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765A -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을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을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765A
KR20070015765A KR1020050070332A KR20050070332A KR20070015765A KR 20070015765 A KR20070015765 A KR 20070015765A KR 1020050070332 A KR1020050070332 A KR 1020050070332A KR 20050070332 A KR20050070332 A KR 20050070332A KR 20070015765 A KR20070015765 A KR 20070015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ape
foil
wheat
bar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059B1 (ko
Inventor
서정호
Original Assignee
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호 filed Critical 서정호
Priority to KR102005007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0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5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6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weanl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Abstract

본 발명은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곡물 원료인 옥수수: 20~30중량%, 대두피: 8~12중량%, 옥배아박: 7~9중량%, 소맥: 7~9중량%, 팜박: 5~7중량%, 소맥피: 4~6중량%, 맥주효모균: 4~6중량%, 야자박: 4~6중량%, 단백피: 4~6중량%, 호마박: 3~4중량%, 주정박: 2.5~3.5중량%, 채종박: 1~3중량%, 루핀: 1~1.5중량%, 알팔파펠렛1~3중량%, 포도박: 1~5중량%와 첨가제인 석회석: 1~2중량%, 인산칼슘: 0.10~1.40중량%, 소금: 0.30~0.90중량%, 비타민: 0.05~0.15중량%, 미네랄: 0.05~0.15중량%, 항곰팡이제: 0.03~0.07중량%, 생균제: 0.05~0.15중량%, 감미제: 0.03~0.07중량%, 중조: 0.50~0.70중량%, 당밀: 4~6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성장이 빠른 육우의 성장생리에 맞도록 포도박과 보리를 혼합하여 배합사료를 제공함으로써 고기내 올레인산과 불포화 지방산 비율을 높혀 고기의 풍미를 증대시킨 양질의 고급육을 생산함으로써 육우 사육농가의 소득증대는 물론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한 양질의 쇠고기를 제공할 수 있다.
사료, 조성물, 포도박, 보리, 비육우

Description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Composition of assorted feed and assorted feed processing method for u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본 발명은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육우(홀스타인 거세숫소 비육우)의 성장 생리에 맞는 단계별 영양소 공급과 전체 성장구간에 포도박을 급여함으로 해서 적정 섬유소 공급을 통한 반추위 안정을 도모하고, 기호성 증진 및 사료효율 개선을 통해 한우에 비해 빠른 성장을 보이는 육우의 특성에 적합한 배합사료를 공급하고, 특히 비육후기에는 보리를 추가로 첨가한 배합사료를 공급함으로서 근내 지방 축적 및 지방색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육류 기호성을 좌우하는 올레인산과 불포화 지방산을 풍부하게 해줌으로서 고기의 풍미를 향상시키고 육우의 육질을 고급화시켜 브랜드화에 적합한 사료를 제조할 수 있는 육우의 육 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우와 같은 가축의 사육은 근래에 이르러 기업화,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사육되는 가축 역시 한정된 공간에서 밀집사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서 밀집 사육되는 한우의 사료는, 주로 볏짚을 주재료로 하고 여기에 쌀, 보리, 콩 등과 같은 곡물과 야채류를 혼합한 사료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곡물과 야채를 혼합 및 가공하여 건조시킨 인공 배합사료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인공 배합사료는 손쉽게 구입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한 잇점으로 인해 그 수요가 크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인공 배합사료는 대부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칼슘 및 인 등과 같은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여기에 가축의 대사작용에 영향을 주는 