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526A - 음순간 패드 - Google Patents

음순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526A
KR20070024526A KR1020067023806A KR20067023806A KR20070024526A KR 20070024526 A KR20070024526 A KR 20070024526A KR 1020067023806 A KR1020067023806 A KR 1020067023806A KR 20067023806 A KR20067023806 A KR 20067023806A KR 20070024526 A KR20070024526 A KR 2007002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bial pad
labia
sheet
rear en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593B1 (ko
Inventor
사토시 미즈타니
와타루 요시마사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음순간 패드의 장착시, 용이하게 장착 포인트에 장착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한다.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가 피복 시트로 덮여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1)에 있어서, 음순간 패드(1)를 음순 사이에 협지시켰을 때에 음순 내 안쪽과 접하는 정상부(10)를 설치한다. 정상부(10)는 장착시에 음순 전방과 접하는 전단부(10a)와, 음순 후방과 접하는 후단부(10b)와 형상이 다르며, 후단부(10b)를 폭이 좁고 예리한 각도의 예리한 형상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음순간 패드(1)를 예리한 후단부(10b)로부터 용이하게 음순에 삽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순간 패드{INTERLABIAL PAD}
본 발명은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가 피복 시트로 덮여져 이루어지는 생리 용품으로서, 음순 사이에 끼워 넣어져 사용되는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음순 사이에의 장착이 용이한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여성용 생리 용품으로서, 생리대, 탐폰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생리대에 대해서는 질 입구 부근에의 밀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간극으로부터 경혈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탐폰에 대해서도 그 물품의 속성에 기인하여, 착용시의 이물감이나 불쾌감, 질 내에의 장착 곤란성을 일으키는 것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생리대와 탐폰의 중간에 위치하는 생리 용품으로서, 최근, 음순간 패드로 불리는 생리 용품이 주목받고 있다. 이 음순간 패드는 여성의 음순 사이에 그 일부분을 끼워 넣고, 음순 내면에 접촉시켜 장착한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는 생리대에 비하여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경혈이 새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경혈이 확산되어 신체에 넓게 닿는 것을 막기 때문에 위생적이며, 또한 청결하다. 또한, 생리대보다도 소형이기 때문에, 장착감이 우수하고 쾌적하며, 질 내에 삽입하는 탐폰에 비해서 착용시의 심리 저항도 낮다는 특징을 갖고 있 다.
그러나, 음순간 패드는 눈으로 확인 곤란한 음순 사이에 장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리대보다도 장착이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게다가,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생리대보다도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샘에 의한 피해가 매우 크다. 또한, 장착 미스의 가능성은 탐폰보다도 높다.
이러한 음순간 패드의 장착 곤란성의 개선을 도모한 것으로서는 특허 문헌 1을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체액을 투과시키는 액투과성의 표면측 시트와, 체액을 실질적으로 투과시키지 않는 액난투과성의 이면측 시트와, 이들의 시트 사이에 내포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음순간 패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음순간 패드는 표면측 시트로 덮인 면이 신체와 접촉하는 면이 되며, 표면측 시트와는 반대측의 면을 덮는 이면측 시트에는 반원 형상의 돌기로 구성된 협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협지부는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장착하기 위해 설치되고, 이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착용자는 상기 협지부를 손가락으로 잡고 음순간 패드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협지부가 없는 경우보다는 장착이 용이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협지부를 잡은 것만으로는 음순간 패드가 음순 내에 충분히 밀착되도록 압박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상기한 구조에서는 협지부를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장착하고자 하면, 음순간은 매우 좁은 부위이기 때문에 손가락 두께만큼을 음순 사이에 진입시키는 것은 곤란하며, 무리하게 진입시키면 음순간 패드가 변형된 상태로 장착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경혈이 샐 위험성이나 음순간 패드가 음순으로부터 탈락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음순간 패드에서는 장착 포인트의 탐지가 착용자의 손톱 끝에 의해 행해지게 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착용자의 감에 의지하여 장착해야 하며, 착용자가 적절한 장착 포인트를 파악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착용자가 손톱을 길게 기르고 있거나, 인조 손톱을 착용하고 있거나 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래의 음순간 패드를 적절한 장소에 장착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음순간 패드는 장착 포인트를 정확하게 파악함에 의한 장착의 용이화, 장착 미스의 저감 혹은 음부에의 충분한 밀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나아가서는, 여전히 장착시에 경혈 등이 손끝에 부착되는 등의 사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음순간 패드를 사용할 때에 저항감이 발생하는 한가지 원인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99/56689호 팜플렛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음순간 패드에서는 음순 내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장착 포인트를 탐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음순의 형상은 전방은 길고 두껍고, 후방은 짧고 얇은 두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순의 후방은 개방되기 쉽다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음순 내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음순의 후방으로부터 진입하기 시작하여 음순 사이에 장착됨으로써,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음순 사이에 끼워져 사용되는 음순간 패드로서, 장착 상태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음순 내벽과 접하는 한 쌍의 측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부끼리를 연결하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음순 내 안쪽에 접하는 정상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정상부는 음순 전방과 접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의 대극에 위치하는 후단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후단부가 예리한 형상인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순간 패드는 음순 내 안쪽에 접하는 정상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정상부는 음순에 있어서 배측(腹側)에 위치하는 음순 전방과 접하는 전단부와, 이 전단부의 대극측에 위치하여 등측(背側)에 위치하는 음순 후방과 접하는 후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후단부가 폭이 좁은 예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예리한 형상」이란, 폭이 좁고, 전단부의 형상에 비하여 후단부의 형상이 상대적으로 예리하게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에 의해, 음순간 패드를 후방의 음순 사이에 진입하기 쉽게 하고, 음순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음순의 사이를 개방하면서 음순간 패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음순간 패드를 음순에 삽입할 때, 과도하게 손가락 에 힘을 가할 필요가 없고, 음순간 패드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순간 패드를 용이하게 장착 위치에 장착할 수 있고, 음순간 패드의 장착시에 음순 내를 상처 입히는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음순간 패드는 여성의 음순 사이에 협지 가능한 형상이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예컨대, 후술하는 (4)와 같이 대략 평판 형상의 흡수체가 피복 시트로 덮인 평판 형상으로서도 좋고, 두께가 있는 흡수체가 피복 시트로 덮인 베개 형상으로서도 좋다. 평판 형상의 음순간 패드는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두 개로 접히고, 접힘선으로부터 음순 내에 삽입되며, 접힘선의 양측에 위치하는 흡수체의 부분이 음순 내벽에 접하는 상태로 장착된다. 이 평판 형상의 음순간 패드의 경우, 접힘선을 따라 정상부가 형성되고, 이 정상부의 양측에 위치하여 음순 내벽에 접하는 흡수체의 부분이 측부가 된다.
