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79B1 - 원자로 냉각재 펌프 - Google Patents

원자로 냉각재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79B1
KR101409879B1 KR1020120143713A KR20120143713A KR101409879B1 KR 101409879 B1 KR101409879 B1 KR 101409879B1 KR 1020120143713 A KR1020120143713 A KR 1020120143713A KR 20120143713 A KR20120143713 A KR 20120143713A KR 101409879 B1 KR101409879 B1 KR 101409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unit
pumping
fluid
low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777A (ko
Inventor
추연식
오명진
방상윤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7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4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 G21C15/243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for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 냉각재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재를 펌핑하는 펌핑부와 그 펌핑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그 펌핑부는, 하부축, 그 하부축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와, 하부축의 둘레에 제1실링부재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이 제2실링부재는 하부축의 정지시 제1실링부재에 접근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원자로 냉각재 펌프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비상시 또는 사고시와 같은 펌핑부의 정지시 냉각재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로 냉각재 펌프{REACTOR COOLANT PUMP}
본 발명은, 원자로 냉각재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지시 냉각재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원자로 냉각재 펌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원자력 발전소의 1차 계통의 증기발생기 및 원자로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상기 증기발생기에서 열교환된 냉각수 또는 냉각재(이하, '냉각재'라고 표기함)를 흡입하여 원자로로 토출하는 핵증기공급계통(NSSS: Nuclear Steam Supply System)의 핵심기기이다.
이러한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상하로 배치된 회전축을 구비하여 하부에서 냉각재를 흡입하여 일 측방으로 토출하는 소위 수직형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냉각재를 흡입 및 토출하는 펌핑부(10)와, 상기 펌핑부(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10) 및 구동부(20)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펌핑부(10)의 상단에 올려 놓여 상기 펌핑부(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10)는, 내부에 냉각재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임펠러(35)와, 일 단은 상기 임펠러(35)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향 연장되는 회전축(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은, 예를 들면, 구형(球形)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의 하부에는 냉각재를 흡입할 수 있게 흡입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의 일 측부에는 상기 흡입부(31)를 통해 흡입된 냉각재가 토출되는 토출부(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임펠러(3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35)는 상하로 배치된 회전축(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35)의 일 측에는 상기 냉각재의 속도 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해주는 디퓨저 또는 가이드베인(45)(이하, '가이드베인(45)'이라고 표기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은 내벽이 곡면(구형(球形))을 이루는 공간부(33)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베인(45)을 통과한 냉각재의 속도 및 압력의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30)의 상측에는 모터지지대(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지지대(55)의 내부에는 회전축(40)을 따라 냉각재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밀봉유닛(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봉유닛(50)은,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40)의 둘레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소위 3단 밀봉체(3 stage mechanical seals)(5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유닛(50)은 상기 3단 밀봉체(51)를 둘러싸는 씰하우징(52)을 구비할 수 있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밀봉유닛(50)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축(40)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위 축추력 베어링 조립체(thrust bearing assembly)(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추력 베어링 조립체(60)의 상측에는 상기 구동부(20)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대(55)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에 있어서는, 상기 펌핑부(10)의 구동시 상기 임펠러(35)에 의해 흡입된 냉각재가 상기 회전축(40)을 따라 상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밀봉유닛(50)이 구성되어 있어, 정지시 또는 비상시 상기 밀봉유닛(50)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상기 회전축(40)의 축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냉각재가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펌핑부의 정지시 냉각재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냉각재를 펌핑하는 펌핑부; 및 상기 펌핑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하부축; 상기 하부축의 둘레에 상기 하부축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 상기 하부축의 둘레에 상기 제1실링부재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하부축의 정지시 상기 제1실링부재에 접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실링부재가 상기 제1실링부재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은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제2실링부재가 상기 제1실링부재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유체공급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질소 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에는 상기 유체의 누설을 억제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실링부재와 연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접촉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1실링부재와, 상기 제1실링부재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제2실링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제2실링부재는 회전축의 정지시 상기 제1실링부재에 접근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상 시 또는 펌핑부의 정지시(예를 들면, 사고시 또는 비상시) 하부축을 따라 냉각재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링부재가 상기 제1실링부재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펌핑부의 운전시 제2실링부재가 제1실링부재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링부재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2실링부재와 상기 제1실링부재의 접근시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상부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제1실링부재 및 제2실링부재영역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요부확대도,