약제로서 영양제의 성격을 띤 비타민제, 칼슘제, 당류, 혈액대용제, 무기질 및 유기산 등을 별도로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인공 배합사료에는 질병예방 및 사료효율 증진을 위하여 별도의 항균제, 항생물질, 방부제를 첨가하기도 하고, 최근에는 동일한 목적으로 유산균제를 투입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 가축이 질병을 발병할 경우 항생제 주사를 직접투약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곡물, 야채와 같은 천연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의 경우 에는 손쉽게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것들이지만 이러한 천연 부산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영양분이 고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인공 배합사료의 경우에는 곡물과 채소가 혼합 및 가공되어 대량으로 제조되어 포장된 상태로 판매를 하므로 쉽게 사료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영양제, 항생제, 항생물질, 방부제를 더 첨가한 인공 배합사료 역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잇점은 있으나 그 반면에 구입비용에 대한 부담감이 너무 크고, 항생제, 항생물질, 방부제가 첨가된 인공 배합사료를 먹인 한우의 도축시 항생제 검사기준을 초과할 경우 축산물 등급판정기준에서 등급이 낮게 판정되거나 제외되며 이로 인해 낮은 단가로 판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001년 이후 소고기 수입 완전개방에 따른 소고기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에 비해 생산원가가 3배이상 저렴한 수출국(미국,호주,캐나다 등)들의 저가 공세에 국내의 비육우 사육농가들의 사육기반을 크게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성장이 빠른 육우의 성장생리에 맞도록 포도박과 보리를 혼합하여 배합사료를 제공함으로써 고기내 올레인산과 불포화 지방산 비율을 높혀 고기의 풍미를 증대시킨 양질의 고급육을 생산함으로써 육우 사육농가의 소득증대는 물론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한 양질의 쇠고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 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 쇠고기 생산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우사육으로는 밀려들어오는 수입 쇠고기와의 가격경쟁에 밀릴 수밖에 없는바,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그간에 젖소고기라는 인식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신을 회복하고, 국내 육우사육농가들의 안정적인 사육기반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곡물 원료인 옥수수: 20~30중량%, 대두피: 8~12중량%, 옥배아박: 7~9중량%, 소맥: 7~9중량%, 팜박: 5~7중량%, 소맥피: 4~6중량%, 맥주효모균: 4~6중량%, 야자박: 4~6중량%, 단백피: 4~6중량%, 호마박: 3~4중량%, 주정박: 2.5~3.5중량%, 채종박: 1~3중량%, 루핀: 1~1.5중량%, 알팔파펠렛1~3중량%, 포도박: 1~5중량%와 첨가제인 석회석: 1~2중량%, 인산칼슘: 0.10~1.40중량%, 소금: 0.30~0.90중량%, 비타민: 0.05~0.15중량%, 미네랄: 0.05~0.15중량%, 항곰팡이제: 0.03~0.07중량%, 생균제: 0.05~0.15중량%, 감미제: 0.03~0.07중량%, 중조: 0.50~0.70중량%, 당밀: 4~6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옥수수: 25중량%, 대두피: 10중량%, 옥배아박: 8중량%, 소맥: 8중량%, 팜박: 6중량%, 소맥피: 5중량%, 맥주효모균: 5중량%, 야자박: 5중량%, 단백피: 5중량%, 호마박: 3.42중량%, 주정박: 2.9중량%, 채종박: 2중량%, 루핀: 1.14중 량%, 알팔파펠렛: 2중량%, 포도박: 3중량%, 석회석: 1.54중량%, 인산칼슘: 0.28중량%, 소금: 0.60중량%, 비타민: 0.10중량%, 미네랄: 0.10중량%, 항곰팡이제: 0.05중량%, 생균제: 0.10중량%, 감미제: 0.05중량%, 중조: 0.60중량%, 당밀: 5.12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배합사료 조성물은 육성기인 생후 4~10개월령의 400㎏ 미만의 육우에 급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곡물 원료인 옥수수: 20~30중량%, 소맥: 7~9중량%, 옥배아박: 7~9중량%, 소맥피: 7~9중량%, 팜박: 5~7중량%, 단백피: 4~6중량%, 맥주효모균: 2~4중량%, 야자박: 4~6중량%, 주정박: 3~5중량%, 호마박: 3~4중량%, 소맥분: 2~4중량%, 대두피: 2~4중량%, 지옥피: 1~3%, 채종박: 1~3중량%, 포도박: 1~5중량%와 첨가제인 석회석: 1.50~2.50중량%, 인산칼슘: 0.08~1.20중량%, 소금: 0.30~0.90중량%, 비타민: 0.05~0.15중량%, 미네랄: 0.05~0.15중량%, 항곰팡이제: 0.03~0.07중량%, 생균제: 0.05~0.15중량%, 감미제: 0.03~0.07중량%, 중조: 0.50~0.70중량%, 