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133A - 현상제통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통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133A
KR20070027133A KR1020050079552A KR20050079552A KR20070027133A KR 20070027133 A KR20070027133 A KR 20070027133A KR 1020050079552 A KR1020050079552 A KR 1020050079552A KR 20050079552 A KR20050079552 A KR 20050079552A KR 20070027133 A KR20070027133 A KR 20070027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hutter member
toner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7133A/ko
Publication of KR20070027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Abstract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며, 외주벽에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구가 마련된 원통형의 통 본체; 통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현상제 배출구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셔터부재; 및 셔터부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셔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통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통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현상제통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A developer bottl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제 통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현상제 통의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현상제 통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화상형성장치 본체 20..현상 카트리지
21..현상카트리지 본체 22..상담지체
23..현상롤러 24..교반기
30..전사롤러 40..현상제 통
110..통 본체 120..셔터부재
130..회전샤프트 133..이송부재
140..동력전달유닛
본 발명은 현상제 통과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른 화상신호를 인쇄매체인 용지에 가시화상의 형태로 옮겨서 인쇄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장치, 레이저 스캐닝장치, 정착장치 등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장치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 내에 설치되며 가시화상이 현상되는 감광드럼과 같은 상담지체와, 그 상담지체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옮겨주는 현상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상담지체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장치에서 주사되는 광에 의해 그 표면에 가시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롤러는 카트리지 본체로 공급된 현상제(이하 토너라 한다)를 상기 정전잠상 영역으로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현상장치는, 감광드럼의 인쇄매수에 따라서 그 수명이 다하며, 수명이 다한 감광드럼은 카트리지본체와 함께 새것으로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카트리지 본체 내에는 감광드럼의 수명에 대응되는 적정 토너량이 저장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상기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등과 같은 부품의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서, 더 많은 토너의 공급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긴 수명을 가지는 현상 카트리지 본체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한 뒤, 토너만을 수용한 현상제 통을 이용하여 현상 카트리지로 토너를 공급할 수 있는 토너 공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제 통은 통상적으로, 토너가 수용되어 있는 원통형의 통 본체와, 통 본체 내에 설치되는 교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 본체의 외주면 상에 현상제 배출구를 마련하고, 그 현상제 배출구에는 제거 가능한 필름이나, 셔터를 마련한 구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필름에 의해 현상제 배출구가 막힌 구성의 경우에는, 현상제 통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필름을 제거하여 현상제 배출구를 개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현상제 통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면, 현상제 배출구는 현상 카트리지의 현상제 유입구에 연결된다. 따라서, 현상제 통의 교반기가 회전함에 따라서, 그 교반기에 의해서 현상제 통의 토너가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현상제 통을 이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현상제 통의 현상제 배출구가 항상 열린 상태이므로. 현상제 통의 토너는 교반기의 회전에 따라서 계속해서 토너 유입구 쪽으로 밀려가게 된다. 하지만, 현상 카트리 내의 토너가 미쳐 소모되지 못할 경우, 현상제 유입구 쪽에서 토너가 가압 및 압착되어 토너 덩어리가 발생하게 된다. 심할 경우, 현상제 유입구가 뭉쳐지고 다져진 토너 덩어리에 의해서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현상제를 간 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현상제 통과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통은,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며, 외주벽에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구가 마련된 원통형의 통 본체; 상기 통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셔터부재; 및 상기 셔터부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통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통 본체 내주에 밀착 회전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슬릿부를 가지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회전 중심 상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샤프트가 결합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와 상기 원통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 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에는 토너를 교반시키고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날개가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담지체가 장착되며 현상제 유입구를 가지는 현상카트리지;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도록 상기 상담지체에 접촉회전되는 전사롤러;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며, 장착시 상기 현상제 유입구에 대응되는 현상제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간헐적으로 개방시켜서 현상제를 간헐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통;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통은,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며, 외주벽에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구가 마련된 원통형의 통 본체; 상기 통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셔터부재; 및 상기 셔터부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통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통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현상 카트리지(20)와, 현상 카트리지(20)의 상담지체(22)에 접촉회전 되게 설치되는 전사롤러(30)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20)로 현상제(이하 토너라 함)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통(4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담지체(22)와 전사롤러(30) 사이로 인쇄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부(11)와, 레이저 스캐닝유닛(13)과, 정착유닛(15) 등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스캐닝유닛(13)은 상기 상담지체(22)로 원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도록 광을 주사한다.
