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860A -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860A
KR20070017860A KR1020050072497A KR20050072497A KR20070017860A KR 20070017860 A KR20070017860 A KR 20070017860A KR 1020050072497 A KR1020050072497 A KR 1020050072497A KR 20050072497 A KR20050072497 A KR 20050072497A KR 20070017860 A KR20070017860 A KR 20070017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phone
transmitter
receiver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3483B1 (ko
Inventor
김충호
Original Assignee
김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호 filed Critical 김충호
Priority to KR102005007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4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기능에 차량제어 기능을 탑재시켜 원격 차량제어가 가능하고 차량에 장착된 상태로 휴대폰 기능 및 직접 차량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 기능부, 차량과 유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송수신부, 상기 제1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제어부를 통한 상기 차량의 제어 시에 상기 제1송수신부를 통하여 이를 인증하도록 구성되는 제1인증부가 포함된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을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어느 한 부위에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의 제1송수신부와 대응하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송수신부, 상기 제2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간접제어되거나 직접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제어부, 상기 제2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인증부의 인증 신호에 의해 간접인증되거나 직접인증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인증부 및 상기 차량의 제어시스템에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크래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휴대폰을 차량에 장착시킨 채로 직접제어가 가능하고 네비게이션 및 핸즈프리로도 활용가능하다.
휴대폰, 네비게이션, 핸즈프리, 유무선 이어마이크폰

Description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A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and the controlling method for vehicle us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크래들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 및 크래들과의 상호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 및 크래들의 일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에 제3송수신부가 구비된 형태가 도시된 개념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 제3송수신부 및 크래들과의 상호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부가 내장된 것이 도시된 도면,
도 7a는 도 6의 이어마이크폰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내부도면,
도 7b는 도 7a의 일부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의 순서를 개략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휴대폰,
200... 제3송수신부,
300... 크래들,
500... 차량.
본 발명은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폰 기능에 차량제어 기능을 탑재시켜 원격 차량제어가 가능하고 차량에 장착된 상태로 휴대폰 기능 및 직접 차량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랑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근거리 원격 시동 및 도어 개폐를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에는 원격 리모콘에 고리를 구비하여 이에 시동을 위한 차량 열쇠를 따로 장착하여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제어 시스템의 경우, 원격 시동 및 도어 개폐를 위한 리모콘과 시동을 위한 차량 열쇠를 각각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 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제어 시스템은 일방적인 차량제어만을 제공하며 차량의 연료 등의 소모품 상태는 제공되지 않았다.
그리고, 종래에는 차량의 내부에 별도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구비하여 이를 활용함과 동시에 휴대폰 핸즈프리 거치대를 이와는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핸즈프리, 네비게이션, 시동이 가능한 원격 리모콘 및 차량의 유지관리가 가능한 일체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폰에 차량제어 기능을 탑재시켜 휴대폰의 기능을 유지한 채로 차량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휴대폰을 차량에 장착시킨 채로 직접제어가 가능하고 네비게이션 및 핸즈프리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은 휴대폰 기능부, 차량과 유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송수신부, 상기 제1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제어부를 통한 상기 차량의 제어 시에 상기 제1송수신부를 통하여 이를 인증하도록 구성되는 제1인증부가 포함된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이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어느 한 부위에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의 제1송수신부와 대응하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송수신부, 상기 제2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간접제어되거나 직접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제어부, 상기 제2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인증부의 인증 신호에 의해 간접인증되거나 직접인증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인증부 및 상기 차량의 제어시스템에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크래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의 상기 제1송수신부 및 상기 크래들의 상기 제2송수신부는 적외선 방식, 근거리 전파방식 및 기지국 중계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호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의 상기 제1송수신부 및 상기 크래들의 상기 제2송수신부는 소정의 시간격으로 상호 동기화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크래들은 상기 차량에 착탈식 또는 차량내장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크래들에는 네비게이션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폰에는 상기 크래들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보조 표시창이 더 구비되며, 상기 휴대폰의 상기 보조 표시창은 접이식, 슬라이드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래들에는 자체 스피커가 내장되어 이루어지거나, 상기 크래들은 차량의 스피커에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우기, 상기 크래들은 차량의 전원 시스템과 연결되어 이를 통하여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차량의 전원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