비육촉진제: 0.02~0.04중량%, 당밀: 3~9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옥수수: 26.1중량%, 소맥: 8중량%, 옥배아박: 8중량%, 소맥피: 7.42중량%, 팜박: 6중량%, 단백피: 5중량%, 맥주효모균: 3중량%, 야자박: 5중량%, 주정박: 4중량%, 호마박: 3.74중량%, 소맥분: 3중량%, 대두피: 3중량%, 지옥피: 2%, 채종박: 2중량%, 포도박: 3중량%, 석회석: 2.10중량%, 인산칼슘: 0.10중량%, 소금: 0.60중량%, 비타민: 0.10중량%, 미네랄: 0.10중량%, 항곰팡이제: 0.05중량%, 생균제: 0.10중량%, 감미제: 0.05중량%, 중조: 0.60중량%, 비육촉진제: 0.03중량%, 당밀: 7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배합사료 조성물은 비육전기인 생후 11~16개월령의 600㎏ 미만의 육우에 급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곡물 원료인 옥수수: 20~30중량%, 대맥: 10~13중량%, 옥배아박: 7~13중량%, 루핀: 6~10중량%, 소맥: 6~8중량%, 팜박: 5~7중량%, 야자박: 4~6중량%, 단백피: 3~5중량%, 소맥피: 3~5중량%, 소맥분: 2~4중량%, 대두피: 2~4중량%, 채종박: 1~3중량%, 주정박: 0.50~1.50중량%, 루핀피: 0.50~0.90중량%, 포도박: 1~5중량%와 첨가제인 석회석: 1.50~2.50중량%, 인산칼슘: 0.10~0.14중량%, 소금: 0.40~0.80중량%, 비타민: 0.05~0.15중량%, 미네랄: 0.05~0.15중량%, 항곰팡이제: 0.03~0.07중량%, 생균제: 0.05~0.15중량%, 감미제: 0.03~0.07중량%, 중조: 0.50~0.70중량%, 당밀: 3~5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옥수수: 25중량%, 대맥: 10중량%, 옥배아박: 10중량%, 루핀: 8중량%, 소맥: 7중량%, 팜박: 6중량%, 야자박: 5중량%, 단백피: 4중량%, 소맥피: 3.74중량%, 소맥분: 3중량%, 대두피: 3중량%, 채종박: 2중량%, 주정박: 1.02중량%, 루핀피: 0.70중량%, 포도박: 3중량%, 석회석: 2.12중량%, 인산칼슘: 0.12중량%, 소금: 0.60중량%, 비타민: 0.10중량%, 미네랄: 0.10중량%, 항곰팡이제: 0.05중량%, 생균제: 0.10중량%, 감미제: 0.05중량%, 중조: 0.10중량%, 당밀: 4.7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배합사료 조성물은 비육후기인 생후 17개월령 이상의 600㎏ 이상의 육우에 급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의 배합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배합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곡물 원료를 각각 햄머밀과 롤러밀을 이용하여 1차 분쇄하는 1차 분쇄 단계와; 각각 분쇄된 곡물 원료와 첨가제를 배합하는 배합 단계와; 배합된 원료를 정선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옥수수를 정선하고, 이를 숙성시켜 후레이크밀을 이용하여 후레이크를 제조하는 후레이크 제조단계와; 정선된 배합 원료를 햄머밀을 이용하여 2차 분쇄하는 2차 분쇄 단계와; 2차 분쇄된 배합 원료로 일정 두께의 펠렛으로 가공하는 펠렛 가공 단계와; 펠렛과 후레이크를 배합하여 배합 사료를 제조하는 제품 제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후레이크 제조단계는 7㎜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는 옥수수를 숙성빈에 투입하여 105~108??의 스팀을 30~40분간 가한 후 후레이크 밀을 이용하여 3~4㎜로 압착시킨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펠렛의 두께는 4~6㎜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배합사료 조성물은 육성기인 생후 4~10개월령의 400㎏ 미만의 육 우에 급여한다.
곡물 원료인 옥수수: 20~30중량%, 대두피: 8~12중량%, 옥배아박: 7~9중량%, 소맥: 7~9중량%, 팜박: 5~7중량%, 소맥피: 4~6중량%, 맥주효모균: 4~6중량%, 야자박: 4~6중량%, 단백피: 4~6중량%, 호마박: 3~4중량%, 주정박: 2.5~3.5중량%, 채종박: 1~3중량%, 루핀: 1~1.5중량%, 알팔파펠렛1~3중량%, 포도박: 1~5중량%와 첨가제인 석회석: 1~2중량%, 인산칼슘: 0.10~1.40중량%, 소금: 0.30~0.90중량%, 비타민: 0.05~0.15중량%, 미네랄: 0.05~0.15중량%, 항곰팡이제: 0.03~0.07중량%, 생균제: 0.05~0.15중량%, 감미제: 0.03~0.07중량%, 중조: 0.50~0.70중량%, 당밀: 4~6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옥수수: 25중량%, 대두피: 10중량%, 옥배아박: 8중량%, 소맥: 8중량%, 팜박: 6중량%, 소맥피: 5중량%, 맥주효모균: 5중량%, 야자박: 5중량%, 단백피: 5중량%, 호마박: 3.42중량%, 주정박: 2.9중량%, 채종박: 2중량%, 루핀: 1.14중량%, 알팔파펠렛: 2중량%, 포도박: 3중량%, 석회석: 1.54중량%, 인산칼슘: 0.28중량%, 소금: 0.60중량%, 비타민: 0.10중량%, 미네랄: 0.10중량%, 항곰팡이제: 0.05중량%, 생균제: 0.10중량%, 감미제: 0.05중량%, 중조: 0.60중량%, 당밀: 5.12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다.
