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189A -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189A
KR20070020189A KR1020067007248A KR20067007248A KR20070020189A KR 20070020189 A KR20070020189 A KR 20070020189A KR 1020067007248 A KR1020067007248 A KR 1020067007248A KR 20067007248 A KR20067007248 A KR 20067007248A KR 20070020189 A KR20070020189 A KR 20070020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arm
safety catch
locking memb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902B1 (ko
Inventor
뻬까 하우딸라
뻬뜨리 막꼬넨
휴하 무르똘라
미까 헬리스뗀
낌모 시이따리
Original Assignee
아블로이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블로이 오이 filed Critical 아블로이 오이
Publication of KR2007002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4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68Keepers
    • Y10T292/696With movable dog, catch or strik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68Keepers
    • Y10T292/696With movable dog, catch or striker
    • Y10T292/702Pivoted or swin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68Keepers
    • Y10T292/705Adjustable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그 프레임 구성물에 잠그는 것과 같이, 두 부품을 서로 잠글 수 있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유닛에 고정된 제1 잠금부재, 상기 상대부에 고정된 제2 잠금부재 및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유닛의 일부인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들은 맞물림 브라켓들이며, 상기 잠금유닛과 상대부가 서로 대향하면, 예컨대 상기 도어가 그 개구부에서 잠겨 있으면, 서로 후크 맞물림(Hooked Grip)을 형성한다. 상기 맞물림 브라켓들은 기본적으로 도어의 이동 방향에 있다. 상기 작동부재의 임무는 상기 잠금장치가 잠기면 상기 맞물림 브라켓들을 겹치는 위치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잠금장치의 현재 상태는 그 위치에 따라 다르다.
잠금장치, Lock, Door, Hinge, Hatch, Latch,

Description

잠금장치{LOCKING ARRANGEMENT}
본 발명은 도어(Door) 또는 해치 개방기(Hatch Opening)의 프레임 구조물 (Frame Construction)에 도어나 해치(Hatch)를 잠그는 것과 같이, 두 개의 부품을 서로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잠금유닛(Lock Unit, 4)과 상대부(Counter Part, 5)를 포함한 보통의 잠금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대체로, 상기 잠금유닛은 도어(1)에 설치되며, 상대부(5)는 도어 프레임(2)에 설치되지만, 도시하는 것과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 래치(Latch, 6)는 상기 잠금유닛으로부터 상기 상대부, 즉 스트라이커 판(Striker Plate)까지 움직인다(밀리거나 돌아간다). 도 1의 예에서는 상기 스트라이커 판이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도어를 잠글 때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프레임과 스트라이커 판의 구멍 속으로 밀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래치의 필요한 이동은 예컨대, 파괴의 경우에 도어 공차(Door Clearance), 즉 상기 도어와 프레임 사이의 간격(Gap, 8), 도어 종류에 따른 공차 편차, 설치 공차, 온도 등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데 충분해야만 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도어 공차는 1과 5㎜ 사이이다. 보통 상기 래치의 이동은 14㎜, 또는 더 높은 안전 속도를 가지는 도어에서는 20㎜까지이다. 상기 래치는 예컨데, 열쇠, 전동모터 또는 버튼에 의해 움직인다.
대체로, 상기 래치의 이동은 상기 도어의 이동(개폐 방향)과 수직하며, 씰(Seal, 3)에 의해 발생되는 밀폐력(Sealing Force)과 같이, 도어를 열거나 도어를 미는 도중에, 도어에 미치는 힘은, 상기 래치와 예컨대, 상기 스트라이커 판 사이의 마찰이 있기 때문에, 상기 래치의 이동을 상당히 더 어렵게 할 것이다. 상기 래치와 잠금유닛의 다른 구성품들 사이(7)의 잠금 내부 구성품에서도 마찰이 있다. 이것은 또한 열쇠 또는 전동모터에 의해 잠금을 풀 때, 어떤 경우에도, 상기 힘과 마찰을 극복하는데 많은 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주거 침입이 있은 동안, 상기 래치에 상당한 벤딩력(Bending Stress)이 작용하며, 그 결과 상기 구성품들은 튼튼하게 설계되어야만 할 것이다.
상기 래치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큰 힘과 상기 래치의 비교적 상당한 이동으로, 필요한 에너지는 대체로 배터리로 작동하기에는 너무 크다. 또한, 상당한 전력과 비싼 전동 기어들이 필요하다. 에너지 소모를 필요로 하는 한, 비록 도어의 중앙부에 1000뉴톤의 횡력(Transverse Force)이 작용하여도, 긴급 피난 규정(표준 EN1125)이 고려되어야만 하며, 이 규정에 따라 잠근 도어는 열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공지된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이러한 요구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큰 비용이 든다.
게다가, 수많은 센서들이 사전에 도어와 같은 물체의 상태가 잠겨 있는 것을 감지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별도의 센서들이 예컨대, 도어가 열려 있는지, 잠금이 잠겨 있는지, 그리고 잠금이 열려 있는 지를 감지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상기한 문제점들을 줄이는 데 있다. 본 목적은 청구범위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새로운 메카니즘을 가지며, 그에 의해 래치에 기초한 공지의 잠금장치가 대체될 수 있다. 래치 대신에, 본 발명은 잠금유닛에 부착된 제1 잠금부재(First Locking Element), 상대부, 즉 가장 간단하게는 스트라이커 판에 부착된 제2 잠금부재,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유닛의 일부인 작동부재(Acting Element)를 사용한다.
상기 제1 및 제2 잠금부재들은 맞물림 브라켓(Gripping Bracket)들이며, 상기 잠금유닛과 상대부가 서로 대향하여 각 설치 위치에 있으면, 예컨대 상기 도어가 그 개구부에서 잠겨 있으면, 서로 후크 맞물림(Hooked Grip)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재들은, 서로 겹쳐지는(서로 접촉하는, 즉 어떠한 외력 또는 상기 접촉을 유지하기 쉽게 하는 외력에 관계없이 서로 기본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머무는) 위치에 있으면, 서로 맞물리는 두개의 캐치(Catch)로 설명될 수 있다. 설치 위치(상기 유닛들이 상기 도어와 그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태와 같은 위치)에서 상기 맞물림 브라켓들은 (도어와 같이) 회전하는 부품의 회전축(Swing Axis)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있으며, 즉 상기 도어가 도어 개구부(Door Opening) 내에서 잠길 때와 같이, 회전할 부품이 그 상대부에 대향하여 있으면, 상기 맞물림 브라켓들은, 기본적으로 그 이동 경로 방향에 있다. 상기 맞물림 브라켓의 걸림(Hookedness)는 그 설계에 따른다. 적절한 설계를 이용하면, 상기 걸림은, 상기 브라켓들 내의 얕은 곡선(Shallow Curve)과 같이, 매우 작을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의 임무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가 잠기면 상기 맞물림 브라켓들을 겹치는 위치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잠금장치의 현재 상태는 그 위치에 따라 다르다. 상기 작동부재와 제1 잠금부재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며, 그 폭은 상기 위치에 따라 다르다. 제2 맞물림 브라켓은 그 브라켓들이 서로 겹칠 때 상기 간격 내에 있다.
상기 간격이 가장 좁게 되면, 제2 맞물림 브라켓을 위한 공간(Room)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 및/또는 제1 맞물림 브라켓이 제2 맞물림 브라켓를 누르거나 또는 작은 간격이 제2 맞물림 브라켓의 양면에 남을 것이다. 상기 간격이 가장 좁고(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작동부재가 잠기면, 상기 제2 맞물림 브라켓는 상기 작동부재와 제1 맞물림 브라켓 사이로부터 당겨지지 않을 수 있지만, 상기 브라켓들이 후퇴 위치에 머무르도록 상기 맞물림 브라켓와 작동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맞물림 브라켓들이 각각의 한쪽 끝단으로부터 상기 잠금유닛과 상대부에 고정되고, 이들이 각각, 예컨대 상기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면, 원하는 잠금이 달성된다.
