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409A - 카 안전을 위한 엘리베이터 상부 - Google Patents

카 안전을 위한 엘리베이터 상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409A
KR20070012409A KR1020067021399A KR20067021399A KR20070012409A KR 20070012409 A KR20070012409 A KR 20070012409A KR 1020067021399 A KR1020067021399 A KR 1020067021399A KR 20067021399 A KR20067021399 A KR 20067021399A KR 20070012409 A KR20070012409 A KR 20070012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r
elevator car
handrail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4232B1 (ko
Inventor
안드레스 몬존-시몬
리오 산즈 페르난도 델
미구엘 어퀴조 안토니오 디
팔콘 줄리안 카바나스
델가도 프란시스코 루이스 산즈
디륵 하인리히 텍트마이어
페터 레오 헤어켈
허버트 호어브뤼거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6702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232B1/ko
Publication of KR2007001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66B5/0062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by device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카(2)는 카의 상부 표면(24)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커버(14; 40)를 포함한다. 커버(14; 40)는 탄성 지지부(28; 42) 상에 장착된다. 카(2)는 커버에 가해지는 사람의 중량에 대응하는 커버의 변위를 감지하는 수단(32; 44)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 카(2)의 정상 작동은 방지된다.
엘리베이터 카, 상부 표면, 커버, 감지하는 수단, 탄성 지지부

Description

카 안전을 위한 엘리베이터 상부 {ELEVATOR TOP OF CAR SAFETY}
본 발명은 정상 작동이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상에 권한이 없거나 부적절한 사람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로우 오버헤드(low overhead)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시스템이 대게 카의 상부와 카가 가장 높은 승장부 높이에 있을 때 승강기의 수직 통로의 천장부 사이에는 사람이 있을 만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 관점에서 엘리베이터의 정상 작동 동안 카의 상부 상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기본적이다.
권한을 가진 기술자에 의한 검사 동안 카의 정상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전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은 기술자에 의한 적절한 전개에 의존하기 쉽고, 따라서 절대적으로 안전하지는 않다. 게다가, 권한이 없는 사람이 카의 상부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보호를 제공하지 않는다.
일 예에 있어서, 이의 전개가 카를 검사 모드에 놓는 후퇴 가능한 난간을 카의 상부 상에 제공하는 것이 이전에 제안되어 왔지만, 이는 개방 프레임 구조이기 쉽고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의 전개 없이 사람이 난간 위로 기어오를 수 있으므로 카의 상부에 위험하게 올라갈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특히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탄성 지지부 상에 장착되며, 커버에 가해지는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중량에 대응하는 커버의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 정상 작동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엘리베이터 카가 제공된다.
따라서,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감지식 커버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상에 제공되어서 카의 상부 상에 기어올라간 사람을 감지하여 카의 정상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절대 안전 장치 배열체가 제공되어 카를 안전 검사 모드로 놓는 필요 과정을 취하지 않고 카의 상부에 접근하는 임의의 사람에 의해 직면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것이다.
몇몇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는 감지 수단이 권한이 있든 없든 사람이 카의 상부에 올라갈 때마다 가동되도록 카의 상부의 적어도 실질적인 부분에 걸쳐 보조 천장부를 포함한다. 물론 권한이 없는 기술자에 의한 접근이 이루어지는 경우, 검사 모드는 통상의 작동이 아닌 경우에도 여전히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양호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는 후퇴 가능한 난간에 의해 또는 그 위에 제공된다. 일반적인 개방-프레임 구조물보다는 커버로서 난간을 제공함으로써, 사람이 개방 프레임의 지주 사이에서 카 상부 상에 서 있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폐쇄 구성이 전술된 카 상부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커버가 후퇴 가능한 난간을 포함하는 경우, 양호하게는 카에는 카의 정상 작동을 방지하고, 그리고/또는 카를 검사 모드에 놓도록 난간의 전개를 감지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커버는 그 위에서의 하향 압력이 난간에 전달되도록 난간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난간의 하향 이동은 전체로서 카의 상부 상의 사람의 중량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커버는 이들 사이의 상대 이동이 사람의 중량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도록 난간에 탄성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커버는 단지 카 상부, 예를 들면 승장부로부터 접근될 수도 있는 곳에 가장 접근한 영역의 일부분을 덮을 수도 있지만, 양호하게는 커버는 사람이 서 있을 수 있는 카의 상부의 실질적인 전체 영역에 걸쳐 배열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절결부가 예를 들면 검사 및 통상 작동 사이의 절환을 위한 카 상부 상에 장착되는 특정 제어부 및/또는 정지 버튼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커버 내에 제공된다. 그러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검사 모드에서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는 숨겨진다. 이는 검사 모드에서 카를 작동시키도록 시도하는 카 상부 상의 임의의 사람에 대해서 안전 난간을 전개시키는 것을 더욱 장려한다.
