장치의 상대적 자본 비용을 반영할 것이다.
기타 실시태양
일부 상황들은 열 교환기(12)에 들어가는 저온 LNG 스트림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다른 처리공정으로 환류 스트림(53)을 서브냉각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상기의 환경에서, 도 11 내지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 및 12 실시태양에서, 열 교환기(12)를 떠난 부분 가열된 LNG 스트림(41b)의 일부 (스트림(42))는 팽창 밸브(17)에 의해 분별증류 탑(21) (도 11) 또는 흡수기 칼럼(21) (도 12)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높게 팽창하 며, 팽창된 스트림(42a)는 환류 스트림(53)의 서브냉각을 제공하는 역할도 하는 열 교환기(29)로 가열되기 위해 향하게 된다. 서브냉각된 환류 스트림(53a)는 팽창 밸브(30)에 의해 분별증류 탑(21) (도 11) 또는 접촉 및 분리 장치 흡수기 칼럼(21) (도 12)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되며 또한 팽창된 스트림(53b)는 분별증류 탑(21) (도 11) 또는 흡수기 칼럼(21) (도 12)에 저온 최상부 칼럼 공급물 (환류물)로서 공급된다. 열 교환기(29)를 이탈한 가열된 스트림(42b)는 탑의 중앙-칼럼 공급지점에 공급되며 여기서 보충 환류 스트림으로 작용한다. 이와는 달리, 도11 및 12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림(42)는 열 교환기(12)에 들어가기 전에 LNG 스트림(41a)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13 실시태양에서,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24)로부터 나온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50)을 응축시켜 생산된 보충 환류 스트림은 제어 밸브 17을 사용하여 흡수기 칼럼(21)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높게 스트림(50b)을 팽창시키고 팽창된 스트림(50c)를 열 교환기(29)로 유도함으로써 열 교환기(29)에서 환류 스트림(53)을 서브냉각하는데 사용된다. 가열된 스트림(50d)는 그 후 탑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된다.
환류 스트림(53)이 칼럼 작동 압력까지 팽창되기 전에 서브냉각하는 것에 대한 여부의 결정은 LNG 조성, 원하는 회수 수준,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도 3 내지 10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림(53)은 서브냉각이 필요한 경우에 열 교환기(12)로 이송될 수 있거나, 또는 서브냉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팽창 밸브(3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칼럼 작동 압력까지 팽창되기 전의 보충 환류 스트림(42)의 가열은 각각의 적용마다 평가되어야 한다. 도 3, 6 및 13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림(42)는 가열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LNG 스트림(41a)의 가열 전에 인출되어 팽창 밸브(17)로 직접 이송될 수 있으며, 또는 가열이 필요한 경우 부분 가열된 LNG 스트림(41b)로부터 인출되어 팽창 밸브(17)로 이송될 수 있다. 다른 한 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충 환류 스트림(50b)의 가열 및 부분 증발은 흡수기 칼럼(21)의 하부 구획으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하는 증기 중에 C2 성분 및/또는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흡수기 칼럼(21)에 들어가는 액체의 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유리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도 8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림(50b)는 팽창 밸브(35)에 직접 이송된 다음 흡수기 칼럼(21)에 들어갈 수 있다.
처리하고자 하는 LNG가 더욱 희박한 경우 또는 열 교환기(12, 13 및 14)에서 LNG의 완전한 증발이 고려되는 경우, 도 3 내지 5 및 9 내지 11의 분리기(15)는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입구 LNG 중의 중질 탄화수소 양 및 공급 펌프(11)을 이탈하는 LNG 스트림의 압력에 따라, 열 교환기(14)를 이탈하는 가열된 LNG 스트림은 모든 액체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그의 이슬점 이상이기 때문이거나, 또는 그의 크리콘덴바 (cricondenbar) 이상이기 때문이다). 상기의 경우에 분리기(15) 및 팽창 밸브(20)은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 3, 5, 및 9 내지 11의 스트림(48a), 도 4의 스트림(48b), 도 6 내지8, 12 및 13의 스트림(48), 도 6, 8, 10, 12 및 13의 스트림(50), 및 도 7 및 9의 스트림(50a)의 완전 응축이 나타나 있다. 일부 상황들은 상기 스트림의 한쪽 또는 양쪽을 서브냉각 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다른 환경들은 단지 부분 응축만 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 또는 양쪽 모든 스트림의 부분 응축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펌프된 응축 액체에 합류할 수 있도록 증기의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압축기 또는 다른 장치들을 사용하는 비-응축된 증기의 처리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응축된 증기는 공장 연료 시스템 또는 다른 유사 용도로 수송될 수 있다.
LNG 조건, 플랜트 크기, 이용 가능한 장비, 또는 다른 요소들은 도 3 내지 5 및 9 내지 11의 작업물 팽창 장치(18)의 생략, 또는 (팽창 밸브 같은) 대안적 팽창 장치로의 대체가 가능함을 지적할 수 있다. 개개의 스트림 팽창이 특정 팽창 장치들로 도시되었지만, 대안적 팽창 도구들이 필요에 따라 도입될 수 있다.
