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138A - 고형 비누 조성물 및 고형 비누 - Google Patents

고형 비누 조성물 및 고형 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138A
KR20070017138A KR1020067019433A KR20067019433A KR20070017138A KR 20070017138 A KR20070017138 A KR 20070017138A KR 1020067019433 A KR1020067019433 A KR 1020067019433A KR 20067019433 A KR20067019433 A KR 20067019433A KR 20070017138 A KR20070017138 A KR 20070017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oap
soap composition
fatty acid
integer
tetrak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6265B1 (ko
Inventor
요시노부 사이토
다이지 나가하마
신야 야마사키
타카히로 오쿠다
테츠오 니시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피엔피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피엔피에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피엔피에프
Priority to KR102006701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265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11D10/04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 C11D10/045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based on non-ionic surface-active compounds and so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11D10/04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 C11D10/047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based on cationic surface-active compounds and soa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25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누성분(a), 특정의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번의 세안으로 메이크업 지우기와 통상의 세안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세정제로서, 거품일기가 충분하며, 세정후에 산뜻한 느낌이 얻어지고, 또 파운데이션 뿐만 아니라 산성 안료에 대해서도 충분히 지울 수 있는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형 비누 조성물 및 고형 비누{SOLID SOAP COMPOSITION AND SOLID SOAP}
본 발명은 고형 비누와 그 원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안시에 메이크업 지우기도 동시에 할 수 있는 피부세정용의 것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한 피부의 세정은, 우선, 메이크업 화장료와 융합되기 쉬운 유분을 다량 함유하는 클린징크림, 클린징오일 등의 메이크업 지우기용의 클린징제를 이용해서 메이크업 화장료를 융합시켜 물 또는 미지근한 물로 씻어내어 지우고, 계속해서, 비누나 클린징폼 등의 세안료를 이용하여 피부상에 잔존한 클린징제의 유분과 함께, 피부상의 피지나 더러움을 지움으로써 행해지고 있었다. 이러한 2단계의 세정에서는 세정후에는 산뜻한 느낌이었다.
이러한 2단계의 세정이 필요했던 것은, 메이크업 지우기용의 클린징제가 다량의 유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물 또는 미지근한 물로 헹궈도 피부상에 클린징제의 유분이 잔존하여, 세정후에 산뜻한 느낌이 얻어지지 못하고, 또한 비누나 클린징폼 등의 통상의 세안료만으로는 유성의 메이크업료를 피부로부터 충분히 지울 수 없기 때문이었다.
최근의 생활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메이크업한 피부의 세정에 대해서 간편성이 요구되고, 이 요구에 대해서, 한 번의 세안으로 메이크업 지우기와 통상의 세 안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세안료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나타내듯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세정제나, 특허문헌2에 나타내듯이, 폴리옥시에틸렌디에스테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메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피부세정료가 있다. 이들 세안료는 모두 액상 또는 겔상이다.
