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037B1 - 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037B1
KR101238037B1 KR1020100101751A KR20100101751A KR101238037B1 KR 101238037 B1 KR101238037 B1 KR 101238037B1 KR 1020100101751 A KR1020100101751 A KR 1020100101751A KR 20100101751 A KR20100101751 A KR 20100101751A KR 101238037 B1 KR101238037 B1 KR 10123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ing
coupled
clos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376A (ko
Inventor
염기홍
안효진
Original Assignee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0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6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engine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시 외기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직선운동을 하면서 팬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팬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외기가 유입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동되게 결합되면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케이싱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둘레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팬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Fan}
본 발명은 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시 외기의 공급을 신속하게 차단하도록 직선운동을 하면서 팬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여러가지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는데, 그중에서 환기를 목적으로 외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팬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팬은 대개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예를 들어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팬의 가동을 정지시키더라도 외기가 팬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어 화재 규모가 더욱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실내에 화재 또는 가스 누출과 같은 비상 사태시, 팬을 강제적으로 폐쇄시켜서 외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회전되는 블레이드(21)와, 이 블레이드(21)를 회전시키는 모터(22)로 이루어진 팬장치(20)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팬 개폐장치(30)가 설치되는데, 팬 개폐장치(30)는 케이싱(10)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안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판(32)과, 이 개폐판(32)을 회전시켜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40)은 하우징(31)의 외면에 구비되는 실린더(41)와, 이 실린더(41)의 로드(41a)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면서 개폐판(32)과 일체로 결합되는 회전축(32a)과 결합되는 링크부재(42)와, 이 링크부재(42)의 단부에 결합되는 중량물(43)로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의 일측면에는 실린더(41)를 지지하도록 하는 브라켓(4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41)는 공압 실린더로서, 플렉시블 호스(41b)를 통해 압력을 가진 공기가 공급되면 로드(41a)가 수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42)는 대략 "ㄴ"자 형으로 형성되어서 한 쪽 연결편(42a)은 실린더(41)의 로드(41a)와 연결되고, 다른 쪽 연결편(42b)은 중량물(43)과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32)과 결합되는 회전축(32a)의 직경방향 반대편에도 회전축(32b)이 갖추어져서 구동수단(40)에 의해 개폐판(32)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하우징(31)의 내부 벽면 소정위치에는 개폐판(32)이 폐쇄위치로 회전하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토퍼(31a)가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하우징(31)의 상부에는 인렛부(50)(inlet)가 연결되어 외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팬 개폐장치(30)는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32)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어 항상 외기가 유입되는 상태로 있는데, 예를 들어 실내(엔진룸 등)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진압을 위해 우선 외기를 차단해야 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40)을 작동하여 개폐판(32)을 수평상태로 회전시켜서 하우징(31)을 패쇄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실린더(41)로부터 공압을 빼면, 로드(41a)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아이들(idle) 상태처럼 있게 되는데, 이때 중량물(43)은 자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중량물(43)은 링크부재(42)의 한쪽 연결편(42b)에 연결되어 있어 자중에 의해 하향 이동하면 링크부재(42)의 다른 쪽 연결편(42a)과 연결된 로드(41a)가 인출되고, 이때, 링크부재(42)와 회전축(32a)이 함께 회전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32)이 하우징(31)내에서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전하여 이동한다.
하우징(31)의 내부 벽면에는 스토퍼(31a)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수평상태로 회전한 개폐판(32)의 저면이 상기 스토퍼(31a)에 걸리면서 회전상태를 정지하고, 패쇄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팬 개폐장치(30)는 개폐판(32)을 회전시켜서 개폐동작을 하기때문에, 개폐판(32)의 직경에 따른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하우징(31)의 크기가 좌우된다.
더욱이, 종래의 팬 개폐장치는 외기가 항상 상부에서 하부방향(수직하방)으로 흘러서 유입되는 구조이기때문에, 외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해서 하우징(31)의 상부에 소정 크기를 가지는 인렛부(50)를 연결하여 소정의 공간을 마련해야 하기때문에, 그 만큼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팬장치(20)를 구비하는 케이싱(10)과, 외기를 차단하는 팬 개폐장치(30)의 개폐판(32)이 구비되는 하우징(31)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하우징(31)의 상부에는 인렛부(50)와 같은 구조외에 외기의 유입에 방해되는 어떠한 다른 구조물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소정의 공간을 유지시켜야 하는 것이다.