한편, 베개 형상의 음순간 패드는 한 쌍의 대향하는 대략 평판 형상의 면이 음순 내벽에 접하는 측부가 되며, 이들 측부의 말단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주변 가장자리 부분에 정상부가 형성되고, 베개 형상의 음순간 패드는 이 정상부로부터 음순 내 안쪽에 삽입된다.
(2) 상기 정상부는 상기 후단부에서의 각도가 상기 전단부에서의 각도보다도 작은 것인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순간 패드 정상부의 후단부는 전단부보다 각도가 작고, 뾰족하다. 즉, 즉 전단부는 후단부보다 완만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음 순간 패드를 뾰족한 후단부로부터 용이하게 음순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3) 상기 후단부에서의 정상부의 각도는 2°∼ 45°이며, 상기 전단부에서의 정상부의 각도는 30°∼ 150°인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의하면, 예리한 형상으로 된 정상부의 각도가 후단부가 2°∼ 45°, 전단부가 30°∼ 150°이다. 정상부의 각도가 이 범위이면, 음순간 패드의 음순 사이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음순간 패드가 음순 사이에 확실하게 협지되는 형상이 유지된다.
(4) 상기 음순간 패드는 체액을 흡수하는 대략 평판 형상의 흡수체, 상기 흡수체의 한 쪽 면을 피복하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신체에 접하는 표면측 시트, 및상기 흡수체의 다른 쪽 면을 피복하는 이면측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상부는 상기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가 대향하도록 상기 음순간 패드가 두 개로 접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정상부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는 상기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가 접착됨으로써 예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의하면, 대략 평판 형상의 흡수체가 피복 시트로 덮여져 있다. 이러한 음순간 패드는 폭 방향의 대략 중심부를 지나며,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선(이하, 「길이 방향 중심선」이라고 함)을 따라 두 개로 접혀 음순 사이에 장착된다. 이 음순간 패드는 피복 시트가 체액을 투과시키는 액투과성의 표면측 시트 및 체액을 실질적으로 투과시키지 않는 액난투과성의 이면측 시트로 구성되고, 표면측 시트가 음순 내 안쪽 및 음순 내벽에 접하도록 하여 장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접혀 구부러지며, 표면측 시트가 외측이 되고, 이면측 시트가 내측이 되는 상태로 사용된다. 두 개로 접힌 음순간 패드는 접힘선을 따라 정상부를 구비하게 되고, 게다가 정상부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이면측 시트끼리가 접착됨으로써, 이 부분에 있어서의 정상부가 예리한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후단부에서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가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정상부가 예리한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장착하는 경우, 음순간 패드를 용이하게 음순 사이에 진입시키기 쉽다.
또한, 이면측 시트의 일면으로서, 흡수체와 접하는 측과 반대측 면에는 시트편(이하, 「미니 시트편」이라고 함)을 부착하여,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포켓을 형성하여도 좋다. 미니 시트편은, 이면측 시트의 일부를 덮어, 이의 한변 가장자리가 개구하여 포켓의 입구를 형성하고, 타변 가장자리부가 이면측 시트에 접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5) 상기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된 것인 (4)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순간 패드는 장착 후에 음순간 패드에 착압이 가해짐으로써 접착된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가 박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가 박리 가능하도록 접착되어 있으면,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장착하는 경우, 음순간 패드를 용이하게 음순 사이에 진입시키기 쉬우며, 또한, 장착 후의 자세 변화로 음순간 패드에 압력이 가해지면,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가 박리되며, 예리한 형상이 해소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부여하기 어렵다.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박리 가능하도록 접착하는 수단으로서는, 접착제 도공, 열융착 처리 및 맞물림(engaging) 가공 등이 있다.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접착하는 접착제로서는, 고무계나 올레핀계의 소재를 주성분으로 한 감압형 접착제나 감열형 접착제를 예로서 들 수 있다. 고무계의 소재로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의 소재로서는 직쇄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감열형 접착제는 체압에 의해 박리된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가 다시 접촉하였다고 해도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SEBS를 5∼25%,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를 40∼60%, 방향족 변성 테르펜을 1∼10% 및 첨가제를 15∼35%로 용융 혼합한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체압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체액 등을 흡수하여 습기를 띰으로써 박리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도 좋다. 습기에 의해 접착성이 변화하는 접착제로서는 감수성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혹은 젤라틴 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의 도공 위치는 후단부측의 이면측 시트에 도공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리한 형상이 되는 후단부가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로 구성되고, 흡수체가 이들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도공 위치는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 와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개로 접혀 마주 보는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의 사이에도 도공 위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의 사이에도 접착제를 도공함으로써, 접착제의 도공 피치가 미세한 서밋 건(Summit gun) 도공을 채용한 경우에도 확실하게 후단부에 접착제를 도공하여 후단부의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박리할 수 있도록 접착시키기 위해서는 접착제의 도공량 및 도공 면적을 매우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착제의 도공량 등을 적게 하면, 재단시에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와의 사이에서 배어 나오는 접착제의 양도 적어지지만,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공함으로써, 상호 대향하는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제의 도공 패턴은 스파이럴 도공, 컨트롤 심(seam) 도공, 코터(coater) 도공, 커튼 코터 도공 및 서밋 건 도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서밋 건 도공은 접합부와 비접합부와의 피치를 미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기초 중량은 1∼30 g/㎡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10 g/㎡의 범위이다. 이때, 후단부의 기초 중량을 다른 영역보다도 많게 하여, 열융착시키기 쉽게 하여도 좋다. 또한, 접착제가 선 형상으로 도공되어 있는 패턴으로 하는 경우는, 그 선 직경은 30∼30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표면측 시트가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기초 중량이 1 g/㎡보다 작거나 혹은 선 직경이 30 ㎛보다 작으면,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와의 사이에 도공한 접착제가 표면측 시트의 섬유 사이에 파묻혀 충분한 접합력을 얻을 수 없다. 한편, 기초 중량이 30 g/㎡보다 크 거나 혹은 선 직경이 300 ㎛보다 크면, 접착제를 도공한 주연부가 강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접착제의 도공 패턴은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를 접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접착하는 경우에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6) 상기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는 열융착 처리 또는 맞물림 가공에 의해 박리 가능하도록 접착되는 (5)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의하면, 대향하는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의 사이에, 접착제 등의 구성 부재를 개재시키지 않고서 예리한 형상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예리한 형상을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열융착에 의해 접착하는 예로서는 열융착 가능한 소재를 이용하여 음순간 패드를 구성하고, 제품을 절단할 때의 마찰열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즉, 흡수체를 피복 시트로 덮은 것을 커터날이 장착된 롤과 플랫롤과의 사이를 통하여 제품 형상으로 절단할 때, 커터날과 플랫롤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음순간 패드를 구성하는 소재를 연화시켜 열융착한다. 