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589A -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589A
KR20070017589A KR1020050072049A KR20050072049A KR20070017589A KR 20070017589 A KR20070017589 A KR 20070017589A KR 1020050072049 A KR1020050072049 A KR 1020050072049A KR 20050072049 A KR20050072049 A KR 20050072049A KR 20070017589 A KR20070017589 A KR 20070017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medical
server
biometr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564B1 (ko
Inventor
강성욱
임경훈
박상래
Original Assignee
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욱 filed Critical 강성욱
Priority to KR102005007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56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범위나 지역 내에 있는 진료기관들을 회원으로 가입시켜 온라인상에서의 사이버종합병원을 설립하고 서버를 구축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서버에는 환자의 신상정보 DB와 의료정보 DB가 있어 진료기관의 컴퓨터단말기와 연결되는 것으로, 환자는 진료기관에서 생체인식 센서나 단말기 등을 통해 지문, 홍채, 정맥, 장문, 얼굴, 음성인식 중 본인이 편리한 생체인식을 유/무선 방법을 통해 등록하고, 환자의 신상정보나 의료정보, 정보의 공유 여부에 대해서도 등록하며, 이때 등록된 모든 정보는 서버로 자동적으로 전달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향후 환자가 진료를 위해 진료기관을 방문하여 생체인식 및 인증을 하면 진료 대기 상태로 되며, 서버에서도 환자의 신상정보와 의료정보를 찾아 대기 상태로 준비하고 환자의 진료 순서가 되었을 때 서버에 대기 상태로 되어 있던 환자의 신상정보와 의료정보가 의사의 컴퓨터 화면에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진료 후 환자 정보에 변경할 내용이 생기면 환자의 동의 및 생체인식을 통해 인증하게 되며, 변경된 내용은 자동적으로 서버로 전달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생체인식, 진료기관, 환자, 의료정보 공유

Description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joint ownership method of a patient information by using living body cogn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진료기관 2:서버
3:신상정보 DB 4:의료정보 DB
5:환자
본 발명은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진료기관 사이에 환자 개개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공유시스템이 이루어지지 않아 다른 병원을 갈 때마다 환자의 이름이나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등의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또 환자의 과거 병력이나 약물의 부작용, 엑스레이 사진 촬영 등과 같은 의료정보 행위를 다시 진행해야 하는 상황으로 인해 환자뿐만 아니라 진료기관에서도 시간과 비용이 낭비됨은 물론 똑같은 일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진료기관을 옮겨 다닐 때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고 진단서를 발행하는 상황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원으로 가입한 진료기관 사이에는 서버를 통해 환자의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로, 회원으로 가입한 진료기관(1)들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2)에 접속하며, 상기 서버(2)에는 환자의 신상정보 DB(3)와 의료정보 DB(4)가 있어 진료기관(1)의 컴퓨터단말기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일 종합병원 내에서는 환자의 신상정보나 의료정보를 공유하고 열람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일정 범위나 지역 내에 있는 진료기관(1)(1차, 2차, 3차 의료기관의 의원이나 병원)들을 회원으로 가입시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상에서의 사이버종합병원을 설립하고, 또한 회원으로 가입한 진료기관 사이에는 환자(5)의 공유정보를 저장, 보관,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서버(2)도 반드시 구축한다.
이때, 진료기관(1)은 동종 업종이나 다른 업종의 진료기관(예 : 내과, 소아과, 이비인후과, 안과, 치과, 피부과, 한의원 등)을 포함하며, 1차 의료기관, 2차 의료기관, 3차 의료기관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진료기관(1)에는 환자의 생체인식을 등록, 인증할 수 있는 생체인식 센서나 단말기 등이 준비된다.
또한, 서버(2)는 회원으로 가입한 진료기관(1)들의 컴퓨터단말기나 생체인식/인증 단말기 등과 연결되며, 인증된 환자(5)의 신상정보나 의료정보를 해당 진료기관(1)에 제공하고 또 제공받는다.
한편, 환자(5)는 진료기관(1)에서 생체인식 센서나 단말기 등을 통해 본인에게 편리한 생체인식(지문, 홍채, 정맥, 장문, 얼굴, 음성인식 또는 유선, 무선방법 등) 방법을 등록하고, 환자(5)의 신상정보나 의료정보, 정보의 공유 여부에 대해서도 등록하며, 이때 등록된 모든 정보는 서버(2)로 자동적으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이때, 신상정보는 환자의 이름이나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를 의미하며, 의료정보는 환자의 과거 병력이나 엑스레이 사진, 약물의 부작용, 집안의 병력 등 병력과 관련한 환자의 구체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환자(5)가 정보의 공유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진료기관(1)에만 정보가 저장되며, 정보의 공유를 원하는 경우에는 공유 서버(2)에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무선방법은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RF 방식, 블루투스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이 가능하다.
환자(5)가 진료를 위해 진료기관(1)을 방문하여 생체인식 및 인증을 하면 진료 대 기 상태로 되며, 이때 서버(2)에서도 환자의 신상정보와 의료정보를 찾아 대기 상태로 준비한다.
이때, 환자(5)는 생체인증을 본인의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즉, 지문으로 하던지 정맥으로 하던지 또는 무선 방식으로 하던지 환자의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5)의 진료 순서가 되었을 때는 서버(2)에 대기 상태로 되어 있던 환자의 신상정보와 의료정보가 의사의 컴퓨터 화면에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진료 후 환자(5) 정보에 변경할 내용이 생기면 환자의 동의 및 생체인식을 통해 인증하게 되며, 변경된 내용은 자동적으로 서버(2)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환자(5) 개인이 생체인식/인증 단말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온라인상의 해당 진료기관(1) 홈페이지를 통해 등록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온라인상에서 진료기관(1)에의 진료예약도 가능하다.
또,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인증이 가능한 센서칩이 부착되어 있는 환자(5)는 이를 이용하여 무선 방식으로도 등록 및 인증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체인식을 통해 본인을 인증하기 때문에 환자의 신상정보나 의료정보를 해킹당 할 염려가 전혀 없으며, 본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생체인식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선택의 폭이 넓다.
그리고 생체인식을 이용하므로 진료시 본인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진료 대기시 다른 환자들에게 개인의 신상정보나 기타 정보가 노출되지도 않는다.
또한, 환자가 진료기관을 옮겨 다닐 때마다 본인의 신상정보나 의료정보를 그때마다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며, 회원 진료기관 사이에는 환자의 정보가 공유되기 때문에 진단서 발부와 같은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비용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정 범위나 지역 내에 있는 진료기관(1차, 2차, 3차 의료기관의 의원이나 병원)들을 회원으로 가입시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상에서의 사이버종합병원을 설립하고, 회원으로 가입한 진료기관 사이에는 환자의 공유정보를 저장, 보관,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는 제1단계,
    환자가 진료기관에서 생체인식 센서나 단말기 등을 통해 지문, 홍채, 정맥, 장문, 얼굴, 음성인식을 유/무선 방법을 통해 등록하는 제2단계,
    환자의 신상정보나 의료정보, 정보의 공유 여부에 대해서도 등록하며, 등록된 모든 정보는 서버로 자동적으로 전달되어 저장되는 제3단계,
    환자가 진료를 위해 진료기관을 방문하여 생체인식 및 인증을 하면 진료 대기 상태로 되며, 서버에서도 환자의 신상정보와 의료정보를 찾아 대기 상태로 준비하는 제4단계,
    환자의 진료 순서가 되었을 때 서버에 대기 상태로 되어 있던 환자의 신상정보와 의료정보가 의사의 컴퓨터 화면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제5단계,
    진료 후 환자 정보에 변경할 내용이 생기면 환자의 동의 및 생체인식을 통해 인증하게 되며, 변경된 내용은 자동적으로 서버로 전달되어 저장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KR1020050072049A 2005-08-08 2005-08-08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KR10069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049A KR100697564B1 (ko) 2005-08-08 2005-08-08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049A KR100697564B1 (ko) 2005-08-08 2005-08-08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589A true KR20070017589A (ko) 2007-02-13
KR100697564B1 KR100697564B1 (ko) 2007-03-20