감지 수단은 양호하게는 래칭되도록 배열되어서 카의 통상 작동이 권한 있는 사용자에 의해 래치가 적절하게 리셋될 때까지 방지된다. 리셋은 예를 들면 권한 있는 사람에게만 접근 가능한 영역에서 원격으로 실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키-작동식 스위치를 수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는 탄성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서 커버 상의 사람의 중량이 감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힘을 극복한다. 특정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멈춤쇠 수단이 그 위로 기어올라가는 사람에 의해 적절하게 변위 되지 않는 경우 커버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멈춤쇠는 감지 수단이 정상 작동에 있어서 갑작스런 가속/감속 또는 진동에 기인한 카의 정상 작동을 바람직하지 못하게 방해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력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멈춤쇠는 또한 정상 작동 중 커버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잡음을 감소시킨다.
적절한 멈춤쇠는 순수하게 기계식 배열체 형태일 수도 있지만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의 본 발명의 특정의 양호한 실시예가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난간이 전개된 위치에 있는 상태인 도1의 카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서와 같은 후퇴된 난간 및 카 천장부를 통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에서와 같은 전개된 난간을 도시한 도3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5는 난간 커버 상을 내딛을 권한 없는 사람의 영향을 도시한 사시도 및 대 응 부분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7은 커버 상에 서 있는 권한 없는 사람의 영향을 도시한 도6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1을 참조하면, 소위 륙색(rucksack)식 현가 구성으로 현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카(2)가 관찰된다. 따라서 륙색 프레임(4)은 엘리베이터의 일 측면 상에 제공되고 크로스 헤드(6)와 합체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8)는 엘리베이터 카의 전방에 제공된다.
크로스 헤드(6)에 힌지식으로 장착된 것은 후퇴 가능한 난간(10)이다. 그러나, 이전의 제안과 같은 개방 프레임 구성으로 되는 것보다, 난간 프레임(12)은 그 면적 대부분에 걸쳐 얇은 금속성 커버(14)에 의해 덮여진다. 커버(14)는 카의 지붕 상의 카 검사 (TOCI) 박스(16)의 상부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그 일 모서리에서 절결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절결부(16)는 카의 정상 및 검사 작동 사이의 절환을 위한 스위치 그리고 정지 스위치로의 접근을 허용하지만 검사 모드에서 카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버튼으로의 접근을 방지한다. 따라서 카는 난간이 전개되어야만 검사 모드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 힌지로부터 가장 먼 난간(10)의 에지는 난간(10)이 도2에서와 같이 전개되었을 때 감지를 허용하도록 난간 스위치 조립체(20) 상에 놓여 진다.
난간 스위치 조립체(20)은 도3 및 도4에 더 상세히 도시된다. 도3은 힌지 장착부(22)에 의해 카 프레임의 크로스 헤드(6)에 장착되는 난간 프레임(12)의 측면을 도시한다. 따라서 난간(10)은 카의 천장부(24)에 걸쳐 놓여진다.
난간 프레임(12)의 말단 에지는 플로팅 브라켓(28)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26) 상에 놓여진다. 교대로 플로팅 브라켓(28)은 압축 스프링(30)에 의한 일세트의 수직 가이드(도시 생략) 상에서의 수직 이동을 위해 장착된다. 스프링(30)은 플로팅 브라켓(28)을 카 천장부(24) 상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32)로부터 멀리 유지시킨다. 플로팅 브라켓(28) 자체는 난간이 도3의 후퇴 위치에 있는 동안 마이크로 스위치 액츄에이터(34a, 도4 참조)를 가압하도록 난간 프레임(12)에 부착된 페그(36)에 의해 결합되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34)를 지지한다.