마찰열에 의해 열융착하는 소재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시킨 표면측 시트 혹은 이면측 시트나 접착제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러한 열융착성의 소재는 후단부에만 설치하여도 좋고, 또한, 후단부에 다른 영역보다 많은 열융착성의 소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후단부에 다른 영역보다도 연화점이 낮은 소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접착제의 도공에 의하지 않고, 적어도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박리 가능 하도록 접합시키는 다른 수단으로서는 음순간 패드를 구성하는 소재끼리의 맞물림에 의해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박리 가능하게 접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에서 흡수체를 피복하는 경우를 예로서 들면, 표면측 시트와 흡수체와 이면측 시트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를 길이 방향 중심선에 의해 두 개로 접은 후, 볼록형 엠보스롤과 오목형 엠보스롤과의 사이에 후단부를 통과시키면, 마주보는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가 서로 맞물린다. 또한, 음순간 패드를 두 개로 접기 전에,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를 각각 엠보스 가공하고, 그 후, 음순간 패드를 두 개로 접음으로써,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를 서로 맞물리게 하여도 좋다. 볼록형 엠보스롤의 볼록부는 예컨대, 높이 0.1∼2 mm의 범위, 간격은 0.2∼10 mm의 범위이며, 오목형 엠보스 로스의 오목부는 이것과 서로 맞물리는 형상이다.
(7) 상기 후단부의 폭이, 상기 전단부의 폭보다도 좁은 것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순 전방에 접하는 정상부의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가 음순 내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음순간 패드는 음순간 패드에 가해지는 음순간압과, 음순간압에 의해 압축되어 작동하는 음순간 패드로부터의 압축 반발력이 대항함으로써, 탈락하지 않고 음순 사이에 계속해서 머물게 된다. 또한, 소음순의 형상은 후방에 비해서 전방의 쪽이 두껍고 길기 때문에, 전방의 음순간압이 높다. 그리고 (7)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전단부의 폭이 후단부의 폭보다 넓기 때문에, 전단부의 압축 반발력 을 높여 음순간 패드가 쉽게 탈락되지 않게 할 수 있다.
(8) 상기 후단부에서의 정상부의 폭은 0.5 mm ∼ 5 mm이며, 상기 전단부에서의 정상부의 폭은 3 mm ∼ 15 mm인 (7)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후단부의 폭은 0.5∼5 mm의 범위, 전단부의 폭은 3∼15 mm이다. 정상부의 폭이 이 범위이면,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음순간 패드의 압축 반발력을 높일 수 있다. 후단부의 폭은 특히 1∼3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전단부의 폭은 특히 4∼1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단부의 폭과 후단부의 폭은 불연속적으로 변화하여도 상관없지만, 연속적으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구성하는 쪽이 음순 내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다른 음순간 패드의 선 Y-Y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평면도.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배면도.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후단부의 단면도.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전단부의 단면도.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손가락을 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후단부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전단부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손가락을 댄 상태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후단부의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전단부의 단면도.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후방의 일부가 개방된 음순의 정면도.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개방된 음순의 정면도.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착용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하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하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음순간 패드
10, 20, 30 : 정상부
10a, 20a, 30a : 전단부
10b, 20b, 30b : 후단부
11, 12, 21, 22, 31, 32 :측부
15, 25, 35 : 표면측 시트
16, 26, 36 : 이면측 시트
17, 27, 37 : 흡수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의 전체 사시도이다. 음순간 패드(1)는 착용자의 음순에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였을 때에 음순 전방과 접하는 부분을 전방, 음순 후방과 접하는 부분을 후방으로 하고, 도 1은 이 음순간 패드(1)를 전방측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이 음순간 패드(1)의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선 Y-Y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음순간 패드(1)는 흡수체(17)와, 피복 시트로서의 표면측 시트(15)를 구비한 대략 베개 형상이며, 길이 방향에 대략 반원통 형상의 정상부(10)가 연장되어 있다. 정상부(10)의 양측에는 측부(11 및 12)가 설치되어 있다. 음순간 패드(1)는 정상부(10)가 음순 내 안쪽에 있는 질 입구에 접하도록 하여 음순 사이에 장착되고, 측부(11, 12)는 대향하는 한 쌍의 음순 내벽의 각각과 접한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정상부(10)로부터 수직 방향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바닥부(14)로 되어 있으며, 이 바닥부(14)는 음순으로부터 밀려나와도 좋다.
정상부(10)에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단부(10a) 및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단부(10b)가 있으며, 후단부(10b)는 폭이 전단부(10a)보다 좁고, 예리한 형상을 이룬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전단부(10a)의 폭(W1)보다 도 3에 도시하는 후단부(10b)의 폭(W2)이 좁다. 또한, 정상부(10)의 각도도 전단부(10a)측으로부터 후단부(10b)로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즉 전단부(10a)의 각도(θ1)보다도 후단부(10b)의 각도(θ2)가 작다. 즉, 예리한 형상이란, 구체적으로는 후단부(10b)의 폭(W2)이 0.5∼5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3 mm의 범위인 것을 가리킨다. 또한, 후단부(10b)의 각도(θ2)가 2∼45°, 특히 3∼20°의 범위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전단부(10a)의 폭(W1)은 3.0∼15.0 mm의 범위, 특히 4.0∼1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각도(θ1)는 30∼150°, 특히 40∼80°의 범위이면 바람직하다. 정상부(10)의 각도는 전단부(10a)로부터 후단부(10b)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즉 불연속적으로 변화시켜도 상관없지만, 도 1의 음순간 패드(1)와 같이 점차적으로 간격을 마련해 두는 쪽이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1)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여기서, 정상부(10)의 폭 및 각도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상부(10)의 폭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상태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11, 12)와 정상부(10)가 접하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선(가상 수평선)의 길이를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전단부(10a)에 대해서는 점(M1)과 점(M2)과의 거리가 그 폭(W1)이다. 마찬가지로, 후단부(10b)에 대해서는 점(N1)과 점(N2)을 연결하는 선의 길이가 폭(W2)이다.
