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074A -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074A
KR20070012074A KR1020050066899A KR20050066899A KR20070012074A KR 20070012074 A KR20070012074 A KR 20070012074A KR 1020050066899 A KR1020050066899 A KR 1020050066899A KR 20050066899 A KR20050066899 A KR 20050066899A KR 20070012074 A KR20070012074 A KR 20070012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belt conveyor
belt
guide rollers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417B1 (ko
Inventor
오승태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06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4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7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ransferring materials in bulk from one conveyor to several conveyors,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연료 및 원료 등과 같은 수송물의 이동 시, 수송물의 편적에 의해 야기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이용하여 후속 수송물의 적재 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에 종동하는 슈트댐퍼에 의해 수송물의 적재 위치를 변경시켜 수송물이 자동적으로 편적 없이 고르게 적재되도록 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하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벨트(1)와 풀리(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벨트 컨베이어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며, 회송벨트(1')가 통과하면서 회송벨트(1')의 편향에 따라 좌우로 가변되는 댐퍼자동조절장치(11)와,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종동되는 와이어(14, 14') 및 상기 와이어(14, 14')에 연결되어 종동되는 접철식댐퍼(18, 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벨트 컨베이어, 편적, 사행, 슈트댐퍼, 자동조절, 접철식댐퍼, 쉬이브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Chute damper auto controlling apparatus for loading belt conveyer}
도 1은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에서의 수송물의 운송 시 발생할 수 있는 편적현상 및 그에 의한 사행현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벨트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정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송벨트 2 : 풀리
3 : 수송물 4 : 슈트
5 : 댐퍼 6 : 조절레버
10 : 프레임 11 : 댐퍼자동조절장치
12 : 지지축 13 : 스프링
14 : 와이어 15, 15' : 제1쉬이브
16, 16' : 제2쉬이브 17, 17' : 제3쉬이브
18, 18' : 접철식댐퍼 111, 111' : 수평가이드롤러
112 : 수직가이드롤러 113 : 롤러지지대
131 : 스토퍼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연료 및 원료 등과 같은 수송물의 이동 시, 수송물의 편적에 의해 야기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이용하여 후속 수송물의 적재 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에 종동하는 슈트댐퍼에 의해 수송물의 적재 위치를 변경시켜 수송물이 자동적으로 편적 없이 고르게 적재되도록 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하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연료 및 원료 등과 같은 수송물의 수송은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을 하게 되는데, 장거리 및 단거리 이송 시, 여러개의 벨트 컨베이어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라인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들은 이송벨트(1)와 이를 구동시키는 풀리(2) 및 수송물(3)의 외부로의 낙하를 방지하는 슈트(4)들을 포함하여 구성 되며,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들이 2개 이상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방향전환과 자연스러운 낙하에 의해 수송물(3)을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서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로 옮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방에 위치하는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의 단부측에 그 하방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의 단부측을 위치하도록 배열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이송벨트(1)는 풀리(2)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하나의 벨트로 구성되나, 설명의 편의상 상방에 위치하여 수송물(3)을 이송시키는 부분을 이송벨트(1)로, 그리고 수송물(3)의 이송 후, 하방에 위치하여 되돌아가는 부분을 회송벨트(1')로 구분하여 표시하였으며, 이하에서도 이와 같이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수송 과정에서 수송물의 종류와 수분의 함유량, 비중 등 수송물의 상태와 슈트 내 마모상태, 낙하각도 등 설비적인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벨트 컨베이어 상부의 수송물이 편적 즉, 한쪽으로 치우쳐 적재된 채로 벨트 컨베이어가 연속적으로 동작하게 됨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가 전체적으로 사행, 즉 원래의 궤도에서 벗어난 상태로 비스듬히 진행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은 벨트의 마모 및 로울러의 이상 마모 등을 유발하여 유지보수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게 되는 문제점들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편적의 현상들을 도 2에 개략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송물(3)이 편적되는 경우, 중량의 편중으로 인하여 결국 이송벨트 자체가 편중되는 사행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4)의 댐퍼(5)에 충격되는 수송물(3)이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벨트(1)의 중심부에 착지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동이나 수동으로 동작되는 조절레버(6)를 이용하여 댐퍼(5)를 조작함으로써 수송물(3)의 낙하각도를 조절하여 편적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로써는 