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581A - 폐가공유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폐가공유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581A
KR20070015581A KR1020067024035A KR20067024035A KR20070015581A KR 20070015581 A KR20070015581 A KR 20070015581A KR 1020067024035 A KR1020067024035 A KR 1020067024035A KR 20067024035 A KR20067024035 A KR 20067024035A KR 20070015581 A KR20070015581 A KR 20070015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ixture
acid
group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거너 스트롬
Original Assignee
비아텍 시스템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아텍 시스템즈 에이비 filed Critical 비아텍 시스템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7001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58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 C10G21/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used
    • C10G21/12Organic compounds only
    • C10G21/16Oxy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 C10G21/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used
    • C10G21/12Organic compounds only
    • C10G21/20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 C10G21/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used
    • C10G21/12Organic compounds only
    • C10G21/27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10G21/14 - C10G21/26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10G31/1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the aid of centrifugal forc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008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with the use of adsorb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016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with the use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058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by filtration and centrifugation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2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mineral-oil bas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121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seven or less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125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eight up to twenty-nine carbon atoms, i.e.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15/04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Alkoxylated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n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폐가공유의 정제방법으로, 이 방법은 a) 하나 이상의 알칸올아민, 및 b)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a) 및 b)의 혼합물이 방법이 수행되는 온도에서 액체이도록 하는 융점을 갖는, 알카노익산 및 알케노익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의 액체 혼합물을 포함하며, a) 및 b)의 상기 혼합물의 pH값이 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가장 바람직하게는 6.3이며 가공유에서 실질적으로 불용성이며 혼합시 두 개의 상 혼합물을 형성하는 첨가제를 가공유와 혼합하고, 이어서 a) 및 b)의 상기 혼합물과 흡수된 오염물 상으로부터 가공유 상을 분리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폐가공유의 정제 혼합물 제조에서 알칸올아민의 사용뿐만 아니라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카노익산과 알케노익산의 사용을 제공한다.
폐가공유, 정제방법, 알칸올아민, 알카노익산, 알케노익산, 상 분리, 카프릴산

Description

폐가공유 정제방법{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SPENT PROCESS OIL}
본 발명은 폐가공유, 즉, 오일 내에 축적된 고형 또는 용해된 불순물로 오염된 가공유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폐가공유 정제를 위한 다양한 물질의 사용과도 관련된다.
인용된 특허 문서들은 그 전체로써 명시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통합된다.
예컨대 강철 산업에서 사용되는 상이한 유형의 가공유가 있다. 윤활제로서 사용되었을 때, 이들은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고 이는 오일 내에 축적하게 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오일 정제를 위해 산업적으로 유용한 방법은 없다.
본원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가공유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 사용된 오일과 관련된다. 가공유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롤링 오일(rolling oil), 호닝 오일(honing oil), 엔진 윤활유, 광유, 파라핀유, 및 염소함유 파라핀유가 있다. 통상적인 가공유의 폐기 방법은 연소에 의한 폐기이나 이러한 폐기는 환경적 문제를 초래하며; 이는 염화파라핀유 유형의 염소함유 오일의 경우 특히 사실이다.
현재로선 강철 산업 내 많은 공정들이 고부하(고하중 운전)에서 효율적인 윤활을 위해 염화파라핀유에 대체할 환경친화적인 대체물을 갖고 있지 않다.
유기 중합체 및/또는 하전된 조절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에 기초한 상 화학적 방법으로 오염물로부터 오일(식물성 또는 미네랄 오일에 기초)을 정제할 수 있음이 이전에 알려져 있다(WO95/14752). 이 선행 기술에 따른 방법의 주요 단점은 표적 유체와 분리 첨가제 사이의 분배가 표적 유체와 분리 첨가제 사이의 표면 및 표적 유체 사이에서 주로 일어난다는 것에 기인한다. 이런 배경에는 표면에서의 화학적 상호작용과 그리고 중합체/중합체 혼합물 및 표적 유체 사이의 밀도 차이가 상당하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적당한 유기 용매에서 용해되는 디카르복실산으로의 응집(floculation)에 기초한 광유에서 특정 불순물의 분리 방법이 이전에 기술된바 있다(SE464306).