또한 팽창 밸브(17, 20, 22, 30, 및/또는 35)는 팽창 엔진 (터보확장기)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처리작업은 도 3, 6 및 11 내지 13의 스트림(42), 도 4의 스트림(45a), 도 3 내지 5 및 9 내지 11의 스트림(47), 도 6, 12 및 13의 스트림(43b), 도 7 및 8의 스트림(41d), 도 6 내지 9, 12 및 13의 스트림(49), 도 3 내지 5 및 11 내지 13의 스트림(53a), 도 6 내지 10의 스트림(53), 도 6, 7, 9, 12 및 13의 스트림(50b), 도 8의 스트림(50c), 및/또는 도 10의 스트림(50a)의 압력 감소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상기의 경우, LNG (스트림(41)) 및/또는 다른 액체 스트림은 작업물 추출이 가능하도록 더 높은 압력까지 펌프 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은 LNG 공급 스트림을 펌프하고, 희박 LNG 생성물 스트림을 펌프 하고,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들을 압축하기 위한 힘을 제공하거나 또는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밸브 또는 팽창 엔진의 사용 중 선택은 각각의 LNG 공정 계획의 특정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 내지 13에서, 개개의 열 교환기는 대부분의 서비스를 위해 도시되었다. 그러나 둘 혹은 그 이상의 열 교환 서비스를 공통 열 교환기로 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 내지 13의 열 교환기(12, 13 및 14)를 공통 열 교환기로 결합하는 것이다. 일부 경우에서, 상황들은 열 교환 서비스를 복수의 교환기로 나누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열 교환 서비스를 결합시키거나 또는 소정의 서비스를 위해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를 사용하느냐의 여부에 대한 결정은 LNG 유동속도, 열 교환 사이즈, 스트림 온도, 등을 포함한 다수의 요소들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별증류 칼럼(21) 또는 흡수기 칼럼(21)에 대한 분리 LNG 공급물의 각 분관에서 발견된 공급물의 상대적 량은 LNG 조성, 공급물로부터 경제적으로 추출될 수 있는 열량, 및 이용 가능한 마력의 용량을 포함한, 여러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인식해야한다. 칼럼의 최상부에 더 많은 공급은 리보일러(25) 내의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고 수준 유틸리티 조건을 증가시킨다. 칼럼 하부에 공급물을 증가시키면 고 수준 유틸리티 열 소비를 감소시키지만 생성물 회수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중앙-칼럼 공급물의 상대적 위치는 LNG 조성 또는 원하는 회수 수준 및 공급 스트림의 가열 중에 형성된 증기량과 같은 다른 인자들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더구나, 공급 스트림의 둘 이상, 또는 그의 일부는 상대적 온도 및 개개 스트림의 용량에 따라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결합된 스트림 은 그 후 중앙-칼럼 공급위치로 공급된다.
도 3 내지 6 실시태양에 주어진 실시예에는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회수가 예시되어 있는 반면,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회수는 도 7 내지 10 실시태양에 대해 주어진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3 내지 6 실시태양은 단지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회수를 희망하는 경우에도 유리하며, 또한 도 7 내지 10 실시태양은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회수를 희망하는 경우에도 유리한 것으로 믿어진다. 마찬가지로, 도 11 내지 13 실시태양은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회수와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회수 모두에 유리한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은 공정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유틸리티 소비량 당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개선된 회수 또는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개선된 회수를 제공한다. 공정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유틸리티 소비량의 개선은 압축 또는 펌핑의 감소된 동력 조건, 탑 리보일러에 대한 감소된 에너지 조건, 또는 이의 결합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이점은 소정 량의 유틸리티 소비를 위한 더 높은 회수 수준을 달성함으로써, 또는 더 높은 회수와 유틸리티 소비의 개선의 일부 결합을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인 것으로 믿어지는 것을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들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로 명백히 나타내어진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 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 조건, 공급 형태, 또는 기타 요구조건에 적합하도록 다른 변형 및 추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휘발성 메탄-풍부 희박 LNG 스트림(lean LNG stream) 및 덜 휘발성인 천연 가스 액체 (NGL) 또는 액화 석유가스 (LPG)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한 액화 천연 가스 (LNG) 스트림으로부터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및 중질 탄화수소류의 회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 공정과 비교하여 공정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유틸리티 소비량 당 C2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개선된 회수 또는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개선된 회수를 제공하며, 공정 장비를 단순화하고, 또한 자본 투자를 낮출 수 있다.

Claims (67)

  1.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b) 상기 제1 스트림은 저압까지 팽창된 후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c) 상기 제2 스트림은 부분적으로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어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을 형성하며;
    (d) 상기 증기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제1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e) 상기 액체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제2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f)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압축되고;
    (g)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할 만큼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h)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i)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j)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가열된 후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b) 상기 제1 스트림은 저압까지 팽창된 후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c) 상기 제2 스트림은 부분적으로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어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을 형성하며;
    (d) 상기 증기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제1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e) 상기 액체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제2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f)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압축되고;
    (g)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를 응축할 만큼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h)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i)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j)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b) 상기 제1 스트림은 저압까지 팽창된 후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c) 상기 제2 스트림은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어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d) 상기 증기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e)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압축되고;
    (f)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를 응축할 만큼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g)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h)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i)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4.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가열된 후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b) 상기 제1 스트림은 저압까지 팽창된 후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c) 상기 제2 스트림은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어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d) 상기 증기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e)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압축되고;
    (f)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할 만큼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g)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h)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i)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5.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되어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을 형성하고;
    (b) 상기 증기 스트림은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c) 상기 제1 스트림은 실질적으로 그의 전부가 응축되도록 냉각된 후, 저압까지 팽창됨으로써 추가 냉각되고;
    (d) 상기 팽창된 냉각 제1 스트림은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e) 상기 제2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제1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f) 상기 액체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제2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g)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가열되며, 상기 가열은 상기 제1 스트림의 상기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h) 상기 가열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압축되며;
    (i) 상기 압축된 가열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j)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k)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또한
    (l)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6.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되어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b) 상기 증기 스트림은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c) 상기 제1 스트림은 실질적으로 그의 전부를 응축하도록 냉각된 후, 저압까지 팽창됨으로써 추가 냉각되고;
    (d) 상기 팽창된 냉각 제1 스트림은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e) 상기 제2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f)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가열되며, 상기 가열은 상기 제1 스트림의 상기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g) 상기 가열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압축되고;
    (h) 상기 압축된 가열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i)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j)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k)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7.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부분적으로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어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을 형성하고;
    (b) 상기 증기 스트림은 저압까지 팽창되어 분별증류 칼럼의 제1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c) 상기 액체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제2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d)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압축되며;
    (e)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f)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g)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h)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8.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어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b) 상기 증기 스트림은 저압까지 팽창되어 분별증류 칼럼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c)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압축되며;
    (d)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e)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f)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공급되고; 또한
    (g)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9.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b) 상기 제1 스트림은 저압까지 팽창되어 흡수기 칼럼의 제1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어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며;
    (c) 상기 제2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되고;
    (d) 상기 가열된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흡수기 칼럼의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e)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은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f)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실질적으로 그의 전부가 응축되도록 냉각되고,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g)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은 펌프 되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제2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h)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i)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펌프된 후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j)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k)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0.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가열된 후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b) 상기 제1 스트림은 저압까지 팽창된 후 흡수기 칼럼의 제1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어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며;
    (c) 상기 제2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고;
    (d) 상기 가열된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여 상기 흡수기 칼럼의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e)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은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공급되고;
    (f)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실질적으로 그의 전부가 응축되도록 냉각되고,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g)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은 펌프된 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제2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h)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 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i)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펌프된 후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j)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k)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1.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되고;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는 저압까지 팽창된 후 흡수기 칼럼의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되어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며;
    (c)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은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d)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압축되며;
    (e)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f) 상기 냉각된 압축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g)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h)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펌프된 후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i)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또한
    (j)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2.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고;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는 저압까지 팽창된 후 흡수기 칼럼의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되어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며;
    (c)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은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d)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실질적으로 그의 전부가 응축되도록 냉각되고,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e)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은 펌프된 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f)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g)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펌프된 후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 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h)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또한
    (i)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3.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되어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을 형성하고;
    (b) 상기 증기 스트림은 저압까지 팽창된 후 흡수기 칼럼의 제1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되어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며;
    (c) 상기 액체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제2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d)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은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e)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압축되며;
    (f)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g) 상기 냉각된 압축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h)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압축되고;