또한, 상기 휴대폰 및 상기 크래들의 구동에 요구되는 프로그램은 상호 접속에 의하여 상호 업로드/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또한, 상기 휴대폰의 제1송수신부와 상기 크래들의 제2송수신부 간의 송수신 강도 증폭을 위하여 상기 휴대폰의 외부에 제3송수신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있으며, 이때, 상기 제3송수신부는 상기 휴대폰의 악세사리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송수신부 및 상기 크래들의 상기 제2송수신부는 적외선 방식, 근거리 전파방식 및 기지국 중계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폰에는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이어마이크폰 및 이어마이크폰에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신호송수신부로 이루어진 이어마이크폰부가 더 내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어마이크폰부는 상기 휴대폰에 착탈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이어마이크폰부는 상기 휴대폰과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송수신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어마이크폰부의 상기 이어마이크폰은 상기 이어마이크폰부에 선 및 스프링으로 고정되어, 제1견인 시 상기 이어마이크폰의 선이 인출되고, 제2견인 시 상기 이어마이크폰의 선이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폰에는 상기 이어마이크폰을 통하여 상기 휴대폰의 제1제어부에 제어신호가 전달되도록 음식인식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은 제어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인증단계; 상기 인증단계를 통하여 인증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수단으로써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에 전달되며, 상기 차량의 정보가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되는 피드백 송수신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휴대폰 또는 크래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휴대폰 기능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0)이 통상의 휴대폰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휴대폰(100)에는 차량과 유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1송수신부가 구성된다. 제1송수신부를 통하여 차량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차량정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게된다. 이 제1송수신부는 차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제어부와 연동된다. 이 제1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원하는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제어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제1제어부는 제1인증부와 연동되어 제1인증부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제어가 가능하도록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크래들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차량(500)에는 그 어느 한 부위, 바람직하게는 운전석 주변의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크래들(300)이 구성된다. 이 크래들(300)은 휴대폰(1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크래들(300)에는 휴대폰(100)의 제1송수신부와 대응하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송수신부가 구성된다. 이 제2송수신부는 차량의 정보를 휴대폰(100)에 송출하며, 상술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에서의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크래들(300)은 차량(500) 내부에 차량내장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차량(500)의 제작 시에 차량 내부에 장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300)은 차량(500)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차량(500)의 교체 등에 따라 크래들(300)도 같이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차량(500)의 교체 또는 크래들(300)의 교체 또는 휴대폰(100)의 교체시에 본 명세서의 본문 상에 서술된 인증방식을 통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대로 새로운 인증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차량(500) 내부에 장착되는 크래들(300)은 차량(500)의 전원으로부터 사용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차량(500)의 전원 자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500)의 전원 자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크래들(300)로 직접 또는 크래들(300)과 휴대폰(100) 간의 송수신을 통하여 차량(500)의 시동을 포함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크래들(300)은 차량(500)에 통상적으로 장착되는 키박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크래들(300)로써 직접적으로 또는 휴대폰(100)으로써 크 래들(300)을 통한 간접적으로 시동을 포함한 전원제어가 가능하며, 이때, 휴대폰(100) 또는 크래들(300)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인증이 가능하고, 휴대폰(100) 또는 크래들(300)에 구비된 별도의 스타트버튼을 통하여 차량 시동의 온/오프가 가능하다.
또한, 크래들(300)은 차량(500)의 출고 시에 에어콘, 선루프 등과 같이 부가옵션으로서 선택가능하고, 사용자의 임의대로 장착 및 교체 또한 가능하다.
크래들(300)이 차량(500) 내부에 장착 시에, 크래들(300)은 차량(500) 스피커에 또한 연결될 수 있거나, 크래들(300) 자체에 스피커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크래들(300)은 휴대폰(100)으로부터 제어시스템 사용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 및 크래들과의 상호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개념도이다.