상기 정착유닛(15)은 상담지체(22)와 전사롤러(30)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고온, 고압으로 정착하여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킨다. 상기 레이저 스캐닝유닛(13)과 정착유닛(15)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사롤러(30)는 상담지체(22)와 접촉 회전되면서, 그들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상담지체(22)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되도록 한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20)는, 카트리지 본체(21), 본체(21) 내에 설치되는 상담지체(22), 현상롤러(23), 교반기(24), 토너 이송부재(25), 크리닝 블레이드(26) 및 대전롤러(27)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1)는 상담지체(22)를 사이에 두고 제1챔버(21a)와 제2챔버(21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챔버(21a)에는 새토너가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 제1챔버(21a)에는 상기 현상롤러(23), 교반기(24) 및 토너 이송부재(25)가 차례로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챔버(21a)로 새토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현상제 유입구(21c)가 마련된다. 이 현상제 유입구(21c)에 인접하여 상기 토너 이송부재(25)가 설치된다. 상기 교반기(24)는 회전되면서 제1챔버(21a)로 유입된 토너를 교반시킨다. 현상롤러(23)는 토너를 상담지체(22)로 공급함으로써, 상담지체(22)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을 현상시킨다.
상기 제2챔버(21b)에는 크리닝블레이드(26)와 대전롤러(2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크리닝블레이드(26)는 상담지체(22)에서 인쇄매체로 전사되고 남은 잔류 토너를 크리닝하기 위한 것으로, 상담지체(22)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2챔버(21b)는 폐토너실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챔버(21b)에 수거된 폐토너는 소정의 폐토너 통(미도시)으로 미도시된 폐토너 이송수단에 의해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대전롤러(27)는 크리닝된 상담지체(22)의 표면을 일정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현상 카트리지(20)는 일반적인 레이저 프린터에 채용되는 현상 카트리지의 기술구성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 및 동작을 갖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현상제 통(40)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20)로 토너를 간헐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 현상제 통(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배출구(112)를 가지는 통 본체(110)와, 통 본체(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배출구(112)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셔터부재(120) 및 회전샤프트(130)를 구비한다.
상기 통 본체(110)는 내부에 토너가 수용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진다. 이 통 본체(110)는 원통 즉, 파이프 형의 외주벽(111)과, 외주벽(111)의 양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측벽부(113)(115)를 가진다. 상기 외주벽(111)에는 통 본체(110) 내에 수용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현상제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현상제 배출구(112)는 상기 현상제 유입구(21c)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토너 이송경로를 이룬다. 이 현상제 배출구(112)는 평소에는 필름에 의해서 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현상제 배출구(112)는 필름 대신에 별도의 커버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있다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통 본체(110)를 장착시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간섭되어 커버가 열리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측벽부(113,115)는 외주벽(111)의 양단 각각에 결합되어, 외주벽(111)의 양단을 밀폐시킨다. 이러한 제1 및 제2측벽부(113)(115)는 외주벽(111)의 양단에 압입결합되거나, 본딩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한쪽 측벽부(115)에는 구동기어(117)가 마련된다. 이 구동기어(117)는 후술할 동력전달유닛(140)을 통해서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구동기어(117)는 상기 회전샤프트(130)가 연결된다.
상기 셔터부재(120)는 구체적으로는, 소정 폭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서, 통 본체(110)의 내주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셔터부재(120)는 회전시 상기 토너 배출구(112)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슬릿(121)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슬릿(121)은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셔터부재(12)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슬릿(121)을 가지는 원통부(122)와, 원통부(122)의 회전 중심 상에 마련되는 축부(124) 및 리브(126)을 가진다.