    (i) 상기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j)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k)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l)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 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4.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고;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는 저압까지 팽창된 후 흡수기 칼럼의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되어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성하며;
    (c)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은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d)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압축되며;
    (e)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f) 상기 냉각된 압축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g)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압축되고;
    (h) 상기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i)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j)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k)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5.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부분적으로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어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을 형성하고;
    (b) 상기 증기 스트림은 저압까지 팽창된 후 흡수기 칼럼의 제1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되어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며;
    (c) 상기 액체 스트림은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제2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d)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은 펌프되어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e)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고,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f) 상기 냉각된 증류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g)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압축되고;
    (h) 상기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i)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j)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k)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 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6.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공정으로, 여기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할 만큼 충분히 가열되고;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는 저압까지 팽창된 후 흡수기 칼럼의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되어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성하며;
    (c)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은 펌프되어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d) 증기 증류 스트림은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으로부터 인출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고,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e) 상기 냉각된 증류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f)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압축되며;
    (g) 상기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고;
    (h) 상기 응축된 스트림은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i) 상기 환류 스트림은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또한
    (j)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 및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물의 온도는,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에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1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류 스트림이 추가로 냉각된 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공정.
  18. 제 2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서, 상기 환류 스트림이 추가로 냉각된 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공정.
  1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환류 스트림이 추가로 냉각된 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공정.
  20. 제 10항, 제 11항, 제 12항, 제 13항, 제 14항, 제 15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류 스트림이 추가로 냉각된 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공정.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된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이 가열된 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기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상기 가열은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 또는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의 상기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공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환류 스트림이 추가로 냉각된 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공정.
  23.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환류 스트림이 추가 냉각된 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b)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된 후 가열되며, 상기 가열은 상기 환류 스트림의 상기 추가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또한
    (c) 상기 가열된 팽창 제1 스트림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기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는 공정.
  24.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a) 상기 환류 스트림이 추가 냉각된 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b)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된 후 가열되며, 상기 가열은 상 기 환류 스트림의 상기 추가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또한
    (c) 상기 가열된 팽창 제1 스트림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기 제1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는 공정.
  2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a) 상기 환류 스트림이 추가 냉각된 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고;
    (b)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이 펌프된 후 가열되며, 상기 가열이 상기 환류 스트림의 상기 추가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또한
    (c) 상기 가열되고 펌프된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기 제2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되는 공정.
  26.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결합된 제1 분할 수단;
    (b)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로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c)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증발하기 위해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열 교환 수단;
    (d) 상기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증발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리 수단;
    (e)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제1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 결합됨;
    (f) 상기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제2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 결합됨;
    (g) 증기 증발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인출 수단;
    (h)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인출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i)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j)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분할 수단, 상기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k)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7.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1 분할 수단;
    (c)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d)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증발하기 위해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가열 수단;
    (e) 상기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증발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가열 수단에 결합된 분리 수단;
    (f)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제1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g) 상기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제2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h)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인출 수단;
    (i)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인출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j)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 하도록 충분히 냉각하고 이로써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k)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분할 수단, 상기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l)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8.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결합된 제1 분할 수단;
    (b)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c)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하여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열 교환 수단;
    (d)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e)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인출 수단;
    (f)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인출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g)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시키기 위해 충분히 냉각함으로써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h)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분할 수단, 상기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i)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9.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1 분할 수단;
    (c)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d)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의 증발을 위해 충분히 가열하여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가열 수단;
    (e)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가열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f)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인출 수단;
    (g)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인출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h)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i)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분할 수단, 상기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j)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0.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증발하기 위해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제1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증발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1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리 수단;
    (c)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1 분할 수단;
    (d)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것이 실질적으로 응축되도록 충분히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제2 열 교환 수단;
    (e)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f)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제1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 로 결합됨;
    (g) 상기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제2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h)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인출 수단;
    (i)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인출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 상기 가열은 상기 제1 스트림의 상기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j) 상기 가열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k) 상기 압축되고 가열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기 제1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l)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제1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분할 수단, 상기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m)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1.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증발하여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제1 열 교환 수단;
    (b)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제1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1 분할 수단;
    (c)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제2 열 교환 수단;
    (d)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e)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하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f)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인출 수단;
    (g)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인출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 상기 가열은 상기 제1 스트림의 상기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h) 상기 가열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i) 상기 압축되고 가열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기 제1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j)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제1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분할 수단, 상기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k)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2.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증발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리 수단;
    (c)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제1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d) 상기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제2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e)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인출 수단;
    (f)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인출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g)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h)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할 수단, 상기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i)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3.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증발하여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팽창 수단, 상기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c)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인출 수단;
    (d)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인출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e)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f)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할 수단, 상기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g) 상기 분별증류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 지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4.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결합된 제1 분할 수단;
    (b)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흡수기 칼럼의 제1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추가로 결합됨;
    (c)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열 교환 수단;
    (d) 상기 가열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되고 가열된 제2 스트림을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e)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서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기 위해 상 기 흡수기 칼럼에 결합된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
    (f)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1 인출 수단;
    (g)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응축하도록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1 인출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h)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펌프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1 펌프 수단, 상기 제1 펌프 수단은 상기 펌프된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을 제2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i)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2 인출 수단;
