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3240A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240A
KR20070013240A KR1020060069563A KR20060069563A KR20070013240A KR 20070013240 A KR20070013240 A KR 20070013240A KR 1020060069563 A KR1020060069563 A KR 1020060069563A KR 20060069563 A KR20060069563 A KR 20060069563A KR 20070013240 A KR20070013240 A KR 2007001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ot
scatter
lot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타키자와
시니치 후루하타
슈헤이 카시와바라
유키오 이즈미
Original Assignee
이츠미 프라덕츠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츠미 프라덕츠 컴파니 filed Critical 이츠미 프라덕츠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1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75Hot water outlets for drip coffee makers
    • A47J31/4478Spreader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주입되는 뜨거운 물의 탕면 변화에 의해 음료 추출용 로트에 대한 뜨거운 물의 적하 위치나 적하량을 변화시키도록 한 회전하는 스캐터를 갖는 경우에, 스캐터의 적절한 위치에 뜨거운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10)의 상벽부(16)에 마련한 뜨거운 물 주출구로부터 유출되는 뜨거운 물을 음료 추출 로트(76)에 붓고, 여기에서 추출된 추출액을 용기(66)에 모으는 음료 제조기에 있어서, 음료 추출용 로트(76)의 윗쪽으로 위치하고, 수직인 축 A 둘레에 회전이 자유로운 접속 도구(30)와 이 접속 도구(30)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고 주입되는 뜨거운 물의 탕면 변화에 따라 음료 추출용 로트(76)에 대한 뜨거운 물의 적하 위치·적하량이 변화하도록 뜨거운 물을 음료 추출용 로트(76)로 유도하는 스캐터(70)와 접속 도구(30) 및 스캐터(70)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22)를 구비하고, 접속 도구(30)는 뜨거운 물 주출구로부터 받은 뜨거운 물을 스캐터(70)의 소정 위치로 유도한다.

Description

음료 제조기{BEVERAGE MA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커피 메이커의 아이스 커피 추출 모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마찬가지로 배면도.
도 3은 마찬가지로 평면도.
도 4는 마찬가지로 핫 커피 추출 모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이 커피 메이커의 본체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척, 뜨거운 물 받이 접시 및 아이스 커피 추출용 로트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물 탱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냉각기 등의 분해 사시도 .
도 9는 전체의 개념도.
도 10은 구동축의 척 부근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스캐터의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5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6은 실시예 5의 스캐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저부
14 칸막이 벽
16 상벽부
18 기립부
22 모터
24 구동축
26 척
30, 130, 230, 330, 430 뜨거운 물 받이 접시(접속 도구)
30 D, 130 A, 230 A, 330 A, 430 A 적하 구멍
32 히터
40 필터
42 물 탱크
42 A 볼록부
42 B, 44 B 단부
44 물 탱크 장전실
44 A 오목부
46 물 탱크용 출수 밸브
48 체크 밸브
50 아이스 커피 추출용 로트
50 A, 50 B 교반 날개(교반봉)
52 냉각기
52 A 커피액 수용부(커피액 탱크)
52 B 빙수 탱크
56 아이스 커피용 배출 밸브
60 조작자
66 잭
68 덮개
68 A 볼록부
70, 170, 270, 370, 470 스캐터
172 A~172 D, 272 A~272 C, 372 A~372 C, 472 A~472 B 적하 구멍
76 핫 커피 추출용 로트
78 핫 커피용 배출 밸브
80 제어부
82 입력 수단
84 온도 센서
A 구동축의 회전 중심축(중심선)
본 발명은, 커피 가루 등을 넣은 음료 추출용 로트에 뜨거운 물을 붓고 커피액 등의 추출액을 추출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 가루를 넣은 커피 로트에 고온의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고, 적하한 커피액을 모으는 드립식, 예를 들면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드립식 등의 이른바 레귤러 커피용의 커피 메이커가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1
특원2005-143702
-특허 문헌 2
실개소52-204528
특허 문헌 1에는, 커피 추출용 로트의 윗쪽에 뜨거운 물을 분산시켜 붓는 스캐터를 개재하여 뜨거운 물을 붓는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캐터는 수평하며 또한 평탄한 저면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이며, 이 저면에 다수의 적하 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뜨거운 물은 이 스캐터의 중앙 윗쪽으로부터 주입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2에는, 1회전 하는 스캐터(출탕 케이스(14))에 환상의 외주 출탕부(16)와 이 외주 출탕부(16)로 둘러싼 중앙 출탕부(18)를 마련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외주 출탕부(16)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중앙 출탕부(1 8)를 팽창 돌출시키고, 급탕 파이프(양탕관(8))의 주출구(개구단(9))를 외주 출탕부(16)의 윗쪽에 임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스캐터의 회전 중에는 외주 출탕부(16)에 뜨거운 물을 주입하고 추출용 로트(커피 바스켓(11))의 외주 근처에 뜨거운 물을 적하하는 한편, 스캐터의 회전 종료시에는 주출구로부터 중앙 출탕부(16)로 뜨거운 물이 주입되어 추출용 로트의 중앙 부근에 뜨거운 물을 적하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은, 회전하는 스캐터는 평탄한 저면으로부터 뜨거운 물을 추출용 로트에 대해서 전면에 평균적으로 산포하므로, 스캐터에는 그 중앙에 뜨거운 물을 주입하는 것이더라도 문제는 없는것이었다. 그러나, 스캐터의 저면을 벽으로 나누어 각 방마다 적하 구멍을 마련하거나 저면을 경사면으로 하여 경사면의 다른 높이에 적하 구멍을 마련했을 경우, 바꾸어 말하면 스캐터에 모이는 뜨거운 물의 양에 따라(뜨거운 물면의 높이에 따라) 뜨거운 물의 적하 위치나 적하량을 변화시키는 경우 등에서는, 스캐터에 대한 뜨거운 물의 주입 위치를 중앙뿐만이 아니라 특정의 위치로 할 필요가 생긴다.