차량의 크래들에 구성되는 제2송수신부와 휴대폰의 제1송수신부는 적외선 방식으로 상호 송수신 가능하다. 이 적외선 방식은 통상의 IrDA방식으로써 근거리 간에 위치하는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의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제2송수신부와 제1송수신부는 근거리 전파방식으로써 상호 송수신 가능하다. 근거리 전파방식은 제2송수신부와 제1송수신부를 상호 직접 전파송출로서 송수신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2송수신부와 제1송수신부는 기지국 중계방식으로 상호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 기지국 중계방식은 상술된 적외선 방식 및 근거리 전파방식 보다 원거 리에서도 작동 가능하며, 이때 기지국은 휴대폰 무선통신사업자의 기지국을 활용할 수 있다.
상술된 신호 송수신방식은 상호 변환 가능하다. 즉, 근거리에서는 적외선 방식 및 근거리 전파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써 신호의 상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다가 어느 일정한 즉, 설정된 범위 이외에서는 기지국 중계방식으로 변환가능하다.
또한, 같은 취지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폰과 크래들의 거리 설정을 통하여 근접거리 내에서는 차량의 도어락이 해제되도록 하거나, 근접거리에서 벗어날 시에 자동으로 차량의 도어락이 잠금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또한 차량의 신호정보를 휴대폰에 상시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제1송수신부 및 차량에 구성된 크래들의 제2송수신부는 소정의 시간격으로 상호 동기화되도록 구성된다. 즉, 휴대폰 및 크래들 자체에 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의 동기화가 이루어져 차량의 도난, 차량의 상태 등을 사용자가 수시로 인지할 수 있다.
제2송수신부는 제2제어부와 연동구성된다. 이 제2제어부는 상술된 휴대폰에서 송출되는 제어신호로써 간접제어되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는 사용자가 이 제2제어부를 통하여 직접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제어부는 제2인증부와 연동된다. 제2제어부는 제2인증부와 연동되어 제2인증부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제어가 가능하도록 된다. 이 제2인증부는 제2인증부를 통한 직접인증이 가능하며, 상술된 휴대폰의 제1인증부에서 송출된 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통한 간접인증 또한 가능하다. 크래들에는 차량의 제어시스템과 연결되도록 연결부가 구성된다. 이 연결부는 종래 차량의 운전석에 구비된 키박스를 통하여 차량의 제어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제어시스템과 연결되는 방식이라면 어느 방식이나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 및 크래들의 일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차량에 장착된 크래들(300)에는 네비게이션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네비게이션 장치는 통상의 네비게이션 장치이다. 크래들(300)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현실적인 구현을 위하여, 크래들(300)에 장착되는 휴대폰(100)에는 더욱 효율적인 현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보조 표시창(130)이 더 구비된다. 이 휴대폰(100)에 구비되는 보조 표시창(130)은 본 표시창(110)과 중첩 및 본 표시창(110)에서 연장이 가능하도록 되는 접이식, 슬라이드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되는 휴대폰(100)의 사양에 따라 기술적 구현이 가능한 다른 방식 또한 가능하다.
또한, 휴대폰(100)이 장착되는 크래들(300) 상에도 보조 표시창(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창은 크래들(300)에 장착되는 휴대폰(100)의 정보가 이에 현시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크래들(300)의 자체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에 제3송수신부가 구비된 형태가 도시된 개념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 제3송수신부 및 크래들과의 상호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개념도이다.
또한, 휴대폰(100)의 제1송수신부와 크래들의 제2송수신부 간의 송수신 강도 증폭을 위하여 휴대폰(100)의 외부에 제3송수신부(20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형의 휴대폰(100) 내에 차량에 장착된 크래들의 제2송수신부와 송수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휴대폰(100)의 전력소모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점차 소형화되어 가는 휴대폰(100)의 추세에 다소 역행되어질 수가 있다. 따라서, 휴대폰(100)의 외부 즉, 악세사리 등에 제3송수신부(200)를 구비하여 이 제3송수신부(200)를 통하여 제2송수신부와의 송수신 강도 증폭을 도모할 수가 있다. 즉, 제1송수신부는 제3송수신부(200)와 근거리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제1송수신부와 근거리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제3송수신부(200)는 제1송수신부의 송수신 강도를 증폭하여 제2송수신부와 상대적으로 원거리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1송수신부와 제3송수신부(200) 간의 송수신은 적외선 방식 또는 근거리 전파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의 휴대폰의 이어마이크폰부가 내장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7a는 도 6의 이어마이크폰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내부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일부확대도이다.