정상부(10)의 각도는 가상 수평선에 직교하고, 정상부(10)의 폭 방향의 중심을 통하여 측부(11, 12)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중심축 C)과 정상부(10)가 교차하는 점으로부터 정상부(10)와 측부(11, 12)가 접하는 점(도 2 점 M1, M2)을 그은 2 직선의 교각이며, 도 2의 θ1, 도 3의 θ2이다. 또한, 폭 및 각도를 측정하는 경우, 샘플은 음순간 패드를 포장 용기로부터 취출하였을 때의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대략 무하중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정상부(10)와 바닥부(14)와의 폭의 치수비, 즉 전방측에서는 정상부(10)의 폭(W1)과, 바닥부(14)의 폭(W1')과의 치수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정상부(10)로부터 바닥부(14)에 걸쳐서는 폭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의 바닥부(14)측의 폭(W1')은 정상부(10)측의 폭(W1)과 동등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음순은 전정상(前庭床) 부근에서는 소음순의 외측에 대음순이 위치하여 소음순 선단으로부터 전정상을 향하여 음순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 음순간압의 경사에 맞춰 압축 반발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음순간 패드(1)를 탈락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후방의 폭(W2)과 폭(W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정상부(10)의 전단부(10a)란, 정상부(10)의 음순 사이에 삽입되는 영역, 즉 음순 내 안쪽에 접하는 영역에서의 음순간 패드(1)의 전방측 부분을 가리키고, 음순간으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의 정상부(10)의 폭 및 각도에 한정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음순간으로부터 노출되는 정상부(10)의 폭은 W1이나 W1'의 범위라도 W2나 W2'의 범위라도 좋고, 각도는 θ1의 범위라도 θ2의 범위라도 좋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1)는 정상부(10)의 전단부(10a)의 폭이 가장 크고, 후방[즉 후단부(10b)] 및 바닥부(14)에 걸쳐서 폭이 좁아지도록 하여 압축 반발력이 저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2)에 대해서, 도 4∼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음순간 패드(2)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평판 형상의 흡수체(27)와, 이 흡수체(27)를 피복하는 표면측 시트(25)와, 이면측 시트(26)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복 시트는 액투과성의 표면측 시트(25)와 액난투과성의 이면측 시트(26)로 구성된다.
도 4는 이 음순간 패드(2)의 전방측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며, 음순간 패드(2)는 이면측 시트(26)의 대향하는 측부끼리가 접하도록 하여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두 개로 접히고, 접힘선을 따라 음순간 패드(2)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정상부(20)가 형성된다. 정상부(20)의 양측은 음순간 패드(2)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음순 내벽과 접하는 측부(21, 22)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음순간 패드(2)의 후방측에서 대향하는 이면측 시트(26)의 측부끼리는 박리 가능하도록 접착되고, 예리한 형상의 후단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음순간 패드(2)를 정상부(20)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6은 후방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상부(20)는 음순간 패드(2)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서 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후단부(20b)의 대략 대극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음순 전방과 접하는 전단부(20a)로 되어 있다. 전단부(20a)로부터 전방측은 음순간 패드(2)를 장착하였을 때, 음순으로부터 밀려나오는 노출부(20c)로 되어 있다.
도 7은 정상부(20)의 후단부(20b)의 폭 방향, 즉 화살표 P-P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전단부(20a)의 폭 방향, 즉 화살표 Q-Q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부(20b)는 표면측 시트(25)와 이면측 시트(26)로만 형성되어 있다. 즉, 표면측 시트(25)와 이면측 시트(26)와의 사이에 흡수체(27)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이면측 시트(26)의 측부끼리가 접착되어 폭이 좁으며, 각도가 작은 예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전단부(20a)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면측 시트(26)의 측부끼리는 접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표면측 시트(25)와 이면측 시트(26)가 접하고 있는 부분은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3개의 평행선이 도시되는 한편, 도 7에 있어서,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5개의 평행선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음순간 패드(2)의 표면측 시트(25)끼리는 표면측 시트(25)와 이면측 시트(26)와의 사이에 도공된 접착제가 재단시에 양시트 사이로부터 배어 나와 표면측 시트(25)끼리를 접착하고 있는 것에 의한다. 즉, 후단부(20b)의 단면도인 도 7에 있어서는 표면측 시트(25)와 이면측 시트(26)가 적층된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 데 대하여, 도 6에 있어서는 후단부(20b)의 단부면이 두 개로 접힌 표면측 시트(25)에 의해 덮인 상태의 음순간 패드(2)를 후방에서 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음순간 패드(2)와 같이, 후단부(20b)의 단부면이 표면측 시트(25)로 덮여져 있는 것에 의해, 표면측 시트(25)와 이면측 시트(26)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재단시에 배어 나온 접착제가 착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음순간 패드(2)의 이면측 시트(26)에 손가락(F)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의 음순간 패드(2)의 후단부(20b)의 화살표 P-P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전단부(20a)의 화살표 Q-Q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가락(F)를 이면측 시트(26)에 삽입하면, 전단부(20a)의 형상은 변화하지만, 후단부(20b)는 예리한 형상을 유지한다. 또한, 음순간 패드(2)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2)의 변형예인 제3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음순간 패드(3)의 이면 시트(36)측에 손가락(F)을 삽입한 상태로 정상부(30)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이 음순간 패드(3)는 전방의 이면측 시트(36)의 측부에 접착제가 도공되고, 전방측의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가 접착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음순간 패드(2)와 동일구성이다.