Family

ID=41563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049A KR100697564B1 (ko) 2005-08-08 2005-08-08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48B1 (ko) * 2007-10-23 2009-09-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후각 기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418A (ko) 2015-06-12 2016-12-21 고현규 내원 환자 생체 인식 응대 시스템 및 활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620A (ko) * 2003-12-30 2005-07-07 이승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방법
KR101047140B1 (ko) * 2004-02-02 2011-07-07 주식회사 케이티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48B1 (ko) * 2007-10-23 2009-09-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후각 기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564B1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6323B1 (en) Secure real-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201102888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of Medical Data Through Biometric Identifier
JP5967408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情報取得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70068785A1 (en) Secure real-time health record exchange
JP3703757B2 (ja) 緊急医療情報提供方法および緊急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7522057A (ja) モバイルヘルス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識別のためのバイオメトリックス
JP6570691B1 (ja) 個人医療情報集約システム
JP2018018470A (ja) 健康医療介護連携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用のプログラム、健康医療介護連携システムおよび健康医療介護連携システム統合基盤
CA3119570A1 (en) Human-centric health record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20130095443A (ko) 휴대용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의료 정보 시스템
JP2021099878A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7188290A (ja) 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
WO2015046198A1 (ja) クリニカルパス管理装置
KR100697564B1 (ko) 생체인식을 이용한 진료기관간 환자의 의료정보 공유방법
KR102110388B1 (ko) 지역적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JP2009232967A (ja) マッサージシステム及びマッサージサービス提供方法
JP6451268B2 (ja) 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JP2019532446A (ja) 患者データの安全な通信のための健康管理監視方法およびシステム
Afaq et al. Mobile-based patient-centric EMR sharing system using blockchain
Aldughayfiq et al. A system to lower the risk of dispensing medication errors at pharmacies using NFC
JP7284969B1 (ja) 医療情報共有システム
JP2017208135A (ja) 情報取得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取得方法、情報管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方法、薬歴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WO2022203066A1 (ja) 投薬情報管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23034258A (ja) 情報の送受信方法、および、情報の送受信システム
JP2023041390A (ja) 情報処理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患者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