또한, 개폐판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실린더, 링크부재, 중량물 등 여러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유지보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구조가 단순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 비상사태시 신속,정확하게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외기가 유입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동되게 결합되면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케이싱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둘레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실린더이고, 이 실린더의 로드가 개폐부재와 결합되어 함께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케이싱의 상부 플랜지면에 결합되면서, 양쪽으로 실린더의 로드가 관통되도록 하는 결합편이 형성된 베이스 플랜지가 더 포함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케이싱을 개폐시키도록 승,하강하는 막음판과, 이 막음판의 상부면에 막음판을 가로질러 결합되면서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케이싱의 상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케이싱에 대해 수직하게 복수,결합되는 가이드봉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의 상부에는 가이드봉과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홀더가 포함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에는 개폐부재를 구성하는 막음판의 둘레면을 따라 결합된 가이드 브라켓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되어 연결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송풍을 위한 팬장치를 구비하는 케이싱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하며, 예를 들어 선박의 엔진룸에 외기 공급용으로 설치되는 팬의 가동시,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사태시 팬을 경유하여 외기가 엔진룸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더욱이, 외기의 차단을 위한 개폐부재의 구조 및 동작이 매우 단순하며, 그에따라 유지보수 관리가 용이하고, 고장율도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폐쇄동작시 개폐부재를 구성하는 막음판이 자중에 의해 원활하게 하강하여 팬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하우징을 폐쇄시킬 수 있고, 더욱이 외기 공급을 위한 개방상태일 때에도, 둘레방향(측면방향)으로 외기가 공급되므로, 종래의 회전방식의 개폐구조와는 달리 막음판 방향으로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므로 설치상의 제약을 적게 받는다.
도 1은 종래의 팬 개폐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개폐판이 회전하여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개폐판이 보이도록 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태에서 막음판이 하강하여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 개폐장치의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팬 개폐장치(100)는 외기가 유입되는 케이싱(110)과, 이 케이싱(110)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120)와, 이 액츄에이터(120)와 연동되게 결합되면서 직선 이동하여 케이싱(110)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개폐부재(130)와, 상기 케이싱(110)의 둘레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개폐부재(130)가 원활하게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10) 및 모터(220)로 구성되는 팬장치(200)가 갖추어진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20)는 공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121)로서, 이 실린더(121)의 로드(122)가 개폐부재(130)와 결합되어 함께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실린더(121)로 한정되지 않고 유압 실린더 등 다른 여러가지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 플랜지면(111)에는 베이스 플랜지(112)가 결합되는데, 이 베이스 플랜지(112)의 양쪽에는 실린더(121)가 결합되면서 실린더(121)의 로드(122)가 관통되도록 하는 결합편(112a)이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21)는 케이싱(110)의 양쪽에 구비되어 있는데,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보다 확실하게 케이싱(110)의 양쪽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30)는 케이싱(110)에 부합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막음판(131)과, 이 막음판(131)의 상부면에 막음판(131)을 가로질러 결합되면서 상기 실린더(121)의 로드(122)와 결합되는 커넥터(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132)는 막음판(132)의 직경을 초과하여 케이싱(110)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111)의 결합편(112) 위치까지 연장,형성되는데, 막음판(132)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21)의 로드(122)는 베이스 플랜지(112)의 결합편(112)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132)의 양쪽 단부(132a)에 결합되어 연동된다.
또한, 가이드부재(140)는 케이싱(110)의 플랜지면(111)과 베이스 플랜지(112)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복수,결합되는 가이드봉(141)과, 이 가이드봉(141)의 상부에는 가이드봉(141)을 지지하는 홀더(142)가 갖추어진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봉(141)에는 상기 개폐부재(130)를 구성하는 막음판(131)의 둘레면을 따라 결합된 가이드 브라켓(143)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43)은 개폐부재(130)의 막음판(131)에 결합되는 결합면(143a)과, 이 결합면(143a)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봉(141)이 관통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143b)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슬라이드부(143b)는 평활한 플레이트판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면(143a)과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판에 원통형의 슬라이드관(부싱 타입)을 결합,구성하여 가이드봉(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선박내의 엔진룸에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해 우선적으로 엔진 룸안으로 외기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폐장치(100)의 케이싱(110) 외면에 구비된 액츄에이터(120)를 가동하여 개폐부재(130)를 통해 신속하게 케이싱(110)을 밀폐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츄에이터(120)인 실린더(121)를 가동하여 인출되어 있던 로드(122)를 수축시키면, 이 로드(122)의 단부에는 개폐부재(130)의 커넥터(132) 단부(132a)가 결합되어 있어, 로드(122)의 수축이동에 따라 막음판(131)도 동시에 하강이동한다.
막음판(131)의 하강 이동시에는, 가이드 부재(140)의 가이드봉(14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막음판(131)의 둘레면에는 가이드 브라켓(143)이 결합되어 있으면서 가이드봉(141)의 외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결합되어 있어, 실린더(121)의 로드(122)가 수축이동함에 따라 막음판(131)이 가이드봉(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하강하여 케이싱(110)의 개구된 플랜지(111)면에 밀착되어 폐쇄가 되는 것이다.
더욱이, 막음판(131)은 하강시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데, 막음판(131)의 자중에 의해 하강이 이루어지므로, 예컨대, 실린더(121)가 공압 실린더인 경우, 평상시에는 공압에 의해 로드(122)가 인출된 상태로 막음판(131)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여 하우징(111)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지만, 비상사태시에는 실린더(121)안에 주입했던 공기를 빼내면 자동적으로 막음판(131)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케이싱(110)을 폐쇄시키는 것이다.