도 6은 도 5의 외관사시도,
도 7은 도 2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냉각재를 펌핑하는 펌핑부(110); 및 상기 펌핑부(1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110)는, 하부축(155); 상기 하부축(155)의 둘레에 상기 하부축(155)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220); 상기 하부축(155)의 둘레에 상기 제1실링부재(22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230);를 구비하고, 상기 제2실링부재(230)는 상기 하부축(155)의 정지시 상기 제1실링부재(220)에 접근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110)는, 예를 들면, 내부에 냉각재의 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싱(130)과, 상기 케이싱(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임펠러(140)와, 일 측은 상기 임펠러(14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구동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120)에서 제공된 구동력으로 상기 임펠러(14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5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는, 예를 들면, 전동기(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50)은, 예를 들면, 상기 임펠러(140)측에 배치되는 하부축조립체(151)와, 상기 구동부(120)측에 배치되는 상부축조립체(161)와, 상기 하부축조립체(151) 및 상기 상부축조립체(161)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무버블샤프트(17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축조립체(151)는, 하부축(155)과, 상기 하부축(155)의 둘레에 형성되는 밀봉유닛(157)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봉유닛(157)은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소위 3단 밀봉체(3 Stage Mechanical Seals)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유닛(157)의 외곽에는 씰하우징(158)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밀봉유닛(157)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155)의 하단에는 임펠러(140)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155)에는 임펠러(140)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냉각재를 직선운동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베인(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155)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하부축(155)과 상기 리무버블샤프트(171)를 연결하는 커플링부재(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재(190)는, 예를 들면, 원통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재(190)는 상단부에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19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재(190)는, 원통부(192a)와, 상기 원통부(192a)의 상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확장부(192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192b)의 상단은 상기 리무버블샤프트(171)와 접촉되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재(19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축(155)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재(190)와 상기 하부축(155) 사이에는 회전방향으로 상호 구속될 수 있게 키(페더키)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재(190)의 외측에는 씰하우징커버(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씰하우징커버(210)는, 예를 들면, 상기 씰하우징(158)의 상단에 볼트(21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씰하우징커버(210)와 상기 커플링부재(190) 사이에는 공간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215)는 상기 커플링부재(190)의 외관 및 상기 씰하우징커버(210)의 내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간부(215)는 상부영역의 내경 및 외경이 하부영역의 내경 및 외경에 비해 확장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215)에는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배치되어 냉각재의 누설을 억제하는 제1실링부재(220) 및 제2실링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실링부재(220) 및 제2실링부재(230)는 상기 펌핑부(110)의 정지시 상호 접근되게 구성됨으로써 비상시 또는 사고시 축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냉각재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플링부재(190)의 외면에는 제1실링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220)는 상기 하부축(155)의 회전시 상기 커플링부재(19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220)는 상기 커플링부재(190)의 확장부(192b)와 원통부(192a)의 경계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220)는, 예를 들면, 고리 또는 튜브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실링부재(220)는, 상기 커플링부재(190)의 원통부(192a)의 외면에 접촉되는 내경(222a)부와, 상기 확장부(192b)의 하단에 접촉되는 상면부(222b) 및 제2실링부재(230)와 접촉되는 저면부(222c)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실링부재(230)와 접촉 시 커플링부재(190)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플링부재(190)와 제2실링부재(230)를 접촉시키지 않고 제1실링부재(220)을 커플링부재(190)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220)와 상기 커플링부재(190) 사이에는 실링부재(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25)는, 예를 들면, 탄성을 구비한 고무부재로 된 오링(O ring)(2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재(220)의 일 측에는 제2실링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23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실링부재(22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230)는, 예를 들면, 상기 공간부(215)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실링부재(230)는 상부영역의 내경 및 외경이 하부영역의 내경 및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230)는, 예를 들면, 내면 및 외면이 계단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실링부재(230)의 내면(231)은 서로 다른 내경을 구비하는 제1내경부(232a) 및 제2내경부(23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경부(232b)는 제1내경부(232a)의 상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경부(232a)의 상단에는 상기 제1실링부재(220)의 하단과 접촉시 냉각재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예를 들면 오링)(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230)의 외면(235)은, 예를 들면,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는 제1외경부(236a), 제2외경부(236b) 및 제3외경부(236c)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외경부(236a)의 상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되게 제2외경부(236b)가 형성되고, 제2외경부(236b)의 상측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게 제3외경부(236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외경부(236a)의 하부 외측에는 실링부재(예를 들면 