이 음순간 패드(3)는 전방측의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정상부(30)의 전단부(30a)의 폭(W32) 및 각도는 음순간 패드(3)에 손가락이 삽입되어도 거의 변동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음순의 전방이 개방되기 어려운 경우에도 음순간 패드(3)는 음순의 전방으로도 진입하기 쉽고, 음순간 패드(3)의 전방도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이 삽입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전단부(30a)의 폭(W32)은 4.0∼8.0 mm의 범위, 각도는 30∼80°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전단부(30a)의 폭(W32) 및 각도를 변동하기 어렵게 하는 수단은,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를 접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는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 접착할 수 있다. 이면측 시트(36)끼리가 접착되는 부분으로서는 음순간 패드(3)의 정상부(30) 전단부로부터 측부(31, 32) 방향으로 15 mm 이내, 바람직하게는 10 mm 이내이며, 이 범위보다 크면 손가락으로 전정상을 감지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적절한 위치에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기 어려워진다.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접착하는 경우, 접착된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는 착압에 의해 박리 가능하도록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가능하도록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를 접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접착제의 도공, 열융착 및 맞물림 엠보스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평판 형상의 음순간 패드로서, 두 개로 접힌 상태에서 사용되는 음순간 패드의 이면측 시트에는 미니 시트편을 부착하여도 좋다. 미니 시트편은 이면측 시트의 일부를 덮고, 음순간 패드의 주변 가장자리에서 이면측 시트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니 시트편을 설치함으로써, 미니 시트편과 이면측 시트와의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용 개구가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손가락에 음순간 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개별로 포장 용기에 수용되어도 좋다. 개개의 음순간 패드를 각각 별개의 포장 용기(개별 포장 용기)에 수용함으로써, 음순간 패드를 위생적으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음순간 패드의 사용 방법>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를 음순(5)에 삽입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6은 후방(7)의 일부가 개방된 음순(5)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음순(5)의 사이를 개방하여 음순간 패드(1)의 삽입을 진행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18은 후방(7)으로부터 전방(6)에 걸쳐서 넓게 개방된 상태의 음순(5)의 정면도이다. 음순간 패드(1)는 등측에 위치하고, 짧고 얇아 개방하기 쉬운 음순 후방(7)으로부터 음순(5) 사이에 삽입하며, 음순 내벽에 측부(11, 12)가 접하는 상태에서 음순간압과, 음순간 패드의 압축 반발력에 의해, 음순 사이에 협지된다.
그런데, 여성이 기립한 상태에서 대퇴부측으로부터 질 입구에 걸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음순의 깊이는 개인차가 있지만, 평균값로서는 14 mm 정도이다. 이 때문에, 음순간 패드는, 기립한 상태에서 대퇴부측으로부터 질 입구에 걸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4 mm 내 영역의 음순 내에 장착된다. 또한, 음순 사이에 장착되기 전과 후에 형태가 변화하는 음순간 패드, 예컨대 대략 평판 형상이며, 두 개로 접혀 장착되는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양 폭 방향으로 각각 14 mm 내의 부분이 음순 내에 협지된다.
또한, 음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연장되는 길이의 평균값은 55 mm 이며, 질 입구로부터 전방으로 50 mm, 후방으로 5 mm이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는 질 입구와 접하는 위치로부터 전방측에서는 50 mm 내, 후방측에서는 5 mm 내의 부분이 음순 내에 협지된다.
이 때문에, 음순간 패드는 형상에 관계없이, 외형의 연장 치수는 길이 방향 40∼180 mm가 바람직하고, 80∼120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은 20∼100 mm가 바람직하고, 50∼8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으로의 연장 치수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전정상으로부터 질 입구에 걸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치수이다. 음순간 패드가 음순의 길이 및/또는 폭보다 큰 경우, 음순간 패드의 일부가 음순으로부터 노출되지만, 이러한 노출부(도 5의 20c)가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음순간 패드의 형상은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베개 형상이며,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타원 형상을 두 개로 접은 형상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성의 음순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이면 좋다. 여성의 음순에 적합한 다른 형상으로서는 표주박형, 물방울형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2)를 장착하는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가락(F)을 이면측 시트(26)의 대략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라 삽입하고, 정상부(20)의 후단부(20b)로부터 음순 후방으로 음순간 패드(2)를 삽입한다. 음순간 패드(2)는 후단부(20b)에서 이면측 시트(26)의 측부끼리는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 7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부(20b)의 폭(W21)은 손가락(F)의 삽입 전후로 변동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10에 있어서, 손가락(F)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후단부(20b)의 폭(W21)은 1.0∼3.0 mm의 범위, 각도는 3∼20°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음순간 패드(2)의 정상부(20)의 후단부(20b) 형상은 손가락(F)이 삽입되어도 예리한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음순 사이에 삽입된다. 음순간 패드(2)는 음순 후방에 후단부(20b)를 삽입한 후, 손가락으로 음순 전방을 넓히도록 하여 폭이 넓은 전단부(20a)가 음순 전방에 삽입되고, 음순 사이에 장착된다.
