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608A - 복합 천장 타일 - Google Patents

복합 천장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608A
KR20070023608A KR1020060080697A KR20060080697A KR20070023608A KR 20070023608 A KR20070023608 A KR 20070023608A KR 1020060080697 A KR1020060080697 A KR 1020060080697A KR 20060080697 A KR20060080697 A KR 20060080697A KR 20070023608 A KR20070023608 A KR 2007002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oard
phaser
ceiling tile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589B1 (ko
Inventor
미르자 에이. 베이그
존 제이. 폴리너
테리 카우치
Original Assignee
유에스지인테리어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스지인테리어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유에스지인테리어스,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2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being la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faces, e.g. holes,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fibres or chip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or with an outer layer of fibres or ch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4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plastics, fibrous material or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per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경제적으로 제조되고 복합물로서 형성된, 개선된 클린 룸(clean room)용 천장 타일은 베이스 보드 및 상기 베이스 보드에 래미네이트되고, 최종 코팅된 페이퍼 페이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보드는 여분의 두께를 가지도록 만들어지고 소망하는 캘리퍼(caliper)를 위해 기계가공된다. 상기 기계가공된 보드는 점토 피막(clay coating)으로 덮인 후 수계 접착제로 코팅된다.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수계 접착제로 상기 보드에 래미네이트되고 젖은 수계 스크러버블 코팅으로 최종 코팅된다.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쉽게 래미네이트될 수 있고, 베이스 보드 표면에 표면 결함의 우수한 커버리지(coverage)를 나타내며, 수계 최종 코팅과 완전히 융화될 수 있고, 타일의 내 새그성(sag resistance)에 기여한다.
천장 타일(ceiling tile), 페이퍼 페이서(paper facer), 점토 피막(clay coating), 레미네이션(lamination), 내 새그성(sag resistance)

Description

복합 천장 타일{COMPOSITE CEILING TILE}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천장 타일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예시적인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설명을 위하여 확대된 두께의 어떤 층들을 갖는 본 발명의 복합 타일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고, 상기 타일은 그것이 이용되는 방향과 반대로 나타낸다.
도 3은 타일의 표면상에 프린트된 패턴의 대표적인 미소 영역(약 4-3/4"×8")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천장용(suspended ceilings) 타일의 개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합 다층 천장 타일(composite multilayer ceiling tile)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천장용 타일 구조물이 상품화되고 있다. 어느 제품 라인의 이러한 일반적 분류의 상품들은 상업적 주방, 레스토랑, 병원, 제약 환경 및 다른 상업적 환경에 이용되는 "클린 룸(clean room)" 타일로 불려지고, 이곳은 먼지, 기름, 때 또 는 다른 재료가 천장에 공기 혼입되고(air entrained), 더럽히고(splashed), 스프레이되고(sprayed), 추진되고(propelled) 혹은 유도되지(directed) 않도록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요구를 필요로 하는 곳이다. 클린 룸 타일의 일반적인 구조물은 보드를 포함하고, 이 보드의 일 면에는 비닐 시트 또는 비닐의 조합 및 금속포일(metal foil) 시트가 래미네이트되어 있으며, 설치된 방향으로, 타일의 노출된 보이는 면을 형성한다. 양자의 구조물에서, 비닐 시트는 그것의 서비스 수명 동안 때때로 적셔 닦여지거나(wet wipe) 스크럽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비닐 또는 비닐/포일 페이서는 천장 타일에 상당한 비용을 부가한다. 