그러나, 상기 세정제에서는, 주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메틸폴리실록산이 메이크업 화장료를 지우는 것이지만, 이 성분의 배합에 의해 거품일기가 불충분하게 되거나, 또 세안후, 이 성분이 피부에 잔류해서 세정후에 산뜻한 감이 얻어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성분에서는, 메이크업 화장료 중에서도 파운데이션 등은 지울 수 있지만, 산성 안료의 메이크업 화장료(예를 들면 립스틱 등)에 대해서는 지우기가 불충분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고 평5-75723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개 평11-10633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한 번의 세안으로 메이크업 지우기와 통상의 세안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세정제로서, 거품일기가 충분하고, 세정후에 산뜻한 느낌이 얻어지고, 또 파운데이션 뿐만 아니라 산성 안료에 대해서도 충분히 지울 수 있는 세정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비누성분에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과 특정의 아민 화합물을 배합한 고형 비누 조성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고,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비누성분(a);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
Figure 112006068187370-PCT00001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1∼60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60의 정수를 나타내고, a는 1∼10의 정수를 나타내고, b는 1∼30의 정수를 나타내고, c는 0∼30의 정수를 나타낸다.); 및
하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
Figure 112006068187370-PCT00002
(식중, R2∼R5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일반식(1)의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은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일반식(2)의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은 테트라키스(2-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및 테트라키스(2-히드록시부틸)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는 폴리알킬렌글리콜디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 지방산 글리세릴 및 트리 지방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양성 계면활성제(e) 및 다가 알콜(f)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성 계면활성제(e)는 이미다졸리늄베타인형, 아미드알킬베타인형 및 알킬베타인형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 알콜(f)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알칼리 이온수(g)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은, 비누성분(a), 상기 일반식(1)의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 및 상기 일반식(2)의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성분(a)>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누성분(a)으로서는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염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가 8∼24, 바람직하게는 12∼18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이며,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다. 구체예로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의 포화 지방산; 올레인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이들의 혼합물인 야자유 지방산, 팜유 지방산, 팜핵유 지방산, 우지 지방산, 경화 우지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지방산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는 2종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알칼리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알카놀아민, 암모늄,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칼리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는 2종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바람직한 비누성분으로서는, 라우린산 나트륨, 미리스틴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스테아린산 나트륨, 올레인산 나트륨, 이소스테아린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나트륨, 팜유 지방산 나트륨, 팜핵유 지방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비누성분(a)의 함유량은, 고형 비누원료 전체의 20∼40중량%, 특히 25∼3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20중량%미만이면, 응고점이 낮아지므로, 장기보존하면 표면이 용융되어 상품가치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반대로, 40중량%를 넘으면, 투명성이 떨어지거나, 사용후에 땡기는 느낌이 생길 우려가 있다.
<성분(b)>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은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다. 이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은, 주로, 메이크업 화장료(특히 파운데이션)을 융합시켜 지운다는 역활을 하는 것이지만, 비누성분(a)의 거품일기를 저해하지 않고, 또 조성물을 투명한 것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1의 「탄소수 1∼5의 알킬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탄소수는 1∼3이다. m은 1∼60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5∼30의 정수이다. n은 1∼60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1∼10의 정수이다. a는 1∼10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1∼5의 정수이다. b는 1∼30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1∼15의 정수이다. c는 0∼30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0∼15의 정수이다.
이러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은,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체, 디메틸폴리실록산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은 그 HLB가 3∼20, 특히 4∼18인 것이 바람직하다. HLB가 3미만이면, 투명성이나 거품일기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20을 넘으면, 메이크업 화장료를 지우는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는 2종이 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 중에서도, 친수성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폴리실록산(즉 c가 0)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KF6011(R1은 메틸기, m은 5∼10, n은 4∼6, a는 3, b는 9∼13:신에쓰가가쿠제), 실리콘 SC9450(R1은 수소원자, m은 50∼60, n은 2∼5, a는 3, b는 8∼10:신에쓰가가쿠제), 실리콘 KF945(R1은 수소원자, m은 20∼30, n은 2∼5, a는 3, b는 2∼5:신에쓰가가쿠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의 함유량은, 고형 비누원료 전체의 1∼15중량%, 특히 2∼10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1중량%미만이면, 메이크업 화장료를 지우는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15중량%를 넘으면, 고화성이나 거품일기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성분(c)>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은 상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다. 이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은 주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과 함께, 메이크업 화장료(특히 립스틱 등의 산성 안료)를 융합시켜서 지운다는 역활을 하는 것이지만, 비누성분(a)의 거품일기를 저해하지 않고, 또 조성물을 투명한 것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 일반식(2)에 있어서, R2∼R5의 「탄소수 1∼5의 알킬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탄소수는 1∼3이다.