오링)(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외경부(236b)의 외측에는 실링부재(예를 들면 오링)(22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외경부(2366a) 및 제2외경부(236b)에 구비된 실링부재(225)는 유체공급유닛(250)의 유체이동로(25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230)의 일 측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230)가 제1실링부재(220)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유닛(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240)은, 예를 들면, 상기 제2실링부재(230)를 축방향을 따라 하향 가압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유닛(240)은 상기 제2실링부재(230)를 하향가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240)은 상기 제2실링부재(230)의 상단에서 상기 제2실링부재(230)를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230)의 일 측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23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70)는,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링부재(230)와 연동하는 레버(271)와, 상기 레버(271)와 접촉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230)의 일 측에는 상기 씰하우징커버(2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레버(2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271)의 외측 단부영역에는 상기 레버(271)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위치(2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73)는, 예를 들면 상기 레버(271)와 접촉시 이를 감지하는 리미티드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73)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273)는, 상기 레버(271)의 상향 이동시 이를 감지하는 상부감지스위치(274) 및 상기 레버(271)의 하향 이동시 이를 감지하는 하부감지스위치(27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실링부재(230)의 일 측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230)가 상기 제1실링부재(220)에 접근할 수 있게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유닛(2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예를 들면 질소 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주변 구성 부품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유닛(250)은, 예를 들면, 상기 씰하우징커버(210)에 구비되는 유체이동로(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이동로(252)는 상기 씰하우징(158)을 경유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유닛(250)은, 상기 유체이동로(252)의 일 측에 배치되는 유체배출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유닛(250)은 상기 유체이동로(252)를 개폐하는 공급밸브(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이동로(252)의 일 측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배출로(2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배출로(262)에는 상기 유체밸출로를 개폐하는 배출밸브(26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2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예를 들면, 상기 하부축(155)의 정지시 상기 제2실링부재(230)가 제1실링부재(220)와 접근될 수 있게 유체공급유닛(250)을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80)는, 사고시 또는 비상시, 또는, 상기 밀봉유닛(157)이 고장나서 밀봉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상기 유체공급유닛(250)을 제어하여 상기 제2실링부재(230)가 상기 제1실링부재(220)에 접근되어 냉각재의 누설을 방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유체이동로(252)가 개방되게 상기 공급밸브(255)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공간부(215)의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로(262)를 따라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배출밸브(265)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제2실링부재(23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2실링부재(230)가 제1실링부재(220)측으로 접근 이동된 경우 상기 구동부(120)가 동작하지 아니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거나, 또는 구동부(120)가 동작하지 아니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280)는, 비상시 또는 사고시, 또는 상기 밀봉유닛(157)의 고장으로 냉각재의 누설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유체공급유닛(250)을 제어하여 상기 제2실링부재(230)가 상기 제1실링부재(220)와 면접촉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공급밸브(255)를 제어하여 유체이동로(252)가 개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유체이동로(252)가 개방되면 상기 공간부(215)의 내부로 질소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실링부재(230)가 상기 제1실링부재(220)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유닛(240)은 압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재(230)가 상향 이동되어 제1실링부재(220)와 접촉되면, 상기 각 실링부재(225)에 의해 질소 가스의 누설이 억제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축(155)을 따라 상향 이동될 수 있는 냉각재의 상향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재의 외부 유출 또는 누설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점검 및 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배출밸브(265)를 제어하여 유체배출로(262)가 개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215)의 질소 가스가 상기 유체배출로(26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공급밸브(255)가 상기 유체이동로(252)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펌핑부 130 : 케이싱
140 : 임펠러 150 : 회전축
151 : 하부축조립체 155 : 하부축
161 : 상부축조립체 171 : 리무버블샤프트
180 : 가이드베인 190 : 커플링부재
192a : 원통부 192b : 확장부
210 : 씰하우징커버 211 : 볼트
215 : 공간부 220 : 제1실링부재
225 : 실링부재 230 : 제2실링부재
240 : 탄성유닛,압축코일스프링 250 : 유체공급유닛
252 : 유체이동로 255 : 공급밸브
262 : 유체배출로 265 : 배출밸브
270 : 감지부 271 : 레버
273 : 감지스위치 280 : 제어부

Claims (9)

  1. 냉각재를 펌핑하는 펌핑부; 및
    상기 펌핑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하부축;
    상기 하부축의 둘레에 상기 하부축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
    상기 하부축의 둘레에 상기 제1실링부재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하부축의 정지시 상기 제1실링부재에 접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재가 상기 제1실링부재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유닛을 더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재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제2실링부재가 상기 제1실링부재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유체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질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재에는 상기 유체의 누설을 억제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실링부재와 연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접촉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원자로 냉각재 펌프.