비닐 단독으로 사용될 때, 시너(thinner) 시트는 "불량(strike-through)"하고, 시트로 인해 보드의 면에 표면 결함이 나타나거나 표시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구조물과 비교할 때 경제적으로 제조되고 외관상 및 내 새그성에 대하여 개선을 제공하는 클린 룸(clean room)용 천장 타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갖는 타일은 비교적 경량의 보드 스톡(stock), 페이퍼 페이서(paper facer) 및 리퀴드가 부가된 최종 코팅(liquid applied finish coating)으로 구성된 복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드는 타일의 최종면을 향하는 한 면을 가지고, 이 면은 균일한 두께와 비교적 부드러운 마무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플레이닝(planing), 그라인딩(grinding), 샌딩(sanding)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기계가공된다.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종래에 이용된 비닐 페이서 재료에 비하여 비교적 두껍고 비 확장성을 갖는다.(inextensible). 상기 페이퍼의 이러한 특징과 그것이 래미네이트 되는 공정에 의해 거시적 엘리베이션(macroscopic elevations) 또는 디프레션(depressions)의 형태로 상기 보드의 기계가공된 면상에 존재하는 표면 결함을 갖는 불량의 위험이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상기 보드에 결합된, 페이퍼 페이서는 수계 페인트와 같은 재료로 원위치에 코팅되어 타일의 최종 보이는 면을 만들고 습윤 내마멸성(wet abrasion resistant) 또는 스크럽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상기 개시된 타일 구조물은 저감된 비용뿐만 아니라, 타일의 내 새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의 효과는 상기 페이퍼 페이서가 제조시 이송되는 방향인 기계가공 방향이 상기 보드의 기계가공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열될 때 이롭게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보드와 페이퍼 페이서의 강도는 수평방향으로 상호간에 내 새그성을 개선한다. 이른바, "클린 룸(clen room)" 천장 타일 외에도, 본 발명은 보이는 면이 스크럽할 수 있는 조건이 필요없는 일반적인 서비스를 위해 계획된 타일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모재 보드(11)는 미국 특허 제 6,443,256호 또는 여기서 인용된 특허에서 개시된 것과 같이 잘 알려진 적합한 공정과 제형(formulation)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모재 보드를 형성하는 재료는 제형화되어 내화성 및 흡음성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약 18~22lbs/cf(cubic foot)의 비교적 저밀도를 나타내도록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모재 보드(11)는 전분(starch) 또는 라텍스(latex) 및 예컨대 미네랄 섬유(mineral fiber), 팽창 펄라이트(expanded perlite), 셀룰로오스 섬유(cellulose fiber)와 같은 바인더(binder)를 포함할 것이고, 이것들은 보드가 수계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로부터 형성되기에 충분한 친수성 재료이다. 예컨대, 상기 보드는 수분 펠팅 공정(water felting process)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팽창 펄라이트 또는 다른 저밀도 재료는 상기 보드(11)가 비교적 낮은 밀도로 유지되기 위하여 이상적으로 고용된다. 도시된 모재 보드는 상당히 큰 판재(plank)로부터 잘려진 후 4'×4'의 공칭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셀룰로오즈 섬유, 미네랄 울 및 전반적으로 저밀도를 포함하는 그 제형인, 모재(11)는 그것의 건조 두께(dry thickness)로 제어하는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그것의 소망하는 최종 두께보다 크게 만들어진다. 상기 모재 보드(11)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기계 가공 단계(12)로 이송되고, 여기서 그 두께는 소망되는 균일한 두께로 감소된다. 예를 들면, 본래의 모재 보드(11)는 예컨대 약 .610"~.6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컨대, 약 .500"의 공칭 두께(nominal thickness)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단계(12)에 기계 가공 조업은 여분의 두께를 제거하기 위하여 플레이닝(planing), 그라인딩(grinding), 샌딩(sanding) 또는 이와 유사한 공정들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상기 보드는 바람직하게는, 약 .5"~.8"의 어느 소망하는 균일한 최종 두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균일한 두께와 래미네이팅을 위해 적어도 비교적 부드러운 일 면을 갖도록 제조된 가공되지 않은 보드가 이용될 수 있다.
진공되거나, 혹은 기계 가공 공정에서 발생된 먼지와 같은 입자들의 일부가 제거된 후 (13)으로 나타낸, 기계 가공된 보드는 바람직하게는 수분 현탁액(water suspension)으로 증착된 점토피막(15)으로 코팅되어 보드의 표면 평활 도(smoothness)를 추가로 개선하고 후속하는 래미네이션 단계를 지연시키는 어느 잔류 기계가공 먼지(residual machining dust)를 덮는다. 상기 점토 수성 디스퍼젼(clay water dispersion)은 전형적으로 상기 보드(13)상에 스프레이되지만, 롤-코팅과 같은 다른 다양한 적용 방법들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점토 수성 디스퍼젼은 건조기(convection oven) 또는 다른 건조 방법(force drying procedure)으로 건조되고 단계(16)로 이송되며 여기서 접착제는 상기 보드(13)의 기계 가공되고, 점토-코팅된 표면에 적용된다. 상기 보드 표면조건이 가능하다면, 상기 점토 피막(15)은 생략될 수 있다.