또 스캐터가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뜨거운 물의 주입 위치도 스캐터에 동 기하여 변화시켜야한다. 이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진다. 특허 문헌 2의 것은 스캐터(출탕 케이스(14))를 1회전시킬 뿐이고, 뜨거운 물을 모아 추출용 로트에 대한 적하량을 관리하는 것도 아니므로, 추출시의 뜨거운 물의 양을 섬세하게 변화시킬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주입되는 뜨거운 물의 탕면 변화에 의해 음료 추출용 로트에 대한 뜨거운 물의 적하 위치나 적하량을 변화시키도록 한 회전하는 스캐터를 갖는 경우에, 스캐터의 적절한 위치에 뜨거운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본체 상벽부에 마련한 뜨거운 물 주출구로부터 유출되는 뜨거운 물을 음료 추출 로트에 붓고, 이 음료 추출용 로트에서 추출된 추출액을 이 음료 추출용 로트의 하부에 마련한 용기에 모으는 음료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 추출용 로트의 윗쪽에 위치하여 수직인 축 주위에 회전이 자유로운 접속 도구와 이 접속 도구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주입되는 뜨거운 물의 탕면 변화에 의해 상기 음료 추출용 로트에 대한 뜨거운 물의 적하 위치·적하량이 변화하도록 뜨거운 물을 상기 음료 추출용 로트로 유도하는 스캐터와, 상기 접속 도구 및 스캐터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구는 상기 뜨거운 물 주출구로부터 받은 뜨거운 물을 상기 스캐터의 소정 위치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스캐터는 본체 상벽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회전축에 접속 도구를 개재하여 유지할 수가 있다(청구항 2). 접속 도구 및 스캐터는, 이 회전축을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함으로써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 구동할 수가 있는데(청구항 3),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속 도구 또는 스캐터에 회전축과는 다른 회전 롤러를 전접시키고, 이 회전 롤러에 의해회전 구동해도 된다.
본체 상벽부에, 접속 도구 및 스캐터를 유지하는 회전축을 갖는 경우, 이 회전축으로부터 편심시켜 뜨거운 물 주출구를 개구시킬 수가 있다(청구항 4). 이 경우는 구성이 간단하다. 그러나 뜨거운 물 주출구는 이 회전축과 동심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회전축의 중심으로 뜨거운 물을 지나는 통로를 마련한다.
접속 도구는 접시 모양으로 한 뜨거운 물 받이 접시로 하는 것이 좋다(청구항5). 이 경우에는 상면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뜨거운 물 주출구가 회전축으로부터 크게 편심하고 있어도 대응할 수 있다.
접속 도구는 스캐터 위쪽 테두리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계합시키는 것이 좋다(청구항 6). 스캐터는 뜨거운 물을 모으는 것이기 때문에 그 용량을 충분히 크게 확보함과 동시에, 이 스캐터의 상부 개구를 이 접속 도구(혹은 뜨거운 물 받이 접시)로 덮도록 하면 뜨거운 물이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뜨거운 물 받이 접시는 뜨거운 물을 모을 필요가 있으므로, 내측이 아래쪽으로 함몰하고 둘레 테두리가 높아진 거의 컵상으로 할 필요가 있고, 그 저면에 스캐터의 적당 위치에 뜨거운 물을 적하하는 적하 구멍을 형성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청구항 7).
뜨거운 물 받이 접시의 형상은 스캐터측의 뜨거운 물 적하 위치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캐터의 중앙 부근에 뜨거운 물을 적하하는 경우에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는 거의 역우산상으로 하고 그 중앙 부근에 뜨거운 물을 모아 스캐터에 적하시키면 된다(청구항 8). 스캐터의 주변 부근으로 뜨거운 물을 유도하는 경우에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는 저면이 거의역우산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청구항 9).
뜨거운 물 받이 접시의 저면을 수평이고 또한 평탄으로 하고, 다수의 적하 구멍으로부터 스캐터의 거의 전면에 걸쳐 거의 균등하게 분산시켜 적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청구항10). 이 경우의 스캐터는, 예를 들면 입벽에 의해 복수의 방으로 분할하고, 각 방에 소정의 또는 다른 크기(직경)의 적하 구멍을 마련한 것으로 하고, 각 방에 들어가는 뜨거운 물의 양이나 적하 구멍의 치수(구멍 직경)에 의해 추출용 로트에 대한 적하 위치 및/또는 적하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한다.
뜨거운 물 받이 접시를 거의 역우산상으로 하는 경우는, 그 상면에 방사상의 다수의 리브를 마련하고 각 리브 사이에 뜨거운 물의 적하 구멍을 형성하면, 뜨거운 물 받이 접시 형상에서의 뜨거운 물의 흐름이 리브에 의해 정리된다. 즉 뜨거운 물 받이 접시가 회전 중에 흔들려도, 뜨거운 물의 흐름이 흔들리지 않고, 스캐터의 소정 위치에 올바르게 적하시킬 수가 있다(청구항 12).
또한 본 발명은 커피의 추출뿐만이 아니라, 다른 음료, 예를 들면 홍차, 녹차, 우롱차 등을 추출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어 이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이 실시예 1은 핫 커피와 아이스 커피의 제조가 가능한 것인데, 본 발명은 핫 커피 추출 모드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커피 메이커의 아이스 커피 추출 모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마찬가지로 배면도, 도 3은 마찬가지로 평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핫 커피 추출 모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5는 이 커피 메이커의 본체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6, 7, 8은 마찬가지로 각 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전체의 개념도, 도 10은 구동축의 척 부근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스캐터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0은 본체이며, 저부(12)와 칸막이 벽(14)과 상벽부(16)를 수직인 기립부(18)로 결합한 것이다. 또한 기립부(18)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8A), 중간 케이스(18B), 상부 케이스(18C)를 상하 방향으로 중첩하여 결합한 것이다.
하부 케이스(18A)에는 저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저판(20)(도 5)이 고정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8A)와 중간 케이스(18B)와의 결합면간에는 칸막이 벽(14)의 일단이 협지되고, 칸막이 판(14)의 타단이 저부(12)의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8C)는 일단이 중간 케이스(18B)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칸막이 벽(14)의 윗쪽으로 연장되는 상벽부(16)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8C)에는 위에서 상부 케이스 덮개(18D)이 씌워지고 양자간에 감속 모터(22)가 장전되어 있다.
