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967Y1 -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967Y1
KR200494967Y1 KR2020200002173U KR20200002173U KR200494967Y1 KR 200494967 Y1 KR200494967 Y1 KR 200494967Y1 KR 2020200002173 U KR2020200002173 U KR 2020200002173U KR 20200002173 U KR20200002173 U KR 20200002173U KR 200494967 Y1 KR200494967 Y1 KR 200494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opening
fan
fan cover
exhaus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942U (ko
Inventor
김강돈
Original Assignee
(주)그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렉스 filed Critical (주)그렉스
Priority to KR2020200002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6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9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9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16H19/043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vement in a continuous rotary movement or vice versa, e.g. by opposite racks engaging intermittently for a part of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 또는 천정에 설치된 보드 내측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임펠러, 하우징과 연결되도록 보드 외측면에 장착되는 팬커버, 팬커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피니언, 흡기구의 폐쇄 또는 개방이 가능하도록 팬커버 외측 표면에 장착되는 디퓨져, 디퓨져의 원활한 폐쇄 또는 개방 작동을 유도하는 슬라이드, 피니언과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시 흡기구와 디퓨져간 폐쇄 또는 개방 작동시키는 랙으로 구성되는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Open and Shut Structure of Diffuser for Exhaust Fan}
본 고안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 또는 천정에 설치된 보드 내측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임펠러, 하우징과 연결되도록 보드 외측면에 장착되는 팬커버, 팬커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피니언, 흡기구의 폐쇄 또는 개방이 가능하도록 팬커버 외측 표면에 장착되는 디퓨져, 디퓨져의 원활한 폐쇄 또는 개방 작동을 유도하는 슬라이드, 피니언과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시 흡기구와 디퓨져간 폐쇄 또는 개방 작동시키는 랙으로 구성되는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는 실내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실내외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며, 환기 시스템에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이 포함된다.
배기팬은 배기팬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하우징,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 하우징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하우징 내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팬모터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배기팬은 흡기구와 임펠러가 실내 공간으로 집접 노출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기팬 내부로 침투하여 임펠러에 달라붙거나, 실외 소음이 배기팬을 통해 실내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배기팬은 청정도가 낮은 실내 공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임펠러 또는 하우징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기 쉬우며, 다수의 팬이 형성된 임펠러의 형상적 특성상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워, 배기팬에 붙은 이물질이 노출됨에 따라 실내 공기 오염이 발생 및 배기팬의 미관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기구에 디퓨져를 장착함으로써 배기팬의 흡기구와 임펠러가 실내 공간으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배기팬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배기팬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분산하여 실내 공기 배출이 균일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퓨져는 고정식으로 구성되거나 개폐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개폐식 디퓨져는 배기팬의 작동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기팬 미작동시 디퓨져를 폐쇄하여 배기팬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실외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식 디퓨져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2225호(2018.06.22.등록)의 랙 피니언 구동 개폐식 전동댐퍼와 같이 회전 방식, 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342호(2009.06.25.공개)의 환풍기 자동개폐장치와 같이 슬라이딩 개폐 방식을 이용하여 디퓨져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회전 방식 또는 슬라이딩 개폐 방식을 디퓨져의 개폐 작동에 적용하는 경우, 각각 디퓨져의 개폐 작동에 필요한 회전 반경 또는 슬라이드된 길이 만큼의 여유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배기팬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디퓨져의 폐쇄 작동시 배기팬의 커버와 디퓨져간 연결부 유격 또는 단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2225호 (2018.06.22.