또한, 휴대폰(100)에는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이어마이크폰부(150)가 더 내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이어마이크폰부(150)는 사용자에게 핸즈프리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이어마이크폰과 이 이어마이크폰에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 된 신호송수신부로 구성된다. 이어마이크폰은 통상의 이어마이크폰이며, 무선 또는 유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폰(100)에 내장되는 신호송수신부는 이어마이크폰과 휴대폰(100)의 상호 송수신을 조력해준다. 신호송수신부는 무선방식으로 이어마이크폰과 송수신이 가능하며, 휴대폰의 전력으로써 구동된다.
신호송수신부와 이어마이크폰을 구비한 이어마이크폰부(150)는 휴대폰(100)에 착탈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 이어마이크폰부(150) 또한 휴대폰(100)과 유선 즉, 접촉식으로 송수신가능하거나 무선방식으로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어마이크폰부(150)에 구비되는 이어마이크폰이 유선방식이 사용되어질 시에, 이어마이크폰부의 이어마이크폰은 이어마이크폰부에 선(153) 및 스프링(151)으로 고정되어, 제1견인 시 상기 이어마이크폰의 선(153)이 인출되고, 제2견인 시 상기 이어마이크폰의 선(153)이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이어마이크폰부(150)의 이어마이크폰을 제1견인 시, 이어마이크폰과 연결된 선(153)이 이어마이크폰부에서부터 인출되어 나오게된다. 제1견인의 동작이 종료되면, 인출된 선이 그대로 고정된 상태로 이어마이크폰을 사용할 수 있다. 인출된 선(153)을 다시 이어마이크폰부(150)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제2견인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제2견인의 견인 길이는 제1견인의 견인 길이에 비하여 훨씬 짧은 경로를 가진다. 제2견인으로 인하여 이어마이크폰부(150) 내부의 스프링이 작동하게 되어 제2견인이 종료되게 되면, 이어마이크폰을 연결한 선이 이어마이크폰부(15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고 이어마이크폰은 이어마이크폰부(150)로 장착되게 된다.
또한, 이어마이크폰부(150)에는 상술된 이어마이크폰의 제1견인 또는 제2견 인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는 제1견인 및 제2견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만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어마이크폰부(150)는 핸즈프리 통화를 위한 기능 이외에도 현재 시판되는 휴대폰의 기능에 부합되게 음악 파일, 이를테면, mp3, ogg, wma, dcf 등의 음악파일을 휴대폰(100)에서 재생할 시 이를 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어마이크폰부(150) 또는 이어마이크폰은 휴대폰(100)외에도 연결가능한 모든 전자기기 즉, mp3 플레이어, 컴퓨터 스피커, pmp 등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즉,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고정탑(154)에 한 끝이 고정된 스프링(151)이 구성되고, 스프링(151)의 다른 한 끝은 연결부재(152)를 통하여 이어폰의 선(153)과 연결된다. 이 선(153)을 이어마이크폰부(150) 외부로 인출 시에, 사용자는 선(153)을 견인하는 제1견인의 동작을 수행한다. 제1견인의 동작이 종료되면 인출된 선(153)이 고정된 상태로 이어마이크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출된 선(153)을 이어마이크폰부(150)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선(153)을 다시 견인하는 제2견인의 동작을 수행한다. 제2견인의 견인 경로는 제1견인의 견인 경로보다 훨씬 적은 경로를 가지며, 제2견인이 종료되면 이어마이크폰부(150) 외부로 인출된 선(153)은 이어마이크폰부(15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다. 이때 제1견인 및 제2견인 시에 이를 조력해주기 위하여 이어마이크폰부(150)의 선(153)이 인출되어 나오는 입구에는 고무(155)가 구성되고, 고무(155)의 한 끝은 스프링(156)이 구성된다. 이 고무(155) 및 스프링(156)은 스프링 고정탑(154)에 한 끝이 고정된 스프링(156)의 운동을 조력하여 줌으로써, 제1견인 및 제2견인 시에 선(153)의 인출 및 인입을 원활히 해준다.
