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860A -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 - Google Patents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860A
KR20070024860A KR1020050080421A KR20050080421A KR20070024860A KR 20070024860 A KR20070024860 A KR 20070024860A KR 1020050080421 A KR1020050080421 A KR 1020050080421A KR 20050080421 A KR20050080421 A KR 20050080421A KR 20070024860 A KR20070024860 A KR 20070024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air
filter layer
ventil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8327B1 (ko
Inventor
이용민
Original Assignee
이용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민 filed Critical 이용민
Priority to KR102005008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327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쉽게 정화할 수 있는 2중 팬을 갖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에 동일한 축으로 2중 팬을 부착시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모터의 저항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부공기의 강제배기와 외부공기의 자연흡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환기장치에서, 내부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강제배기장치는 하나의 모터 축에 동일방향으로 급송하는 송풍 팬을 모터의 양쪽(2중)으로 분리 부착시켜 모터의 저항을 줄이면서 실내공기를 강력하게 배출시기도록 기능하는 강제배기장치로 이루어지고, 자연흡기장치는 필터층을 갖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필터층과 향기발산 필터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실내로 음이온 및 원적외선, 은은한 천연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항상 쾌적하고 맑은 실내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2중 팬, 환풍장치, 환풍기, 통풍기

Description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A ventilation system which combined with double fans}
도 1은 벽의 일측에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를 설치하여 구현한 것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공기흡입장치를 벽의 일측에 부착하여 구현한 것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환풍기와 본원의 환풍장치의 공기흐름 비교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환풍장치 11: 케이스
12: 모터(Motor) 13: 모터축
14: 내측 팬(Inner Fan) 15: 외측 팬(Outer fan)
16: 셔터(Shutter) 17: 도어(Door)
18: 변속기어(GearBox) 20: 벽
30: 공기흡입장치 31: 케이스
32: 메쉬망 33: 제1기능성 필터층
34: 제2기능성 필터층
본 발명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쉽게 정화할 수 있는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에 동일한 축으로 2중 팬을 부착시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모터의 저항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2개의 팬을 동일한 팬으로 하지 아니하고 각각의 팬의 속도, 크기, 날개의 각 또는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환기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가정집이나 아파트, 학교, 사무실 등의 소규모 집회 장소 뿐 아니라 극장, 지하철역, 아파트형 공장 등의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다중 집합시설에서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과 근무조건이 요구되고 있으며, 도시의 심각한 대기오염과 실내의 공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실내공간의 실내부하 특성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채택과 환기 기구의 선정으로 열 쾌적도와 공기 청정도를 만족시키고, 동시에 에너지를 절감하며,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데 그 특징이 있는 환기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실내의 공기 상태를 인간이 활동하기 좋은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방뿐 아니라 난방, 환기, 공기의 정화, 습도의 조절 등 공기에 관련된 모든 것이 포함되며, 단순히 인간의 활동뿐 아니라 제품의 생산, 품질, 연구 및 의료 활동 등 광범위하게 생명체의 삶에 밀접하게 연관지어진다고 할 수 있다.
환기는 보통 실내의 공기를 창 밖의 공기와 교환하는 뜻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더러워진 공기의 갱신(更新)과 열이나 습기 등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환기는 창문이나 환기통 등을 이용하는 자연환기와 송풍기나 환풍기를 사용하는 기계환기로 나누며, 자연환기에는 풍력을 이용한 풍력환기(風力換氣)와 실내외의 온도차를 이용한 중력환기(重力換氣)가 있다. 풍력환기는 바람이 있을 때에는 건물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창으로부터 외기가 들어와서 반대쪽 창으로 실내의 더러워진 공기를 배출하여 교환된다. 그러나 바람은 시시각각으로 그 강도와 풍향이 변하므로 풍력환기에 의하여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하기는 어렵다.
환풍장치에 의한 환기는 중력환기의 한 방법으로서, 실내의 온도가 외부보다 높을 때에는 그 속의 따뜻한 공기는 외부의 찬공기보다 가벼우므로 위쪽으로 흘러 환기가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건물 전체에서도 일어난다. 지붕에 가까운 개구부(開口部)에서는 밖으로, 지표(地表)에 가까운 개구부에서는 안으로, 건물 내부에서는 위쪽으로 공기의 흐름이 생기며 특히 고층건물에서는 이 현상이 뚜렷하나 이 흐름은 바람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으며, 또 건물 내외의 온도차도 수시로 변하므로 언제나 일정한 환기량을 기대할 수 없다.