이 감속 모터(22)는 감속 톱니 바퀴(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출력축인 구동축(24)(도 9, 10 참조)은 저속으로 회전한다. 이 구동축(24)에는 척(26)(도 6)에 의해 후기하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척(26)은 상벽부(16)의 상면에 임하는 착탈 버튼(28)에 의해 개폐된다. 즉 모터(22)는 평면으로 보아 원형이며(도5 참조), 이 모터(22)가 장전되는 모터 커버(22A)의 윗쪽을 덮개 형상의 착탈 버튼(28)이 둘러싼다.
이 착탈 버튼(28)은 코일 용수철(28A)에 의해 위를 향하여 복귀하는 한편, 모터 커버(22A)의 외측을 지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28B)(도 5)가 척(26)의 계합조(26A,26A)에 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착탈 버튼(28)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돌기(28B)가 계합조(26A,26A)를 외측으로 엶으로써 척(26)을 여는(즉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를 개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구동축(24)의 하단에는 6 각 기둥상의 부시(24A)가 고정되는 한편,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의 보스부(30A)에는 이 부시(24A)가 계입하는 6각 구멍(30B)(도 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30A)의 외주에는 환상의 홈(30C)이 형성되고 이 환상 홈(30C)에 상기 계합조(26A,26A)의반원호상의 첨단부가 계탈된다.
본체(10)의 저부(12) 안에는, 상기 히터(32)가 조입되어 있다. 상기 히터(32)는 후기하는 물 탱크(42)로부터 물 호스(34) (도 5)를 개재하여 유도되는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비등한) 뜨거운 물로서 기립부(18) 내를 지나는 뜨거운 물 호스(36) 및 뜨거운 물 파이프(38)에 의해 상벽부(16)로 보낸다. 이 뜨거운 물(열탕)은 상벽부(16)의 하부면에 구동축(24)에 인접하여 마련한 활성탄 필터(40)을 지나 상기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로 유도된다.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는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단면이 거의 역우산상이며, 그 상면에는 방사 방향의 다수의 리브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리브 사이에 뜨거운 물의 적하 구멍(30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적하 구멍(30D)의 위치 즉 보스부(30A)로부터의 거리를 적절하게 설정하거나 이 거리를 각 적하 구멍(30D) 마다 변화시킴으로써, 이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에 설치되는 후기하는 아이스 커피 추출용 로트(50)에 대한 뜨거운 물의 적하 위치를 바꿀 수가 있다.
또한 히터(32)는 금속 파이프에 발열체(32A) (도 5)를 감아 거의 U자 모양으로 절곡한 것으로, 그 상면에는 원형의 금속판(32B)이 조립되어 있다. 이 금속판(32B)은 저부(12)에 마련한 원형의 개구부(12A)에 아래쪽부터 감입되어있다. 이 개구부(12A)에 임하는 금속판(32B)에는 후기하는 잭(66)이 얹히고 핫 커피 추출 모드에서는 이 잭(66)을 보온한다.
이어서, 물 탱크(42)를 설명한다. 물 탱크(42)는 도 1,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중간 케이스(18B)의 외측면에 장전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부(18)는 평면으로 보아 거의 반원형이며, 물 탱크(42)는 평단면이 원주의 일부를 세로로 분할하여 원호상의 외측면이 기립부(18)의 외측면에 거의 매끄럽게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물 탱크(42)는, 중간 케이스(18B)에 마련한 외측면으로 열리는 물 탱크 장전실(44)에 장전된다. 이 물 탱크 장전실(44)의 바닥이 되는 칸막이 벽(14)에는 평면으로 보아 거의 사다리꼴의 오목부(44A) (도 5, 9 참조)가 형성되는 한편, 물 탱크(42)의 바닥에는 이 오목부(44A)에 윗쪽으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계입 가능한볼 록부(42A)가 형성되어 있다(도 7). 또 물 탱크(42)의 상면에는 내측(물 탱크 장전실(44)의 안쪽)에 단부(42B)가 형성되는 한편, 물탱크(42)의 상면의 외측은 물 탱크 장전실(44)의 외측으로 팽창 돌출되어 있다. 또한 물 탱크(42)의 상면은 덮개(42C)(도 7)이다.
물 탱크 장전실(44)에는, 이 물 탱크(42)측의 단부(42B)의 윗쪽에 일정 치수 즉, 상기 오목부(44A)의 깊이보다 약간 큰 치수 떨어져 대향하는 단부(4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 탱크(42)는 도 1, 4의 장전 상태로부터 윗쪽으로 끌어올리면 단부(42B)가 장전실(44)의 단부(44B)에 아래쪽부터 당접하여 그 위쪽 이동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물탱크(42)의 상부를 외측으로 기울이도록 해 단부(42B)를 단부(44B)로부터 해방하면, 바닥의 볼록부(42A)를 오목부(44A)로부터 탈출시키면서, 물 탱크(42)를 경사 윗쪽으로 끌어올릴 수가 있다.
또한, 물 탱크(42)의 평면으로 보아 원호상의 외측면에는 손잡이(42C)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 케이스(18A)에는 이 물 탱크(42)의 하부에 위치하는 손잡이(10A)가 설치되어 있다.
물 탱크(42)의 바닥의 볼록부(42A)에는, 출수 밸브(46)가 설치되어 있다(도 7, 9). 이 출수 밸브(46)는 코일 용수철에 의해 평소에는 하부로 이동해 출수로를 닫는 한편, 물 탱크(42)를 물 탱크 장전실(44)에 장전한 상태에서는, 오목부(44A)에 마련한 돌기(44C)에 의해 밀어 올려져 출수로를 연다. 또한 볼록부(42A)와 오목부(44A)와의 대향면간은 기밀하게 시일되어 있기 때문에, 물 탱크(42)의 물은 오목부(44A)내를 채우는 양만큼 유출되고, 오목부(44A)의 밖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실제로는 물 탱크 장전실(44)에는 돌기(44C)를 둘러싸고 윗쪽으로 향하여 열리는 통부(44D) (도 5)가 형성되고, 물 탱크(42)의 바닥에는 이 통부의 내부직경측으로 계입하는 통부(42D) (도 7)가 형성되어 이들 두 통부(44D,42D)의 계합 주위면이 액밀하게 시일되어 있다. 따라서 출수 밸브(46)가 열리면 이들 통부(44D,42D)로 둘러싸인 작은 공극내가 물로 채워지게 된다.