한편, 포도박은 포도의 과실에서 포도주 또는 포도주스를 만들 때에 과즙을 압착하고 난 찌꺼기이다. 과육과 과병이 20~30%, 과피가 약 50%, 종실 20~30%로서 구성되고 생것은 수분함량이 약 70% 이상 되며, 건조한 것은 조섬유 함량이 80%나 된다.
또한, 석회석은 성장 필수 영양소인 칼슘 공급원으로, 2.5% 이하로 배합하며, 이때 입도는 0.5mm 이하로 해야하는 데, 0.6mm 이상의 대립자로 배합시 결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 야자박은 8% 이하로 배합하는 데, 그 이유는 수입원료 중 아플라톡신(독성물질)의 오염이 많이 된 원료이기 때문에 과잉 혼합시 펠렛내에서 팽윤,팽창하는 성질이 있어 가루발생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채종박은 4% 이하로 배합되는 데, 그 이유는 항영양인자인 글루코씨놀에이트(glucosinolate)와 독성물질인 일루익엑시드(erucic acid)가 성장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배합사료 조성물은 비육전기인 생후 11~16개월령의 600㎏ 미만의 육우에 급여한다.
곡물 원료인 옥수수: 20~30중량%, 소맥: 7~9중량%, 옥배아박: 7~9중량%, 소맥피: 7~9중량%, 팜박: 5~7중량%, 단백피: 4~6중량%, 맥주효모균: 2~4중량%, 야자박: 4~6중량%, 주정박: 3~5중량%, 호마박: 3~4중량%, 소맥분: 2~4중량%, 대두피: 2~4중량%, 지옥피: 1~3%, 채종박: 1~3중량%, 포도박: 1~5중량%와 첨가제인 석회석: 1.50~2.50중량%, 인산칼슘: 0.08~1.20중량%, 소금: 0.30~0.90중량%, 비타민: 0.05~0.15중량%, 미네랄: 0.05~0.15중량%, 항곰팡이제: 0.03~0.07중량%, 생균제: 0.05~0.15중량%, 감미제: 0.03~0.07중량%, 중조: 0.50~0.70중량%, 비육촉진제: 0.02~0.04중량%, 당밀: 3~9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옥수수: 26.1중량%, 소맥: 8중량%, 옥배아박: 8중량%, 소맥피: 7.42중량%, 팜박: 6중량%, 단백피: 5중량%, 맥주효모균: 3중량%, 야자박: 5중량%, 주정박: 4중량%, 호마박: 3.74중량%, 소맥분: 3중량%, 대두피: 3중량%, 지옥피: 2%, 채종박: 2중량%, 포도박: 3중량%, 석회석: 2.10중량%, 인산칼슘: 0.10중량%, 소금: 0.60중량%, 비타민: 0.10중량%, 미네랄: 0.10중량%, 항곰팡이제: 0.05중량%, 생균제: 0.10중량%, 감미제: 0.05중량%, 중조: 0.60중량%, 비육촉진제: 0.03중량%, 당밀: 7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배합사료 조성물은 비육후기인 생후 17개월령 이상의 600㎏ 이상의 육우에 급여한다.
곡물 원료인 옥수수: 20~30중량%, 대맥: 10~13중량%, 옥배아박: 7~13중량%, 루핀: 6~10중량%, 소맥: 6~8중량%, 팜박: 5~7중량%, 야자박: 4~6중량%, 단백피: 3~5중량%, 소맥피: 3~5중량%, 소맥분: 2~4중량%, 대두피: 2~4중량%, 채종박: 1~3중량%, 주정박: 0.50~1.50중량%, 루핀피: 0.50~0.90중량%, 포도박: 1~5중량%와 첨가제인 석회석: 1.50~2.50중량%, 인산칼슘: 0.10~0.14중량%, 소금: 0.40~0.80중량%, 비타민: 0.05~0.15중량%, 미네랄: 0.05~0.15중량%, 항곰팡이제: 0.03~0.07중량%, 생균제: 0.05~0.15중량%, 감미제: 0.03~0.07중량%, 중조: 0.50~0.70중량%, 당밀: 3~5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옥수수: 25중량%, 대맥: 10중량%, 옥배아박: 10중량%, 루핀: 8중량%, 소맥: 7중량%, 팜박: 6중량%, 야자박: 5중량%, 단백피: 4중량%, 소맥피: 3.74중량%, 소맥분: 3중량%, 대두피: 3중량%, 채종박: 2중량%, 주정박: 1.02중량%, 루핀피: 0.70중량%, 포도박: 3중량%, 석회석: 2.12중량%, 인산칼슘: 0.12중량%, 소금: 0.60중량%, 비타민: 0.10중량%, 미네랄: 0.10중량%, 항곰팡이제: 0.05중량%, 생균제: 0.10중량%, 감미제: 0.05중량%, 중조: 0.10중량%, 당밀: 4.7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다.