접착제가 적용되는 단계(16)에서, 적합한 수용성(water soluble) 또는 수계 접착제는 롤-코팅과 같이 잘 알려진 기술에 의해 적용된다. 스프레이 같은 다른 기술들도 (17)로 나타낸, 접착제 코팅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점착상태로 대기 경화(air cure)되고, 이러한 처리는 적외선등(heat lamps), 가열된 포스 에어(heated forced air) 또는 다른 잘 알려진 적합한 기술로부터 열을 가함에 따라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적용 단계(16)로부터, 상기 보드(13)는 래미네이션 단계(18)로 이송되고 여기서 페이퍼 페이서(19)가 상기 보드(13)의 기계가공된 점토-코팅 면에 래미네이트된다. 소망된다면, 상기 보드(13)의 점토-코팅면에 처음으로 적용되는 다른 대안으로써, 상기 접착제(17)는 페이퍼 페이서 재료(19)에 처음으로 적용될 수 있거나 상기 점토-코팅된 보드면과 상기 페이퍼 페이서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페이퍼 페이서(19)는 상기 보드에 페이퍼 페이서를 래미네이트하기 위하여 고무 롤러(21) 또는 다른 잘 알려진 매체로 상기 보 드(13)상에서 불균일하게 가압된다. 전형적으로 롤 단계를 거친, 상기 페이퍼 페이서(19)는 상기 보드(13)상에서 적합한 크기로 잘려진다.
래미네이션 단계(18)로부터, 상기 보드(13)와 페이퍼 페이서(19)는 최종 코팅 단계(22)로 이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드 및 페이퍼 래미네이션은 최종 코팅 전에 전형적으로, 2'×4' 또는 2'×2'의 일반적인 최종 크기로 잘려진다. 상기 코팅 단계(22)에서 내구성의 수계 페인트와 같은 코팅(23)은 상기 페이퍼 페이서(19)의 외면에 적용된다. 상기 최종 코트(23)는 상기 페이서(19)의 외면상에 스프레이(sprayed), 롤러(rolled), 물에 잠기거나(flooded) 또는 증착(deposited)될 수 있다. 상기 최종 코트(23)는 어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가용성의 수계 라텍스 페인트 또는 유사한 제형일 수 있다. 전형적인 코팅(23)은 상기 코팅과 상기 페이퍼 페이서 부재(10) 사이의 밀착 결합을 확보할 수 있는 점토, 디래미네이트된 점토, 하소된(calcined) 점토,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 적합한 라텍스 바인더를 포함하는 약 50%의 고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코팅은 예컨대, 약 15~30g/sq(square foot)의 습중량(wet weight)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상기 코팅(23)이 건조될 때, 예컨대, 가드너 헤비 듀티 웨어 테스터(Gardner Heavy Duty Wear Tester(Gardner Lavoratory, Inc., Maryland))를 이용하여 ASTM 시험 No.4213을 통과할 수 있는 습윤 내스크럽 코팅(wet scurb-resistant coating)을 제조할 수 있는 재료 중에 선택된다. 상기 최종 코트(23)는 건조기 또는 다른 건조 기술을 통하여 보드(13)에 래미네이트된 페이퍼를 이송함에 의해 건조된다.
상기 최종 코트(23)가 건조될 때, 클린 룸 천장 타일(24)은 완성되고 포장 및 배급을 위해 준비된다. 소망된다면, 상기 천장 타일(24)은 그것의 흡음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코팅 단계(22) 처리 전 또는 그 후에 선택적인 퍼포레이션(perforation) 단계(26)에서 천공될 수 있다.