상기 작동부재가 잠기지 않고 상기 간격이 가장 좁으면, 상기 제2 맞물림 브라켓은 상기 작동부재와 제1 맞물림 브라켓 사이로부터 당겨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맞물림 브라켓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상기 작동부재를 동시에 누르며, 이에 따라 상기 간격은 가장 넓게 된다. 실제로, 실제 설치 상황에서 상기 맞물림 브라켓을 상기 간격으로부터 당기는 것은 도어를 여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열린 도어가 닫히려고 한다면, 상기 제2 맞물림 부재가 상기 간격을 들어가는 것, 즉 제1 맞물림 브라켓와 겹치는 것이 더 쉽기 때문에, 상기 작동부재를 후퇴 위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간격이 넓다. 동시에, 상기 제2 맞물림 브라켓이 상기 간격으로 들어가면, 그것은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부재가 해제될 수 있어, 상기 전방 위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그 제1 끝단(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상단)에 의해 힌지결합된 수직 아암(Vertical Arm)이다. 상기 힌지는 지지대를 형성하며, 그 지지대 주위로 상기 아암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아암은 상기 제1 잠금부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어, 상술한 간격이 가장 좁게 된다.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아암은 상기 제1 잠금부재와 관련하여 더 멀어, 상기 간격이 가장 넓게 된다. 상기 제1 잠금부재를 향해 있는 아암의 표면은 맞물림 돌기(Gripping Tongue)를 포함하며, 그 형상은 상기 잠금부재의 형상을 따른다.
상기 아암은, 상술한 후퇴 위치에서 상기 아암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 안에 위치한 유지 스프링(Holding Spring)을 가진 홈(Groove)을 포함한다. 가압력이 상기 유지 스프링의 릴리스 브라켓(Release Bracket)에 미치면, 상기 유지 스프링이 상기 홈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여서, 상기 아암이 상기 전방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작동부재의 아암의 후방 에지(Rear Edge)를 누르는 세이프티 캐치(Safety Catch)에 의해 그 전방 위치에서 잠길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릴(Reel)을 포함하며, 그 릴의 중심은 상기 작동부재의 아암의 후방 에지면 위에 있지만, 상기 롤(Roll)의 둘레는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동작할 때 상기 아암의 후방 에지를 누른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릴의 중심부가 상기 아암의 후방 에지 밖에 있어, 상기 릴은 상기 아암이 외력에 의해 후방 위치로 움직이게 한다.
상기 릴은 상기 캐치의 아암(바람직하게는 그 중심부에 의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아암은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한쪽 끝단, 고정단(Fastening End)에 의해 고정(즉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아암의 타단은 상기 구동 구조물(Drive Construction)에 힌지 결합 되어 있다. 상기 구동 구조물은, 예컨대 전동모터 또는 열쇠나 잠금 손잡이와 같은 기계적 전원장치로부터 상기 세이프티 캐치(상기 릴)를 개폐하도록 움직이도록 전원을 전송한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가압력이 상기 작동부재에 미칠 때(실제로 상기 작동부재에 대한 상기 맞물림 브라켓의 압력), 상기 작동부재가 후퇴 위치로 움직이게 할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작용력 때문에 상기 세이프티 캐치와 상기 구동 구조물의 기계적인 부분(Mechanics)은, 상기 작동부재의 아암이 상기 후퇴 위치로 움직이도록 작용한다. 상기 아암이 상기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전방 위치로 돌아오면, 상기 세이프티 캐치와 구동 구조물의 기계적인 부분은 출발 상태로 돌아오는데, 그 상태에서는, 상기 기계적인 부분이 상기 작동부재를 누르는 힘이 상기 후퇴 위치로 이동되기 전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치 위치에서 회전될 부품의 회전축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있는 제1 자유단을 포함하는 제1 잠금부재 및 상기 상대부에 속하며 상기 설치 위치에서 회전될 부품의 회전축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있는 제2 자유단을 포함하는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도어, 해치 등이 닫힌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유닛들이 그 설치 위치에 서로 대향할 때 서로 겹쳐져 함께 작동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는 잠금을 달성하기 위해 제어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잠금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수단과 관련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상기 겹쳐진 잠금부재가 상기 위치에서 상기 잠금유닛과 상대부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그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 즉 통상의 래치 잠금을 도시한다.
도 2는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대한 간단한 실시예를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어와 도어 프레임이 설치된 잠금장치와 도 2와는 다르게 형성된 잠금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간단한 실시예를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측면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의 간단한 예시적인 상황을 도시한다.
도 5는 측면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의 다른 간단한 예시적인 상황 을 도시한다.
도 6은 측면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에 대한 간단한 예시적인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맞물림 브라켓의 형태와 다른 도어 공차에 대한 잠금장치를 조정하는 형태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는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된 잠금유닛의 구동 구조물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동일한 방향에서 본, 도 8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그 지시한 방향과 위치에서의 도 8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난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되지 않은 잠금유닛의 구동 구조물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동일한 방향에서 본 도 1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그 지시한 방향과 위치에서의 도 1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난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작동부재가 후퇴 위치에 있는 잠금유닛의 구동 구조물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동일한 방향에서 본 도 1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그 지시한 방향과 위치에서의 도 1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난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은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된 잠금유닛의 구동 구조물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되지 않은 잠금유닛의 구동 구조물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작동부재가 후퇴 위치에 있는 잠금유닛의 구동 구조물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잠금장치의 유지 스프링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상기 유지 스프링에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5는 상기 잠금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상기 유지수단(Holding Means)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27은 상기 작동부재가 전방에 있는 경우의 구동 구조물과 세이프티 캐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8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구동되어 열린, 도 27의 구동 구조물과 세이프티 캐치를 도시한다.
도 29는 상기 작동부재가 후퇴 위치에 있는, 도 27의 구동 구조물과 세이프티 캐치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7-29의 구동 구조물의 구동휠(Drive Wheel)과 웜휠(Worm Wheel)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도어(1)와 도어 프레임(2)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구비한, 상기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대한 간단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잠금유닛(4)은 도어 (1)에 설치되며, 상대부(6)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다. 제1 잠금부재, 즉 맞물림 브라켓 22는 잠금유닛(그 몸체)에 고정되고, 제2 잠금부재, 즉 맞물림 브라켓 23은 상기 상대부에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상황에서는, 상기 도어가 도어 개구(Door Opening) 내에서 닫힌 상태로, 상기 맞물림 브라켓(22, 23)들이 서로 겹쳐진다.
상기 잠금유닛은 또한 작동부재(21)와, 맞물림 브라켓(22, 23)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맞물림 브라켓 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브라켓(22)과 상기 작동부재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을 때, 즉 상기 작동부재가 전방에 있을 때, 제2 잠금부재(23)는 상기 개구에 위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와 브라켓의 형상은 상기 작동부재가 잠기면, 상기 제2 잠금부재의 브라켓이 간격을 유지하게 한다.