전술된 배열체의 작동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정상 작동 동안, 난간(10)은 자석(26)에 의해 도1 및 도3에 도시된 전개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자석(26)의 힘은 통상 작동 및 안전 트리핑(tripping) 동안 가해지는 관성 하에서 난간 프레임(12)의 탈거를 방지하는 정도이다. 난간(10)이 후퇴된 위치에 있는 동안, 마이크로 스위치(34)는 폐쇄되어 유지되어서 엘리베이터 카의 통상 작동을 허용한다.
권한 있는 기술자에 의한 서비스 또는 검사가 필요한 경우, 그 또는 그녀는 보통의 과정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일 승장부로부터 들어가서 승강기의 수직 통로 및 카의 상부에 접근할 것이다. 카의 상부 상으로 기어올라가기 전에, 기술자는 난간 커버(14) 내 절결부(16)를 통해 TOCI 박스(18)로 접근할 것이다. 이를 사용하여 기술자는 카를 검사 모드에 놓음으로써, 통상 작동을 정지시킬 것이다. 이후 기술자는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 위치로 난간을 위로 회전시킨다. 이는 난간 마이크로 스위치(34)를 해제시켜서 검사 모드에서의 카의 작동을 허용한다. 이는 또한 TOCI 박스(18) 상에서 상, 하 및 공통 제어 버튼으로의 물리적인 접근을 허용한다. 카의 이동은 따라서 TOCI 박스(18)에 의해 지금부터 제어될 수도 있고 카는 가능한 헤드 룸이 카의 상부 상에 서 있는 기술자를 수용하기에는 안전이 불충분할 수도 있는 그 행정의 극 상부까지 상승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게 된다. 카는 물론 검사 작동이 추가 안전 장치가 전개되는 경우만 (카의 작동이 없는 것과 비교하여) 허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기술자가 일을 마치면, 난간은 복귀되고, 마이크로 스위치(34)는 폐쇄되고 카는 커버(14) 내 절결부(16)를 통해 TOCI 박스(18)를 작동시킴으로써 정상 작동으로 다시 절환된다.
권한 없는 사람이 카의 상부로의 접근을 획득하기 위해 조종하거나 기술자가 카에 올라가기 위해 올바른 과정을 따르지 않는 경우, 그 또는 그녀는 난간 프레임(12)에 부착된 커버(14) 상에 서 있게 될 것이다. 커버(14)로의 사람의 중량에 대응하는 힘의 가함은 플로팅 브라켓(28)이 카 천장부(24)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32)를 결합시키고 작동시킬 만큼 플로팅 브라켓(28)을 유지하는 스프링(30)을 압축하는 것이다. 이는 도5에 도시된다.
마이크로 스위치(32)가 가동되는 경우, 카의 작동은 즉시 정지된다. 따라서 카가 가장 높은 승장부에 도달함에 따라 승강기의 수직 통로의 상부에 충돌함으로써 카의 상부 상의 사람에게 부상을 입힐 위험성이 방지된다. 래치 배열체는 권한 있는 사람에 의해서 리셋 되어야만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2)에 의해 시작되는 긴급 정지 시스템과 관련된다. 리셋은 예를 들면 복도 내에 위치되는 키 스위치 또는 권한 있는 사람에 의해서만 접근 가능한 몇몇 다른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4)는 카 상부의 실질적인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하기 때문에, 사람이 그 중량을 커버에 가하지 않고 카의 상부에 올라탐으로써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은 극히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가 지금부터 도6 및 도7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난간 프레임(38)은 상향-개방-박스-섹션 프로파일을 가진다. 난간 프레임(38)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보다는, 커버(40)는 복수의 압축 스프링(42)에 의해 개별 박스-섹션 프레임 부재의 내부 벽(38a)에 장착된다. 커버 부재(40)의 측면은 수직 하향으로 연장하고 이어서 상부 표면에 평행한 플랜지(40a)를 형성하도록 회전한다. 플랜지(40a)에는 수직 기둥(39)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멍이 제공된다. 따라서 배열체는 커버 부재(40)가 난간 프레임(38)과의 접촉으로부터 멀어져서 이들 스프링(42) 상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난간 프레임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44)는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커버 부재에 의해 작동되도록 배열된다.