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342호 (2009.06.25. 공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배기팬의 미작동시 실내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기구를 통해 배기팬 내부로 침투하여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팬을 통해 실외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퓨져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작동에 필요로 하는 공간의 크기 감소시켜 배기팬의 부피를 감축할 수 있는 디퓨져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배기팬의 디퓨져 폐쇄 작동시 배기팬의 커버와 디퓨져간 연결부 유격 또는 단차 발생을 감소시켜 배기팬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디퓨져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에 있어서, 벽면 또는 천정에 설치된 보드 내측면에 장착되는 배기팬의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임펠러,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팬모터, 하우징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 하우징과 연결되도록 보드 외측면에 장착되는 팬커버, 팬커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기구, 팬커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홀, 팬커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피니언, 흡기구의 폐쇄 또는 개방이 가능하도록 팬커버 외측 표면에 장착되는 디퓨져, 디퓨져 내측면으로 슬라이드 홀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디퓨져의 원활한 폐쇄 또는 개방 작동을 유도하는 슬라이드, 디퓨져의 개방 작동시 슬라이드 홀에 걸리면서 팬커버와 디퓨져간 이탈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드의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 팬커버를 관통하도록 디퓨져 내측면으로 형성되고, 피니언과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시 흡기구와 디퓨져간 폐쇄 또는 개방 작동시키는 랙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팬커버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디퓨져 내측면에는 슬라이드 홀을 통과하는 슬라이드가 형성되어 디퓨져의 폐쇄 또는 개방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슬라이드의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가 슬라이드 홀에 걸리면서 팬커버와 디퓨져간 이탈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팬커버는 디퓨져에 의해 폐쇄되는 부위가 하우징 방향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하되, 디퓨져의 내측면에는 롤러 가이드가 형성되고, 팬커버의 함몰된 공간 표면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가 장착되며, 롤러는 롤러 가이드 표면과 접촉하여 디퓨져를 지지함으로써, 디퓨져의 원활한 폐쇄 또는 개방 작동을 유도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랙 끝단에는 랙 스토퍼가 돌출되어, 디퓨져 개방 작동불량 발생시 랙 스토퍼가 피니언에 걸림으로써, 피니언과 랙간 이탈에 의한 고장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기팬의 미작동시 디퓨져의 급기구 폐쇄 작동을 통해 실내 공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이 배기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기팬의 미작동시 디퓨져의 급기구 폐쇄 작동을 통해 실외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홀과 슬라이드간 슬라이드 운동 발생을 통해 디퓨져의 원활한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랙과 피니언의 작동에 의한 디퓨져의 승하강 이동을 통해 디퓨져를 개폐함으로써, 디퓨져 개폐 작동에 필요로 하는 공간의 크기 감소시켜 배기팬의 부피를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와 롤러 가이드간 접촉 및 롤러의 회전 지지 구조를 통해 디퓨져 개폐 작동 과정에서 디퓨져의 기울어짐 발생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마찰에 의한 접촉부 소음 또는 마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랙 끝단에 형성된 랙 스토퍼를 통해 디퓨져 개방시 피니언과 랙간 이탈에 따른 고장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퓨져의 폐쇄 작동시 팬커버 표면 외측으로 디퓨져가 돌출되어 배기팬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팬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디퓨저 폐쇄 및 개방 상태에서의 배기팬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기팬(10)은 벽면 또는 천정에 설치된 보드(1)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며,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드(1) 내측면으로 장착되는 하우징(100)과, 보드(1) 외측면에 장착되는 팬커버(200)가 하우징(100)과 연결되어 배기팬(10)의 케이스를 구성하게 된다.
배기팬(10)의 디퓨져(300) 개폐 구조에서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 실내 공기를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하는 임펠러(110)가 장착되고, 임펠러(110)의 회전축에는 임펠러(110)를 회전시키는 팬모터(120)가 연결되며, 하우징(100) 측면에는 임펠러(110)에 의해 흡입된 실내 공기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130)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커버(200)에는 하나 이상의 흡기구(210)가 형성되어 임펠러(110)의 작동시 실내 공기를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하고, 팬커버(200) 외측 표면으로 디퓨져(300) 장착되어 흡기구(210)의 폐쇄 또는 개방을 조절하게 된다.