보통 실내에서는 담배연기나 인간의 체취를 없애기 위하여 환기하지만, 충분한 자연환기를 기대할 수 없는 방에 대한 기계환기량은 실내 수용인원이 분명한 경우에는 1인당 1시간에 35 m3의 외기를 공급하며, 수용인원이 확실하지 않을 때에는 방의 용도별로, 예컨대 사무실에서는 바닥면적 1 m2당 1시간에 10 m3, 흡연실에서는 20 m3 이상의 외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기타 실내에 어떤 유해가스가 발생하였을 때 이것을 그 장소의 허용농도 이하로 내리도록 환기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게 된다.
공기 중 탄산가스 농도가 4~5% 이상일 때는 위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장소에는 탄산가스의 농도가 4~5% 이하라도 위험이 초래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난방 중인 실내에서는 일산화탄소에,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는 그 먼지의 농도에 주의하여 환기를 해야 하며 실내의 곰팡이(박테리아)의 제거는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 일 수 있다.
강제적으로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환기를 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환풍기를 이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실내건물에 장착된 환풍기는 일반적으로 팬이 1개 장착된 환풍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팬이 1개 장착된 환풍기를 이용할 경우 정화효율이 매우 미흡하며, 정화시키는 과정 중에 공기 저항에 의한 환풍기 전원에 부하가 크게 걸린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보통 환기 효율이 저하될 경우 창문이나 건축물의 벽면에 환풍기를 여러 개 장착시켜 이용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1-0008092와 2003-0083678에서는 본 발명과 유사하게 모터의 동일한 축에 2개의 팬을 이용함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제시한 한국공개특허의 각 발명은 모터의 동일한 축에 팬이 2개 장착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의 발명에서는 하나의 작은 환풍기 케이스 내에 1개의 팬은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흡입시키도록 기능하고, 또 다른 1개의 팬은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각각의 작용을 달리하도록 구성하고 있어 내부의 오염된 공기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하나의 작은 환풍기 구조 내에서 각각의 개별적인 흡기와 배기기능을 각각 수행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교환시키고자 하는 기술구성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적은 환풍기케이스 내부에 복잡한 흡입경로 내지는 방출 이동경로가 중첩되어 복잡하고 흡기나 배기 등의 과정 중에 많은 장애물들로 인하여 큰 공기저항이 발생하게 되므로 모터의 부하가 크게 걸리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은 물론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그 환기효과가 실내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환풍기 주위에만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 또한 여러 장애물들로 인해 공기저항이 크게 발생하게 됨에 따라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는 문제점 등을 갖는 것 이어서 조용한 사무실이나 학교 등의 다중 이용시설에서 그 사용이 불가한 것으로 인식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내부공기의 강제배기와 외부공기의 자연흡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기계식 환기장치에서, 내부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강제배기장치는 하나의 동일 모터 축에 동일방향으로 배기하는 송풍 팬을 2중으로 부착시켜 모터의 저항을 줄이면서 실내공기를 강력하게 배출시키도록 기능하는 강제배기장치를 제공하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연흡기장치는 강제배기장치로부터 먼 위치에, 또한 환기를 필요로 하는 장소(룸)에 신선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실내의 하단 위치에, 흡기필터층을 갖되, 흡기필터층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필터층과 향기발산 필터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실내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뿐 아니라, 실내에 은은한 천연향을 제공하는 자연흡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측의 팬과 실외측의 팬의 크기와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또는 각각 달리하거나, 팬의 날개의 각도 및 크기, 날개의 갯 수 등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2중 팬이 부착된 배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특히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흡입부에 공기정화 및 환기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인체에 유용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 은은한 천연향을 실내에 제공하여 쾌적한 주거환경 및 근무환경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쉽게 정화할 수 있는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에 동일한 축으로 2개의 팬을 모터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부착시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모터의 저항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풍장치 케이스 내부 단일 모터의 축 상에 2개의 팬을 설치하여 동축 방향으로 흡입 후 배기하는 과정 중에 밀폐된 공간의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모터의 저항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부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박스 형상이며, 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가 부착되고, 환기 시에는 모터의 운전과 동시에 조리개식 셔터가 개방되며, 운전정지 시 셔터가 닫혀 지고, 팬과 팬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배기경로의 배기 팬 바깥쪽 통로 상에 도어를 설치하되 도어의 한 지축의 경사는 수직으로부터 30~60 각도의 범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구조를 제공 한다.