    (j)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인출 수단에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k)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펌프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펌프 수단;
    (l) 상기 펌프된 응축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제2 펌프 수단에 결합된 제2 분할 수단, 상기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m)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5.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1 분할 수단;
    (c)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흡수기 칼럼의 제1 중앙-칼 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추가로 결합됨;
    (d)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결합된 가열 수단;
    (e) 상기 가열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가열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되고 가열된 제2 스트림을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f)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서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결합된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
    (g)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1 인출 수단;
    (h)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응축하도록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1 인출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i)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펌프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1 펌프 수단, 상기 제1 펌프 수단은 상기 펌프된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을 제2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j)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2 인출 수단;
    (k)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인출 수단에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l)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펌프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펌프 수단;
    (m) 상기 펌프된 응축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제2 펌프 수단에 결합된 제2 분할 수단, 상기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n)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6.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팽창 수단, 상기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되고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를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흡수기 칼럼의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추가로 결합됨;
    (c)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서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결합된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
    (d)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1 인출 수단;
    (e)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제1 인출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f)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냉각된 압축 스트림을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g)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2 인출 수단;
    (h)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인출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i)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펌프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펌프 수단;
    (j) 상기 펌프된 응축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펌프 수단에 결합된 제2 분할 수단, 상기 제2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k)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7.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팽창 수단, 상기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가열 액화 천연 가스를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흡수기 칼럼의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추가로 결합됨;
    (c)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서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결합된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
    (d)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1 인출 수단;
    (e)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의 전부를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1 인출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f)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펌프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1 펌프 수단, 상기 제1 펌프 수단은 상기 펌프된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을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g)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2 인출 수단;
    (h)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인출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i)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펌프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제2 펌프 수단;
    (j) 상기 펌프된 응축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제2 펌프 수단에 결합된 분할 수단, 상기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k)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8.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증발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리 수단;
    (c)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흡수기 칼럼의 제1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추가로 결합됨;
    (d) 상기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제2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e)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서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결합된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
    (f)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1 인출 수단;
    (g)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제1 인출 수단에 결합된 제1 압축 수단;
    (h)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1 압축 수단에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 며, 또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냉각된 압축 스트림을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i)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2 인출 수단;
    (j)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압축하기 위해 상기 제2 인출 수단에 결합된 제2 압축 수단;
    (k) 상기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압축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l)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할 수단, 상기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m)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9.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팽창 수단, 상기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가열 액화 천연 가스를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흡수기 칼럼의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추가로 결합됨;
    (c)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서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결합된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
    (d)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1 인출 수단;
    (e)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제1 인출 수단에 결합된 제1 압축 수단;
    (f) 상기 압축된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1 압축 수단에 추가적으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냉각된 압축 스트림을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g)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2 인출 수단;
    (h)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압축하기 위해 상기 제2 인출 수단에 결합된 제2 압축 수단;
    (i) 상기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압축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j)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할 수단, 상기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k)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0.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증발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증기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리 수단;
    (c)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1 팽창 수단,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흡수기 칼럼의 제1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추가로 결합됨;
    (d) 상기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분리 수단에 결합된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제2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e)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펌프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결합된 펌프 수단;
    (f)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서 상기 펌프된 저부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펌프 수단에 결합된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
    (g)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1 인출 수단;
    (h)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1 인출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냉각된 증류 스트림을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i)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2 인출 수단;
    (j)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압축하기 위해 상기 제2 인출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k) 상기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l)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할 수단, 상기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m)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1. 메탄과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휘발성 액체 분획 및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을 주로 함유하는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a) 상기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하도록 충분히 가열하기 위해 결합된 열 교환 수단;
    (b) 상기 가열된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고 이를 저압까지 팽창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팽창 수단, 상기 팽창 수단은 상기 팽창된 가열 액화 천연 가스를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 및 저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흡수기 칼럼의 하부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추가로 결합됨;
    (c) 상기 저부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펌프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결합된 펌프 수단;
    (d)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서 상기 펌프된 저부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펌프 수단에 결합된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
    (e) 증기 증류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1 인출 수단;
    (f)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1 인출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냉각된 증류 스트림을 중앙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g)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의 상부 구획에 결합된 제2 인출 수단;
    (h)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압축하기 위해 상기 제2 인출 수단에 결합된 압축 수단;
    (i) 상기 압축된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충분히 냉각하여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축 수단에 추가로 결합된 상기 열 교환 수단,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함;
    (j)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적어도 상기 메탄을 주로 함유하는 상기 휘발성 액체 분획 및 환류 스트림으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 수단에 결합된 분할 수단, 상기 분할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상기 흡수기 칼럼의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k)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의 오버헤드 온도를 상기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분별증류에 의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 및 상기 분별증류 스트리퍼 칼럼에 대한 상기 공급 스트림의 온도 및 상기 환류 스트림의 용량 및 온 도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2. 제 26항 또는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추가로 냉각된 환류 스트림을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고,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43. 제 27항, 제 29항, 제 30항 또는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추가로 냉각된 환류 스트림을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44.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분할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추가로 냉각된 환류 스트림을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4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추가로 냉각된 환류 스트림을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제2 스트림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4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추가로 냉각된 환류 스트림을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47. 제 36항, 제 37항, 제 38항, 제 39항, 제 40항 또는 제 41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분할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추가로 냉각된 환류 스트림을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4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펌프되고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 펌프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가열된 펌프 스트림을 상기 중앙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가열은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 또는 상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의 상기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환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분할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열 교환 수단은 상기 추가로 냉각된 환류 스트림을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은 상기 액화 천연 가스의 상기 가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50. 제 26항, 제 27항, 제 28항 또는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제2 열 교환 수단이 상기 환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은 상기 추가로 냉각된 환류 스트림을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b)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 팽창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은 상기 가열된 팽창 제1 스트림을 상기 상부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별증류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가열은 상기 환류 스트림의 상기 추가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51. 제 34항 또는 제 35항에 있어서,
    (a) 제2 열 교환 수단이 상기 환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은 상기 추가로 냉각된 환류 스트림을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b)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 팽창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은 상기 가열되고 팽창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제1 중앙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가열은 상기 환류 스트림의 상기 추가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52. 제 34항 또는 제 35항에 있어서,
    (a) 제2 열 교환 수단이 상기 환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은 상기 추가로 냉각된 환류 스트림을 상기 최상부 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됨; 및
    (b)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은 상기 펌프되고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제1 펌프 수단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열 교환 수단은 상기 가열된 펌프되고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을 상기 제2 중앙-칼럼 공급 지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흡수기 칼럼에 추가로 결합되며, 상기 가열은 상기 환류 스트림의 상기 추가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53.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제 7항, 제 8항,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제 12항, 제 13항, 제 14항, 제 15항, 제 16항, 제 19항, 제 21 항 또는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공정.
