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027B1 -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027B1
KR102287027B1 KR1020190119435A KR20190119435A KR102287027B1 KR 102287027 B1 KR102287027 B1 KR 102287027B1 KR 1020190119435 A KR1020190119435 A KR 1020190119435A KR 20190119435 A KR20190119435 A KR 20190119435A KR 102287027 B1 KR102287027 B1 KR 10228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uction
suction device
port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169A (ko
Inventor
설철환
Original Assignee
설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철환 filed Critical 설철환
Priority to KR102019011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027B1/ko
Priority to PCT/KR2020/010556 priority patent/WO2021060697A1/ko
Publication of KR2021003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3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는,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 상에 고정되는 제1 휀부; 및 상기 제1 휀부의 전방에 이격된 상기 배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에서 연장되는 연장축 상에 고정되는 제2 휀부;를 포함하며, 동일축선상에 배치되면서 회전되는 상기 제1, 2 휀부의 사이에 기압을 낮춰 흡입량을 향상시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전후 배치된 제1, 2 휀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제1, 2 휀부의 사이에 기압을 낮추면서 상하좌우 및 후방에 대한 주위의 공기를 빨아들임에 따라 배기 효율이 우수하며, 기존 흡입장치의 휀에 설치 가능하고, 제1 휀부가 설치된 본체부를 기존에 설치면에 설치된 제2 휀부의 제2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기존 제품에도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INHALATION APPARATUS WITH MULTIPLE FANS}
본 발명은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공기를 2중으로 배치된 휀을 통해 흡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입장치는 팬의 회전을 통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 후 외부로 배기시키는 장치로, 일반 가정, 사무실, 공장 및 기타 산업시설 등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입장치는 설치되는 장소나 용도에 따라 사용되는 규격이나 형상 등 그 성능 및 장치의 특성을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매우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작되어 이용되고 있다.
흡입장치의 구성 및 구조를 살펴보면, 바람을 일으키는 복수개의 날개로 구성된 팬과, 상기 팬을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팬 및 모터를 고정 지지하는 틀을 제공하면서 팬이 설치되어 회전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기구가 형성된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흡입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17-0004692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실질적으로 흡입장치 주위의 공기만 빨아들이므로 효율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004692호(2017.01.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는,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 상에 고정되는 제1 휀부; 및 상기 제1 휀부의 전방에 이격된 상기 배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에서 연장되는 연장축 상에 고정되는 제2 휀부;를 포함하며, 동일축선상에 배치되면서 회전되는 상기 제1, 2 휀부의 사이에 기압을 낮춰 흡입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가 형성된 단부가 설치면에 고정된 제2 휀부의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본체부;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 상에 고정되는 제1 휀부; 및 상기 본체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배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동일축선상에서 회전되는 상기 제1, 2 휀부의 사이에 기압을 낮춰 흡입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축은 상기 제1 휀부의 중심에 체결된 캡의 중심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가 상기 본체부의 상하좌우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자석 또는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전후 배치된 제1, 2 휀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제1, 2 휀부의 사이에 기압을 낮추면서 상하좌우 및 후방에 대한 주위의 공기를 빨아들임에 따라 흡입 효율이 우수하며, 기존 흡입장치의 휀에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휀부가 설치된 본체부를 기존에 설치면에 설치된 제2 휀부의 제2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기존 제품에도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에서 연장축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에서 연장축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100)는 본체부(110), 구동부(120), 제1 휀부(130) 및 제2 휀부(14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구동부(120), 제1 휀부(130) 및 제2 휀부(140)가 설치되는 육각면체의 변부마다 연결하는 프레임으로, 전후 및 상하좌우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체부(110)는 개구된 후방에 형성된 후방 흡입구에 제1 휀부(130)의 제1 하우징(132)이 설치되고, 개구된 전방에 형성된 배기구에 제2 휀부(140)의 제2 하우징(142)이 설치되고, 개구된 상부에 상부 흡입구(112)가 형성되고, 개구된 하부에 하부 흡입구(114)가 형성되며, 개구된 양측부에 측부 흡입구(116)가 각각 형성된다.
이렇게, 본체부(110)의 후방 흡입구에 설치된 제1 하우징(132)의 유입구(134), 상부 흡입구(112), 하부 흡입구(114) 및 측부 흡입구(116)를 통해 실내 공기가 각각 흡입되면서 배기구에 설치된 제2 하우징(142)의 전방 배기구(1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더욱이, 본체부(110)는 전방 배기구(114)측인 전면이 건물 등의 외벽면인 설치면에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 흡입구(112), 하부 흡입구(114) 및 측부 흡입구(116)에 선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개폐부가 각각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개폐량 조절이 가능하면서 공기의 흡입 방향을 안내 가능하다.