상기 작동부재의 잠김은 세이프티 캐치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의 후면을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상기 작동부재의 제어된 지지를 달성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어떤 위치, 여기서는 전방으로 상기 작동부재를 잠그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에 작용하는 외력(External Force)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 위치에서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동작한다고 말한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상기 작동부재를 누르는 릴부(Reel Part, 25)를 포함한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동작하지 않으면, 즉 상기 릴이 상기 작동부재(410, 도 4)의 후면을 확실하게 누르지 않으면, 상기 도어가 당겨져 열릴 때, 제2 잠금부재(23)는 상기 작동부재를 누르며, 이에 따라 상기 릴은 확실히 지지하지 않으며, 상기 작동부재는 후퇴 위치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1 잠금부재(22)와 작동부재 사이의 간격은 넓혀지고, 제2 잠금부재는 상기 간격을 벗어나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도어(1)는 열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작동부재가 전방에 있으면,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동작하며, 상기 잠금부재들은 겹쳐지고, 상기 잠금은 닫힌다. 상기 작동부재가 여전히 전방에 있고 잠금부재가 겹쳐져 있는 동안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잠금은 열리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유닛을 분리하는, 상기 잠금부재 또는 상대부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간격으로부터 제2 잠금부재를 당길 것이며, 이에 따라 제2 잠금부재는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를 후퇴 위치로 당길 것이고, 다른 자유단(Free End)은 제1 자유단을 지나게 된다.
도 3은 도어와 도어 프레임이 설치된 잠금장치와 도 2와는 다르게 형성된 잠금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간단한 실시예를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제2 잠금부재(32)의 자유단(36)은 상기 자유단으로부터 시작되는 브라켓의 안쪽 에지(Inner Edge, 35)가 경사지고 상기 브라켓의 다른 쪽의 바깥쪽 에지(39)가 휘도록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힌지(Hinge, 33) 등에 의해 상기 상대부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힌지는 원하는 정도의 범위 내에서 상기 브라켓이 움직이도록 허용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또한 여러 도어 공차와 상기 공차의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31)의 자유단(37)이 형성되어, 이에 따라 그 안쪽 에지(38)는 비스듬하다.
상기 경사면(Bevelled Surface, 35, 38)들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브라켓이 더 용이하게 겹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곡면(39)은, 도어를 열려고 시도하면, 제2 잠금부재와 제2 잠금부재 사이에 항상 유효 접촉면이 존재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상기 잠금이 동작될 때, 상기 작동부재(21)는 후퇴 위치로 움직일 수 없지만, 그 맞물림 브라켓(34)는 상기 도어를 열려고 상기 제2 잠금부재를 누르며, 상기 제2 잠금부재는 대응하여 제1 잠금부재(31)에 대하여 밀린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와 두 잠금부재의 형태는 잠금장치의 동작 성능에 영향을 준다.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잠금부재를 상대부, 즉 힌지 고정부(33)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잠금부재의 이동이 허용된다. 제2 잠금부재는 또한 탄성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잠금부재 자체가 일정한 이동을 허용하기 때문에 상기 힌지 고정부 등과 같은 고정은 불필요하다. 상기 재료는 상기 잠금부재의 바닥과 같이 잠금부재의 특정부위만을 탄성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부의 구성은 상기 제2 잠금부재를 원하는 위치, 즉 도어가 열리는 위치에 있도록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에서, 상기 브라켓과 작동부재 사이의 간격은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확대되어 있다. 실제로, 상기 간격은 상당히 더 작다. 따라서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이들은 형상과 크기에 관한 한 실제의 형태 는 아니다.
도 4는 상기 잠금유닛(48)측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40)의 간단한 예시적인 상황을 도시한다. 도면은 제1 잠금유닛을 나타내지 않지만, 상기 작동부재와 세이프티 캐치(43)의 작용을 도시하려고 하는 의도이다. 도 4에서, 상기 작동부재(40)는 전방에 있으며, 이에 따라 전면(411)측의 맞물림 브라켓(41)은 전방에 있고 그것과 제1 잠금부재 사이의 간격은 가장 작은 곳에 있다. 상기 작동부재는 줄기(Stem)와 같은 구성[아암(Arm)]으로 형성되고, 힌지수단(42)의 위치에서 상기 아암의 제1 끝단, 즉 그 상단에서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아암은 상기 힌지수단에 의해 형성된 힌지점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더불어, 상기 잠금은 도 4와 관련하여 상방에 아래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힌지수단(42)은 그 설치 위치에서 아암의 하단에 있다. 그러나, 상기 힌지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있는 것이 본 발명을 설명하기 더 쉽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설치 위치를 언급하면, 상기 아암의 힌지는 상단에 있다. 또한, 구조물의 넓이가 충분하다면, 수평 위치에 아암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선택은 상기 잠금유닛을 도어의 프레임 구조에 설치하는 것을 원할 때 주로 고려된다(즉, 벽 두께가 상기 잠금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43)는, 그것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전방에서 잠겨질 수 있는데, 상기 잠금유닛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릴(47)은 그 하단에서 상기 아암의 후면(410)(즉, 아암의 타단)을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면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누르고 있는 상대면(Counter Surface)이다. 상기 상대면에 대한 가압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릴의 반경이 상기 상대면을 수직으로 가리킬 때 가능한 한 확실하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동작할 때, 즉 그것이 상기 아암을 전방에서 잠글 때, 상기 릴의 중심(44)은 아암의 후면 또는 그 안쪽 레벨에 있다. 따라서, 후방 에지는 상대면(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동작할 때 누르는 면)의 에지이며, 상기 후방 에지의 안쪽 영역은 상대면의 영역이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그 타단에 의해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힌지결합(45)된 아암(49)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아암은 상기 힌지에 의해 형성된 힌지점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힌지의 타단은 구동 구조물에 힌지결합(46) 되어 있다.
도 5는 측면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의 다른 간단한 예시적인 상황을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세이프티 캐치(43)는 동작하지 않고, 즉 작동부재(40)가 전방에서 잠기지 않는다. 상기 아암의 고정 힌지점(45)의 관계는 상기 타단이 적당하게 유지되는 동안, 힌지(46)를 경유하여 상기 구동 구조물로부터 전달된 힘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을 아래로 움직인다(51). 따라서 상기 릴(47)의 중심(44)은 상기 작동부재의 바깥쪽 에지로 움직이며, 이에 따라 상기 릴은 상기 아암의 후면을 더 이상 강하게 누르지 않는다. 이러한 작동 상태에서, 상기 잠금장치는 열리고, 상기 작동부재는 후퇴 위치로 움직이도록 허용된다. 실제 설치 상황에서 이것은, 상기 잠금유닛이 도어에 설치될 때, 도어는 닫히지만, 밀거나 당겨 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측면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의 간단한 예시적인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는 실제 설치 상황에서 말거나 당겨 열린다. 그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40)의 맞물림 브라켓(41)에 작용하는 도어 개방의 힘은, 상기 힌지점(42)이 상기 아암의 상단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동안, 후퇴 위치쪽으로 아암을 민다. 상기 아암의 하단은 뒤로 움직이기 때문에, 그 후면은 동시에 상기 릴(47)을 밀고, 그 결과 상기 릴의 중심이 후면의 바깥에 있을 때 상기 릴은 움직일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은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상기 잠금유닛이 다른 방식으로 설치되면, 그 동작 방향은 반대가 된다는 것을 주목하십시오). 상기 세이프티 캐치(43)의 이러한 동작은 상기 작동부재를 도면에 도시된 후퇴 위치로 (바람직하게는 약 10도) 움직이도록(62) 허용한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고정 힌지점(45)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고정단으로 유지하여 구동 구조물이 상기 아암의 타단을 아래로(61)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실제 설치 상황에서, 상기 아암이 후퇴 상황에 있을 때, 이것은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아암을 상기 도어가 다시 닫힐 때까지 그 후퇴 위치로 유지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아암은 전방으로 되돌아 오도록 허용된다. 동시에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릴리스(Release)를 (상기 세이프티 캐치 또는 구동 구조물에 속하는 스프링에 의해) 상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상기 도어는 다시 닫히고, 상금 유닛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도 4-6은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하므로, 이들은 형상과 크기에 관한 한 정확한 실시예는 아니다.