한편, 보리는 최소 10% 이상 첨가해야 육질개선(지방색, 근내지방, 풍미증대) 효과가 있고, 통보리를 입도:2mm 이상으로 분쇄한다.
Figure 112005042497397-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보리의 영양 성분은 아주 우수하다.
Figure 112005042497397-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리급여구와 옥수수 급여구에서 나타나듯이 지방색을 좌우하는 적색도와 황색도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육질을 좌우하는 지방색이 개선됨과 동시에 소비자가 선호하는 육질 개선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Figure 112005042497397-PAT00003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등심단면적과 등심내지방은 육질등급 향상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이의 개선은 곧 고급육 생산과 직결됨을 알 수 있다. 한우와 달리 육우에서는 2등급 이상의 쇠고기 생산을 목표로 하기에 육질개선에 상당한 역할을 한다.
Figure 112005042497397-PAT00004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쇠고기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중 하나가 쇠고기의 풍미이다. 쇠고기육의 풍미가 증가하려면, 고기내 올레인산과 불포화 지방산 비율이 높아야 하며, 특히,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동맥경화 등을 유발하는 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 공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먼저, 상기의 곡물 원료를 각각 햄머밀과 롤러밀을 이용하여 1차 분쇄한다(S100).
그리고, 각각 분쇄된 곡물 원료와 첨가제를 배합한 후(S110), 배합된 원료를 정선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옥수수를 정선하고(S120), 정선된 옥수수를 숙성시켜 후레이크밀을 이용하여 후레이크를 제조한다(S121, 122). 이때, 후레이크의 제조는 7㎜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는 옥수수를 숙성빈에 투입하여 105~108??의 스팀을 30~40분간 가하여 숙성시킨 후(S121), 후레이크 밀을 이용하여 3.5㎜로 압착시킨다(S122).
그리고, 정선이 완료된 배합 원료를 햄머밀을 이용하여 2차 분쇄하고(S130), 2차 분쇄된 배합 원료로 5㎜ 두께의 펠렛으로 가공한 후(S140), 펠렛과 후레이크를 배합하여(S150), 배합 사료를 제조한다(S160).
이후, 자동 포장을 통해 출고하거나, 벌크 형태로 출고된다.
《실험예》
본 실험은 포도박과 보리가 첨가된 사료를 급여함으로서 사료섭취량과 일당증체, 사료요구율이 개선되어짐을 나타내는 실험이다. 동 기간에 입식된 우군에 대하여 체중을 측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위와 같은 실험결과를 나타냈다.
실험 1,2,3에서 보듯이 일당증체,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등이 전구간에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육우의 성장단계에 맞는 최적 영양소 설계와 포도박과 보리를 함유시킨 사료를 급여한 결과라 볼 수 있다.
Figure 112005042497397-PAT00005
Figure 112005042497397-PAT00006
생후 4-10개월령까지는 육우의 소화기 발달 및 골격이 집중적으로 발달하는 시기로서 기존사료에는 일반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포도박 3%, 알팔파 펠렛 2%를 추가로 첨가하여, 조섬유 함량을 기존 배합사료 보다 월등히 높은 17%이상(분석치 기준)으로 맞추었으며, 이는 육성기에 많은 농가들의 고민거리인 설사예방 및 성장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영양성분을 소화기 발달 및 골격발달의 생리에 맞게 조단백 15% 이상, TDN 69% 이상 즉, 고단백, 저에너지 설계를 함으로서 육성기 사양관리에 접합하도록 설계를 하였다. (기존사료 : 조섬유 함량 10%이상(분석치 기준), 조단백 12~14%, TDN 70-71% 설계됨)
그리고, 기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보리는 육색을 희고 단단하게 하여주며, 육량 및 근내 지방도를 높혀주고, 소고기의 풍미를 증대하여 주는 올레인산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높혀주는 역할을 하여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출하전 3-6개월 전에 급여토록 하는 비육후기 사료에 포도박 3%와 함께 보리 10% 이상을 추가하여 설계함과 동시에 이 시기에 근내지방이 침착되는 단계임을 고려해 그에 맞는 저단백 고에너지 (조단백 11% 이상, TDN 73.5% 이상)로 설계하여 쇠고기의 육질을 더욱 향상시키고 출하하는 사육농가에서도 2등급 이상의 고급육이 보다 더 나옴으로 해서(목표:2등급이상, 출현율: 60%이상) 농가수익 향상에 기여하도록 하였다. (기존사료 : 조단백 12%, TDN 72% 수준)