  5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공정.
  5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공정.
  5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공정.
  5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공정.
  5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공정.
  5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공정.
  60. 제 26항, 제 27항, 제 28항, 제 29항, 제 30항, 제 31항, 제 32항, 제 33항, 제 34항, 제 35항, 제 36항, 제 37항, 제 38항, 제 39항, 제 40항, 제 41항, 제 45항, 제 46항, 제 48항 또는 제 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장치.
  61.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장치.
  62.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장치.
  63.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장치.
  64.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장치.
  65.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장치.
  66.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장치.
  67.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 및 C2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고 상기 C3 성분 및 중질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이 상기 비교적 덜 휘발성인 액체 분획으로 회수되는 장치.
KR1020067020609A 2004-07-01 2005-06-03 액화 천연 가스 처리 KR101200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466804P 2004-07-01 2004-07-01
US60/584,668 2004-07-01
US64690305P 2005-01-24 2005-01-24
US60/646,903 2005-01-24
US66964205P 2005-04-08 2005-04-08
US60/669,642 2005-04-08
US67193005P 2005-04-15 2005-04-15
US60/671,930 2005-04-15
PCT/US2005/019520 WO2006118583A1 (en) 2004-07-01 2005-06-03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529A true KR20070027529A (ko) 2007-03-09
KR101200611B1 KR101200611B1 (ko) 2012-11-12

Family

ID=3497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609A KR101200611B1 (ko) 2004-07-01 2005-06-03 액화 천연 가스 처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216507B2 (ko)
EP (1) EP1771694A1 (ko)
JP (1) JP4447639B2 (ko)
KR (1) KR101200611B1 (ko)
AR (1) AR051544A1 (ko)
BR (1) BRPI0512744A (ko)
CA (1) CA2566820C (ko)
DE (1) DE05856782T1 (ko)
ES (1) ES2284429T1 (ko)
NZ (1) NZ549467A (ko)
WO (1) WO20061185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72B1 (ko) * 2011-12-19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별증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별증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5566B2 (en) * 2002-04-03 2009-01-13 Howe-Barker Engineers, Ltd. Liquid natural gas processing
WO2005072144A2 (en) * 2004-01-16 2005-08-11 Aker Kvaerner, Inc. Gas conditioning process for the recovery of lpg/ngl (c2+) from lng
US7165423B2 (en) * 2004-08-27 2007-01-23 Amec Paragon, Inc. Process for extracting ethane and heavier hydrocarbons from LNG
US7373285B2 (en) * 2004-12-01 2008-05-13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Application of phase behavior models in production allocation systems
US20060130521A1 (en) * 2004-12-17 2006-06-22 Abb Lummus Global Inc. Method for recovery of natural gas liquids for liquefied natural gas
US20060130520A1 (en) * 2004-12-17 2006-06-22 Abb Lummus Global Inc. Method for recovery of natural gas liquids for liquefied natural gas
US20060131218A1 (en) * 2004-12-17 2006-06-22 Abb Lummus Global Inc. Method for recovery of natural gas liquids for liquefied natural gas
DE102005000634A1 (de) * 2005-01-03 2006-07-13 Linde Ag Verfahren zum Abtrennen einer C2+-reichen Fraktion aus LNG
WO2006100218A1 (en) * 2005-03-22 2006-09-2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ching a stream of liquefied natural gas
US20060260330A1 (en) 2005-05-19 2006-11-23 Rosetta Martin J Air vaporizor
US7530236B2 (en) * 2006-03-01 2009-05-12 Rajeev Nanda Natural gas liquid recovery
MX2008014602A (es) * 2006-05-23 2008-11-28 Fluor Tech Corp Configuraciones de alta recuperacion de etano y metodos en instalaciones de regasificacion de gas natural licuado.
EP2024700A2 (en) 2006-06-02 2009-02-18 Ortloff Enge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ing
US20080016910A1 (en) * 2006-07-21 2008-01-24 Adam Adrian Brostow Integrated NGL recovery in the produc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EP2054685A2 (en) * 2006-08-23 2009-05-0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hydrocarbon stream
EP2054686A2 (en) * 2006-08-23 2009-05-0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vaporization of a liquid hydrocarbon stream
US8499581B2 (en) * 2006-10-06 2013-08-06 Ihi E&C International Corporation Gas cond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covery of LPG/NGL(C2+) from LNG
US20080202161A1 (en) * 2006-12-04 2008-08-28 Vazquez-Esparragoza Jorge Javi Method for adjusting heating value of lng
US20080148771A1 (en) * 2006-12-21 2008-06-26 Chevron U.S.A.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heating value of liquefied natural gas
US7777088B2 (en) * 2007-01-10 2010-08-17 Pilot Energy Solutions, Llc Carbon dioxide fractionalization process
DE102007010032A1 (de) * 2007-03-01 2008-09-04 Linde Ag Verfahren zum Abtrennen von Stickstoff aus verflüssigtem Erdgas
AU2008235485B2 (en) * 2007-04-04 2011-01-0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ne or more C2+ hydrocarbons from a mixed phase hydrocarbon stream
US8650906B2 (en) * 2007-04-25 2014-02-18 Black & Vea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nd liquefying boil-off gas
US9869510B2 (en) * 2007-05-17 2018-01-16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ing
EP2185878A1 (en) * 2007-08-14 2010-05-19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natural gas liquids recovery
US9243842B2 (en) * 2008-02-15 2016-01-26 Black & Veatch Corporation Combined synthesis gas separation and LNG production method and system
US20090282865A1 (en) * 2008-05-16 2009-11-19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an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20090293537A1 (en) * 2008-05-27 2009-12-03 Ameringer Greg E NGL Extraction From Natural Gas
JP5688784B2 (ja) * 2008-07-31 2015-03-25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加熱モジュール
US8584488B2 (en) * 2008-08-06 2013-11-19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production
WO2010027986A1 (en) * 2008-09-03 2010-03-11 Ameringer Greg E Ngl extraction from liquefied natural gas