KR1020120143713A 2011-12-29 2012-12-11 원자로 냉각재 펌프 KR101409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425 2011-12-29
KR20110146425 2011-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777A KR20130077777A (ko) 2013-07-09
KR101409879B1 true KR101409879B1 (ko) 2014-06-20

Family

ID=4899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713A KR101409879B1 (ko) 2011-12-29 2012-12-11 원자로 냉각재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266B1 (ko) * 2018-07-26 2019-10-3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 냉각재 순환펌프(rcp)의 피동형 밀봉 누설 차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302B1 (ko) * 1989-01-06 1999-05-15 에이. 마이크 쥬니어 원자로 냉각시스템의 냉각순환 펌프
KR100218021B1 (ko) * 1990-01-22 1999-09-01 드폴 루이스 에이 개량된 동적 2차 시일 어셈블리를 가진 원자로 냉각제 펌프
KR100232326B1 (ko) * 1990-01-16 1999-12-01 드폴 루이스 에이 밀봉조립체
KR100245932B1 (ko) * 1989-12-13 2000-03-02 드폴 루이스 에이 원자로 냉각재 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302B1 (ko) * 1989-01-06 1999-05-15 에이. 마이크 쥬니어 원자로 냉각시스템의 냉각순환 펌프
KR100245932B1 (ko) * 1989-12-13 2000-03-02 드폴 루이스 에이 원자로 냉각재 펌프
KR100232326B1 (ko) * 1990-01-16 1999-12-01 드폴 루이스 에이 밀봉조립체
KR100218021B1 (ko) * 1990-01-22 1999-09-01 드폴 루이스 에이 개량된 동적 2차 시일 어셈블리를 가진 원자로 냉각제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777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418C (zh) 带有防反转保护的涡旋机器
US10287907B2 (en) Linear motion mechanism, governing valve drive device, and steam turbine
KR20120112736A (ko) 펌프
KR101409879B1 (ko) 원자로 냉각재 펌프
JP6453009B2 (ja) 横軸ポンプシステム
JP6325969B2 (ja) オイルリタン機構を有する水中電動ポンプ
MX2014007008A (es) Compresor giratorio.
CN104595501A (zh) 大孔径气体介质电动阀门
KR102139735B1 (ko) 고온, 고압 적용을 위한 정지 씰
KR101870425B1 (ko) 수중모터펌프의 압력변환형 씰링장치
CN207740232U (zh) 具备渗漏检测的主动密封结构
JP2017023952A (ja) 水中電動ポンプ
CN112984174B (zh) 一种止回阀驱动装置及其实施方法
KR100950847B1 (ko) 마그네트 펌프의 리어 컨테인먼트 쉘 구조체
KR20100085880A (ko) 나비밸브 개폐장치
CN211737603U (zh) 气液组合旋转运动结构
JP6577719B2 (ja) 可動翼操作装置
CN106567929B (zh) 组合式机械密封装置、侧进式搅拌器及其组合式机械密封装置检修更换方法
CN103562555A (zh) 带有液体防渗透装置的用于吸取气体射流的离心电泵
CN216715584U (zh) 一种用于排水管网检测修复时气囊封堵的辅助工具
JP2011021512A (ja) 横軸ポンプ
JP2008240837A (ja) メカニカルシール装置
KR20110107574A (ko) 가압용 수중펌프 유닛
KR100917250B1 (ko) 축추력 자동조절을 위한 벨로우즈장치를 구비한 터보기계
CN109751252A (zh) 一种内置冷却装置潜水电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