상기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는 2종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 중에서도, 메이크업 화장료를 지우는 효과가 양호한 점에서, 테트라키스(2-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즉 R2∼R5가 모두 메틸기), 테트라키스(2-히드록시부틸)에틸렌디아민(즉 R2∼R5가 모두 에틸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의 함유량은 고형 비누원료 전체의 1∼10중량%, 특히 1∼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1중량%미만이면, 메이크업 화장료를 지우는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10중량%를 넘으면, 변색이나 변취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과 상기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의 합계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중, 3∼15중량%, 특히, 4∼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과 상기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의 배합비(중량비)는 (b):(c)가 10:1∼1:10, 특히 3:1∼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d)>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은, 비누성분(a),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 및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에 추가해서,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과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과 함께, 메이크업 화장료를 융합시켜 지우는 것이지만, 그것에 추가해서, 세정후에 촉촉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로서는, 폴리알킬렌글리콜디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 지방산 글리세릴, 트리 지방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알킬렌글리콜디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 지방산 글리세릴, 트리 지방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릴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알킬렌글리콜디 지방산 에스테르는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며, 트리 지방산 글리세릴은 하기 일반식(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며, 트리 지방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릴은 하기 일반식(5)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06068187370-PCT00003
(식중, R6, R7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탄소수 8∼22의 알킬기 또는 탄 소수 8∼22의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1∼40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68187370-PCT00004
(식중, R9∼R11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탄소수 8∼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8∼22의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68187370-PCT00005
(식중, R12∼R14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탄소수 10∼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0∼20의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15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y1∼y3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1∼8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3)에 있어서, R6 및 R7의 「탄소수 8∼22의 알킬기」는 직쇄상 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탄소수는 10∼20이다. 또한 R6 및 R7의 「탄소수 8∼22의 알케닐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탄소수는 10∼20이다. R8의 「탄소수 1∼5의 알킬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탄소수는 1∼3이다. x는 1∼40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2∼20의 정수이다.
상기 일반식(4)에 있어서, R9∼R11의 「탄소수 8∼22의 알킬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탄소수는 10∼20이다. 또한 R9∼R11의 「탄소수 8∼22의 알케닐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탄소수는 10∼20이다.
상기 일반식(5)에 있어서, R12∼R14의 「탄소수 10∼20의 알킬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탄소수는 14∼20이다. 또한 R12∼R14의 「탄소수 10∼20의 알케닐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탄소수는 14∼20이다. R15의 「탄소수 1∼5의 알킬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한 탄소수는 1∼3이다. y1∼y3은 1∼80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10∼60의 정수이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글리콜디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 지방산 에스테르(즉 R8이 수소원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폴리 에틸렌글리콜디이소스테아린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올레인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린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라우린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트리 지방산 글리세릴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수소첨가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트리 지방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릴로서는, 트리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즉 R15가 수소원자)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트리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는 그 HLB가 3∼15, 특히 4∼10인 것이 바람직하다. HLB가 3미만이면, 용해성이 떨어져서 외관이 나빠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15를 넘으면, 메이크업 화장료를 지우는 효과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는 2종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의 함유량은, 고형 비누원료 전체의 1∼10중량%, 특히 1∼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1중량%미만이면, 메이크업 화장료를 지우는 효과가 불충분하 게 됨과 아울러, 세정후의 촉촉한 느낌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10중량%를 넘으면, 세정후에 끈쩍거림을 느낄 우려가 있다.
또,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과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의 배합비(중량비)는, (b):(d)가 4:1∼1:4, 특히 3:1∼1:3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과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의 배합비(중량비)는 (c):(d)가 4:1∼1:4, 특히 2:1∼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해서 양성 계면활성제(e) 및 다가 알콜(f)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성분(a)을 주체로 한 고형 비누 조성물에,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이나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와 함께, 양성 계면활성제(e) 및 다가 알콜(f)을 배합함으로써, 외관이 아름다운 투명한 조성물이 얻어지고, 또 양성 계면활성제(e)를 배합함으로써, 조성물의 거품일기가 향상된다.