적절하게 편적현상을 방지할 수 없어, 수송물(3)의 형태와 수분,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과 설비파손 그리고 낙광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 발생과, 벨트 컨베이어 기동이 정지되어 설비효율이 저하되고, 그에 의해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편적 및 그에 따른 사행현상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어느 한 두사람의 작업자가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를 감시, 조절하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연료 및 원료 등과 같은 수송물의 이동 시, 수송물의 편적에 의해 야기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이용하여 후속 수송물의 적재 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에 종동하는 슈트댐퍼에 의해 수송물의 적재 위치를 변경시켜 수송물이 자동적으로 편적 없이 고르게 적재되도록 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하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는, 이송벨트(1)와 풀리(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벨트 컨베이어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며, 회송벨트(1')가 통과하면서 회송벨트(1')의 편향에 따라 좌우로 가변되는 댐퍼자동조절장치(11)와,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종동되는 와이어(14, 14') 및 상기 와이어(14, 14')에 연결되어 종동되는 접철식댐퍼(18, 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는, 이송벨트(1)와 풀리(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벨트 컨베이어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며, 회송벨트(1')가 통과하면서 회송벨트(1')의 편향에 따라 좌우로 가변되는 댐퍼자동조절장치(11)와,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종동되는 와이어(14, 14') 및 상기 와이어(14, 14')에 연결되어 종동되는 접철식댐퍼(18, 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는 그 양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지지축(12)과, 이 지지축(12)을 중심으로 하여 취부되는 원통형의 스프링(13)에 의해 프레임(10)에 가변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가 외부에서 힘을 받아 어느 한 방향으로 가변되게 되면, 그 후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13)의 탄성에 기한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탄성적으로 조절되면서 항상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는 롤러지지대(11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수평가이드롤러(111, 111')들과 적어도 2개의 수직가이드롤러(112, 11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가이드롤러들과 수직가이드롤러들 사이로 회송벨트(1')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송벨트(1')가 수송물(3)의 편적으로 인하여 사행되는 경우, 그 사행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그 힘에 의해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가 어느 일방으로 쏠리게 된다.
이때,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에는 그 양단부에 와이어(14, 14')들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가 어느 일방으로 편중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14, 14')들이 연동되며, 그 타측에 연결된 접철식댐퍼(18, 18')들을 조절하여 어느 일측의 접철식댐퍼는 더 돌출되게, 그리고 그에 대향되는 접철식댐퍼는 더 수축되게 가변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접철식댐퍼와 충돌되면서 낙하하는 수송물(3)의 낙하위치를 조절하여 이송벨트(1) 상으로 낙하되는 수송물(3)의 적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도 4를 기준으로 볼 때, 수송물(3)이 좌측으로 낙하하여 착지될 때, 회송벨트(1')는 우측으로 사행이 일어나게 되고, 그에 의해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가 우측으로 가변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에 연결된 와이어들 중 와이어(14)는 화살표 방향으로 느슨하게 되고, 그에 연결된 접철식댐퍼(18)가 내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조절되는 한편, 상기 와이어들 중 와이어(14')는 반대로 긴장되게 되어 당겨지면서 상기 접철식댐 퍼(18')를 수축시켜 수송물(3)의 낙하를 우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며, 그에 의해 연속되는 수송 동안 자동적으로 편적이 있을 때마다 편적이 일어나지 않도록 수송물의 낙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그에 의해 사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14, 14')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행이 일어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절첩식댐퍼들을 사행이 일어나는 방향과 같은 쪽의 절첩식댐퍼가 수축되고, 그에 대향되는 절첩식댐퍼가 연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쉬이브들(15, 15')과 제2쉬이브들(16, 16') 및 제3쉬이브들(17, 17')의 3개의 쉬이브들을 이용하여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가 사행된 상태로 진행을 하게 될 때, 수송물이 유입되어 수송물의 상태와 댐퍼의 위치 등의 원인에 의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가 편적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서, 수송물(3)의 후속의 낙하 시 수송물의 낙하위치를 회송벨트(1')의 사행방향과 같은 쪽의 절첩식댐퍼는 수축시키고, 그에 대향되는 절첩식댐퍼는 연장시켜서 사행되는 쪽으로 보다 많은 수송물(3)이 적재되도록 하여 사행의 원인을 제거토록 하게 된다. 