따라서, 일반적인 오염 가공유 및 특히, 환경친화적이지 않은 오염 가공유 예컨대, 염화파라핀유를 이들의 재활용이 가능할 정도로 정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계속적인 필요가 있다.
수반된 여러 개의 상으로 분리는 고형 분산 불순물 또는 용해된 물질이 여과 또는 원심분리와 같은 다른 통상적인 기술로 유체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경우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일반적으로 계면-화학 현상에 기초하며 적절한 분리 첨가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분리 첨가제는 주어진 조건에서 정제되어야 할 유체에서 실질적으로 불용성이다. 화학 분리 방법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불순물로부터 가공되어야 할 표적 유체를 분리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정제되어야 할 유체 내 물질이 둘러싼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분리 첨가제로 이동할 때 화학 상 분리로 불린다. 화학 상 분리는 두 개보다 많은 상을 포함하는 단계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섞이지 않는 여러 개의 상이한 상 매체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염화파라핀유의 정제를 위한 화학 상 분리는 문헌상에 예전에 보고된 바 없다. 이는 강철 산업 및 강철 및 철강 기계류에 관한 다른 제조 공정에서 "고하중 운전"시 오일 내에 축적되는 불순물(윤활유 및 특정 불순물)을 가지고 사용되는 염화파라핀유의 경우 특히 사실이다.
상 화학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및/또는 용해된 무기 또는 유기 제제로 구성된 불순물을 롤링 오일 또는 엔진 윤활유 유형의 가공유로부터 분리하는 방법도 또한 이전에 기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정제 후 오염된 가공유의 재활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오염된 가공유의 불필요한 폐기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는 여느 공지 기술에 의해서도 달성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합된 계면 화학 및 기계적 분리 방법 수단에 의해서 고형 및 용해된 불순물로부터 가공유를 정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오염된 가공유의 정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첫 단계로서 정제되어야 할 오염된 오일에 특정 분리 첨가제의 첨가인데, 이는 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가공유 내의 오염 고형물 또는 용해된 불순물을 흡수하며, 두 번째 단계는 분리 첨가제와 흡수된 불순물을 정적 침강(static settling), 원심분리, 진공 여과, 가압 여과, 프리코팅(pre-coat) 여과 및 원심 여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분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a) 적어도 하나의 알칸올아민, 및
b)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a) 및 b)의 혼합물이 방법이 수행되는 온도에서 액체이도록 하는 융점을 갖는 알카노익산 및 알케노익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액체 혼합물을 포함하며,
a) 및 b)의 상기 혼합물의 pH값이 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가장 바람직하게는 6.3이며 가공유에서 실질적으로 불용성이며 혼합시 두 개의 상 혼합물을 형성하는 첨가제를 가공유와 혼합하고,
이어서 a) 및 b)의 상기 혼합물과 흡수된 오염물 상으로부터 가공유 상을 분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양태들은 종속청구항에 구현되어 있다. 즉,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a)가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a)가 트리에탄올아민인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b)가 라우르산, 올레익산, 펜타데카노익산, 데케노익산, 2-에틸헥사노익산 및 카프릴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b)가 2-에틸헥사노익산 및 카프릴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두 개의 상 분리가 정적 침강, 원심 분리, 진공 여과, 가압 여과, 프리코팅 여과 및 원심 여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방법 또는 이들 방법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및 b)의 혼합물이 폐가공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산출시 0.0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첨가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첨가제가 성분 a) 및 b) 이외에도 c) 모노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모노에틸에테르,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10℃ 넘는 온도,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폐가공유 정제용 혼합물 제조시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카노익산 및 알케노익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사용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폐가공유 정제용 혼합물 제조시 적어도 하나의 알칸올아민의 사용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폐가공유 정제를 위해
a) 적어도 하나의 알칸올아민, 및
b)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a) 및 b)의 혼합물이 방법이 수행되는 온도에서 액체이도록 하는 융점을 갖는 알카노익산 및 알케노익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액체 혼합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폐가공유가 광유, 롤링 오일, 호닝 오일, 드로우잉 오일(drawing oil), 엔진 윤활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용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온도가 10℃를 넘으며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인 사용을 포함한다.