도 7은 맞물림 브라켓의 형태와 다른 도어 공차에 대한 잠금장치를 조정하는 형태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상기에서 본 도 4-6에 도시된 개략적인 동일한 구성을 더 자세히 도시하고 있다. 잠금유닛(48)은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대부(74)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와 잠금장치는 닫혀있다. 다른 잠금부재(72)는 제1 잠금부재와 작동부재(40) 사이에서 충분한 공간을 가진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릴(47)은 상기 작동부재를 적절하게 유지한다. 지금 상기 도어를 열려고 하면, 수직력(F)이 제2 잠금부재의 형태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의 맞물림 브라켓(41)에 작용한다. 이 힘은 상기 작동부재를 후퇴 위치로 움직이려고 하지만,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릴이 못하게 하고 있다.
상기 힘(F)의 일부는 마찰면(76)을 경유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로 이동한다. 상기 잠금에 대한 동작 성능은 상기 마찰면의 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상기 마찰면의 마찰계수가 작으면 상기 작동부재는 도어를 열 때 더 쉽게 움직이지만, 동시에 상기 잠금유닛을 여는데, 즉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해제되도록 움직이는데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예컨대, 공포의 상황(상술한 긴급피난규정을 주목)에서는 중요하다. 한편, 마찰편(Friction Piece)의 마찰계수가 더 크면, 도어를 열기위한 힘의 더 많은 부분이 그 마찰면에서 소모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세이프티 캐치를 움직이는데 에너지가 덜 필요로 하다. 실제 해결방안에서는, 상기 마찰계수는 바람직하게는 약 0.3이다. 상기 마찰면은, 여는 힘이 상기 작동부재의 맞물림 브라켓에 작용할 때 지지면으로서 작용하는 작동 아암쪽에 있지만, 상기 마찰면과 지지면은 상기 여는 힘(F)이 작용하는 동안 서로 접촉하고 있다. 상기 여는 힘은 필수적으로 상기 작동부재의 맞물림면의 레벨 위에 있다. 구조적으로, 상기 마찰면은 상기 잠금 몸체, 작동부재, 또는 상기 몸체나 상기 작동부재에 고정된 마찰편의 실제 구조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다양한 도어 공차(Z)(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간격)에 대하여 적합하다. 이것은 특히 힌지(73) 때문이며, 이를 경유해서 제2 잠금부재가 상대부(74)에 고정된다. 상기 힌지와 상대부의 구성은 상기 잠금부재를 어떠한 각도 섹터(Angle Sector)(바람직하게는 약 10-15도) 내에서 움직이게 하며,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잠금부재가 겹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잠금부재의 형상은 또한 이러한 겹침을 더 쉽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차(Z)와 함께, 상대부(74)에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제1 잠금부재가 들어가는 톱니모양(Indentation, 75)이 있어야 한다. 더 큰 공차를 가지면, 상기 톱니모양은 필요 없을 수도 있다. 상기 도어 공차는 전형적으로 1 내지 5㎜ 사이이다. 상기 톱니모양의 형상, 크기 및 필요여부 조차도 상기 잠금부재의 형상 및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7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자유단(37, 도 3)으로부터 볼 때, 경사진 후, 상기 잠금부재의 브라켓의 안쪽 에지는 노치(Notch)를 포함한다. 제2 잠금부재의 바깥쪽 에지는 제2 자유단과 인접하거나 상기 제2 자유단으로부터 시작되는 볼록한 곡면을 포함한다. 상기 곡면 양쪽의 경사면과 제2 잠금부재의 안쪽면은, 그 아암이 바깥으로 휘어지기 시작하는 지점의 브라켓의 아암에서 종료되어, 상기 제2 잠금부재의 브라켓의 고정단 앞에서 곡선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상 기 곡면과 곡선 사이에는 톱니모양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재의 맞물림 브라켓은, 상기 간격이 가장 좁고 상기 브라켓들이 겹칠 때 상기 제2 잠금부재의 브라켓의 톱니모양에 위치하는 탭(Tab)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제2 잠금부재의 톱니모양의 위치에 있는 안쪽면이 또한 제2 잠금부재의 노치에 들어간다. 맞물림 수단의 탭 표면은, 제2 잠금부재로부터의 어떠한 힘이 작용하는 돌기(Ridge)쪽 위 또는 상기 탭쪽 위에서 본래 평탄하다.
도 8는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된 잠금유닛의 구동 구조물(81)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의 단면도에 대한 절단선과 방향이 도 8에 표시되어 있다. 도 9는 동일한 방향에서 본 도 8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에서, 그 일부가 도 11에 부분 확대도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11은 도 4-7의 구조에 대한 상세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 구동 구조물(81)은 이송아암(Transferring Arm, 112)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아암은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49)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46) 되어 있고 다른 구동 구성물에 타단이 힌지결합 되어 있다. 상기 다른 구동 구성물은 전송스크류(Transmission Screw, 92), 전송아암(84)과 지지아암(82)를 포함하며, 이 실시예에서 그 지지아암은 지지대(83)를 경유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전송아암(84)의 타단에 그 타단이 힌지결합 된다.
더 상세하게, 상기 전송스크류는 상기 전송스크류의 나사산에 그 타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이송아암(112)에 그 중심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이에 의해 상기 나사를 돌리는 힘은 상기 나사산에서 상기 전송아암의 타단을 이동시켜, 그 결 과 상기 전송아암의 이동은 상기 이송아암을 움직일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도 움직일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스크류는 축(111)을 경유하여 전동모터(9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동모터는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킬 정도의 힘을 생산한다. 상기 전동모터는 제어유닛에 접속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어유닛은 제어신호, 긴급상황 등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는 외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전송스크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기계적인 동력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11은 상기 작동부재가 전방 위치에 있고 잠금장치가 닫힌, 즉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상기 전동모터가 상기 전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면,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위치는 변할 수 있다. 도 12-15는 제1 구동 구조물이 제2 위치에 있는 상황을 도시하며, 그 상황에서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되지 않으며, 잠금부재(40)가 전방 위치에 있다. 세이프티 캐치는,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릴(47)의 중심이 상기 작동부재의 하부 에지 아래에 있도록, 상기 전송스크류를 경유하여 하방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는 외부 전력에 의해 후퇴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도 16-19는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 상기 작동부재가 외부 힘에 의해 후퇴 위치로 이동되는 상황을 도시한다. 이 상황에서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릴은 완전히 상기 작동부재 아래에 있다. 실제 작동은, 예컨대 도어를 닫을 때 전방 위치로 다시 이동하도록 허용할 때까지, 상기 작동부재를 후퇴 위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프링이 사용되며, 상기 스프링은 더 자세히 후술될 것이다. 주목할 것은, 도 8-10, 12-14 및 16-18에서, 부품 83과 84를 떨어지게 밀고 있는 부품 82 주변에 하나의 스프링이 존재한다. 이 스프링은 상기 작동부재가 후퇴 위치로부터 전방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구동 구조물들을 원하는 위치로 자동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도 20-22는 다른 구동 구조물(208)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 상기 구동 구조물은 이송아암(201)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49)에 그 일단이, 그리고 상기 다른 구동 구조물에 타단(202)에 의해 힌지결합(46) 되어 있다. 상기 다른 구동 구조물은 전송스크류(92), 전송스프링(205) 및 지지아암(203)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일단이, 그리고 상기 이송아암에 그 타단이 힌지결합(204) 되어 있다.
상기 전송스프링은 본래 U 형상이며, 상기 전송스크류(92)의 나사산에 그 일단이 그리고 상기 지지아암의 중심부에, 더 상세하게는 고정 노치(206)에 그 타단이 지지되고,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의 고정 끝단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코일)은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곡선(207)에서 지지된다.