한편, 비상사태가 해결(화재 진압 등)되면, 다시 실린더(121)를 가동하여 로드(122)를 인출시키고, 그러면 케이싱(110)을 폐쇄하고 있던 막음판(131)은 가이드봉(141)을 따라 상승이동하게 되면서 하우징(11)이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한다.
본 발명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내에 포함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10 : 케이싱
20 : 팬장치
21 : 블레이드
22 : 모터
30 : 팬 개폐장치
31 : 하우징
31a : 스토퍼
32 : 개폐판
32a,32b : 회전축
40 : 구동수단
41 : 실린더
41a : 로드
41b : 플렉시블 호스
42 : 링크부재
42a,42b : 연결편
43 : 중량물
44 : 브라켓
50 : 인렛부
100 : 개폐장치
110 : 케이싱
111 : 플랜지
112 : 베이스 플랜지
112a : 결합편
120 : 액츄에이터
121 : 실린더
122 : 로드
130 : 개폐부재
131 : 막음판
132 : 커넥터
132a : 단부
140 : 가이드 부재
141 : 가이드 봉
142 : 홀더
143 : 가이드 브라켓
143a : 결합면
143b : 슬라이드부
200 : 팬장치
210 : 블레이드
220 : 모터

Claims (7)

  1. 외기가 유입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외부 측면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동되게 결합되면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케이싱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둘레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해주면서, 케이싱의 상부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케이싱에 대해 수직하게 복수,결합되는 가이드봉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봉에는 개폐부재를 구성하는 막음판의 둘레면을 따라 결합된 가이드 브라켓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관통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실린더이고, 이 실린더의 로드가 개폐부재와 결합되어 함께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개폐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케이싱의 상부 플랜지면에 결합되면서, 양쪽으로 실린더의 로드가 관통되도록 하는 결합편이 형성된 베이스 플랜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개폐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케이싱을 개폐시키도록 승,하강하는 막음판과, 이 막음판의 상부면에 막음판을 가로질러 결합되면서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개폐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의 상부에는 가이드봉과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홀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개폐장치.
  7. 삭제
KR1020100101751A 2010-10-19 2010-10-19 팬 개폐장치 KR10123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751A KR101238037B1 (ko) 2010-10-19 2010-10-19 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751A KR101238037B1 (ko) 2010-10-19 2010-10-19 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376A KR20120040376A (ko) 2012-04-27
KR101238037B1 true KR101238037B1 (ko) 2013-02-27

Family

ID=4614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751A KR101238037B1 (ko) 2010-10-19 2010-10-19 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169A (ko) * 2019-09-27 2021-04-06 설철환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6442U (ja) * 1991-02-19 1992-09-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筒型電動駆動式給排気換気フアン
KR960002204Y1 (ko) * 1993-08-21 1996-03-18 송학근 비닐하우스 자동환기장치
KR20030086362A (ko) * 2002-05-04 2003-11-10 삼주기전 주식회사 환기창
JP2007101078A (ja) * 2005-10-05 2007-04-19 Daiwa House Ind Co Ltd 室内等の排熱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6442U (ja) * 1991-02-19 1992-09-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筒型電動駆動式給排気換気フアン
KR960002204Y1 (ko) * 1993-08-21 1996-03-18 송학근 비닐하우스 자동환기장치
KR20030086362A (ko) * 2002-05-04 2003-11-10 삼주기전 주식회사 환기창
JP2007101078A (ja) * 2005-10-05 2007-04-19 Daiwa House Ind Co Ltd 室内等の排熱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169A (ko) * 2019-09-27 2021-04-06 설철환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KR102287027B1 (ko) 2019-09-27 2021-08-05 설철환 휀을 복수개 구비한 흡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376A (ko)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293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1731260B1 (ko) 수직반송 시스템
CN106698233B (zh) 气悬浮支撑机构
KR101238037B1 (ko) 팬 개폐장치
KR10162474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462045B1 (ko) 화재시 소방용 제연장치
TWI426175B (zh)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804523B1 (ko) 틈새 차단기능을 구비한 폴딩도어
CN205402923U (zh) 空调器
KR102452371B1 (ko) 배기팬
KR2010008184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494967Y1 (ko)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CN212635899U (zh) 一种风门剪线装置
KR200309757Y1 (ko) 환기공 개폐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환풍기
JP2019127287A (ja) 粉体排出装置
JP5821193B2 (ja) 縦型定風量換気装置
KR20210012356A (ko) 선박용 승강로 환기장치
KR101409879B1 (ko) 원자로 냉각재 펌프
KR101206284B1 (ko) 랙 피니언 구동 개폐식 전동댐퍼
KR20190079830A (ko) 방연 댐퍼
JP2013185807A (ja) 換気装置
CN218118617U (zh) 上展气动放料阀及自动投放料设备
CN218074491U (zh) 一种烹饪排气控制结构及蒸烤一体机
CN115050498B (zh) 一种高温气冷堆燃料装卸系统往复式阻流器
KR102292936B1 (ko) 터널 내부용 함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