따라서 회송벨트(1')의 상면에서 짧은 시간 내에 사행을 조정하여 수송물을 중앙에 안착시킴으로써 벨트의 절손 및 설비파손과 벨트 컨베이어의 정지에 따른 휴지시간 등을 방지하여 설비가동률을 향상시키고, 낙광에 의한 각 부의 고착과 환경오염 등의 원인을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연료 및 원료 등과 같은 수송물의 이동 시, 수송물의 편적에 의해 야기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이용하여 후속 수송물의 적재 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에 종동하는 슈트댐퍼에 의해 수송물의 적재 위치를 변경시켜 수송물이 자동적으로 편적 없이 고르게 적재되도록 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을 방지하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이송벨트(1)와 풀리(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벨트 컨베이어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며, 회송벨트(1')가 통과하면서 회송벨트(1')의 편향에 따라 좌우로 가변되는 댐퍼자동조절장치(11)와,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11)의 양측단부에 연결되어 종동되는 와이어(14, 14') 및 상기 와이어(14, 14')에 연결되어 종동되는 접철식댐퍼(18, 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자동조절장치가 롤러지지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수평가이드롤러들과 적어도 2개의 수직가이드롤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가이드롤러들과 수직가이드롤러들 사이로 회송벨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KR1020050066899A 2005-07-22 2005-07-22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KR100684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899A KR100684417B1 (ko) 2005-07-22 2005-07-22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899A KR100684417B1 (ko) 2005-07-22 2005-07-22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074A true KR20070012074A (ko) 2007-01-25
KR100684417B1 KR100684417B1 (ko) 2007-02-16

Family

ID=3801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899A KR100684417B1 (ko) 2005-07-22 2005-07-22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4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83B1 (ko) * 2009-09-28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 수송용 벨트컨베이어
KR101355517B1 (ko) * 2012-04-26 2014-01-28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 장치
KR101365535B1 (ko) * 2012-06-20 2014-02-25 (주)포스코 서지호퍼의 소결원료 장입장치
CN108609353A (zh) * 2018-04-20 2018-10-02 石家庄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烧结原料皮带输送机挡料装置
US10842401B2 (en) 2015-05-12 2020-11-2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on prediction of targets for catheter ablation of left atrial flutter in patients with atrial structural remodel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0216U (ja) 1984-02-07 1985-08-31 三菱化学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乗継部
JPH0635218U (ja) * 1992-10-20 1994-05-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ミックスベッド用スタッカの原料投入装置
JP2793495B2 (ja) * 1994-01-28 1998-09-0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ベルト姿勢規正装置
KR200331979Y1 (ko) 2003-06-26 2003-11-03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커의 편적 및 낙광 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83B1 (ko) * 2009-09-28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 수송용 벨트컨베이어
KR101355517B1 (ko) * 2012-04-26 2014-01-28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 장치
KR101365535B1 (ko) * 2012-06-20 2014-02-25 (주)포스코 서지호퍼의 소결원료 장입장치
US10842401B2 (en) 2015-05-12 2020-11-2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on prediction of targets for catheter ablation of left atrial flutter in patients with atrial structural remodeling
CN108609353A (zh) * 2018-04-20 2018-10-02 石家庄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烧结原料皮带输送机挡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417B1 (ko) 200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906B2 (en) Egg orienting and accumulating system with forward and reverse interconnected conveyors for preventing egg overflow/ride up and prior to existing in individual rows upon spool bars
KR101832142B1 (ko) 물류 자동 정렬 및 이송 컨베어 장치
KR100684417B1 (ko)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CN101516748B (zh) 输送系统
PL81147B1 (ko)
US6427999B1 (en) Signature hopper loader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34493A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US2919821A (en) Case stacker
US5282613A (en) Signature stream feeding apparatus
KR20200025317A (ko) 물품 분류 시스템
US20180057274A1 (en) Tray stack dispenser
KR10081572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박스부 낙하물 차단장치
SE470097B (sv) Transportör för in- eller utmatning av gods inom ett långsträckt område, vilken transportör innefattar ett enda ändlöst transportband
JP5777347B2 (ja) 搬送装置
KR10139834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벨트 및 이를 이용한 낙광방지용 벨트 컨베이어
JP2015189577A (ja) 供給装置
KR100879846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US3229806A (en) Coin feeder
KR1013880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0779648B1 (ko) 과다낙광 조절장치
JP3435738B2 (ja) コンベヤのスクレパ装置
JP2001287710A (ja) 複合インライン集卵に於ける原卵振り分け装置
KR20020039566A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KR20010059363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