본원에서 이용하는 팬의 크기와 날개 수는 외부케이스나 환기용량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며, 금속 내지는 플라스틱(고분자)류를 어느 쪽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음식점과 같이 수증기의 량이 많은 곳은 금속의 부식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류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이 공기의 질이 보편적으로 큰 문제를 초래하지 않을 경우 소음방지 및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경량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일반용, 욕실용, 천장용, 자동 개폐식용, 그릴용, 산업용, 농축산업용 어느 분야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모터 동일 축 상에 2중 팬이 부착된 본 발명의 환풍기의 실내 방향의 팬은 배출되는 실외 방향의 팬의 크기와 동일하든가 4/5 ~ 3/5 범위로 작은 것이 유리하며, 본 발명은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명확히 실내의 공기청정, 공기정화 및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다 탁월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흡입부에 설치되는 필터층을 통하여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 상기 필터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될 뿐만 아니라,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코팅되 는 필터층을 함유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필터층과 또한 실내에 은은한 천연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터부재에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천연식물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발산 필터층을 포함하는 환풍공기 필터층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시시예를 겸하여 제시하여 본원의 기술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벽(20)의 일측에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10)를 설치하여 구현한 것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10)는 박스 형태의 케이스(11) 내부에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2)를 축으로 하는 모터축(13)이 모터의 양 방향으로 뻗어 있고, 실내측으로는 내측 팬(14), 실외측으로는 외측 팬(15)이 각각 설치된다. 내측팬(14)의 날개는 실내측의 공기를 실외측으로 보내는 방향이며, 이때 변속기어(18)가 모터축(13)과 내측 팬(14) 사이에 달려 있어 내측 팬(14)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외측 팬(15)은 모터(12)와 셔터(16)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 팬(14)을 통하여 들어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모터(12)가 구동됨과 동시에 셔터(16)가 열리게 되며, 모터가 동작하지 않으면 셔터(16)가 닫혀지는 구조는 환풍기에서 흔히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새로운 설명이 필요 없다 하겠다.
도 2는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10)의 분해사시도이다. 케이스(11)는 내부에 모터(12), 모터축(13), 2개의 팬(14, 15), 셔터(16), 변속기어(18)를 내장하고 있으며, 또한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어(17)가 케이스(11)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내측 팬(14)과 외측 팬(15)은 같은 모터축을 이용하여 한개의 모터 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특히 내측 팬(14)과 모터축(13) 사이에 변속기어(18)가 달려있어 내측 팬(14)과 외측 팬(15)의 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내측 팬(14)은 외측 팬(15)과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나, 내측 팬(14)을 외측 팬(15)보다 4/5~ 3/5 범위로 크기를 갖게 하면 공기의 저항을 줄여 더욱 효율적으로 환기할 수 있으며, 또한 실내에서 환풍장치에 의한 소음도 줄일 수 있다. 도어(17)는 한 지축의 경사를 30~60도 각도로 하여 실외에서 비가 올 경우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도 당업계의 주지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공기흡입장치(30)를 벽(20)의 일측에 부착하여 구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공기흡입장치(30)는 실외 쪽으로 일차적으로 외부의 이물질, 먼지 등을 걸러주는 메쉬망(32)을 설치하고, 중간층에는 전기석 분말과 제오라이트와 다공성의 SiO2 무기액체 세라믹이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필터재료에 코팅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필터층(33)을 가지며, 실내 쪽으로 향기재를 함유한 향기발산 필터층(34)으로 구성한다.
상기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필터층은 전기석 분말과 제오라이트와 다공성의 SiO2 무기액체 세라믹을 일정성분 비율로 혼합하여 필터재료에 코팅시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될 뿐만 아니라,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갖는 필터층을 제공하게 된다.