상기 스크류(92)를 회전시키는 힘은, 상기 나사산에서 지지된 스프링의 끝단을 움직이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205)의 이동은 지지아암(203)과 상기 지지아암 조임을 거쳐 이송아암(201)을 움직이고, 이에 의해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49)가 움직인다. 도 20에서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작동부재는 전방 위치에 있으며, 그리고 도 22에서는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동작하지 않고 작동부재가 후퇴 위치에 있다.
도 23은 잠금장치의 유지 스프링(231)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 장치의 목적은, 예컨대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작동부재를 후퇴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유지 스프링은, 예컨대 금속으로 만들 수 있지만, 적당한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재질로도 만들 수 있다. 유지 스프링(233)의 일부(233)는, 유지면이라 하며, 상기 작동부재를 후퇴 위치에 유지한다. 상기 스프링의 동작을 쉽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의 유지면에 경사(Bevelling, 234)가 있다. 도어 등이 닫힐 때, 제2 잠금부재(72)의 자유단은 스프링 릴리스 브라켓 부분(Part of the Spring Release Bracket, 232)과 접촉하는데, 그 부분은 릴리스면(Release Surface)이라 부르며, 이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릴리스면을 민다. 상기 스프링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2 잠금부재가 미는 것은 상기 스프링을 편향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유지 스프링이 움직이며, 상기 작동부재가 전방 위치로 움직이게 한다. 도 24는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상기 유지 스프링에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대한 실시예를 위에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지 스프링은 또한, 미는 부분(Pushing Part, 236)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상기 작동부재를 전방으로 밀어,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이 앞쪽으로 가도록 보장한다.
도 25는 제2 잠금부재(72) 및 작동부재(40)와 함께 상기 유지수단(Holding Means)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는 경사(251)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프링의 유지면(233)이 근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부재는 여전히 후퇴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잠금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유지면(233)을 막 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은 편향되고 유지면(233)이 경사(25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상기 작동부재는 현재 전방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미는 부분(236)은 그 이동을 보장한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종래의 장치에 존재하지 않은 작동을 포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에 대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잠금유닛에서 제1 잠금부재 및 작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고(126), 상기 잠금에 대한 여러 작동 모드(Operation Mode)를 용이하게 할 가능성을 제공한다(226). 따라서 상기 간격의 폭에 대한 변경은 상기 작동부재의 위치 변경을 의미하고, 상기 작동 모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상기 작동부재의 위치와 상기한 세이프티 캐치의 상태(동작, 비동작, 하방으로 밀림)가 모두 및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 모드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작동(126, 226)들은 다른 작동에 의해 완성될 수 있는 기본적인 작동들이다.
상기 잠금장치를 잠그기 위하여, 상술한 설치 위치에서 상기 상대부의 제2 잠금부재가 상기 간격 내에 상기 잠금유닛과 상대부를 함께 잠글 수 있는 폭으로, 상기 간격이 잠겨지는 위치가 필요하다(326).
또한, 상기 잠금장치를 열기 위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열 가능성을 제공하며(426), 이에 따라 상기 간격의 폭은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상기 간격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보조 동작을 포함하 며, 이에 따라 상기 간격은 열린 동안 상기 유지가 해제될 때까지 넓게 유지되며(526), 이에 의해 상기 간격은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7 내지 29는 또 다른 구동 구조물(262)과 세이프티 캐치(261)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이프티 캐치(261)는 그 아암의 타단에서 함께 힌지 결합(266)되어 있는 2개의 아암(265, 268)을 포함한다. 제1 아암(265)은 또한 작동부재(40)의 하단(263)에 힌지 결합(264)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하단(263)이 둥글게 되는 것이다. 제1 아암(265)의 끝단은, 제2 아암(268)과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266)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 아암의 타단(269)과 토클 이음쇠(Toggle Joint)를 형성하기 위한 브라켓(267)을 포함한다. 제2 아암의 타단(269)은 제1 아암의 브라켓(267)에 대한 잠금면(Locking Surface)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잠금몸체(미도시)에 대하여 지지 이음쇠(Support Joint)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점은, 예컨대 제2 아암의 끝단(269)의 회전을 허용하는 나사에 의해 확실하게 된다(미도시).
도 27-29의 구동 구조물(262)은 이송아암(2610)을 통하여 세이프티 캐치(261)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구조물은 구동휠(Drive Wheel, 2614)와 웜휠(2611)을 포함한다. 이송아암(2610)의 끝단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의 힌지점(26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송아암의 타단은 구동휠(2614)에, 더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휠의 연결핀(26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휠은 중심구멍과 구동구멍(2616)을 포함한다. 상기 웜휠은 중심핀(2613), 구동핀(2612) 및 상기 휠의 에지 상에 기어 가공(Gear Cutting, 291)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휠은 구동핀(2612)이 구동구멍(2616)에 들어가고 중심핀(2613)이 상기 중심구멍에 들어가도록 상기 웜휠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웜휠 덮개의 에지들은 상기 구동휠 에지를 덮는다. 도 30은 구동휠 및 웜휠을 도시한다. 상기 휠들 사이에는 스프링(2617)이 놓여있다. 도 27-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은 상기 웜휠의 중심핀(2613) 주변에 놓여 있고, 상기 스프링의 제1 끝단은 상기 웜휠에 부착되어 있으며, 제2 끝단은 상기 구동휠에 놓여 있다.
상기 웜휠의 기어 가공(291)은 커플링 기어(Coupling Gear, 2618)를 통하여 전동모터(91)의 축상에 고정된 전송 스크류(92), 즉 웜 스크류의 나사산과 부합한다. 상기 전동모터의 축과 상기 웜 스크류 사이의 커플링 기어(2618)는 상기 스크류가 봉쇄되지 않고 전기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플링 기어는, 상기 전기모터로부터 상기 웜휠로의 구동이 차단되는 경우 원하는 상황으로 슬라이드(Slide)한다.
도 27에서, 작동부재(40)는 전방 위치에 있다. 세이프티 캐치(261)는, 상기 토클 이음쇠가 안전각도(Safety Angle)에 있을 때 잠겨 있다. 상기 웜휠은, 구동핀(2612)이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전동모터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잠금 위치로 구동된다. 이 위치로 구동될 때 스프링(2617)은 동시에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이송아암을 움직이며, 상기 토클 이음쇠를 잠그면서 도어가 닫힐 때 방출된다. 적은 예비 변형(Pre-strain)이 상기 스프링에 남는다. 다시 말하면, 도 27은 도어 닫힘-잠금유닛 잠긴 상황을 도시한다.
도 28은 세이프티 캐치(261)가 전동모터(91)에 의해 구동되어 열린 상황을 도시한다. 상기 웜 스크류는 상기 나사산과 기어 가공(291) 사이의 연결을 통하여 시계방향으로 웜휠(2611)을 회전시킨다. 구동구멍(2616)에서 상기 웜휠의 구동핀(2612)은 상기 구동휠을 역시 강제로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휠의 회전은 상기 토클 이음쇠가 열리도록 움직이는 이송아암(2610)을 이동시키고 있다. 스프링(2617)은 움직이지만 어떠한 다른 변형에 있도록 강요받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도 28은 도어 닫힘-잠금장치 열린 상황을 도시한다.
상기 잠금유닛이 열릴 때 도어가 움직여 열리면, 작동부재(40)는 도 29에 기재된 바와 같이, 후퇴 위치로 움직인다. 세이프티 캐치(261)의 아암(265, 268)들은 상기 작동부재가 뒤로 움직이도록 하는 아암의 힌지점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송아암(2610)도 또한 움직여 상기 구동휠을 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웜휠은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구동핀은 상기 구동휠을 따라 움직이는 긴 구동구멍(2616)에 여전히 머무른다. 이때, 그러나 스프링(2617)은 강제로 과도한 변형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29는 도어 열림-잠금유닛 열린 상황을 도시한다.