<성분(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성 계면활성제(e)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6)으로 나타내어지는 이미다졸리늄베타인형, 하기 일반식(7)로 나타내어지는 아미드알킬베타인형, 하기 일반식(8)로 나타내어지는 알킬베타인형을 들 수 있다. 이들 양성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는 2종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Figure 112006068187370-PCT00006
(식중, R16은, 탄소원자수 7∼21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n 및 m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Z는, 수소원자 또는 (CH2)pCOOY(여기에서, p는 1∼3의 정수이며, Y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유기 아민이다.)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68187370-PCT00007
(식중, R17은, 탄소원자수 7∼21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18 및 R19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고, A는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68187370-PCT00008
(식중, R20은, 탄소원자수 8∼22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21 및 R22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학식(6)에 있어서, R16의 「탄소원자수 7∼21의 알킬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탄소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7∼17이다. 또한 R16의 「탄소원자수 7∼21의 알케닐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탄소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7∼17이다. 또한 Y의 「알칼리 금속」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을 들 수 있고, 「알칼리 토류 금속」으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아민」으로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6)의 이미다졸리늄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2-운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라우린산으로부터 합성된 것, 「라우로일이미다졸리늄베타인」이라고도 함),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스테아린산으로부터 합성된 것, 「스테아로일이미다졸리늄베타인」이라고도 함), 야자유 지방산으로부터 합성된 2-알킬 또는 알케닐-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R16이 C7∼C17의 혼합물, 「코코일이미다졸리늄베타인」이라고도 함)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7)에 있어서, R17의 「탄소원자수 7∼21의 알킬기」 및 「탄소원자수 7∼21의 알케닐기」는, 화학식(6)의 R16과 같다. 또한 R18, R19의 「저급 알킬기」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가 1∼3의 알킬기이다. 또한, A의 「저급 알킬렌기」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가 3∼5인 알킬렌기이다.
화학식(7)의 아미드알킬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아미드프로필베타인형, 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초산 베타인(R17이 C7∼C17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8)에 있어서, R20의 「탄소원자수 8∼22의 알킬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탄소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8∼18이다. 또한 R20의 「탄소원자수 8∼22의 알케닐기」는, 직쇄상이어도 분기쇄상이어도 좋고, 탄소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8∼18이다. 또한, R21, R22의 「저급 알킬기」는, 화학식(7)의 R18, R19와 같다.
화학식(8)의 알킬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 베타인, 야자유 지방산으로부터 합성된 알킬 또는 알케닐디메틸아미노초 산 베타인(R20이 C8∼C18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상기 화학식(6)의 이미다졸리늄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특히 코코일이미다졸리늄베타인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e)의 함유량은, 고형 비누원료 전체의 2∼10중량%, 특히 4∼8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2중량%미만이면, 투명성이나 거품일기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10중량%를 넘으면, 변색이나 변취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성분(f)>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가 알콜(f)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글리콜류;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류;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글리세릴에테르 등의 글리세린 유도체;
자당, 트레할로스, 프룩토스, 말토오스 등의 당류; 및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말티톨 등의 당알콜류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 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다가 알콜(f)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는 2종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는, 다가 알콜(f)의 함유량은, 고형 비누원료 전체의 5∼45중량%, 특히 15∼3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5중량%미만이면, 균일하게 고화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45중량%를 넘으면, 고화되지 않게 되고 액상으로 된다.