US20100122542A1 (en) * 2008-11-17 2010-05-20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heating value of natural gas
US20100287982A1 (en) * 2009-05-15 2010-11-18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an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8434325B2 (en) 2009-05-15 2013-05-07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an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9476639B2 (en) * 2009-09-21 2016-10-25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featuring a compressed reflux stream formed by combining a portion of column residue gas with a distillation vapor stream withdrawn from the side of the column
CA2724938C (en) 2009-12-18 2017-01-24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Modular processing facility
FR2954345B1 (fr) * 2009-12-18 2013-01-18 Total Sa Procede de production de gaz naturel liquefie ayant un pouvoir calorifique superieur ajuste
US9021832B2 (en) * 2010-01-14 2015-05-05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0113127B2 (en) 2010-04-16 2018-10-30 Black & Veatch Holding Company Process for separating nitrogen from a natural gas stream with nitrogen stripping in the produc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AU2011261670B2 (en) 2010-06-03 2014-08-21 Uop Llc Hydrocarbon gas processing
JP5696385B2 (ja) * 2010-07-13 2015-04-08 横河電機株式会社 液化天然ガスの熱量算出システムおよび液化天然ガスの熱量算出方法
MY184535A (en) * 2010-10-20 2021-04-01 Kirtikumar Natubhai Patel Proces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ethane and heavier hydrocarbons from lng
EA023611B1 (ru) 2010-10-26 2016-06-30 Киртикумар Натубхай Пател Способ отделения и извлечения ngl из углеводородных потоков
US9777960B2 (en) 2010-12-01 2017-10-03 Black & Veatch Holding Company NGL recovery from natural gas using a mixed refrigerant
US10451344B2 (en) 2010-12-23 2019-10-22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Ethane recovery and ethane rejection methods and configurations
US9683776B2 (en) * 2012-02-16 2017-06-20 Kellogg Brown & Roo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hydrocarbons using one or more dividing wall columns
US10139157B2 (en) 2012-02-22 2018-11-27 Black & Veatch Holding Company NGL recovery from natural gas using a mixed refrigerant
BR112015015743A2 (pt) 2012-12-28 2017-07-11 Linde Process Plants Inc processo para a liquefação integrada de gás natural e a recuperação de líquidos de gás natural e um aparelho para a integração de liquefação
US10563913B2 (en) 2013-11-15 2020-02-18 Black & Veatch Hold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carbon refrigeration with a mixed refrigerant cycle
US9574822B2 (en) 2014-03-17 2017-02-21 Black & Veatch Corporation Liquefied natural gas facility employing an optimized mixed refrigerant system
JP6527714B2 (ja) * 2015-02-25 2019-06-05 レール・リキード−ソシエテ・アノニム・プール・レテュード・エ・レクスプロワタシオン・デ・プロセデ・ジョルジュ・クロード 液体燃料ガスの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US10006701B2 (en) 2016-01-05 2018-06-26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Ethane recovery or ethane rejection operation
US10330382B2 (en) 2016-05-18 2019-06-25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NG production with propane and ethane recovery
US10551118B2 (en) 2016-08-26 2020-02-04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0551119B2 (en) 2016-08-26 2020-02-04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0533794B2 (en) 2016-08-26 2020-01-14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CA3033088A1 (en) 2016-09-09 2018-03-15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configuration for retrofitting ngl plant for high ethane recovery
US11543180B2 (en) 2017-06-01 2023-01-03 Uop Llc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1428465B2 (en) 2017-06-01 2022-08-30 Uop Llc Hydrocarbon gas processing
CA3021456A1 (en) 2017-10-20 2019-04-20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grated configuration for a steam assisted gravity drainage central processing facility
US11112175B2 (en) 2017-10-20 2021-09-07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Phase implementation of natural gas liquid recovery plants
JP7051372B2 (ja) * 2017-11-01 2022-04-11 東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炭化水素の分離方法及び装置
JP7043126B6 (ja) 2017-11-06 2022-04-18 東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Lngから複数種の炭化水素を分離回収するための装置
US11473837B2 (en) 2018-08-31 2022-10-18 Uop Llc Gas subcooled process conversion to recycle split vapor for recovery of ethane and propane
EP3894047A4 (en) * 2018-12-13 2022-09-14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GRATED REMOVAL OF HEAVY HYDROCARBONS AND BTEX IN LNG LIQUEFACTION FOR LEAN GASES
JP7246285B2 (ja) * 2019-08-28 2023-03-27 東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リーンlngの処理方法及び装置
GB2596297A (en) 2020-06-22 2021-12-29 Equinor Us Operations Llc Hydrocarbon gas recovery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3310A (en) * 1948-07-12 1952-07-15 Phillips Petroleum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hydrocarbon gases
US2880592A (en) * 1955-11-10 1959-04-07 Phillips Petroleum Co Demethanization of cracked gases
NL240371A (ko) * 1958-06-23
US3292380A (en) * 1964-04-28 1966-12-20 Coastal States Gas Producing C Method and equipment for treating hydrocarbon gases for pressure reduction and condensate recovery
FR1535846A (fr) * 1966-08-05 1968-08-09 Shell Int Research Procédé pour la séparation de mélanges de méthane liquéfié
US3763658A (en) * 1970-01-12 1973-10-09 Air Prod & Chem Combined cascade and multicomponent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US4033735A (en) * 1971-01-14 1977-07-05 J. F. Pritchard And Company Single mixed refrigerant, closed loop process for liquefying natural gas
US3724226A (en) * 1971-04-20 1973-04-03 Gulf Research Development Co Lng expander cycle process employing integrated cryogenic purification
US3837172A (en) * 1972-06-19 1974-09-24 Synergistic Services Inc Processing liquefied natural gas to deliver methane-enriched gas at high pressure
GB1475475A (en) * 1974-10-22 1977-06-01 Ortloff Corp Process for removing condensable fractions from hydrocarbon- containing gases
US4065278A (en) 1976-04-02 1977-12-2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liquefied methane