상기 보드(13)의 기계가공된 면에 표면 결함을 피하기는 쉽지 않지만, 상기 최종 코트(23)는 미소의 결함(strikethrough)이 없으므로 개시된 재료 및 공정에 따라 제조된 천장 타일은 우수한 마무리를 나타낸다. 이것은 상기 페이퍼 페이서(19)의 우수한 커버링성 때문이다. 상기 페이퍼 페이서(19)는 석고 보드를 만드는데 이용되는 페이퍼 타입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 실린더 페이퍼 포밍 기계 또는 포드리네이어(Fordrineier) 페이퍼 포밍 기계로 만들어진다. 상기 페이퍼 페이서(19)는 예컨대, 적어도 약 4mils(.004")의 두께를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1~13mils(.011"~.013")이다. 크래프트 페이퍼와 같이, 다양한 다른 유형의 페이퍼 타입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페이퍼 페이서가 상기 보드의 기계가공된 면에 나타나는 거시적 보이드(macroscopic voids), 디프레션(depressions) 및 엘리베이션(elevations)을 극복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상기 수계 접착제(17)에 의해 습식될 때 페이퍼의 셀룰로오스 섬유의 본래의 스웰링(swelling) 및 풀림(loosening) 특성 때문이다. 예컨대, 상기 접착제는 약 10g/sq(square foot)의 습중량으로 적용될 수 있다. 부수된 수분이 상기 접착제의 접촉 영역으로부터 이동될 때 이 영역에서 페이퍼 섬유는 보이드를 극복하고, 디프레션을 채우며 그리고 돌출부를 조절하기 위하여 그들의 팽창된 상태로 줄어들고 끊임없이 자기-재배열하며, 이러한 행동들은 개시된 바와 같이, 기계가공되거나 또는 기계가공되지 않고 형성되어 래미네 이트된 보드 면 상에 어느 미소의, 종종 피할 수 없는 표면 결함을 덮는 것을 돕는다.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상기 접착제의 결합 및 처리를 촉진하고 완료하기 위하여 수계 접착제(17)의 적어도 일부의 수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비닐 시트보다 상기 보드(13)에 래미네이트되기 매우 쉽다. 이러한 특징은 타일을 구조하기 위하여 종래의 타일 구조물에서 요구되는 접착제의 양을 잠재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페이퍼 면을 갖는 타일(24)은 비닐 페이서를 사용하는 종래 타일 구조물에 비해 내 새그성에서 상당한 개선을 나타낸다. 이러한 현상은 이것이 접착제(17)의 수분으로부터 건조되고 유사하게는 최종 코팅(23)의 수분으로부터 건조될 때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페이퍼 페이서(19)에 부가된 장력(tension)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더욱이,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인장 스트레스하에서 유사한 두께의 비닐 필름보다 연신 및 크립에 대해 보다 큰 저항성을 갖는다. 비교적 비확장성(inextensibility)을 갖는 이러한 페이퍼 특성은 상기 타일(24)의 내 새그성을 매우 증가할 수 있는 포텐셜을 가지며, 상기 최종 코트(23)가 룸 내부를 하향하도록 타일이 설치되며 상기 페이퍼 페이서(19)는 상기 타일의 중량으로 인해 타일이 약해질 때에도(sag) 장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타일의 기능은 페이퍼가 제조시 이송되는 방향인 기계가공 방향이 상기 보드가 제조시 이송되는 방향인 기계가공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열될 때 개선될 수 있다.
통상적인 라텍스(수계) 페인트의 제형 또는 이와 비슷한 제형을 가질 때, 상기 수계 코팅(23)은 건조되었을 때는 라텍스의 교차 결합(cross-linking) 또는 융 합(coalescing)하는 특징을 가지고, 이후 수분으로 습윤 및/또는 스크럽될 때는 그것을 안정하게 한다. 따라서, 때때로, 상기 타일(24)의 보이는 면을 나타내는 상기 코팅(23)은 현저한 열화(degradation)없이 젖은 천(damp cloth)으로 세척될 수 있다. 더욱이, 코팅(23)의 표면은 그의 외관을 완전히 새롭게 하고 및/또는 그의 색상을 바꾸기 위해 전형적으로 보통의 라텍스 페인트로 쉽게 그리고 성공적으로 다시 페인트 칠 할 수 있다. 비닐 또는 포일 면을 갖는 타일과 다르게, 본 발명의 페이퍼 면을 갖는 타일은 품질 또는 성능 기준이 미달일 때 제조 공장에서 다시 제조되거나(ground-up) 재활용될 수 있다.