이 통부(44D,42D)로 둘러싼 작은 공극의 바닥에는 상기 물 호스(34) (도 5)가 체크 밸브(48)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 탱크(42)의 물이 출수 밸브(46), 체크 밸브(48), 물 파이프(34)를 개재하여 히터(32)로 유도되고 히터(32)로 가열되어 비등하면 뜨거운 물 호스(36), 뜨거운 물 파이프(38), 필터(40)을 개재하여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로 유출된다. 이 때 체크 밸브(48)가 있기 때문에 열탕은 물 탱크(42)로 역류되지 않는다. 히터(32) 내의 수위가 내려가면 물 탱크(42)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이상의 동작을 계속한다.
이어서, 아이스 커피 추출 모드를 설명한다. 이 모드에서는 아이스 커피추출용 로트(50)를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에 설치하는 한편, 칸막이 벽(14)에는 냉각기(52)를 설치한다. 아이스커피 추출량 로트(50)는 도 1,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위쪽 테두리가 외측으로 꺾여 그 외주가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에 계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로트(50) 위쪽 테두리외주에 갈고리 모양으로 굽은 홈을 그 상단이 위쪽 테두리로 열리도록 형성하는 한편,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의 외주부 내면에 이 갈고리 모양의 홈에 계합하는 돌기를 형성하고, 갈고리 모양의 홈의 상단 부분을 돌기에 계합시키면서 로트(50)를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에 대해 서 위쪽으로 밀어 넣고, 로트(50)를 약간 돌림으로써 갈고리 모양의 홈의 내측(수평 부분)에 돌기를 계합시키는 결합 구조로 만들 수가 있다.
로트(50)의 바닥에는 2개의 커피액 교반용의 날개(50A)가 고정되고 로트(50) 위쪽 테두리부근에서는 3개의 빙수 교반용의 날개가 되는 교반봉(50B)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교반 날개(50A), 교반봉(50B)은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날개(50A)의 회전 반경은봉(50B)의 회전 반경보다 작다.
냉각기(52)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커피액 탱크(커피액 수용부)(52A)와 빙수 탱크(52B)를 동심으로 조합한 것이며, 커피액 탱크(52A)는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제이다. 커피액 탱크(52A)의 바닥은, 빙수 탱크(52B)로부터 3군데의 스페이서(54)(도 1, 8)에서 빙수 탱크(52B)로부터 띄워 고정된다. 이 때문에 빙수가 커피액 탱크(52A)의 저면에도 접촉하여 커피액의 냉각 효과가 향상된다.
커피액 탱크(52A) 바닥의 중앙부는 아래쪽으로 함몰하여 빙수 탱크(52B)에 밀착하고, 이 밀착한 중앙부를 배출 밸브(56)가 관통하고 있다. 이 배출 밸브(56)에는 아래로 향한 복귀 습성이 부여되고 상단이 시일 링(56A) (도 1, 8)에 의해 커피액 탱크(52A)의 배출 구멍을 통상 닫고 있다. 이 배출 밸브(56)의 하단은 거의 역우산상에 형성되고, 이 역우산상의 부분을 측방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밸브 개폐 도구(58) (도 5, 6)이 밀어 올림으로써 배출 밸브(56)를 열어, 커피액을 아래쪽으로 배출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밸브 개폐 도구(58)는, 도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빙수 탱크(52B)의 저부 외주에 임하는 조작자(개폐구)(60)에 로드(62)로 결합되고, 덮 개(64)에 의해 빙수 탱크(52B)의 저부에 장전되어 있다. 또한 조작자(60), 로드(62), 밸브 개폐 도구(58)는, 코일 용수철에 의해 바깥 방향(배출 밸브(56)을 닫는 방향)으로의 복귀 습성이 부여되어 있다.
이 냉각기(52)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를 아이스 커피 추출용 로트(50)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커피 추출용 로트(50)의 교반 날개(50A)를 커피액 탱크(52A)에, 교배봉(50B)을 빙수 탱크(52B)에 각각 윗쪽으로부터 진입시켜 얹고 이 상태에서 전체를 칸막이 벽(14)에 얹는다. 이 때 빙수 탱크(52B)의 바닥에 마련한 원형의 자리(52C) (도 1)를 칸막이 벽(14)에 마련한 원형의 구멍(14A)에 계합시켜 냉각기(52)의 위치를 안정시킨다. 52D 는 빙수 탱크(52B)에 마련한 손잡이이다.
이 냉각기(52)의 하부에는 잭(66)이 장전된다. 이 잭(66)은 저부(12)의 개구(12A)에 설치된 히터(32)의 원판(32B)에 단열 매트를 개재하여 얹어진다. 잭(66)의 덮개(68)의 중앙에는 볼록부(68A)가 돌출 설치되고, 이 볼록부(68A)를 둘러싸는 환상의 홈에는 다수의 적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냉각기(52)의 조작자(60)를 측방에서 눌러 배출 밸브(56)를 열면, 커피액 탱크(52A)에 모인 아이스 커피액이 잭(66)으로 흘러 내려간다. 66 A는 이 잭(66)에 설치한 손잡이이다. 또한 덮개(68)의 볼록부(68A)는 후기하는 핫 커피 추출 모드에서 핫 커피 추출용 로트(76)의 배출 밸브(78)을 밀어 올려 여는 것이다.