따라서, 월령에 맞게 최적의 배합 사료를 제공함으로써 비육우의 육질 개선 및 빠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에 따르면, 성장이 빠른 육우의 성장생리에 맞도록 포도박과 보리를 혼합하여 배합사료를 제공함으로써 고기내 올레인산과 불포화 지방산 비율을 높혀 고기의 풍미를 증대시킨 양질의 고급육을 생산함으로써 육우 사육농가의 소득증대는 물론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한 양질의 쇠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국내 쇠고기 생산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우사육으로는 밀려들어오는 수입 쇠고기와의 가격경쟁에 밀릴 수밖에 없는 바,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그간에 젖소고기라는 인식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신을 회복하고, 국내 육우사육농가들의 안정적인 사육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2)

  1. 곡물 원료인 옥수수: 20~30중량%, 대두피: 8~12중량%, 옥배아박: 7~9중량%, 소맥: 7~9중량%, 팜박: 5~7중량%, 소맥피: 4~6중량%, 맥주효모균: 4~6중량%, 야자박: 4~6중량%, 단백피: 4~6중량%, 호마박: 3~4중량%, 주정박: 2.5~3.5중량%, 채종박: 1~3중량%, 루핀: 1~1.5중량%, 알팔파펠렛1~3중량%, 포도박: 1~5중량%와 첨가제인 석회석: 1~2중량%, 인산칼슘: 0.10~1.40중량%, 소금: 0.30~0.90중량%, 비타민: 0.05~0.15중량%, 미네랄: 0.05~0.15중량%, 항곰팡이제: 0.03~0.07중량%, 생균제: 0.05~0.15중량%, 감미제: 0.03~0.07중량%, 중조: 0.50~0.70중량%, 당밀: 4~6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옥수수: 25중량%, 대두피: 10중량%, 옥배아박: 8중량%, 소맥: 8중량%, 팜박: 6중량%, 소맥피: 5중량%, 맥주효모균: 5중량%, 야자박: 5중량%, 단백피: 5중량%, 호마박: 3.42중량%, 주정박: 2.9중량%, 채종박: 2중량%, 루핀: 1.14중량%, 알팔파펠렛: 2중량%, 포도박: 3중량%, 석회석: 1.54중량%, 인산칼슘: 0.28중량%, 소금: 0.60중량%, 비타민: 0.10중량%, 미네랄: 0.10중량%, 항곰팡이제: 0.05중량%, 생균제: 0.10중량%, 감미제: 0.05중량%, 중조: 0.60중량%, 당밀: 5.12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 사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사료 조성물은,
    육성기인 생후 4~10개월령의 400㎏ 미만의 육우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4. 곡물 원료인 옥수수: 20~30중량%, 소맥: 7~9중량%, 옥배아박: 7~9중량%, 소맥피: 7~9중량%, 팜박: 5~7중량%, 단백피: 4~6중량%, 맥주효모균: 2~4중량%, 야자박: 4~6중량%, 주정박: 3~5중량%, 호마박: 3~4중량%, 소맥분: 2~4중량%, 대두피: 2~4중량%, 지옥피: 1~3%, 채종박: 1~3중량%, 포도박: 1~5중량%와 첨가제인 석회석: 1.50~2.50중량%, 인산칼슘: 0.08~1.20중량%, 소금: 0.30~0.90중량%, 비타민: 0.05~0.15중량%, 미네랄: 0.05~0.15중량%, 항곰팡이제: 0.03~0.07중량%, 생균제: 0.05~0.15중량%, 감미제: 0.03~0.07중량%, 중조: 0.50~0.70중량%, 비육촉진제: 0.02~0.04중량%, 당밀: 3~9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옥수수: 26.1중량%, 소맥: 8중량%, 옥배아박: 8중량%, 소맥피: 7.42중량%, 팜박: 6중량%, 단백피: 5중량%, 맥주효모균: 3중량%, 야자박: 5중량%, 주정박: 4중 량%, 호마박: 3.74중량%, 소맥분: 3중량%, 대두피: 3중량%, 지옥피: 2%, 채종박: 2중량%, 포도박: 3중량%, 석회석: 2.10중량%, 인산칼슘: 0.10중량%, 소금: 0.60중량%, 비타민: 0.10중량%, 미네랄: 0.10중량%, 항곰팡이제: 0.05중량%, 생균제: 0.10중량%, 감미제: 0.05중량%, 중조: 0.60중량%, 비육촉진제: 0.03중량%, 당밀: 7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사료 조성물은,
    비육전기인 생후 11~16개월령의 600㎏ 미만의 육우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7. 곡물 원료인 옥수수: 20~30중량%, 대맥: 10~13중량%, 옥배아박: 7~13중량%, 루핀: 6~10중량%, 소맥: 6~8중량%, 팜박: 5~7중량%, 야자박: 4~6중량%, 단백피: 3~5중량%, 소맥피: 3~5중량%, 소맥분: 2~4중량%, 대두피: 2~4중량%, 채종박: 1~3중량%, 주정박: 0.50~1.50중량%, 루핀피: 0.50~0.90중량%, 포도박: 1~5중량%와 첨가제인 석회석: 1.50~2.50중량%, 인산칼슘: 0.10~0.14중량%, 소금: 0.40~0.80중량%, 비타민: 0.05~0.15중량%, 미네랄: 0.05~0.15중량%, 항곰팡이제: 0.03~0.07중량%, 생균제: 0.05~0.15중량%, 감미제: 0.03~0.07중량%, 중조: 0.50~0.70중량%, 당밀: 3~5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 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옥수수: 25중량%, 대맥: 10중량%, 옥배아박: 10중량%, 루핀: 8중량%, 소맥: 7중량%, 팜박: 6중량%, 야자박: 5중량%, 단백피: 4중량%, 소맥피: 3.74중량%, 소맥분: 3중량%, 대두피: 3중량%, 채종박: 2중량%, 주정박: 1.02중량%, 루핀피: 0.70중량%, 포도박: 3중량%, 석회석: 2.12중량%, 인산칼슘: 0.12중량%, 소금: 0.60중량%, 비타민: 0.10중량%, 미네랄: 0.10중량%, 항곰팡이제: 0.05중량%, 생균제: 0.10중량%, 감미제: 0.05중량%, 중조: 0.10중량%, 당밀: 4.7중량%의 배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사료 조성물은,