구동부(120)는 후방 흡입구에 설치된 제1 하우징(132)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제1 휀부(1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이다.
제1 휀부(130)는 구동부(120)의 구동축(122) 상에 고정되어 실내 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흡기도록 방사상의 날개가 설치된다.
제1 하우징(132)은 전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의 내부인 유입구(134)에 제1 휀부(130)가 위치된다.
이때, 제1 휀부(130)는 구동축(122)에 고정되면서 외주면에 방사상의 날개가 설치된 축 고정부(135)와, 축 고정부의 선단에 나선 체결되는 캡(136)을 포함한다.
한편, 날개는 축 고정부(135)에 고정되거나, 축 고정부(135)에 축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는 경우 유입구(134)를 밀폐시키지만 회전시 축을 기점으로 회전되면서 유입구(134)를 개방시키게 된다.
캡(136)은 제1 휀부(130)의 회전 방향과 반대인 반시계 방향으로 축 고정부(135)에 체결되며, 전면 중심에 제2 휀부(1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연장축(138)이 연장된다.
이렇게, 캡(136)은 일반적으로 흡입장치의 휀에 구비되므로 기존의 캡을 제거한 상태에서 체결하여 기존의 흡입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더욱이, 연장축(138)은 본체부(110)의 배기구에 설치된 제2 하우징(142)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중심에 구비된 베어링(142)에 의해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제2 휀부(140)는 제1 휀부(130)의 전방에 이격된 배기구에 설치되며, 연장축(138)에 고정되어 제1 휀부(130)와 함께 실내 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방사상의 날개가 설치된다.
여기서, 날개는 제1 휀부(130)의 날개처럼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휀부(130)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 휀부(140)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회전시 제1 휀부(130)와의 사이에서 기압이 낮아지면서 주위의 공기를 끌어당기게 되므로, 유입구(134) 뿐만 아니라 본체부(110)의 상부 흡입구(112), 하부 흡입구(114) 및 측부 흡입구(116) 이렇게 5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흡입량이 향상된다.
제2 하우징(142)은 후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의 내부인 유입구(134)에 제2 휀부(140)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100)는 전원 인가시 구동부(120)가 작동하면서 구동부(120)의 구동축(122) 상에 고정된 제1 휀부(130)가 회전 구동하고, 제1 휀부(130)의 회전에 의해 연장축(138)이 연동되면서 연장축(138)의 단부에 고정된 제2 휀부(140)가 회전 구동된다.
이때, 동시 회전되는 제1 휀부(130)와 제2 휀부(140)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그 사이에서 기압이 낮아지면서 주위의 공기를 끌어당기게 되므로, 유입구(134) 뿐만 아니라 본체부(110)의 상부 흡입구(112), 하부 흡입구(114) 및 측부 흡입구(116) 이렇게 5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흡입량이 향상된다.
또한, 기존의 흡입장치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흡입장치의 하우징을 본체부(110)의 후방 흡입구에 설치한 상태에서 휀에 고정된 캡을 분리한 후 연장축(138)이 설치된 캡(136)으로 교체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42)을 배기구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2 하우징(142)의 중심을 관통한 연장축(138)의 단부에 제2 휀부(140)를 고정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200)는 본체부(210), 구동부(220), 제1 휀부(230) 및 제2 휀부(240)를 포함하며, 본체부(210)와 제1 휀부(230) 및 제2 휀부(240)를 연결하는 연장축(238)의 구조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의 구조 및 기능은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부(210)는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방 본체부(210a)와 후방 본체부(210b)로 분할 형성된다.
즉, 전방 본체부(210a)의 후단이 후방 본체부(210b)의 선단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 본체부(210b)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이때, 후방 본체부(210b)의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후방 본체부(210b)의 상부에 제1 잠금부(211)가 구비된다.
제1 잠금부(211)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단부에 절곡 형성된 수직부로 이루어져 수직부가 후방 본체부(210b)의 상면 단부에 형성된 통과홀(2103)을 거쳐 수직부의 하단에 형성된 결속돌기(211a)가 전방 본체부(210a)의 후방 상면에 설정간격마다 다수 형성된 결속홈(2102) 중 어느 하나와 결속된다.