이 상태 즉, 아이스 커피 추출 모드에서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를 아이스 커피 추출구 로트(50)에 조립하고, 교반 날개(50A) 및 교반봉(50B)을 냉각 기(52)의 커피액 탱크(52A), 빙수 탱크(52B)에 삽입하여 전체를 칸막이 벽(14)에 얹는다. 그리고 일체로 되고 있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와 로트(50)를 끌어올려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의 보스부(30A)를 척(26)에 의해 구동축(24)으로 잠근다. 따라서 모터(22)가 기동하면, 구동축(24)와 함께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 및 아이스 커피 추출용 로트(50)가 일체로 회전한다.
이 로트(50)에 미리 종이 필터 및 커피 가루(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세트해 두고, 히터(32)를 발열시켜 필터(40)로부터 뜨거운 물을 주입하면,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에서 뜨거운 물은 분산되어 로트(50)에 적하되고, 추출된 커피액은 냉각기(52)의 커피액 탱크(52A)에 모인다. 빙수 탱크(52B)에는 미리 빙수를 넣어 두므로, 추출된 커피액은 커피액 탱크(52A)로 신속하게 차게 된다. 이 때 로트(50)과 함께 교반 날개(50A), 교반봉(50B)도 회전하고, 커피액과 빙수를 교반하기 때문에, 커피액의 냉각 효과는 매우 커진다.
커피 추출이 끝나고, 냉각기(52)의 커피액 탱크(52A)에 모인 커피액이 빙수에 의해 충분히 냉각되면 모터(22)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배출 밸브(56)의 조작자(60)을 측방에서 눌러 배출 밸브(56)를 열면, 차가워진 커피액이 잭(66)으로 흘러 내려간다. 이 잭(66)을 저부(12)로부터 꺼내 안의 아이스 커피를 컵으로 옮기면 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한 핫 커피 추출 모드를 주로 도 4, 5, 8, 11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모드에서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에 스캐터(70)를 부착한다. 즉 상기 아이스 커피 추출 모드에서 이용한 아이스 커피 추출용 로트(50) 대신 스캐터(70)를 부착한다. 이 스캐터(70)에는 구동축(24)(도 9, 10)의 회전 중심축(중심선) A (도 11)를 포함하는(중심축 A가 지나는) 깊은 오목부(72)와 이 회전 중심축 A를 포함하지 않는(중심축 A가 지나지 않는) 얕은 오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두 오목부(72,74)의 바닥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계단상으로 연속된다.
이들 바닥에는, 각각 1개씩의 적하 구멍(72A,74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중심축 A에 대한 적하 구멍(72A,74A)의 반경 방향 위치 R1, R2는 R1<R2이며, 적하 구멍(72A)의 구멍 직경 a는 적하 구멍(74A)의 구멍 직경 b보다 작다(a<b).
적하 구멍(72A)의 반경 위치 R1은, 후기하는 로트(76)에 주로 소인원수분 (1~2인분)의 커피 가루를 넣을 때에, 중심 부근의 비교적 좁은 반경의원을 따라 뜨거운 물을 적하하도록 설정된다. 또 적하 구멍(74A)의 반경 위치 R2는, 로트(76)에 중인원수 또는 대인원수분의 커피 가루를 넣을 때에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의 커피 가루에도 뜨거운 물이 가해지도록 설정된다. 적하 구멍(72A,74A)의 구멍 직경 a, b는, 스캐터(70)에 모이는 뜨거운 물의 액면(뜨거운 물면)으로부터의 깊이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액압이 다른 것을 고려하여, 각 적하 구멍(72,74)으로부터 적하되는 뜨거운 물의 분배를 최적으로 하도록 설정된다.
76은 핫 커피 추출용 로트이다. 이 로트(76)는 칸막이 벽(14)의 개구(14A)에 잠금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개구(14A)의 내주면에 형성한 갈고리 모양의 홈에, 로트(76)측에 마련한 계합 돌기를계합시켜 로트(76)를 수평면상에 약간 회동시켜 잠그는 구조가 가능하다. 이 로트(76)의 바닥에는 배출 밸브(78)가 설치되어 있 다. 이 배출 밸브(78)는, 상기 냉각기(52)의 배출 밸브(56)와 유사한 구조이다.
즉 배출 밸브(78)는 아래로 향한 복귀 습성을 가지며, 상단에 설치한 시일 링이 배출 구멍을 닫는 한편, 하단은 거의 역우산상으로 형성되고 이 역우산상의 부분을 아래에서 밀어 올림으로써 배출 구멍을 여는 것이다. 또한 배출 밸브(78)의 하단에는, 잭(66)을 칸막이 벽(14)의 아래쪽(저부(12) 위)에 장전 했을 때에, 잭(66)의 덮개(68)의 볼록부(68A)가 아래쪽부터 접촉하고, 볼록부(68A)의 경사면에 의해 배출 밸브(68)를 밀어 올려 자동적으로 연다. 이와 같이 잭(66)을 세트한 상태에서 핫 커피의 추출을 행한다. 이 때 로트(76)는 칸막이 벽(14)에 잠금되어 있으므로, 로트(76)는 잭(66)에 의해 밀어올려져 떠오르는 것이다.
이 핫 커피 추출 모드에서는, 로트(76)에 종이 필터, 커피 가루를 세트하고 나서 로트(76)를 칸막이 벽(14)에 고정(잠금)한다. 그리고 히터(32)를 발열시켜, 열탕을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에 주입하면, 뜨거운 물은 스캐터(70)에 들어간다. 뜨거운 물은 우선 깊은 오목부(72)에 들어가고, 적하 구멍(72A)으로부터 로트(76)의 중심 부근에 적하한다. 스캐터(70)는 구동축(24)와 함께 회전하고 있으므로, 로트(76)의 중심 부근의 작은 원상에 적하한다.
뜨거운 물 받이 접시(30)로부터 로트(76)에 유입하는 뜨거운 물의 양은 적하 구멍(72A)으로부터의 적하량보다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깊은 오목부(72)의 액면(뜨거운 물면)이 상승한다. 뜨거운 물의 액면이 상승하여 얕은 오목부(74)에 퍼지면, 적하 구멍(74A)으로부터도 뜨거운 물의 적하가 시작된다. 액면이 더욱 상승하면 양쪽 적하 구멍(72A,74A)으로부터 뜨거운 물이 적하된다.