작동부재(40)는 유지 스프링(231)의 도움으로 후방 위치에 아직도 머무르지만,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스프링의 과도한 변형은 방출되어 상기 구동휠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휠의 회전은 도 27의 잠금 위치 또는 도 28의 열림 위치로 세이프티 캐치(261)를 이동시킨다. 상기 도어가 열리거나 도어를 닫을 때,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웜휠이 잠금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면, 세이프티 캐치(261)는 잠금 위치로 움직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더 많은 변형을 하게 된 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간격(Locked Gap)의 폭은 상기 제2 잠금부재가 그곳에서 충분한 공간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간격의 형태에 의해 상기 간격 내에 상기 제2 잠금부재가 머무를 수 있는데, 상기 간격은 상기 잠금부재와 작동부재의 설계에 따른다. 여러 선택적 설계가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맞물림 브라켓의 상술한 표면은 평탄(상기 브라켓의 양면 또는 다른 면에서 평탄)할 필요는 없지만, 다른 형태를 따를 수 있는데, 즉 예를 들면 오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재와 작동부재는, 예컨대 실린더 형태(한면은 오목하고 다른 면은 볼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부품들의 형태, 형상, 상호 작동 및 마찰면에 의해, 예컨대 약 500뉴톤의 여는 힘이 더 작은 힘(바람직하게 단지 약 80-90N의 힘)과 함께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릴에 작용한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현재 1㎜ 움직이면, 상당히 더 작은 힘, 바람직하게는 단지 10N이 마찰력과 회전 저항을 극복하는데 필요하다. 상기 구동 구조물은 전동모터로부터 필요한 전력 출력을 더욱 감소시키며,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이동이 짧기 때문에, 필요한 에너지 양은 100mJ 미만, 바람직하게는 10mJ 정도일 뿐이다. 따라서, 짧은 이동과 작은 힘 때문에, 전동모터에 비싸고 복잡한 전송이 필요가 없지만, 대신에 간단한 스크류 피니언(Screw Pinion)과 레버(Lever)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필요 이동으로 전환할 것이다. 필요한 토크는, 예컨대 작은 DC모터로 용이하게 생산될 수 있다. 적은 토크로 인해 필요한 모터 회전은 거의 없으며, 별도의 감속기어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한번의 개폐에 따른 모터의 작동시간이 매우 짧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종래의 잠금유닛보다 잠금유닛을 개폐하는데 에너지를 훨씬 덜 사용한다. 래치와 같은 상기 잠금부재 자체는 이동하지 않지만, 세이프티 캐치만은 짧은 거리(수 미리미터)를 움직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폐를 유용하게 한다. 여는 힘은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부재를 후퇴 위치로 밀고, 닫는 힘은 상기 잠금장치를 전방 위치로 해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재들은, 상기 잠금장치의 도어 간격으로 어떤 것을 고정(Wedging)으로써 도어를 열려고 하면, 실제 그러한 고정은 상기 잠금장치를 더 근접하게 밀도록 도어와 도어 프레임을 서로 잠근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에서는, 예컨대 도어가 열거나, 잠기거나, 열려 있는 지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들을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하나의 센서가 이 모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위치를 관찰할 때 상기 잠금장치의 상태에 대하여 충분한 정보량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수많은 해결책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잠금장치는 도어마다 하나의 잠금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유닛은 도어 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대부는 도어 또는 그 반대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그 잠금장치에 영구적으로 접속된 와이어를 경유하거나, 또한 상기 잠금장치가 (작은 고주파 전송기/수신기와 같은) 고주파 인터페이스를 가진다면 대기를 통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큰 집들의 잠금도 중앙에서 제어될 수도 있다. 전압 공급 및/또는 제어는, 도어가 잠길 때, 도어 및 도어 프레임에 서의 접촉면들을 통하여 잠금장치에 도입될 수 있다.
상술한 맞물림 브라켓들은 수많은 방식으로 상기 잠금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그 일단에 의해 고정되는 맞물림 브라켓과 더불어, 그것은 그 위 아래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맞물림 브라켓, 특히 상기 잠금유닛에 고정된 맞물림 브라켓은, 어떤 방식에서는 상기 잠금 몸체에 매몰될 수 있다. 다양한 해결방안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제1 잠금부재와 작동부재 사이의 간격이 존재하고, 그 간격에 상기 제2 잠금부재가 들어갈 수 있으며, 그것이 잠길 수 있다(그곳에 고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의 맞물림 표면, 즉 맞물림 브라켓이 돌출 탭(Protruding Tab)으로서 기재되어 있다는 사실에 더하여, 그것은 홈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의 형상은 상기 제1 잠금부재의 형상에 따른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 브라켓은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작동부재의 탭 또는 홈으로도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맞물림 브라켓은 또한 구조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맞물림 브라켓은 별도로 제작되어 나중에 상기 아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 캐치도 반드시 릴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상기 아암도 다른 형상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그 부분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하면 상기 작동부재를 충분히 지지하고,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후퇴 위치로 상기 작동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구성은 여기에서 개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나올 필요는 없 지만,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다른 방식, 또는 기계적(전형적인 기계적 열쇠)으로도 생산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재된 것을 기초로 하여, 분명히, 본 발명은 여기에서 기재된 것 이외의 방식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영역 내에서 수많은 다양한 해결방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37)

  1. 회전 가능한 도어, 해치(Hatch) 등과 도어 프레임 등을 함께 잠그기 위한 잠금유닛과 상대부(Counter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과 상대부가 상기 잠글 수 있는 부품들에 설치 가능한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제1 자유단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회전 가능한 도어의 회전축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있는 제1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부는, 제2 자유단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회전 가능한 도어의 회전축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있는 제2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도어, 해치 등이 닫힌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유닛들이 그 설치 위치에 서로 대향할 때 서로 겹쳐져 함께 작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잠금장치는, 그 제1 끝단이 힌지수단을 포함하는 아암을 포함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맞물림 브라켓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힌지수단에 의해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고정되는 동안, 이에 따라 상기 아암이 상기 힌지수단에 의해 형성된 힌지점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아암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드의 잠금이 만들어지고 상기 아암이 제어 가능하게 지지되면, 상기 잠금이 달성되며,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상기 겹쳐진 잠금부재는 상기 위치에서 상기 잠금유닛과 상대부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상기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잠금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부재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도록 배 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작동부재의 제어된 지지를 위하여 작동부재를 위한 세이프티 캐치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잠금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방 위치에서 잠겨지고, 이에 의해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작동하며,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잠금이 열리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작동부재는 후퇴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재는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그 일단이 고정된 브라켓이고, 제2 잠금유닛은 상기 상대부의 몸체에 그 일단이 고정된 브라켓이며, 상기 브라켓들의 자유단은 상기 브라켓이 상기 겹쳐지는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작동부재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고, 그 간격의 폭이 상기 작동부재의 위치에 의존하며,
    상기 간격은 상기 작동부재가 후퇴 위치에 있으면 가장 넓게 되고 상기 작동부재가 전방 위치에 있으면 가장 좁으며,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간격은,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상기 겹쳐지는 위치에서 자신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가지도록 마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전방 위치에 있고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작동하며 상기 잠금부재들이 겹쳐 있는 동안 상기 잠금은 닫히고,
    상기 작동부재가 계속 전방 위치에 있고 두 작동부재들이 서로 겹쳐져 있는 동안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은 열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잠금유닛 또는 상대부에 작용하여 이 유닛들을 분리하는 힘이 상기 간격으로부터 상기 제2 잠금부재를 당길 것이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잠금부재는 상기 후퇴 위치쪽으로 상기 작동부재를 동시에 밀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자유단이 제1 자유단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작동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상기 잠금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제 2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릴을 포함하며, 상기 릴의 중심점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하면 상기 릴의 둘레가 상기 아암의 후방 에지에 의해 형성된 상대면 위에서 눌러지는 동안 상기 작동부재의 면 위에 있고,