첫 번째 방법 단계에서 분리 첨가제를 격렬하게 휘저으면서 표적 유체와 혼합한다. 분리 첨가제는 이의 극성 성질 때문에 표적 유체에서 녹지 않으므로 분리 첨가제의 작은 물방울로 구성된 콜로이드가 휘젓는 가운데 형성되고, 이는 화학적 상호작용(친수성, 소수성, 및 전하 상호작용)을 통하여 표적 유체 내의 원하지 않은 고형 또는 용해된 불순물을 흡수할 수 있다. 분리 첨가제는 대부분의 광유(염화파라핀유 및 일부 다른 유도 오일 제외)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분리 첨가제는 고형 또는 용해된 불순물과 함께 더 낮은 상을 형성할 것이며 분리 첨가제가 표적 유체보다 더 낮은 밀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더 가벼운 상을 형성할 것이다.
정제될 오일에 첨가되는 혼합물을 분리 첨가제라 부른다. 알칸올아민이 첨가된 지방산이 바람직하게 분리 첨가제로 사용된다. 분리 첨가제는 실온에서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식물뿐만 아니라 동물 기원의 지방산이 적당한 후보이다. 지방산은 방법이 수행되는 온도에서 혼합물이 액체이도록 하는 융점을 갖는 알카노익산 및 알케노익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다. 방법이 수행되는 온도는 일반적으로 10℃가 넘으며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이다. 방법 온도는 바람직하게 분리 첨가제 및 정제되어야 할 오일 및 혼합물 내 기타 다른 성분의 끓는점보다는 아래이다. 바람직하게 분리 첨가제는 실온에서 액체이다.
적당한 지방산은 라우르산, 올레익산, 펜타데카노익산, 데케노익산, 2-에틸헥사노익산 및 카프릴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지방산은 2-에틸헥사노익산과 카프릴산이며, 후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산 또는 지방산들에게 적어도 하나의 알칸올아민이 첨가되어 액체 혼합물의 pH값이 5 내지 8 범위, 바람직하게 6 내지 7, 특히 바람직하게는 6.3이 된다. 예컨대 6 내지 7의 pH 범위로 본 발명자는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및 7.0과 같은 이 범위 내 모든 pH값을 의미한다. 당업자는 또한 최적은 아니지만 6과 7 사이 바깥에 있는 다른 pH값, 가령 5.9, 5.8, 5.7, 5.6, 5.5, 5.4, 5.3, 5.2, 5.1, 5.0 등등, 또는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등등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실감할 것이다.
pH 조정 방법을 위해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칼올아민이 사용된다. 모노에탄올아민과 트리에탄올아민이 바람직하다. 트리에탄올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과 적어도 하나의 알칸올아민의 혼합물 물성은 혼합물이 정제되어야 할 오일 내에서 실질적으로 불용성이게끔 하는 것이다.
가공유에 가해지는 혼합물은 모노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액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분리 첨가제는 정제되어야 할 오일의 0.0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정제되어야 할 오일에 가해진다. 고함량의 고형물을 지닌 염화파라핀유를 위해서는 정제 혼합물이 정제되어야 할 오일의 약 3 내지 약 5 또는 심지어 10 중량%까지의 함량으로 첨가된다. 반면 예컨대 롤링 및 호닝 오일의 연속 정제를 위해서는 정제되어야 할 오일의 약 0.0001 내지 0.0002 중량%밖에 필요하지 않다. 다른 적용을 위해서는 이들 양극값 사이의 임의 값이 사용된다.