상기 원통부(122)는 통 본체(1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진다. 상기 슬릿(121)은 바람직하게는 일정 간격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현상제 배출구(112)와 마주할 때, 그 현상제 배출구(112)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축부(124)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130)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축부 (124)에는 회전샤프트(130)가 결합되는 비원형의 축공이 형성된다. 상기 리브(126)는 축부(124)와 원통부(122)를 연결하도록 복수가 마련된다. 즉, 리브(126)의 일단은 축부(124)의 외주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부(122)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126)의 소정 부분에서는 상기 슬릿(121)에 의해서 원통부(122)의 단절된 부분을 연결하는 보조 리브(127)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리브(127)은 슬릿(12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원통부(122)의 단부와 리브(126)를 연결하도록 셔터부재(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셔터부재(120)는 대략 휠(wheel)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원통부(122)와, 축부(124) 및 리브(126)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셔터부재(120)의 폭은 상기 현상제 배출구(112)보다는 더 크기 때문에, 슬릿(121)이 현상제 배출구(112)와 마주하지 않을 때에는, 현상제 배출구(112)가 개방될 수 없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샤프트(130)는 양단인 상기 제1 및 제2측벽부(113,115)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샤프트(130)는 셔터부재(120)의 축부(124)에 결합되어 셔터부재(120)와 함께 회전된다. 즉, 회전샤프트(130)의 일단은 상기 구동기어(117)에 연결되며, 구동기어(117)가 외력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게 되며, 회전샤프트(130)와 셔터부재(120)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의 셔터부재(120)에 의하면, 셔터부재(120)의 회전시 슬릿들(121)이 간헐적으로 현상제 배출구(112)와 마주함으로써, 현상제 배출구(112)를 통해서 통 본체(110) 내의 토너가 현상 카트리지(20)로 간헐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셔터부재(120)와 통 본체(110)의 내주면 사이로 토너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125)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 실링부재(125)는 예를 들어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서, 접착제에 의해서 셔터부재(120)의 외주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재(120)와 통 본체(110) 내주 사이로 토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슬릿(121)을 통해서만 토너 배출구(112)로 토너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셔터부재(120)는 탄성을 가지는 얇은 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130)에는 통 본체(110) 내의 토너를 교반시키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112)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재(133)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부재(133)는 회전 샤프트(130)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오거일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회전샤프트(130)는 구동기어(117)와 함께 회전시, 통 본체(110) 내의 토너를 교반시켜서 현상제 배출구(112) 쪽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토너는 현상제 배출구(112)를 간헐적으로 개방시켜서 현상 카트리지(2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샤프트(130) 즉, 상기 구동기어(117)는 외부의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일 예로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20)로부터 동력전달유닛(14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동력전달유닛(140)은 현상 카트리지(20)의 교반기(24)에 동축적으로 연결된 교반기어(24a)와 상기 구동기어(117)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기어들(141,142,143,144,14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교반기(24)의 동력을 현상제 통(40)으로 전달하는 구성 이외에, 상담지체(22), 현상롤러(23)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동력을 현상제 통(40)으 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현상 카트리지(20)의 구동원과는 별도로 구동제어되는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직접 전달받아서 상기 회전샤프트(13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통(40)은 현상제 배출구(11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장착한다. 그러면, 현상제 배출구(112)와 현상제 유입구(21c)가 서로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유닛(140)에 의해서 상기 구동기어(117)은 교반기(24)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가 구동되어 인쇄가 시작되면, 현상롤러(23)에서 상담지체(22)로 토너를 공급하여 화상을 현상한다. 그러면, 현상 카트리지(20) 내부의 토너가 소모된다.