전기석(Tourmaline)분말을 0.1㎛정도까지 미립자 화하면 결정 양단에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이 나타나게 되고 이것이 소위 영구전극이라 불리는 것으로 수용액 이나 기체 중에서 이온화(전기분해)하는 작용이 있어 사람을 비롯한 동식물의 세포에 흐르는 수십㎂와 거의 같은 레벨의 미약전류를 흘리는 작용을 하는바, 이들 작용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아도 영구적으로 계속되는데 여기에 온도변화나 진동 또는 흡입되는 바람 마찰을 주게 되면 평소의 두 배 이상의 전자를 발생하여 이것이 대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음 이온화을 발생시키게 되며, 특히 원적외선(육성광선 : 파장 4~14㎛)을 발생하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상기 원적외선은 갖가지 물질 속의 분자에 작용하여 분자와의 공명작용으로 분자를 활성화시키고 인체에도 유용한 세포활성 작용을 갖고 있다.
또한 제오라이트는 나트륨, 칼륨의 알칼리 금속과 칼슘 등의 알칼리토 금속을 함유하고 또한 결정수를 함유한 알루미늄의 규산염 광물이며 그 종류에는 매우 많으나 보편적으로 분포하는 것은 클리놉틸롤라이트와 모우더나이트의 2종류가 있다. 제오라이트의 결정수는 일반 구조수와는 달리 물분자로 존재하기 때문에 '불석수'라 하고 가열에 따라 탈수하여도 구조는 파괴되지 않고 물분자가 있던 곳은 그대로 짬으로 남아 있어 마치 스폰지와 같은 구조가 되고, 다시 그 짬에 수분이나 가스를 흡착하여 원상으로 복귀하는 특성이 있다. 천연적으로 암석이나 점토로 산출되는 제오라이트는 응회암이 변질된 것이어서 강력한 흡착, 흡습, 양이온 교환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오라이트는 항균 성능을 갖고 있는데 특히 대장균, 폐렴균, 화농균 등의 살균에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제오라이트는 강력한 탈취 성능도 갖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환풍공기 흡입구의 중간필터층을 통하여 실내의 공기로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될 뿐만 아니라, 항균 및 탈취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필터층에는 음이온을 영구적으로 발생시키는 전기석 분말과 제오라이트와 다공성의 SiO2 무기액체 세라믹을 3:3:4의 비율로 혼합하여 필터재료에 코팅시켜 제공하므로서 공기가 통과할 때 코팅한 부분에 바람의 흐름마찰력에 의한 진동을 줌으로서 마찰 작용에 의해 평소의 두배 이상의 음이온 발생 및 원적외선이 방출효과와, 제오라이트에 의한 강력한 항균 및 탈취 성능도 부여하게 된다.
필터재료의 모재로서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에 국한되지 않고 공기가 소통할 수 있는 미세한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임의의 재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원의 환풍공기 흡입구의 내부필터층을 형성하는 향기발산 필터층은 상기 필터재료에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등의 천연식물 향기재의 액체나 분말을 0.01~1% 정도를 필터부재에 첨가시켜 흡입구를 통하여 실내에 유입되는 공기를 통하여 후 각 적인 은은한 향기를 발신시켜 기분상승을 느낄 수 있는 향기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의 환풍공기 흡입필터는 실외 쪽으로 일차적으로 외부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메쉬망을 설치하고, 중간층에는 전기석 분말과 제오라이트와 다공성의 SiO2 무기액체 세라믹이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필터재료에 코팅되는 제1기능(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기능) 중간층을 가지며, 실내쪽으로 향기재를 함유한 제2기능(향 기발산기능)의 내부필터층을 갖는 구성을 이룰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기능과 제2기능이 통합되거나 또는 제1기능이나 제2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 환풍공기 흡입필터는 특별히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현장여건에 따라 사각프레임구조나 원형프레임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외부쪽으로는 외부공기 걸름 메쉬망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 쪽으로는 각각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필터층과 향기발산 필터층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는 종래 환풍기와 본원의 환풍장치의 공기흐름 비교도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환풍기는 환풍기케이스 내부에 복잡한 흡입경로 내지는 내부공기 방출 이동경로가 중첩되어 복잡한 내부구조 임에도 그 환기효과가 실내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환풍기 주위에만 영향을 미치는 공기 흐름구조를 나타내 보이고 있고(점선 내부로 표시되는 환풍기 및 공기흐름도 참조), 본원의 환기구조는 상부에서는 하나의 모터에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팬을 모터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부착시켜 강력하게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실내 저부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필터층을 갖는 공기흡입부가 설치되므로 하부의 가라앉은 오염공기를 상부로 끌어올려 이중환풍기로 배출시키게 되는 공기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 환풍기의 학교나 공장 등에서의 환기효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아래의 실험을 하고 그 결과를 얻었다.