    비육후기인 생후 17개월령 이상의 600㎏ 이상의 육우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우의 육질 개선을 위해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
  10. 제 1 항, 제 4 항, 제 7 항중 어느 한 항의 배합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배합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곡물 원료를 각각 햄머밀과 롤러밀을 이용하여 1차 분쇄하는 1차 분쇄 단계와;
    각각 분쇄된 곡물 원료와 첨가제를 배합하는 배합 단계와;
    배합된 원료를 정선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옥수수를 정선하고, 이를 숙성시켜 후레이크밀을 이용하여 후레이크를 제조하는 후레이크 제조단계와;
    정선된 배합 원료를 햄머밀을 이용하여 2차 분쇄하는 2차 분쇄 단계와;
    2차 분쇄된 배합 원료로 일정 두께의 펠렛으로 가공하는 펠렛 가공 단계; 및
    펠렛과 후레이크를 배합하여 배합 사료를 제조하는 제품 제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이크 제조단계는,
    7㎜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는 옥수수를 숙성빈에 투입하여 105~108??의 스팀을 30~40분간 가한 후 후레이크 밀을 이용하여 3~4㎜로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의 두께는,
    4~6㎜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박과 보리를 첨가한 배합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KR1020050070332A 2005-08-01 2005-08-01 육우의 육질 개선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KR10075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332A KR100751059B1 (ko) 2005-08-01 2005-08-01 육우의 육질 개선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332A KR100751059B1 (ko) 2005-08-01 2005-08-01 육우의 육질 개선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765A true KR20070015765A (ko) 2007-02-06
KR100751059B1 KR100751059B1 (ko) 2007-08-21

Family

ID=4163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332A KR100751059B1 (ko) 2005-08-01 2005-08-01 육우의 육질 개선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05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865B1 (ko) * 2007-12-11 2009-06-24 박효도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소사료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ITTO20110973A1 (it) * 2011-10-27 2013-04-28 Giuseppe Puglisi Procedimento di lavorazione per ottenere alimenti per animali bovini mediante integrazione di nocciole
KR101512605B1 (ko) * 2014-11-25 2015-04-15 장세상 익스펜딩 가공 사료 제조방법
KR101512602B1 (ko) * 2014-11-25 2015-04-15 장세상 익스펜더를 이용한 축우사료
KR20190017322A (ko) * 2017-08-11 2019-02-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카카오박 또는 카사바 뿌리를 함유하는 반추동물 메탄 저감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22001258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4246263A (zh) * 2021-12-10 2022-03-29 新疆禾邦牧业有限公司 一种提高肉牛抵抗力的养殖饲料及其制备方法
KR20220072045A (ko) * 2020-11-23 2022-06-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육성우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78736A (ko) * 2020-12-02 2022-06-13 주식회사 선진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659B1 (ko) * 2012-04-03 2014-04-25 조명현 육질개선용 염소사료 조성물 및 그 사료를 급여한 염소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염소육
KR101357338B1 (ko) * 2012-04-03 2014-02-04 조명현 육질개선용 사슴사료 조성물 및 그 사료를 급여한 사슴으로부터 얻어지는 사포닌, 유황,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사슴육과 녹용
KR101438440B1 (ko) * 2012-05-22 2014-09-12 평창군 비육우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비육우 급여방법
CN108774617A (zh) * 2018-06-26 2018-11-09 宁夏汇达阳光生态酒庄有限责任公司 红葡萄酒生产过程中皮渣的综合利用工艺