이때, 교반기(24)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샤프트(130)는 소정 속도로 회전된다. 회전샤프트(130)가 회전됨에 따라서 셔터부재(120)도 함께 회전된다. 그러면, 셔터부재(1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셔터부재(120)의 슬릿(121)이 현상제 통(40)의 현상제 배출구(112)와 마주하게 됨으로써, 현상제 통(40) 내부의 토너가 현상제 배출구(112)를 통해서 현상카트리지(20)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셔터부재(120)가 더 회전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배출구(112)는 셔터부재(120)에 의해서 폐쇄된다. 즉, 셔터부재(120)가 1회전 할 때마다, 현상제 배출구(112)는 상기 슬릿(121)의 수만큼 간헐적으로 개방되어 토너를 현상제 유입구(21c)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130)에 마련된 이송부재(133)는 통 본체(110) 내의 토너를 현상제 배출구(112) 쪽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시킴으로서, 토너를 현상 카트리지(20)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현상제 배출구(112)가 간헐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현상 카트지리(20)에서 소모되는 토너량에 맞춰 토너를 적절히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0)의 현상제 유입구(21c)에서 토너가 눌리거나 적체되어 토너 통로가 막히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토너를 현상제 통(40)에서 현상 카트리지(20)로 공급할 때, 토너의 공급량은 회전샤프트(130)의 회전속도, 현상제 배출구(112)의 크기 및 개수, 슬릿(121)의 개수 및 크기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130)를 별도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현상카트리지(20)와는 독립적으로 구동제어할 경우, 현상카트리지(20)에 남은 토너량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회전샤프트(130)를 구동시켜서 토너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셔터부재(130)가 정해진 위치에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셔터부재(13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101)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본체(110)의 내주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01)는 셔터부재(120)의 양측 테두리를 접촉지지하여 셔터부재(130)의 회전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현상제 배출구(112)가 셔터부재(120)에 의해서 간헐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통 및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현상제 통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더라도, 현상제 배출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간헐적으로 개방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현상제 통의 토너가 현상 카트리지로 간헐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로 토너가 과다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의 현상제 유입구를 포함하는 토너 이송경로가 과다하게 공급되는 토너로 인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의 고장이나 오동작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며, 외주벽에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구가 마련된 원통형의 통 본체;
    상기 통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셔터부재; 및
    상기 셔터부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통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통 본체 내주에 밀착 회전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슬릿부를 가지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회전 중심 상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샤프트가 결합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와 상기 원통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 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에는 토너를 교반시키고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날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통.
  5. 화상형성장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담지체가 장착되며 현상제 유입구를 가지는 현상카트리지;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도록 상기 상담지체에 접촉회전되는 전사롤러;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며, 장착시 상기 현상제 유입구에 대응되는 현상제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간헐적으로 개방시켜서 현상제를 간헐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통;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통은,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며, 외주벽에 적어도 하나의 토너 배출구가 마련된 원통형의 통 본체;
    상기 통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셔터부재; 및
    상기 셔터부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통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79552A 2005-08-29 2005-08-29 현상제통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20070027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552A KR20070027133A (ko) 2005-08-29 2005-08-29 현상제통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552A KR20070027133A (ko) 2005-08-29 2005-08-29 현상제통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133A true KR20070027133A (ko) 2007-03-09

Family

ID=3810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552A KR20070027133A (ko) 2005-08-29 2005-08-29 현상제통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71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1892A (ja) * 2016-08-24 2018-03-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容器、粉体入り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00053552A (ko) * 2017-09-21 2020-05-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1892A (ja) * 2016-08-24 2018-03-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容器、粉体入り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00053552A (ko) * 2017-09-21 2020-05-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US11092926B2 (en) 2017-09-21 2021-08-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US11099519B2 (en) 2017-09-21 2021-08-2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KR20220019076A (ko) * 2017-09-21 2022-02-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US11474474B2 (en) 2017-09-21 2022-10-1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KR20230154091A (ko) * 2017-09-21 2023-11-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보급 용기
US11934140B2 (en) 2017-09-21 2024-03-1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044B1 (ko) 현상제통과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N105974759B (zh) 显影剂容器、显影装置、处理单元和成像设备
US7272346B2 (en) Toner hold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840167B2 (en) Toner container including a gear which is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an exterior
EP2034370B1 (en)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cartridge
US10254680B2 (en) Powd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90387B1 (ko) 인쇄기용 잉크 리필장치
KR20100086752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628910B2 (en) Toner cartridg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27133A (ko) 현상제통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N109661619B (zh) 粉末容器,处理卡盒和图像形成设备
JP4756065B2 (ja) 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7209470B (zh) 显影剂容器以及具有该显影剂容器的图像形成装置
JP4181850B2 (ja)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7358814B2 (ja) トナーコンテナの着脱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154259A (ja) トナー容器と該トナー容器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520834B2 (ja)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2023174632A (ja) シャッタユニット、トナー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127794A (ja)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134642B2 (ja) 画像形成装置
CN116997865A (zh) 调色剂容器和图像形成装置
JP2018072721A (ja) トナー容器、及びトナー容器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4226899A (ja)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8072722A (ja) トナー容器、及びトナー容器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918685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