더욱이, 제1 잠금부(211)는 수평부의 도중이 힌지(H)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수직부의 반대측 단부와 후방 본체부(210b)의 사이에 탄성부(S2)가 구비되어 결속돌기(211a)가 항시 결속홈(210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체부(210)의 길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제1 잠금부(211)의 후단을 가압하면 결속돌기(211a)가 전방 본체부(210a)의 결속홈(2102)에서 이격되므로 후방 본체부(210b)의 길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후방 본체부(210b)의 길이가 결정되어 제1 잠금부(211)의 후단을 가압 해제시키면 탄성부(S2)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부(211)가 회전되면서 결속돌기(211a)가 전방 본체부(210a) 중 어느 하나의 결속홈(2102)에 결속되므로 후방 본체부(210b)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렇게, 본체부(210)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연장축(128)의 길이 역시 조절 가능하다. 이를 위해 연장축(128)을 제1 연장축(283a)과 제2 연장축(283b)으로 분할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한 제1 연장축(283a)의 선단과 제2 연장축(283b)의 후단에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제1 연장축(283a)과 제2 연장축(283b)의 나선돌기에 나선 체결되며, 내주면 양단의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홀을 형성한 회전부(2390)가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부(239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2390)의 양단에 나선 체결된 제1 연장축(283a)과 제2 연장축(283b)의 간격이 줄거나 넓어지면서 제2 연장축(283b)에 고정될 제2 휀부(240)의 전후 위치가 조절 가능하다.
더욱이, 제1 연장축(283a)과 제2 연장축(283b)에는 대향된 단부가 회전부(2390)에 나선 체결된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도록 회전부(2390)의 양단에 밀착 체결된 풀림방지부(2392)가 구비된다.
이때, 풀림방지부(2392)는 나선홀이 각각 형성된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제1 연장축(283a)의 나선돌기를 회전부(2390)의 후면에 각각 고정시키고, 제2 연장축(283b)의 나선돌기를 회전부(2390)의 전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풀림방지부(2392)의 내부에 홈(G)을 형성하고, 홈(G) 내에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2 잠금부(2394)가 구비되어 풀림방지부(2392)가 회전부(2390)의 전,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풀림방지부(2392)를 재차 잠그게 된다.
제2 잠금부(2394)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제1 연장축(283a)과 제2 연장축(283b)의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산형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풀림방지부(2392)의 홈(G)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힌지축에는 토션 스프링(S1)이 설치되되, 토션 스프링(S1)의 일단은 제2 잠금부(2394)에 지지되고, 타단은 홈(G) 내에 지지된다.
따라서, 풀림방지부(2392)가 회전부(2390)의 전후면에 밀착되면 제2 잠금부(2394)의 일단이 제1 연장축(283a)과 제2 연장축(283b)의 나사산에 각각 접촉한 상태이므로 풀림방지부(2392)의 풀림을 이중으로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212는 상부 흡입구이고, 214는 하부 흡입구이고, 216은 측부 흡입구이고, 222는 구동축이고, 232는 제1 하우징이고, 234는 유입구이고, 235는 축 고정부이고, 236은 캡이고, 242는 제2 하우징이고, 244는 전방 배기구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300)는 본체부(310), 구동부(320), 제1 휀부(330) 및 제2 휀부(340)를 포함하며, 제1 휀부(330)가 본체부(310)의 후방 흡입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부(310)의 전면에 자석 또는 볼트 등이 적용되는 연결부(318)가 설치되어 연결부(318)가 설치면에 설치된 제2 휀부(240)의 제2 하우징(344)에 부착되는 구조이다.