사람의 중량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에 가해지는 경우, 이를 지지하는 스프링(42)은 압축되어 하부 플랜지(40a)가 난간 프레임(38)의 내부 면 상에 놓여지도록 커버가 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커버(40)를 마이크로 스위치(44)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켜서 그 버튼을 해제시킨다. 이는 전술된 실 시예를 기준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카의 작동을 정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다수의 실행할 수 있는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후퇴 가능한 난간을 제공할 필요는 없고 커버는 대신에 카의 천장부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엘리베이터 카(2) 이며,
    카의 상부 표면(24)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커버(14; 4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탄성 지지부(28; 42) 상에 장착되고, 커버에 가해지는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중량에 대응하는 커버의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32; 4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가 감지되는 경우 정상 작동을 방지하도록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4; 40)는 후퇴 가능한 난간(12; 38) 상에 또는 이에 의해 제공되는 엘리베이터 카.
  3. 제2항에 있어서, 난간(12)의 전개를 감지하는 수단(36)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커버(14)는 난간(12)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커버(14)는 난간(38)에 탄성적으로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14; 40)는 사람이 서 있을 수 있는 카의 상부(24)의 실질적으로 전체 영역에 걸쳐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카.
  7. 제6항에 있어서, 카 상부(24) 상에 장착되는 제어부(18)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커버(14) 내에 제공되는 절결부(16)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검사 모드 동안 카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의 접근을 제공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지 수단(32; 44)은 래칭되도록 배열되어서 카의 통상 작동이 래치가 권한 있는 사용자에 의해 적절하게 리셋될 때까지 방지되는 엘리베이터 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위로 기어올라가는 사람에 의해 적절히 변위 되지 않는 경우 커버(14)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쇠 수단(26)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 수단은 자석(26)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KR1020067021399A 2006-10-16 2004-04-30 엘리베이터 카 KR100854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1399A KR100854232B1 (ko) 2006-10-16 2004-04-30 엘리베이터 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1399A KR100854232B1 (ko) 2006-10-16 2004-04-30 엘리베이터 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409A true KR20070012409A (ko) 2007-01-25
KR100854232B1 KR100854232B1 (ko) 2008-08-25

Family

ID=3801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399A KR100854232B1 (ko) 2006-10-16 2004-04-30 엘리베이터 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59B1 (ko) * 2016-02-04 2016-07-14 주승철 건설 리프트 비상구 제어 센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774A (ja) * 1998-11-12 2000-07-25 Toshiba Corp エレベ―タ籠の停止ロック装置
JP2002020062A (ja) * 2000-07-07 2002-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室装置
JP2002096979A (ja) * 2000-09-22 2002-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4839566B2 (ja) * 2001-04-17 2011-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ケージ及びエレベータ装置
GB2379654A (en) 2001-09-18 2003-03-19 Imre Maszlik Lift maintenance safet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59B1 (ko) * 2016-02-04 2016-07-14 주승철 건설 리프트 비상구 제어 센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232B1 (ko) 2008-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809B2 (en) Elevator top of car safety
CA2393798C (en) Inspection opening in an elevator car
US8162108B2 (en) Elevator having a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to the drive system as an elevator car approaches a shallow pit or a low overhead
US5806633A (en) Elevator safety system incorporating false pit
CN109923056B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US20140076670A1 (en) Elevator having a minimal elevator shaft well depth and a permanent protective space
JP2012121710A (ja) エレベータ
JP2007530391A (ja) エレベータ点検システム
EP4077186A1 (en) Elevator car pivotable balustrade and maintenance method for an elevator
CN113213312A (zh) 带有移动紧急停止装置的电梯轿厢
JP201809545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1230920A (ja) エレベータの点検作業用安全装置
KR20070012409A (ko) 카 안전을 위한 엘리베이터 상부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EP3659958B1 (en) Column-integrated step for elevator systems
JP42486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262613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KR20020070028A (ko) 건물용 비상탈출기
KR20120094752A (ko) 비상탈출장치
KR19980059741U (ko) 엘리베이터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345581B1 (ko) 엘리베이트 안전사고방지시스템
JP4768255B2 (ja) エレベータの保護板装置
KR20230032398A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DK3124427T3 (en) ACCESSORIES ON A BUILDING WORK AND TOWER TO A WIND ENERGY PLANT
JP4474301B2 (ja) 免震建築用エレベータの可動乗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