<성분(g)>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해서, 알칼리 이온수(g)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알칼리 이온수(g)의 배합에 의해,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은, 메이크업 화장료에의 침투력이 향상되므로, 메이크업 화장료를 지우는 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칼리 이온수(g)로서는, 물을 전해함으로써 얻어지는 알칼리 이온수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멀티클리너 S-100」, 「멀티클리너 GE-100」(모두 닛세키 가부시키가이샤가 판매)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는, 메이크업 지우기 효과의 점에서, 알칼리 이온수(g)의 pH는 8∼13, 특히 10∼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는, 알칼리 이온수(g)의 함유량은, 고형 비누원료 전체의 0.1∼20중량%, 특히 1∼10중량%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0.1중량%미만이면, 메이크업 화장료를 지우는 효과가 향상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20중량%를 넘으면, 비용이 높아져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는, 상기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음과 같은 성분을 임의로 배합할 수 있다. 이 임의성분으로서는,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히노키티올, 유황 등의 살균제; 피롤리돈카르복실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글루코시드에테르 등의 보습제; 유분; 향료; 색소; 에데트산 3나트륨 2수화물 등의 킬레이트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디칼륨, 질경이 엑기스, 레시틴, 사포닌, 알로에, 황백(Phellodendri cortex), 카모마일 등의 천연추출물; 비이온성, 양이온성 혹은 음이온성의 수용성 고분자; 유산 에스테르 등의 사용성 향상제;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나트륨, 알킬술포숙신산 디나트륨, 알킬이세티온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 나트륨, 아실메틸타우린, 아실글루타민산 나트륨, 아실사르코신산 나트륨 등의 기포(起泡)성 향상제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에는, 전체를 충분히 혼합 용해하기 위해서, 상기 알칼리 이온수(g)를 포함해서 7중량%이하의 범위에서 수분이 배합되고, 10중량%이하의 범위에서 알콜이 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은, 이들 수분이나 알콜을 포함해서 고형 비누원료 전체가 100중량%로 된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로부터 고형 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각 성분의 혼합물에 프레임혼련법, 기계혼련법 등의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성형후의 고형 비누는, 소정의 숙성기간을 거쳐 완전한 제품으로 된다. 이 숙성기간에서는, 고형 비누 조성물중에 배합된 알콜의 대부분을 휘발시켜 서 고형 비누의 자극을 약화시켜 제품을 완성시킨다. 숙성기간의 완료는, 알콜이나 이온 교환수 등의 휘발에 의한 고형 비누의 용적변화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휘발분의 용적, 즉, 1할로부터 2할의 용적감소의 범위내에서 적당하게 결정된다.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은, 비누성분(a), 상기 일반식(1)의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 및 상기 일반식(2)의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에서는,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과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의 양쪽의 배합에 의해, 파운데이션 뿐만 아니라, 산성 안료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대해서도 충분히 지우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들 성분이 배합되어도, 비누성분(a)의 배합에 의해 거품일기는 충분한 것으로 된다. 또한 비누성분(a)의 세정력에 의해 이들 성분은 거의 피부에 잔류하지 않고, 세정후에 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에 의하면, 파운데이션 뿐만 아니라, 산성 안료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대해서도 충분히 지우기가 가능하며, 또한 세정후에 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고형 비누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6 및 비교예1∼6
표1에 나타내는 처방의 고형 비누 조성물로부터, 실시예1∼6 및 비교예1∼6 의 고형 비누를 제조했다. 또, 표1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배합량은 중량%를 나타내고 있다.
(표1)
Figure 112006068187370-PCT00009
실시예1∼6 및 비교예1∼6에서 얻어진 고형 비누에 대해서,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시험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평가방법>
1.고화성
이하의 3단계의 기준에 따라 평가를 행했다.
○:전체적으로 고화상태이다
△:전체적으로 고화상태이지만 부드럽다
×:전체적으로 고화상태가 얻어지지 못한다.
2.투명성
각 샘플을 20mm의 두께로 절단하고, 26포인트의 활자 위에 두고, 이하의 4단계의 기준에 따라 평가를 행했다.
◎:확실하게 판독할 수 있다
○:판독할 수 있다
△:겨우 판독할 수 있다
×:판독할 수 없다.
3.거품일기
20∼40세의 여성 100명이 통상의 세안 비누와 동일한 사용 테스트를 실시하고, 이하의 4단계의 기준에 따라 평가를 행했다.
◎:거품일기가 양호하다고 느낀 사람이 75∼100명인 경우
○:거품일기가 양호하다고 느낀 사람이 50∼74명인 경우
△:거품일기가 양호하다고 느낀 사람이 25∼49명인 경우
×:거품일기가 양호하다고 느낀 사람이 0∼24명인 경우.