이러한 이어마이크폰부(150)의 이어마이크폰을 통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함은 물론, 휴대폰(100)에서 송출되는 소리신호를 청취함으로써 음악청취 및 경고음청취 등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폰(100)에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상술된 제어를 음성으로써 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의 순서를 개략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은 제어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인증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인증이 이루어지면 다음단계를 수행하게 되고, 인증이 비인가될 시에는 재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인증단계를 통하여 인증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어수단으로써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신호는 이 제어신호 입력단계에서 상기 차량에 전달되며, 상기 차량의 정보가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되는 피드백 송수신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휴대폰 또는 크래들이다. 상기 인증단계는 상기 휴대 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크래들로도 또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크래들에 상기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만약, 차량을 교체할 시에는, 상기 크래들과 상기 휴대폰의 인증 내용을 사용자의 임의대로 수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휴대폰의 교체 시 또한 마찬가지이다.
상기 인증단계는 비밀번호 인증방식을 포함하며, 지문인식, 음성인식 등과 같은 현재 적용 및 상용화 가능한 모든 인증방식이 가능하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에 의하여, 휴대폰에 차량제어 기능을 탑재시켜 휴대폰의 기능을 유지한 채로 차량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휴대폰을 차량에 장착시킨 채로 직접제어가 가능하고 네비게이션 및 핸즈프리로도 활용가능하다.

Claims (21)

  1. 휴대폰 기능부, 차량과 유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송수신부, 상기 제1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제어부를 통한 상기 차량의 제어 시에 상기 제1송수신부를 통하여 이를 인증하도록 구성되는 제1인증부가 포함된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이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어느 한 부위에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의 제1송수신부와 대응하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송수신부, 상기 제2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간접제어되거나 직접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제어부, 상기 제2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인증부의 인증 신호에 의해 간접인증되거나 직접인증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인증부 및 상기 차량의 제어시스템에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크래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상기 제1송수신부 및 상기 크래들의 상기 제2송수신부는 적외선 방식, 근거리 전파방식 및 기지국 중계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차량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상기 제1송수신부 및 상기 크래들의 상기 제2송수신부는 소정의 시간격으로 상호 동기화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차량에 착탈식 또는 차량내장식으로 구성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는 네비게이션 장치가 더 구비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는 상기 크래들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보조 표시창이 더 구비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상기 보조 표시창은 접이식, 슬라이드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제어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는 자체 스피커가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제어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차량의 스피커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제어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차량의 전원 시스템과 연결되어 이를 통하여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차량의 전원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및 상기 크래들의 구동에 요구되는 프로그램은 상호 접속에 의하여 상호 업로드/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제1송수신부와 상기 크래들의 제2송수신부 간의 송수신 강도 증폭을 위하여 상기 휴대폰의 외부에 제3송수신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송수신부는 상기 휴대폰의 악세사리에 구성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송수신부 및 상기 크래들의 상기 제2송수신부는 적외선 방식, 근거리 전파방식 및 기지국 중계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차량제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는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이어마이크폰 및 이어마이크폰에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신호송수신부로 이루어진 이어마이크폰부가 더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폰부는 상기 휴대폰에 착탈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폰부는 상기 휴대폰과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송수신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폰부의 상기 이어마이크폰은 상기 이어마이크폰부에 선 및 스프링으로 고정되어, 제1견인 시 상기 이어마이크폰의 선이 인출되고, 제2견인 시 상기 이어마이크폰의 선이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제어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는 상기 이어마이크폰을 통하여 상기 휴대폰의 제1제어부에 제어신호가 전달되도록 음식인식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제어 시스템.