이른바, "클린 룸(clen room)" 천장 타일 외에도, 본 발명은 보이는 면이 스크럽할 수 있는 조건이 필요없는 일반적인 서비스를 위해 계획된 타일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타일은 약 12~22lbs/cf(cubic foot)의 보드 밀도를 가지고 일반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만들어진다.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토 피막으로 또는 이것을 사용하지 않고 어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밀도 및 두께를 갖는 보드의 기계가공된 면에 밀착하여 접착될 수 있다. 특히 표백(bleaching) 및/또는 합성물(composition)에 의해 비교적 하얀색으로 제조된 페이퍼 페이서는, 상기 타일의 보이는 면 상에 만족스러운 마무리(finish)를 제조하기 위해 요구되는 코트의 페인트 수를 줄일 수 있다. 스크럽성(scrubability)이 중요하지 않은 곳에는, 페이퍼 페이서를 코트하기 위해 이용되는 페인트는 보다 약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예비 페인트 칠된 후, 패턴 롤과 같이 종래 기술로 보드에 접착된 페이퍼 페이서는 조직화(texture)될 수 있다. 또한, 텍스쳐된 또는 패턴된 페이퍼 페이서는 일반적으로 최종 패인팅 후, 상술된 바와 같이 소망하는 흡음레벨을 확보하기 위하여 천공될 수 있다.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상기 보드에 래미네이트되기 전 또는 그 이후에 디자인 또는 이미지로 프린트될 수 있으며 래미네이션 후에는 상기 페이퍼 페이서이든 아니든 처음으로 프린트된다. 도 3을 보면, 여기서 개시된 방법으로 구조된 천장 타일의 최종 면의 샘플 영역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미네이트된 페이퍼 페이서는 페인트와 같은 코팅으로 처음 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후, 상기 건조된 페인트와 같은 코팅은 적합한 잉크, 바람직하게는 타일 제조 라인 상에서, 소망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프린트된다. 상기 패턴은 나타난 바와 같이, 소망하는 외관을 위해 반색조(half-tones)로 프린트 될 수 있다. 본래 프린트된 패턴 또는 이미지 및 색상 또는 색상들의 어느 유형이 이용될 수 있다. 프린트된, 최종 면에 타일은 그것의 흡음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프린트 되기 전 또는 그 이후에 천공될 수 있다. 페이퍼 페이서의 품질이 만족스러운 곳에는, 페인팅 또는 코팅없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타일의 내 새그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명세서는 예시에 의한 것이며 본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설명을 첨가, 변경 또는 삭제하여 다양한 변화들이 행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청구항들이 불가피하게 제한되는 범위를 제외하고 본 명세서의 특정한 상세한 설명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드에 페이퍼 페이서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보드의 기계가공된 면상에 존재하는 표면 결함을 제거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되며 외관상 및 내 새그성에 대하여 개선을 제공하는 클린 룸(clean room)용 천장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물 슬러리(water slurry) 또는 페이스트(paste)로부터 건조된 적어도 일부분의 친수성 재료로 형성되어 제조된 리지드 보드(rigid board),
    상기 보드상에 래미네이트된(laminated) 페이퍼 페이서(paper facer),
    상기 보드에 상기 페이퍼 페이서를 결합하는 수계 접착제(water-based adhesive) 및
    상기 페이퍼 페이서의 외면에 수계 리퀴드 코팅이 적용되어 건조되는 것으로부터 그 외면상의 원 위치에 형성되는 수분 스크러버블 코팅(water scrubbable coating)을 포함하는 복합 천장 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퀴드 코팅은 상기 페이퍼 페이서가 상기 보드상에 래미네이트된 후 페이퍼 페이서의 외면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2′× 4′또는 2′× 2′의 공칭치수(nominal dimensions)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의 캘리퍼(caliper)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페이퍼 페이서가 래미네이트되는 상기 보드의 일 면이 기계가공(machin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적용하기 전에 상기 보드의 기계가공된 면은 박막의 점토 피막(clay coating)으로 코팅되어 표면조직을 안정화시키고 기계가공된 면상에 상기 접착제의 불규칙한 스트라이크-인(strike-in)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적어도 약 .004"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약.011"~약.013"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보드 상에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페이퍼 페이서 상에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보드와 상기 페이퍼 페이서 상에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및 페이퍼 각각은 제조시 이송되는 기계가공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그것의 구조가 배열되는 개별적인 공정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그 기계가공 방향이 상기 보드의 기계가공방향과 수직하도록상기 보드상에 래미네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약 18~22lbs/cf(cubic foot)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는 상기 보드 상에 래미네이트된 후 흡음성(sound absorbing performance)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천공(perforat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상기 스크러버블 코팅으로 코팅되기 전에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약 0.5"~약 0.8" 사이의 범위 내로 캘리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16. 기계가공된 일 면, 상기 기계가공된 면 상의 점토 피막(clay coating), 상기 점토 피막에 페이퍼 페이서를 결합하는 수계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상기 점토 피막에 래미네이트된 후, 원위치에 코팅되고, 젖은 천으로 스크럽할 수 있는 상태로 건조되는 수계 코팅을 구비하며, 상기 페이퍼 페이서는 비교적 비확장성(inextensible)을 가지므로 상기 스크러버블 코팅이 하향하도록 타일이 배향되며, 상기 타일의 내 새그성(sag resistance)은 상기 페이퍼 페이서가 존재함에 의해 개선되는 복합 천장 타일.