분리 첨가제는 정적 침강, 원심 분리, 진공 여과, 가압 여과, 프리코팅 여과 및 원심 여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방법 또는 이들 방법의 조합에 의해 정제되어야 할 오일로부터 분리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며 어느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롤링 오일 내 고형 및 용해된 불순물의 정제
어떤 종류의 정제 없이 정상 주기(12주) 동안 사용되어 폐기될 3 ㎥ 롤링 오일(valsolja-20, Statoil)을 이 목적을 위해 지은 파일럿 플랜트로 펌핑했다. 플랜트는 정제기로서 원심 분리기(MAB 309 Alfa Laval)가 연결 설치된 3 ㎥ 체적을 지닌 저장 탱크로 구성되었다. 롤링 오일은 특정 탄소 입자(2 ㎛ 미만의 입자 직경으로 90%)와 이전 공정 단계에서 윤활제였던 용해된 금속 스테아레이트로 주로 오염되어있었다. 우회수로 정제용으로 연결된 원심 분리기는 "고형 벽 기계(solid wall machine)" 유형이었고, 이는 두 개의 비-혼화성 유체상을 서로 연속적으로 분리시키고자 유일하게 의도된 분리기이다.
실험 개시시 액체 벽을 분리 첨가제를 포함하여 원심 분리기로 채웠다. 그리고나서 상응하는 분리 첨가제를 정적(static) 믹서 이전에 분리기에 대한 공급물 내로 혼합시켰다. 투여량은 대략 0.1%이었다. 분리 첨가제는 트리에탄올아민이 첨가된 카프릴산으로 구성되었고 결과 pH값은 6.3이었다. 트리에탄올아민이 첨가된 지방산 70 중량%를 에틸렌 글리콜 30 중량%과 혼합하여 투여 이전 산물의 점도를 낮추었다. 시스템을 900 1/h의 흐름으로 6 시간 동안 순환시키면서 작동시켰다. 롤링 오일에 대한 입자 감소를 산물의 투여 또는 투여 없이 분리기 출구로부터 샘플을 추출하여 혼탁 미터(HACH)를 가지고 측정하였다. 용해된 스테아레이트-비누 감소를 원자 방출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시험된 롤링 오일 내 존재하는 첨가물의 정량 FTIR 분석
샘플 3650 ㎝-1에서 항산화제 흡수 최대치 1745㎝-1에서 에스테르 흡수 최대치 1712 ㎝-1에서 라우르산 흡수 최대치
처리되지 않은 오일 0.040 0.002 0.469
폐롤링오일 0.021 0.011 0.332
방법에 따라 정제됨 0.026 0.013 0.332
샘플 번호 1:처리되지 않은 롤링 오일, 12 주간 사용된 롤링 오일(폐롤링 오일), 및 실시예 1에 따라 정제된 오일
본 발명에 따라 정제에 놓여진 롤링 오일의 혼탁 측정 수단에 의한 시간에 따른 입자 감소
샘플 번호 분리기 이전/이후 오일 흐름 1/h 투여 속도 1/h 혼탁도 (NTU)
1 분리기 이전 900 0 1800
2 분리기 이후 900 0 1680
3 분리기 이후 900 0.9 53
4 분리기 이후 900 0.9 44
5 분리기 이후 900 0.9 37
6 분리기 이후 900 0.9 29
미량 원소의 존재에 대해 처리되지 않거나 처리된 오일의 분석
미량 원소(㎎/1) 처리되지 않은 오일(㎎/1) 처리된 오일(㎎/1)
칼슘 128 20.7
>360 12.4
마그네슘 1.2 0.5
니켈 48 1.8
나트륨 16 0.6
아연 43 6.5
실시예 2. 호닝 오일의 정제
연결 로드의 제조에 사용된 호닝 오일(Castrol Honilo 971)을 상기 기술된 방법에 따라 우회수로 방법에서 정제하였다. 1000 리터의 체적을 지닌 저장 탱크에는 고형 벽 분리기(MAB 204, Alfa Laval)가 정제기로서 연결 설치되었다. 분리 첨가제의 액체 벽을 공급한 후 시스템을 우회로 180 내지 240 시간당 리터의 흐름으로 정제하였다. 투여 펌프(IVAKI)를 사용하여 분리기에 대한 오일 흐름으로 분리 첨가제를 투여하고 이어서 분리 첨가제와 함께 오일은 분리기에 대한 입구 이전 원심 펌프 및 정적 믹서를 통해 지나갔다. 투여 속도는 대략 300 ml/h이었다. 분리 첨가제는 트리에탄올아민이 첨가된 카프릴산에 기초하며 결과 pH값은 6.3이었다. 트리에탄올아민이 첨가된 카프릴산 70 중량%를 에틸렌 글리콜 30 중량%와 혼합하여 투여 이전 산물의 점도를 낮추었다. 오일 내 입자 농도를 혼탁(HACH) 수단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
결과는 표 4에 보여진다.