적하 구멍(74A)의 반경 위치 R2는 적하 구멍(72A)의 반경 위치 R1보다 크기 때문에, 적하 구멍(74A)으로부터 적하하는 뜨거운 물은 로트(76)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진 원상에 적하되게 된다. 이 때문에 로트(76)내의 커피 가루에 대해서 뜨거운 물을 적절히 확산하여 적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음에는 로트(76)의 중심 부근에 많이 뜨거운 물을 붓고, 커피 가루가 적당히 쪄진 다음에 외주 근처에도 뜨거운 물이 부어져 최적인 추출상태를 창출할 수가 있어 향기가 높고 맛의 좋은 핫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로트(76)와 스캐터(70)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므로(도 4 참조), 이 틈으로부터 조작자는 로트(76) 안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즉 로트(76) 안의 거품의 발생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피 추출시의 즐거움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이어서, 제어부(80)를 도 5,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부(80)는 입력 수단(82)에 의해 설정되는 핫·아이스의 종류와 추출하는 인원수분 (몇잔분)에 근거하여 히터(32)와 모터(22)를 제어한다. 입력 수단(82)은, 핫(H) 또는 아이스(I)의 구별을 입력하는 스위치(82A,82B)와 몇잔분인지(추출량)를 입력하는 스위치(82C)를 가진다. 제어부(80)는 스위치(82A,82B) 중 어느 것의 온 입력에 근거하여 핫·아이스의 판별을 행한다. 또 스위치(82C)의 온 회수에 의해 몇잔분인지(추출량)를 판별한다.
제어부(80)는 추출량에 따라 히터(32)의 가열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뜨거운 물의 주입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1 인분에 대해서는 T0시간 가열할 때는, 2 인 분이라면 2T0, 3 인분이라면 3T0를 가열 시간으로 한다. 제어부는 핫·아이스의 종류에 대응하여 뜨거운 물의 유출량을 바꾸어도 좋다. 예를 들면 아이스로 진하게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는, 유출량을 줄이기 위해 핫 추출시보다 가열 시간을 짧게 한다.
제어부(80)는 핫과 아이스에서 뜨거운 물의 유출 속도를 바꾸어도 좋다. 예를 들면 아이스에서는 진하게 추출하기 위해서 뜨거운 물의 유출 속도를 늦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히터(32)의 온도를 핫 추출시보다 낮게 하면 좋다. 예를 들면 도 4,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84)를 마련하고, 제어부(80)는 히터 온도를 피드백 제어하면 좋다.
이상의 실시예는, 핫 커피 추출 모드와 아이스 커피 추출 모드를 선택가능하게 한것인데, 이 실시예에서 이용한 일부의 구성을 어느 한쪽 모드 전용으로 이용하는 커피 메이커에 적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본체의 상부의 구동축(24)에(착탈 가능 혹은 착탈 불가능하게) 설치한 스캐터(70)를 이용하여, 핫 커피만을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로 하거나 아이스 커피만을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아이스 커피 추출용 로트를 본체 에 유지하게 되는데, 핫 커피 추출시와 마찬가지로 뜨거운 물을 로트 전체에 확산해 적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추출 중의 로트내의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스캐터의 바닥은 중심, 부근이 깊은 원추면, 중심 부근이 깊고 주변 부근을 향하여 단상으로 얕아지는 다단계의 계단상(2단, 3단 이상을 포함한다.)으로 할 수가 있다. 적하 구멍은 같은 깊이의 위치에 1개 또는 복수개 마련한다.
스캐터의 바닥을 계단상으로 했을 경우는, 뜨거운 물의 액면이 연속적으로 변화(저하)하는데 대하여 각 단에 마련한 적하 구멍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불연속으로 변화하게 되어, 뜨거운 물의 양과 사용하는(뜨거운 물이 적하한다) 적하 구멍과의 관련을 조정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1 인분의 추출시에 중심 부근의 깊은 위치의 적하 구멍만을 이용하여 로트 주변의 커피 가루가 없는 영역에 뜨거운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인원수분의 추출시에는 로트의 주변 부근까지 넓은 범위에 뜨거운 물을 분산하여 낙하시키도록 조정할 수가 있다.
물 탱크(42)와 물 탱크 장전실(44)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치수 떨어진 단부(42B,44B)를 각각 형성해 두는 구성은, 핫 커피 또는 아이스 커피의 한쪽만을 추출하는 전용 커피 메이커에도 적용할 수 있어 상기 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물 탱크(42)와 물 탱크 장전실(44)의 구성은 커피 메이커 이외의 소형 전기 제품, 예를 들면 실내용 가습기, 미용 기기나 난방 히터에 설치한 가습기 등에 이용하는 물탱크나 액체탱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뜨거운 물의 추출량을 히터(32)의 가열 시간에 의해 제어하는 구성은, 핫 커피 또는 아이스 커피의 전용 커피 메이커에 적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는 히터 가열 시간을 타이머로 감시하면 되고, 타이머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형성되는 제어부(80)가 원래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성이 복잡해지지 않는다.
또 아이스 커피 추출용 로트에 설치한 교반 날개(50A) 및 교반봉(50B)은 아이스 커피전용의 커피 메이커에 적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이용한 각 부 구성은, 핫·아이스 겸용의 커피 메이커뿐만이 아니라, 핫 또는 아이스 전용 의 커피 메이커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12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실시예 2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130)가 거의 역우산상이며 그 중앙 부근에 적하 구멍(130A)을 가진다. 또 스캐터(170)는 중앙 부근에 가장깊은 오목부(170A)를, 그 둘레에 단계적으로 얕아지는 오목부(170B,170C,170D)를 마련하고, 각 오목부에 지름이 다른적하 구멍(172A~172D)을 마련한 것이다.