도 19는 음순 내에 장착되고, 변형된 상태의 음순간 패드(2)를 도시한다. 음순 내에 장착된 음순간 패드(2)는 측부(21, 22)가 음순 내벽과 접촉하고, 정상부(20)가 음순 내 안쪽의 질 입구(전정상)에 접한다. 음순간 패드(2)의 전단부(20a)에 위치하는 이면측 시트(26)의 측부끼리는 접착되어 있지 않고, 유리(遊離) 가능하며, 착용자의 자세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착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다. 이 때문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맞춰 음순간 패드(20)는 변형하고, 음순 내벽에 밀착되어 경혈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단부(20b)에서 접착된 이면측 시트(26)의 측부끼리는 음순간 패드(2)의 장착 후,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착압에 의해 박리되며, 음순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한편, 도 12∼14에 도시하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3)에서는 전단부(30b)의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가 박리 가능하도록 접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상부(30)의 전단부(30a)의 폭(W32)은 손가락(F)이 삽입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하다. 이 음순간 패드(3)의 전단부(30a)에 위치하는 이면측 시트(36)는 접착되어 있지만, 전단부(30a)의 접착 부분은 착용자의 착압에 의해 박리 가능하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3)의 장착 후, 접착된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가 박리하고, 음순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음순간 패드(3)는 보다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단부(30b)의 접착된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도 박리 가능하며, 음순간 패드(3)는 후단부(30b)에서도 음순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음순간 패드의 구성 재료>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구성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수체]
흡수체가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부여하지 않는 압축성을 갖기 위해서는 부피가 큰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형태가 쉽게 붕괴되지 않고,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는 종이, 단독 혹은 복합의 합성 섬유 또는 그 밖의 재료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흡수체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예컨대 천연 펄프, 화학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천연 코튼, 고분자 흡수체 및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소재 중에서도 부피가 큰 소재라는 점에서 물리적으로 엠보스 가공된 레이온이나 아세테이트, 가교제에 의해 가교시켜 권축된 화학 펄프, 또는 복합 합성 섬유 등을 주성분으로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복합의 합성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수지의 열수축률을 이용한 코어시스(core-sheath) 타입, 코어시스의 편심(eccentric) 타입,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타입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사 시점에서 연신시킴으로써 분자 배향을 높인 섬유나, 단면 형상이 Y 형이나 C 형 등의 이형 섬유가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섬유간의 미끄러짐(slipping)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오일제가 섬유에 도포되어 있거나 또는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의 소재를 에어레이드법, 스펀레이스법, 초지법, 또는 멜트블로운법 등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한 것을 니들링(needling), 또는 도트 형상, 격자 형상 혹은 물결 형상 등의 엠보스 패턴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흡수체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의 흡수체에는 유연성을 얻기 위해 슬릿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엠보스 면적률은 0.1∼6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30%의 범위이다.
흡수체의 구체예로서는 PE와 PP가 혼합된 코어시스 편심 타입의 합성 섬유(섬유 길이 51 mm, 섬유의 권축률 60%이고, 친수유제가 0.2% 부착되며, 섬도 4.4 dtex인 것)를 5∼100%와, 레이온(섬유 길이 51 mm, 섬유의 권축률 50%, 친수유제가 0.2% 부착되고, 섬도 3.3 dtex인 것)을 95∼0%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개섬하여 포집한 후, 도트 형상의 엠보스 패턴으로 엠보스 가공을 한 것을 들 수 있다.
[표면측 시트]
표면측 시트는 체액을 투과시키는 액투과성 및 액체 친수성을 구비하고, 피부에 자극을 부여하지 않는 소재로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측 시트는 합성 섬유를 포인트 본드법이나 에어스루법 등에 의해, 단독 또는 복합하여 구성한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투과 구멍을 갖는 필름이나, 섬유층에 필름이 라미네이트 가공되어 투과 구멍을 갖는 복합 필름 등으로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여도 좋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PE, PP 및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소재로 하여 각 수지를 단독, 또는 코어시스 타입, 코어시스의 편심 타입 혹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복합 섬유로 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체액과의 친수성도 고려하면, 부직포에는 전술한 합성 섬유 이외에 천연 펄프, 화학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및 천연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계의 액친수성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소재 중에서 특히,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를 5∼3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70∼95%의 비율로 혼합한 섬유를, 20∼60 g/㎡의 범위로 조정한 후, 수류 교락(hydroentaglement)에 의해 섬유끼리를 체결시켜 건조시키고, 두께를 0.3∼1.0 mm의 범위로 조정한 스펀 레이스 부직포는 표면측 시트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면측 시트]
이면측 시트는 액체를 투과시키기 어렵고, 흡수체에 유지된 경혈이 음순간 패드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난투과성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이면측 시트를 투습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음순간 패드 장착시의 습기에 의한 답답함을 저감하고, 장착시에 있어서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액난투과성의 시트로서는 두께 15∼60 ㎛의 PE, PP, PET, 폴리비닐알콜, 폴리락트산 또는 폴리부틸석시네이트로 구성된 필름, 부직포, 종이 및 이들을 라미네이트 가공한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에 무기 필러를 충전시켜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통기성 필름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초 중량을 15∼30 g/㎡의 범위로 조정한 필름, 또는 개공 면적률을 10∼30%로, 또는 구멍 직경을 0.1∼0.6 mm의 범위로 조정한 통기성 필름을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예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포인트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에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극세 섬유로 구성되고, 섬유간 거리가 매우 작은 멜트블로운을 포함하는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성)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초 중량은 스펀본드층 5∼15 g/㎡, 멜트블로운층 1∼10 g/㎡, 스펀본드층 5∼15 g/㎡의 범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니 시트편]
미니 시트편으로서는 표면측 시트 및 이면측 시트로 예를 든 것이라도 상관없다. 나아가서는, 탄성력이 있는 섬유(탄성 섬유)의 적층체, 필름 또는 기포를 갖는 발포화된 재료가 이용된다. 탄성 섬유는 PE, PP 및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고, 각 수지를 단독 혹은 코어시스 타입, 코어시스의 편심 타입,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으로 복합되어 이루어지는 섬유이며, 이러한 섬유에 기계 권축 혹은 열 등에 의해 2차 권축을 실시한 섬유가 탄성력을 가지며, 바람직하다. 탄성력과 강성에 의한 착용감을 고려하면, 섬도 0.5∼8.8 dtex이며 섬유 길이 3∼64 mm로 선택되고, 두께를 0.2∼3.0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1.5 mm의 범위로 조정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탄성력이 있는 섬유의 적층체로서는, 예컨대 탄성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를 들 수 있고, 탄성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의 제법으로서는 에어스루법, 포인트본드법, 스펀본드법 및 스펀레이스법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섬유를 카드로 적층하고, 열가소성 섬유의 용융에 의해 본딩하는 에어스루법으로 형성된 부직포는 반발 탄성력를 얻을 수 있어 적합하게 이용된다. 물론,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포인트본드법, 스펀본드법, 또는 스펀레이스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연속 필라멘트를 방사하여 열엠보스로 본딩하는 스펀본드 부직포도 이용되고, 스펀본드에 멜트블로운을 분사하여 본딩한 SMS 부직포도 이용할 수 있다. 섬유 적층 후에 표면에 바인더를 도포함으로써 본딩하는 케미컬본드법이나 에어레이드법도 부직포의 제법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한 소재를 단일로 이용하거나, 접착제나 엠보스로 고정하여 다층화한 시트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엠보스 패턴에 의해 반발력이나 두께를 조정한 시트도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필름으로서는 탄성력을 갖는 PE, PP 혹은 PET 또는 고탄성을 갖는 우레탄 혹은 고무 등의 수지를 T 다이나 인플레이션으로 단일, 복합, 또는 다층으로 압출한 것을 들 수 있다.