샘플 번호 분리기 이전/이후 오일 흐름 1/h 투여 속도 1/h 혼탁도(NTU)
1 분리기 이전 180 0 798
2 분리기 이후 180 0 240
3 분리기 이후 180 0 184
4 분리기 이후 180 0.3 16
5 분리기 이후 240 0.3 20
6 분리기 이후 240 0.2 20
7 분리기 이후 240 0.1 28
8 분리기 이후 240 0.1 12
9 분리기 이후 240 0.1 28
실시예 3. 윤활유의 정제
12000 시간의 의무시간을 지닌 해양 윤활유(Argina x-40) 25 리터를 정제기로서 고형 벽 분리기(Emmie, Alfa Laval)가 설치된 분리에 의해 정제하였다. 오일은 매연 입자와 무기 입자로 심하게 오염되어 있었다. 분리 이전 오일을 95℃로 가열하였다. 분리기를 분리 첨가제의 액체 벽으로 충진시키고 이어서 250 ml(1% 중량/체적) 분리 첨가제를 기계적 믹서를 가지고 윤활유 내로 혼합하였다. 분리 첨가제로 사용된 혼합물은 pH 6.3을 지닌 트리에탄올아민이 첨가된 카프릴산이었다. 트리에탄올아민이 첨가된 카프릴산 70 중량%를 에틸렌 글리콜 30 중량%와 혼합하여 투여 이전 산물의 점도를 낮추었다. 무거운 상 출구에서 아무런 무거운 상도 인지되지 않을 때까지 즉, 이리하여 윤활유에 가해진 지방산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오일을 분리기를 통해 순환시키면서 정제하였다. n-펜탄내 불용성인 불순물의 함량을 처리되지 않은 오일 및 처리된 오일에서 측정하였다. 정제된 오일, 정제되지 않은 오일 및 신선한 오일에 대한 IR-스펙트럼을 비교함으로써 오일 내 첨가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첨가제를 사용하여 오일을 추출 및 분리시켰을 때 n-펜탄내 불용성인 불순물의 함량은 77%만큼 감소하였다.
처리되지 않은 오일, 처리된 오일 및 새 오일의 IR-스펙트럼은 파장 간격 6500 - 3577 cm-1에서 동일하였다. 파장 간격 3577 - 3070 cm-1에서 처리되지 않은 오일과 처리된 오일 사이에서 스펙트럼의 작은 차이가 관찰될 수 있다. 이 차이는 아마도 처리되지 않은 오일내 물의 존재에 의하여 야기된 것이다. 나머지 파장 간격에서는 스펙트럼에서 아무런 주된 차이점이 발견될 수 없었다.
처리되지 않은 오일과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오일에서 n-펜탄내 불용성인 불순물의 잔여 함량
샘플 중량(그램) 잔여 중량(그램) 잔여 함량(%)
정제되지 않은 오일 7.8962 0.0232 0.29
정제된 오일 8.4631 0.0056 0.066
실시예 4. 염화파라핀 유의 정제
강철 산업으로부터 염화파라핀유(Castrol 5051)를 실험실 규모로 정제하였다. 약 1년 동안 사용된 오일은 탄소 입자, 석회 충진제, 및 윤활 지방(대략 20 중량% 불순물)으로 심하게 오염되어 있었다. 초기에 Brookfield 점도기를 사용하여 정제되지 않은 오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분리 첨가제 5 중량%를 오염된 오일 1 kg에 첨가하였다. 사용된 산물은 모노에탄올아민이 첨가된 카프릴산으로 이의 결과 pH는 6.3이었다. 혼합물을 18 시간 동안 40℃에서 분리 깔때기 내 가온 후드에 방치한 후 무거운 상(염화파라핀유 상)을 분리하였다. 오일이 실온에 도달하였을 때 점도를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해서 새로운 염화파라핀유의 점도도 측정하였다. 분리 첨가제 잔사가 오일 내 남아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IR 분석을 수행하여 오일을 정제되지 않은 오일과 비교하였다.