<실시 예 1>
콘테이너 박스 상단에 본 발명의 환풍기를 설치하고 하단에는 5㎝ 정도의 흡입구를 만들고, 30%의 포름알데히드 표준시약 10 ml를 정확히 취하고 바닥에 균일하게 살포한 후 포름알데히드의 표준시약이 증발하도록 1시간 방치하고, 본 발명의 환풍기를 30분간 작동시켜 환기의 효율을 측정하였다. 환기 후 콘테이너 박스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환기가 되지 않은 포름알데히드를 포집한 후 아세틸아세톤법에 의해 포름알데히드의 량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효율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2>
콘테이너 박스 상단에 본 발명의 환풍기를 설치하고 하단에는 5㎝ 정도의 흡입구를 만들고, 모기향 1개를 완전히 소각시켜 향의 연기로 가득 채워주고, 본 발명의 환풍기를 30분간 작동시켜 환기의 효율을 측정하였다. 분석은 관찰자을 이용하여 관능법에 의해 수행을 하였다.
<비교 예 1>
모터에 1개의 팬을 장착시키고 하단에는 흡입구를 만들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 예 2>
모터에 1개의 팬을 장착시키고 하단에는 흡입구를 만들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 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 예 3>
콘테이너 박스 상단에 모터에 1개의 팬을 장착시킨 환풍기 2대를 수평으로 설치한 것 이외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 예 4>
콘테이너 박스 상단에 모터에 1개의 팬을 장착시킨 환풍기 2대를 수평으로 설치한 것 이외는 실시 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표 1)
시료명 포름알데히드(ppm) 분석방법 연기 분석방법
실시 예 1 0.45 KS K0611 (아세틸아세톤법) - 관능법
실시 예 2 - 우수
비교 예 1 6.78 -
비교 예 2 - 미흡
비교 예 3 2.46 -
비교 예 4 - 다소 미흡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터에 팬이 1개 장착된 팬을 사용한 것과 본 발명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환기의 효율이 매우 뛰어났으며, 특히 팬이 하나가 장착된 환풍기를 수평으로 2개를 설치한 것과 비교하여도 환경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나 모기향 연기의 환기 효율이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특정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다양하게 변형 및 개조되거나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며,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보호범위는 본원의 기술사상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균등론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한 환풍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때 모터의 저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환풍기의 유지기간이 늘릴 수 있으며, 환풍기의 소음을 줄일 뿐만 아니라 환기의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원의 자연흡기장치는 필터층을 갖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필터층과 향기발산 필터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실내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시킬 뿐 아니라, 실내에 은은한 천연향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내부공기의 강제배기와 외부공기의 자연흡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강제배기장치는 하나의 모터 축에 동일방향으로 급송하는 송풍 팬을 모터의 양쪽(2중)으로 분리 부착시켜 모터의 저항을 줄이면서 실내공기를 강력하게 배출시기도록 기능하는 강제배기장치로 이루어지고, 자연흡기장치는 필터층을 갖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필터층과 향기발산 필터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실내로 음이온 및 원적외선, 은은한 천연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기장치.
  2. 1항에 있어서,
    강제배기장치에 부착되는 2중 팬은 실내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팬이 실외 방향의 팬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내방향의 팬이 실외방향의 팬 보다 4/5 ~3/5 범위로 작은 크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기장치.
  3. 1항에 있어서,
    강제배기장치는 팬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조절기가 장착되며, 셔터 및 도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기장치.
  4. 1항에 있어서,
    자연흡기장치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필터층은 전기석 분말과 제오라이트와 다공성의 SiO2 무기액체 세라믹이 3 : 3 : 4 의 비율로 혼합하여 필터재료에 코팅시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기장치.