4.립스틱 세정효율
인공피혁 시트(교와세이칸(주)제 메이피아 #5000화이트)를 3.0cm×3.0cm로 절단하고, 이 위에, 립스틱(PN 립퍼펙트21(주)시세이도제) 0.03g을 닥터 블레이드(두께 0.1㎛)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했다. 이 도포한 시트를 25℃에서 24시간 건조시켜, 이것을 샘플시트로 했다. 이것과는 별도로, 비누를 인공경수(70ppm)에 용해해서 30중량%의 비누용액을 조제했다. 아무것도 도포하지 않은 인공피혁 시트 4장을 마이크로스코프[50배 HI-SCOPE(COMPACT MICRO VISION SYSTEM:MODEL KH-2000)]에 의해 관찰해서 L1, a1, b1을 측정했다. 립스틱을 도포한 상기 샘플 시트 4장도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스코프(50배)에 의해 관찰해서 L2, a2, b2를 측정했다. 계속해서, 이들을 서덜랜드식 마찰시험기(Testing machine Y. S. S)에 셋팅하고, 상기 30중량% 비누용액(온도 40℃) 0.5㎖를 적하한 후, 900g의 하중으로 20회 왕복 마찰시켰다. 그 후에 이들 시트를 유수로 세정한 후, 25℃의 항온조에서 여과지상에서 12시간 건조시켰다. 이들 시트를 다시 마이크로스코프(50배)에 의해 관찰해서 L3, a3, b3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하의 식에 의해, 세정효율을 산출하고, 이하의 4단계의 기준에 따라 평가를 행했다.
△E1=[(L2∼L1)2+(a2∼a1)2+(b2∼b1)2]1/2
△E2=[(L3∼L1)2+(a3∼a1)2+(b3∼b1)2]1/2
세정효율=(1-△E2/△E1)×100
L:명도, a:채도, b:색상
◎:세정효율이 75%이상
○:세정효율이 50%이상 75%미만
△:세정효율이 25%이상 49%미만
×:세정효율이 25%미만.
5.파운데이션 세정효율
상기 립스틱의 세정효율의 시험방법에 있어서, 립스틱(PN 립퍼펙트21 (주)시세이도제) 0.03g 대신에 파운데이션(옵튠 리퀴드 파운데이션 (주)시세이도제)을 사용한 것 외에는 마찬가지로 시험을 행하여, 이하의 4단계의 기준에 따라 평가를 행했다.
◎:세정효율이 75%이상
○:세정효율이 50%이상 75%미만
△:세정효율이 25%이상 49%미만
×:세정효율이 25%미만.
6.메이크업 세정효과
20∼40세의 여성 100명이 통상의 세안 비누와 동일한 사용 테스트를 실시하고, 이하의 4단계의 기준에 따라 평가를 행했다.
◎:메이크업이 양호하게 지워졌다고 느낀 사람이 75∼100명인 경우
○:메이크업이 양호하게 지워졌다고 느낀 사람이 50∼74명인 경우
△:메이크업이 양호하게 지워졌다고 느낀 사람이 25∼49명인 경우
×:메이크업이 양호하게 지워졌다고 느낀 사람이 0∼24명인 경우.
7.사용후 느낌
20∼40세의 여성 100명이 통상의 세안 비누와 동일한 사용 테스트를 실시하고, 이하의 4단계의 기준에 따라 평가를 행했다.
◎:세정후가 촉촉한 느낌이었다고 느낀 사람이 75∼100명인 경우
○:세정후가 촉촉한 느낌이었다고 느낀 사람이 50∼74명인 경우
△:세정후가 촉촉한 느낌이었다고 느낀 사람이 25∼49명인 경우
×:세정후가 촉촉한 느낌이었다고 느낀 사람이 0∼24명인 경우.
본 발명의 고형 비누 조성물은, 세안시에 메이크업 지우기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메이크업한 피부에 대해서 한 번의 세안으로 충분히 세정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피부세정용의 고형 비누 조성물이 된다.

Claims (10)

  1. 비누성분(a);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
    Figure 112006068187370-PCT00010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1∼60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1∼60의 정수를 나타내고, a는 1∼10의 정수를 나타내고, b는 1∼30의 정수를 나타내고, c는 0∼30의 정수를 나타낸다.); 및
    하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
    Figure 112006068187370-PCT00011
    (식중, R2∼R5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낸다.)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1)의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실록산(b)이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폴리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2)의 테트라키스(2-히드록시알킬)에틸렌디아민(c)이 테트라키스(2-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및 테트라키스(2-히드록시부틸)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d)가 폴리알킬렌글리콜디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 지방산 글리세릴 및 트리 지방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성 계면활성제(e) 및 다가 알콜(f)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양성 계면활성제(e)가 이미다졸리늄베타인형, 아미드알킬베타인형 및 알킬베타인형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다가 알콜(f)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칼리 이온수(g)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형 비누 조성물에, 프레임혼련법 또는 기계혼련법을 적용해서 고형 비누로 성형한 후, 숙성기간을 거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비누.