이 실시예 2에 의하면, 뜨거운 물 받이 접시(130)의 적하 구멍(130A)으로부터 적하하는 뜨거운 물은, 스캐터(170)의 가장 깊은 오목부(170A)에 집중하여 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중앙의 적하 구멍(172A)을 중심으로 하여 뜨거운 물은 추출용 로트(76)에 떨어지게 되어, 추출용 로트(76)의 중앙 부근에 뜨거운 물이 많이 적하된다. 또 오목부(170A) 등이나 적하 구멍(172A) 등의 크기를 바꿈으로써 각 적하 구멍(172A~D)의 적하 개시에 시간차를 두거나 적하량을 바꿀 수가 있다. 또한 이 도 12에는 상기 도면 1~11의 실시예 1에서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혔으므로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예 3*
도 13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실시예 3은 더운물 받이 접시(230)가 거의 우산 형상이며, 그 주변 부근에 적하구멍(230A)을 가진다. 또 스캐터(270)는 주변 부근에 가장 깊은 환상의 오목부(270A)를, 이 오목부(270A)의 내측에 높이가 다른 단부(270B, 270C)를 가진다. 각 오목부(270A), 단 부(270B,270C)에 지름이 다른 적하 구멍(272A~272C)를 마련한 것이다.
이 실시예 3에 의하면, 추출용 로트(76)의 주변에 더운물이 많이 적하되게 된다. 또 오목부(270A) 등의 크기나 적하 구멍(272A~C)의 치수에 따라, 각 적하 구멍(272A~C)의 적하 개시에 시간차를 두거나 적하량을 바꿀 수가 있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상기 도면 1~11의 실시예 1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혔으므로,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도 14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실시예 4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330)의 저면이 수평하고 또한 평탄하며 여기에 다수의 적하구멍(330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캐터(370)는 저면이 수평하고 또한 평탄하며, 환상의 높이가 다른 벽에 의해 3개의 동심상의 방(370A, 370B, 370C)을 형성하고, 각 방(370A~C)에 소정의 크기(직경) 또는 다른 지름의 적하 구멍(372A~372C)을 형성한 것이다.
이 실시예 4에 의하면, 뜨거운 물 받이 접시(330)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분산시켜 적하한 뜨거운 물은 스캐터의 각 방으로 들어가고, 각 방으로부터 추출용 로트(76)에 떨어지는 뜨거운 물의 양은 각 방(370A~C)의 뜨거운 물면의 높이나 적하 구멍(372A~C)의 치수에 따라 정해진다. 따라서 각 방(370A~C)의 크기나 적하 구멍(372A~C)의 설정에 의해, 추출용 로트(76)에 떨어지는 뜨거운 물의 분포를 최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도 14에서는 상기 도면 1~11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혔으므로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예 5*
도 15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그 스캐터의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 5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430)의 중심축(구동축)(24)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적하 구멍(430A)을 가진다. 이 뜨거운 물 받이 접시(430)의 저면은, 이 적하 구멍(430A)을 향하여 완만하게 경사져 있어도 좋고, 이 적하 구멍(430A)을 향하여 하강하는 나선 모양의 단부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뜨거운 물 받이 접시(430)에 이용하는 스캐터(470)는, 수평하며 또한 평탄한 저면을 가지며, 적하 구멍(430A)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윗쪽을 향하여 열린 원통형의 벽에 의해 제 1 및 제2의 방(470A,470B)을 형성하였다. 또 각 방(470A,470B)에 적하 구멍(472A,472B)을 형성하였다.
이 실시예 5에 의하면, 뜨거운 물 파이프(38)로부터 뜨거운 물 받이 접시(430)에 들어간 뜨거운 물은, 이 뜨거운 물 받이 접시(430)의 경사면 혹은 나선 모양의 단부에 의해 적하 구멍(430A)로 유도되고 스캐터(470)의 제1의 방(470A)에 떨어진다. 따라서 우선 제1의 적하 구멍(472A)으로부터, 뜨거운 물은 추출용 로트(76)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뜨거운 물 받이 접시(430)로부터 단위 시간내에 제1의 방(470A)에 들어가는 뜨거운 물의 양은 제1의 적하 구멍(472A)으로부터 단위 시간 내에 떨어지는 뜨거운 물의 양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방(470A)에는 뜨거운 물이 모여가 뜨거운 물면은 점차 상승한다.
제1의 방(470A)의 뜨거운 물면이 벽을 넘으면, 넘친 뜨거운 물이 제2의 방(470B)으로 흐르고, 제2의 적하 구멍(472B)으로부터도 뜨거운 물이 적하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 5에 의하면, 처음에는 제1의 적하 구멍(472A)으로부 터 뜨거운 물이 떨어지고, 그 후 일정 시간 늦게 제2의 적하 구멍(472B)으로부터도 뜨거운 물이 떨어지기 시작하며, 그 후는 양쪽 적하 구멍(472A,472B)으로부터 뜨거운 물이 계속 떨어진다. 따라서 적하 구멍(472A,472B)의 크기나 각 방(470A,470B)의 배치, 크기 등의 설정에 의해 추출용 로트(76)에 들어가는 뜨거운 물의 위치와 양을 최적으로 할 수가 있다.
본체 상벽부에 마련한 더운물 주출구에서 나오는 더운물은, 회전하는 접속 도구에 의해 스캐터의 소정의 위치로 유도된다. 여기에서 스캐터는, 여기에 주입되는 뜨거운 물의 탕면 변화에 의해 추출용 로트에 대한 적하 위치 및/또는 적하량이 변화하는 것인데, 뜨거운 물의 주입 위치가 접속 도구에 의해 일정하게 제어되고 있으므로 스캐터로부터 추출용 로트에 적하하는 뜨거운 물의 적하 위치 및/또는 적하량이 적절히 유지된다. 이 때문에 풍미가 풍부한 커피 등의 음료를 만들 수가 있다.