    상기 세이프티 캐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릴의 중심부가 상기 아암의 후 방 에지의 밖에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릴은 상기 아암이 외력에 의해 그 후퇴 위치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아암을 포함하며, 그 아암 위에 릴이 고정되고, 그리고,
    제2 힌지를 경유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그 고정단(Fastening End)이 고정되며 상기 구동 구조물 구조에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은, 상기 작동부재에 작용하거나 상기 구동 구조물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힌지로 형성된 제2 힌지점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구조물에 의해 전달되는 힘은, 상기 릴의 중심점이 상기 아마의 후방 에지 쪽 또는 그 바깥쪽에 있도록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을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구조물은,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구동 구조물에 타단이 힌지 결합된 이송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구동 구조물은, 전송 스크류, 전송 스프링 및 지지아암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이송아암에 타단이 힌지결합 되며,
    상기 전송 스프링은 기본적으로 U-형상이고 상기 전송 스크류의 나사산에 그 일단이 지지되며 상기 지지아암의 중심부에 타단이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그 곡선에서 추가적으로 지지되며,
    이에 의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힘은 상기 나사산에 지지된 스프링의 끝단을 움직이고,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이동은 지지아암 고정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아암과 이송아암을 움직이며, 이에 따라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도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구동 구조물은 전송 스크류, 전송아암 및 지지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잠금유닛의 몸체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전송아암에 그 타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전송아암은 상기 전송 스크류의 나사산에 그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이송아암에 그 중심부가 힌지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힘은, 상기 나사산에서 지지된 전송아암의 타단을 움직일 것이며, 이에 의해 이렇게 발생되는 이동은 상기 이송아암을 움직여 상기 세이프티 캐치의 아암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힘을 얻기 위한 전동모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4.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캐치는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들 사이에 토클 이음쇠를 형성하는 아암들의 제1 끝단에서 함께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아암의 제2 끝단이 상기 작동부재의 하단과 힌지 결합되고 제2 아암의 제2 끝단이 상기 잠금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이송아암, 구동휠, 웜휠, 상기 휠들과 전송 스크류 사이의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구동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아암은 제1 및 제2 아암 사이의 힌지 및 상기 구동휠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휠은 상기 웜휠에 삽입되고, 상기 웜휠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두 휠은 공통 축심을 가지며 상기 축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휠들은 원하는 쪽으로 상기 가이드 수단을 경유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구동휠은 상기 전송스크류와 결합되어, 포텐셜 토션력(Potential Torsion Force)이 상기 웜휠을 회전시키면, 그 원휠이 차례로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며 상기 이송아암이 상기 세이프티 캐치를 원하는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상기 이송아암을 위한 연결핀, 중심구멍 및 구동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웜휠은 중심핀, 구동핀과 상기 휠의 에지 위의 기어가공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휠은, 상기 구동핀이 상기 구동구멍 안에, 그리고 상기 중심핀이 상기 중심구멍에 들어가도록 상기 웜휠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중심핀 주위에서 상기 휠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구멍과 중심핀은 공통 축심을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구동구멍, 상기 구동핀 및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전송 스크류가 전동모터에 연결될 수 있는 커플링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8. 제 13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동모터에 접속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외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잠금장치.
  20. 제 1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크류는 기계적 인 전원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1. 제 4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끝단은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브라켓의 안쪽 에지 쪽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끝단은 상기 제2 잠금부재의 브라켓의 안쪽 에지 쪽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브라켓들의 겹침 이동(Overlapping Movement)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뒤의 제1 끝단에서 보아 상기 제1 잠금부재의 안쪽 에지는 노치(Notch)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부재의 바깥쪽 에지는 상기 제2 자유단과 인접하거나 제2 자유단으로부터 시작되는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잠금부재의 곡면과 그 안쪽 에지의 경사면이 상기 아암이 바깥으로 휘어지기 시작하는 점에서 상기 브라켓의 아암에 종료되어, 상기 제2 잠금부재의 브라켓의 고정단 앞에 곡선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톱니모양이 상기 곡면과 경사 사이에 남아있으며,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간격이 가장 좁게 되고 브라켓들이 서로 겹치면, 제2 잠금부재의 브라켓의 톱니모양의 위치에 있는 브라켓의 탭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위치에서 상기 제2 잠금부재의 톱니모양의 위치에 있는 안쪽면은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잠금부재의 노치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브라켓의 탭 표면은, 상기 탭의 양면 또는 상기 제2 잠금부재로부터 힘이 작용하는 탭의 면에서 기본적으로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4. 제 6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아암이 후퇴 위치로 움직이면 상기 유지 스프링의 유지면이 위치하는 홈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아암은 상기 후퇴 위치에 머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면은 릴리스 브라켓을 포함하고, 이를 경유하여 상기 릴리스 브라켓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홈으로부터 상기 유지면이 멀어지도록 움직이며, 이에 의해 상기 아암은 전방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유단이 제1 자유단을 지나고 상기 브라켓들이 겹치는 위치로 움직이면, 상기 제2 자유단은 상기 유지 스프링의 릴리스 브라켓을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7. 제 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마찰면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면은 상기 여는 힘이 상기 마찰면과 함께 상기 작동부재의 맞 물림 브라켓에 작용할 때, 하나의 지지면으로서 작용하는 상기 작동 아암의 측면 에지 쪽 위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면이 상기 여는 힘이 가해지는 동안 서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근본적으로 상기 작동부재의 맞물림 브라켓의 레벨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9. 제 3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부재는 제2 힌지를 통하여 상기 상대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상기 힌지에 의해 형성된 힌지점과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0. 제 3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부는 상기 유닛들이 상기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잠금부재가 들어가는 톱니모양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1. 제 3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와 작동부재에 대한 설계는 상기 잠금유닛 및 그 상대부를 서로에 대하여 상기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2. 제 2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세이 프티 캐치의 위치를 관찰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33. 제 3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부는 상기 잠금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34. 서로 잠기도록 한 구조로 설치 가능한 잠금유닛과 상대부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의 작동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서로 간격을 가지는 제1 잠금부재와 작동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상대부는 제2 잠금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잠금부재가 제1 자유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제2 자유단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유닛들이 서로 대향한 설치 위치에 있으면, 즉 닫힌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는 구조를 가지는 동안, 상기 잠금부재들이 서로 겹쳐 위치하고,
    상기 잠금장치의 상기 구성물들에 의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잠금부재와 작동부재 사이에 간격을 변경할 가능성이 제공되고,
    상기 잠금에 대한 다양한 작동 모드가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간격 내에 위치한 상대부의 제2 잠금부재가 상기 간격에 머물러, 상기 잠금유닛과 상대부를 서로 잠그도록 한 폭으로 상기 간격을 잠글 가능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작동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긴 간격의 폭은, 상기 제2 잠금부재가 그곳에서 충분한 공간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상기 간격의 형태에 따라 상기 간격 내에 머무르고, 상기 간격은 상기 잠금부재와 작동부재의 설계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작동방법.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이 열리고, 이에 따라 상기 간격의 폭이 증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잠금부재가 상기 간격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잠금장치의 작동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이 넓으면, 상기 유지가 해제될 때까지 넓게 유지되어, 이에 따라 상기 간격이 더 좁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작동방법.