  20. 제어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인증단계;
    상기 인증단계를 통하여 인증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수단으로써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차량에 전달되며, 상기 차량의 정보가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되는 피드백 송수신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휴대폰 또는 크래들인 차량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KR1020050072497A 2005-08-08 2005-08-08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KR100753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497A KR100753483B1 (ko) 2005-08-08 2005-08-08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497A KR100753483B1 (ko) 2005-08-08 2005-08-08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860A true KR20070017860A (ko) 2007-02-13
KR100753483B1 KR100753483B1 (ko) 2007-08-30

Family

ID=4163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497A KR100753483B1 (ko) 2005-08-08 2005-08-08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4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0658A1 (en) * 2008-03-05 2009-09-11 Segi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 mode in mobile vehicle controller
KR20120025229A (ko) * 2010-09-07 2012-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avn 및 ecu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WO2014052329A1 (en) * 2012-09-25 2014-04-03 Scoot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vehicle access
US9892628B2 (en) 2014-10-14 2018-02-13 Logitech Europe S.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11215981B2 (en) 2018-04-20 2022-01-04 Bird Rides, Inc. Remotely controlling use of an on-demand electric vehicle
US11263690B2 (en) 2018-08-20 2022-03-01 Bird Rides, Inc. On-demand rental of electric vehicles
US11468503B2 (en) 2018-04-16 2022-10-11 Bird Rides, Inc. On-demand rental of electric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849B1 (ko) * 1993-12-30 2001-03-15 구자홍 이동 무선 전화기에 의한 차량 원격 제어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0658A1 (en) * 2008-03-05 2009-09-11 Segi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 mode in mobile vehicle controller
KR20120025229A (ko) * 2010-09-07 2012-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avn 및 ecu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WO2014052329A1 (en) * 2012-09-25 2014-04-03 Scoot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vehicle access
US9586559B2 (en) 2012-09-25 2017-03-07 Scoot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vehicle access
US9738255B2 (en) 2012-09-25 2017-08-22 Scoot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vehicle access
US10086796B2 (en) 2012-09-25 2018-10-02 Scoot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vehicle access
US10434985B2 (en) 2012-09-25 2019-10-08 Scoot R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vehicle access
US11220237B2 (en) 2012-09-25 2022-01-11 Scoot R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vehicle access
US11866003B2 (en) 2012-09-25 2024-01-09 Scoot R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vehicle access
US9892628B2 (en) 2014-10-14 2018-02-13 Logitech Europe S.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11854073B2 (en) 2018-04-16 2023-12-26 Bird Rides, Inc. On-demand rental of electric vehicles
US11468503B2 (en) 2018-04-16 2022-10-11 Bird Rides, Inc. On-demand rental of electric vehicles
US11215981B2 (en) 2018-04-20 2022-01-04 Bird Rides, Inc. Remotely controlling use of an on-demand electric vehicle
US11625033B2 (en) 2018-04-20 2023-04-11 Bird Rides, Inc. Remotely controlling use of an on-demand electric vehicle
US11651422B2 (en) 2018-08-20 2023-05-16 Bird Rides, Inc. On-demand rental of electric vehicles
US11263690B2 (en) 2018-08-20 2022-03-01 Bird Rides, Inc. On-demand rental of electric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483B1 (ko)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483B1 (ko) 차량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
US201002403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a vehicle
EP2126869B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045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control system of a vehicle
US20110102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pairing and enabling the reciprocal locating of keys an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20170253216A1 (en) Vehicle control system
CN204687996U (zh) 应用于车载电子设备的控制装置
JP2006138156A (ja) 携帯通信装置、携帯電子機器装着用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20576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a vehicle
KR101640055B1 (ko)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오디오 장치 및 차량
KR10178866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JPH10224449A (ja) 携帯電話ハンズフリー装置
JP2002176487A (ja) 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
KR20010095498A (ko) 무선통화장치를 갖는 차량용 핸즈프리키트
JP2004072259A (ja) 自動車用Bluetooth音声通信装置
KR200186711Y1 (ko) 스피커가 분리된 자동차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38185B1 (ko) 무선통신 기지국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KR100709138B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JP3213777U (ja) 車両用遠隔始動装置
KR100432916B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KR200193142Y1 (ko) 자동차용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20035375A (ko) 운전환경 자동설정 모바일 단말, 차량 및 방법
KR20050118454A (ko) 차량 리모콘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및 방법
JP2004072259A5 (ko)
JP2003175799A (ja) 車両位置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