  17. 물 슬러리(water slurry) 또는 페이스트(paste)로 건조된 적어도 일부분의 친수성 재료로 형성되어 제조된 리지드 보드(rigid board),
    상기 보드는 약 12~22lbs/cf 사이의 밀도와 기계가공된 일 면을 가지고,
    상기 보드의 기계가공된 면상에 래미네이트된 페이퍼 페이서 및
    상기 보드에 상기 페이퍼 페이서를 결합하는 수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복합 천장 타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페이서가 래미네이트된 그 면 상에, 타일은 이미지로 프린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천장 타일.
KR1020060080697A 2005-08-24 2006-08-24 복합 천장 타일 KR101299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10,585 US8182922B2 (en) 2005-08-24 2005-08-24 Composite ceiling tile
US11/210,585 2005-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608A true KR20070023608A (ko) 2007-02-28
KR101299589B1 KR101299589B1 (ko) 2013-08-26

Family

ID=3720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697A KR101299589B1 (ko) 2005-08-24 2006-08-24 복합 천장 타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82922B2 (ko)
EP (1) EP1757747B1 (ko)
KR (1) KR101299589B1 (ko)
CN (1) CN1920217B (ko)
CA (1) CA2554648C (ko)
MX (1) MXPA060096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4014A1 (en) * 2010-10-18 2012-04-26 Usg Interiors, Inc. Water resistant ceiling tile
KR20160092157A (ko) 2015-01-27 2016-08-04 원동환 자충식 에어 전개형 종량제 봉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3243B2 (en) * 2006-02-13 2010-04-27 Usg Interiors, Inc. Ceiling tile construction
US20130276385A1 (en) * 2011-07-13 2013-10-24 Arthur Paul White Insulating system
US8684134B2 (en) 2012-06-27 2014-04-01 Usg Interiors, Llc Gypsum-panel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US8925677B2 (en) 2012-06-27 2015-01-06 Usg Interiors, Llc Gypsum-panel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US8770345B2 (en) 2012-06-27 2014-07-08 Usg Interiors, Llc Gypsum-panel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CA2905079C (en) * 2013-03-15 2017-02-21 Usg Interiors, Llc Gypsum-panel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CN105839876B (zh) * 2016-05-25 2019-05-07 北京城建六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洁净手术室墙体及顶板系统及其施工方法
US20180079691A1 (en) * 2016-09-20 2018-03-22 Usg Interiors, Llc Silicate coating for improved acoustical panel performan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1459752B2 (en) 2018-07-02 2022-10-04 Awi Licensing Llc High sound attenuation building panels
CA3077650A1 (en) 2019-04-11 2020-10-11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Multi-layer acoustical building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6066A (en) * 1944-09-08 1950-10-17 Certain Teed Prod Corp Plastic composition material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US2828806A (en) * 1955-12-27 1958-04-01 Chrysler Corp Latchable tilting seat back
US2838806A (en) 1957-06-18 1958-06-17 Celotex Corp Fireproof acoustical correction panels
US3144376A (en) * 1957-10-18 1964-08-11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Insulating board of fibrous glas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4608108A (en) * 1982-11-08 1986-08-26 The Celotex Corporation Wet-end molding method and molded product
US5277762A (en) * 1991-04-26 1994-01-11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Composite fiberboard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5437924A (en) * 1993-07-08 1995-08-0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Compostable, biodegradable foam core board
US5558710A (en) * 1994-08-08 1996-09-24 Usg Interiors, Inc. Gypsum/cellulosic fiber acoustical tile composition