KR20220127986A (ko) 2021-03-12 2022-09-20 김명연 기능성 사료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96B1 (ko) * 2000-11-10 2003-10-2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육계분을 함유하는 무볏짚 배합사료 조성물
KR20020011865A (ko) * 2001-06-26 2002-02-09 양진석 사료첨가제용 포도찌꺼기 발효물
KR20050020468A (ko) * 2003-08-22 2005-03-04 김일환 상황버섯과 황토를 이용한 가축용 사료 조성물
KR20050117660A (ko) * 2004-06-11 2005-12-15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항산화물을 포함하는 가축의 사료첨가제
KR100553460B1 (ko) * 2004-08-16 2006-02-22 경주시 농업기술센터 황토지장수가 혼합된 액상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865B1 (ko) * 2007-12-11 2009-06-24 박효도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소사료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ITTO20110973A1 (it) * 2011-10-27 2013-04-28 Giuseppe Puglisi Procedimento di lavorazione per ottenere alimenti per animali bovini mediante integrazione di nocciole
KR101512605B1 (ko) * 2014-11-25 2015-04-15 장세상 익스펜딩 가공 사료 제조방법
KR101512602B1 (ko) * 2014-11-25 2015-04-15 장세상 익스펜더를 이용한 축우사료
KR20190017322A (ko) * 2017-08-11 2019-02-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카카오박 또는 카사바 뿌리를 함유하는 반추동물 메탄 저감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22001258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2045A (ko) * 2020-11-23 2022-06-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육성우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78736A (ko) * 2020-12-02 2022-06-13 주식회사 선진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CN114246263A (zh) * 2021-12-10 2022-03-29 新疆禾邦牧业有限公司 一种提高肉牛抵抗力的养殖饲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059B1 (ko)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059B1 (ko) 육우의 육질 개선용 배합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합사료 제조방법
CN102919583A (zh) 一种獭兔仔兔无抗饲料
KR20150129145A (ko) 사육기간의 단축을 위한 완전배합사료 및 이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사육방법
CN102919584A (zh) 一种獭兔生长兔无抗饲料
KR101494807B1 (ko) 칼슘옥사이드(CaO)를 활용한 무건조 감귤박펠렛의 제조방법
KR101556887B1 (ko) 소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maz et al. Feed intake, digestibility and live weight change of lambs fed finger millet (Eleusine coracana) straw supplemented with atella, noug seed (Guizotia abyssinica) cake and their mixtures
CN103250897B (zh) 一种花生壳鸡饲料
KR20080053773A (ko) 사과를 함유하는 돼지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558140A (zh) 一种新型牛羊畜牧复合生化成型饲草的生产方法
KR101756039B1 (ko) 반추가축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14297B1 (ko) 젖소 또는 육우용 혼합-발효사료
CN103892036A (zh) 一种酒糟颗粒状种猪复合饲料的制备方法
CN110367400A (zh) 一种健康高效的斑点叉尾鮰专用膨化配合饲料及其制备工艺
KR101337882B1 (ko) 영양소급여량 조절을 통한 메탄생성 저감방법 및 고급육 생산방법
CN108497204A (zh) 一种生物菌发酵禽畜多酶有机饲料及其制备方法
AU2015202442B2 (en) Animal feed
KR100385929B1 (ko) 반추가축용 보조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3907780B (zh) 一种酒糟颗粒状种猪复合饲料
KR20220078736A (ko) 도체중 및 육량 등급 향상용 소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의 사육방법
KR100385930B1 (ko) 반추가축용 보조사료 조성물 및 이의 급여방법
KR101512605B1 (ko) 익스펜딩 가공 사료 제조방법
KR101273915B1 (ko) 무산소 섬유질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20130032486A (ko) 가축사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03914B1 (ko) 가축사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