발포화한 재료로서는, 탄성력을 갖는 PE 혹은 PP 또는 고탄성을 갖는 우레탄 혹은 고무 등의 수지를 발포화한 재료를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흡수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스펀지도 이용된다. 또한, 발포체는 연속형이라도 독립형이라도 상관없다.
[개별 포장 용기]
개별 포장 용기로서는 두께 15∼60 ㎛의 PE, PP, PET, 폴리비닐알콜, 폴리락트산, 또는 폴리부틸석시네이트 필름, 부직포, 종이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 재료를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수지 배향을 높이기 위해 연신 가공을 실시한 필름을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예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포인트본드 부직포 및 에어스루 부직포 등을 들 수 있고, 이것에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SMS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 기초 중량은 스펀본드층 5∼15 g/㎡, 멜트블로운층 1∼10 g/㎡, 스펀 본드층 5∼15 g/㎡의 범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0∼80%,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100∼20%의 범위로 혼합하여, 기초 중량 15∼35 g/㎡의 범위로 조정한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개별 포장 용기는 음순간 패드로 흡수된 경혈의 색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료를 0.2∼10%의 범위로 혼합하거나 혹은 잉크 등이 인쇄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의 음순간 패드나 개별 포장 용기는 수세 가능하도록 수분산성 소재나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져도 상관없다.
<음순간 패드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3)를 예로서, 음순간 패드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20 및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은 음순간 패드(3)의 하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음순간 패드(3)의 제조 개략은 이하와 같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측 시트(36)와 이면측 시트(36)와의 사이에 흡수체(37)를 사이에 둔 적층체(도시하지 않음)를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가 마주 보도록 두 개로 접어 반송하고, 흡수체(37)보다도 크게 한 커터 형상을 따라 적층체를 절단하여, 재단체(300)를 얻는다. 이 재단체(300)의 재단된 개소가 표면측 시트(35)와 이면측 시트(36)와의 사이에서 배어 나오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두 개로 접어 마주 보는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는 박리 가능하도록 접착된 박리 가능한 접합부가 된다. 그 후, 이 접합부의 일부에서, 이면측 시트(36)를 박리하여 접합부를 일부 개방하고, 전단부(30a) 및 후단부(30b)에 위치하는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36)가 박리 가능하게 접착된 음순간 패드(3)를 얻는다.
여기서, 접합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수체(37)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적층체를 재단한 후, 얻어진 재단체(300)를 2개의 띠 형상의 반송 벨트(50)로 협지하여 반송한다. 한 쌍의 반송 벨트(50)는 재단체(300)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소정 거리 이격하여 마주 보고 있다. 반송 벨트(50)에 협지되어 반송되는 재단체(300)의 일부에, 노즐(51)로부터 압축 공기가 분사되고, 재단체(300)의 일부에서의 이면측 시트(36)끼리가 이 공기의 풍압에 의해 박리된다.
공기의 풍압을 효율적으로 재단체(300)에 가하기 위해서는 노즐(51)은 접합부에 대해서 평행하며, 또한, 접합부의 한 가운데에 분사되는 위치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51)의 선단으로부터 접합부까지의 거리는 1∼100 mm의 범위, 특히, 5∼3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1 mm보다 작으면, 재단체(30)가 반송도중에 사행된 경우 노즐(51)에 충돌하고, 더욱 사행될 위험성이 있으며, 100 mm보다 크면, 공기의 풍압을 효율적으로 접합부에 가할 수 없다.
노즐(51)로부터 송출되는 공기의 풍압은 0.01∼5.00 MPa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1∼1.00 MPa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0.01 MPa보다 작으면 이면측 시트(36)끼리를 박리하는 힘이 약하고, 접합부를 충분히 개방할 수 없게 되며, 5.00 MPa보다 크면 재단체(300)가 반송 도중에 사행되어 버린다.
재단체(300)의 접합부는 반송 벨트(50)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면, 공기의 풍압이 가해지기가 더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두 개로 접힌 재단체(300)의 폭(a)은 반송 벨트(50)의 폭(b)보다 크고, 접합부가 노출되는 위치에서 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송 벨트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폭은 a-b(mm)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정상부(30)가 형성되는 부분은 반송 벨트(50)로 협지되지 않기 때문에, 접힘선이 강도 높게 접혀도 정상부(30)의 강성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를 분사하여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가 접착된 부분을 박리시킴으로써, 음순간 패드(3)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가 서로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적층체를 재단하는 커터날은 사용을 계속함으로써, 날이 망가지게 되고, 재단면에서 섬유가 얽혀, 미니 시트편의 섬유가 이면측 시트(36)의 섬유와 교락하고,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가 개방되기 어려운 문제나, 표면측 시트(35)의 섬유끼리가 얽혀 보풀이 발생하는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섬유의 교락을 방지하여 장착하기 쉬우며, 또한 착용감이 우수한 음순간 패드(3)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가 접착된 재단체(300)는 저항물과 접촉함으로써 변형하고, 그 충격으로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가 박리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1은 재단체(30)를 저항물과 접촉시키고,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를 박리시키는 예를 도시한다. 반송 벨트(50)에 의해 협지되어 반송되는 재단체(300)는 반송 벨트(50)로부터 밀려나온 부분이 원통 형상의 저항물(52)과 접촉한다. 저항물(52)과 접촉한 재단체(300)의 부분은 반송 벨트(50)측에 압박됨으로써, 이면측 시트(36)가 넓어지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도 21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변형하여 박리된다. 저항물(52)은 접합부를 개방할 수 있고, 또한 재단체(300)를 사행시키지 않을 정도의 충격을 부여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원기둥의 바나 회전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롤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단부(30a)와 후단부(30b)에 있어서 이면측 시트(36)의 측부끼리가 박리 가능하도록 접착된 음순간 패드(3)는 음순에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두 개로 접은 상태로 반송하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반송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음순 사이에 끼워져 사용되는 음순간 패드로서,
    장착 상태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음순 내벽과 접하는 한 쌍의 측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부끼리를 연결하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음순 내 안쪽에 접하는 정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부는 음순 전방과 접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의 대극에 위치하는 후단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후단부가 예리한 형상인 음순간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부는 상기 후단부에서의 각도가 상기 전단부에서의 각도보다도 작은 음순간 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에서의 정상부의 각도는 2°∼ 45°이며, 상기 전단부에서의 정상부의 각도는 30°∼ 150°인 음순간 패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액을 흡수하는 대략 평판 형상의 흡수체,
    상기 흡수체의 한 쪽 면을 피복하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신체에 접하는 표면측 시트, 및
    상기 흡수체의 다른 쪽 면을 피복하는 이면측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부는 상기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가 대향하도록 음순간 패드가 두 개로 접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정상부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는 상기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가 접착됨으로써 예리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음순간 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된 것인 음순간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시트의 측부끼리는 열융착 처리 또는 맞물림(engaging) 가공에 의해 박리 가능하도록 접착된 것인 음순간 패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의 폭이 상기 전단부의 폭보다도 좁은 음순간 패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에서의 정상부의 폭은 0.5 mm ∼ 5 mm이며, 상기 전단부에서의 정상부의 폭은 3 mm ∼ 15 mm인 음순간 패드.