결과
실시예 4의 새 오일, 오염된 오일 그리고 처리된 오일 각각에 대한 점도 측정
샘플 설명 점도(Cp)
오염된 오일 253
처리된 오일 82
새 오일 75

Claims (14)

  1.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으로서,
    a) 하나 이상의 알칸올아민, 및
    b)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a) 및 b)의 혼합물이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온도에서 액체이도록 하는 융점을 갖는 알카노익산 및 알케노익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의 액체 혼합물로 구성되는 첨가제를 상기 가공유와 혼합하고,
    상기 a) 및 b)의 혼합물의 pH 값은 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가장 바람직하게는 6.3이며, 상기 혼합물은 상기 가공유에서 실질적으로 불용성이고, 혼합시 두 개의 상 혼합물을 형성하며,
    이어서 상기 a) 및 b)의 혼합물과 흡수된 오염물을 갖는 상으로부터 상기 가공유를 갖는 상을 분리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가 트리에탄올아민인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는 라우르산, 올레익산, 펜타데카노익산, 데케노익산, 2-에틸헥사노익산 및 카프릴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가 2-에틸헥사노익산 및 카프릴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상의 분리는 정적 침강, 원심 분리, 진공 여과, 가압 여과, 프리코팅 여과 및 원심 여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방법 또는 이들 방법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의 혼합물이 상기 폐가공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산출시 0.0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첨가되는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및 b) 외에 상기 첨가제는 c) 모노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모노에틸에테르,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제로 더 구성되는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를 넘는 온도,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에서 수행되는 폐가공유의 정제 방법.
  10. 폐가공유 정제용 혼합물 제조를 위한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카노익산 및 알케노익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의 사용.
  11. 폐가공유 정제용 혼합물 제조를 위한 하나 이상의 알칸올아민의 사용.
  12. a) 하나 이상의 알칸올아민, 및
    b)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a) 및 b)의 혼합물이 방법이 수행되는 온도에서 액체이도록 하는 융점을 갖는 알카노익산 및 알케노익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의 액체 혼합물의 폐가공유 제조를 위한 사용.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가공유가 광유, 롤링 오일, 호닝 오일, 드로우잉 오일, 엔진 윤활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용.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가 10℃를 넘으며,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인 사용.
KR1020067024035A 2004-05-17 2005-05-16 폐가공유 정제방법 KR20070015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SE0401291-0 2004-05-17
SE0401291A SE0401291D0 (sv) 2004-05-17 2004-05-17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spent process o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581A true KR20070015581A (ko) 2007-02-05

Family

ID=3250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035A KR20070015581A (ko) 2004-05-17 2005-05-16 폐가공유 정제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241030A1 (ko)
EP (1) EP1773971A1 (ko)
JP (1) JP2007538134A (ko)
KR (1) KR20070015581A (ko)
CN (1) CN1973022A (ko)
BR (1) BRPI0510791A (ko)
SE (1) SE0401291D0 (ko)
WO (1) WO2005111181A1 (ko)
ZA (1) ZA2006093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49B1 (ko) * 2007-05-10 2015-03-17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원심 분리기에서 유체를 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5989B (zh) * 2011-12-28 2013-08-07 重庆渝能滤油机制造有限公司 一种废油再生系统
FR3000498B1 (fr) * 2012-12-27 2015-03-13 Total Raffinage Marketing Composition combustible comprenant un fioul lourd et un produit issu de la biomasse.