Claims (12)

  1. 본체 상벽부에 마련한 뜨거운 물 주출구로부터 유출되는 뜨거운 물을 음료 추출 로트에 붓고, 이 음료 추출용 로트에서 추출된 추출액을 이 음료 추출용 로트의 아래쪽에 마련한 용기에 모으는 음료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 추출용 로트의 윗쪽에 위치하여 수직인 축 둘레로 회전이 자유로운 접속 도구와
    이 접속 도구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주입되는 뜨거운 물의 탕면 변화에 의해상기 음료 추출용 로트에 대한 뜨거운 물의 적하 위치·적하량이 변화하도록 뜨거운 물을 상기 음료 추출용 로트로 유도하는 스캐터와
    상기 접속 도구 및 스캐터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도구는 상기 뜨거운 물 주출구로부터 받은 뜨거운 물을 상기 스캐터의 소정 위치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스캐터는 본체 상벽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수직인 회전축에 접속 도구를 개재하여 유지되어 있는 음료 제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본체 상벽부에 유지된 수직인 회전축이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스캐터는 이 회전축에 접속 도구와 함께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음료 제조기.
  4. 제2 또는 3항에 있어서, 뜨거운 물 주출구는 회전축으로부터 편심한 위치에 개구되어 있는 음료 제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접속 도구는 뜨거운 물을 상기 뜨거운 물 주출구로부터 받아 스캐터의 소정 위치로 유도하는 뜨거운 물 받이 접시인 음료 제조기.
  6. 제2 또는 3항에 있어서, 접속 도구는 스캐터 위쪽 테두리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음료 제조기.
  7. 제5항에 있어서, 뜨거운 물 받이 접시는, 내측이 아래쪽으로 함몰하여 둘레 테두리가 높아진 거의 컵상이며, 그 저면에는 스캐터의 적정 위치에 뜨거운 물을 적하하는 적하 구멍을 갖는 음료 제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뜨거운 물 받이 접시는 거의 역우산상이며, 스캐터의 중앙 부근으로 뜨거운 물을 유도하는 적하 구멍을 갖는 음료 제조기.
  9. 제7항에 있어서, 뜨거운 물 받이 접시는 저면이 거의 우산 형상이며, 스캐터의 주변 부근으로 뜨거운 물을 유도하는 적하 구멍을 갖는 음료 제조기.
  10. 제7항에 있어서, 뜨거운 물 받이 접시는 거의 수평이며 또한 평탄한 저면과 이 저면에 마련한 다수의 적하구멍을 가지며, 스캐터의 전면에 걸쳐 거의 균등하게 분산시켜 유도하는 음료 제조기.
  11. 제7항에 있어서, 뜨거운 물 받이 접시의 저면은, 소정 위치의 적하 구멍을 향하여 점차 하강하는 나선 모양의 단부를 갖는 음료 제조기.
  12. 제7 또는 8항에 있어서, 뜨거운 물 받이 접시의 저면은 거의역우산상이며, 그 상면에 방사상의 다수의 리프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리브 사이에 더운물의 적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음료 제조기.
KR1020060069563A 2005-07-25 2006-07-25 음료 제조기 KR20070013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4721 2005-07-25
JPJP-P-2005-00214721 2005-07-25
JP2006133667A JP2007054610A (ja) 2005-07-25 2006-05-12 飲料作成器
JPJP-P-2006-00133667 2006-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240A true KR20070013240A (ko) 2007-01-30

Family

ID=3719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563A KR20070013240A (ko) 2005-07-25 2006-07-25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17377A1 (ko)
EP (1) EP1747738A1 (ko)
JP (1) JP2007054610A (ko)
KR (1) KR20070013240A (ko)
CA (1) CA2553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3344B (zh) 2008-03-24 2015-12-02 班奥麦迪克公司 带主动冲泡机构和临时贮存器的活塞压缩冲泡物型冲泡系统
US20150000532A1 (en) * 2011-03-03 2015-01-01 PicoBrew, LLC Cascading Hops Reservoirs for Recirculating Brewing System
CN107041685B (zh) * 2017-05-02 2019-05-03 重庆杰鑫直饮水净化设备有限公司 防水垢堆积的饮水机
WO2023132901A1 (en) * 2022-01-07 2023-07-13 The Steelstone Group Llc Coffee machine for hot and iced coffe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6317A (ja) * 1983-02-28 1984-09-05 金沢工業株式会社 コ−ヒ−等の抽出装置
US5185505A (en) * 1991-05-29 1993-02-09 Mr. Coffee, Inc. Microwave iced tea maker
JP3702071B2 (ja) * 1997-06-16 2005-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におけるペーパーフィルタ送出装置
NL1006395C2 (nl) * 1997-06-25 1998-12-29 Lou Beeren Ind Design Elektrisch infusiebereidingsapparaat.
US6227102B1 (en) * 1999-04-27 2001-05-08 John C. K. Sham Automatic coffee maker with grinder
US6729226B2 (en) * 2002-04-24 2004-05-04 Joseph Mangiapane Multiple beverage preparation device
US7063005B1 (en) * 2003-01-09 2006-06-20 Sun Cupid Industrial Ltd. Automatic coffee maker with grinder
JP4133754B2 (ja) * 2003-11-13 2008-08-13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コーヒーメ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7377A1 (en) 2007-01-25
EP1747738A1 (en) 2007-01-31
JP2007054610A (ja) 2007-03-08
CA2553050A1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793B1 (ko) 음료 제조기
KR100827034B1 (ko) 음료 제조기
US7353751B2 (en) Coffeemaker
KR20070013235A (ko) 음료 제조기
EP2906088B1 (en) Beverage temperature optimizer machine
CN1907190A (zh) 饮料制作器
KR20070013240A (ko) 음료 제조기
KR20070013237A (ko) 음료 제조기
KR20070013233A (ko) 음료 메이커
US20100206176A1 (en) Hot Drink Maker
WO2022166757A1 (zh) 用于电器的防滴落饮料分配组件
US11406218B2 (en)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JP2007301206A (ja) 飲料作成器
JP2007306973A (ja) 飲料作成器
JP2007313005A (ja) 飲料作成器
JP2007313004A (ja) 飲料作成器
JP2007307273A (ja) 飲料作成器
JPS60501842A (ja) 紅茶又はコ−ヒ−のせんじ汁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