팬커버(200)에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홀(220)이 형성되고, 디퓨져(300) 내측면, 즉 하우징(100) 방향 표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슬라이드(310)가 슬라이드 홀(220)을 통과하면서 팬커버(200)와 디퓨져(300)가 서로 연결되며, 디퓨져(300)의 폐쇄 또는 개방 작동시 슬라이드 홀(220)과 슬라이드(310)간 슬라이드가 발생하도록 하여 디퓨져(300)의 원활한 폐쇄 또는 개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드(310)의 끝단에는 스토퍼(311)가 형성되어, 디퓨져(300)의 최대 개방시 스토퍼(311)가 슬라이드 홀(220)에 걸리면서 디퓨져(300)가 팬커버(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팬커버(200)에는 구동모터(230)가 장착되고, 팬커버(200)를 관통하도록 디퓨져(300)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랙(330)이 구동모터(230)의 회전축에 장착된 피니언(240)과 연결되어, 구동모터(230) 구동시 피니언(240)의 회전운동을 랙(330)의 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흡기구(210) 폐쇄 또는 개방을 위한 디퓨져(300)의 슬라이드 작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팬커버(200)의 디퓨져(300)에 의해 폐쇄되는 부위가 하우징(100) 방향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팬커버(200)의 함몰된 공간 표면에는 롤러(250)가 장착되며, 롤러(250)는 디퓨져(3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롤러 가이드(320)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롤러(250)는 폐쇄 또는 개방 작동시 디퓨져(3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롤러 가이드(320)를 지지하여 디퓨져(300)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며, 디퓨져(300)의 개폐 과정에서 롤러(250)의 회전이 발생하면서 롤러 가이드(320)와의 마찰에 의한 소음 또는 마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팬커버(200)에 형성된 함몰부 공간은 롤러(250)와 롤러 가이드(32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팬커버(200)의 외측 표면에는 디퓨져(300)의 형상 및 두께에 대응하는 오목홈 형상의 단(段)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디퓨져(300)의 폐쇄 작동시 팬커버(200)와 디퓨져(3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랙(330) 끝단에는 랙 스토퍼(331)가 돌출될 수 있으며, 디퓨져(300)개 개방 과정에서 구동모터(230)의 오작동 등에 의해 랙(330)의 과도한 이동 발생시 랙 스토퍼(331)가 피니언(240)에 걸리면서 피니언(240)과 랙(330)간 이탈 발생 및 이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기팬(10)의 디퓨져(300) 개폐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퓨져(300)의 개방 작동시 구동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240)이 회전하면, 피니언(240)에 연결된 랙(330)이 하우징(100)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디퓨져(300)가 실내공간 방향으로 이동하여 팬커버(200)의 흡기구(21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디퓨져(300)의 개방 작동시 슬라이드(310)와 슬라이드 홈(220) 사이에 슬라이드가 발생하면서 디퓨져(300)의 개방 방향을 유도하게 되고, 슬라이드(310)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311)가 슬라이드 홈(220) 모서리와 접촉하면 디퓨져(300)의 개방이 완료된다.
이때, 디퓨져(300)의 개방 과정에서 기울어짐이 발생하여 팬커버(200)와 디퓨져(300)간 접촉부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나 마멸이 발생 등의 디퓨져(300) 개방 작동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피니언(240)과 랙(330)이 디퓨져(300)의 중심부에서 이격되어 일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기울어짐이 보다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퓨져(300)에 형성된 롤러 가이드(320)와 접촉하는 롤러(250)가 디퓨져(300)를 지지하면서 개방 과정에서 디퓨져(3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디퓨져(300) 개방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디퓨져(300) 개방 작동시 롤러 가이드(320)와 접촉하는 롤러(25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접촉부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나 마멸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디퓨져(300)가 개방되면 팬모터(120)의 작동에 의해 임펠러(110)가 회전하게 되고, 팬커버(200)와 디퓨져(300)간 개방된 틈새를 따라 유입된 실내 공기가 팬커버(200)의 흡기구(210)와 하우징(100)의 임펠러(110) 및 배기구(130)로 통과하면서 실외로 배출된다.
디퓨져(300)의 폐쇄 작동시 팬모터(120) 및 임펠러(110)가 정지하고, 구동모터(230)가 디퓨져(300)의 개방 작동시와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여 피니언(240)에 연결된 랙(330)이 하우징(10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디퓨져(300)가 팬커버(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팬커버(200)의 흡기구(210)의 폐쇄가 이루어진다.