CN103937530B (zh) * 2013-01-21 2016-08-0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重油的处理方法
US20150265955A1 (en) * 2014-03-19 2015-09-24 Krishna Kanchi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used oil
CN104450147A (zh) * 2014-11-05 2015-03-25 华文蔚 一种汽车工业环保提纯废油的方法
CN104479736A (zh) * 2014-12-03 2015-04-01 烟台市牟平区留德润滑油销售有限公司 一种废润滑油馏分油精制方法
EP3339405A1 (en) 2016-12-20 2018-06-27 Alfa Laval Corporate AB Separation of contaminants from a liquid mixture
SE541119C2 (en) 2017-04-28 2019-04-09 Recondoil Sweden Ab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urification of oil by reusing a sludge phase
SE541116C2 (en) 2017-04-28 2019-04-09 Recondoil Sweden Ab A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urification of oil by sedimentation
CN110769910A (zh) 2017-04-28 2020-02-07 活力油瑞典公司 油的净化
WO2018220640A1 (en) * 2017-06-02 2018-12-06 Hindustan Petroleum Corporation Limited A formulation for enhancing lubricity of fuels
CN107400555A (zh) * 2017-07-21 2017-11-28 浙江师范大学 一种利用废弃机油生产切削油和脱模剂的方法
SE543443C2 (en) 2019-02-08 2021-02-16 Skf Recondoil Ab Purification of oil 11
CN110747050B (zh) * 2019-11-06 2022-02-11 沈阳理工大学 一种用于废机油再生的酸洗剂及酸洗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5707A (en) 1941-05-31 1948-02-10 Ulric B Bra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oil
US4094770A (en) * 1977-06-22 1978-06-13 Chevron Research Company Process for removing unfilterable solids from an oil
US4432865A (en) * 1982-01-25 1984-02-21 Norman George R Process for treating used motor oil and synthetic crude oil
US5141628A (en) * 1987-08-19 1992-08-25 Rwe-Entsorgung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cleaning and regenerating used oils
SE512750C2 (sv) * 1993-11-29 2000-05-08 Alfa Laval Separation Ab Metod för gravimetrisk separation av olja som förorenats med partiklar och eller vatten
US6395166B1 (en) * 2000-08-30 2002-05-28 Frederick J. Haydock Method of reclaiming used motor oil for further use
SE524469C2 (sv) * 2002-12-12 2004-08-10 Alfa Laval Corp Ab Sätta vid rening av olja från förorenande partiklar i en centrifugalsepa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49B1 (ko) * 2007-05-10 2015-03-17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원심 분리기에서 유체를 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0401291D0 (sv) 2004-05-17
ZA200609310B (en) 2008-06-25
WO2005111181A1 (en) 2005-11-24
BRPI0510791A (pt) 2007-11-20
CN1973022A (zh) 2007-05-30
EP1773971A1 (en) 2007-04-18
US20070241030A1 (en) 2007-10-18
JP2007538134A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5581A (ko) 폐가공유 정제방법
EP3519540B1 (en) Method for purification of animal or vegetable fats
US11788030B2 (en) Method for the pretreatment of a biofuel feedstock
CN101665744A (zh) 用于处理油脂废弃物的方法
CN1871330B (zh) 脱金属和蒸馏再生废油的方法
WO2012009749A1 (en) Process for treating used oil
US4959160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contaminated emulsion
CN206014814U (zh) 一种废润滑油综合回收利用装置
CN109280575A (zh) 一种废润滑油再生的方法
US6395166B1 (en) Method of reclaiming used motor oil for further use
US8912351B2 (en) Process for removing metals from tallow oil
Sterpu et al. Regeneration of used engine lubricating oil by solvent extraction
US8648219B2 (en) Method for purifying glycerin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CN109970146B (zh) 一种处理含油废水的油水分离剂及其在原油电脱盐排水处理中的应用
Agussetianingrum et al.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activated carbon on the metal content in reuse of lubricating oil waste
Abdulaziz et al. Recovery of Base Oil from Spent Automobile Oil Using Elementary and Binary Solvent Extraction
WO2023094284A1 (en) Method for regenerating used lubricants using supercritical co2
JPH06510562A (ja) 使用済み潤滑油の精製法
CN113930281A (zh) 一种再生润滑油及其处理工艺
Ostrikov et al. Waste-Free Technology for Processing Used Lubricating Oil.
NZ750901B2 (en) Method for purification of animal or vegetable fats
PL202447B1 (pl) Sposób przerobu olejów przepracowanych
Afolabi et al. Application of Acid Treated Clay in the Recycling of Used Engine Oil
CN104450147A (zh) 一种汽车工业环保提纯废油的方法
DE102009046182A1 (de) Verfahren zur Spaltung von emulgierten Systemen mittels Algi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