US4171964A (en) * 1976-06-21 1979-10-23 The Ortloff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140504A (en) * 1976-08-09 1979-02-20 The Ortloff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157904A (en) * 1976-08-09 1979-06-12 The Ortloff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251249A (en) * 1977-01-19 1981-02-17 The Randall Corporation Low temperature process for separating propane and heavier hydrocarbons from a natural gas stream
US4185978A (en) * 1977-03-01 1980-01-29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Method for cryogenic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from hydrocarbons
US4278457A (en) * 1977-07-14 1981-07-14 Ortloff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FR2458525A1 (fr) * 1979-06-06 1981-01-02 Technip Cie Procede perfectionne de fabrication de l'ethylene et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thylene comportant application de ce procede
US4404008A (en) * 1982-02-18 1983-09-1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ombined cascade and multicomponent refrigeration method with refrigerant intercooling
US4430103A (en) * 1982-02-24 1984-02-07 Phillips Petroleum Company Cryogenic recovery of LPG from natural gas
US4738699A (en) * 1982-03-10 1988-04-19 Flexivol, Inc. Process for recovering ethane, propane and heavier hydrocarbons from a natural gas stream
US4445917A (en) * 1982-05-10 1984-05-01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ocess for liquefied natural gas
US4445916A (en) * 1982-08-30 1984-05-01 Newton Charles L Process for liquefying methane
US4453958A (en) * 1982-11-24 1984-06-12 Gulsby Engineering, Inc. Greater design capacity-hydrocarbon gas separation process
DE3416519A1 (de) 1983-05-20 1984-11-22 Linde Ag, 6200 Wiesbad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erlegung eines gasgemisches
CA1235650A (en) * 1983-09-13 1988-04-26 Paul Kumman Parallel stream heat exchange for separation of ethane and higher hydrocarbons from a natural or refinery gas
USRE33408E (en) 1983-09-29 1990-10-30 Exxon Production Research Company Process for LPG recovery
US4545795A (en) * 1983-10-25 1985-10-0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ual mixed refrigerant natural gas liquefaction
US4525185A (en) * 1983-10-25 1985-06-2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ual mixed refrigerant natural gas liquefaction with staged compression
US4519824A (en) * 1983-11-07 1985-05-28 The Randall Corporation Hydrocarbon gas separation
DE3414749A1 (de) * 1984-04-18 1985-10-31 Linde Ag, 6200 Wiesbaden Verfahren zur abtrennung hoeherer kohlenwasserstoffe aus einem kohlenwasserstoffhaltigen rohgas
US4657571A (en) * 1984-06-29 1987-04-14 Snamprogetti S.P.A. Process for the recovery of heavy constituents from hydrocarbon gaseous mixtures
FR2571129B1 (fr) * 1984-09-28 1988-01-29 Technip Cie Procede et installation de fractionnement cryogenique de charges gazeuses
DE3441307A1 (de) * 1984-11-12 1986-05-15 Linde Ag, 6200 Wiesbaden Verfahren zur abtrennung einer c(pfeil abwaerts)2(pfeil abwaerts)(pfeil abwaerts)+(pfeil abwaerts)-kohlenwasserstoff-fraktion aus erdgas
US4617039A (en) * 1984-11-19 1986-10-14 Pro-Quip Corporation Separating hydrocarbon gases
FR2578637B1 (fr) * 1985-03-05 1987-06-26 Technip Cie Procede de fractionnement de charges gazeuses et installation pour l'execution de ce procede
US4596588A (en) * 1985-04-12 1986-06-24 Gulsby Engineering Inc. Selected methods of reflux-hydrocarbon gas separation process
DE3528071A1 (de) * 1985-08-05 1987-02-05 Linde Ag Verfahren zur zerlegung eines kohlenwasserstoffgemisches
DE3531307A1 (de) * 1985-09-02 1987-03-05 Linde Ag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c(pfeil abwaerts)2(pfeil abwaerts)(pfeil abwaerts)+(pfeil abwaerts)-kohlenwasserstoffen aus erdgas
US4687499A (en) * 1986-04-01 1987-08-18 Mcdermott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separating hydrocarbon gas constituents
US4698081A (en) * 1986-04-01 1987-10-06 Mcdermott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separating hydrocarbon gas constituents utilizing a fractionator
US4707170A (en) * 1986-07-23 1987-11-1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taged multicomponent refrigerant cycle for a process for recovery of C+ hydrocarbons
US4720294A (en) * 1986-08-05 1988-01-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ephlegmator process for carbon dioxide-hydrocarbon distillation
US4711651A (en) 1986-12-19 1987-12-08 The M. W. Kellogg Company Process for separation of hydrocarbon gases
US4710214A (en) 1986-12-19 1987-12-01 The M. W. Kellogg Company Process for separation of hydrocarbon gases
US4752312A (en) * 1987-01-30 1988-06-21 The Randall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to recover propane and heavier hydrocarbons
US4755200A (en) * 1987-02-27 1988-07-0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Feed gas drier precooling in mixed refrigerant natural gas liquefaction processes
US4869740A (en) * 1988-05-17 1989-09-2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854955A (en) * 1988-05-17 1989-08-08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851020A (en) * 1988-11-21 1989-07-25 Mcdermott International, Inc. Ethane recovery system
US4889545A (en) 1988-11-21 1989-12-2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895584A (en) * 1989-01-12 1990-01-23 Pro-Quip Corporation Process for C2 recovery
US4970867A (en) * 1989-08-21 1990-11-2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Liquefaction of natural gas using process-loaded expanders
US5114451A (en) * 1990-03-12 1992-05-19 Elcor Corporation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ing
FR2681859B1 (fr) * 1991-09-30 1994-02-11 Technip Cie Fse Etudes Const Procede de liquefaction de gaz naturel.
JPH06299174A (ja) * 1992-07-24 1994-10-25 Chiyoda Corp 天然ガス液化プロセスに於けるプロパン系冷媒を用いた冷却装置
JPH06159928A (ja) * 1992-11-20 1994-06-07 Chiyoda Corp 天然ガス液化方法
US5275005A (en) * 1992-12-01 1994-01-04 Elcor Corporation Gas processing
US5325673A (en) * 1993-02-23 1994-07-05 The M. W. Kellogg Company Natural gas liquefaction pretreatment process
FR2714722B1 (fr) * 1993-12-30 1997-11-21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édé et appareil de liquéfaction d'un gaz naturel.