디퓨져(300)의 개방 작동과 동일하게 슬라이드(310)와 슬라이드 홈(220) 사이에 슬라이드가 발생하면서 디퓨져(300)의 폐쇄 방향을 유도하게 되고, 롤러 가이드(320)와 롤러(250)간 접촉을 통해 폐쇄 작동 중 마찰에 의한 소음이나 마멸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보드 10: 배기팬
100: 하우징 110: 임펠러
120: 팬모터 130: 배기구
200: 팬커버 210: 흡기구
220: 슬라이드 홀 230: 구동모터
240: 피니언 250: 롤러
300: 디퓨져 310: 슬라이드
311: 스토퍼 320: 롤러 가이드
330: 랙 331: 랙 스토퍼

Claims (3)

  1. 배기팬(10)의 디퓨져 개폐 구조에 있어서,
    벽면 또는 천정에 설치된 보드(1) 내측면에 장착되는 배기팬(10)의 하우징(100);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되는 임펠러(110);
    임펠러(110)를 회전시키는 팬모터(120);
    하우징(100)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130);
    하우징(100)과 연결되도록 보드(1) 외측면에 장착되는 팬커버(200);
    팬커버(2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기구(210);
    팬커버(2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홀(220);
    팬커버(200)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30);
    구동모터(230)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피니언(240);
    흡기구(210)의 폐쇄 또는 개방이 가능하도록 팬커버(200) 외측 표면에 장착되는 디퓨져(300);
    디퓨져(300) 내측면으로 슬라이드 홀(220)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디퓨져(300)의 원활한 폐쇄 또는 개방 작동을 유도하는 슬라이드(310);
    디퓨져(300)의 개방 작동시 슬라이드 홀(220)에 걸리면서 팬커버(200)와 디퓨져(300)간 이탈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드(310)의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311);
    팬커버(200)를 관통하도록 디퓨져(300) 내측면으로 형성되고, 피니언(240)과 연결되어, 구동모터(230)의 구동시 흡기구(210)와 디퓨져(300)간 폐쇄 또는 개방 작동시키는 랙(33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랙(330) 끝단에는 랙 스토퍼(331)가 돌출되어, 디퓨져(300) 개방 작동불량 발생시 랙 스토퍼(331)가 피니언(240)에 걸림으로써, 피니언(240)과 랙(330)간 이탈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2. 삭제
  3. 삭제
KR2020200002173U 2020-06-23 2020-06-23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KR200494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173U KR200494967Y1 (ko) 2020-06-23 2020-06-23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173U KR200494967Y1 (ko) 2020-06-23 2020-06-23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42U KR20210002942U (ko) 2021-12-30
KR200494967Y1 true KR200494967Y1 (ko) 2022-02-08

Family

ID=7917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173U KR200494967Y1 (ko) 2020-06-23 2020-06-23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399B1 (ko) * 2022-03-23 2023-07-11 (주)그렉스 급기 디퓨저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204B1 (ko) * 2006-01-06 2007-07-02 (주)팬코 벽체 매입형 환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342U (ko) 2007-12-21 2009-06-25 한일전기그룹 주식회사 환풍기의 자동개폐장치
KR101155723B1 (ko) * 2010-03-30 2012-06-12 장동식 자동 개폐식 디퓨저
KR101872225B1 (ko) 2016-10-21 2018-06-29 주식회사 제일테크 급배기 겸용 역류방지댐퍼와 축열소자를 이용한 고효율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204B1 (ko) * 2006-01-06 2007-07-02 (주)팬코 벽체 매입형 환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42U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0658B1 (en) Damper-integrated blower having improved airtightness
US20090100851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96923A (ko) 환기 장치
KR200494967Y1 (ko) 배기팬의 디퓨져 개폐 구조
KR20180046070A (ko) 공기청정기
DK180278B1 (en) A roof window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assembly with an exhaust device
KR102452371B1 (ko) 배기팬
KR102016911B1 (ko) 환기팬 커버의 개폐 구조
KR102186760B1 (ko) 환기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JP2007147215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716286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0907755B1 (ko) 환풍기
KR100638101B1 (ko) 환기장치
CN101344710B (zh) 机壳总成及应用该机壳总成的投影装置
KR102328375B1 (ko) 댐퍼일체형 송풍기
KR20000002913U (ko) 공기조화기
CN216644512U (zh) 一种复合空气幕联动结构
KR101713288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2423594B1 (ko) 다용도실 배기 기능을 가지는 팬 분리형 주방 후드 배기 시스템
JP5315842B2 (ja) 浴室換気乾燥機
KR0139364Y1 (ko) 공기조화기의 가이드랙의 구조
KR20070044737A (ko) 공기조화기
JP2021161882A (ja) 送風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湿ユニット
KR200400267Y1 (ko) 청정실용 팬구조물
KR101654092B1 (ko) 공동주택 배기덕트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