KR1020067023806A 2004-05-28 2005-05-26 음순간 패드 KR101166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0162 2004-05-28
JP2004160162A JP4694149B2 (ja) 2004-05-28 2004-05-28 陰唇間パッド
PCT/JP2005/009672 WO2005115291A1 (ja) 2004-05-28 2005-05-26 陰唇間パ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526A true KR20070024526A (ko) 2007-03-02
KR101166593B1 KR101166593B1 (ko) 2012-07-18

Family

ID=3544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806A KR101166593B1 (ko) 2004-05-28 2005-05-26 음순간 패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29243B2 (ko)
JP (1) JP4694149B2 (ko)
KR (1) KR101166593B1 (ko)
CN (1) CN100536807C (ko)
TW (1) TWI351945B (ko)
WO (1) WO2005115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8028B2 (ja) * 2009-02-06 2014-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6373216B2 (ja) * 2015-03-31 2018-08-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D934590S1 (en) * 2018-07-12 2021-11-02 Peter Cordani Hand pillow
USD924393S1 (en) * 2019-04-12 2021-07-06 Poh Leng Jeffrey CHUA Disposable nursing pad
US11504265B2 (en) * 2020-06-18 2022-11-22 Medline Industries, Lp Urine coll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1333U (ko) * 1981-05-29 1982-12-04
US4595392A (en) * 1983-10-03 1986-06-17 Kimberly-Clark Corporation Interlabial pad
US4631062A (en) 1984-09-27 1986-12-23 Kimberly-Clark Corporation Labial sanitary pad
CA1247303A (en) * 1984-05-21 1988-12-28 Frederich O. Lassen Labial sanitary pad
US4846824A (en) * 1984-05-21 1989-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Labial sanitary pad
US4673403A (en) * 1985-10-30 1987-06-16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pad allowing improved placement of catamenial device
US5672165A (en) * 1992-10-19 1997-09-30 Belecky; June Marian Menstrual hygiene product
USD404814S (en) * 1997-02-28 1999-01-26 The Procter & Gamble Co. Interlabial absorbent device
ATE231712T1 (de) 1998-05-01 2003-02-15 Procter & Gamble Interlabiale, absorbierende vorrichtung mit einer einstückig angeformten grifflasche
SE514972C2 (sv) * 1999-09-09 2001-05-21 Sca Hygiene Prod Ab Dambinda med en längsgående ås i sin bakre del
JP2001327527A (ja) * 2000-03-14 2001-11-27 Fusae Aoki 衛生用部材とその製造方法
CA2446007C (en) * 2001-05-22 2007-08-14 Uni-Charm Corporation Interlabial pad
ES2338533T3 (es) 2001-05-22 2010-05-10 Uni-Charm Corporation Compresa interlabial.
EP1407742B1 (en) * 2001-05-22 2009-03-04 Uni-Charm Corporation Interlabial pad
KR100808893B1 (ko) * 2001-05-22 2008-03-03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JP4632597B2 (ja) 2001-05-22 2011-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包装体及び陰唇間パッドの製造方法
US7288080B2 (en) 2001-06-08 2007-10-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bial pad
JP4077691B2 (ja) 2002-05-09 2008-04-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吸収性物品、生理用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生理用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4566522B2 (ja) 2002-08-30 2010-10-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装置
JP4311920B2 (ja) 2002-09-12 2009-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4244128B2 (ja) 2002-10-03 2009-03-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構成用の表面側シートおよび陰唇間パッド
JP2004202165A (ja) * 2002-12-24 2004-07-22 Fumiko Hirayama 経血誘導式生理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34485A (ja) 2005-12-08
WO2005115291A1 (ja) 2005-12-08
CN1956690A (zh) 2007-05-02
CN100536807C (zh) 2009-09-09
US20050273069A1 (en) 2005-12-08
TWI351945B (en) 2011-11-11
TW200608946A (en) 2006-03-16
KR101166593B1 (ko) 2012-07-18
US7329243B2 (en) 2008-02-12
JP4694149B2 (ja)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5878B (zh) 吸收性物品
KR101013923B1 (ko) 생리용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US20040167491A1 (en) Interlabial product having form for finger securement, and individual package
JP2004089392A (ja) 吸収性物品
JP4990003B2 (ja) 吸収性物品
JP4482466B2 (ja) 陰唇間パッド
KR101166593B1 (ko) 음순간 패드
JPWO2002094153A1 (ja) 陰唇間パッド
JP4275421B2 (ja) 吸収性物品
EP1547559A1 (en) Front face sheet and intralabial pad
EP1693032B1 (en) Inter-labium pad
JP4953611B2 (ja) 陰唇間パッド
US8211075B2 (en) Interlabial pad
JP4152760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64697B1 (ko) 음순간 패드
JP4719735B2 (ja) 陰唇間パッドの製造装置
JP4077691B2 (ja) 生理用吸収性物品、生理用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生理用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3960960B2 (ja) 吸収性製品及び吸収性製品の製造装置
JP5058543B2 (ja) 補助吸収性物品
JP4420773B2 (ja) 陰唇間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