US5615561A (en) * 1994-11-08 1997-04-01 Williams Field Services Company LNG production in cryogenic natural gas processing plants
US5568737A (en) * 1994-11-10 1996-10-29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555748A (en) * 1995-06-07 1996-09-17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566554A (en) * 1995-06-07 1996-10-22 Kti Fish, Inc. Hydrocarbon gas separation process
WO1996040604A1 (en) * 1995-06-07 1996-12-19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537827A (en) * 1995-06-07 1996-07-23 Low; William R. Method for liquefaction of natural gas
MY117899A (en) * 1995-06-23 2004-08-30 Shell Int Research Method of liquefying and treating a natural gas.
US5600969A (en) * 1995-12-18 1997-02-11 Phillips Petroleum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to produce a small scale LNG stream from an existing NGL expander plant demethanizer
US5755115A (en) * 1996-01-30 1998-05-26 Manley; David B. Close-coupling of interreboiling to recovered heat
WO1997032172A1 (en) * 1996-02-29 1997-09-0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Reducing the amount of components having low boiling points in liquefied natural gas
US5737940A (en) * 1996-06-07 1998-04-14 Yao; Jame Aromatics and/or heavies removal from a methane-based feed by condensation and stripping
US5669234A (en) * 1996-07-16 1997-09-23 Phillips Petroleum Company Efficiency improvement of open-cycle cascaded refrigeration process
US5799507A (en) * 1996-10-25 1998-09-01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755114A (en) * 1997-01-06 1998-05-26 Abb Randall Corporation Use of a turboexpander cycle in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
JPH10204455A (ja) * 1997-01-27 1998-08-04 Chiyoda Corp 天然ガス液化方法
US5983664A (en) * 1997-04-09 1999-11-1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890378A (en) * 1997-04-21 1999-04-0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881569A (en) * 1997-05-07 1999-03-1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TW366411B (en) * 1997-06-20 1999-08-11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Improved process for liquefaction of natural gas
TW366410B (en) * 1997-06-20 1999-08-11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Improved cascade refrigeration process for liquefaction of natural gas
DZ2533A1 (fr) * 1997-06-20 2003-03-08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Procédé perfectionné de réfrigération à constituants pour la liquéfaction de gaz naturel.
ID24280A (id) * 1997-07-01 2000-07-13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Proses untuk memisahkan aliran gas multi-komponen yang mengandung paling tidak satu komponen yang dapat membeku
EG22293A (en) * 1997-12-12 2002-12-31 Shell Int Research Process ofliquefying a gaseous methane-rich feed to obtain liquefied natural gas
US6182469B1 (en) * 1998-12-01 2001-02-0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6116050A (en) * 1998-12-04 2000-09-12 Ipsi Llc Propane recovery methods
US6119479A (en) * 1998-12-09 2000-09-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ual mixed refrigerant cycle for gas liquefaction
MY117548A (en) * 1998-12-18 2004-07-31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Dual multi-component refrigeration cycles for liquefaction of natural gas
US6125653A (en) * 1999-04-26 2000-10-03 Texaco Inc. LNG with ethane enrichment and reinjection gas as refrigerant
US6336344B1 (en) * 1999-05-26 2002-01-08 Chart, Inc. Dephlegmator process with liquid additive
US6324867B1 (en) 1999-06-15 2001-12-04 Exxonmobil Oil Corporation Process and system for liquefying natural gas
US6347532B1 (en) * 1999-10-12 2002-02-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Gas liquefaction process with partial condensation of mixed refrigerant at intermediate temperatures
US6308531B1 (en) * 1999-10-12 2001-10-3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Hybrid cycle for the produc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GB0000327D0 (en) * 2000-01-07 2000-03-01 Costain Oil Gas & Process Limi Hydrocarbon separation process and apparatus
US6401486B1 (en) * 2000-05-18 2002-06-11 Rong-Jwyn Lee Enhanced NGL recovery utilizing refrigeration and reflux from LNG plants
US6367286B1 (en) * 2000-11-01 2002-04-09 Black & Veatch Pritchard, Inc. System and process for liquefying high pressure natural gas
US6526777B1 (en) * 2001-04-20 2003-03-04 Elcor Corporation LNG production in cryogenic natural gas processing plants
US6742358B2 (en) * 2001-06-08 2004-06-01 Elkcorp Natural gas liquefaction
US7069743B2 (en) * 2002-02-20 2006-07-04 Eric Prim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y of C2+ hydrocarbons contained in liquefied natural gas
US6941771B2 (en) * 2002-04-03 2005-09-13 Howe-Baker Engineers, Ltd. Liquid natural gas processing
US6945075B2 (en) * 2002-10-23 2005-09-20 Elkcorp Natural gas liquefaction
AU2003258212B2 (en) * 2003-06-05 2009-03-19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Liquefied natural gas regasification configuration and method
US6907752B2 (en) * 2003-07-07 2005-06-21 Howe-Baker Engineers, Ltd. Cryogenic liquid natural gas recovery process
US6986266B2 (en) * 2003-09-22 2006-01-17 Cryogenic Group,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LNG enriching in methane
US7155931B2 (en) * 2003-09-30 2007-01-02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ing
US7278281B2 (en) * 2003-11-13 2007-10-09 Foster Wheeler Us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2 and C3 at LNG receiving termin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72B1 (ko) * 2011-12-19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별증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별증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66820C (en) 2009-08-11
US20060000234A1 (en) 2006-01-05
US7216507B2 (en) 2007-05-15
NZ549467A (en) 2010-09-30
JP2008505208A (ja) 2008-02-21
JP4447639B2 (ja) 2010-04-07
EP1771694A1 (en) 2007-04-11
KR101200611B1 (ko) 2012-11-12
CA2566820A1 (en) 2006-11-09
WO2006118583A1 (en) 2006-11-09
BRPI0512744A (pt) 2008-04-08
AR051544A1 (es) 2007-01-24
ES2284429T1 (es) 2007-11-16
DE05856782T1 (de)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611B1 (ko) 액화 천연 가스 처리
CA2515999C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8919148B2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8590340B2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AU2010295869B2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WO2010144186A1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CA2764630C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AU2011233579B2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1643604B2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AU2011233590B2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