KR1020067019433A 2004-03-30 2005-03-10 고형 비누 조성물 및 고형 비누 KR100806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9433A KR100806265B1 (ko) 2004-03-30 2005-03-10 고형 비누 조성물 및 고형 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0210 2004-03-30
KR1020067019433A KR100806265B1 (ko) 2004-03-30 2005-03-10 고형 비누 조성물 및 고형 비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138A true KR20070017138A (ko) 2007-02-08
KR100806265B1 KR100806265B1 (ko) 2008-02-22

Family

ID=4162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433A KR100806265B1 (ko) 2004-03-30 2005-03-10 고형 비누 조성물 및 고형 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2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78A (ko) * 2018-11-14 2020-05-22 이병록 금문적대황 성분이 함유된 피부 관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1214763B2 (en) 2018-01-26 2022-01-04 Ecolab Usa Inc. Solidifying liquid amine oxide, betaine, and/or sultaine surfactants with a carrier
US11377628B2 (en) 2018-01-26 2022-07-05 Ecolab Usa Inc. Solidifying liquid anionic surfactants
US11655436B2 (en) 2018-01-26 2023-05-23 Ecolab Usa Inc. Solidifying liquid amine oxide, betaine, and/or sultaine surfactants with a binder and optional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3618A (ja) * 1989-04-14 1990-11-08 Shiseido Co Ltd 洗浄剤組成物
JP5275532B2 (ja) * 1999-02-26 2013-08-28 池田物産株式会社 製剤組成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4763B2 (en) 2018-01-26 2022-01-04 Ecolab Usa Inc. Solidifying liquid amine oxide, betaine, and/or sultaine surfactants with a carrier
US11377628B2 (en) 2018-01-26 2022-07-05 Ecolab Usa Inc. Solidifying liquid anionic surfactants
US11655436B2 (en) 2018-01-26 2023-05-23 Ecolab Usa Inc. Solidifying liquid amine oxide, betaine, and/or sultaine surfactants with a binder and optional carrier
US11834628B2 (en) 2018-01-26 2023-12-05 Ecolab Usa Inc. Solidifying liquid anionic surfactants
US11976255B2 (en) 2018-01-26 2024-05-07 Ecolab Usa Inc. Solidifying liquid amine oxide, betaine, and/or sultaine surfactants with a binder and optional carrier
KR20200055878A (ko) * 2018-11-14 2020-05-22 이병록 금문적대황 성분이 함유된 피부 관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265B1 (ko) 200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9432B2 (en) Solid soap composition comprising polysilxoxane and diamine
KR100736667B1 (ko) 투명고형 비누 조성물
JP2000169884A (ja) 洗浄剤組成物
US20020151446A1 (en) Mild foaming cleanser composition
US20110155165A1 (en) Cleansing composition
JPH0756037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806265B1 (ko) 고형 비누 조성물 및 고형 비누
CN107603789B (zh) 一种调理型固态洗发皂
JP2003064400A (ja) 固形洗浄剤組成物
US6987085B2 (en) Skin cleansing compositions
JP4991177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3048822A (ja) 洗浄剤組成物
CN115554182B (zh) 包含氨基酸类表面活性剂的泡沫型洗面奶化妆品组合物
JP4810843B2 (ja) 洗浄剤組成物
JP2017110170A (ja) 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JPH05262638A (ja) 洗浄剤組成物
JP2005023069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4054799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3081752A (ja) 皮膚洗浄用シート
JP2013133302A (ja) 皮膚用洗浄剤組成物
JP2004238355A (ja) 液状化粧料
JPH0232008A (ja) 洗浄剤組成物
JP5980153B2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料
JP2002060796A (ja) 透明固形石鹸組成物
JP2020200271A (ja) フォーマー容器入り皮膚洗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