US7010336B2 (en) * 1997-08-14 2006-03-07 Sensys Medical, Inc. Measurement site dependent data preprocessing method for robust calibration and prediction
US5911818A (en) * 1997-08-20 1999-06-15 Usg Interiors, Inc. Acoustical tile composition
US7098037B2 (en) * 1998-10-13 2006-08-29 Inlight Solutions, Inc. Accommodating subject and instrument variations in spectroscopic determinations
JP3473691B2 (ja) * 1999-06-15 2003-12-08 日東紡績株式会社 不燃吸音電波吸収性の天井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天井板
US6697654B2 (en) * 1999-07-22 2004-02-24 Sensys Medical, Inc. Targeted interference subtraction applied to near-infrared measurement of analytes
CA2316586C (en) * 1999-08-27 2009-06-30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Acoustical panel having a calendered, flame-retardant paper back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SE516696C2 (sv) 1999-12-23 2002-02-12 Perstorp Flooring Ab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ytelement vilka innefattar ett övre dekorativt skikt samt ytelement framställda enlit förfarandet
US6877585B2 (en) * 2000-05-12 2005-04-12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Acoustical ceiling tiles
US20020096278A1 (en) * 2000-05-24 2002-07-25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Durable acoustical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443256B1 (en) * 2000-12-27 2002-09-03 Usg Interiors, Inc. Dual layer acoustical ceiling tile having an improved sound absorption value
US20030060113A1 (en) * 2001-09-20 2003-03-27 Christie Peter A. Thermo formable acoustical panel
US7076928B2 (en) * 2002-02-04 2006-07-18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Suspended ceiling panel edge and rib technology
US7056582B2 (en) * 2003-04-17 2006-06-06 Usg Interiors, Inc. Mold resistant acoustical pa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4014A1 (en) * 2010-10-18 2012-04-26 Usg Interiors, Inc. Water resistant ceiling tile
KR20160092157A (ko) 2015-01-27 2016-08-04 원동환 자충식 에어 전개형 종량제 봉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82922B2 (en) 2012-05-22
CA2554648C (en) 2014-07-15
CN1920217B (zh) 2013-04-24
CN1920217A (zh) 2007-02-28
US20070051062A1 (en) 2007-03-08
EP1757747B1 (en) 2013-03-13
KR101299589B1 (ko) 2013-08-26
EP1757747A1 (en) 2007-02-28
MXPA06009636A (es) 2007-02-23
CA2554648A1 (en) 200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589B1 (ko) 복합 천장 타일
RU2560735C2 (ru) Применение пористых нетканых холстов в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х панелях
CA2301140C (en) Abrasion resistant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same
RU2684366C1 (ru) Сформированный ламинированием с расплавлением декоративный многослойный материал
MX2007013242A (es) Tabique para paredes interiores y metodo para elaborarlas.
JP2003529474A (ja) 耐摩耗性ラミネート
RU2372208C1 (ru) Стеновые, потолочные или напольные панели
KR101636257B1 (ko) 석고-패널 차음성 모놀리식 천정
UA123260C2 (uk) Спосіб оздоблення деревної плити
UA127688C2 (uk) Поверхня для фарбування
JP2005271585A (ja) 調湿不燃性化粧板
KR102229710B1 (ko) 알루미늄을 이용한 난연 친환경 인테리어 필름과 그의 제조방법
US10208477B2 (en) Veil finishing process
CN116981518A (zh) 混合涂布方法
JP5907643B2 (ja) 塗り壁の施工方法
RU2772253C1 (ru) Панель с каменным шпоном
KR100392483B1 (ko) 내마모성 라미네이트 및 그 제조방법
JPH0242957B2 (ko)
US20040203307A1 (en) Wallcovering for use on irregular surfaces
CN112236309A (zh) 具有石料砌面的面板
WO2003028994A1 (en) Wall covering comprising a veneer top layer
CN108661269A (zh) 一种pp复合板及其制造方法
JP4741879B2 (ja) 化粧板原紙
JP2007056546A (ja) 建造物内装用軽量パネル
JPH0838990A (ja) 塗膜見本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