KR1020067007248A 2003-10-14 2004-09-23 잠금장치 KR101106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1495A FI120417B (fi) 2003-10-14 2003-10-14 Lukitusjärjestelmä
FI20031495 2003-10-14
PCT/FI2004/000558 WO2005038174A1 (en) 2003-10-14 2004-09-23 Locking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189A true KR20070020189A (ko) 2007-02-20
KR101106902B1 KR101106902B1 (ko) 2012-01-30

Family

ID=2922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248A KR101106902B1 (ko) 2003-10-14 2004-09-23 잠금장치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7503600B2 (ko)
EP (1) EP1702124B1 (ko)
JP (1) JP4572201B2 (ko)
KR (1) KR101106902B1 (ko)
CN (1) CN1867744B (ko)
AR (1) AR046335A1 (ko)
AT (1) ATE433032T1 (ko)
AU (1) AU2004282374B2 (ko)
BR (1) BRPI0415139B1 (ko)
CA (1) CA2537540C (ko)
DE (1) DE602004021427D1 (ko)
DK (1) DK1702124T3 (ko)
ES (1) ES2327641T3 (ko)
FI (1) FI120417B (ko)
HK (1) HK1095168A1 (ko)
IL (1) IL174024A (ko)
MX (1) MXPA06003902A (ko)
NO (1) NO339977B1 (ko)
PL (1) PL1702124T3 (ko)
RU (1) RU2347876C2 (ko)
SI (1) SI1702124T1 (ko)
TW (1) TWI363831B (ko)
WO (1) WO2005038174A1 (ko)
ZA (1) ZA2006038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79Y1 (ko) * 2015-06-25 2015-12-30 유효상 슬라이딩 창문용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3480A1 (de) * 2007-03-15 2008-09-18 Euchn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lösbaren Zuhalten eines verriegelten geschlossenen Zustandes einer Raumtrenneinrichtung
TR200801927A2 (tr) * 2008-03-24 2009-01-21 Vemus Endüstri̇y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Mikro motorlu kilitleme dili sistemi.
US8191936B2 (en) * 2008-11-12 2012-06-05 Cole Kepro International, Llc Gaming machine door latch
DE202009013411U1 (de) * 2009-10-23 2011-03-10 Paul Hettich Gmbh & Co. Kg Schließsystem eines ausziebaren Möbelteils und Möbel
CN102287424B (zh) * 2010-06-21 2013-04-17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锁止机构
CN102166092B (zh) * 2011-04-22 2013-05-01 珠海双喜电器有限公司 一种带自锁装置的压力锅
CN102723223A (zh) * 2012-06-21 2012-10-10 江苏华冠电器集团有限公司 开关操作联锁机构的驱动装置
EP3108080B1 (en) 2014-02-18 2019-01-02 Hartwell Corporation Tool operated channel latch
EP3191666B1 (en) 2014-09-09 2019-11-06 Hartwell Corporation Clevis sensing lock
CN206162731U (zh) * 2016-08-12 2017-05-10 燕南国创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门锁
DE102017127163B4 (de) 2017-11-17 2020-03-05 Lidl Stiftung & Co. Kg Scharnier sowie Ausgabevorrichtung
CN110206410B (zh) * 2018-08-14 2024-01-05 江西百胜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平开门自动插销锁及平开门
US11530557B2 (en) 2019-10-11 2022-12-20 Hartwell Corporation Dual switch rotary latch
TWI768904B (zh) * 2021-05-18 2022-06-21 黄紫琳 擺動式駐輪裝置
WO2023009531A1 (en) * 2021-07-30 2023-02-02 Larson Manufacturing Company Of South Dakota, Llc Door latch assembly with alignment adjustability and seal arrangements
CN114607211B (zh) * 2022-03-31 2023-01-31 上饶市科特五金有限公司 一种压杆式平面锁
CN116437604B (zh) * 2023-04-11 2023-11-03 宁波甬科声学技术有限公司 精密数据采集控制板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41361A (ko) *
US1959361A (en) * 1931-10-20 1934-05-22 Holtzman John Lock
US3050322A (en) * 1960-05-16 1962-08-21 Daryl Ind Inc Releasable latch assembly
US3247924A (en) * 1962-08-31 1966-04-26 Hollas K Price Safety automobile door locking device
US5118150A (en) * 1991-06-26 1992-06-02 Adams Rite Manufacturing Company Compact electric strike
GB9302918D0 (en) * 1993-02-13 1993-03-31 Hardware & Systems Patents Ltd Security fitting
FR2709779B3 (fr) * 1993-09-08 1995-09-01 Mori Sa Verrou de châssis à déverrouillage de sécurité et châssis équipé d'un tel verrou.
US5865483A (en) * 1997-01-16 1999-02-02 Dubravin; Roman Electromechanical locking system
FR2761722B1 (fr) * 1997-04-03 1999-06-18 Ferco Int Usine Ferrures Ferrure a pene reglable pour ouvrant coulissant
SG83743A1 (en) 1999-08-23 2001-10-16 Yeok Sing Sio A ca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79Y1 (ko) * 2015-06-25 2015-12-30 유효상 슬라이딩 창문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603800B (en) 2007-04-25
CN1867744B (zh) 2011-11-16
US20070052251A1 (en) 2007-03-08
EP1702124B1 (en) 2009-06-03
TW200514905A (en) 2005-05-01
TWI363831B (en) 2012-05-11
MXPA06003902A (es) 2006-06-27
BRPI0415139A (pt) 2006-11-28
AU2004282374B2 (en) 2010-07-15
IL174024A0 (en) 2006-08-01
WO2005038174A1 (en) 2005-04-28
BRPI0415139B1 (pt) 2015-05-19
JP2007508480A (ja) 2007-04-05
DE602004021427D1 (de) 2009-07-16
FI20031495A0 (fi) 2003-10-14
AR046335A1 (es) 2005-12-07
ATE433032T1 (de) 2009-06-15
RU2006116494A (ru) 2007-11-27
PL1702124T3 (pl) 2009-11-30
NO339977B1 (no) 2017-02-27
DK1702124T3 (da) 2009-08-17
RU2347876C2 (ru) 2009-02-27
EP1702124A1 (en) 2006-09-20
FI20031495A (fi) 2005-04-15
CA2537540C (en) 2011-11-15
NO20062161L (no) 2006-07-13
US7503600B2 (en) 2009-03-17
AU2004282374A1 (en) 2005-04-28
SI1702124T1 (sl) 2009-12-31
IL174024A (en) 2010-06-16
FI120417B (fi) 2009-10-15
CN1867744A (zh) 2006-11-22
CA2537540A1 (en) 2005-04-28
JP4572201B2 (ja) 2010-11-04
ES2327641T3 (es) 2009-11-02
KR101106902B1 (ko) 2012-01-30
HK1095168A1 (en)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902B1 (ko) 잠금장치
CN114016826B (zh) 智能闩锁
CN110359787B (zh) 具有动力打开特征的汽车门闩锁
US6575507B2 (en) Power-actuated motor-vehicle door latch
US8376417B2 (en)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US7434853B2 (en) Door latch apparatus
US6017067A (en) Latch device for a tailgate of a vehicle
EP1790803B1 (en) Door closing device
US20060267351A1 (en) Latch for a vehicle
JP2008530407A (ja) ラッチ組立体
JP2511115B2 (ja) ドアロツク装置
US20160340939A1 (en) Lock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hood, and method
US6250013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in a wall
CN114080483B (zh) 用于窗、门等的锁扣件
JP4530912B2 (ja) ドアラッチ装置
US20060090742A1 (en) Motorized oven door latch assembly
JP2010159561A (ja) 扉用施錠装置
JP3180039B2 (ja) オートクローザー付ロック装置の非常時作動解除装置
JP4555731B2 (ja) ドアラッチ装置
CN210217432U (zh) 门锁装置及车门
JPH07122369B2 (ja) ドアロツク装置
JP4566065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H07122367B2 (ja) ドアロツク装置
JP4459110B2 (ja) ドア開閉制御装置
JP2511114B2 (ja) ドアロツ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