한편, 제2 휀부(340)는 앞선 제1, 2 실시예와 달리 제2 하우징(344)에 설치된 모터(M)에 의해 직접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제2 하우징(344)이 금속재인 경우 연결부(318)는 자석이 적용 가능하고, 제2 하우징(344)이 합성수지재인 경우 연결부(318)는 볼트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휀부(330)가 설치된 본체부(310)를 연결부(318)를 통해 기존에 설치면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하던 제2 휀부(340)의 제2 하우징(344)에 고정시켜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312는 상부 흡입구이고, 314는 하부 흡입구이고, 316은 측부 흡입구이고, 332는 제1 하우징이고, 334는 유입구이고, 344는 전방 배기구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110, 210, 310: 본체부
120, 220, 320: 구동부
130, 230m 330: 제1 휀부
140, 240, 340: 제2 휀부

Claims (5)

  1.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 상에 고정되는 제1 휀부; 및
    상기 제1 휀부의 전방에 이격된 상기 배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에서 연장되는 연장축 상에 고정되는 제2 휀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부의 상하좌우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형성되며,
    동일축선상에 배치되면서 회전되는 상기 제1, 2 휀부의 사이에 기압을 낮춰 흡입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2.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가 형성된 단부가 설치면에 고정된 제2 휀부의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본체부;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 상에 고정되는 제1 휀부; 및
    상기 본체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배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동일축선상에서 회전되는 상기 제1, 2 휀부의 사이에 기압을 낮춰 흡입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은 상기 제1 휀부의 중심에 체결된 캡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가 상기 본체부의 상하좌우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자석 또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KR1020190119435A 2019-09-27 2019-09-27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KR10228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435A KR102287027B1 (ko) 2019-09-27 2019-09-27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PCT/KR2020/010556 WO2021060697A1 (ko) 2019-09-27 2020-08-10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435A KR102287027B1 (ko) 2019-09-27 2019-09-27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169A KR20210037169A (ko) 2021-04-06
KR102287027B1 true KR102287027B1 (ko) 2021-08-05

Family

ID=7516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435A KR102287027B1 (ko) 2019-09-27 2019-09-27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7027B1 (ko)
WO (1) WO2021060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33710A1 (de) 2022-12-16 2024-06-27 Stiebel Eltron Gmbh & Co. Kg Lüftungsgerät der Haustechnik und Gehäuseteil für ein solches Lüftungsgerä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37B1 (ko) 2010-10-19 2013-02-27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팬 개폐장치
JP6452624B2 (ja) 2013-01-29 2019-01-16 コーウェ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oway Co., Ltd. 循環構造の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997B1 (ko) * 2000-03-07 2002-11-07 주식회사 크린에어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KR100728327B1 (ko) * 2005-08-31 2007-06-13 이용민 2중 팬이 부착된 환풍장치
KR20100013488A (ko) * 2008-07-31 2010-02-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101190538B1 (ko) * 2012-06-07 2012-10-16 써네이도(주) 에어플로우 및 이를 이용한 에어플로우 시스템
US8951012B1 (en) * 2014-02-10 2015-02-10 JVS Associates, Inc. Contra-rotating axial fan transmission for evaporative and non-evaporative cooling and condensing equipment
KR20160012484A (ko) * 2014-07-24 2016-02-03 이성국 창틀설치용 환풍장치
KR20170004692A (ko)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에이에이테크 외기유입관이 구비된 환풍기
KR20170097317A (ko) * 2016-02-18 2017-08-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부착식 환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37B1 (ko) 2010-10-19 2013-02-27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팬 개폐장치
JP6452624B2 (ja) 2013-01-29 2019-01-16 コーウェ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oway Co., Ltd. 循環構造の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697A1 (ko) 2021-04-01
KR20210037169A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96039B2 (en) Coupling mechanism for use with a roller tube of a window treatment
KR102379800B1 (ko) 공기청정기
EP2578889A1 (en) Device for blowing air by means of narrow slit nozzle assembly
US4560320A (en) Ventilating unit
US12044244B2 (en) Ceiling fan blade and grommet
KR102287027B1 (ko)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CA2607971A1 (en) Vent and grilles
US20200080295A1 (en) Wall sleeve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US5507691A (en) Ventilator
KR102197205B1 (ko) 환풍장치
CN108825541A (zh) 格栅结构及风扇
KR200444013Y1 (ko) 벤츄리 원리를 이용한 구조개선된 배기 환풍기
KR101549083B1 (ko) 회전개폐식 송풍장치용 댐퍼
KR102097201B1 (ko) 저진동 시로코팬
KR200326201Y1 (ko) 무동력 흡출기
AU2006246303A1 (en) Vent and grilles
CN215832108U (zh) 一种新风装置及空调
US4979432A (en) Air diffuser with rotatably adjustable louvres, especially for an air curtain generator
JP4842600B2 (ja) 高性能エアフィルタ内蔵吹出口フィルタユニット
CN208185019U (zh) 风扇
US20120321371A1 (en) Fastener mechanism
KR102611930B1 (ko) 설치 및 설치 해제가 용이한 환풍기
WO2017149669A1 (ja) 換気扇
KR100441199B1 (ko) 배풍기의 수직임펠러
CN110030656B (zh) 一种推拉式内装墙式通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