  5. 1항에 있어서,
    자연흡기장치의 향기발산 필터층은 필터부재에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꽃 향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천연식물 향기재를 0.01~1% 범위로 필터부재에 첨가시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팬이 부착된 환기장치.
KR1020050080421A 2005-08-31 2005-08-31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 KR10072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421A KR100728327B1 (ko) 2005-08-31 2005-08-31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421A KR100728327B1 (ko) 2005-08-31 2005-08-31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860A true KR20070024860A (ko) 2007-03-08
KR100728327B1 KR100728327B1 (ko) 2007-06-13

Family

ID=3809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421A KR100728327B1 (ko) 2005-08-31 2005-08-31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3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0098A (zh) * 2014-12-14 2016-08-24 陈先涛 安装在窗户上的流通空气净化系统装置
CN106066075A (zh) * 2015-04-24 2016-11-02 奥依列斯Eco株式会社 换气闸
CN106594901A (zh) * 2017-02-15 2017-04-26 东莞市绿康能电器科技有限公司 具有室内循环以及室内外换气的空气净化器及其控制系统
KR102181356B1 (ko) * 2019-08-08 2020-11-23 이영희 배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241B1 (ko) 2010-07-14 2012-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직형 작물재배시설
KR101365137B1 (ko) * 2012-11-28 2014-02-18 정향임 이동식 석조 흡연실
KR102287027B1 (ko) * 2019-09-27 2021-08-05 설철환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2988A (ja) * 1995-10-11 1997-05-02 Nagano Kensetsu Kk 浴室用同時給排換気扇
KR100359997B1 (ko) * 2000-03-07 2002-11-07 주식회사 크린에어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JP2002266791A (ja) 2001-03-13 2002-09-18 Mitsubishi Electric Corp 送風機
KR200355152Y1 (ko) 2004-04-13 2004-07-0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실내공기질 제어를 위한 창호 일체형 환기장치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0098A (zh) * 2014-12-14 2016-08-24 陈先涛 安装在窗户上的流通空气净化系统装置
CN106066075A (zh) * 2015-04-24 2016-11-02 奥依列斯Eco株式会社 换气闸
CN106594901A (zh) * 2017-02-15 2017-04-26 东莞市绿康能电器科技有限公司 具有室内循环以及室内外换气的空气净化器及其控制系统
KR102181356B1 (ko) * 2019-08-08 2020-11-23 이영희 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327B1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327B1 (ko)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
KR101578043B1 (ko) 오염 공기 살균 및 정화 부재가 구비된 천정 부착 복합 기능 선풍기
CN201144616Y (zh) 节能新风系统及具有该系统的节能窗或门
CN101377114A (zh) 具有双向保温换气及空气净化功能的节能窗或门
KR20100029789A (ko)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KR20110124909A (ko) 에너지 절약형 자연 환기 겸용 복합 기능 환기 장치
JP4533411B2 (ja) 空気調和機
KR101680887B1 (ko) 공기 청정기
CN204880362U (zh) 一种具有杀菌、消毒和净化空气的壁挂式空调器的室内机
KR101075498B1 (ko) 공기 청정기
JP3089239B1 (ja) 空間内の気体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01435B1 (ko) 환기겸용 바이오세라믹 공기청정기
KR100565775B1 (ko) 광촉매 필터유닛 및 이를 채용한 공기조화장치
KR20110115193A (ko) 복합 기능 축열식 환기 장치
JP2955263B2 (ja) 快適室内環境機能を備えた建物
CN1382496A (zh) 室内悬浮颗粒吸除消毒机
KR200218046Y1 (ko) 항균기능을 갖는 필터가 구비된 공조기
KR101380124B1 (ko) 공조용 공기 공급장치
CN203249342U (zh) 一种用于室内通风和净化的空气净化系统
KR20110067498A (ko)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차량용 공기조절장치
KR20010000790A (ko) 항균기능을 갖는 필터가 구비된 공조기와 무기항균제의제조방법
JP4492152B2 (ja) 換気設備
CN214969626U (zh) 一种杀菌消毒效果好的净味组件
JP2001279833A (ja) 空気環境改善壁構造
KR102369733B1 (ko) 열회수 환기장치 및 공기청정기의 연동 운전을 이용한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